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799A - 펫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펫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799A
KR20200127799A KR1020190052633A KR20190052633A KR20200127799A KR 20200127799 A KR20200127799 A KR 20200127799A KR 1020190052633 A KR1020190052633 A KR 1020190052633A KR 20190052633 A KR20190052633 A KR 20190052633A KR 20200127799 A KR20200127799 A KR 2020012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air
pet dryer
wind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진
김기덕
조용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799A/ko
Priority to CN202210246204.8A priority patent/CN114568339B/zh
Priority to CN202010337136.7A priority patent/CN111869587B/zh
Priority to CN202210257099.8A priority patent/CN114403041B/zh
Publication of KR202001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 및 건조효율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공급하는 구동부가 연결되되,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구획되어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의 토출구에 연통되어 내부에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대향되는 내측면에 송풍홀이 형성된 윈드커버부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펫 드라이어{pet dryer}
본 발명은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건조효율이 개선된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 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어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펫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펫 드라이어는 내부에 애완동물의 수용공간(6)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6)의 공기를 이송시키는 모터팬(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팬(2)의 일측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가 공기의 이송 경로상에 구비되되, 상기 모터팬(2)의 하부에는 공기 유입경로와 연통된 소통구(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팬(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6)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이동된 후 애완동물의 주위를 통해 상기 소통구(5) 측으로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송풍안내판(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측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6)을 외부와 연통시켜 건조기 작동 중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기공(8)이 형성된다.
즉, 애완동물을 상기 수용공간(6)에 넣은 상태에서 조작패널(7)을 통해 작동 상태를 설정하고 작동시키면, 상기 수용공간(6)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모터팬(2)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이 온풍 건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펫 드라이 룸은 상기 모터팬(2)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6)의 내벽면을 타고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공기의 단방향 흐름이 발생되어 애완동물의 털을 고르게 건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본체(1) 내부의 습도 제거를 위한 상기 통기공(8)이 하부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상측에 정체되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습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이에 따라, 습도를 추가로 제거하기 위해 응축기와 급수통을 설치하여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6897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 및 건조효율이 개선된 펫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공급하는 구동부가 연결되되,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구획되어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의 토출구에 연통되어 내부에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대향되는 내측면에 송풍홀이 형성된 윈드커버부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윈드커버부가 전방으로 갈수록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전면부일수록 높은 압력으로 형성되어 토출량이 증가되므로 상기 수용공간 전방에서 공기 정체가 방지되고 전체적인 순환구조가 개선되어 제품의 건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애완동물의 형상에 따라 상기 송풍홀의 수량, 배치, 및 크기를 최적화시켜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 및 하부에서 공기가 균일하게 토출됨에 따라 제품의 건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높은 습도 및 온도를 가진 내부공기가 강제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된 배출창을 통해 다량 배출됨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저하되므로 제품의 건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펫 드라이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도어부가 제거된 상태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도어부가 제거된 상태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어(100)는 케이스부(10), 구동부(60), 그리고 윈드커버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되,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c)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술된 구획이라 함은 각 면의 경계가 외부와 격벽에 의해 분리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창(30)이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기가 상향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창(30)은 배출필터(30b) 및 배출필터커버(3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 관통 형성된 커버홈(10a)에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필터(30b)는 상향 배출되는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출필터(30b)는 반려동물의 몸에 묻은 큰 이물질부터 미세먼지까지 여과되도록 미세먼지 직경보다 작은 격자로 형성된 그물망 형태의 집진필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조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배출필터(30b)를 통과하지 못하고,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부공간의 청결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필터커버(30a)는 배출필터(3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필터(30b)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격자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자홀은 다양한 배치구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펫드라이어(100)의 미사용시 상기 배출필터(30b)에 먼지 등의 이물질의 적층이 방지되도록 착탈되며, 분리된 배출필터(30b)는 세척이 용이하고, 상기 펫드라이어(100)의 사용시 상기 케이스부(10)에 재결합될 수 있다.
