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05A - 펌핑형 용기 - Google Patents

펌핑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05A
KR20230131005A KR1020220028318A KR20220028318A KR20230131005A KR 20230131005 A KR20230131005 A KR 20230131005A KR 1020220028318 A KR1020220028318 A KR 1020220028318A KR 20220028318 A KR20220028318 A KR 20220028318A KR 20230131005 A KR20230131005 A KR 2023013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tton
cylind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102022002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05A/ko
Priority to CN202210858299.9A priority patent/CN116750334A/zh
Priority to JP2022115619A priority patent/JP2023129198A/ja
Priority to US17/874,950 priority patent/US20230278054A1/en
Publication of KR2023013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부와 중공(中空)의 저장공간부와 하단이 상기 저장공간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공간부의 상단에 결합된 관형태의 저장용기체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용기밀폐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 사이공간을 용기보관공간이라고 할 때 상기 저장공간부가 상기 용기보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체결부재의 상단이 상기 용기밀폐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용기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통과공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와 상기 실린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측면부가 상기 용기측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저장공간부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를 구비한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의 내표면에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와 일단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형성된 수평배출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가 상기 실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용기부와 상기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버튼승강안내부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중간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을 상기 실린더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버튼의 복귀탄성력을 저장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실린더를 향해 하강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중간유로부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버튼에 대한 가압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저장공간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펌핑부를 갖는 펌핑형 용기에 있어서, 개폐완칼선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변형개폐부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개폐부재를 구비한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출개폐부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펌핑형 용기{Pumping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펌핑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저장된 액체형태의 화장품, 샴푸 등과 같은 물질을 펌핑방식으로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형태의 화장품, 샴푸 등과 같은 물질은 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판매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장품, 샴푸와 같은 액체형태의 물질을 '액상물질'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용기에 저장된 액상물질을 조금씩 배출시켜 사용하는 데, 이를 위해 버튼과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용기에 담긴 액상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는 펌핑부를 갖는 펌핑형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펌핑형 용기의 경우 액상물질이 비의도적으로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용기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오염 또는 변질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배출경로상에 남아있는 액상물질이 굳어 배출경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상물질의 배출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동안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펌핑형 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8 및 도19는 각각 종래 펌핑형 용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20은 종래 펌핑형 용기에 따른 노즐관과 배출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펌핑형 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지지부(140)와, 실린더지지부(1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실린더(151)와, 실린더(151)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160)과, 용기부(110)와 버튼(160) 사이에 설치된 버튼승강안내부(152)와,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171)를 구비한 펌핑부(170)와, 버튼(160)에 결합된 노즐관(155)과, 노즐관(155)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개폐부재(181)를 구비한 배출개폐부(180)를 갖고 있다.
실린더지지부(140)는 실린더지지판부(141)와, 실린더지지판부(14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외측체결벽부(142)와, 실린더지지판부(141)의 중앙에서 외측체결벽부(142)에 나란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내체결벽부(143)를 갖고 있다.
실린더(151)는 통과공(151c)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151a)와, 실린더바닥면부(151a)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151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151)는 실린더측면부(151b)가 용기측면부(112)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실린더측면부(151b)의 내표면을 통해 내체결벽부(143)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버튼(160)은 버튼바디부(161)와, 버튼바디부(161)에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162) 및 수평배출유로부(163)를 갖고 있다.
버튼바디부(161)는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161a)와, 버튼바디측면부(161a)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161b)를 포함한다.
수직배출유로부(162)와 수평배출유로부(163)의 연결영역에는 지지격벽(164)이 형성된다.
지지격벽(164)에는 격벽배출안내공(164a)이 형성된다.
버튼승강안내부(152)는 실린더지지판부(1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관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펌핑부(170)는 체크밸브(171)에 더하여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172)과, 실린더피스톤(172)의 상측에 설치된 관형태의 가압부재(173)와, 가압부재(173)의 내부에 설치된 관형태의 개폐작동부재(174)와, 버튼(160)과 실린더지지판부(141) 사이에 설치된 버튼복귀스프링(177)을 갖고 있다.
체크밸브(171)는 저면이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절취된 밸브헤드부(171a)와, 밸브헤드부(17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봉형태의 밸브가이드부(171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크밸브(171)는 밸브헤드부(171a)가 통과공(151c)을 폐쇄하고, 밸브가이드부(171b)가 개폐작동부재(174)에 진입하도록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실린더피스톤(172)은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피스톤밀착부(172a)와, 실린더피스톤밀착부(172a)의 내부에서 실린더피스톤밀착부(172a)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를 갖고 있다.
