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793A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793A
KR20230134793A KR1020220032008A KR20220032008A KR20230134793A KR 20230134793 A KR20230134793 A KR 20230134793A KR 1020220032008 A KR1020220032008 A KR 1020220032008A KR 20220032008 A KR20220032008 A KR 20220032008A KR 20230134793 A KR20230134793 A KR 2023013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ear
unit
replacem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윤종국
Original Assignee
(주)무브칠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브칠팔 filed Critical (주)무브칠팔
Priority to KR102022003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793A/ko
Publication of KR2023013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타이어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함으로써 언제든지 타이어의 패턴과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앱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좌우전후에 대응되는 타이어 위치를 표시되는 타이어 위치 표시창(102-1)과, 촬영된 타이어의 사진이 표시되는 타이어 이미지 표시창(102-2)과, 타이어의 종류가 표시되는 타이어 종류 표시창(102-3)과,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과, 사용자로부터 타이어 사이즈를 입력받고 표시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창(102-5)을 포함하는 타이어 정보 표시부(102)와; 차량에서 사용되는 각종 타이어의 패턴정보를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와;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부(106)와; 카메라 작동부(106)를 통해 동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108)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는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와;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하는 타이어 종류 확인부(114)와; 사용자가 사이즈 입력창에 입력한 타이어 사이즈를 타이어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116)와; 차량 타이어의 마모도를 기준 타이어와 비교하여 타이어 교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마모도 상태를 확인하는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와;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Tire pattern analysis and wear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타이어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함으로써 언제든지 타이어의 패턴과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종류의 앱(App)이 장착되어 사용됨으로써 그 사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앱(App)이란 Application의 준말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이러한 앱을 사용하는 경우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문서를 만들고 사진을 편집하며 음악을 듣는 등 다양한 작업을 모바일 폰 등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타이어는 장기간 사용시 지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마찰력에 의해서 마모가 진행되므로 타이어가 일정량 마모되면 교체하여야 한다. 만약 타이어가 한계 마모 이상 마모된 상태에서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행중 타이어가 파손되어 대형사고률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타이어 교체시기를 일정한 주행거리로 계산하거나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었으면 타이어를 교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타이어 교체 시기 측정법은 매우 기초적이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으면 교체시기를 놓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230551호에서는 주유소나 주차장에서 설치되어 이동하는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마모 및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분석을 통한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공기압 측정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230551호의 경우 타이어마모측정부가 지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가 타이어의 마모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장비가 장착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0551호 (2021.09.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타이어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함으로써 언제든지 타이어의 패턴과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고 타이어를 주문하면서 교체를 요청하여 간단하게 필요한 장소에서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마모도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는 스마트폰에 앱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좌우전후에 대응되는 타이어 위치를 표시되는 타이어 위치 표시창(102-1)과, 촬영된 타이어의 사진이 표시되는 타이어 이미지 표시창(102-2)과, 타이어의 종류가 표시되는 타이어 종류 표시창(102-3)과,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과, 사용자로부터 타이어 사이즈를 입력받고 표시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창(102-5)을 포함하는 타이어 정보 표시부(102)와; 차량에서 사용되는 각종 타이어의 패턴정보를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와;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부(106)와; 카메라 작동부(106)를 통해 동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108)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는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와;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하는 타이어 종류 확인부(114)와; 사용자가 사이즈 입력창에 입력한 타이어 사이즈를 타이어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116)와; 차량 타이어의 마모도를 기준 타이어와 비교하여 타이어 교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마모도 상태를 확인하는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와;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 작동부(106)는 타이어와 스마트폰의 기준거리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동영상을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기준간격의 프레임을 선정하여 사용하여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이저오토포커스의 기능으로 측정된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레이저오토포커스 사용부(11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ToF 기능으로 측정된 타이어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ToF 사용부(11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그림자가 홈에 도달되는 변화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그림자 