KR20230136745A - 광학용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광학용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745A
KR20230136745A KR1020237028866A KR20237028866A KR20230136745A KR 20230136745 A KR20230136745 A KR 20230136745A KR 1020237028866 A KR1020237028866 A KR 1020237028866A KR 20237028866 A KR20237028866 A KR 20237028866A KR 20230136745 A KR20230136745 A KR 2023013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layer
present
adhesive tap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츠코 오키타
겐키 오치
나오키 하시모토
히로미 이케시마
히로시 노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81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17424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도,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는 기재(1)와,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점착제층(2)의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이, 95% 이하이다.
<전단 시험>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어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Description

광학용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적합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4K, 8K 등의 고화질화에 수반하여, 보다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옥외, 공공 시설 등에 있어서의 광고 표시나 게시판 등의 사이니지에의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이용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면 수율이 저하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화면 화상 표시 장치를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가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61634호 공보
타일링 디스플레이에서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를 눈에 띄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간극을 좁게(예를 들어, 100㎛ 이하) 할 필요가 있지만, 사용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가 수축 또는 팽창하여, 간극이 조금 생기거나, 화상 표시 장치의 근소한 겹침이 발생하여 간극이 눈에 띄고, 또한, 투명성이 저하되어,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 사이를 접합하는 점착제층이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팽창에 추종할 수 없고, 단부에 있어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고,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기초로 생각해 내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도,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당해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은, 95% 이하이다.
<전단 시험>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의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이라고 할 때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의 복원율이 9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복원율은 94% 이하가 바람직하고, 93.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 C[%]와, 상기 최대 컬양 D[mm]의 곱의 절댓값 |C×D|가 3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C×D|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고, 2.3 이하, 또는 2.2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변형량 A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A가 3%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는 4%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변형량 B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B가 0.1%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이 6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이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63℃ 이상, 또는 65℃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Tg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의 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관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습도 팽창률은 0.08% 이하가 바람직하고, 0.06%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5×10-5/%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상기 기재의 습도 변화에 있어서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상기 기재의 치수 안정성의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3×10-5/%RH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5/%RH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제2 면이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다는 구성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을 조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적층 구조 중에 갖기 때문에,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가 어느 정도 수축 또는 팽창한 경우에도, 상기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여,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하여 제작되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사용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가 어느 정도 팽창 또는 수축한 경우에도, 점착제층의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성능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단면도, (b)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사시도)이다.
도 5는, 전단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상기 기재 및 점착제층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각, 「본 발명의 기재」 및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에는, 「점착 시트」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시트상의 형태를 갖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단면도, (b)는 상면도이다.
도 1의 (a)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는, 기재(1)와,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기재(1)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고,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되어 있다.
도 1의 (b)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의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은, 기재(1)의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과 대응하여 정해지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는, 기재(1)와,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기재(1)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고,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되어 있다. 기재(1)의 제2 면(1b)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3)가 실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20)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의 점착제층(2)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이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타일링 디스플레이(30)는, 9매의 화상 표시 장치(20)(적층 구조는 도시 생략)를 3×3의 배열로, 지지 기판(31) 상에 타일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고, 화상 표시 장치(20)끼리는 간극(32)으로 접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학용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광학」이란, 광학 용도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광학 제품)의 제조 등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액정 화상 표시 장치, 자발광형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어,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화상 표시 장치, LED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적층되고 있는 한,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편면만이 점착면인 편면 점착 테이프여도 되고, 양면이 점착면인 양면 점착 테이프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경우,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양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고, 한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고, 다른 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그 밖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광학 제품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편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고, 피착체(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 이외의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중간층, 하도층, 대전 방지층, 세퍼레이터, 표면 보호 필름 등을, 표면 또는 임의인 층 사이에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각각의 초기 치수를 100%로 한 때의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 후의 치수의 변화량의 백분율(%)이고,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치수 변화율(%)=[(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 후의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100
치수 변화율(%)은 「+」는 팽창, 「-」는 수축을 나타낸다.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란, 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과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평균값이고,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평균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2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단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 C[%]와, 상기 최대 컬양 D[mm]의 곱의 절댓값|C×D|이 3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C×D|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고, 2.3 이하, 또는 2.2 이하여도 된다.
상기 |C×D|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001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최대 컬양의 절댓값 |D|[mm]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6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1mm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C×D| 및 |D|는,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C×D| 및 |D|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관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습도 팽창률은 0.08% 이하가 바람직하고, 0.06%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습도 팽창률은,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습도 팽창률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에 대한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비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당해 비율이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폭 방향과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차가 작아지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비율은, 0.6 이상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비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기재의 제조 조건(예를 들어, 압출 성형의 온도나 속도 등),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가 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7%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 또는 30%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이 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고, 9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9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치수 안정성,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의 범위이고, 최적으로는, 30 내지 200㎛의 범위이다.
<기재>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COP)(예를 들어, 상품명 「아톤」(JSR(주)제), 상품명 「제오노아」(닛폰 제온(주)제) 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P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이미드(PI), 투명 폴리이미드(CPI),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축하기 어려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COP),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투명 폴리이미드(CPI)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화상 표시 패널 등)에 첩부할 때에,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첩부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사용 시(첩부 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는 「기재」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필름상(기판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은, 기재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정해지는 것이고, 예를 들어 원료 수지 재료의 압출 성형 후에 필름상의 압출 성형체가 흐르는 방향이 기계 방향(MD)을 가리키고, 폭 방향(TD)은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기재는, 상기 광학 제품을 구성하는 광학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커버 부재,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커버 부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재가 커버 부재인 경우에는, 제2 면이,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제품의 최표면이 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유리 전이점이 6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이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63℃ 이상, 또는 6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재의 성형 프로세스를 간편화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3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 이하, 20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또는 12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JIS K 712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유리 전이점(Tg)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10-5/%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재 습도 변화에 있어서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치수 안정성의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3×10-5/%RH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5/%RH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001×10-5/%RH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는,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기재 제조 시의 조건(온도, 압출 속도 등)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가 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7%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 또는 30%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헤이즈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이 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반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치수 안정성,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의 범위이고, 최적으로는 30 내지 2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기재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30 내지 1.8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7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표면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반사 표면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방지 처리로서는, 공지된 반사 방지 처리를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안티 리플렉션(AR) 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안티 리플렉션(AR) 처리로서는, 공지의 AR 처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기재 제2 면 상에 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하게 제어한 광학 박막 혹은 상기 광학 박막을 2층 이상 적층한 반사 방지층(AR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AR층은, 광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입사광과 반사광이 역전한 위상을 서로 없앰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한다.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시키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은, 예를 들어 380 내지 780nm이고, 특히 시감도가 높은 파장 영역은 450 내지 650nm의 범위이고, 그 중심 파장인 550nm의 반사율을 최소로 하도록 AR층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R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 2 내지 5층의 광학 박층(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하게 제어한 박막)을 적층한 구조의 다층 반사 방지층을 들 수 있고, 굴절률이 다른 성분을 소정의 두께만큼 복수층 형성함으로써, AR층의 광학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보다 반사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광 반사 특성도 가시광 영역에서 균일(플랫)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광학 박막에 있어서, 높은 두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층의 형성은, 드라이 방식인 진공 증착, 스퍼터링, CVD 등에서 실시된다.
