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182A -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182A
KR20230134182A KR1020220031162A KR20220031162A KR20230134182A KR 20230134182 A KR20230134182 A KR 20230134182A KR 1020220031162 A KR1020220031162 A KR 1020220031162A KR 20220031162 A KR20220031162 A KR 20220031162A KR 20230134182 A KR20230134182 A KR 2023013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andle
operating
polyp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애
Original Assignee
유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애 filed Critical 유정애
Priority to KR102022003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182A/ko
Publication of KR2023013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87Bag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는, 후단에 손으로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연결되는 체내진입튜브;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1 작동튜브 및 상기 제1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용종제거를 수행하는 올가미를 구비하는 용종제거수단;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2 작동튜브 및 상기 제2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제거된 용종을 회수하는 회수망을 구비하는 용종회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A CATHERTER FOR ENDOSCOPIC TREATMENT}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장기의 내벽면 상의 용종을 절제하고 절제된 용종을 회수할 수 있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내시경은 장기나 체강 등에 삽입되어 내부 장기와 체강 등의 모양이나 상태를 관찰하는 의료기기로서, 현재까지 의학의 발전에 공헌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체내의 장기나 체강 등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시술기구를 내시경과 함께 인체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내시경으로 환부를 관찰하면서 용종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내시경을 통해 절제 기구인 스네어(Snare)를 삽입하여 용종에 근접시 킨 후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종을 절제한다. 그런 다음 내시경으로부터 스네어를 분리하고 내시경을 통해 포셉(Forcep)을 삽입하여 절제된 용종을 체내로부터 꺼내어 수거하는 시술방식이 행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스네어로 용종을 절제한 후, 스네어를 내시경으로부터 분리하고 내시경을 통해 회수망을 인체의 내부로 다시 삽입하여 절제된 용종을 수거하였기 때문에 용종의 절제와 수거를 위한 기구의 교체로 인하여 시술 시간 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술의 편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7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종절단 후 용종회수가 용이한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는, 후단에 손으로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연결되는 체내진입튜브;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1 작동튜브 및 상기 제1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용종제거를 수행하는 올가미를 구비하는 용종제거수단;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2 작동튜브 및 상기 제2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제거된 용종을 회수하는 회수망을 구비하는 용종회수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연결용 가이드홀이 제1 길이만큼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연결용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의해 가이드되는 연결용 가이드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의 후방 구동에 의해, 상기 올가미 및 상기 회수망이 시간차를 두고 회수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올가미 및 상기 회수망이 상기 체내진입튜브의 전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가 상기 제1 길이만큼 제1 방향으로 구동 시, 상기 올가미가 상기 내측튜브 내로 인입되고, 상기 올가미가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가 제1 방향으로 구동 시, 상기 회수망, 상기 제2 작동튜브 및 상기 제2 손잡이도 제1 방향으로 함께 구동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내진입튜브는, 외측튜브 및 상기 외측튜브 내에 배치된 내측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작동튜브는 상기 내측튜브 내에 위치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튜브는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작동튜브가 관통되는 제1 및 제2 관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로는 서로 접하는 경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눈사람 형상으로 구비된다.
용종이 완전히 절단된 후에야 용종의 회수가 가능한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손잡이만으로 올가미와 회수망를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시술자의 용종제거 및 회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튜브 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관로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므로, 체내진입튜브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수망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내진입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측튜브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카테터의 용종제거수단 및 용종회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테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10)는, 몸체부(110), 체내진입튜브(120), 용종제거수단(130), 용종회수수단(14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후단에 구비되는 지지부(111), 전단에 구비되는 체내진입튜브(120)를 고정하는 진입튜브고정부(112), 몸체부(11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체내진입튜브(120)의 내측튜브(122)를 회전구동시키는 내측튜브구동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내측튜브구동부(113)는 진입튜브고정부(112)의 후단에 구비된다.