변화 사용부(11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프레임을 3D 모델링으로 타이어의 표면과 홈의 거리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3D 모델링 사용부(112-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의 마모도 상태는 좋음, 주의, 교체요망으로 분류되고,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는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가 좋음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좋음'으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주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주의'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교체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교체요망'으로 표시하며, 마모도 상태가 위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위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고,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해당 타이어의 교체비용에 대한 견적을 수신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122)와;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를 요청하는 타이어 교체 요청부(124);를 더 포함하며,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는, 타이어의 각종 패턴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로 제공하는 타이어 패턴관리부(202)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의 가격을 포함한 타이어의 교체비용, 타이어 교체업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견적 제공부(206)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수신받는 타이어 교체 접수부(208)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에게 교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의뢰부(212)와; 바람직하게, 판매 타이어 관리부(204)는 타이어의 종류마다 서로 대체 가능한 타이어를 함께 매칭시켜 관리하고, 교체 대상의 타이어 교체비용과 대체가능한 타이어 교체비용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에 앱으로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타이어의 패턴 및 마모도를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없이 언제든지 타이어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의 마모도가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앱으로 타이어 주문 및 교체를 요청하여 출장서비스로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또는 업력업체를 안내받아 편리한 장소에서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는 마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타이어 마모도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타이어 마모도 관리앱(100)으로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정보 표시부(102),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 카메라 작동부(106),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108),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 타이어 종류 확인부(114),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116),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122), 타이어 교체 요청부(124)를 포함한다.
타이어 정보 표시부(102)는 차량의 좌우전후에 대응되는 타이어 위치를 표시되는 타이어 위치 표시창(102-1)과, 촬영된 타이어의 사진이 표시되는 타이어 이미지 표시창(102-2)과, 타이어의 종류가 표시되는 타이어 종류 표시창(102-3)과,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과, 사용자로부터 타이어 사이즈를 입력받고 표시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창(102-5)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표시창과 입력창은 타이어 위치 표시창(102-1)에 연동되어 표시된다. 또한,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은 %로 표시하거나 또는 mm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각종 타이어의 패턴정보를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타이어 패턴정보를 제공받아 업데이트하게 된다.
카메라 작동부(106)는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킨다. 카메라 작동부(106)는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작동버튼'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폰의 카메라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 작동부(106)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촬영할 때 타이어와 스마트폰의 이격 거리에 따라 후속 영상처리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타이어와 약 100mm~150mm의 기준거리가 유지되도록 화면에 타이어가 위치하는 최소 및 최대 영역을 표시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알람을 표시하여 타이어가 기준영역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촬영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108)는 카메라 작동부(106)를 통해 동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한다. 타이어의 단면폭 부분을 포함하고 좌우 또는 우좌로 이동하면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한다.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한다. 확인된 타이어 패턴으로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한다. 이때,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동영상을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기준간격의 프레임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레이저오토포커스 사용부(112-1), ToF 사용부(112-2), 그림자 변화 사용부(112-3), 3D 모델링 사용부(112-4)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할 수 있다.
레이저오토포커스 사용부(112-1)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이저오토포커스의 기능으로 측정된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한다. 이때, 레어저오토포커스의 거리정보는 동영상의 선정된 프레임마다 확인하고 평균한 거리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F 사용부(112-2)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ToF 기능으로 측정된 타이어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한다. 이때, 카메라의 타이어의 거리정보는 동영상의 선정된 프레임마다 확인하고 평균한 거리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자 변화 사용부(112-3)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그림자가 홈에 도달되는 변화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한다. 이때, 그림자의 변화정보는 동영상의 선정된 프레임마다 확인하고 평균한 거리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림자 변화 사용부(112-3)는 플래쉬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D 모델링 사용부(112-4)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프레임을 3D 모델링으로 타이어의 표면과 홈의 거리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한다.