또한, 상기 AR층은,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은, 예를 들어 수지,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 중공 입자, 중실 입자 및 희석 용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이나 광에서 경화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서, 시판하고 있는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 광(자외선 등)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기재 제2 면의 경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탄디올글리세린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메타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는,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예를 들어 100 이상, 300 이상, 500 이상, 1,000 이상 또는 2,0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00 이하, 70,000 이하, 50,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10,000 이하여도 된다. 상기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높으면, 경도는 저하되지만, 굴곡시킨 때에 균열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낮으면, 분자 사이 가교 밀도가 향상되고,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지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펜타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형 수지의 경화를 위해서, 예를 들어 경화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경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공지된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하, 13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 7중량부 이하 또는 5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분자 중에 불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 화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불소 함유 방오 코팅제, 불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불소 및 규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KY-1203」, DIC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메가팍」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고형분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고형분 중의 불소 원소의 중량이, 예를 들어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15중량% 이상, 0.20중량% 이상 또는 0.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의 중량이, 예를 들어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15중량% 이상, 0.20중량% 이상 또는 0.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공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아크릴 입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어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스룰리아 5320」, 「스룰리아 43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공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nm 이상, 40nm 이상, 50nm 이상, 60nm 이상 또는 70nm 이상이어도 되고,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또는 110nm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공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 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중공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의 저굴절률,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70중량부 이상, 90중량부 이상 또는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300중량부 이하, 270중량부 이하, 250중량부 이하, 200중량부 이하 또는 18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반사 방지층의 저굴절률화의 관점에서는,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이 너무 적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 방지층의 기계 특성 확보의 관점에서는,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이 너무 많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실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티타늄 함유 입자(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입자)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어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상품명 「MEK-2140Z-AC」, 「MIBK-ST」, 「IPA-S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실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5nm 이상, 10nm 이상, 15nm 이상, 20nm 이상 또는 25nm 이상이어도 되고, 300nm 이하, 250nm 이하, 200nm 이하, 150nm 이하, 또는 100nm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실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중실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가, 도공한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표면에 편재되기 쉬워지고, 반사 방지층의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저굴절률,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중실 입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0중량부 이하, 120중량부 이하, 100중량부 이하 또는 8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상기 희석 용매는, 예를 들어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및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여도 된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PMA의 중량이, 예를 들어 2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100중량% 이상, 150중량% 이상, 또는 2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0중량% 이하, 350중량% 이하, 300중량% 이하, 또는 25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희석 용매는, 예를 들어 MIBK 및 PMA에 추가하여, 또한 TBA(tert-터셔리부틸알코올)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여도 된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PMA의 중량이,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1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 이하, 180중량% 이하, 150중량% 이하, 130중량% 이하, 또는 110중량% 이하여도 된다. 또한,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TBA의 중량이,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1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 이하, 180중량% 이하, 150중량% 이하, 130중량% 이하, 또는 11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희석 용매의 첨가량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형분의 중량이, 예를 들어 0.1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또는 1.5중량% 이상이 되도록 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가 되도록 해도 된다. 도공성 확보(습윤, 레벨링)의 관점에서는, 상기 고형분의 함유율이 너무 높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풍건 불균일, 백화 등 건조 기인의 외관 불량 방지의 관점에서는, 상기 고형분의 함유율이 너무 낮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공한다(상기 도공 공정).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공지된 도공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도공량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형성되는 상기 반사 방지층의 두께가, 예를 들어 0.1㎛ 이상, 0.3㎛ 이상, 0.5㎛ 이상, 1.0㎛ 이상, 또는 2.0㎛ 이상이 되도록 해도 되고,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또는 10㎛ 이하가 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공한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한다(상기 도막 형성 공정). 건조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200℃의 범위여도 된다. 상기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 이상이어도 되고,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5℃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또는 110℃ 이하여도 된다. 건조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초 이상, 40초 이상, 50초 이상, 또는 60초 이상이어도 되고, 150초 이하, 130초 이하, 110초 이하, 또는 90초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도 된다(경화 공정). 상기 경화는, 예를 들어 가열, 광 조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등이어도 된다. 상기 광 조사의 광원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등이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에 있어서의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쉽고,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경도가 높아지기 쉽다. 또한, 5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AG) 처리로서는, 공지의 AG 처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수지 중에 안티글레어제로서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를 분산한 층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수지, 입자 및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하는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가 응집함으로써,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볼록상부가 형성된다. 당해 구성에 의해, 안티글레어층은, 안티글레어성과, 백색 흐려짐의 방지를 양립한 우수한 표시 특성을 가짐과 함께, 입자의 응집을 이용하여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관 결점이 되는 안티글레어층 표면의 돌기상물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이나 광으로 경화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서, 시판하고 있는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 광(자외선 등)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탄디올글리세린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메타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펜타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기 위한 입자는,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안티글레어성을 부여하고, 또한, 안티글레어층의 헤이즈값을 제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안티글레어층의 헤이즈값은, 상기 입자와 상기 수지의 굴절률의 차를 제어함으로써,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입자와 유기 입자가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산화규소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주석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탈크 입자, 카올린 입자, 황산칼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분말(PMMA 미립자), 실리콘 수지 분말, 폴리스티렌 수지 분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분말, 아크릴 스티렌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멜라민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폴리이미드 수지 분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은, 2.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콜터 카운트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공 전기 저항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상품명: 코울터 멀티사이저, 베크만·콜터사제)를 사용하여, 입자가 상기 세공을 통과할 때의 입자 체적에 상당하는 전해액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수와 체적을 측정하고, 중량 평균 입경을 산출한다.
