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433A -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433A
KR20230133433A KR1020220030415A KR20220030415A KR20230133433A KR 20230133433 A KR20230133433 A KR 20230133433A KR 1020220030415 A KR1020220030415 A KR 1020220030415A KR 20220030415 A KR20220030415 A KR 20220030415A KR 20230133433 A KR20230133433 A KR 2023013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melting sheet
coating layer
preser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to KR102022003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433A/ko
Publication of KR2023013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점착가능하고, 수분으로 인해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빠르게 녹아 피부 상에 미용 성분을 전달 가능한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MELT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점착가능하고, 수분으로 인해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빠르게 녹아 피부 상에 미용 성분을 전달 가능한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훼손이나 노화 현상을 방지하고 개선하는 여러 화장품 들이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피부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형태로 피부 상에 미용 성분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미용팩 등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미용팩은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피부 상에 미용 성분을 전달하는데, 대표적으로 겔 형태로 피부에 도포 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들 제품의 경우, 피부에 도포 후 손을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일정 시간 후 피부 상에서 건조되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제거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미용팩으로 과량의 액상 미용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 시트 등을 피부에 부착하는 방식도 있다. 하지만 이들 제품의 경우, 과량의 액상 미용 성분으로 인해 부직포 시트를 펴는 과정이 불편하고, 그 과정에서 상기 부직포 시트가 찢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사용을 다한 제품은 피부에서 분리하여 폐기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제품들은 피부에 부착한 이후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관리가 비교적 쉽고 별도로 부직포 시트를 폐기하지 않아도 되는 녹는 형태의 미용팩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녹는 형태의 미용팩은 완전 건조된 시트를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별도의 앰플 용액을 피부에 미리 도포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건조된 시트는 앰플 용액에 닿은 순간부터 피부에 접착되어 녹기 때문에 잘못된 위치에 시트가 부착될 경우 상기 시트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고, 앰플 용액이 시트를 녹임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분적으로 달라붙어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녹는 미용팩은 필름 골격을 형성하는 필름 형성제로 다량의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피부상에 잔여물을 많이 남기는 원인이 되었다. 때문에 종래의 녹는 미용팩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 세안을 필요로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693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용액이나 수분없이 피부 상에 부착이 용이한 멜팅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미용 성분을 피부에 전달하기 전 여러 번 위치를 정정하는 것이 가능한 멜팅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에서 완전히 녹은 후,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멜팅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이 각각 이형지 필름 및 기재에 의해 지지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점증제로 구성된 혼합 조성물; 및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점착성 보존제; 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는 망사부재, 부직포, 직물, 편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망사 부재는 체눈의 크기가 0.5 ㎜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망사 부재는 원형, 타원형, 선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체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성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풀루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성제에 포함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의 중량비는 1:2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구아검, 잔탄검, 펙틴, 우무,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전분, 카보머, 소듐알지네이트, 폴리바이닐파이롤리돈,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스, 곤약, 아라비아검, 가티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야,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펙틴, 소듐알지네이트 및 구아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4 중량% 내지 8 중량%, 펙틴 20 중량% 내지 30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25 중량% 내지 40 중량% 및 구아검 25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 2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점증제 55 중량% 내지 7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용 성분은 가수분해 콜라겐, 아데노신, 알부민, 알란토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아르기닌, 나이아신아마이드, 솔비톨,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에틸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소듐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캠아줄렌, 구아이아줄렌, 아하,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꽈리열매추출물, 녹차추출물, 당귀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로즈힙꽃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솔잎추출물, 쑥추출물, 애플추출물, 아사이베리추출물, 에델바이스추출물, 옥용산추출물, 우엉추출물, 유자캘러스추출물, 천궁추출물, 측백나무잎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캐비어추출물, 토마토추출물, 파프리카추출물, 해조추출물, 현미추출물,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부활초캘러스배양추출물, 석류추출물, 꿀 추출물, 진주추출물, 쌀겨추출물, 레몬추출물, 키토산, 버섯키토산, 베타글루칸, 레티놀, 아데노신, 알로에베라, 알부틴, 베타인, 코엔자임Q10,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부제는 1,3-부틸렌 글라이콜, 카프릴릴 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포믹애씨드, 피록톤올아민, 프로피오닉애씨드,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클로페네신,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2-브로모-2-나이트로프로판-1,3-다이올, 소르빅애씨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미용 성분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방부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필름 형성제 5 중량% 내지 8 중량% 및 점증제 10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점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 ㎛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수분 함유량이 20 % 내지 4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형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과 점착성 보존제를 용매와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혼합 조성물 10 중량% 내지 13 중량%, 및 용매 87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코팅층의 수분 함유량이 20 % 내지 40 % 이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별도의 용액이나 수분없이 피부 상에 부착이 용이하여, 여러 번 피부에서 붙였다 떼어내도 점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사용 후에 피부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아 별도의 세안을 하지 않아도 되며, 효과적으로 미용 성분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멜팅 시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험예1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4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세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며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점착이 가능하며 수분을 통해 녹는 멜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멜팅 시트 및 멜팅 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한다.
