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097A -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 Google Patents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097A
KR20230132097A KR1020220029183A KR20220029183A KR20230132097A KR 20230132097 A KR20230132097 A KR 20230132097A KR 1020220029183 A KR1020220029183 A KR 1020220029183A KR 20220029183 A KR20220029183 A KR 20220029183A KR 20230132097 A KR20230132097 A KR 2023013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t
module
flow path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심상구
박명진
김성진
김봉석
방상우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097A/ko
Publication of KR2023013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펫을 수용할 수 있는 펫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이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내통 사이에는 메인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내통은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하우스유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메인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스유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메인관통홀을 통해 일방향으로 상기 펫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인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HOUSE MODULE AND PET DRY ROO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고양이, 강아지 등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사용자와 함께 산책을 하거나, 외부에서 장시간 활동할 경우, 외부의 진드기 등의 세균에 노출된다. 이처럼, 세균에 노출된 반려동물이 사용자의 거주장소에서 사용자와 함께 생활할 경우, 사용자에게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청결을 위해 반려동물을 주기적으로 목욕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반려동물의 목욕이 종료된 이후에는 반려동물의 젖어있는 털을 말리기 위한 드라이 과정이 수반된다. 또한, 반려동물을 목욕시킨 이후에는 반려동물을 수월하게 드라이시키기 위하여 펫 드라이룸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펫 드라이룸는 반려동물이 생활하기 위한 하우스와 별도로 구비되어 왔다. 이처럼 별도로 구비되는 펫 드라이룸과 하우스는 사용자의 거주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사용자의 거주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 주식회사 이주코리아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11469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특허문헌 1)는 애완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가방부의 내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통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을 드라이하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공기유로에는, 드라이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먼지나 반려동물의 털 등의 오염물질이 축적되는바, 공기유로의 세척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의 공기유로가 세척되기 위해서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은 미리 설계된 공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는바, 공기유로를 세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처럼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더라도 미리 설계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펫 드라이룸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11469 (2016. 02. 01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더라도 미리 설계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펫 드라이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펫을 수용할 수 있는 펫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이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내통 사이에는 메인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내통은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하우스유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메인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스유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메인관통홀을 통해 일방향으로 상기 펫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인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유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펫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보조유로를 더 포함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내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하방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메인관통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하방이격공간 및 상기 펫수용공간이 상기 하부관통홀을 통하여 연통됨으로써 제공되는 하부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측방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측방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측방관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측방이격공간 및 상기 펫수용공간이 상기 측방관통홀을 통하여 연통됨으로써 제공되는 측방유로를 더 포함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도어; 및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 및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이며,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 상기 펫수용공간에 유동하는 상기 공기는 상기 상부홀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개방상태일 때,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도어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상부커버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도어는 상기 펫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로 유동하도록, 공기가 상기 상부홀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스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스모듈;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하우스모듈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스모듈에 공급하는 공기청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필터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1 유동상태, 정화된 상기 공기를 공기유입구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2 유동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외부와 상기 공기유입구 모두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3 유동상태에 더 놓이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전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청정유로; 및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연통시키는 드라이유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에,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드라이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유동상태일 때에,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유입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드라이유로를 개방하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화된 상기 공기 중 어느 일부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유입구를 향하고, 다른 일부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와 상기 드라이유로를 모두 개방하는 제3 개폐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소정의 회전각만큼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제2 유동상태에 놓이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상기 소정의 회전각보다 작은 회전각만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제3 유동상태에 놓이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하우스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펫 드라이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은 내통과 프레임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내통과 프레임 중 공기유로를 감싸는 부분의 세척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유로전환부재의 회전에 의해 변경된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동', '공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 공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일 예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좌표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1)은 반려동물의 젖어있는 털을 따뜻한 공기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펫 드라이룸(1)은 주변 공기를 정화하여 정화공기를 제공하고, 정화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열하여 따뜻한 