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270A - 유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270A
KR20230131270A KR1020237028031A KR20237028031A KR20230131270A KR 20230131270 A KR20230131270 A KR 20230131270A KR 1020237028031 A KR1020237028031 A KR 1020237028031A KR 20237028031 A KR20237028031 A KR 20237028031A KR 20230131270 A KR20230131270 A KR 2023013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stator assembly
drive device
protrusion
flui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얀 후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04D13/06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02K5/132Submersible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유체 구동 장치는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한된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도성 부재는 제1 연결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단부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핀 단부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고정자 조립체와 외부 전원은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도성 부재는 제한 부재에 부분적으로 내장되며, 제한 부재는 사출-성형된 부재이다. 설명된 방식은 고정자 조립체의 통전 단부를 인출하는 것을 도와서 인출된 통전 단부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유체 구동 장치의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유체 구동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1월 25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유체 구동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0099594.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러한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유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구동 장치는 고정자 조립체를 포함하며, 고정자 조립체를 통전(energize)시키기 위해, 고정자 조립체의 통전 단부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자 조립체의 통전 단부를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유체 구동 장치의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하는 기술적 문제이다.
본 출원에 따른 목적은, 고정자 조립체의 하나의 단부를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유체 구동 장치의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데 유리한 유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음의 기술적 해법이 제공된다.
유체 구동 장치는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는 제한된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도성 부재는 제1 연결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단부는 유체 구동 장치의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핀 단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는 고정자 조립체가 유체 구동 장치의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전도성 부재는 제한 부재에 부분적으로 내장되며, 제한 부재는 사출 성형된 부재이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법에서, 유체 구동 장치는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는 제한된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도성 부재는 제1 연결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단부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핀 단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자 조립체는 전도성 부재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도성 부재는 제한 부재에 부분적으로 내장되며, 제한 부재는 사출 성형된 부재이며; 이상의 해법은 고정자 조립체의 제2 연결 단부를 인출하는 데 유리하여 제2 연결 단부는 외부 전원의 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 부재는 제한 부재에 의해 제한되며, 구조가 단순하고, 이는 유체 구동 장치의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데 유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함께 조립된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의 제1 실시예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의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부분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한 부재 및 제2 부분이 함께 조립되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제한 부재 및 제2 부분이 함께 조립되는 다른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전도성 부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의 하나의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의 다른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제2 부분이 함께 조립되는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8은 함께 조립된 도 17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전도성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1 전도성 부재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21은 하나의 방향으로의 도 20의 제1 부분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도 22는 다른 방향으로의 도 20의 제1 부분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본 출원은 도면들 및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이하에서 추가로 예시된다.