또한, 펫 드라이어 사용중 배출필터를 제거하여 애완동물에게 간식 등을 주고, 어느정도 털이 마르면 드라이와 동시에 빗질을 할 수 있어 더욱 풍성한 털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높은 습도를 가진 내부공기는 강제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출창(30)을 통해 상향 배출됨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저하되므로 제품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10c)의 하부에는 받침부(50)가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 내주면 사이에 형합되도록 전방으로부터 착탈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받침부(50)에는, 상기 집수부(50b)의 내주면 사이에 형합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발판부(50a)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50b)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부(50b)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애완동물의 털이나 오물을 포함한 수분이 집수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부(50b)의 측면부에는 공기 유로와 연동되어 바닥면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홀(51)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홀(5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발판부(50a)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애완동물의 배쪽 부위를 보다 쉽게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50b) 외곽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케이스부(10)의 전후면과 면접촉되고, 양측면은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윈드커버부(20)와 면접촉된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50b) 외곽의 전면은 도어프레임(17)의 내측 테두리에, 후면은 걸림부(11)에 면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외곽의 양측면은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윈드커버부(20)와 면접촉된다. 이때, 상기 토출홀(51)과 후술되는 송풍홀(21)의 일부가 연동되어 상기 송풍홀(21)로부터 전달받은 공기가 상기 집수부(50b) 내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50a)는 상기 집수부(50b)의 내측 테두리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되고, 상기 집수부(50b)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집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건조시 발생될 수 있는 수분, 이물질 등이 상기 집수부(50b)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50)의 외주 프로파일은 상기 윈드커버부(20)의 내주 프로파일에 대응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50)가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50)의 하면에 돌설된 다리는 상기 케이스부(10) 바닥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윈드커버받침부(26)와 상기 바닥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바퀴장착부(27) 사이에 안착되어 좌우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드커버받침부(26)는 상기 윈드커버부(20)가 상기 케이스부(10) 내에 배치되는 공간을 가이드하는 돌출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받침부(50)가 상기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착탈되므로 상기 집수부(50b)에 배출되는 오물 및 이물질의 세척이 용이하여 제품의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면부는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10)의 개구된 전면부에는 내부에서 외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영창(41)이 구비된 도어부(40)가 착탈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영창(41)을 통해 건조 중인 애완동물의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애완동물의 불안감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부(10)와 연결되어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구동부(6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60)는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상기 케이스부(10)로 배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60) 전방부와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면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간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윈드커버부(20)가 배치된 공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에 구비된 상기 걸림부(11)와 상기 구동부(60)의 전방에 구비된 회전식 락킹부(61)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식 락킹부(61)가 상기 구동부(60) 내측으로 탄발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부측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1)에는 걸림홀(12)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는 세로방향으로 삽입장공(13)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로방향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세로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락킹부(61)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회전몸체부(61b)와 상기 회전몸체부(61b)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설된 회전돌기(61a)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몸체부(61b)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락킹부(61)의 회전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구동부(60) 내측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61a)는 전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삽입장공(13)의 상기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회전시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되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61a)가 상기 삽입장공(13)을 통과하여 가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 및 체결된다. 이때, 상기 락킹부(61)는 상기 회전몸체부(61b)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구동부(60) 측으로 탄발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1)는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돌기(61a)와 상기 구동부(60)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구동부(6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의 회전시 상기 회전돌기(61a)가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회전몸체부(61b)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가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60) 및 상기 케이스부(10) 중 대향되는 일측의 테두리에는 돌출된 체결격벽(14)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에는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체결격벽(14)의 내주와 면접촉되는 단턱부(6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60)에 상기 단턱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 상기 체결격벽(14)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62) 및 상기 체결격벽(14)은 상기 구동부(60) 및 상기 케이스부(10)의 연결부분에는 밀폐를 위해 합성고무 등의 패킹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간 각 변의 길이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격벽(14)은 상기 구동부(60) 측으로 돌설되되, 상기 단턱부(6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격벽(14)의 내주와 상기 단턱부(62)의 외주는 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격벽(14)의 테두리는 상기 구동부(60)의 테두리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간 면접촉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수용공간(10c)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케이스부(10)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70)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60)의 전면부에는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제1흡입필터(90a)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60)의 후면부에는 외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제2흡입필터(도 2b의 90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70)은 흡입구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10c) 및 외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를 직결식으로 혼합시키는 양방향 흡입팬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된 직결식이라 함은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별도의 유로 형성 없이 직접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60)의 전방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7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되, 상기 토출구(7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60) 전방부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송풍팬(70)이 양방향 흡입팬으로 구비되어 수용공간(10c)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므로 상기 토출구(72)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이 증가됨에 따라 제품의 건조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60)에는 제1온도센서(69a)와 제어수단(8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69a)는 상기 구동부(6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82)은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히터(80)를 발열시키고,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시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히터(80)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시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히터(80)를 다시 작동시킨다. 