상기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비율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2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중량부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기 위한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점토, 산화 폴리올레핀, 변성 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점토는, 상기 수지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기화 처리한 점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점토로서는, 예를 들어 층상 유기 점토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점토는,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루센타이트 SAN, 루센타이트 STN, 루센타이트 SEN, 루센타이트 SPN, 소마시프 ME-100, 소마시프 MAE, 소마시프 MTE, 소마시프 MEE, 소마시프 MPE(상품명, 모두 코프 케미컬(주)제); 에스벤, 에스벤 C, 에스벤 E, 에스벤 W, 에스벤 P, 에스벤 WX, 에스벤 N-400, 에스벤 NX, 에스벤 NX80, 에스벤 NO12S, 에스벤 NEZ, 에스벤 NO12, 에스벤 NE, 에스벤 NZ, 에스벤 NZ70, 올가나이트, 올가나이트 D, 올가나이트 T(상품명, 모두 (주)호준제); 구니피아 F, 구니피아 G, 구니피아 G4(상품명, 모두 쿠니미네 고교(주)제); 틱소겔 VZ, 크레이톤 HT, 크레이톤 40(상품명, 모두 로크우드 어디티브즈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폴리올레핀은,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스팔론 4200-20(상품명, 구스모토 가세이(주)제), 플로논 SA300(상품명, 교에샤 가가꾸(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혹은 그 어덕트체와 유기 아민의 반응물이다. 상기 변성 우레아는,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YK410(빅 케미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볼록상부의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조도 평균 선에서의 높이가, 안티글레어층의 두께의 0.4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배 이상 0.4배 미만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배 이상 0.3배 미만의 범위이다. 이 범위라면, 상기 볼록상부에 외관 결점이 되는 돌기물이 형성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이러한 높이의 볼록형부를 가짐으로써, 외관 결점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 선에서의 높이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3862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의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비율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3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성 불량 등의 생산성의 저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d)가 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은 전술한 바와 같이, 2.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와,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이 전술한 조합임으로써, 안티글레어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의 범위 내이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와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의 관계는, 0.3≤D/d≤0.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 결점이 없는 안티글레어층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가 응집함으로써,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볼록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볼록상부를 형성하는 응집부에 있어서는, 상기 입자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면 방향으로, 복수 모인 상태에서 존재한다. 이에 의해, 상기 볼록상부가, 완만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이러한 형상의 볼록상부를 가짐으로써, 안티글레어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 결점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 형상은,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입자의 응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 입자의 재질(예를 들어, 입자 표면의 화학적 수식 상태, 용매나 수지에 대한 친화성 등), 수지(바인더) 또는 용매의 종류, 조합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틱소트로피 부여제에 의해,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할 수 있고, 상기 볼록상부를, 완만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기재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계면에 있어서, 침투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층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본 발명의 기재에 침투하여 형성된다. 침투층이 형성되면, 본 발명의 기재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층은, 두께가 0.2 내지 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고,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포함되는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침투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침투층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고,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침투층을 갖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적용한 경우에도, 안티글레어성과, 백색 흐려짐의 방지를 양립한 원하는 완만한 표면 요철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침투층은, 상기 안티글레어층과의 밀착성이 모자란 기재일수록, 밀착성의 향상을 위하여,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 최대 직경이 200㎛ 이상의 외관 결점이 안티글레어층의 1㎡당 1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관 결점이 없는 것이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표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 평균 경사각 θa(°)가 0.1 내지 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4.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 내지 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하기 수식 (1)로 정의되는 값이다.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3862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평균 경사각 θa=tan-1Δa (1)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Δa는, 하기 수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JIS B 0601(1994년도 판)에 규정되는 조도 곡선의 기준 길이 L에 있어서, 인접하는 산의 정점과 골짜기의 최하점의 차(높이 h)의 합계(h1+h2+h3…+hn)를 상기 기준 길이 L로 나눈 값이다. 상기 조도 곡선은, 단면 곡선으로부터, 소정의 파장보다 긴 표면 굴곡 성분을 위상차 보상형 고역 필터로 제거한 곡선이다. 또한, 상기 단면 곡선이란, 대상면에 직각인 평면에서 대상면을 절단한 때에, 그 절취부에 나타나는 윤곽이다.
Δa=(h1+h2+h3…+hn)/L (2)
θa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조제한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이 틱소트로픽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에서 규정되는 Ti값이, 1.3 내지 3.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8의 범위이다.
Ti값=β1/β2
여기서, β1은 HAAKE사제 레오스트레스 6000을 사용하여 전단 속도 20(1/s)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점도, β2는 HAAKE사제 레오스트레스 6000을 사용하여 전단 속도 200(1/s)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점도이다.
Ti값이 1.3 미만이면, 외관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져, 안티글레어성, 백색 흐려짐에 관한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Ti값이 3.5를 초과하면, 상기 입자가 응집하기 어렵게 분산 상태로 되기 쉬워진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상기 입자,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준비하고,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서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금형에 의한 전사 방식이나, 샌드블라스트, 엠보스 롤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아울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여러 가지의 용매를 사용 가능하고,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의 조성,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종류, 함유량 등에 따라서 최적의 용매 종류나 용매 비율이 존재한다.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채용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양용매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틱소트로피 부여제에 의한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에 대한 틱소트로픽성을 양호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점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톨루엔 및 크실렌을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화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성 우레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트산부틸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각종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서는, 도공 불균일 방지(도공면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예를 들어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방오성이 요구되는 경우, 또는, 반사 방지층(저굴절률층)이나 층간 충전제를 포함하는 층이 안티글레어층 상에 형성되는 경우 등에 따라 적절히 레벨링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도공액에 틱소트로픽성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공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레벨링제의 선택지를 확장할 수 있다고 하는 우위점을 갖고 있다.
상기 레벨링제의 배합량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충전제, 분산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 활성제, 방오제, 산화 방지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종래 공지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도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본 발명의 기재 상에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킨다. 상기 경화에 앞서,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여도 되고, 바람을 분사한 풍건이어도 되고, 가열 건조여도 되고, 이들을 조합한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의 도막의 경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자외선 경화가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지고,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도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5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 이외의 제조 방법으로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는, 연필 경도에 있어서, 층의 두께에도 영향받지만, 2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 상에, 상술한 AR층(저굴절률층)을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에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 화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의 하나로 공기와 안티글레어층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들 수 있다. AR층은, 그 표면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티글레어층 및 반사 방지층은, 각각,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오염물의 부착 방지 및 부착된 오염물의 제거 용이성의 향상을 위하여, 불소기 함유의 실란계 화합물 혹은 불소기 함유의 유기 화합물 등으로 형성되는 오염 방지층을 상기 반사 방지층 및/또는 안티글레어층 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및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안티글레어층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AR층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용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다른 쪽의 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기재(其材)(기재층)를 갖지 않는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기재층)를 갖지 않는 점착제층을 「무(無)기재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제층을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무기재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층만을 포함하는 단층의 점착제층이나, 본 발명의 점착제층과 그 밖의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으로서는, 기재의 양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나, 기재의 한쪽 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고, 다른 쪽의 면측에 그 밖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기재(기재층)」로서는, 본 발명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복원율은,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은, 95% 이하이다.