실린더피스톤밀착부(172a)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의 연결영역은 에이치(1H)자 단면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피스톤(172)은 실린더피스톤밀착부(172a)가 실린더측면부(151b)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압부재(173)는 수평배출유로부(16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개폐작동부재(174)는 개폐작동관부(174a)와, 개폐작동관부(174a)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개폐스커트부(174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작동부재(174)는 개폐스커트부(174b)의 상면이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개폐작동관부(174a)의 상단을 통해 수직배출유로부(162)에 결합된다.
버튼복귀스프링(177)은 양단이 실린더지지판부(141)의 상면과 수평배출유로부(163)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노즐관(155)은 버튼바디측면부(161a)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수평배출유로부(163)에 설치된다.
배출개폐부(180)는 노즐개폐부재(181)에 더하여 노즐관(155)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지지스프링(182)을 갖고 있다.
노즐개폐부재(181)는 노즐개폐봉부(181a)와, 노즐개폐봉부(181a)의 후단 외표면으로부터 방사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폐부재지지플랜지(181b)와, 노즐개폐봉부(181a)의 후단으로부터 노즐개폐봉부(181a)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스프링지지봉부(181c)를 갖고 있다.
개폐부재지지플랜지(181b)에는 다수의 플랜지배출안내공(181d)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노즐개폐부재(181)는 노즐개폐봉부(181a)가 노즐관(155)의 전단을 밀폐하도록 설치한다.
개폐부재지지스프링(182)은 노즐개폐봉부(181a)의 후단과 지지격벽(164)에 지지되고, 스프링지지봉부(181c)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펌핑형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2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튼(160)은 상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버튼(160)을 실린더(151)를 향해 가압하여 버튼(160)을 하강시킨다. 버튼(160)이 하강하는 동안 버튼복귀스프링(177)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버튼(160)이 하강할 때 가압부재(173)와 개폐작동부재(174)도 함께 하강하기 시작한다.
실린더피스톤(172)은 하강하는 가압부재(173)에 의해 가압될 때까지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버튼(160)과 함께 하강한다.
실린더피스톤(172)이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부재(173)가 하강하는 동안 개폐스커트부(1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실린더(151)의 내부공간은 가압부재(173)의 내표면과 개폐작동부재(174)의 외표면 사이 공간을 통해 수직배출유로부(162)에 연결된다.
실린더피스톤(172)이 버튼(160)과 함께 하강하면, 실린더(151)의 내부는 양압(陽壓) 상태가 된다.
실린더(151)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면, 체크밸브(171)는 통과공(151c)을 밀폐하고 실린더(151)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은 수직배출유로부(162), 격벽배출안내공(164a), 플랜지배출안내공(181d) 및 노즐관(155)에 도달한다.
액상물질이 노즐관(155)에 도달하면 액상물질의 배출압력이 노즐개폐봉부(181a)의 전단과 노즐관(155)의 전단 사이의 접촉영역에 인가되어 노즐개폐봉부(181a)의 전단은 노즐관(155)의 전단으로부터 지지격벽(164) 쪽으로 후퇴한다. 노즐개폐봉부(181a)의 전단이 지지격벽(164) 쪽으로 후퇴하는 동안 개폐부재지지스프링(182)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노즐관(155)에 도달한 액상물질의 배출압력은 노즐개폐봉부(181a)의 배면, 노즐개폐봉부(181a)의 배면 및 개폐부재지지플랜지(181b)의 배면에도 미친다.
노즐개폐봉부(181a)의 전단이 노즐관(155)의 전단으로부터 후퇴하면 노즐관(155)에 도달한 액상물질은 외부로 배출된다(도21 참조).
다음에 버튼(160)에 대한 가압동작을 중지한다. 버튼(160)에 대한 가압동작이 중지되면 버튼(160)은 버튼복귀스프링(177)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고 노즐개폐부재(181)는 개폐부재지지스프링(18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노즐관(155)의 전단을 밀폐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가압부재(173)와 개폐작동부재(174)는 버튼(160)과 함께 상승을 시작한다.
실린더피스톤(172)은 개폐작동부재(174)의 상승에 의해 개폐스커트부(1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버튼(160)과 함께 상승한다.