멜팅 시트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양면이 각각 이형지 필름 및 기재에 의해 지지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지 필름은 상기 코팅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코팅층이 잘 떼어질 수 있도록 표면에 이형제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형지 필름 소재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지 필름의 두께는 50 ㎛ 내지 1000 ㎛ 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 코팅층 표면에 제공되어 상기 코팅층의 골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코팅층이 상기 이형지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코팅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는 망사부재, 부직포, 직물, 편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망사 부재이다.
상기 망사 부재는 미용팩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소재도 사용가능하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나일론 등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망사 부재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체눈을 포함하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선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은 개구된 공간으로 코팅층이 분자간 인력에 의해 상기 체눈에 채워져 위치한다. 다만, 상기 체눈이 일정 크기를 초과할 경우, 상기 코팅층의 분자간 인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코팅층이 상기 망사 부재 상에서 필름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는 바람직하게 0.5 ㎜ 내지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0.85 ㎜ 내지 1.35 ㎜ 이다. 이때,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가 0.5 ㎜ 미만이면 상기 망사 부재가 코팅층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망사 부재가 뻣뻣해져 피부의 굴곡에 맞춰 코팅층을 피부 상에 부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가 2.0 ㎜를 초과하면, 상기 코팅층이 망사 부재 상에서 제대로 형태를 갖출 수 없게 된다.
상기 망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0.20 ㎜ 내지 0.50 ㎜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망사 부재의 두께는 0.21 ㎜ 내지 0.29 ㎜ 이다. 이때, 상기 망사 부재의 두께가 0.21 ㎜ 미만이면, 멜팅 시트를 피부에 부착시킨 후, 상기 망사 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망사 부재의 두께가 0.29 ㎜ 초과하면, 상기 망사 부재가 과량의 코팅 조성물을 보유함으로써 코팅층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 질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이 길어져 생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수용성을 갖는 성분들로 구성되며, 수분이 닿으면 녹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코팅층은 바람직하게 필름 형상을 유지하면서 점착성을 유지하도록하는 혼합 조성물과 상기 혼합 조성물이 상온에서 점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성 보존제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필름 형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정제수 또는 오일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용액 도움없이 피부에 점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멜팅 시트 자체의 점착성을 통해 피부에 부착되는 것이 일차적인 특징이다. 상기의 점착성은 혼합 조성물에 포함된 필름 형성제 및 점증제의 비율 및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 2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점증제 55 중량% 내지 75 중량% 포함한다.
