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687A - 전동 릴 - Google Patents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687A
KR20230132687A KR1020220140581A KR20220140581A KR20230132687A KR 20230132687 A KR20230132687 A KR 20230132687A KR 1020220140581 A KR1020220140581 A KR 1020220140581A KR 20220140581 A KR20220140581 A KR 20220140581A KR 20230132687 A KR20230132687 A KR 2023013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surface
motor
inner peripheral
protrusion
electric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사토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13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과제]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모터 수용부를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전동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동 릴(1)은, 모터 수용부(30)와 덮개부(31)와 O링(32)을 구비한다. 모터 수용부(30)는, 개구부(36)와 제1 내주면(內周面)(37)과 제1 벽부(38)를 가진다. 개구부(36)에는, 모터(6)가 삽입된다. 제1 내주면(37)은, 개구부(36)의 내면(43)에 설치된다. 제1 벽부(38)는, 제1 내주면(37)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연장된다. 덮개부(31)는, 제2 보지부(45)와 제1 돌출부(46)와 제3 벽부(47)를 가진다. 제2 보지부(45)는, 모터(6)의 회전축(62)을 보지한다. 제1 돌출부(46)는, 제2 보지부(45)로부터 돌출한다. 제1 돌출부(46)는, 제1 내주면(37)에 계합(係合)한다. 제3 벽부(47)는, 제1 돌출부(46)에 있어서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O링(32)은, 제1 벽부(38) 및 제3 벽부(47)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Description

전동 릴{ELECTRICAL FISHING REEL}
본 발명은,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동 릴은,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가진다(도 4를 참조). 이 전동 릴에서는, 모터 수용부와 덮개부와 탄성 링을 가진다. 모터 수용부는, 모터가 삽입되는 개구부(開口部)를 가진다. 덮개부는, 모터의 회전축을 보지(保持)하고 개구부의 단부(端部)에 당접(當接)하는 보지부와, 개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돌출부의 외주면(外周面)에는, 환상(環狀) 오목부가 형성된다. 탄성 링은, 환상 오목부에 배치되고, 개구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접촉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836324호
종래의 전동 릴에서는, 덮개부는 금속제 부재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보지부 및 돌출부가 성형된 후에, 돌출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기계 가공 등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환상 오목부가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가 금속제 부재는 아니고 수지제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보지부 및 돌출부가 수지 성형된 후에, 돌출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기계 가공 등을 행하고 환상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환상 오목부를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 가공이 행하여질 때에는, 블레이드가 돌출부의 외주면에 접근하고, 블레이드가 돌출부의 외주면을 깎는다. 이 기계 가공을 행할 때에는, 블레이드가 덮개부의 테두리부에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부의 축 방향 길이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여기서, 모터가 모터 수용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출부는 모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모터 수용부의 축 방향 길이도 길어진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모터 수용부가 축 방향으로 대형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모터 수용부를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가진다. 전동 릴은, 모터 수용부와 덮개부와 탄성 링을 구비한다. 모터 수용부는, 개구부와 제1 내주면과 제1 벽부를 가진다. 개구부에는, 모터가 삽입된다. 제1 내주면은, 개구부의 내면에 설치된다. 제1 벽부는, 제1 내주면으로부터 모터의 회전축의 경(徑)방향으로 연장된다.
덮개부는, 보지부와 제1 돌출부와 제2 벽부를 가진다. 보지부는, 모터의 회전축을 보지한다. 제1 돌출부는, 보지부로부터 돌출한다. 제1 돌출부는, 제1 내주면에 계합(係合)한다. 제2 벽부는, 제1 돌출부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축의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링은,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본 전동 릴에서는, 탄성 링이 모터 수용부의 제1 벽부 및 덮개부의 제2 벽부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협지되기 때문에, 덮개부 및 모터 수용부의 사이를 통과하는 물을 탄성 링에 의하여 호적(好適)하게 지수(止水)할 수 있다.