몸체부(110)는 카테터(10)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며,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10)는 용종 제거시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몸체부(110)의 후단에는 고리형태의 지지부(111)가 구비됨으로써, 시술자에 의한 제1 손잡이(131) 및 제2 손잡이(141)의 구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제1 손잡이(13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손잡이(14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13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결부(135)와, 제2 손잡이(141)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부(145)가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체내진입튜브(120)는 몸체부(110)의 전단에 진입튜브고정부(112) 및 내측튜브구동부(113)에 의해 연결고정된다.
체내진입튜브(120)는 굴곡이 용이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내진입튜브(120)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내진입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측튜브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내진입튜브(120)는 외측튜브(121) 및 외측튜브(121) 내에 배치된 내측튜브(122)를 포함한다. 이때 내측튜브(122)는 외측튜브(121)로부터 전방으로 일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측튜브(122)는 내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작동튜브(132, 142)가 전/후진 가능하게 관통가능한 제1 및 제2 관로(123, 124)를 포함한다.
특히, 제1 및 제2 관로(123, 124)는 서로 접하는 경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눈사람 형상의 통합관로(1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튜브의 내측단면 뿐만 아니라 외형단면도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입튜브고정부(112)가 외측튜브(121)를 고정한다.
그리고 몸체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튜브구동부(113)가 내측튜브(122)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내측튜브구동부(113)를 회전시키는 경우, 내측튜브(122)도 내측튜브구동부(113)와 함께 회전한다.
한편 종래와 같이 내측튜브(112)의 외형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튜브구동부(113)의 회전구동 시, 내측튜브(112)가 내측튜브구동부(113)와 슬립현상이 발생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 내측튜브(122)가 외측단면이 눈사람 형태로 구비되므로, 내측튜브(112)와 내측튜브구동부(113)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내측튜브구동부(113)의 회전구동시 내측튜브(112)와의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신속하고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관로(123, 124)는 서로 접하는 경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눈사람 형상의 통합관로(125)를 형성하는 경우, 제1 및 제2 관로(123, 124) 사이 경계부분이 없어지므로, 제1 및 제2 관로(123, 12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보다 내측튜브(122)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체내진입튜브(120)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카테터(10)는 더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수망(143) 회수 시, 회수망(143)이 제2 관로(124)뿐만 아니라 제1 관로(123)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회수망(143)의 회수가 더욱 용이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내측튜브(122)에 제1 및 제2 관로(123, 124)가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카테터의 용종제거수단 및 용종회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용종제거수단(130)은 용종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종제거수단(130)은 제1 손잡이(131), 제1 작동튜브(132), 올가미(133), 제1 연결부(135)를 포함한다.
제1 작동튜브(132)는 내측튜브(122)를 관통하며, 제1 작동튜브(132)의 후단은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한 제1 손잡이(131) 또는 제1 연결부(135)와 연결되고, 제1 작동튜브(132)의 전단에는 용종제거를 수행하는 올가미(133)가 연결된다.
제1 작동튜브(132)는 후단에 연결된 제1 손잡이(131)의 구동에 의해 체내진입튜브(120)의 내측튜브(122) 내에서 전/후진한다. 이에 따라 제1 작동튜브(132)의 전단에 연결된 올가미(133)를 체내진입튜브(120)의 전단으로 돌출시켜 용종에 위치시킨 후, 체내진입튜브(120) 내로 인입하면서 용종을 절단한다.
제1 연결부(135)는 용종회수수단(140)의 제2 연결부(145)와 결합된다. 상세한 내용은 제2 연결부(145)를 설명할 때 후술하기로 한다.
용종회수수단(140)은 올가미(133)에 의해 절단된 용종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종회수수단(140)은 제2 손잡이(141), 제2 작동튜브(142), 회수망(143), 제2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제2 작동튜브(142)는 내측튜브(122)를 관통하며, 제2 작동튜브(142)의 후단은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한 제2 손잡이(141) 또는 제2 연결부(145)와 연결되고, 제2 작동튜브(142)의 전단에는 용종회수를 수행하는 회수망(143)과 연결된다.