공기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젖어있는 털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펫 드라이룸(1)은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고, 다른 일부를 펫 드라이룸(1)의 외부의 사용자의 거주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펫 드라이룸(1)은 하우스모듈(100), 공기청정모듈(200) 및 제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하우스모듈(100)은 공기청정모듈(200)로부터 정화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하우스모듈(100)은 공급받은 정화공기를 반려동물을 향해 유동시키거나, 펫 드라이룸(1)의 외부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우스모듈(100)은 프레임부(110), 내통(120), 도어(130), 상부커버(140), 하우스필터(150), 그릴부(160) 및 가이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하우스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내통(120), 도어(130), 상부커버(140), 하우스필터(150), 그릴부(160) 및 가이드부(17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내통(1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전면프레임(111), 메인프레임(112), 측면프레임(113), 하부프레임(114) 및 고정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1)은 내통(120)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프레임(111)에는 후술할 펫수용공간(120a)의 전방측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구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11a)는 도어(130)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11a)와 도어(130)가 서로 맞물릴 때, 펫수용공간(120a)의 전방측은 외부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1a)와 도어(130)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 펫수용공간(120a)의 전방측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2)은 정화공기를 안착공간(110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2)의 상부에는 정화공기를 안착공간(110a)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입구(112a)는 공기청정모듈(200)의 내부와 안착공간(11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2)은 내통(12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2)은 일 예로, 후면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2)은 공기청정모듈(20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2)은 내통(120)이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내통(120)과 함께 메인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이격공간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12)과 내통(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113)은 전면프레임(111)과 메인프레임(112) 사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프레임(113)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측면프레임(113) 중 어느 일부는 전면프레임(111)의 좌측과 메인프레임(112)의 좌측 사이에서 연장되고, 다른 일부는 전면프레임(111)의 우측과 메인프레임(112)의 우측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측면프레임(113)은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측면프레임(113)은 전면프레임(111) 및 메인프레임(112)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측면프레임(113), 전면프레임(111) 및 메인프레임(11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프레임(113)은 내통(120)이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내통(120)과 함께 측방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이격공간은 좌우방향에 있어서, 측면프레임(113)과 내통(12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이격공간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좌우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이격공간은 메인이격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4)은 내통(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14)은 전면프레임(111), 메인프레임(112) 및 측면프레임(11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14)은 내통(120)이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내통(120)과 함께 하방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방이격공간은 메인이격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이격공간에 유동하는 공기 중 어느 일부는 측방이격공간으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하방이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15)은 내통(120)을 전면프레임(111), 메인프레임(112) 및 측면프레임(11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15)은 내통(120)의 상부 외주면과 전면프레임(111), 메인프레임(112) 및 측면프레임(11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내통(120)은 프레임부(110)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내통(120)은 프레임부(110)와 함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통(120)에는 펫수용공간(120a), 메인관통홀(120b), 측방관통홀(120c), 하부관통홀(120d) 및 상부개구(120e)가 형성될 수 있다.
펫수용공간(120a)에는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펫수용공간(120a)은 내통(120)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메인관통홀(120b)은 내통(120)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관통홀(120b)은 메인이격공간과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관통홀(120b)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관통홀(120b)은 일 예로, 후방관통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메인관통홀(120b)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메인관통홀(120b)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120)의 후방측에서 내통(120)을 바라봤을 때, 복수 개의 메인관통홀(120b)은 복수 개의 행 및 복수 개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관통홀(120b)은 공기유입구(112a)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측방관통홀(120c)은 내통(12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방관통홀(120c)은 측방이격공간과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방관통홀(120c)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방관통홀(120c)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방관통홀(120c)은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측방관통홀(120c) 중 최상측에 배치된 측방관통홀(120c)은, 복수 개의 메인관통홀(12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관통홀(120d)은 내통(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관통홀(120d)은 하방이격공간과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관통홀(120d)은 전후방향으로 내통(120)의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이러한 하부관통홀(120d)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관통홀(120d)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관통홀(120d)은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관통홀(120d)은 메인관통홀(120b) 및 측방관통홀(120c)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관통홀(120d)은 펫수용공간(120a)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개구(120e)는 내통(12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개구(120e)는 펫수용공간(120a)을 상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개구(120e)는 상부커버(140)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도어(130)는 개구부(111a)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30)는 개구부(111a)에 맞물려 개구부(111a)를 폐쇄하는 폐쇄상태, 및 개구부(111a)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개구부(111a)를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도어(130)는 개방상태일 때, 상부커버(140)에 수납되는 수납상태에 더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130)가 폐쇄상태일 때, 펫수용공간(120a)에 유동하는 공기는 후술할 상부홀(140a)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130)가 수납상태일 때, 펫수용공간(120a)의 공기가 상부홀(140a)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30)가 수납상태일 때, 펫수용공간(120a)에 유동하는 공기는 개구부(111a)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130)가 폐쇄상태일 때의 공기의 유로와, 도어(130)가 수납상태일 때의 공기의 유로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140)는 내통(1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140)는 도어(13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은 도어(130)가 수납상태일 때, 도어(130)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140)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홀(1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홀(140a)은 도어(130)가 수납상태일 때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홀(140a)은 하우스필터(15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홀(140a)은 일 예로, 수납공간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스필터(150)는 도어(130)가 폐쇄상태일 때, 펫수용공간(120a)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스필터(150)는 펫수용공간(120a)에서 외부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스필터(150)는 먼지, 반려동물의 털 등을 필터링하는 먼지필터와, 황화수소 등의 유해가스와, 냄새를 필터링하는 탈취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부(160)는 격자패턴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일 수 있다. 