또한, 본 전동 릴에서는, 탄성 링을 모터 수용부의 제1 벽부 및 덮개부의 제2 벽부에 의하여 협지하는 구성이, 실현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전동 릴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제1 돌출부의 외면(外面)에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기계 가공을 제1 돌출부에 대하여 행하는 일 없이, 제1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돌출부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본 전동 릴에서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모터 수용부를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모터 수용부가, 제1 벽부로부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주면을 가진다. 덮개부는, 제2 내주면에 계합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진다. 탄성 링은, 제1 내주면 및 제2 돌출부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 구성에서는, 탄성 링은 제1 내주면 및 제2 돌출부에 의하여 경방향으로 협지되기 때문에, 덮개부 및 모터 수용부의 사이를 통과하는 물을 탄성 링에 의하여 호적하게 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 및 제1 내주면과, 제2 돌출부 및 제2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이, 감합(嵌合)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덮개부를 모터 수용부에 대하여 호적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덮개부가, 개구부의 외주부에 당접하는 당접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여, 덮개부를 모터 수용부에 대하여 호적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보지부가,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모터 수용부의 외측에서, 회전축을 보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모터 수용부를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모터 수용부가 금속제의 통상(筒狀) 부재이다. 덮개부는, 수지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금속제에 비하여, 가일층의 경량화 및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릴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전동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전동 릴의 평면도.
도 2는 전동 릴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의하여 전동 릴을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모터, 모터 수용부, 및 덮개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모터, 모터 수용부, 및 덮개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릴(1)은, 릴 본체(2)와 핸들(3)과 스풀(4)(도 2를 참조)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릴(1)은, 스풀축(5)과 모터(6)와 회전 전달 기구(7)와 클러치 기구(8)를 더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축 방향은, 후술되는 스풀축(5)의 축심(X1)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경방향은, 스풀축(5)의 축심(X1)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둘레 방향은, 스풀축(5)의 축심(X1) 둘레의 둘레 방향(R1)을 의미한다. 제1 둘레 방향은, 스풀축(5)의 회전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축 방향은, 모터(6)의 회전축(62)의 축심(X2)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 경방향은, 회전축(62)의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둘레 방향은, 회전축(62)의 축심(X2) 둘레의 둘레 방향(R2)을 의미한다. 제2 둘레 방향은, 회전축(62)의 회전 방향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 연결부(23)를 가진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측판(21a)과 제1 커버(21b)를 가진다. 제1 커버(21b)는, 제1 측판(21a)에 장착된다. 제1 커버(21b)는, 제1 측판(21a)을 덮는다. 제1 측판(21a)과 제1 커버(21b)와의 사이에는, 기구 수용 공간(S)이 형성된다.
제2 릴 본체부(22)는, 제2 측판(22a)과 제2 커버(22b)와 제1 보지부(22c)를 가진다. 제2 측판(22a)은,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측판(21a)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측판(22a)은, 연결부(23)를 통하여, 제1 측판(21a)에 접속된다.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과 연결부(2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릴 본체(2)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제2 커버(22b)는, 제2 측판(22a)에 장착된다. 제2 커버(22b)는, 제2 측판(22a)을 덮는다. 제1 보지부(22c)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4) 및 제2 커버(2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지부(22c)는, 제2 측판(22a)에 장착된다. 제1 보지부(22c)는, 베어링(50a)을 통하여, 스풀축(5)을 지지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3)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된다. 예를 들어, 핸들(3)은,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다. 핸들(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은 회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은,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스풀(4)은,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측판(21a) 및 제2 측판(22a)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풀(4)은, 스풀축(5)에 취부된다. 스풀(4)은, 스풀축(5)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5)은, 축심(X1)을 가진다. 스풀축(5)은, 베어링(50a, 50b)을 통하여,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스풀축(5)의 일방의 단부는, 베어링(50b)를 통하여, 제1 커버(21b)에 지지된다. 스풀축(5)의 타방(他方)의 단부는, 베어링(50a)을 통하여, 제1 보지부(22c)에 지지된다. 스풀축(5)에는, 계합 핀(81)이 취부된다. 계합 핀(81)의 양 단부는, 스풀축(5)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6)는, 스풀(4)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모터(6)는, 스풀(4)의 전방(前方)에 배치된다. 모터(6)는, 모터 본체(61)와 회전축(62)을 가진다. 모터 본체(61)는,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모터 본체(61)는, 제1 측판(21a) 및 제2 측판(22a)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축(62)은, 축심(X2)을 가진다. 회전축(62)은, 제2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회전축(62)의 제1 단부(62a)는, 모터 본체(61)로부터 제1 커버(21b)를 향하여 돌출하고, 기구 수용 공간(S)에 배치된다. 회전축(62)의 제1 단부(62a)는, 회전 전달 기구(7)에 접속된다. 회전축(62)의 제2 단부(62b)는, 모터 본체(61)로부터 제2 커버(22b)를 향하여 돌출한다. 회전축(62)의 제2 단부(62b)는, 역전 방지부(51a)를 통하여, 후술하는 덮개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역전 방지부(51a)는, 회전축(6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7)는, 기구 수용 공간(S)에 수용된다. 회전 전달 기구(7)는, 핸들(3)의 회전 및 모터(6)의 회전을 스풀(4)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회전 전달 기구(7)는, 핸들(3)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기어(7a)를 가진다. 회전 전달 기구(7)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7b)와, 복수의 중간 기어(7c, 7d, 7e)와, 피니언 기어(7f)를 가진다.