상기 필름 형성제는 미용성 코팅층을 필름형상으로 형성시키고, 내부에 미용 성분을 담지하는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름 형성제에 포함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의 중량비는 1:2 내지 2: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는 코팅 조성물을 이형지 필름 상에 온전히 도포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필름형상의 미용성 코팅층이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미용성 코팅층이 점착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고분자 물질이다. 더불어 상기 점증제는 피부에 보습감을 부여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점증제는 바람직하게 잔탄검, 펙틴, 구아검, 우무,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전분, 카보머, 소듐알지네이트, 폴리바이닐파이롤리돈,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스, 곤약, 아라비아검, 가티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야,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펙틴, 소듐알지네이트 및 구아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4 중량% 내지 8 중량%, 펙틴 20 중량% 내지 30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25 중량% 내지 40 중량% 및 구아검 25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나, 건조한 환경 또는 고온의 환경에 오래 노출될수록 그 점착성을 잃을 위험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코팅층은 상기 혼합 조성물 외에 혼합 조성물의 점착성을 보존하기 위한 점착성 보존제를 필수로 더 포함한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바람직하게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글리세린은 코팅층을 구성하는 혼합 조성물의 점착성을 유지 및 보존하는 역할로 사용되며, 부가적으로 피부의 수분 손실을 억제하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성 보존제의 유무 또는 함량에 따라 멜팅 시트의 점착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점착성 보존제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멜팅 시트의 표면이 굳어져서 점착성이 약해질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점착성 보존제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멜팅 시트의 점착성이 필요 이상으로 강해지고, 그로 인해 끈적거림 및 잔여물 발생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피부에 미용 효과를 주는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용 성분 및 방부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용 성분은 피부 미용에 효과를 갖는 성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가수분해 콜라겐, 아데노신, 알부민, 알란토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아르기닌, 나이아신아마이드, 솔비톨,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에틸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소듐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캠아줄렌, 구아이아줄렌, 아하,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꽈리열매추출물, 녹차추출물, 당귀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로즈힙꽃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솔잎추출물, 쑥추출물, 애플추출물, 아사이베리추출물, 에델바이스추출물, 옥용산추출물, 우엉추출물, 유자캘러스추출물, 천궁추출물, 측백나무잎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캐비어추출물, 토마토추출물, 파프리카추출물, 해조추출물, 현미추출물,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부활초캘러스배양추출물, 석류추출물, 꿀 추출물, 진주추출물, 쌀겨추출물, 레몬추출물, 키토산, 버섯키토산, 베타글루칸, 레티놀, 아데노신, 알로에베라, 알부틴, 베타인, 코엔자임Q10,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방부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부패균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살균하는 작용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바람직하게 1,3-부틸렌 글라이콜, 카프릴릴 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포믹애씨드, 피록톤올아민, 프로피오닉애씨드,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클로페네신,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2-브로모-2-나이트로프로판-1,3-다이올, 소르빅애씨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방부제는 1,3-부틸렌 글라이콜, 카프릴릴 글라이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미용 성분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방부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필름 형성제 5 중량% 내지 8 중량% 및 점증제 10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한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15 중량부 내지 195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점착성 보존제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멜팅 시트의 표면이 굳어져서 점착성이 약해질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점착성 보존제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멜팅 시트의 점성이 약해지고 멜팅 시트가 피부에 부착되고 수분에 의해 녹은 상태에서 잔여물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 ㎛ 이다. 이때,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10 ㎛ 미만이면, 코팅층이 골격을 제대로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찢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코팅층의 두께가 50 ㎛ 초과하면, 피부 상에서 녹은 후에 잔여물이 다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분 함유량이 많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수분 함유량이 20 % 내지 40% 이다.
멜팅 시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멜팅 시트 제조방법은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코팅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단, 멜팅 시트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코팅 조성물 제조 단계
혼합 조성물과 점착성 보존제를 용매와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필름 형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 2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점증제 55 중량% 내지 75 중량% 포함한다.
상기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필름 형성제에 포함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의 중량비는 1:2 내지 2: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는 바람직하게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펙틴, 소듐알지네이트 및 구아검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4 중량% 내지 8 중량%, 펙틴 20 중량% 내지 30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25 중량% 내지 40 중량% 및 구아검 25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한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바람직하게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피부 미용 효과를 올리기 위해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조된 멜팅 시트에 방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미용 성분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방부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필름 형성제 5 중량% 내지 8 중량% 및 점증제 10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15 중량부 내지 195 중량부가 코팅층에 포함된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혼합 조성물 10 중량% 내지 13 중량% 및 용매 87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단계
코팅 조성물을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형지 필름 상에는 망사 부재가 더 제공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망사 부재가 상기 이형지 필름 상에 부착된 이후에 코팅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고, 또는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 상에 망사 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망사 부재는 상기 이형지 필름과 도포된 코팅 조성물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는 바람직하게 0.5 ㎜ 내지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0.85 ㎜ 내지 1.35 ㎜ 이다. 이때,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가 0.5 ㎜ 미만이면 상기 망사 부재가 코팅층 상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망사 부재가 뻣뻣해져 피부의 굴곡에 맞춰 코팅층을 피부 상에 부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사 부재의 체눈 크기가 2.0 ㎜를 초과하면, 상기 코팅층이 망사 부재 상에서 제대로 형태를 갖출 수 없게 된다.
