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287A - 방화문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287A
KR20230132287A KR1020220029615A KR20220029615A KR20230132287A KR 20230132287 A KR20230132287 A KR 20230132287A KR 1020220029615 A KR1020220029615 A KR 1020220029615A KR 20220029615 A KR20220029615 A KR 20220029615A KR 20230132287 A KR20230132287 A KR 2023013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main body
solenoid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주
Original Assignee
박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주 filed Critical 박선주
Priority to KR102022002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287A/ko
Publication of KR2023013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28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는 둘레면에 삽입홈을 구비한 회전체가 링크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체록킹삽입체가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삽입체지지구가 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제1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체가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이 제2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지지체로 상기 지지롤러를 상기 삽입체지지구 쪽으로 탄성 지지하고,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를 후진하는 솔레노이드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가 상기 롤러지지체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롤러지지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구성요소가 단순화되어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이 롤러지지체를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의 롤러와 롤러지지체의 단부 사이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스프링의 탄성력이 작더라도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면 솔레노이드로드의 선단부를 보다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방화문의 정지 상태를 용이하게 해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제어장치{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저와 링크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겼을 경우 즉 단전이나 화재 발생시에 솔레노이드로드를 이동시키는 힘을 줄임으로써 방화문을 도어클로저로 보다 용이하게 닫히도록 하는 방화문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대형 마트, 공장, 사무실, 주택 건축물 등에서 실내와 통로 사이 등에 설치되어 실외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의 화재가 실외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빌딩이나 아파트 등이 초고층화됨에 따라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화염과 연기의 확산에 의해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건축물 내를 방화구획하고, 각 방화구획에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방화문을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시 자동폐쇄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닫히게 하는 것이어서, 방화문에는 방화문을 닫히게 하는 자동폐쇄장치인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며, 도어클로저와 링크로 연결되는 제어장치(현장에서는 제어부라 지칭됨)를 이용하여 방화문이 도어클로저 내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평상시에는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화재시에는 제어장치로 전기가 인가되면서 방화문이 도러클로저의 힘으로 닫히게 한다.
예컨대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10-2012-0148990호로 출원되어 제10-1442922호로 등록된 기술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클로저 폐쇄장치에 있어서, 지지구의 요홈에 삽탈되는 회전체는 하나의 중간 롤러와 두개의 외경롤러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구의 요홈에는 상기 회전체의 외경롤러가 맞닿여 접해져 있고 상기 회전체의 중간롤러의 부분은 작동편의 일측에 맞닿여 회전되며, 상기 회전체는 는 그 중심핀을 구속하는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삽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이 지지구를 통해 두개의 외경롤러로 접촉되어 전달되고 회전체의 중간롤러가 작동편에 맞닿여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압축스프링의 선단부에 스틱과 걸림부재가 배치되고, 걸림부재가 조절부의 홈에 삽입되어 조절부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성요소가 많아서 단가를 줄이기가 어렵고, 화재시 모터로 작동되는 작동편을 회전할 때 필요한 힘이 다수의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동편을 회전시키는 힘이 커질 수 밖에 없어 모다 작용 용량의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겼을 경우 즉 단전이나 화재 발생시에 솔레노이드로드를 이동시키는 힘을 줄임으로써, 보다 작용 용량이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해정하여 도어클로저로 보다 용이하게 닫힐 수 있는 방화문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는 링크에 의해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저와 연결되어 평상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화재시 방화문이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에 삽입홈을 구비한 회전체가 링크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체록킹삽입체가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삽입체지지구가 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제1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체가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이 제2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지지체로 상기 지지롤러를 상기 삽입체지지구 쪽으로 탄성 지지하고,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를 후진하는 솔레노이드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가 상기 롤러지지체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롤러지지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는 종래기술보다 구성요소가 단순화되어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이 롤러지지체를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의 롤러와 롤러지지체의 단부 사이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스프링의 탄성력이 작더라도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면 솔레노이드로드의 선단부를 보다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방화문의 정지 상태를 용이하게 해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일부를 발췌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의 일 예에서 방화문을 수동으로 닫을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의 일 예에서 외부의 전원이 끊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1)가 방화문(2)의 프레임(2a)에 설치됨과 아울러 방화문(2)을 닫기 위한 폐쇄력을 구비한 도어클로저(3)가 방화문(2)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1)의 링크(1a)가 상기 도어클로저(3)의 구동링크(3a)와 상호 연결된다.
