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361A -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361A
KR20230136361A KR1020220033980A KR20220033980A KR20230136361A KR 20230136361 A KR20230136361 A KR 20230136361A KR 1020220033980 A KR1020220033980 A KR 1020220033980A KR 20220033980 A KR20220033980 A KR 20220033980A KR 20230136361 A KR20230136361 A KR 2023013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linker
slab
hea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유준용
Original Assignee
박찬규
유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규, 유준용 filed Critical 박찬규
Priority to KR102022003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361A/ko
Publication of KR2023013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앵커가 설치된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사각형 평판 형상의 슬래브몸체(10)와,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의 테두리부재(20)와,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철근(30)과,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앵커홈커버(40)와, 일측 헤드부는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지지되고, 타측 헤드부는 상기 앵커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와, 상기 헤드앵커(50)를 서로 결속하는 링커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Smart concrete slabs of precast type and their assembly}
본 발명은 헤드앵커가 설치된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사각형 평판 형상의 슬래브몸체(10)와,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의 테두리부재(20)와,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철근(30)과,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앵커홈커버(40)와, 일측 헤드부는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지지되고, 타측 헤드부는 상기 앵커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와, 상기 헤드앵커(50)를 서로 결속하는 링커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라 함은 콘크리트를 사각 평판 형상으로 미리 성형시킨 건축용 부재의 일종으로서, 각종 건축물의 바닥이나 지붕, 벽체는 물론, 교량의 상판 등을 건설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종래에도 특허 제10- 0812132호(2008년 03월 04일) 및 특허 제10-1506620호(2015년 03월 23일) 등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는 통상적으로 미리 성형한 프리캐스트(precast) 구조체로를 시공현장으로 이송하여 조립공법으로 시공되고, 건축물을 해체한 이후에는 재사용 할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슬래브 구조체에는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쉽게 인양할 수 있는 앵커(anchor)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11호(2000년 05월 22일)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29791호(2001년 04월 25일) 등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에다 예컨대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보다 용이하게 인양 또는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양용 행거 및 앵커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중에서 첨부 도 1a 및 도 1b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29791호의 행거(1)와 앵커(3)를 인용한 것이다. 상기 행거(1)는 상부 및 하부통공(1a,1b)이 관통되어 있는 후크고리(1')와, 상기 하부통공(1b)에 결합되는 앵커결합구(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결합구(2)에는 앵커삽입홈(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3)는 앵커봉(3b)의 양쪽 단부에 앵커머리(3a)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쪽 앵커머리(3a) 중 한 개는 콘트리트 구조체 내부에 매립되고, 다른 한 개는 콘트리트 구조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첨부 도 1c는 행거(1)와 앵커(3)의 사용례를 나타낸 것으로, 앵커결합구(2)의 앵커삽입홈(2')에다 노출된 앵커머리(3a)를 삽입한 상태에서 후크고리(1')의 상부통공(1a)에다 크래인의 후크를 걸어서 콘트리트 구조체를 인양한다.
한편, 비활성 탄두의 관통시험용 표적으로는 보통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표적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두께 방향으로 겹겹이 적층한 연결표적이나, ‘ㄷ’ 이나 ‘ㅠ’ 자 형태의 방호벽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표적을 통과한 비활성 탄두를 회수하기 위하여 사각 함체 형상의 콘트리트 구조물 내에 모래를 채운 탄두 회수공간을 설치한다.