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또는 언급될 가능성이 있는 위, 아래, 좌측, 우측, 전방, 후방, 내부, 외부, 상단 및 하단의 방위각 용어들은 대응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구조에 대해 정의되며, 이는 상대적인 개념들이고, 따라서 그들의 상이한 위치들 및 상이한 사용 상태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그리고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제한적인 용어들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유체 구동 디바이스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서 작동 매체에 대해 유동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동 매체는 50%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용성 용액과 같은 수용성 용액 또는 물일 수 있다. 확실히, 작동 매체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하우징, 회전자 조립체(1), 고정자 조립체(2), 샤프트(3) 및 파티션(4)을 포함하며, 회전자 조립체(1)는 샤프트(3)의 외부 원주의 외부에 장착되고; 유체 구동 장치(100)는 내부 캐비티를 더 포함하며, 파티션(4)은 내부 캐비티를 제1 캐비티(80) 및 제2 캐비티(90)로 분할하고, 작동 매체는 제1 캐비티(80)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제2 캐비티(90)는 작업 매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회전자 조립체(1)는 제1 캐비티(80)에 위치되며, 고정자 조립체(2)는 제2 캐비티(80)에 위치되고; 도 1을 참조하면, 고정자 조립체(2)는 고정자 철 코어(21), 절연 프레임(23) 및 권선(22)을 포함하며, 절연 프레임(23)은 고정자 철 코어(21)의 적어도 부분을 커버하고, 권선(22)은 절연 프레임(23) 주위에 감기며; 회전자 조립체(1)는 영구 자석(11) 및 임펠러(impeller) 조립체(12)를 포함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가 작동할 때, 고정자 조립체(2)에 의해 생성되는 여기(excitation) 자기장은 고정자 조립체의 권선(22)을 통과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되며, 회전자 조립체(1)는 여기 자기장의 작용 하에서 샤프트(3) 주위를 회전하거나 또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는 제한 부재(5) 및 전도성 부재(6)를 더 포함하며, 전도성 부재(6) 및 제한 부재(5)는 제한된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도성 부재(6)와 접촉하는 제한 부재(5)의 부분은 비-전도성이며, 이는, 유체 구동 장치가 작동하는 경우에 전도성 부재(6)를 통과하는 전류가 제한 부재(5)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자 조립체(2) 및 제한 부재(5)는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체적으로, 고정자 조립체(2)는 제한 부재(5)보다 임펠러 조립체(12)에 더 가깝고, 즉, 고정자 조립체(2)는 제한 부재(5)와 임펠러 조립체(12) 사이에 위치되며, 물론, 제한 부재(5)는 또한 고정자 조립체(2)와 임펠러 조립체(12)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은 제1 하우징(7)을 포함하며, 유체 구동 장치는 플러그-인 부분(71)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부분(71) 및 제1 하우징(7)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인 부분(71)은 제1 하우징(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부분(71)의 개구부는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배향되며, 플러그-인 부분(71), 제한 부재(5) 및 고정자 조립체(2)는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플러그-인 부분(71)은 수용 캐비티(710)를 가지며, 전도성 부재(6)의 일 부분은 수용 캐비티(710)에 위치되고, 플러그-인 부분(71)은,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가 수용 캐비티(710) 내로 연장되고 전도성 부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상의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소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연 프레임(23)은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 포스트(post)들(231)을 포함하며, 위치결정 포스트들(231)은 절연 프레임(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고; 제한 부재(5)는 위치결정 홀(51)을 포함하며, 위치결정 홀(51)의 수는 적어도 위치결정 포스트들(231)의 수와 동일하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홀들(51)의 수와 위치결정 포스트들(231)의 수는 각각 5개이며, 각각의 위치결정 포스트(231)는 각기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51)을 통과하고, 각각의 위치결정 포스트(231)는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51)과 정합(match)되어 제한 부재(5)는 원주 방향으로 제한되며,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위치결정 포스트(231)는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51)과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되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결정 포스트(231)의 하나의 단부는 위치결정 홀(51) 밖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는 위치결정 포스트(231)의 돌출 단부를 핫 리벳팅(hot rivet)함으로써 고정자 조립체(2)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한 부재(5)는 제한 부재(5)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부분(52)을 더 포함하며, 중공 부분(52)의 제공은 한편으로는 제한 부재(5)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제한 부재(5)에 대해 사용되는 재료를 감소시켜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성 부재(6)는 제1 연결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단부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핀 단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자 조립체(2)는 전도성 부재(6)를 통해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고정자 조립체(2)의 통전 단부를 인출하는 데 유리하여 인출된 통전 단부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6)가 제한 부재(5)에 의해 제한됨에 따라, 조립이 편리하고, 이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데 유리하며; 이상의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소개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전도성 부재(61)를 포함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는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권선(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전력 핀 단부로서 역할하며,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3개의 제1 전도성 부재들(61)을 포함하고, 3개의 제1 전도성 부재들(61)의 제2 연결 단부들(612)은 각각 외부 인터페이스의 U-상 핀 단부, V-상 핀 단부 및 W-상 핀 단부로서 사용되며 나란히 배열되고; 물론, 3개의 제1 전도성 부재들(61)의 제2 연결 단부들(612)은 또한 행(row)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특정 배열 위치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권선들(22)은 3상 권선들에 대응하며, 제1 전도성 부재들(61)의 수는 권선들의 상들의 수와 동일하다. 