즉, 상기 히터(80)가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반복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c)의 내부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됨에 따라 과도한 열로 인해 수용된 애완동물의 털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80)의 과열시 상기 제어수단(82)에서 차단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72)에 연통되어 내부에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내측면부(22)에 송풍홀(21)이 형성된 상기 윈드커버부(20)가 착탈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홀(21)은 상기 유로에서 상기 수용공간(10c)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상기 유로를 상기 수용공간(10c)과 구획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되, 후방부에는 상기 토출구(72)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유입구(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외곽 테두리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면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23) 및 상기 토출구(72) 중 일측의 테두리에는 돌출된 밀폐격벽(23a)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밀폐격벽(23a)의 외주와 면접촉되는 밀폐홈(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구(23)에 상기 밀폐격벽(23a)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72)에 상기 밀폐홈(63)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밀폐격벽(23a)의 외주는 합성고무 및 실리콘 고무 등의 패킹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되, 상기 밀폐홈(63)의 내주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홈(63)은 타측으로 단차지게 함몰되어 내주가 상기 밀폐격벽(23a)의 외주와 형합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홈(63)은 상기 밀폐격벽(23a)의 축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격벽(23a)의 외주는 상기 밀폐홈(63)의 내주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유입구(23)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c)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되, 상기 수용공간(10c)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유로가 상기 수용공간(10c)과 구획되도록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외곽 테두리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면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송풍홀(21)이 관통 형성된 내측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유입구(23)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23)로부터 상기 윈드커버부(20)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되, 배출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상기 유입구(23)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면부(22)가 외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윈드커버부(20)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결합시 상기 유로가 곡면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은 압력으로 차등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윈드커버부(20)는 곡면구조로 형성되므로 내부 공기는 축방향 위치에 따라 소정의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드커버부(20)는 형상에 상관없이 전방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드커버부(2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은 압력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홀(21)은 상기 내측면부(22)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유로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송풍홀(21)의 위치에 따라 토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홀(21)은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홀(21)의 개수는 후방으로 갈수록 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홀(21)의 개수는 애완동물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어 최적화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송풍홀(21)은 전방으로 갈수록 애완동물의 두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애완동물의 둔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송풍홀(21)은 상기 윈드커버부(2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4개소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3개소 및 2개소로 순차적으로 차등 배치되어 후방에는 2개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홀(21)이 애완동물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어 배치되므로 건조시간이 감소되고 최적화된 위치에 상기 송풍홀(21)이 배치되어 불필요한 송풍량이 감소되므로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홀(21)의 크기는 후방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어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이 상기 송풍홀(21)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송풍홀(21)의 수량, 배치, 및 크기를 최적화시켜 상기 수용공간(10c)의 측면 및 하부에서 공기가 골고루 토출됨에 따라 제품의 건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홀(21)은 공기의 배출방향이 집중되도록 외주가 함몰된 후 함몰된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수용공간(10c) 측으로 다시 돌출된 노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에 의한 애완동물의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드커버부(20)의 내부 공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은 압력으로 차등 형성되어 상기 송풍홀(21)을 통해 토출되되,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로 토출되는 토출량은 전방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서의 공기는 전방으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서의 공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되되, 상기 수용공간(10c)의 후방측에 구비된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70)의 흡입구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10c)과 연통되어 내부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구동부(60) 전면부에 구비된 제1흡입필터(90a)에 의해 상기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흡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팬(70)의 흡입구 타측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구동부(60)의 후면부에 구비된 제2흡입필터(90b)에 의해 상기 외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0c)의 전방에서 공기가 정체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의 전체적인 순환구조가 향상되어 제품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부(22)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홀(51)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 상기 송풍홀(21)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하단측 상기 송풍홀(21)의 형상은 상기 토출홀(51)에 대응되는 형상 및 수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출홀(51)은 원형의 형상으로 최하단측 상기 송풍홀(21)과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최하단측 상기 송풍홀(21)로 토출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토출홀(5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윈드커버부(2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최하단측 상기 송풍홀(21)에 연통된 상기 토출홀(51)로 공급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0c)으로 상향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0)의 바닥에서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어 측면 송풍시 공기의 건조범위 외의 애완동물 하부를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윈드커버부(20)의 전방 및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방 내측면 중 일측에는 결합돌기(24)가 돌출되고, 대향되는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24)가 삽입 및 걸림되는 결합홈(15)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드커버부(20)에 상기 