제2 작동튜브(142)는 후단에 연결된 제2 손잡이(141)의 구동에 의해 체내진입튜브(120)의 내측튜브(122) 내에서 전/후진하며, 제2 작동튜브(142)는 제1 손잡이(131)의 구동에 의해 체내진입튜브(120)의 내측튜브(122) 내에서 일정거리를 전/후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작동튜브(142)의 전단에 연결된 회수망(143)을 체내진입튜브(120)의 전단으로 돌출시킨 후 또는 체내진입튜브(120)의 전단 내로 인입하면서 절단된 용종을 회수할 수 있다.
용종회수수단(140)의 제2 연결부(145)는 용종제거수단(130)의 제1 연결부(135)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손잡이(141)에는 제2 연결부(145)가 연장형성되고, 제2 연결부(145)에는 일정길이의 연결용 가이드홀(147)이 구비된다.
제1 손잡이(131)에는 제1 연결부(135)가 연장형성되고, 제1 연결부(135)에는 제2 연결부(145)의 연결용 가이드홀(147)에 삽입체결되는 연결용 가이드돌출부(137)가 구비된다. 가이드돌출부(137)가 연결용 가이드홀(147)에 삽입되며, 가이드돌출부(137)는 가이드홀(147)의 길이만큼 가이드홀(147)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제1 연결부(135)는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제2 연결부(145)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45)의 연결용 가이드홀(147)에 제1 연결부(135)의 가이드돌출부(137)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가이드돌출부(137)는 연결용 가이드홀(147)에 삽입되어 연결용 가이드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때 제2 연결부(145)의 연결용 가이드홀(147)의 길이에 따라 제1 연결부(135)의 가이드돌출부(147)의 독립적인 구동거리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45)의 연결용 가이드홀(147)의 길이가 제1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연결부(135)의 가이드돌출부(137)는 제1 길이만큼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며, 제1 길이이상으로 이동 시 제2 연결부(145)도 제1 연결부(135)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연결부(135) 및 제2 연결부(145)의 구조에 의해, 도 5a와 같이 제1 손잡이(131)와 제2 손잡이(141)가 전방으로 끝까지 구동된 후, 도 5b와 같이 제1 손잡이(131)가 제1 길이만큼 후방으로 구동되는 때까지 제2 손잡이(141) 및 제2 손잡이(141)에 연결된 제2 작동튜브(142)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제1 손잡이(131)가 제1 길이 이상으로 후방으로 구동되기 시작하면, 제2 손잡이(141) 및 제2 손잡이(141)에 연결된 제2 작동튜브(142)도 제1 손잡이(131)의 구동에 의해 함께 이동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손잡이(131) 만으로 올가미(133) 뿐만 아니라 회수망(143)까지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용종이 완전히 절단된 후에야 용종의 회수가 가능하므로, 용종의 절단작업이 끝난 시점에 회수망이 움직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가미(133)와 회수망(143)은 일정거리, 다시말해 시간차를 두고 체내진입튜브(120) 내로 회수된다.
이때 연결용 가이드홀(137)의 제1 길이는, 올가미(133)의 체내진입튜브(120) 내에 삽입이 완료되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테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체내진입튜브(120)를 용종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손잡이(131) 및 제2 손잡이(141)를 제2 방향인 전방으로 끝까지 구동하여 올가미(133)와 회수망(143)을 체내진입튜브(120)의 전단으로 돌출시켜 올가미(133) 및 회수망(143)이 펼쳐지도록 한다.
올가미(133) 및 회수망(143)이 체내진입튜브(120)의 전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올가미(133) 및 회수망(143)을 용종에 배치시킨 후, 도 6의 (b)와 같이 제1 손잡이가 제1 길이만큼 제1 방향인 후방으로 구동 시, 올가미(133)가 내측튜브 내로 인입되면서 용종이 절제 또는 절단된다. 이때 회수망(143) 및 제2 작동튜브(142), 제2 손잡이(141)는 이동되지 않는다.
올가미(133)가 체내진입튜브(120)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이후 제1 손잡이(131)가 제1 방향인 후방으로 구동 시, 회수망(143), 제2 작동튜브(142) 및 제2 손잡이(141)도 제1 방향인 후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회수망(143)이 체내진입튜브(120)로 인입되면서 절단된 용종이 회수된다.