물론,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권선(22)이 단상 권선일 때, 제1 전도성 부재들(61)의 수는 또한 2개일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2 전도성 부재(62)를 더 포함하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고정자 철 코어(21)와 전도성으로 접촉하며,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연결 단부(622)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접지 핀 단부로서 사용되고, 이는 고정자 철 코어(21)의 표면 상의 정전기를 인출하는 데 유리하며, 추가로 정전기가 유체 구동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고;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자 철 코어(21)는 오목한 부분(211)을 포함하며, 오목한 부분(211)은 고정자 철 코어(21)의 외부 주변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오목한 부분(211)의 캐비티 내로 돌출하며 오목한 부분(211)의 측벽에서 고정자 철 코어와 접촉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전도성 부재 및 제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전도성 부재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전력 핀 단부로서 사용되고, 제2 전도성 부재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접지 핀 단부로서 사용되며; 물론, 유체 구동 장치는 또한 제1 전도성 부재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 전도성 부재는 단지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전력 핀 단부일 필요가 있고; 즉, 제2 전도성 부재를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의 접지 핀 단부로서 별개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다음의 내용은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제1 전도성 부재 및 제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구동 장치를 예로 든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도성 부재(61)는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을 포함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은 별개로 배열되고, 여기서 "별개의 배열"은, 2개의 독립적인 부분들인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이 개별적으로 프로세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제1 전도성 부재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하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는 제1 부분(613)의 제1 단부에 위치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제2 부분(614)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의 중심 축(L1)과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의 중심 축(L2)은 서로 평행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의 중심 축(L1) 및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의 중심 축(L2) 둘 모두는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의 중심 축(L1) 및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의 중심 축(L2) 둘 모두는 유체 구동 장치의 중심 축에 평행하며; 여기서, "평행"은 이론적 평행을 의미하지만, 실제 제조 및 조립 프로세스에서 오차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조 및 조립에 의해 초래된 모든 평행 오차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분(614)의 제2 단부는 연결 홀(6140)을 가지며, 연결 홀(6140)은 관통 홀이고,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부분(613)의 제2 단부는 연결 홀(6140) 내로 연장되고 제2 부분(614)과 단단히 끼워 맞춰지며, 이는 제1 부분(613)과 제2 부분(614)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1 부분(613)과 제2 부분(614) 사이의 전기적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단단한 끼워맞춤은 다음을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의 성형 프로세스는 굽힘(bending)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굽힘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은 2개의 굴곡부(bend)들을 포함한다. 물론, 외부 플러그-인 부분의 실제 위치에 따라, 제2 부분은 한 번 또는 여러 번 구부러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분(614)은 제1 직선 섹션(615), 제2 직선 섹션(616) 및 제1 수직 섹션(617)을 더 포함하며, 제2 직선 섹션(616)의 하나의 단부는 원호 전환부(arc transition)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제1 직선 섹션(615)에 연결되고, 제2 직선 섹션(616)의 다른 단부는 원호 전환부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제1 수직 섹션(617)에 연결되며, 제2 연결 단부(612)는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수직 섹션(617)의 단부에 위치되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직선 섹션(615) 및 제2 직선 섹션(616)은 동일 평면에 위치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섹션(615) 및 제2 직선 섹션(616)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1 수직 섹션(617)은 제2 직선 섹션(616)에 수직이며, 제1 수직 섹션(617)은 제1 직선 섹션(615)에 수직이고, 이상에서 언급된 "수직"은 이론적 수직이지만, 실제 제조 및 조립 프로세스에서 오차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조 및 조립에 의해 초래된 모든 수직 오차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섹션(615)은 제2 직선 섹션(616)에 수직이며, 제1 수직 섹션(617)은 제1 직선 섹션(615)에 수직이고, 물론, 제1 직선 섹션(615)과 제2 직선 섹션(616)은 또한 다른 각도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제1 수직 섹션(617)과 제1 직선 섹션(615)은 또한 다른 각도로 배열될 수도 있고;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단부(612)의 두께는 제1 수직 섹션(617)의 두께보다 더 작으며, 물론, 제2 연결 단부(612)의 두께는 또한 제1 수직 섹션(617)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클 