물론 통상적으로 현장에서는 상기 제어장치(1)를 제어부라고 지칭되는 것이며, 일반적인 기능은 평상시에 도어클로저(3)에 의해 방화문(2)의 닫힘력이 작용되나 제어장치(1)에 의해 방화문(2)의 완전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방화문(2)을 잡고 닫으려고 하면 제어장치(1)의 개방 상태의 유지력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며, 화재발생시에 제어장치(1)에 전기가 인가되면서 방화문의 개방 유지력이 해지되어 방화문(2)이 도어클로저(3)에 의해 닫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1)는 평상시 외력이 없으면 방화문(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출입자가 강제로 당기거나 밀어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방화문(2)을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며, 종래에도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출입하더라도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해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야 하므로, 방화문용 제어장치(1)에는 화재 발생시에 도어클로저에 의해 방화문이 닫히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해제하여야 한다.
아무튼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1)에는 방화문(2)의 프레임(2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1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 내에는 회전체(12)와 회전체록킹삽입체(13)와 삽입체지지구(14), 압축스프링(15) 및 제1조정볼트(16), 지지롤러(17), 롤러지지체(18), 리턴스프링(19) 및 제2조정볼트(20), 솔레노이드(21)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1)의 내부면에는 회전체록킹삽입체(13)와 삽입체지지구(14), 압축스프링(15), 조정볼트(16), 지지롤러(17), 롤러지지체(18) 등의 이동 방향과 설치 위치 등에 따라 홈이나 돌출 형태의 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홈이나 돌출 형태는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아무튼 상기 회전체(12)는 상기 본체(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12)의 둘레면에는 삽입홈(12a)이 형성되고, 링크(1a)의 선단부가 회전체(12)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13)는 상기 회전체(12)의 삽입홈(12a)에 삽입되어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체지지구(14)가 상기 회전체(12)의 삽입홈(1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체(12)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이며, 구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 내에서 상기 회전체(12)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삽입체지지구(14)는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13)를 지지하는 경사면(14a)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11a)에 삽입 설치되는 핀(14c)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도 상기 핀(14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체지지구(14)는 상기 경사면(14a)과 대향하는 위치에 평면부(14d)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17)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압축스프링(15)은 상기 삽입체지지구(14)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13)가 상기 회전체(12)의 삽입홈(12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것이며, 제1조정볼트(16)에 의해 위치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11)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롤러(17)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구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 내에서 상기 삽입체지지구(14)와 롤러지지체(18)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롤러지지체(18)의 지지력이 제거되면 상기 삽입체지지구(14)의 평면부(14d)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체지지구(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13)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삽입체지지구(14)의 평면부(14d)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롤러지지체(18)는 본체(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턴스프링(19)에 의해 도 2와 같이 초기 상태로 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1) 내에서 솔레노이드(20)의 선단부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되거나 도 4와 같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롤러지지체(18) 선단부의 지지롤러(17)과 후단부의 솔레노이드(21)의 솔레노이드로드(21a) 선단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화재시에는 솔레노이드(21)의 솔레노이드로드(21a)의 선단부가 후진하면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턴스프링(19)은 상기 롤러지지체(18)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며, 제2조정볼트(20)에 의해 탄성력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지지체(18)로 상기 지지롤러(17)를 상기 삽입체지지구(14) 쪽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1)에는 전기의 인가로 전진되거나 솔레노이드스프링(21b)에 의해 후진되는 솔레노이드로드(21a)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로드(21a)의 선단부에 롤러(22)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솔레노이드(21)는 상기 본체(11)에 설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로드(21a) 선단부의 롤러(22)가 전진하여 상기 롤러지지체(18)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롤러지지체(18)가 회전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21)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면 솔레노이드(21)에 구비된 솔레노이드스프링(21b)에 의해 솔레노이드로드(21a)가 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클로저(3) 내의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이 링크(1a)와 회전체(12)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회전체록킹삽입체(13)가 회전체(12)의 삽입홈(12a)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롤러지지체(18)가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23a)을 구비한 보조지지대(23)가 상기 본체(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체(18)이 단부를 지지하는 롤러(22)가 상기 보조지지대(23)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로드(21a) 선단부가 상기 보조지지대(23)의 장공(23a)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21)에 의해 상기 보조지지대(23)가 회전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설명에서는 평상시에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인가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의 전기가 단선되거나 화재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를 끊을 경우에 솔레노이드 자체의 탄성력으로 작동하는 것이나, 이와 반대로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로드를 돌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화재 신호가 발생되면 외부의 전기가 솔레노이드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를 작동하거나 제어장치 내의 PCB에 콘덴서를 갖추어서 외부 전기 단선시에 콘덴서의 전기로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자명한 것이다.