실린더피스톤(172)이 정지된 상태에서 개폐작동부재(174)가 상승하는 동안 개폐스커트부(1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172b)의 하단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151)의 내부공간과 수직배출유로부(162) 사이의 연결은 차단된다.
실린더피스톤(172)이 버튼(160)과 함께 상승하면, 실린더(151)의 내부는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실린더(151)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면 밸브헤드부(171a)은 상승하여 통과공(151c)이 개방된다.
통과공(151c)이 개방되면, 용기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은 실린더(15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런데 종래의 펌핑형 용기에 따르면, 노즐개폐봉부(181a)의 전단이 노즐관(155)의 전단으로부터 지지격벽(164) 쪽으로 후퇴하는 동작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즉, 노즐관(155)의 전단을 향해 액상물질의 배출압력이 노즐개폐봉부(181a)의 배면, 노즐개폐봉부(181a) 및 개폐부재지지플랜지(181b)에 미치기 때문에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160)에 대한 가압력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내부공간이 작은 노즐관(155)의 내부에 노즐개폐부재(181)와 개폐부재지지스프링(182)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배출개폐부(180)의 조립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2746호(등록일자: 2002년 7월 9일, 고안의 명칭: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펌핑형 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출개폐부의 조립작업이 용이한 펌핑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통과공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와 상기 실린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측면부가 상기 용기측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저장공간부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를 구비한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의 내표면에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와 일단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형성된 수평배출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가 상기 실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용기부와 상기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버튼승강안내부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중간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을 상기 실린더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버튼의 복귀탄성력을 저장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실린더를 향해 하강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중간유로부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버튼에 대한 가압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저장공간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펌핑부를 갖는 펌핑형 용기에 있어서, 개폐완칼선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변형개폐부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개폐부재를 구비한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배출개폐부재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개폐부는 방지판배출안내공이 관통 형성된 이탈방지판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판이 상기 배출개폐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배출개폐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버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이탈방지부재를 버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탈방지부재의 추가에 따라 버튼의 가압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에는 한 쌍의 체결장공이 각각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에 나란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이탈방지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이탈방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체결장공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부를 상기 체결장공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버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부재를 버튼에 결합할 때 체결돌부를 용이하게 체결장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는 상면 중 상기 체결장공 사이 영역에 상기 체결장공에 대한 상기 체결돌부의 초기삽입깊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체결안내면이 상기 탄성변형개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절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태의 버튼바디천장면부의 내표면에 버튼바디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수직배출유로부를 형성하고 일단은 버튼바디측면부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수직배출유로부에 연결되고 수직배출유로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버튼바디부에 수평배출유로부를 형성하는 한편, 개폐완칼선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를 구비한 배출개폐부재를 탄성변형개폐부가 수평배출유로부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버튼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출개폐부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
도6은 도4의 B-B선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가 버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를 일측 개폐부재지지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밀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승강안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단면도,
도18 및 도19는 각각 종래 펌핑형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20은 종래 펌핑형 용기에 따른 노즐관과 배출개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종래 펌핑형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6은 도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가 버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개폐부재를 일측 개폐부재지지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밀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승강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와, 용기부(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실린더(51)와, 실린더(51)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60)과, 용기부(10)와 버튼(60) 사이에 설치된 버튼승강안내부(52)와,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71)를 구비한 펌핑부(70)와, 버튼(60)에 결합된 배출개폐부재(81)를 구비한 배출개폐부(80)와, 실린더(51)의 하단에 결합된 튜브(53)와, 버튼(60)에 결합된 버튼홀더(54)를 갖고 있다.
용기부(10)는 용기바닥면부(11)와, 용기바닥면부(1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2)와, 용기측면부(12)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용기측면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부(20)와, 용기측면부(12)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저장용기부(10)와, 용기밀폐부(20)와 버튼(60)사이에 설치된 실린더지지부(40)를 갖고 있다.
용기밀폐부(20)는 한 쌍의 밀폐부연락공(21a)이 형성된 용기밀폐바닥면부(21)와, 용기밀폐바닥면부(2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용기밀폐측면부(22)와, 용기밀폐측면부(2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용기밀폐플랜지(23)를 갖고 있다.
