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358A -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 Google Patents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358A
KR20230136358A KR1020220033975A KR20220033975A KR20230136358A KR 20230136358 A KR20230136358 A KR 20230136358A KR 1020220033975 A KR1020220033975 A KR 1020220033975A KR 20220033975 A KR20220033975 A KR 20220033975A KR 20230136358 A KR20230136358 A KR 2023013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soil
layer
crops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주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358A/ko
Publication of KR2023013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농작물 및 나무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나무의 뿌리의 괴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토양 부위에 집중포설이 가능 및 빗물에 의한 토사의 하천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a)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준비하는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와; b)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A method of constructing a drainage pipe for preventing moisture damage to crops and trees, and a drainage pipe for preventing moisture damage to crops and trees constructed thereby}
본 발명은 토양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농작물 및 나무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나무의 뿌리의 괴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토양 부위에 집중포설이 가능 및 빗물에 의한 토사의 하천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경반층이 형성되게 되고, 논을 밭으로 개간하여 농작물 또는 나무를 식재할 경우에는 상기 경반층에 의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뿌리 등에 과습이 발생하게 되어 생산량 감소 및 뿌리가 괴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반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05203호로 제안된 경반층을 없애주는 쟁기-로터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쟁기-로터리장치와 같은 구조가 복잡한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하여야하는 불편함 및 이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052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토양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농작물 및 나무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나무의 뿌리의 괴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토양 부위에 집중포설이 가능 및 빗물에 의한 토사의 하천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준비하는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와; b)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의 상기 배수파이프는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에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와; 관상의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관상의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되고, 관상의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첨예해지는 첨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첨예부의 외주면과 관상의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각도는 10°이상 9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 상기 배수파이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파이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과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단부 사이의 각도는 8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환형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b1)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와; b2)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천공홀에 상기 배수파이프를 인입시키는 배수파이프 인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반층의 상부에 표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표토층 및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표토층,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반층의 상부에 표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b1) 상기 표토층,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와; b2)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천공홀에 상기 배수파이프를 인입시키는 배수파이프 인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c)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되는 투수성 충진제 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c) 투수성 충진제 충진단계는 c1) 투수백을 준비하는 투수백 준비단계와; c2) 상기 투수백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투수성 충진제와 함께 상기 투수백을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삽입하는 투수백 삽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에 의해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경반층과 토양에 삽입되는 배수파이프를 통해 상기 토양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농작물 및 나무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나무의 뿌리의 괴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경반층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없이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한 상기 배수파이프를 경반층 및 토양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파이프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토양 부위에 상기 배수파이프의 집중포설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배수파이프를 통해 빗물에 의한 토사의 하천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환형턱이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환형턱이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다른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된 상태 및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환형턱이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다른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된 상태 및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와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는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으로 빗물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수파이프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배수파이프(1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상의 몸체(110)와 첨예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논의 경반층과 토양에 삽입 또는 밭의 두둑사이마다 형성되는 골부위의 경반층과 토양에 삽입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소에 1개 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몸체(110)는 토양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에 삽입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첨예부(120)는 관상의 상기 몸체(110)와 연통되도록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상기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첨예부(120)가 상기 토양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첨예부(120)의 외주면과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사이의 각도(α1)는 10°이상 90°미만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으로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수공(100)이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100)이 동일수평선상 및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공(100)은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100)의 하부가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하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배수공(100)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단, 바람직하게는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100)을 통해 빗물 등의 물이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된 후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100)을 통해 토양으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100)은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빗물 등의 물이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입되어 토양으로 더욱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상기 배수공(100)과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 사이의 각도(α2)는 0°초과 및 85°이하인 것이 더더욱 좋다.
상기 첨예부(120)의 상부에도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상기 배수공(10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하부가 상기 경반층(5)의 하부방향의 토양(7)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10)가 상기 경반층(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5)과 상기 토양(7)에 삽입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b)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10)의 하부가 상기 토양(7)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를 작업자가 작업자가 해머를 이용하여 항타 또는 항타기 등의 중장비를 통해 항타함에 따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가 상기 경반층(5)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경반층(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5)과 상기 토양(7)에 삽입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는 상기 경반층(5)에 완전삽입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경반층(5)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6은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환형턱이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의 항타에 의해 상기 배수파이프(10)가 상기 경반층(5)과 상기 토양(7)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공(100)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첨예부(120)의 상부방향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하부 외주면에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환형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환형턱이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환형턱(111)이 형성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의 항타에 의해 상기 환형턱(111)이 형성된 상기 배수파이프(10)가 상기 경반층(5)과 상기 토양(7)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환형턱(111)으로 인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경반층(5)의 내주면 사이 및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토양(7)의 내주면 사이에 환형의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환형의 상기 이격공간(S)을 통해 상기 배수파이프(10)이 시공과정 중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공(100)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다른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b)단계는 b1) 천공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b2) 배수파이프 인입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천공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경반층(5)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천공홀(9)을 수직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b2)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10)의 하부가 상기 토양(7)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반층(5)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천공홀(9)에 도 8의 b) 및 도 8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배수파이프(10)를 인입시키거나 기중기,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파이프(10)를 인입시키는 단계이다.
도 9는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된 상태 및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21)가 충진되는 투수성 충진제 충진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가 더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c)단계에서의 투수성 충진제(21)는 자갈, 모래, 사질토, 펄라이트, 왕겨 등 1종 이상으로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자갈, 모래, 사질토, 펄라이트, 왕겨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투수성 충진제(21)는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삽입완료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에 작업자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도 10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c)단계는 c1) 투수백 준비단계(이하, 'c1)단계'라 한다.)와 c2) 투수백 삽입단계(이하, 'c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c1)단계는 부직포 또는 다공상 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수백(20)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투수백(2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c2)단계에서 상기 투수백(20)의 내측에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투수성 충진제(2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투수백(20)의 상부가 작업자에 의해 롤식으로 감겨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투수백(20)의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1개 이상의 상기 투수백(20)의 내측에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투수성 충진제(21)가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투수성 충진제(21)와 함께 1개 이상의 상기 투수백(20)이 작업자에 의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은 경반층과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반층(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5)과 토양(7)에 삽입되는 상기 배수파이프(10)를 통해 상기 토양(7)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농작물 및 나무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나무의 뿌리의 괴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경반층(5)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없이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한 상기 배수파이프(10)를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토양 부위에 복수의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집중포설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배수파이프(10)를 통해 빗물에 의한 토사의 하천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 및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반층(5)의 상부에 표토층(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반층(5)의 상부에 표토층(3)이 형성된 경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의 항타에 의해 상기 배수파이프(10)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토층(3)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표토층(3) 및 상기 경반층(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표토층(3),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는 상기 표토층(3)에 완전삽입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토층(3)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13은 환형턱이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일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환형턱(111)이 형성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상부의 항타에 의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턱(111)이 형성된 상기 배수파이프(10)가 상기 표토층(3)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표토층(3) 및 상기 경반층(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표토층(3),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환형턱(111)으로 인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관상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표토층(3)의 내주면 사이에도 환형의 상기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되는 과정의 다른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b1)단계에서는 도 1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토층(3),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표토층(3)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상기 천공홀(9)을 수직형성할 수 있다.
상기 b2)단계에서는 도 14의 b) 및 도 1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0)의 하부가 상기 토양(7)에 삽입되도록 상기 표토층(3)에서 상기 토양(7)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상기 천공홀(9)에 상기 배수파이프(10)를 인입시킬 수 있다.
도 15는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된 상태 및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 자갈, 모래, 사질토, 펄라이트, 왕겨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투수성 충진제(21)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토층(3),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삽입완료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에 작업자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도 16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표토층, 경반층 및 토양에 시공된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충 충진제가 수용된 투수백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토양으로의 배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c2)단계에서 상기 투수백(20)이 상기 표토층(3), 상기 경반층(5) 및 상기 토양(7)에 삽입완료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3; 표토층, 5; 경반층,
7; 토양, 10; 배수파이프.