<전단 시험>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의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상기 「전단 시험」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단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40은 점착제층, 41 및 42는 패럴렐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점착제층(40)은,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이고,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는, 각각 직경 7.9mm의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도 5의 (a)). 패럴렐 플레이트(41)의 상면 및 패럴렐 플레이트(42)의 저면을, 각각 점착제층(40)의 저면 및 상면에 위치를 맞춰서 맞닿게 한다(도 5의 (b)). 다음으로, 주변 온도를 60℃로 하고, 점착제층(40)에, 500Pa의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F를 600초간 건다(도 5의 (c)). 다음으로,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의 전단력을 개방하고, 전단력 0Pa로 1800초간 방치한다(도 5의 (d)). 「변형량 A」는, 초기(도 5의 (b))의 점착제층(40)의 외주(100%)에 대한 전단력 F를 600초간 건 시점(도 5의 (c))의 비틀림 방향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변형량 B」는, 초기(도 5의 (b))의 점착제층(40)의 외주(100%)에 대한, 전단력 F를 600초간 건 후에 전단력 0Pa로 1800초간 방치한 시점(도 5의 (d))의 비틀림 방향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복원율(%)은,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복원율이 9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복원율은 94% 이하가 바람직하고, 93.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복원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또는 85%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가 3%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는 4%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량 A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 또는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가 0.1%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량 B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하, 또는 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단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Tg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Tg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0k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80kPa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70k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kPa 이하, 또는 50kPa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kPa 이상이 바람직하고, 5kPa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이 0.1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은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단력」이라고 할 때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이 20N/㎠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전단력은 15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3N/㎠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전단력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5N/㎠ 이상이 바람직하고, 7N/㎠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전단력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단력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이 10N/㎠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7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N/㎠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N/㎠ 이상이 바람직하고, 1.5N/㎠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투명성, 점착성, 내후성, 비용, 점착제의 설계의 용이함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어느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은 에멀션형, 용제형(용액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용융형(핫 멜트형) 등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점, 광학 특성이나 외관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기 쉬운 점에서, 용제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모노머)의 혼합물(「모노머 혼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혹은 그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물」이란, 「프리폴리머」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고, 상기 모노머 혼합물 중의 모노머 성분 중의 1 또는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하고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단량체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기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에 의해 구성된다.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탄소수가 4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ISTA),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부틸아크릴레이트(BA)이다. 또한,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중량%이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예를 들어, 10 내지 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접착 신뢰성,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와의 상용성, 투명성의 점에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는, 분자 내(1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단량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환상 질소 구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환상 질소 구조는, 환상 구조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 환상 아미드(락탐계 비닐 모노머),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1) 중,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1은 2가의 유기기이고,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예를 들어, 탄소수 3 내지 5의 알킬렌기 등)이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모르폴린환, 피페리딘환, 피롤리딘환, 피페라진환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라진, N-비닐모르폴린, N-비닐피라졸, 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옥사졸, 비닐이소옥사졸, 비닐티아졸, 비닐이소티아졸, 비닐피리다진,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그 중에서도,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에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의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1-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 이외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말레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등), 숙신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 등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N-비닐 환상 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비닐-2-피롤리돈(NVP)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상기 비율이 1중량% 이상이면,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는, 분자 내(1분자 내)에 수산기(히드록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이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단,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에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모노머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수산기 함유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0.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에 의한 상기 효과를 더 강화하는 목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이 5중량부 이상이면,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보다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의 상한은, 응집력의 점, 접착성, 접착 신뢰성의 얻기 쉬움의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및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비율의 합계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이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및 수산기 함유 모노머 이외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또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지환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포함된다. 또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의 지환 구조는, 환상의 탄화수소 구조이고, 탄소수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24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5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HPMPA,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TMA-2,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HCPA 등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4)에 있어서, 선으로 연결한 시클로헥실환과 괄호 내의 구조식의 결합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다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중량%를 초과하고 0.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예를 들어, 0중량%를 초과하고 0.2중량% 이하)이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0.5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중량부를 초과하고 0.5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중량부를 초과하고 0.2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메톡시에틸(MEA)이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자:후자](중량비)로, 100:0을 초과하고 25:7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을 초과하고 50:50 이하이다.
그 밖에도,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에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틸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페닐,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얻는 점에서,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이, 0.0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인 것은,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중의 베이스 폴리머(특히 아크릴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총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10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예를 들어, 8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예를 들어, 90 내지 100중량%)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4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000 내지 300000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500000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쉽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6ml/분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70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를 -70℃ 이상이면, 응집력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
1/Tg=W1/Tg1+W2/Tg2+…+Wn/Tgn
상기 식 중, Tg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는 모노머 i가 호모 폴리머를 형성한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모노머 i의 모노머 성분 전량 중의 중량 분율을 나타낸다(i=1, 2, ····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n-헥실아크릴레이트 -65℃
n-옥틸아크릴레이트 -65℃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60℃
n-노닐아크릴레이트 -58℃
n-부틸아크릴레이트 -55℃
에틸아크릴레이트 -20℃
라우릴아크릴레이트 0℃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0℃
메틸아크릴레이트 8℃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
아크릴산 106℃
메타크릴산 228℃
아세트산비닐 32℃
스티렌 100℃
또한, 상기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함유하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중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투명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모노머 성분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모노머 성분의 중합 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하, 「AM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0.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티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3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와 함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있으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계면에 있어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므로, 강접착성을 얻기 쉬워지고, 또한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단순히 「아크릴계 올리고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내(1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이하,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환상 구조(환)는, 방향족성 환, 비방향족성 환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 탄소환[예를 들어, 벤젠환 등의 단환 탄소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축합 탄소환 등], 각종 방향족성 복소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방향족성 지방족 환(비방향족성 지환식 환)[예를 들어, 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의 시클로알칸환; 시클로헥센환 등의 시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성 가교환[예를 들어,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등에 있어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탄 등에 있어서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가교식 탄화수소환) 등], 비방향족성 복소환[예를 들어, 에폭시환, 옥솔란환, 옥세탄환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b)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테닐기, 하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하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e)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5