타이어 종류 확인부(114)는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한다.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116)는 사용자가 사이즈 입력창에 입력한 타이어 사이즈를 타이어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는 차량 타이어의 마모도를 기준 타이어와 비교하여 타이어 교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마모도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기준 마모도는 좋음, 주의, 교체에 해당되는 마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는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는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가 5mm 이하의 좋음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좋음'으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5~3mm의 주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주의'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3~2mm의 교체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교체요망'으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2mm 이상의 위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위험'으로 표시하게 된다.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122)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고,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해당 타이어의 교체비용에 대한 견적을 수신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때,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122)는 디스플레이에 '견적버튼'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면 확인된 타이어 종류가 표시되고, 개수가 입력되면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 전송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타이어의 개수는 마모도가 기준 이하인 것이 입력되지만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견적에 포함된 타이어 교체업체의 위치를 확인하여 방문할 수도 있다.
타이어 교체 요청부(124)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의 요청과 소요비용을 지불을 관리한다. 타이어 교체 요청부(124)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타이어의 견적에 포함된 타이어 교체업체에 표시되는 '타이어 교체'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 전송하고 소요비용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타이어 교체' 항목에는 타이어의 교체 장소, 소유자 연락처 등을 작성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타이어 교체를 관리하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는 타이어 패턴관리부(202), 판매 타이어 관리부(204), 타이어 견적 제공부(206), 타이어 교체 접수부(208), 타이어 교체업체 관리부(210), 타이어 교체 의뢰부(212)를 포함한다.
타이어 패턴관리부(202)는 타이어의 각종 패턴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로 제공한다.
판매 타이어 관리부(204)는 판매대상의 타이어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판매 타이어 관리부(204)는 타이어의 종류마다 서로 대체 가능한 타이어를 함께 매칭시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견적 제공부(206)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의 가격을 포함한 타이어 교체비용, 타이어 교체업체을 제공한다. 이때, 교체 대상의 타이어 교체비용과 대체가능한 타이어 교체비용을 함께 제공하며, 타이어 교체업체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교체 접수부(208)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수신받는다.
타이어 교체업체 관리부(210)는 방문으로 타이어를 교체해주는 타이어 교체업체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이때, 타이어 교체업체는 지역마다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교체 의뢰부(212)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에게 교체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 교체업체는 사용자가 요청한 주소를 방문하여 차량의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타이어 마모도 관리앱 102 : 타이어 정보 표시부
102-1 : 타이어 위치 표시창 102-2 : 타이어 이미지 표시창
102-3 : 타이어 종류 표시창 102-4 : 마모도 상태 표시창
102-5 : 타이어 사이즈 입력창 104 : 타이어 패턴 저장부
106 : 카메라 작동부 108 :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
110 : 타이어 패턴 분석부 112 :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
114 : 타이어 종류 확인부 116 :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
118 : 타이어 상태 확인부 120 : 마모도 상태 표시부
122 :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 124 : 타이어 교체 요청부
112 :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 112-1 : 레이저오토포커스 사용부
112-2 : ToF 사용부 112-3 : 그림자 변화 사용부
112-4 : 3D 모델링 사용부 200 :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
202 : 타이어 패턴관리부 204 : 판매 타이어 관리부
206 : 타이어 견적 제공부 208 : 타이어 교체 접수부
210 : 타이어 교체업체 관리부 212 : 타이어 교체 의뢰부

Claims (10)

  1. 스마트폰에 앱으로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전후에 대응되는 타이어 위치를 표시되는 타이어 위치 표시창(102-1)과, 촬영된 타이어의 사진이 표시되는 타이어 이미지 표시창(102-2)과, 타이어의 종류가 표시되는 타이어 종류 표시창(102-3)과, 타이어의 마모도가 표시되는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과, 사용자로부터 타이어 사이즈를 입력받고 표시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창(102-5)을 포함하는 타이어 정보 표시부(102)와;
    차량에서 사용되는 각종 타이어의 패턴정보를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타이어 패턴 저장부(104)와;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부(106)와;
    카메라 작동부(106)를 통해 동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타이어 동영상 관리부(108)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는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와;
    타이어 패턴 분석부(1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하는 타이어 종류 확인부(114)와;
    사용자가 사이즈 입력창에 입력한 타이어 사이즈를 타이어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타이어 사이즈 입력관리부(116)와;