종래의 사각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하게 상기와 같은 연결표적이나 방호벽 또는 탄투 회수공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모서리 부분을 직각 구조로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된 앵커들은 이러한 기술적 요구를 충족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허 제10-0812132호(2008년 03월 04일) 특허 제10-1506620호(2015년 03월 23일)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11호(2000년 05월 22일) 등록실용신안 제20-0229791호(2001년 04월 25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및 운송을 물론, 여러개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을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 및 결속하거나, 또는 모서리 부분을 직각 구조로 연결 및 조립하기 매우 용이한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사각 테두리부재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활성 탄두 관통시험용 연결 표적이나 방호벽 또는 표적을 통과한 비활성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간을 조립하기에 적합한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 평판 형상의 슬래브몸체(10)와;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것으로, 슬래브몸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께부(21)와, 상기 두께부(21)의 양변에서 슬래브몸체(10)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되는 평면부(22a,22b)와, 상기 두께부(21)의 양쪽 단부에 걸쳐서 일변이 개방된 네모 형상으로 절삭된 엔드홀(23)과, 상기 두께부(21)와 양쪽 평면부(22a,22b)에 걸쳐서 꺾어진 네모 형상으로 관통된 엣지홀(24)을 갖는 테두리부재(20)와;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지지되는 보강철근(30)과;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교차하는 테두리부재(20)의 양쪽 엔드홀(23)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앵커홈커버(40a)과, 각 테두리부재(20)의 엣지홀(24)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앵커홈커버(40b)로 구성되며, 안쪽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 앵커관통공(41)이 관통되어 있는 앵커홈커버(40)와;
앵커봉의 양쪽 단부에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봉이 앵커홈커버(40)의 앵커관통공(41)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측 헤드부가 슬래브몸체(10) 내부에 비스듬히 매립되고, 타측 헤드부는 앵커홈커버(40)에 의해서 형성되는 앵커수용공간(S)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슬래브몸체(10)와 테두리부재(20), 보강철근(30), 앵커홈커버(40) 및 헤드앵커(50)를 갖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다수개의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를 서로 연결하는 링커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링커부재(60)는 링커몸체(61)와 링커결속구(62)를 포함하되, 상기 링커몸체(61)의 일측에는 헤드앵커(50)의 헤드부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1 링커홀(61a)이 관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링커결속구(62)가 체결되는 제2 링커홀(61b)이 관통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양쪽 헤드앵커(50)에다 각각 상기 링커몸체(61)의 제1 링커홀(61a)을 체결하고, 양쪽 링커몸체(61)의 제2 링커홀(61b)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링커홀(61b)에다 상기 링커결속구(62)를 체결하여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테두리부재(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슬래브몸체(10)를 타설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헤드앵커(50)에다 인양용 행거와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서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상기 헤드앵커(50)에다 링커부재(60)를 체결하여 여러개의 콘크리트 슬래브(100)를 두께 방향이나 너비 방향 또는 직각 구조로 연결하여 다양한 슬래브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슬래브 조립체는, 특히 비활성 탄두의 관통시험용 연결 표적이나, ‘ㄷ’ 또는 ‘ㅠ’ 자 형태의 방호벽, 또는 표적을 통과한 비활성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간 등의 구조물을 조립하기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되는 인양용 행거(1)와 앵커(3) 및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테두리부재(2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테두리부재(20)와 보강철근(30) 및 앵커홈커버(4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헤드앵커(50)와 링커부재(60)의 결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링커부재(6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사각형 평판 형상의 슬래브몸체(10)와,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의 테두리부재(20)와,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철근(30)과,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앵커홈커버(40)와, 일측 헤드부는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매립되고, 타측 헤드부는 상기 앵커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슬래브몸체(10)는 통상적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너비 방향으로 확장된 상면과 저면을 갖는 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 2에서는 편의상 앵커홈커버(40) 내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의 모습은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테두리부재(20)는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것으로, 