구동 기어(7a)는, 중간 기어(7e)에 맞물린다. 구동 기어(7a)의 회전은, 중간 기어 7e, 유성 톱니바퀴 기구(7b), 중간 기어 7c, 및 중간 기어 7d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7f)에 전달된다. 유성 톱니바퀴 기구(7b)에는, 모터(6)의 회전축(62)이 접속된다. 모터(6)의 회전은, 유성 톱니바퀴 기구(7b)에 의하여 감속된다. 모터(6)의 회전은, 유성 톱니바퀴 기구(7b), 중간 기어 7c, 및 중간 기어 7d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7f)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7f)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4) 및 제1 커버(21b)의 사이에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7f)는, 베어링(50c)을 통하여, 제1 측판(21a)에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7f)의 내주부(內周部)에는, 스풀축(5)이 삽통(揷通)된다. 피니언 기어(7f)는, 스풀축(5)의 외주면 상을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니언 기어(7f)는, 계합 오목부(82)를 가진다. 계합 오목부(82)는, 피니언 기어(7f)에 있어서의 스풀(4) 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는, 계합 핀(81)과 계합 오목부(82)에 의하여 구성된다. 피니언 기어(7f)가, 스풀(4)로부터 멀어지는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계합 핀(81) 및 계합 오목부(82)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7f)는 스풀축(5)과 상대 회전하고, 핸들(3)의 회전 또는 모터(6)의 회전이 스풀(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가 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피니언 기어(7f)가, 스풀(4)에 가까워지는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계합 핀(81)과 계합 오목부(82)가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7f)는 스풀축(5)과 일체 회전하고, 핸들(3)의 회전 또는 모터(6)의 회전이 스풀(4)에 전달된다. 이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이다.