건조 단계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하는 온도 및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수분 함량이 20 % 내지 40 % 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분 함량이 20 % 미만이면 코팅층의 표면이 굳어져서 멜팅 시트의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수분 함량이 40 % 초과하면, 코팅층의 골격이 약해져서 멜팅 시트를 보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별도의 용액 도움없이 피부에 점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이형지 필름을 제거한 후, 망사 부재와 함께 모형의 표면에 점착시킨 멜팅 시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곡선형의 모형 표면에도 멜팅 시트가 온전히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멜팅 시트는 도 1(a)와 같이 목적하는 구역에 부착시킨 후, 표면에 물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멜팅 시트를 녹이고 동시에 망사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물에 의해 녹은 멜팅 시트가 피부에 점착된 상태에서 망사 부재만 별도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PET 이형지 필름 상에 체눈 직경 크기가 약 1.35 ㎜ 인 나일론 망사 부재를 고정한다. 이후, 가수분해 콜라겐,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구아이아줄렌 각각을 동일 함량으로 포함하는 미용 성분(61.5 중량%), 1,3-부틸렌 글라이콜 및 카프릴릴 글라이콜을 동일 함량으로 포함하는 방부제(18.8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을 동일 함량으로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6.8 중량%), 및 잔탄검 5.9 중량%, 펙틴 26.5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33.8 중량% 및 구아검 33.8 중량% 를 포함하는 점증제(12.9 중량%)로 구성된 혼합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19 중량부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글리세린을 혼합 조성물과 함께 정제수에 투입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망사 부재가 고정된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여 두께 약 50 ㎛의 코팅층을 갖는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된 코팅층의 수분 함량은 약 30%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실시예2
PET 이형지 필름 상에 체눈 직경 크기가 약 1.35 ㎜ 인 나일론 망사 부재를 고정한다. 이후,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을 동일 함량으로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50 중량%) 및 잔탄검 5.9 중량%, 펙틴 26.5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33.8 중량% 및 구아검 33.8 중량% 를 포함하는 점증제(50 중량%)로 구성된 혼합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19 중량부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글리세린을 혼합 조성물과 함께 정제수에 투입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망사 부재가 고정된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여 두께 약 50 ㎛의 코팅층을 갖는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된 코팅층의 수분 함량은 약 30 %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실시예3 내지 실시예4, 비교예1 내지 비교예 3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으로 멜팅 시트를 제조하되, 글리세린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여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글리세린 90 중량부 190 중량부 - 70 중량부 220 중량부
비교예4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체눈 직경 크기가 약 2.96 ㎜를 갖는 망사 부재를 이용하여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5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수분 함량이 약 50% 가 되도록 건조하여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6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수분 함량이 약 10% 가 되도록 건조하여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7 내지 비교예10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혼합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하여 멜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미용 성분 64.3 wt% 58.3 wt% 64.9 wt% 58.4 wt%
방부재 18.8 wt% 18.8 wt% 18.8 wt% 18.8 wt%
필름 형성제 4 wt% 10 wt% 6.8 wt% 6.8 wt%
점증제 12.9 wt% 12.9 wt% 9.5 wt% 16 wt%
실험예1(외관 상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멜팅 시트의 외관 상태를 관찰한 후,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도 2(a))
실시예2
(=도 2(b))
실시예3
(=도 2(c))
실시예4
(=도 2(d))
비교예1
(=도 2(e))
비교예2
(=도 2(f))
비교예3
(=도 2(g))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양호
비교예4(=도 2(h)) 비교예5
(=도 2(i))
비교예6
(=도 2(j))
비교예7
(=도 2(k))
비교예8
(=도 2(l))
비교예9
(=도 2(m))
비교예10
(=도 2(n))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양호 양호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멜팅 시트는 이형지 필름 상에 온전히 부착되어 있으며, 외관상 이상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해, 도 2(e) 내지 도 2(n)을 참고하면, 비교예1,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및 비교예7의 멜팅 시트는 외관 상태가 본 발명의 특징에 부합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도 2(e)), 비교예2(도 2(f)), 비교예4(도 2(h)), 비교예5(도 2(i)), 비교예6(도 2(j)), 비교예7(도 2(k)) 및 비교예8(도 2(l))의 경우, 망사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코팅층이 이형지에 제대로 붙어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6, 비교예7 및 비교예8은 별도의 앰플 용액 또는 미스트 등을 피부에 미리 도포해야만 피부에 부착이 가능하엿다.