즉,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헵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2환식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옥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알킬에스테르 등의 방향족성 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특히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CHMA),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다. 또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에서도,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특히, 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 특히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상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상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상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발포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극성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이다.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량이 90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점착력이나 단차 흡수성 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MMA)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발포 박리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이다.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이면, 특히,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는,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이외에도, 이들의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49.9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49.9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 인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상기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이다.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이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모노머, 그리고 (2)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 중의,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의 함유량(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70중량부, (2) 메타크릴산메틸의 함유량은 30 내지 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구체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괴상 중합 방법, 용액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용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를 든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00 내지 3000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옥틸머캅탄, t-노닐머캅탄, 도데실머캅탄(라우릴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티오글리콜산에틸, 티오글리콜산프로필, 티오글리콜산부틸, 티오글리콜산t-부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옥틸, 티오글리콜산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데실, 티오글리콜산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습에 의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백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α-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메틸이 바람직하고, α-티오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중량부이다.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으로 제어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 내지 3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이므로, 점착력이나 보유 지지 특성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 이하이므로,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쉽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6ml/분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0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를 20℃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0℃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양호한 점착력이나 양호한 단차 흡수성이 얻기 쉬워지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얻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DCPMA/MMA=60/40」의 코폴리머는, DCPM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경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이 1중량부 이상이면, 우수한 접착성 및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이 30중량부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과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8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 부분 중합물)에, 아크릴계 올리고머,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거쳐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자외선 흡수제(UVA)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면, 자외선에 의한 화상 표시 패널의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TINUVIN PS」, BASF사제), 벤젠프로판산 및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C7-9 측쇄 및 직쇄 알킬)의 에스테르 화합물(상품명 「TINUVIN 384-2」, BASF사제), 옥틸3-[3-ter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2-에틸헥실-3-[3-ter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109」,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상품명 「TINUVIN 900」,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928」, BASF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130」,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상품명 「TINUVIN P」,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상품명 「TINUVIN 234」, BASF사제),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26」,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펜틸페놀(상품명 「TINUVIN 328」,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29」, BASF사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60」, BASF사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213」,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상품명 「TINUVIN 571」, BASF사제),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상품명 「Sumisorb 250」,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tert-옥틸페놀](상품명 「아데카스탭 LA-31」, (주)ADEKA제)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과 [(C10-C16(주로 C12-C13)알킬옥시)메틸]옥시란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400」, BASF사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3-(도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놀),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405」, BASF사제),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상품명 「TINUVIN 460」, BASF사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상품명 「TINUVIN 1577」, BASF사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상품명 「아데카스탭 LA-46」, (주)ADEKA제),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상품명 「TINUVIN 479」,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하기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상품명 「TINUVIN 477」, BASF사제)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7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화합물),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무수 및 삼수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질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상품명 「KEMISORB 111」, 케미프로 가세이(주)제),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상품명 「SEESORB 106」, 시프로 가세이(주)제),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2-아크릴로일옥시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톡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톡시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상품명 「TINUVIN 120」,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케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키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높은 자외선 흡수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 우수한 광학 특성, 높은 투명성을 갖는 점착제층의 얻기 쉬움의 점, 우수한 광안정성을 갖는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수가 6 이상의 기 및 수산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페닐기가 벤조트리아졸환을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보다 높은 자외선 흡수성을 얻고,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에서, 하기에서 구해지는 흡광도 A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광도 A: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0.08% 톨루엔 용액에 대하여 파장 400nm의 광을 쐬어, 측정되는 흡광도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수반하는 점착제의 황색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우수한 광학 특성, 높은 투명성 및 우수한 외관 특성을 얻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는, 광산화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층의 광(특히 자외선)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안정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페놀계 광안정제(페놀계 화합물), 인계 광안정제(인계 화합물), 티오에테르계 광안정제(티오에테르계 화합물), 아민계 광안정제(아민계 화합물)(특히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광안정제(페놀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6-디-제3급 부틸-4-메틸페놀, 4-히드록시메틸-2,6-디-제3급 부틸페놀, 2,6-디-제3급 부틸-4-에틸페놀,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제3급 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4-히드록시-3-메틸-5-제3급 부틸)벤질말로네이트, 토코페롤, 2,2'-메틸렌비스(4-메틸-6-제3급 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제3급 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제3급 부틸페놀), 4,4'-부틸리덴 비스(6-제3급 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6-제3급 부틸-m-크레졸), 스티렌화페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미드, 비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에틸에스테르)칼슘,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급 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 1,6-헥산디올-비스[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1-메틸시클로헥실)-p-크레졸], 1,3,5-트리스(4-제3급 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르산, 1,3,5-트리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르산,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옥사미드비스[에틸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6-(4-히드록시-3,5-디-제3급 부틸아닐리노)-2,4-디옥틸티오-1,3,5-트리아진, 비스[2-제3급 부틸-4-메틸-6-(2-히드록시-3-제3급 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3,9-비스{2-[3-(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3,9-비스{2-[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광안정제(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제3급 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제3급 부틸-4-(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급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급 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제3급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n-부틸리덴비스(2-제3급 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급 부틸페닐)부탄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급 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트리스(2-[(2,4,8,10-테트라키스-제3급 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에테르계 광안정제(티오에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머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광안정제(아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숙신산디메틸 및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상품명 「TINUVIN 622」, BASF사제), 숙신산디메틸 및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과 N,N',N'',N'''- 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의 일대일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19」, BASF사제), 디부틸아민·1,3-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상품명 「TINUVIN 2020」, BASF사제),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상품명 「TINUVIN 944」,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765」, BASF사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상품명 「TINUVIN 770」, BASF사제), 데칸이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23」,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상품명 「TINUVIN 144」, BASF사제), 시클로헥산 및 과산화N-부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의 반응 생성물과 2-아미노에탄올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52」,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292」, BASF사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올 및 3,9-비스(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상품명 「아데카스탭 LA-63P」, (주)ADEKA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안정제로서는, 특히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광에 대한 내성을 발현하기 쉽게 하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함유량의 상한은, 광안정제 자체에 의한 착색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높은 투명성을 얻기 쉬운 점, 광학 특성의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가교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하고, 겔 분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미쓰이 가가꾸(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테트래드 C」(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에 가교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사용량의 상한은, 점착제층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을 얻고,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가습 조건 하에서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점, 특히 유리에 대한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면, 가습 조건 하에서의 접착성, 특히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KBM-403」(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대전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면,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제2, 제3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이나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알킬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양성형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나아가,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 중의,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것이면, 염료여도 안료여도 된다. 소량의 첨가로도 낮은 헤이즈를 달성할 수 있고, 안료와 같이 침강성이 없이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쉬운 점에서,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소량의 첨가로도 색 발현성이 높은 점에서, 안료도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성이 낮거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광안정제 등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가시광(파장 400 내지 700nm)을 흡수하는 한, 자외선(파장 330 내지 400nm)에 대하여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 혹은, 자외선에 대하여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가시광을 흡수하고, 또한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색제는, 파장 330 내지 400nm의 투과율의 최댓값이, 파장 400 내지 700nm의 투과율의 최댓값보다도 큰 착색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파장 330 내지 4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00 내지 7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도 큰 것도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투과율은,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0 내지 60% 정도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적절한 용매 또는 분산매(파장 330 내지 700nm의 범위의 흡수가 작은 유기 용매)에 의해 희석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흑색 착색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카본 블랙이나 티타늄 블랙은, 가시광의 흡수보다도 자외선의 흡수가 크다(가시광 투과율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작다). 그 때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카본 블랙 등의 착색제를 첨가하면, 광경화를 위하여 조사한 자외선의 다수가 착색제에 의해 흡수되어, 광중합 개시제가 흡수하는 광량이 작고, 광경화에 시간을 요한다(적산 조사광량이 많아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광 조사면의 반대 측의 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적기 때문에, 장시간의 광 조사를 행해도, 광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가시광에 비하여 자외선의 투과율이 큰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제에 기인하는 경화 저해를 억제할 수 있다.