이후 시술자에 의해 도6의 (c)와 같이 제2 손잡이(141)도 후방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손잡이의 제1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가, 제2 손잡이의 제2 연결부에 형성된 제1 길이의 연결용 가이드홀에 체결됨에 따라, 제1 손잡이를 제1 길이 이상으로 구동할 때, 제2 손잡이도 자동으로 구동됨으로써 시술자가 용종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튜브 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관로의 일부가 서로 연결형성함으로써, 체내진입튜브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수망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110: 몸체부
111: 지지부 112: 진입튜브고정부
120: 체내진입튜브 121: 외측튜브
122: 내측튜브 123: 제1 관로
124: 제2 관로 125: 통합관로
130: 용종제거수단 131: 제1 손잡이
132: 제1 작동튜브 133: 올가미
135: 제1 연결부 140: 용종회수수단
141: 제2 손잡이 142: 제2 작동튜브
143: 회수망 145: 제2 연결부

Claims (6)

  1. 후단에 손으로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연결되는 체내진입튜브;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1 작동튜브 및 상기 제1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용종제거를 수행하는 올가미를 구비하는 용종제거수단;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에서 전/후진되는 제2 작동튜브 및 상기 제2 작동튜브의 전단에 구비되어 제거된 용종을 회수하는 회수망을 구비하는 용종회수수단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제1 길이의 연결용 가이드홀이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연결용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용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되는 연결용 가이드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의 후방 구동에 의해, 상기 올가미 및 상기 회수망이 시간차를 두고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올가미 및 상기 회수망이 상기 체내진입튜브의 전단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가 상기 제1 길이만큼 제1 방향으로 구동 시, 상기 올가미가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로 인입되고,
    상기 올가미가 상기 체내진입튜브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가 제1 방향으로 구동 시, 상기 회수망, 상기 제2 작동튜브 및 상기 제2 손잡이도 제1 방향으로 함께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진입튜브는,
    외측튜브 및
    상기 외측튜브 내에 배치된 내측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작동튜브는 상기 내측튜브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튜브는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작동튜브가 관통되는 제1 및 제2 관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로는 서로 접하는 경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눈사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KR1020220031162A 2022-03-14 2022-03-14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KR20230134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62A KR20230134182A (ko) 2022-03-14 2022-03-14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62A KR20230134182A (ko) 2022-03-14 2022-03-14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182A true KR20230134182A (ko) 2023-09-21

Family

ID=8818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162A KR20230134182A (ko) 2022-03-14 2022-03-14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1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44A (ko) 2014-05-28 2015-12-08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용종 제거용 내시경 시술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44A (ko) 2014-05-28 2015-12-08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용종 제거용 내시경 시술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1615B2 (ja) 内視鏡
US4386602A (en) Intracranial surgical operative apparatus
JP4157183B2 (ja) 内視鏡用処置具
EP2816963B1 (en) Expandable endoscopic hoods
US9095328B2 (en) Endoscopes having multiple lumens for tissue acquisition and removal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393033B2 (en) Tissue and stone remov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5498056B2 (ja) 医療機器導入装置
JP6173652B2 (ja) 組織回収具及び組織回収システム
JP2007313314A (ja) 内視鏡的粘膜切除術用の管腔スタビライザ
JP5937283B1 (ja) 組織把持器具
JP6928080B2 (ja) 医療システム
KR20200088086A (ko) 용종 제거와 회수가 가능한 내시경 시술기구
JP2011067532A (ja) 内視鏡用補助具及び内視鏡
KR20120042136A (ko) 용종절제시술용 더블 스네어 장치
KR20230134182A (ko) 내시경 시술용 카테터
US201703480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tissue from body cavities
JP2002011014A (ja) 切除片回収具及び切除片回収方法
JP4827879B2 (ja) 内視鏡
JP2004135945A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2217577B1 (ko) 다기능화 연결구 및 다기능화 연결구가 구비된 내시경용 시술기구
GB2570328A (en) Surgical devices
US20220354515A1 (en) Endoscopic side snare tools and methods for use
RU2559139C2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уретерогидронефроз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350472B2 (ja) 大腸全層切除の処置用挿入補助具とその医療器具システム
JP2017205162A (ja) 組織回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