수도 있고, 특정 두께 파라미터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2 부분(614)의 2개의 굽힘 프로세스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1 굽힘은 제1 직선 섹션(615)과 제2 직선 섹션(616) 사이의 굽힘이며; 제2 굽힘은 제2 직선 섹션(616)과 제1 수직 섹션(617) 사이의 굽힘이고; 여기서 제1 굽힘 및 제2 굽힘은 굽힘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부재(62)는 일체형 구조체이며, 여기서 "일체형 구조체"는 제2 전도성 부재(62)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프로세싱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물론, 제2 전도성 부재(62)는 또한 별개의 몸체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즉, 제2 전도성 부재(62)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하나의 몸체 내에 조립될 수 있고;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단부는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이며,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단부는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연결 단부(622)이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볼록한 형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단부(621)는 고정자 철 코어에 가까운 방향으로 돌출되며;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의 돌출부는 외부 벽(6211) 및 내부 벽(6212)을 가지며, 외부 벽(6211)은 고정자 철 코어(21)와 접촉하고, 내부 벽(6212)의 단부는 도 1의 제1 하우징(7)의 캐비티의 내부 벽과 접촉하며, 제1 하우징(7)의 캐비티의 내부 벽은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에 힘을 가하여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가 고정자 철 코어(21)와 접촉할 수 있어서 고정자 철 코어(21)와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볼록하며, 물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또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도성 부재(62)의 성형 프로세스도 또한 굽힘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굽힘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은 3개의 굴곡부들을 포함한다. 물론, 외부 플러그-인 부분의 실제 위치에 따라, 제2 부분은 한 번 또는 두 번 또는 여러 번 구부러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도성 부재(62)는 제1 섹션(625), 제2 섹션(626) 및 제3 섹션(627)을 포함하고, 제1 섹션(625)은 제2 섹션(626)보다 제2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621)에 더 가까우며, 제2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621)는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섹션(625)의 단부에 위치되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연결 단부(622)는 연장 방향을 따라 제3 섹션(627)의 단부에 위치되며, 제2 섹션(626)의 하나의 단부는 원호 전환부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제1 섹션(625)과 연결되고, 제2 섹션(626)의 다른 단부는 원호 전환부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제3 섹션(627)과 연결되며; 제1 섹션(625)과 제2 섹션(626)은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고, 제3 섹션(627)과 제2 섹션(626)은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며; 제2 부분의 굽힘 프로세스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1 굽힘은 제1 섹션(625)과 제2 섹션(626) 사이의 굽힘이며; 제2 굽힘은 제2 섹션(626)과 제3 섹션(627) 사이의 굽힘이고; 제3 굽힘은 제2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621)의 굽힘이며; 여기서 제1 굽힘, 제2 굽힘 및 제3 굽힘은 굽힘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는 삽입물(insert)들로서 제2 부분(614) 및 제2 전도성 부재(62)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한 부재(5)는 몸체 부분(53)을 포함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는 몸체 부분(53)의 하나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몸체 부분(53)의 하나의 측면에 위치되고,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 및 제2 연결 단부(612)는 몸체 부분(53)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는 몸체 부분(53)의 상부 측면에 위치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몸체 부분(53)의 하부 측면에 위치되고, 물론,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 및 제2 연결 단부(612)는 또한 몸체 부분(53)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2개의 연결 단부들 사이의 특정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외부 전원의 인터페이스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는 몸체 부분(53)의 하나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연결 단부(622)는 몸체 부분(53)의 다른 측면에 위치되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1 연결 단부(621) 및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연결 단부(611)는 몸체 부분(53)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되며,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연결 단부(622) 및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2 연결 단부(612)는 몸체 부분(53)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 및 제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구동 장치는 소개를 위한 일 예로서 사용된다. 