결합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 상기 결합홈(15)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결합돌기(24)는 상기 윈드커버부(20)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결합홈(15)의 내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5)에 형합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돌기(24)는 상기 윈드커버부(20)의 전방으로부터 돌설되되, 상기 결합홈(15)과의 체결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내면측이 구배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협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4)의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5)에 삽입시 부드럽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드커버부(20)가 후방으로부터 삽입시, 상기 결합돌기(24)가 상기 결합홈(15)에 걸림지지되어 상기 윈드커버부(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4)와 상기 결합홈(15)은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는 일정한 이격 간격을 두고 2개소로 구비되되, 타측에는 1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돌기(24)와 상기 결합홈(15)은 1개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드커버부(20)의 외측부 및 상기 케이스부(10)의 내주 중 일측에는 걸림후크(25)가 돌설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후크(25)가 후크 결합되는 후크걸림턱(1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드커버부(20)에 상기 걸림후크(25)가 돌설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 상기 후크걸림턱(16)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걸림후크(25)는 단부가 상기 후크걸림턱(16) 측으로 돌설되어, 내측면이 걸림지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걸림턱(16)은 상기 케이스부(10)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되, 경사면에 상기 걸림후크(25)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홀은 상기 걸림후크(25)의 단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25)는 상기 후크걸림턱(16)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단부의 내측면이 상기 홀에 안착되면서 외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이동이 구속되어 걸림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지지된 상기 걸림후크(25)에 외측으로 외력 작용시 상기 걸림후크(25) 단부의 내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홀 사이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후크(25)가 상기 후크걸림턱(1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25)의 단부와 상기 후크걸림턱(16)이 결합 및 해제됨에 따라 상기 윈드커버부(20)가 상기 케이스부(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송풍홀(21)의 개수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상기 윈드커버부(20)를 교체식으로 삽입하여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호환변경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0), 상기 도어부(40), 상기 윈드커버부(20), 상기 배출창(30), 및 상기 받침부(50)를 각각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60)는 세척되는 장치와 분리되므로 수분 유입이 방지되어 고장이 방지되며 관리가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40), 상기 윈드커버부(20), 상기 배출창(30), 그리고 상기 받침부(50)를 분리하고 상기 케이스부(10) 내부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하여 애완동물용 하우스나 배변공간 등 펫드라이어 기능 이외의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상기 케이스부(10)의 측벽(10b)은 수용공간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분할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측벽(1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케이스부 11: 걸림부
20: 윈드커버부 21: 송풍홀
23: 유입구 22: 내측면부
30: 배출창 30b: 배출필터커버
40: 도어부 42: 힌지프레임
50: 받침부 50b: 집수부
60: 구동부 61: 회전식 락킹부
70: 송풍팬 80: 히터
100: 펫 드라이어

Claims (14)

  1.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공급하는 구동부가 연결되되,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에 구획되어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의 토출구에 연통되어 내부에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대향되는 내측면에 송풍홀이 형성된 윈드커버부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되도록, 상기 윈드커버부는
    외곽 테두리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송풍홀이 관통 형성된 내측면부와,
    후방부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유입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커버부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면부가 외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커버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송풍홀의 개수는 후방으로 갈수록 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애완동물의 두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애완동물의 둔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홀의 크기는 후방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홀에는 공기의 배출방향이 집중되도록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전면부는 개구되되, 상기 개구된 부분에는 도어부가 착탈식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윈드커버부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가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 내주면 사이에 형합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배수공이 구비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최하단측 상기 송풍홀은 상기 집수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토출홀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부에는 내부공기가 상향 배출되는 배출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커버부의 전방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 중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대향되는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및 걸림되는 결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펫 드라이어.
KR1020190052633A 2019-05-03 2019-05-03 펫 드라이어 KR20200127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33A KR20200127799A (ko) 2019-05-03 2019-05-03 펫 드라이어
CN202210246204.8A CN114568339B (zh) 2019-05-03 2020-04-26 宠物吹风机
CN202010337136.7A CN111869587B (zh) 2019-05-03 2020-04-26 宠物吹风机
CN202210257099.8A CN114403041B (zh) 2019-05-03 2020-04-26 宠物吹风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33A KR20200127799A (ko) 2019-05-03 2019-05-03 펫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99A true KR20200127799A (ko) 2020-11-11

Family

ID=7345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633A KR20200127799A (ko) 2019-05-03 2019-05-03 펫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855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엠씨에이 애완동물 건조 및 목욕 장치
KR102331916B1 (ko) * 2021-02-02 2021-12-01 (주) 크린파워랩 애완동물 관리용 하우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855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엠씨에이 애완동물 건조 및 목욕 장치
KR102331916B1 (ko) * 2021-02-02 2021-12-01 (주) 크린파워랩 애완동물 관리용 하우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0681A (ja) ペットドライルー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トレイ
KR101732865B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20110225838A1 (en) Dryer
KR101963814B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CN111271969A (zh) 床用烘干机
EP2802251B1 (en) Washing appliance with improved air handling system
KR20200127799A (ko) 펫 드라이어
KR20200127800A (ko) 펫 드라이어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20200127798A (ko) 펫 드라이어
CN109819907A (zh) 一种宠物自动吹水烘干装置
KR101595382B1 (ko) 펫 드라이 룸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US20050132603A1 (en) Dryer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JP2023537228A (ja) 乾燥機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180136773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101247267B1 (ko) 기능성 헤어드라이어
CN111869587B (zh) 宠物吹风机
KR20200127801A (ko) 펫 드라이어
JP3815366B2 (ja) 洗濯乾燥機
KR100602587B1 (ko) 바디 드라이어
KR20180136763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JP4149085B2 (ja) 食器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