클러치 기구(8)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클러치 조작 부재(1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8)의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8)는, 스풀(4)의 축심(X1)을 중심으로 요동(搖動)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전동 릴(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30)와 덮개부(31)와 O링(32)(탄성 링의 일례)을 더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릴 본체(2)는, 모터 수용부(30)와 덮개부(31)와 O링(32)을 더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30)에는, 모터(6)가 수용된다. 모터 수용부(30)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모터 수용부(30)는 금속제의 통상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모터 수용부(30)는,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 부재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30)는,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의 사이에 있어서,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모터 수용부(30)는, 제1 측판(21a) 및 제2 측판(22a)에 장착된다. 모터 수용부(30)는, 제1 측판(21a)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30)는, 본체부(35)와 개구부(36)를 가진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30)는, 제1 내주면(37)과 제1 벽부(38)와 제2 내주면(39)과 제2 벽부(40)를 더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5)는,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5)의 내부에는, 모터 본체(61)가 수용된다. 본체부(35)의 저부(底部)(35a)에는, 구멍부(41)가 설치된다. 구멍부(41)에는, 모터(6)의 회전축(62)이 삽통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6)는, 본체부(35)의 개구 측의 단부를 형성한다. 모터(6)는, 개구부(36)로부터 본체부(35)의 내부에 삽입된다. 개구부(36)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36)는, 단면(端面)(42)을 가진다. 제1 내주면(37)은, 개구부(36)의 내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주면(37)은, 단면(42)으로부터 제2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벽부(38)는, 제1 내주면(37)으로부터 제2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벽부(38)는, 제1 내주면(37)으로부터 제2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벽부(38)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2 내주면(39)은, 개구부(36)의 내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2 내주면(39)은, 제1 벽부(38)로부터 제2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내주면(39)의 내경(內徑)은, 제1 내주면(37)의 내경보다 작다. 제2 벽부(40)는, 제2 내주면(39)으로부터 제2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2 벽부(40)는, 제2 내주면(39)으로부터 제2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벽부(40)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1 내주면(37) 및 제1 벽부(38)에 의하여, 환상의 단차부(段差部)가 형성된다. 제2 내주면(39) 및 제2 벽부(40)에 의하여, 환상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 내주면(37), 제1 벽부(38), 제2 내주면(39), 및 제2 벽부(40)에 의하여, 개구부(36)의 내면(43)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31)는, 모터 수용부(30)의 개구부(36)를 덮는다. 덮개부(31)는, 제2 릴 본체부(22)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덮개부(31)는 수지제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31)는, 제2 보지부(45)(보지부의 일례)와 제1 돌출부(46)와 제3 벽부(47)(제2 벽부의 일례)와 제2 돌출부(48)와 당접부(49)를 가진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지부(45)는, 모터(6)의 회전축(62)을 보지한다. 제2 보지부(45)는, 제2 측판(22a)에 장착된다. 제2 보지부(45)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모터 수용부(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보지부(45)는 오목부(45a)를 가진다. 오목부(45a)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모터 수용부(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오목부(45a)에는 역전 방지부(51a)가 배치된다. 모터(6)의 회전축(62)의 제2 단부(62b)는, 역전 방지부(51a)를 통하여, 제2 보지부(45)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된다.
제1 돌출부(46)는, 모터 수용부(30)의 개구부(36)에 계합한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6)는, 제2 보지부(45)로부터 돌출한다. 제1 돌출부(46)는, 제1 내주면(37)에 계합한다. 상세하게는, 제1 돌출부(46)는, 제2 보지부(45)로부터 제2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돌출부(46)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46)는, 제2 보지부(45)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46)의 외주면(46a)은, 제1 내주면(37)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돌출부(46)는, 제1 내주면(37)에 감합된다.
제3 벽부(47)는, 제1 돌출부(46)에 있어서 제2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3 벽부(47)는, 제1 돌출부(46)의 단면을 형성한다. 제3 벽부(47)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3 벽부(47)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38)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돌출부(48)는, 모터 수용부(30)의 개구부(36)에 계합한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48)는, 제1 돌출부(46)로부터 돌출한다. 제2 돌출부(48)는, 제2 내주면(39)에 계합한다. 상세하게는, 제2 돌출부(48)는, 제1 돌출부(46)로부터 제2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2 돌출부(48)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48)는, 제1 돌출부(46)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48)의 외주면(48a)은, 제2 내주면(39)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돌출부(48)는, 제2 내주면(39)에 감합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32)은,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38) 및 제3 벽부(47)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O링(32)은, 제1 벽부(38) 및 제3 벽부(47)에 의하여 협지된다. 또한, O링(32)은, 제2 경방향에 있어서, 제1 내주면(37) 및 제2 돌출부(48)의 외주면(48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O링(32)은, 제1 내주면(37) 및 제2 돌출부(48)의 외주면(48a)에 의하여 협지된다.