이러한 그릴부(160)는 커버그릴(161) 및 펫그릴(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그릴(161)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펫수용공간(120a)에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가 커버그릴(16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커버그릴(161)은 상부커버(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펫그릴(162)은 반려동물의 배설물 등이 내통(120)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펫그릴(162)은 내통(1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펫그릴(162)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펫그릴(162)의 관통홀은 펫수용공간(120a)과 하부관통홀(120d)을 연통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70)는 공기유입구(112a)에 유입되는 공기를 하방 및 측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70)는 공기유입구(112a)에 유입되는 공기를 메인관통홀(120b) 및 측방관통홀(120c)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70)는 내통(120)의 후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70)는 공기유입구(112a)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하우스모듈(100)은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유로부(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스유로부(10)는 메인유로(11) 및 보조유로(12, 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11)는 공기유입구(112a)를 경유하여 메인이격공간, 메인관통홀(120b) 및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유로(11)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메인관통홀(120b)을 통하여 일방향(일 예로, 전방)로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유로(11)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메인이격공간, 메인관통홀(120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보조유로(12, 13)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은 일 예로, 좌우방향 및 상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유로(12, 13)는 측방유로(12) 및 하부유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유로(12)는 공기유입구(112a)를 경유하여 메인이격공간, 측방이격공간, 측방관통홀(120c) 및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방유로(12)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측방관통홀(120c)을 통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유로(12)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메인이격공간, 측방이격공간, 및 측방관통홀(120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하부유로(13)는 공기유입구(112a)를 경유하여, 메인이격공간, 하방이격공간, 하부관통홀(120d) 및 펫수용공간(120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유로(13)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관통홀(120d)을 통하여 상방으로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유로(13)는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메인이격공간, 하부이격공간 및 하부관통홀(120d)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200)은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정화공기를 하우스모듈(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하우스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제어기(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공기청정유로부(20)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청정유로부(20)는 정화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제1 유동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제1 유동상태일 때, 정화된 공기를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200)은 내부의 애완동물을 드라이시키기 위한 제2 유동상태에 더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제2 유동상태일 때, 정화된 공기를 공기유입구(112a)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키면서 내부의 애완동물을 드라이시키는 제3 유동상태에 더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모듈(200)은 제3 유동상태일 때, 정화된 공기를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와 공기유입구(112a) 모두로 토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청정모듈(200)은 제1 유동상태, 제2 유동상태 및 제3 유동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유로부(20)는 드라이유로(21) 및 공기청정유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200)은 몸체(210), 유로전환부재(220), 공기청정필터(230). 송풍팬(240) 및 히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공기청정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유로전환부재(220), 공기청정필터(230). 송풍팬(240) 및 히터(2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의 후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필터(230)를 통과한 정화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의 유동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를 공기유입구(112a) 및 펫 드라이룸(1)의 외부 중 하나 이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부재(220)는 드라이유로(21) 및 공기청정유로(22)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드라이유로(21)는 공기청정모듈(200)이 하우스모듈(100)에 연결되었을 때, 몸체(210)의 내부, 히터(250) 및 공기유입구(112a)를 연통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유로(22)는 몸체(210)의 내부, 몸체(210)의 상부 및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유로(22)를 개방하고, 드라이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가 공기청정유로(22)를 따라 히터(250)를 거치지 않고, 몸체(210)의 상부를 통과하여 펫 드라이룸(1)의 외부로 유동되도록 정화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전환부재(220)는 몸체(210)의 상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유로(22)를 폐쇄하고, 드라이유로(21)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가 펫 드라이룸(1)의 외부로 유동시키지 않고, 히터(250)를 통과하여 공기유입구(112a)로 유동되도록 정화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전환부재(220)는 몸체(210)의 상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유로(22)와 드라이유로(21)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가 드라이유로(21)를 따라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공기청정유로(22)를 따라 유동되도록 정화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전환부재(220)는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가 히터(250)에서 가열되어 공기유입구(112a)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가열되지 않고 펫 드라이룸(1)의 외부를 향하도록 정화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부재(220)는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재(2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몸체(210)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220)는 일 예로, 제어기(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모듈(200)이 후술할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제1 회전각만큼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공기청정모듈(200)은 제2 유동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듈(200)의 좌측에서 유로전환부재(220)를 바라봤을 때,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모듈(200)이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제1 회전각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공기청정모듈(200)은 제2 유동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모듈(200)이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제2 회전각만큼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공기청정모듈(200)은 제3 유동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각은 제1 회전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듈(200)의 좌측에서 유로전환부재(220)를 바라봤을 때, 유로전환부재(220)는 공기청정모듈(200)이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제2 회전각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공기청정모듈(200)은 제3 유동상태에 놓일 수 있다.