물론, 유체 구동 장치가 제1 전도성 부재만을 포함할 때, 제2 부분(614)을 사출 성형에 대한 삽입물로서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한 부재(5)는 보강 부분(54)을 더 포함하며, 보강 부분(54)은 제한 부재(5)의 몸체 부분(53)으로부터 돌출하고, 제2 부분(614)의 일 부분은 보강 부분(54) 및 몸체 부분(53)에 내장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강 부분(54)을 제한 부재(5)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제2 부분(614)은 보강 부분(54) 및 몸체 부분(53)에 부분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제2 부분(614)과 제한 부재(5) 사이의 연결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제2 부분(614)과 제한 부재(5)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개선하는 데 유리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한 부재(5)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강 부분(54)은 제2 부분(614)과 제한 부재(5)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제한 부재(5)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 부재(5)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서 비용을 추가로 절감하는 것이 유리하며; 물론, 비용 요인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제2 부분(614)과 제한 부재(5) 사이의 연결 강도는 또한 제한 부재(5)의 총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제2 직선 섹션(616), 및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은 제한 부재(5)의 몸체 부분(53)과 접촉하고 함께 끼워 맞춰지며, 제한 부재(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55)를 더 포함하고, 제1 돌출부(55)는 몸체 부분(5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는 다수의 제1 돌출부들(55)을 포함하고, 제1 돌출부들(55)의 제1 루트(root)는 몸체 부분(53)에 연결되며, 제1 돌출부들(55)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의 제2 루트는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에 밀접하여(against) 눌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제2 루트는 제2 직선 섹션(616)에 밀접하여 눌리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제2 루트는 제2 전도성 부재의 제2 섹션(626)에 밀접하여 눌리고, 이는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제2 직선 섹션(616) 및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이 몸체 부분(53)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고,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제2 직선 섹션(616) 및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은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으로 추가로 제한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5)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돌출부(55)는 비-전도성이며, 유체 구동 장치가 작동할 때, 이는 제1 전도성 부재(61) 및 제2 전도성 부재(62)를 통과하는 전류가 제1 돌출부(55)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제2 직선 섹션(616) 및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은 몸체 부분(53)에 내장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및 제2 직선 섹션(616)의 상부 표면들과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의 상부 표면은 몸체 부분(53)의 상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고, 전도성 부재들의 상부 표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의 제1 직선 섹션(615) 및 제2 직선 섹션(616)의 상부 표면들과 제2 전도성 부재(62)의 제2 섹션(626)의 상부 표면의 노출된 부분들은 위치결정 기준 표면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한 부재(5)는 다수의 제2 돌출부들(56)을 더 포함하며, 제2 돌출부(56)는 몸체 부분(53)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단부(611)는 와이어 슬롯(6111)을 포함하며, 도 4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나멜 와이어는 개략적으로 와이어 슬롯을 통해 인출되고; 도 1의 고정자 조립체(2)의 권선(22)에 대응하는 에나멜 와이어는 와이어 슬롯(61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와이어 슬롯(6111)에 위치된 에나멜 와이어(221)는 와이어 슬롯(6111)에 대응하는 슬롯 벽과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돌출부(56)의 상단 표면(563)은 와이어 슬롯(6111)의 홈 벽에 대응하는 하단 표면(6112)보다 더 높고, 와이어 슬롯(6111)을 통과하는 에나멜 와이어(221)는 제2 돌출부(56)의 상단 표면(563) 상에 지지되거나, 또는 와이어 슬롯(6111)을 통과하는 에나멜 와이어(221)는 제2 돌출부(56)의 상단 표면(563)보다 더 높으며; 유체 구동 장치의 사용 동안, 와이어 슬롯(6111)에서 에나멜 와이어의 낙하 거리는 제한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어 슬롯(6111)의 하단의 방사상 치수는 에나멜 와이어(221)의 방사상 치수보다 더 크며, 와이어 슬롯(6111)에서 에나멜 와이어(221)가 와이어 슬롯(6111)의 하단에 있는 캐비티 내로 떨어지는 경우, 에나멜 와이어(221)가 제1 연결 단부(611)와 접촉하지 않고 그에 따라 전도를 달성할 수 없는 것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56)가 제공되고, 이는 와이어 슬롯(6111)에서 에나멜 와이어가 와이어 슬롯(6111)의 하단에 있는 캐비티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에나멜 와이어(221)와 제1 연결 단부(611)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데 유익하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56)의 일 부분은 제1 연결 단부(611)의 하나의 측면 상에 위치되며, 제2 돌출부(56)의 일 부분은 제1 연결 단부(611)의 다른 측면 상에 위치되고;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연결 단부(611)의 하나의 측면에 위치된 제2 돌출부는 제2 메인 돌출부(561)로서 정의되며, 제1 연결 단부(611)의 다른 측면에 위치된 제2 돌출부는 제2 보조 돌출부(562)로서 정의되고, 제2 메인 돌출부(561)는 제2 보조 돌출부(562)와 평행하게 배열되며; 제2 메인 돌출부(561), 제1 연결 단부(611) 및 제2 보조 돌출부(562)는 제한 부재(5)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분포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연결 단부(611)의 2개의 측면들에는 각각 돌출부들이 제공되어 와이어 슬롯(6111)을 통과하는 에나멜 와이어의 단부들 둘 모두는 대응하는 돌출부들의 상단 표면 상에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어 슬롯(6111)을 통과하는 에나멜 와이어의 단부들 둘 모두는 대응하는 돌출부의 상단 표면보다 더 높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제1 연결 단부(611)의 양 측면들 상에 배열되며, 물론, 제1 연결 단부(611)의 하나의 측면에만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도 1의 전도성 부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12는, 도 