단면이 형상인 강철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슬래브몸체(10)에는 각 변마다 한 개씩 모두 4개의 테두리부재(20)가 배치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재(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께부(21)와, 상기 두께부(21)의 양변에서 슬래브몸체(10)의 너비 방향, 즉 상면 및 저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 및 제2 평면부(22a,22b)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두께부(21)의 양쪽 단부에는 일변이 개방된 네모 형상의 엔드홀(23)이 절삭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두께부(21)와 양쪽 평면부(22a,22b)에는 꺾어진 네모 형상으로 관통된 엣지홀(2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엣지홀(24)은 밀폐된 사각형 구조로서, 일부는 두께부(21)에 관통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양쪽 평면부(22a,22b) 중 어느 한쪽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엣지홀(24)은 두께부(2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개수와 간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양쪽 단부에 2개의 엔드홀(23)와 4개의 엣지홀(24)이 설치되어 있는 테두리부재(20)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테두리부재(20)의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홀(23)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테두리부재(20)에 설치된 2개의 엔드홀(23)이 결합하면, 상기 엣지홀(24)과 같이 꺾어진 네모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보강철근(30)은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지지된다. 상기 보강철근(30)는 도 4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부재(20)의 양쪽 평면부(22a,22b) 사이에 각각 한겹씩 모두 두겹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철근(30)은 슬래브몸체(10) 내부에 매립되고, 슬래브 구조체(100)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앵커홈커버(40)는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서로 교차하는 양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앵커홈커버(40a)과 제2 앵커홈커버(40b)로 구성되며, 상기 슬래브몸체(10) 쪽으로 향하는 안쪽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 앵커관통공(41)이 관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1 앵커홈커버(40a)는 서로 교차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의 엔드홀(23)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앵커홈커버(40b)는 각 테두리부재(20)의 엣지홀(24) 내부에 하나씩 설치된다. 첨부 도 1의 콘크리트 슬래브(100)에는 각 모서리 부위에 4개의 제1 앵커홈커버(40a)와, 16개(8쌍)의 제2 앵커홈커버(4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앵커(50)는 도 1b에 예시한 통상적인 콘크리트 슬래브용 앵커와 마찬가지로, 앵커봉의 양쪽 단부에 각각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앵커봉이 앵커홈커버(40)의 앵커관통공(41)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1 헤드부는 슬래브몸체(10) 내부에 매립되고, 제2 헤드부는 상기 앵커홈커버(40)에 의해서 형성되는 앵커수용공간(S) 내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앵커(50)는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슬래브몸체(10)를 향하여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상기 헤드앵커(50)가 슬래브몸체(10) 속에 보다 깊숙하게 매립되고, 따라서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와 보강철근(30) 및 앵커홈커버(40)는 한몸으로 서로 용접되어 하나의 프리캐스트용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테두리부재(20)가 거푸집의 역할을 하고, 상기 앵커홈커버(40)이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앵커홈커버(40)는 테두리부재(2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몸체(10)를 양생한 이후에는 상기 앵커홈커버(40)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앵커홈커버(40)가 자리하고 있던 위치에 앵커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헤드앵커(50)의 머리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앵커수용공간(S) 내부에 노출되어 있는 헤드앵커(50)의 헤드부에다 첨부 [도 1a]에 소개한 통상적인 인양용 행거(1)를 체결하고, 상기 행거(1)에다 [도 1c]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서 용이하게 인양 또는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더하여, 다수개의 슬래브 구조체(100)를 서로 연결하는 링커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링커부재(60)는 도 5 와 같이 링커몸체(61)와 링커결속구(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링커몸체(61)는, 일측에 상기 헤드앵커(50)의 헤드부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1 링커홀(61a)이 관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링커결속구(62)를 체결하여 2개의 링커몸체(61)를 하나로 결속할 수 있는 제2 링커홀(61b)이 관통되어 있다. 제1 링커홀(61a)의 형상은 헤드앵커(50)의 헤드부를 삽입한 다음, 제2 링커홀(61b) 쪽으로 살짝 잡아당기면, 상기 헤드부가 이탈되지 않고 제1 링커홀(61a)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콘크리트 슬래브(100)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쪽 헤드앵커(50)에다 각각 상기 링커몸체(61)의 제1 링커홀(61a)을 체결하고, 양쪽 링커몸체(61)의 제2 링커홀(61b)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링커홀(61b)에다 상기 링커결속구(62)를 체결하면, 양쪽 콘크리트 슬래브(100)가 하나로 결고하게 결속된다.