    차량 타이어의 마모도를 기준 타이어와 비교하여 타이어 교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마모도 상태를 확인하는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와;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를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표시하는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 작동부(106)는 타이어와 스마트폰의 기준거리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동영상을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기준간격의 프레임을 선정하여 사용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이저오토포커스의 기능으로 측정된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레이저오토포커스 사용부(1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타이어의 동영상 촬영시의 ToF 기능으로 측정된 타이어 표면과 홈의 거리정보를 분석하고 기준 거리정보와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ToF 사용부(1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그림자가 홈에 도달되는 변화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그림자 변화 사용부(11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도 분석부(112)는 촬영된 타이어 표면의 프레임을 3D 모델링으로 타이어의 표면과 홈의 거리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마모도를 분석하는 3D 모델링 사용부(11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상태 확인부(118)의 마모도 상태는 좋음, 주의, 교체요망으로 분류되고, 마모도 상태 표시부(120)는 타이어의 마모도 상태가 좋음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좋음'으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주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주의'로 표시하고, 마모도 상태가 교체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교체요망'으로 표시하며, 마모도 상태가 위험 기준에 해당되면 마모도 상태 표시창(102-4)에 '위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고,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로부터 해당 타이어의 교체비용에 대한 견적을 수신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타이어 교체견적 관리부(122)와;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에게 타이어의 교체를 요청하는 타이어 교체 요청부(124);를 더 포함하며,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는
    타이어의 각종 패턴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로 제공하는 타이어 패턴관리부(202)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의 교체비용, 타이어 교체업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견적 제공부(206)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정보를 수신받는 타이어 교체 접수부(208)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이어 교체를 요청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에게 교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의뢰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판매 타이어 관리부(204)는 타이어의 종류마다 서로 대체 가능한 타이어를 함께 매칭시켜 관리하고, 교체 대상의 타이어 교체비용과 대체가능한 타이어 교체비용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20220032008A 2022-03-15 2022-03-1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20230134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08A KR20230134793A (ko) 2022-03-15 2022-03-1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08A KR20230134793A (ko) 2022-03-15 2022-03-1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93A true KR20230134793A (ko) 2023-09-22

Family

ID=8819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08A KR20230134793A (ko) 2022-03-15 2022-03-1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7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551B1 (ko) 1995-05-22 1999-11-15 포만 제프리 엘 고속 디스크 드라이브들에 있어서 효과적인 충격 완화와필터링을제공하기위한탄성쉬라우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551B1 (ko) 1995-05-22 1999-11-15 포만 제프리 엘 고속 디스크 드라이브들에 있어서 효과적인 충격 완화와필터링을제공하기위한탄성쉬라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4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laiming residual value of personal electronic devices
KR101425019B1 (ko) 온라인을 이용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37238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us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U179452U1 (ru) Порта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правонарушений, совершенных участниками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CA2920405A1 (en) Detection system
CN100501692C (zh) 服务提供系统、管理终端、移动体以及服务提供方法
KR2013009136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고차 거래 시스템
KR20160010735A (ko)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JP5635716B1 (ja) 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端末及び広告効果測定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広告効果測定方法
US9644989B2 (en) Navigation system with notific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1913569A (zh) 呈现关于装置的视觉信息
JP566790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6331040B (zh) 向用户进行推荐的方法及系统
CN102792266B (zh) 使用视见平截头体提供关于目标的信息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4574101A (zh) 一种用于验证电子券的方法、设备与系统
US202103426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gram
KR2023013479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이어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관리 시스템
WO2019117047A1 (ja)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KR20180129700A (ko) 스마트 웨이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379858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移動体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354210B (zh) 地图生成设备、地图生成系统、地图生成方法以及地图生成程序
KR101854859B1 (ko) 유료 도로 사용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2002133278A (ja) 携帯電子機器の消耗品購入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2024479B1 (ko)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RU133339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иксации нарушений правил стоянки и парков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