아무튼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는 도 1과 도 2와 같이 방화문(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면상 롤러(22)가 롤러지지체(1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지지롤러(17)가 롤러지지체(1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게 되어 롤러지지체(18)이 정지되므로, 삽입체지지구(14)가 회전되지 못하며, 삽입체지지구(14)가 압축스프링(16)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회전체록킹삽입체(13)가 회전체(12)의 삽입홈(1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도어클로저(2) 내의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회전체(12)가 회전되지 않아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방화문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화문을 잡고 닫으려고 하면 방화문(2)가 외력을 받아서 도어클로저(2) 내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외력이 합쳐서 방화문을 닫으려는 힘이 발생되면서 제어장치 내의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도 3과 같이 회전체록킹삽입체(13)가 회전체(12)의 삽입홈(12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삽입체지지구(14)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방화문(2)가 도어클로저(3) 내의 탄성력에 의해 닫힐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화재 발생시 단선이나 외부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기가 끊길 경우,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롤러지지체(18)와 롤러(22) 사이의 마찰력이 작게 되므로, 솔레노이드스프링(21b)의 탄성력에 의해 솔레노이드로드(21a)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4와 같이 도어클로저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록킹삽입체(13)가 회전체(12)의 삽입홈(12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삽입체지지구(14)가 회전되면서 지지롤러(17)와 롤러지지체(18)를 회전시킴과아울러 방화문(2)이 도어클로저(3)에 의해 닫힐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5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제어장치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되는 것이므로 이의 작용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외력에 의해 방화문을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리나 긴급 재난시에 제어장치가 고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방화문을 항상 닫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 : 제어장치 2 : 방화문
11 : 본체 12 : 회전체
13 : 회전체록킹삽입체 14 : 삽입체지지구
15 : 압축스프링 16,20 : 제1,제2조정볼트
17 : 지지롤러 18 : 롤러지지체
19 : 리턴스프링 21 : 솔레노이드
22 : 롤러 23 : 보조지지대

Claims (3)

  1. 링크에 의해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저와 연결되어 평상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화재시 방화문이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에 삽입홈을 구비한 회전체가 링크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체록킹삽입체가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삽입체지지구가 본체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제1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록킹삽입체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삽입체지지구의 평면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체가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이 제2조정볼트에 의해 조정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지지체로 상기 지지롤러를 상기 삽입체지지구 쪽으로 탄성 지지하며,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를 후진하는 솔레노이드스프링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가 전진하여 상기 롤러지지체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에는 롤러지지체의 단부를 지지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장공을 구비한 보조지지대가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체이 단부를 지지하는 롤러가 상기 보조지지대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로드 선단부가 상기 보조지지대의 장공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보조지지대가 회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220029615A 2022-03-08 2022-03-08 방화문용 제어장치 KR20230132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615A KR20230132287A (ko) 2022-03-08 2022-03-08 방화문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615A KR20230132287A (ko) 2022-03-08 2022-03-08 방화문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287A true KR20230132287A (ko) 2023-09-15

Family

ID=8801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615A KR20230132287A (ko) 2022-03-08 2022-03-08 방화문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2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829A (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JPH0113947Y2 (ko)
JP2790792B2 (ja) 窓の開閉装置
KR20230132287A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20120065508A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9419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JP2016075055A (ja) 扉用閉鎖制動装置
KR101442922B1 (ko)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20180012424A (ko) 중문 회전축 압력 저감장치
KR20120062286A (ko) 방화문 도어클로져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2019597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제어장치
CN111706231B (zh) 一种便于通风的防火门
DE4036881A1 (de) Sicherungsvorrichtung fuer eine um eine achse verschwenkbare bzw. drehbare vorrichtung
CN111734278B (zh) 防止意外关闭的防火门
EP1473431A1 (de) Türschliessvorrichtung für Notfälle mit Freilauf-Normalbetrieb
CN220247871U (zh) 一种防火门用防火铰链
JP3886749B2 (ja) 窓開度調整器
KR101901401B1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0866262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장치
JPS63195461A (ja) 直線駆動ユニツト
JP6924464B1 (ja) ヒンジ及び扉機構
CN212406430U (zh) 一种防火门窗用温控释放器
CN219672526U (zh) 门底密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