자외선 투과성의 흑색 안료로서는, 도쿠시키제의 「9050BLACK」, 「UVBK-0001」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의 흑색 염료로서는, 오리엔트 가가꾸 고교제의 「VALIFAST BLACK 3810」, 「NUBIAN Black PA-2802」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의 흑색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티타늄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 정도이고, 착색제의 종류나, 점착제층의 색조 및 광투과율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착색제는,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조성물에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또한,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 수지(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등), 노화 방지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외관 특성, 투명성, 광학 특성의 점에서,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헤이즈는, 예를 들어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K 7136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외관 특성, 투명성, 광학 특성의 점에서,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K 7361-1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파장 400 내지 780nm의 광(가시광)의 투과율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상기 두께가 12㎛ 이상이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광학 특성의 점에서,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제조>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 상에 시트상의 점착제층에 성형하고,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상기 점착제층을 접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또한, 가열 건조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를 행할 때는, 도막의 표면에 또한 세퍼레이터를 부설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2매의 세퍼레이터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상태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키는 다른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 제1 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더 가열 건조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를 행할 때는, 도막의 표면에 세퍼레이터를 부설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와 세퍼레이터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상태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용매의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시트상의 도막을 가열해도 된다. 가열에 의한 용매 등의 제거를 행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를 부설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등)를 혼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그 부분 중합물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등)를 혼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공)에는,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가 사용되어도 된다.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넓은 파장 범위에서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외광에 추가하여, 가시광에서도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자외선 흡수제의 작용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의 저해가 염려되는 바, 넓은 파장 범위에서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으면,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광경화성을 얻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대전 방지층>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표면 또는 임의의 층간에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대전 방지층을 가짐으로써,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본 발명의 기재와 본 발명의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인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롤 코팅법,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에 폴리 음이온이 도핑된 도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등의 쇄상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 음이온으로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이소프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폴리알릴술폰산, 폴리아크릴산에틸술폰산, 폴리메타크릴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900nm이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세퍼레이터>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표면(본 발명의 점착제층 점착면)은, 사용 시까지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박리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기재 외에, 불소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박리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용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올레핀계 수지 필름(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이나 종이류(상질지,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합성지, 톱 코팅지 등) 외에, 이들을 라미네이트나 공압출 등에 의해, 복층화한 것(2 내지 3층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구성하는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5 내지 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층은 세퍼레이터의 한쪽 면(박리 처리면 또는 미처리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세퍼레이터의 양면(박리 처리면 및 미처리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박리 처리면 및/또는 미처리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인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롤 코팅법,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상기의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대전 방지층을 구성하는 도전성 폴리머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900nm이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은,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나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 시나 반송 시에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의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이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20㎛ 내지 25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형성하고, 이것을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접합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고, 이 베이스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가교제, 나아가 실란 커플링제 등이 배합된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이다. 점착제층이 너무 얇으면 점착성이 저하되는, 기포가 혼입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내약품성,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도 3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20)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의 점착제층(1)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적층 구조 중에 갖기 때문에,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여,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패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액정 화상 표시 패널, 자발광형 화상 표시 패널(예를 들어,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화상 표시 패널, LED 화상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RGB의 소자가 교호로 배열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RGB의 소자 사이는, 블랙 매트릭스(BM)로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 및 상기 화상 표시 패널 이외의 광학 부재를, 표면 또는 임의의 층간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시야각 조정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에는, 화상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장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판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패널과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첩부는, 가열 및/또는 가압 하에서 적층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가열 및/또는 가압 하에서 적층시킨 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를 행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타일링 디스플레이>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타일링 디스플레이(30)는, 9매의 화상 표시 장치(20)(적층 구조는 도시 생략)를 3×3의 배열로, 지지 기판(31) 상에 타일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고, 화상 표시 장치(20)끼리는 간극(32)에서 접하고 있다. 상기 지지 기판으로서는, 본 발명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유리판이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에 틈새나 겹침이 발생하기 어렵고,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이 유지된다. 또한,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것에 의한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지지 기판 이외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백라이트, 터치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복수매를 간극 없이 배열하고, 최표면을 유리로 밀봉하는 것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방현성 필름 1의 조제)
〔방현층 1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
방현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신나카무라 가가쿠사제, 상품명 「NK 올리고 UA-53H-80BK」) 40중량부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300」) 57.5중량부와, 지르코니아 입자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희석액(「옵스터 Z7540」, JSR사제) 2.5중량부와, 실리콘 입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고도 가이샤제, 상품명 「토스펄 130ND」) 2.8중량부와,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구니미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스메쿠톤 SAN」) 2.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907」) 3중량부와, 가교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 수지의 미립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사제 상품명 「SSX-103DXE」) 6.5중량부와, 레벨링제(교에샤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LE-303」) 0.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또한, 상기 유기 점토는,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6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38중량%가 되도록, 톨루엔/시클로펜타논(CPN) 혼합 용매(중량비 64/36)로 희석하고,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방현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조제하였다.
〔방현층 1의 형성〕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T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38U413」, 두께: 38㎛)를 준비하였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방현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도공 공정). 계속해서, 95℃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하여 두께 6.5㎛의 방현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1의 적층체를 얻었다.