공기청정필터(230)는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정화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필터(230)는 몸체(210)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필터(230)는 일 예로, 헤파 필터(hepa filter)일 수 있다.
송풍팬(240)은 외부공기가 공기청정필터(230)를 통과하도록 외부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240)은 공기청정필터(230)를 통과한 정화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240)은 유로전환부재(220)와 히터(25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250)는 정화공기를 가열하여 가열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250)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는 공기유입구(112a)를 향하여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250)는 공기유입구(112a)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250)는 제어기(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300)는 유로전환부재(220)를 구동시키는 모터, 송풍팬(240) 및 히터(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청정모드, 드라이모드 및 멀티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놓일 수 있다.
제어기(300)는 공기청정모드에 놓일 때, 공기청정모듈(200)이 제1 유동상태에 놓이고, 히터(25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히터(250) 및 유로전환부재(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히터(250)의 작동이 중단되고, 정화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공기유입구(112a)를 향하도록 공기청정유로(22)가 폐쇄되고, 드라이유로(21)가 개방되도록 유로전환부재(220)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00)는 드라이모드에 놓일 때, 공기청정모듈(200)이 제2 유동상태에 놓이고, 히터(250)가 작동되도록 히터(250) 및 유로전환부재(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모드에서는, 히터(250)가 작동되고, 정화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공기유입구(112a)를 향하도록 공기청정유로(22)가 폐쇄되고, 드라이유로(21)가 개방되도록 유로전환부재(220)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00)는 멀티모드에 놓일 때, 히터(250)가 작동되고, 유로전환부재(220)가 제3 개폐상태에 놓이도록 히터(250) 및 유로전환부재(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에서는, 히터(250)가 작동되고, 정화된 공기 중 어느 일부의 유동방향이 공기유입구(112a)를 향하고, 다른 일부의 유동방향이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를 향하도록 공기청정유로(22)와 드라이유로(21)가 모두 개방되도록 유로전환부재(220)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룸(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펫 드라이룸(1)은 펫 드라이룸(1)의 외부로 정화공기를 공급하거나, 펫수용공간(120a)에 가열된 정화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라이모드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드라이모드에서는, 외부공기가 몸체(210)의 후면, 공기청정필터(230), 히터(250), 공기유입구(112a)를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12a)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170)에 의해 메인이격공간, 측방이격공간 및 하방이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메인관통홀(120b), 측방관통홀(120c) 및 하부관통홀(120d)을 통과하여 전방, 좌우방향 및 상방으로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어(130)가 폐쇄상태일 경우, 펫수용공간(120a)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홀(140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청정모드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외부공기가 몸체(210)의 후면, 공기청정필터(230), 몸체(21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모드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멀티모드에서는, 외부공기가 몸체(210)의 후면, 공기청정필터(2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유로전환부재(220)에 의해 공기의 유로가 드라이유로(21) 및 공기청정유로(22)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필터(230)를 통과한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는 히터(250)를 향하여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몸체(210)의 상부를 향하여 유동되어 공기청정모듈(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히터(250)를 향하여 유동된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는 드라이모드에서의 공기의 유동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드라이가 종료될 때, 사용자는 도어(130)를 개구부(111a)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도어(130)를 상부커버(140)에 수납시켜, 하우스모듈(100)을 반려동물용 케이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재(220)가 제3 개폐상태에 놓이고, 히터(25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공기청정모듈(200)이 제어되면, 정화공기의 어느 일부는 펫수용공간(120a)에 수용된 반려동물에게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사용자의 거주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펫 드라이룸(1)은 반려동물을 드라이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드라이되지 않는 동안에는 반려동물이 생활할 수 있는 케이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펫 드라이룸(1)을 통하여 반려동물을 드라이하기 위한 장치와 반려동물이 생활할 수 있는 케이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펫 드라이룸
10: 하우스유로부 11: 메인유로
12: 측방유로 13: 하부유로
20: 공기청정유로부 21: 드라이유로
22: 공기청정유로
100: 하우스모듈 110: 프레임
111: 전면프레임 111a: 개구부
112: 메인프레임 112a: 공기유입구
113: 측면프레임 114: 하부프레임
115: 고정프레임 120: 내통
120a: 펫수용공간 120b: 메인관통홀
120c: 측방관통홀 120d: 하부관통홀
120e: 상부개구 130: 도어
140: 상부커버 140a: 상부홀
150: 하우스필터 160: 그릴부
161: 커버그릴 162: 펫그릴
170: 가이드부 200: 공기청정모듈
210: 몸체 220: 유로전환부재
230: 공기청정필터 240: 송풍팬
250: 히터 300: 제어기

Claims (15)

  1.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펫을 수용할 수 있는 펫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이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내통 사이에는 메인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내통은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하우스유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메인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메인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스유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메인관통홀을 통해 일방향으로 상기 펫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인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유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펫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보조유로를 더 포함하는,