상기 링커몸체(61)는 헤드앵커(50)의 설치 각도에 대응하도록 중간 부분이 둔각으로 꺾어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앵커(50)가 슬래브몸체(10)에 비스듬히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링커몸체(61)가 이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야 제2 링커홀(61b)에 링커결속구(62)를 체결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링커결속구(62)는 도 5와 같이 고정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고정나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링커부재(60)를 이용하면, 첨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콘크리트 슬래브(100)를 두께 방향으로 겹겹이 적층할 수도 있고, 너비 방향으로 넓게 확장할 수도 있으며, 또한 양쪽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모서리 부위를 직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첨부 도 7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3개의 콘크리트 슬래브(100a)는 서로 양면을 맞대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한 양쪽 콘크리트 슬래브(100a)의 양면에 설치된 8쌍의 제2 앵커홈커버(40b)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앵커홈커버(40b) 내에 돌출된 헤드앵커(50)에 각각 링커부재(60)가 체결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누워있는 2개의 콘크리트 슬래브(100b)는 서로 일변을 맞대고 너비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양쪽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일변에 설치된 두쌍의 제1 앵커홈커버(40a)과,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4쌍의 제2 앵커홈커버(40b)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앵커홈커버(40a,40b) 내에 돌출된 헤드앵커(50)에 각각 링커부재(60)가 체결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서 세로방향 콘크리트 슬래브(100a)와 가로방향 콘크리트 슬래브(100b)는 서로 직각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세로 슬리브(100a)에 설치된 두쌍의 제1 앵커홈커버(40a)과 가로 슬리브(100b)에 설치된 두쌍의 제2 앵커홈커버(40b)이 서로 마주보게 되고, 여기에 각각 링커부재(60)가 체결된다.
세로 슬래브(100a)와 가로 슬래브(100b)가 직각 구조로 결합되는 조립체에서 있어서, 상기 가로 슬리브(100b)에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제2 앵커홈커버(40b)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슬리브(100b)에 설치되는 제2 앵커홈커버(40b)의 개수와 간격에 따라 그 위에 세워서 결합되는 세로 슬리브(100a)의 개수와 간격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헤드앵커(50)와 여기에 체결되는 링커부재(60)를 이용하여 두께방향으로 적층하거나 너비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고, 또한 직각구조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구조를 이용하면, 예컨대 비활성 탄두의 관통시험용 연결표적이나, ‘ㄷ’ 또는 ‘ㅠ’ 자 형태의 방호벽, 또는 표적을 통과한 비활성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사각 회수공간 등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10) 슬래브몸체 (20) 테두리부재
(21) 두께부 (22a,22b) 평면부
(23) 엔드홀(end hole) (24) 엣지홀(edge hole)
(30) 보강철근 (40,40a,40b) 앵커홈커버
(41) 앵커관통공 (50) 헤드앵커
(60) 링커부재 (61) 링커몸체
(61a,61b) 링커홀(linker hole) (62) 링커결속구
(100,100a,100b) 콘크리트 슬래브 (S) 앵커수용공간

Claims (6)

  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 평판 형상의 슬래브몸체(10)와;
    상기 슬래브몸체(10)의 사변 테두리를 둘러싸는 것으로, 슬래브몸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께부(21)와, 상기 두께부(21)의 양변에서 슬래브몸체(10)의 너비 방향으로 확장되는 평면부(22a,22b)와, 상기 두께부(21)의 양쪽 단부에 걸쳐서 일변이 개방된 네모 형상으로 절삭된 엔드홀(23)과, 상기 두께부(21)와 양쪽 평면부(22a,22b)에 걸쳐서 꺾어진 네모 형상으로 관통된 엣지홀(24)을 갖는 테두리부재(20)와;
    상기 슬래브몸체(10)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양쪽 테두리부재(20) 사이에 지지되는 보강철근(30)과;
    상기 슬래브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 앵커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교차하는 테두리부재(20)의 양쪽 엔드홀(23)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앵커홈커버(40a)과, 각 테두리부재(20)의 엣지홀(24)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앵커홈커버(40b)로 구성되며, 안쪽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 앵커관통공(41)이 관통되어 있는 앵커홈커버(40)와;
    앵커봉의 양쪽 단부에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봉이 앵커홈커버(40)의 앵커관통공(41)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측 헤드부가 슬래브몸체(10) 내부에 비스듬히 매립되고, 타측 헤드부는 앵커홈커버(40)에 의해서 형성되는 앵커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 헤드앵커(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20)에 설치되는 엣지홀(24)은 두께부(2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30)는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부재(20)의 양쪽 평면부(22a,22b) 사이에 각각 한겹씩 모두 두겹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20)와 보강철근(30) 및 앵커홈커버(40) 는 한몸으로 서로 용접되어 하나의 프리캐스트용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