1의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전도성 부재의 제2 실시예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a)는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을 포함하며,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은 일체형 구조이고, 여기서 "일체형 구조"는,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프로세싱되거나 또는 제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1 부분(613a)은 제2 부분(614a)의 제1 직선 섹션(615a)에 수직이고, 제1 부분(613a)은 제2 부분(614a)의 제1 직선 섹션(615a)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부재(62a)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제2 전도성 부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a) 및 제2 전도성 부재(62a)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한 부재(5a)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물들로서 사용된다.
전도성 부재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은 일체형 구조이고, 제1 전도성 부재(61a) 및 제2 전도성 부재(62a)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한 부재(5a)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물들로서 사용되며, 형성된 제한 부재(5a)를 고정자 조립체와 조립하기만 하면 되고, 조립 단계들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어서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데 유리하고 유체 구동 장치의 조립 효율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a)의 다른 구조적 특징들은 제한 부재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출원의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 및 제1 하우징(7')은 일체형 구조이며;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도성 부재(6')는 제1 전도성 부재(61') 및 제2 전도성 부재(62')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부재(61')의 하나의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권선(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다른 단부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전원 핀 단자로서 역할하고; 제2 전도성 부재(62')의 하나의 단부는 고정자 조립체(2) 내의 고정자 철 코어(21)와 접촉하며, 제2 전도성 부재(62')의 다른 단부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접지 핀 단자로서 역할한다. 제2 전도성 부재의 제공은 고정자 철 코어(21)의 표면 상의 정전기를 전도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추가적으로 정전기가 유체 구동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전도성 부재(61')는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을 포함하며,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은 별개의 구조체들이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 및 제2 전도성 부재(62')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한 부재(5')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물들로서 사용되며; 제1 전도성 부재(61')의 구조와 관련하여, 이상의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전도성 부재의 구조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 및 제1 하우징(7')은 일체형 구조이며, 제한 부재(5')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서 유체 구동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이 더 간단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제한 부재(5') 및 전도성 부재(6')의 다른 구조적 특징들에 대해,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도 14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14의 제1 하우징,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제2 실시예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는 삽입물로서 전도성 부재(6a')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 및 제1 하우징(7')은 일체형 구조이며;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전도성 부재(6a')는 제1 전도성 부재(61a') 및 제2 전도성 부재(62a')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부재(61a')는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을 포함하며,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은 일체형 구조이고, 여기서 "일체형 구조"는,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4a')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프로세싱되거나 또는 제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5') 및 제1 하우징(7')은 일체형 구조이며, 제한 부재(5')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서 유체 구동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이 더 간단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제한 부재(5') 및 전도성 부재(6')의 다른 구조적 특징들에 대해,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전도성 부재 및 제한 부재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도 1의 전도성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며, 전도성 부재의 제3 실시예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도성 부재(6b)는 제1 전도성 부재(61b) 및 제2 전도성 부재(62b)를 포함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부재(61b)는 제1 부분(613b) 및 제2 부분(614b)을 포함하고, 제1 부분(613b) 및 제2 부분(614b)은 별개의 구조체들이며, 여기서 "별개의 구조체"는, 제1 부분(613b) 및 제2 부분(614b)이 각각 2개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들로 프로세싱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부재(62b)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제2 전도성 부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b)은 연결 홀(6140b)을 가지며, 연결 홀(6140b)은 관통 홀이고,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부분(613b)의 