또한 비교예4의 경우, 망사 부재 사이 공간에 코팅층이 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비교예4 및 비교예5는 코팅층이 온전히 망사 부재에 부착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부착 테스트)
상기 제조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6 및 비교예9의 멜팅 시트를 1 Х 1 ㎠ 의 크기로 자르고 이형지 필름을 떼어낸 후 망사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멜팅 시트를 피부의 특정 부위에 1초간 붙였다 떼에내고, 더 이상 피부에 점착되지 않을 때까지(또는 코팅층이 찢어질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 수행한 후, 그 횟수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6 비교예9
208회 326회 261회 292회 0회 12회 0회 4회
실험예3(가용성 테스트)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비교예3, 비교예8 및 비교예10의 멜팅 시트를 2 Х 2 ㎠의 크기로 자르고 이형지 필름에서 떼어낸 후 망사 부재와 함께 무게를 재었다(=A 무게). 상기 이형지 필름에서 분리된 멜팅 시트를 피부의 특정 부위에 붙이고, 전체 면적이 적셔지도록 상온의 물을 가하였다. 이후, 망사 부재 상부를 눌러 약 10초 동안 5회 롤링하고, 상기 망사 부재를 떼어냈다. 상기 떼어낸 망사 부재에서 물을 완전 건조시킨 후, 다시 망사 부재의 무게(=B 무게)를 재었다.
상기 무게 차이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3 비교예8 비교예10
망사 부재
무게
0.013 mg
이전
무게
0.024 mg 0.025 mg 0.025 mg 0.022 mg 0.026 mg 0.020 mg 0.019 mg
이후무게 0.014 mg 0.015 mg 0.015 mg 0.014 mg 0.019 mg 0.017 mg 0.016 mg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 단시간 내에 물에 녹아 피부에 온전히 전달된 멜팅 시트의 비율이 약 83% 내지 91% 인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해, 비교예3, 비교예8 및 비교예10은 멜팅 시트의 절반 가까운 비율이 물에 제대로 녹지 않고 망사 부재에 걸쳐져서 피부에 전달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4(잔여물 테스트)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비교예3, 비교예8 및 비교예10의 멜팅 시트를 이형지 필름에서 떼어낸 후 피부의 특정 부위에 부착하고 동일량의 정제수를 뭍혀서 멜팅 시트를 녹였다. 망사 부재를 제거한 이후, 상기 멜팅 시트가 부착된 피부를 2회 문질러서 육안상으로 잔여물을 관찰한 후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 피부에 흡수된 후 끈적이지 않고 산뜻한 마무리감을 제공한데 반해, 비교예3은 피부와 겉도는 느낌을 주며 흡수 시 끈적임이 남았고, 비교예8은 피부에 흡수 시 많은 잔여물이 발생되며 흡수 후 굳은 잔여물로 인해 피부에 당김이 생겼고, 비교예10은 필름 형성능이 떨어져 망사로부터 박리가 잘 되지 않아 피부 전달이 쉽지 않으며 잔여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들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갖는 멜팅 시트로 적당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양면이 각각 이형지 필름 및 기재에 의해 지지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점증제로 구성된 혼합 조성물; 및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점착성 보존제; 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망사부재, 부직포, 직물, 편물 중 어느 하나인 멜팅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 부재는 체눈의 크기가 0.5 ㎜ 내지 2.0 ㎜ 인 멜팅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 부재는 원형, 타원형, 선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체눈을 포함하는 멜팅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풀루란을 포함하는 멜팅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에 포함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플루란의 중량비는 1:2 내지 2:1 인 멜팅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구아검, 잔탄검, 펙틴, 우무,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전분, 카보머, 소듐알지네이트, 폴리바이닐파이롤리돈,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스, 곤약, 아라비아검, 가티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야,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멜팅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펙틴, 소듐알지네이트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멜팅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4 중량% 내지 8 중량%, 펙틴 20 중량% 내지 30 중량%, 소듐알지네이트 25 중량% 내지 40 중량% 및 구아검 25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멜팅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 2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점증제 55 중량% 내지 75 중량% 포함하는 멜팅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용 성분은 가수분해 콜라겐, 아데노신, 알부민, 알란토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아르기닌, 나이아신아마이드, 솔비톨,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에틸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소듐구아이아줄렌설포네이트, 캠아줄렌, 구아이아줄렌, 아하,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꽈리열매추출물, 녹차추출물, 당귀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로즈힙꽃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솔잎추출물, 쑥추출물, 애플추출물, 아사이베리추출물, 에델바이스추출물, 옥용산추출물, 우엉추출물, 유자캘러스추출물, 천궁추출물, 