당접부(49)는, 개구부(36)의 외주부에 당접한다. 예를 들어, 당접부(49)는, 제2 보지부(45)로부터 제2 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당접부(49)는, 개구부(36)의 단면(42)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돌출부(48)의 선단(先端)(48b)은, 제2 벽부(4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동 릴(1)에서는, O링(32)이 모터 수용부(30)의 제1 벽부(38) 및 덮개부(31)의 제3 벽부(47)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협지되기 때문에, 덮개부(31) 및 모터 수용부(30)의 사이를 통과하는 물을, O링(32)에 의하여 호적하게 지수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릴(1)은, O링(32)을 모터 수용부(30)의 제1 벽부(38) 및 덮개부(31)의 제3 벽부(47)에 의하여 협지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돌출부(46)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전동 릴(1)에서는, 덮개부(31)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모터 수용부(30)를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돌출부(46)가 제1 내주면(37)에 감합되고, 제2 돌출부(48)가 제2 내주면(39)에 감합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제2 돌출부(48)가 제2 내주면(39)에 감합되지 않고, 제1 돌출부(46)만이 제1 내주면(37)에 감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돌출부(46)가 제1 내주면(37)에 감합되지 않고, 제2 돌출부(48)만이 제2 내주면(39)에 감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O링(32)이 축 방향 및 경방향으로 협지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O링(32)은, 축 방향 및 경방향 중 어느 일방에 협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O링(32)은, 제1 내주면(37) 및 제2 돌출부(48)의 외주면(48a)에 의하여 협지되는 일 없이, 제1 벽부(38) 및 제3 벽부(47)에 의하여 협지된다. O링(32)은, 제1 벽부(38) 및 제3 벽부(47)에 의하여 협지되는 일 없이, 제1 내주면(37) 및 제2 돌출부(48)의 외주면(48a)에 의하여 협지된다.
1: 전동 릴
6: 모터
30: 모터 수용부
31: 덮개부
32: O링
36: 개구부
37: 제1 내주면
38: 제1 벽부
43: 개구부의 내면
45: 제2 보지부
46: 제1 돌출부
47: 제3 벽부
62: 모터의 회전축

Claims (6)

  1.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가지는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삽입되는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개구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1 내주면(內周面)과, 상기 제1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를 가지는 모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보지(保持)하는 보지부와, 상기 보지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내주면에 계합(係合)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벽부를 가지는 덮개부와,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에 의하여 협지(挾持)되는 탄성 링
    을 가지는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수용부는,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내주면에 계합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링은, 상기 제1 내주면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하여 협지되는,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감합(嵌合)되어 있는,
    전동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부(外周部)에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가지는,
    전동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 수용부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보지하는,
    전동 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금속제의 통상(筒狀) 부재이고,
    상기 덮개부는, 수지제인,
    전동 릴.
KR1020220140581A 2022-03-09 2022-10-27 전동 릴 KR20230132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36577A JP2023131681A (ja) 2022-03-09 2022-03-09 電動リール
JPJP-P-2022-036577 2022-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687A true KR20230132687A (ko) 2023-09-18

Family

ID=8790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581A KR20230132687A (ko) 2022-03-09 2022-10-27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31681A (ko)
KR (1) KR20230132687A (ko)
CN (1) CN116730119A (ko)
TW (1) TW2023355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324A (ja) 1991-07-26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絶縁碍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324A (ja) 1991-07-26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絶縁碍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31681A (ja) 2023-09-22
CN116730119A (zh) 2023-09-12
TW202335584A (zh) 202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6442B2 (ja) 携帯用切断機
CN108064816B (zh) 双轴承渔线轮
US10219501B2 (en) Dual-bearing reel
JP2010273581A (ja) 魚釣用リール
JP659068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30132687A (ko) 전동 릴
JP4187911B2 (ja) 魚釣用リール
JP5244025B2 (ja) 魚釣用リール
EP3469894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2562262B1 (ko) 양 베어링 릴
KR20220145753A (ko) 낚시용 릴
CN112005979B (zh) 钓鱼用绕线轮
EP3738716B1 (en) Power tool
JP201721694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0060207A (ja) ギア装置
JP727443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964709B2 (ja) 魚釣用リール
KR102615173B1 (ko)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CN111493035B (zh) 纺车式卷线器
JP2014107990A (ja) ギヤードモータ
CN215817752U (zh) 中置电机止转结构
WO2024024684A1 (ja) 作業機
JP2013187125A (ja) 回転伝達機構及び回転コネクタ
JP660647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03716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