Claims (14)

  1. a)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준비하는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와;
    b)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의 상기 배수파이프는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에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와;
    관상의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관상의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되고, 관상의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첨예해지는 첨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의 외주면과 관상의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각도는 10°이상 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 상기 배수파이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파이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과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단부 사이의 각도는 8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배수파이프 준비단계에서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환형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b1)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와;
    b2)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반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천공홀에 상기 배수파이프를 인입시키는 배수파이프 인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반층의 상부에 표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표토층 및 상기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표토층,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에 삽입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반층의 상부에 표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b) 배수파이프 삽입단계는 b1) 상기 표토층, 상기 경반층 및 상기 토양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와;
    b2)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가 상기 토양에 삽입되도록 상기 표토층에서 상기 토양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천공홀에 상기 배수파이프를 인입시키는 배수파이프 인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c)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충진되는 투수성 충진제 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c) 투수성 충진제 충진단계는 c1) 투수백을 준비하는 투수백 준비단계와;
    c2) 상기 투수백의 내측에 투수성 충진제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투수성 충진제와 함께 상기 투수백을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측에 삽입하는 투수백 삽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에 의해 경반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반층과 상기 경반층의 하부방향의 토양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KR1020220033975A 2022-03-18 2022-03-18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KR20230136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75A KR20230136358A (ko) 2022-03-18 2022-03-18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75A KR20230136358A (ko) 2022-03-18 2022-03-18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58A true KR20230136358A (ko) 2023-09-26

Family

ID=8819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975A KR20230136358A (ko) 2022-03-18 2022-03-18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3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03B1 (ko) 2020-02-14 2021-01-19 신만영 경반층을 없애주는 쟁기-로터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03B1 (ko) 2020-02-14 2021-01-19 신만영 경반층을 없애주는 쟁기-로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455B1 (ko) 지표수의 지하배수방법
KR20160009002A (ko) 식생블록
CN112854260B (zh) 一种生态混凝土岩土护坡结构及施工方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CN206467677U (zh) 基坑侧壁排水装置
KR20230136358A (ko)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농작물 및 나무의 습해 방지용 배수파이프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208121687U (zh) 生态河道护岸
KR100910736B1 (ko) 식생관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JP2007211546A (ja) 芝地面の床土排水改善構造
KR101001290B1 (ko) 식생용 목재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틀
CN211671537U (zh) 一种矿山坡面绿化结构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960003745B1 (ko) 여과용 주름 배수관을 이용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공법
JP4749970B2 (ja) 傾斜地緑化構造及び傾斜地緑化工法
KR101809978B1 (ko) 운동장용 타격식 일체형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CN218116500U (zh) 一种公路路堑边坡水毁凹陷坑修复结构
JPS6232290B2 (ko)
JP2006238809A (ja) 地下灌漑排水用暗渠装置
JP3602683B2 (ja) 雨水浸透ます
KR20100010797A (ko) 절개지 사면 보강토 공법 및 그 구조물
JP4253838B2 (ja) 水田用給水及び排水システム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JPS6111339Y2 (ko)
CN218969896U (zh) 一种水利护坡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