〔반사 방지층 1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300」) 100중량부와, 중공 나노실리카 입자(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스룰리아 5320」) 100중량부와, 중실 나노실리카 입자(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MIBK-ST」, 고형분 30중량%, 중량 평균 입자경 10nm) 40중량부와,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KY-1203」) 12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907」) 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2959」) 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의 혼합물에, 희석 용매로서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및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70:3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1.5중량%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여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반사 방지층 1의 형성〕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1의 적층체의 방현층 면에,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 도공하였다(도공 공정). 상기 도공한 도공액을 80℃에서 1분간 가열하고,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하였다(건조 공정). 건조 후의 상기 도막에,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하였다(경화 공정). 이에 의해,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0.1㎛의 반사 방지층 1을 형성하였다(반사 방지층 형성 공정).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제조예 1의 방현성 필름 1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방현성 필름 2의 조제)
〔방현층 2의 형성〕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배합량을 60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실리콘 입자의 배합량을 0.9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를 1.5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지르코니아 입자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희석액과, 가교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 수지의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방현층 2의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반사 방지층 2의 형성〕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에 있어서, 상기 중공 나노실리카 입자의 배합량을 24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반사 방지층 2를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제조예 2의 방현성 필름 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방현성 필름 3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COP 필름, 닛폰 제온(주)제, 상품명 「ZF14」,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3의 방현성 필름 3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방현성 필름 4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N 필름, 도요보(주)제, 상품명 「Q51」, 두께: 2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4의 방현성 필름 4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방현성 필름 5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EK 필름, 구라보(주)제, 상품명 「EXPEEK」,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5의 방현성 필름 5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제조)
이소소르비드(이하 「ISB」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81.98질량부에 대하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이하 「TCDDM」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47.19질량부, 디페닐카르보네이트(이하 「DPC」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175.1질량부 및 촉매로서, 탄산세슘 0.2질량% 수용액 0.979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의 제1 단째의 공정으로서, 가열 조 온도를 150℃로 가열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약 15분). 이어서,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13.3kPa로 하고, 가열 조 온도를 190℃까지 1시간으로 상승시키면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외로 발출하였다. 반응 용기 전체를 190℃에서 15분 유지한 후, 제2 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6.67kPa로 하고, 가열 조 온도를 230℃까지, 15분으로 상승시켜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외로 발출하였다. 교반기의 교반 토크가 상승해 오므로, 8분에 250℃까지 승온하고, 또한 발생하는 페놀을 제거하기 위해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0.200kPa 이하에 도달시켰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반응을 종료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수중에 압출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시바우라 기카이(주)제,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 다이(폭 300mm, 설정 온도: 250℃), 냉각 롤(설정 온도: 120 내지 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두께 4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제작하였다.
(방현성 필름 6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6의 방현성 필름 6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방현성 필름 7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CPI 필름, KOLON사제, 상품명 「C_50_D」,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7의 방현성 필름 7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방현성 필름 8의 조제)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TAC 필름, 후지 필름(주)제, 상품명 「TD80UL」, 두께: 8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8의 방현성 필름 8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의 조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조제〕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 60중량부 및 메타크릴산메틸(MMA) 40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 3.5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열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를 투입하고, 7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80℃로 승온해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로 가열하여,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하고, 고형상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아크릴계 올리고머 A)를 얻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100, 유리 전이 온도(Tg)는 130℃였다.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의 조제〕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6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2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0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1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1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37중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A-HD-N」, 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0.08중량부, 상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 A 6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10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의 조제)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BA) 67중량부,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비스코트 #155」) 14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9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09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09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02중량부, 광중합 개시제(BASF제 「Omnirad651」) 0.3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를 조제하였다.
제조예 11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의 조제)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78중량부,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4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8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035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035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17.6중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A-HD-N」, 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0.294중량부, 상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 A 11.8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무기재 점착제층 1의 조제)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층이 마련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제 「다이어포일 MRF75」)을 기재(겸중 박리 필름)로서, 기재의 이형층 상에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두께 25㎛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 도포층 상에, 커버 시트(겸경 박리 필름)로서 편면이 실리콘 박리 처리된 두께 75㎛의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제 「다이어포일 MRE75」)의 이형층을 접합하였다. 이 적층체에, 커버 시트측으로부터, 램프 바로 아래의 조사면에 있어서의 조사 강도가 5mW/㎠가 되도록 위치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를 행하고,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1을 얻었다.
(점착 테이프 1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무기재 점착제층 1로부터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제조예 1에서 나타낸 방현성 필름 1의 비방현층 면에 첩부함으로써, 방현성 필름 1/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1을 얻었다.
실시예 2
(점착 테이프 2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2/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2를 얻었다.
실시예 3
(무기재 점착제층 2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2를 얻었다.
(점착 테이프 3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무기재 점착제층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1/점착제층 2/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3을 얻었다.
실시예 4
(점착 테이프 4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3/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4를 얻었다.
실시예 5
(점착 테이프 5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4/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5를 얻었다.
실시예 6
(점착 테이프 6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5/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6을 얻었다.
실시예 7
(점착 테이프 7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6/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7를 얻었다.
실시예 8
(점착 테이프 8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7/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8을 얻었다.
비교예 1
(점착 테이프 9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8/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9를 얻었다.
비교예 2
(무기재 점착제층 3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3을 얻었다.
(점착 테이프 10의 조제)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8 및 무기재 점착제층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 필름 8/점착제층 3/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10을 얻었다.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1) 평균 치수 변화율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준비한 점착 테이프를, MD 방향 100mm×TD 방향 100mm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네 구석의 각각에 크로스 패턴의 흠집을 발생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가열 전의 시험편(25℃)에 있어서, 흠집(크로스 패턴 중심)의 MD 방향 사이의 거리(길이) 및 그 TD 방향 사이의 거리(길이)를, CNC 3차원 측정기(미츠토요사제, 「LEGEX774」)를 사용하여 실온(25℃)에서 측정하였다. 이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 각각에 있어서, 가열 전의 길이를 얻었다.
이어서, 시험편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흠집의 MD 방향 사이의 거리 및 TD 방향 사이의 거리를, CNC 3차원 측정기를 측정하였다. 이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가열 후의 길이를 얻었다. 이어서, 하기의 식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 각각에 있어서, 치수 변화율 A1, A2를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치수 변화율(%)로 하였다. 또한, TD 방향의 치수 변화율에 대한 MD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비율(A1/A2)을 구하였다.
치수 변화율(%)=[가열 후의 길이(mm)-가열 전의 길이(mm)]/가열 전의 길이(mm)×100
평균 치수 변화율(%)=[MD 방향의 치수 변화율+TD 방향의 치수 변화율]/2
(2) 최대 컬양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준비한 점착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주)제, 상품명 「다이어포일 T100E50」을 첩부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100mm×100mm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절단하고,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컬이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각의 4점의 수평면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하고, 수평면으로부터 가장 긴 점의 거리를 최대 컬양(mm)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상기 PET 필름의 반대 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하였다.
(3) 반사율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흑색의 아크릴판에 첩부하고, 시험편으로 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을, 분광 광도계 U4100(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사제)에 점착 테이프측을 광원측에 설치하고, 5° 정반사의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4) 헤이즈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헤이즈 측정 장치(무라까미 시끼사이 겡뀨쇼제 HR-100)를 사용하여, 실온(23℃)에서 측정하였다. 반복 횟수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5) 변형량 A, 변형량 B 및 복원율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mm의 시험 샘플을 제작하고,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고, 시료로 하였다.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을 구하기 위한 전단 시험은,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에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7.9mm의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를 갖는 Rheometric Scientific사제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을 사용하여, 패럴렐 플레이트(41)의 상면 및 패럴렐 플레이트(42)의 저면을, 각각 시료의 점착제층의 저면 및 상면에 위치를 맞춰서 맞닿게 하였다(도 5의 (b)). 이어서, 이하의 측정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500Pa, 600초 시점(도 5의 (c))의 변형량 A, 그 후 0Pa, 1800초 유지한 시점(도 5의 (d))의 변형량 B를 판독하고, 하기 식에 의해 복원율을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프로그램: 500Pa, 600초 유지한 후, 0Pa, 1800초 유지.