제2 단부는 연결 홀(6140b) 내로 연장되고 연결 홀(6140b)과 단단히 끼워 맞춰지며, 이는 제1 부분(613b)과 제2 부분(614b)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1 부분(613b)과 제2 부분(614b) 사이의 전기적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단단한 끼워맞춤은 억지 끼워맞춤 또는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을 통한 2개 사이의 단단한 연결을 나타낸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614b)은 메인 몸체 부분(6141b) 및 돌출부(6142b)를 포함하며, 돌출부(6142b)는 연결 홀(6140b) 주위로 메인 몸체 부분(6141b)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제2 부분(614b)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결 홀(6140b)은 메인 몸체 부분(6141b)의 상부 표면 및 돌출부(6142b)의 하부 표면(6143b)을 관통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메인 몸체 부분(6141b)의 두께는 1.5mm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하며, 돌출부(6142b)의 벽 두께는 0.5mm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6142b)는 연결 홀을 플랜징(flange)함으로써 형성되며, 플랜징 프로세스 동작 이전에, 연결 홀(6140b)의 직경은 실제 요구 직경보다 더 작고, 플랜징 프로세스를 통해, 연결 홀의 직경이 확장되고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몸체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플랜징 프로세스는 연결 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데 유리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1 부분(613b)과 연결 홀(6140b)의 정합 높이를 증가시키는 데 유리하며; 반면, 플랜징 프로세스를 통해 연결 홀(6140b)의 연장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몸체 부분(6141b)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제2 부분(614b)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을 예시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해법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시내용의 기술적 해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예들 및 등가물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이들 모두가 본 시내용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고정자 조립체, 제한 부재 및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한 부재는 제한된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제1 연결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핀 단부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가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상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한 부재에 부분적으로 내장되며, 상기 제한 부재는 사출 성형된 부재인, 유체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내부 캐비티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내부 캐비티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자 조립체 및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고정자 조립체는 상기 제한 부재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유체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 부재 및 상기 제1 하우징은 일체형 구조인, 유체 구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하나의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하나의 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 및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양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유체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하부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자 조립체의 절연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 포스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포스트들은 상기 고정자 조립체의 상기 절연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며; 상기 제한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포스트들의 각각은 각기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들을 통과하며, 상기 위치결정 포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들과 협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위치결정 포스트들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위치결정 홀들 밖으로 돌출하며, 상기 위치결정 포스트의 돌출 단부를 핫 리벳팅(hot riveting)함으로써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유체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제1 루트(root) 부분은 상기 몸체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루트 부분은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표면의 일 부분에 밀접하여 눌리는, 유체 구동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몸체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연결 단부의 하나의 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와이어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 조립체의 권선에 대응하는 에나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슬롯을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 슬롯에 위치된 상기 에나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슬롯에 대응하는 슬롯 벽과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제한 부재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분포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단 표면은 상기 와이어 슬롯의 슬롯 벽에 대응하는 하단 표면보다 더 높으며, 상기 와이어 슬롯을 통과하는 상기 에나멜 와이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상단 표면 상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와이어 슬롯을 통과하는 상기 에나멜 