  5. 상기 제1항에 따른 슬래브몸체(10)와 테두리부재(20), 보강철근(30), 앵커홈커버(40) 및 헤드앵커(50)를 갖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다수개의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100)를 서로 연결하는 링커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링커부재(60)는 링커몸체(61)와 링커결속구(62)를 포함하되, 상기 링커몸체(61)의 일측에는 헤드앵커(50)의 헤드부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1 링커홀(61a)이 관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링커결속구(62)가 체결되는 제2 링커홀(61b)이 관통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양쪽 헤드앵커(50)에다 각각 상기 링커몸체(61)의 제1 링커홀(61a)을 체결하고, 양쪽 링커몸체(61)의 제2 링커홀(61b)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링커홀(61b)에다 상기 링커결속구(62)를 체결하여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몸체(61)는 상기 헤드앵커(50)의 설치 각도에 대응하도록 중간 부분이 둔각으로 꺾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형 콘크리트 슬래브의 조립체
KR1020220033980A 2022-03-18 2022-03-18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KR20230136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80A KR20230136361A (ko) 2022-03-18 2022-03-18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80A KR20230136361A (ko) 2022-03-18 2022-03-18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61A true KR20230136361A (ko) 2023-09-26

Family

ID=8819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980A KR20230136361A (ko) 2022-03-18 2022-03-18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36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11Y1 (ko)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200229791Y1 (ko) 2001-02-02 2001-07-19 오부영 콘크리트조립체의 행거셋트
KR100812132B1 (ko) 2007-08-10 2008-03-12 주식회사 한양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506620B1 (ko) 2013-05-08 2015-03-27 주식회사 네비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11Y1 (ko)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200229791Y1 (ko) 2001-02-02 2001-07-19 오부영 콘크리트조립체의 행거셋트
KR100812132B1 (ko) 2007-08-10 2008-03-12 주식회사 한양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506620B1 (ko) 2013-05-08 2015-03-27 주식회사 네비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5674A (en)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intermeshed interior insulating slab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6263638B1 (en) Insulated integral concrete wall forming system
US5809712A (en) System for joining precast concrete columns and slabs
US3238684A (en) Reinforcement and shuttering assembly for concrete
US4727701A (en) Building panel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US20140020317A1 (en) Modular Wall System with Footing Form II
CN208363404U (zh) 一种预制墙板及其连接结构
KR19980068760A (ko)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JP2016160617A (ja) 複合梁及びこれを構成するPCa複合梁部材並びに複合ラーメン構造
CN215054263U (zh) 预制墙板的l型连接节点
CN107447873B (zh) 连接预制叠合连梁与预制剪力墙的装置与安装方法
JP6943581B2 (ja) 壁梁接合構造
CN212453065U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
JP744968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耐震壁の接合構造
KR20230136361A (ko) 프리캐스트형 스마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조립체
US20230068973A1 (en)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US3230683A (en) Overlapped precast panels and fastening means connecting the same
CN211421372U (zh) 预制梁式阳台及其与预制墙板的连接结构
US11767668B2 (en) Modular building system and method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KR20170113862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담장 및 비내력벽 건축용 블럭
JPS58501239A (ja) 建築構造物、特に防空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