    하우스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내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하방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메인관통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하방이격공간 및 상기 펫수용공간이 상기 하부관통홀을 통하여 연통됨으로써 제공되는 하부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스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측방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측방이격공간과 상기 펫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측방관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측방이격공간 및 상기 펫수용공간이 상기 측방관통홀을 통하여 연통됨으로써 제공되는 측방유로를 더 포함하는,
    하우스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도어; 및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 및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이며,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 상기 펫수용공간에 유동하는 상기 공기는 상기 상부홀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하우스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개방상태일 때,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도어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상부커버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도어는 상기 펫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로 유동하도록, 공기가 상기 상부홀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스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스모듈;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하우스모듈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스모듈에 공급하는 공기청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필터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1 유동상태, 정화된 상기 공기를 공기유입구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2 유동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는,
    펫 드라이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를 외부와 상기 공기유입구 모두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3 유동상태에 더 놓이는,
    펫 드라이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전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청정유로; 및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연통시키는 드라이유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펫 드라이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에,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드라이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유동상태일 때에,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정화된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유입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드라이유로를 개방하는,
    펫 드라이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정화된 상기 공기 중 어느 일부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유입구를 향하고, 다른 일부의 유동방향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유로와 상기 드라이유로를 모두 개방하는 제3 개폐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펫 드라이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소정의 회전각만큼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제2 유동상태에 놓이고,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상기 제1 유동상태일 때로부터 상기 소정의 회전각보다 작은 회전각만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제3 유동상태에 놓이는,
    펫 드라이룸.
  15. 제 7 항에 있어서,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하우스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펫 드라이룸.
KR1020220029183A 2022-03-08 2022-03-08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KR2023013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83A KR20230132097A (ko) 2022-03-08 2022-03-08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83A KR20230132097A (ko) 2022-03-08 2022-03-08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097A true KR20230132097A (ko) 2023-09-15

Family

ID=8801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83A KR20230132097A (ko) 2022-03-08 2022-03-08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0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469A (ko)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469A (ko)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459B2 (ja) ペットドライルー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トレイ
EP3662788B1 (en) Dryer for bed
KR101609560B1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KR101963814B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US11528882B2 (en) Air filtr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n animal housing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190128460A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KR101776947B1 (ko) 애완동물 하우스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WO2006040365A1 (es) Máquina automática de hidromasaje para mascotas
KR20230132097A (ko) 하우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룸
KR20200127800A (ko) 펫 드라이어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CN110063265A (zh) 宠物用烘干护理机
KR20200127799A (ko) 펫 드라이어
KR2018006777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KR20130003329A (ko) 에어커텐을 구비한 냄새차단 개별환기 실험동물 사육장치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2239047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647241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CN216454010U (zh) 衣物管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