와이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상단 표면보다 더 높은, 유체 구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제1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 내의 권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의 제2 연결 단부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전력 핀 단부로서 역할하는, 유체 구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제1 전도성 부재 및 제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 내의 권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의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 핀 단부로서 사용되며; 상기 제2 전도성 부재의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고정자 조립체 내의 고정자 철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성 부재의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상기 외부 전원의 접지 핀 단부로서 역할하는, 유체 구동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제2 부분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단부의 중심 축 및 상기 제2 연결 단부의 중심 축은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체 구동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일체형 구조이며; 상기 제한 부재는 삽입물로서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제1 직선 섹션, 제2 직선 섹션 및 제1 수직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섹션 및 상기 제2 직선 섹션은 상기 제한 부재의 메인 몸체와 접촉하고 이와 끼워 맞춰지며, 상기 제2 직선 섹션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직선 섹션의 하나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직선 섹션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1 수직 섹션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직선 섹션은 상기 제2 직선 섹션과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수직 섹션은 상기 제1 직선 섹션과 수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직선 섹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직선 섹션에 수직이며, 상기 제2 연결 단부는 상기 제1 수직 섹션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는, 유체 구동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별개로 배열되며; 상기 제2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물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2 단부는 연결 홀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연결 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과 단단하게 끼워 맞춰지는, 유체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메인 몸체 부분 및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몸체 부분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연결 홀 주위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 홀은 상기 제2 부분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몸체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돌출부의 하부 표면을 관통하는, 유체 구동 장치.
KR1020237028031A 2021-01-25 2021-09-26 유체 구동 장치 KR20230131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099594 2021-01-25
CN202110099594.6 2021-01-25
PCT/CN2021/120571 WO2022156261A1 (zh) 2021-01-25 2021-09-26 一种流体驱动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270A true KR20230131270A (ko) 2023-09-12

Family

ID=8254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031A KR20230131270A (ko) 2021-01-25 2021-09-26 유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83842A1 (ko)
JP (1) JP2023536930A (ko)
KR (1) KR20230131270A (ko)
CN (1) CN115885457A (ko)
WO (1) WO20221562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2671B (zh) * 2016-06-23 2020-09-15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泵
CN210240012U (zh) * 2019-01-15 2020-04-03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泵
CN210397143U (zh) * 2019-04-10 2020-04-2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6261A1 (zh) 2022-07-28
EP4283842A1 (en) 2023-11-29
JP2023536930A (ja) 2023-08-30
CN115885457A (zh)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4514B (zh) 用于车辆的压缩机
US20190203715A1 (en) Cluster assembly and electric compressor comprising same
US20150123501A1 (en) Motor
CN216016576U (zh) 母线单元
CN113196621B (zh) 电机
US11658537B2 (en) Motor and electric pump having the same
US11955866B2 (en) Motor
EP4037157A1 (en) Stator of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KR20230131270A (ko) 유체 구동 장치
KR102455644B1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042686A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9431866B2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0763709B2 (en) Stator assembly, electric pump having sta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assembly
US20210340996A1 (en) Fan motor
CN215681965U (zh) 用于电机的母排单元
CN211429070U (zh) 电动机及阀芯驱动装置
CN114930693A (zh) 电机
CN113964992A (zh) 用于马达的母线单元
CN214788162U (zh) 电动冷却水泵
CN112673547A (zh) 马达
US20240055924A1 (en) Fluid drive device
CN221126998U (zh) 一种电动泵
CN211296340U (zh) 整体式的电机铁芯
JP2019152194A (ja) 電動圧縮機
CN211296346U (zh) 新型电机安装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