측백나무잎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캐비어추출물, 토마토추출물, 파프리카추출물, 해조추출물, 현미추출물, 홍삼추출물, 황금추출물, 부활초캘러스배양추출물, 석류추출물, 꿀 추출물, 진주추출물, 쌀겨추출물, 레몬추출물, 키토산, 버섯키토산, 베타글루칸, 레티놀, 아데노신, 알로에베라, 알부틴, 베타인, 코엔자임Q10,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멜팅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부제는 1,3-부틸렌 글라이콜, 카프릴릴 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포믹애씨드, 피록톤올아민, 프로피오닉애씨드,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클로페네신,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2-브로모-2-나이트로프로판-1,3-다이올, 소르빅애씨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멜팅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미용 성분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방부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필름 형성제 5 중량% 내지 8 중량% 및 점증제 10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멜팅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점착 가능한 멜팅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 ㎛ 내지 50 ㎛ 인 멜팅 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수분 함유량이 20 %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 시트.
  17. 필름 형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과 점착성 보존제를 용매와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지 필름 상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보존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 시트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멜팅 시트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혼합 조성물 10 중량% 내지 13 중량%, 및
    용매 87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멜팅 시트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코팅층의 수분 함유량이 20 % 내지 40 % 이 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인 멜팅 시트 제조방법.
KR1020220030415A 2022-03-11 2022-03-11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30133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15A KR20230133433A (ko) 2022-03-11 2022-03-11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15A KR20230133433A (ko) 2022-03-11 2022-03-11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433A true KR20230133433A (ko) 2023-09-19

Family

ID=881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415A KR20230133433A (ko) 2022-03-11 2022-03-11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4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37B1 (ko) 2005-06-01 2007-02-02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37B1 (ko) 2005-06-01 2007-02-02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263B2 (ja)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担持薄膜および薄膜化粧料
CN105232354A (zh) 生物透气美容用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19198A (ko) 피부에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층 국소-적용 물품
CN104800096A (zh) 一种应用于化妆品的高效保湿组合物
KR102643993B1 (ko) 부착력 및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화장품
KR20120119797A (ko)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EP2750669B1 (en) Cosmetic liquid extractor comprising nonionic polymers
WO2011072500A1 (zh) 一种手脚去死皮角质的有机酸组合物及含该组合物的膜片
KR20230133433A (ko) 멜팅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00002207A (ko) 시트형 화장용 팩
US5985299A (en) Pore cleaning product
CN112999105A (zh) 一种高保湿的精华水及其制备方法
KR102272285B1 (ko) 수용성 부직포를 기초로 한 피부 부착용 박막 패치
TWI802658B (zh) 優格狀化妝品組成物
DE69919112T2 (de) Lösung von einem Polyacryl- und/oder Polyvinyl-Polymer mit einem Füllstoff und einem keratolytischen Agentien dazu, und kosmetische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Pflegen
KR102038857B1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RU70792U1 (ru) Медицинский аппликатор
KR102572532B1 (ko)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CN111012706A (zh) 一种紧肤面膜粉
JP3922776B2 (ja)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KR102356103B1 (ko) 전사코팅용 조성물이 전사된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05972B1 (ko) 피부 각전 스웰링용 화장료 조성물
CN214343491U (zh) 一种具备复合层的芦荟康养面膜
CN211214488U (zh) 胶原蛋白敷料
JP2016155764A (ja) 化粧用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