측정 온도: 60℃
Axial Force: 0.2N
복원율: (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6)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 및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mm의 시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여, 패럴렐 플레이트에 끼워 넣고, Rheometric Scientific사제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측정 결과로부터, 각 온도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정접 tanδ를 판독하였다. 또한, tanδ가 극대가 되는 온도를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측정 온도: -70℃ 내지 150℃
(7) 점착제층의 전단력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폭 1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점착(접착) 면적이, 1㎠가 되도록, 아크릴 수지판(아크릴라이트 미쓰비시 케미컬제)에 접합하여, 23℃에서 박리 속도 0.06mm/min으로 전단 방향으로 인장하고, 그때의 최대 하중(N/㎠)을 전단력으로 하였다.
(8)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을 40mm×40mm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한쪽의 면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점착제면끼리가 접합되도록 1회 접고, 편면의 세퍼레이터를 다시 박리하여 다시 점착제면끼리를 접합하여, 약 10mm×40mm의 사이즈, 두께가 약 400㎛인 점착제층 샘플을 제작하였다. 척간 거리를 20mm로 설정한 인장 시험기에 상기 점착제층 샘플을 세트하고,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60mm(300%) 인장하였다(인장 후의 척간 거리는 80mm). 60mm 인장한 위치에서 300초간 고정 유지하고, 그 후의 응력값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을 산출하였다.
300% 인장 잔존 응력값(N/㎠)=300초간 고정 유지 후의 응력값(N)/(4×점착 시트 두께(mm)/10)
(9) 습도 팽창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TD 방향으로 폭 2mm×MD 방향으로 길이 20mm로 절단하고, Bruker AXS 가부시키가이샤제 HC-TMA4000SA형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인장
하중: 2g
유지 시간: 5시간
승온 속도: 5% RH/min
측정 분위기: 60℃ 상대 습도 30%에 있어서 포화될 때까지 유지하고, 60℃ 상대 습도 60%로 제어
(10)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
습도 팽창 계수는, Bruker AXS사제 HC-TMA4000SA형을 사용하여, 60℃에서 습도를 30% RH로부터 60% RH까지 변화시킨 때의 각 필름의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단위:/RH%).
습도 팽창 계수(α)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α=ΔL/{(T2-T1)×L}
T1: 습도 팽창 계수를 구하는 저습도측 습도(%RH)
T2: 습도 팽창 계수를 구하는 고습도측 습도(%RH)
ΔL: 시험편에 관한 T1일 때의 길이와 T2일 때의 길이 차(㎛)
L: 실온(60℃)에서의 시험편의 길이(㎛)
(11) 기재의 유리 전이점(Tg)
시료를 약 8mg 채취하고, 알루미늄제 용기에 넣어, DSC 측정을 행하였다.
장치: TA Instruments제 Q-2000
용기: 알루미늄제 용기
온도 프로그램: -30℃→300℃
승온 속도: 10℃/min
분위기 가스: N2(50ml/min)
(12)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 확인
유리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5cm×5cm로 절단하여 4매 간극 없이 붙이고, 60℃ 상대 습도 90%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백라이트 상에 유리를 배치하고, 백라이트의 광을 조사한 때의,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을 눈으로 보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이 확인되었다.
(13) 점착제의 박리 확인
상기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 확인에서 사용한, 60℃ 상대 습도 90% 500시간 가열한 샘플의 점착 테이프 단부를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점착 테이프에 박리가 확인되지 않았다.
×…점착 테이프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8
이하에, 본 발명의 베리에이션을 부기한다.
〔부기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이,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전단 시험>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의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부기 2〕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부기 1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부기 3〕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A가 3% 이상인,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4〕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B가 0.1% 이상인, 부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5〕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이 60℃ 이상인, 부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6〕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이 -10℃ 이하인, 부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7〕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인, 부기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8〕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인, 부기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9〕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래어 처리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10〕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부기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
〔부기 11〕 부기 1 내지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
〔부기 12〕 부기 1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
10A, 10B: 광학용 점착 테이프
1: 기재
1a: 기재의 제1 면
1b: 기재의 제2 면
2: 점착제층
3: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
20: 화상 표시 장치
4: 화상 표시 패널
30: 타일링 디스플레이
31: 지지 기판
40: 점착제층
41, 42: 패럴렐 플레이트

Claims (12)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이,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전단 시험>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의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A가 3% 이상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변형량 B가 0.1% 이상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이 60℃ 이상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이 -10℃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래어 처리되어 있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

KR1020237028866A 2021-01-29 2022-01-26 광학용 점착 테이프 KR20230136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3732 2021-01-29
JPJP-P-2021-013732 2021-01-29
JP2021181520A JP2022117424A (ja) 2021-01-29 2021-11-05 光学用粘着テープ
JPJP-P-2021-181520 2021-11-05
PCT/JP2022/002899 WO2022163705A1 (ja) 2021-01-29 2022-01-26 光学用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745A true KR20230136745A (ko) 2023-09-26

Family

ID=8265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866A KR20230136745A (ko) 2021-01-29 2022-01-26 광학용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36745A (ko)
TW (1) TW202239916A (ko)
WO (1) WO20221637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634A (ja) 2016-03-08 2017-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体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575A1 (ja) * 2010-03-10 201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2040709A (ja) * 2010-08-17 2012-03-0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5860297B2 (ja) * 2012-02-06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7197622A (ja) * 2016-04-26 2017-11-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層付き両面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WO2020145188A1 (ja) * 2019-01-08 2020-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224972B2 (ja) * 2019-03-08 2023-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634A (ja) 2016-03-08 2017-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体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3705A1 (ja) 2022-08-04
TW202239916A (zh) 202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14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JP5945393B2 (ja) 粘着シート
JP6538332B2 (ja)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
JP6762079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6508869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726789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5860297B2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7064533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22179400A (ja)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2163705A1 (ja) 光学用粘着テープ
WO2022163703A1 (ja) 光学用粘着テープ
KR20230136743A (ko) 광학용 점착 테이프
KR20230136746A (ko) 광학용 점착 테이프
JP2022117423A (ja) 光学用粘着テープ
JP2022117424A (ja) 光学用粘着テープ
JP2022117421A (ja) 光学用粘着テープ
JP2022117422A (ja) 光学用粘着テープ
WO2023190079A1 (ja)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23190078A1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7064532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CN116806246A (zh) 光学用粘合带
CN116802247A (zh) 光学用粘合带
CN116761863A (zh) 光学用粘合带
CN116761864A (zh) 光学用粘合带
WO2022244813A1 (ja)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