밀폐부연락공(21a)은 한 쌍의 원호형태개구(21b)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용기밀폐측면부(22)는 용기밀폐바닥면부(21)에 연결된 영역이 계단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밀폐부(20)는 용기밀폐플랜지(23)가 용기측면부(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각 저장용기부(10)는 중공(中空)의 저장공간부(31)와, 하단이 저장공간부(31)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저장공간부(31)의 상단에 결합된 관형태의 저장용기체결부재(32)를 갖고 있다.
저장용기체결부재(32)는 외표면 중간높이영역에 하나의 원형태체결리브(32a)와 한 쌍의 원호형태체결리브(32b)가 형성된다.
각 원호형태체결리브(32b)는 원호형태개구(2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저장용기부(10)를 용기측면부(12)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장용기체결부재(32)는 저장공간부(31)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원호형태체결리브(32b)가 원호형태개구(21b)를 통과하도록 저장용기부(10)를 용기밀폐부(20)에 접근시킨다.
다음에 저장용기부(10)를 90도 정도 회전시킨다. 저장용기부(10)를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용기밀폐바닥면부(21)가 원형태체결리브(32a)와 원호형태체결리브(32b)와 사이에 진입하고 저장용기부(10)는 용기밀폐부(20)에 결합된다. 저장용기부(10)가 용기밀폐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저장용기체결부재(32)의 상단은 용기밀폐부(20)의 밀폐부연락공(21a)을 통해 상측으로 노출된다.
마지막으로 저장공간부(31)가 용기보관공간(A)에 삽입되도록 용기밀폐부(20)를 용기부(10)에 설치한다. 용기보관공간(A)은 용기밀폐부(20)와 용기측면부(12)와 용기바닥면부(11) 사이공간을 말한다.
실린더지지부(40)는 실린더지지판부(41)와, 실린더지지판부(4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체결벽부(42)와, 실린더지지판부(4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체결벽부(43)와, 실린더지지판부(41)의 저면에 실린더지지판부(41)의 판면에 수직인 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지지관부(44)와, 실린더지지판부(41)의 상면 중 한 쌍의 실린더지지관부(44)의 사이영역에서 실린더지지판부(41)의 판면에 수직인 상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유동방지관부(45)를 갖고 있다.
각 실린더지지관부(44)는 내표면 상측에 실린더지지턱(44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지지부(40)는 상부체결벽부(42)의 외표면을 통해 용기밀폐측면부(22)의 내표면에 결합되고, 상부체결벽부(42)를 통해 용기밀폐플랜지(23)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지지부(40)의 설치는 실린더지지관부(44)의 내표면을 통해 저장용기체결부재(32)의 외표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각 실린더(51)는 통과공(51c)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51a)와, 실린더바닥면부(51a)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51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51)는 실린더측면부(51b)가 용기측면부(12)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통과공(51c)이 저장공간부(31)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용기측면부(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실린더(51)의 설치는 실린더측면부(51b)의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가 실린더지지턱(44a)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버튼(60)은 버튼바디부(61)와, 버튼바디부(61)에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62) 및 수평배출유로부(63)를 갖고 있다.
버튼바디부(61)는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61a)와, 버튼바디측면부(61a)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61b)를 갖고 있다.
버튼바디천장면부(61b)에는 한 쌍의 체결장공(61c)이 각각 수평배출유로부(63)에 나란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바디천장면부(61b)는 상면 중 체결장공(61c) 사이 영역에 체결안내면(61d)이 후술하는 탄성변형개폐부(8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절취 형성된다.
수직배출유로부(62)는 버튼바디천장면부(61b)의 내표면에 버튼바디측면부(61a)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수평배출유로부(63)는 버튼바디측면부(61a)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종단에는 한 쌍의 수평배출공(63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60)은 수직배출유로부(62)가 실린더(5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실린더(51)의 상측에 설치된다.
버튼승강안내부(52)는 중앙에 버튼바디측면부(61a)의 외표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승강안내관부(52a)와, 승강안내관부(52a)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승강안내플랜지(52b)와, 승강안내플랜지(52b)의 하단으로부터 승강안내관부(52a)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승강안내스커트부(52c)를 갖고 있다.
승강안내관부(52a)는 하단에 한 쌍의 승강안내보조홈(52d)이 디귿자 단면 형태로 절취 형성된다.
승강안내관부(52a)의 하단에 승강안내보조홈(52d)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배출중간유로부(75)의 초기설치위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승강안내부(52)는 승강안내스커트부(52c)의 하단이 용기측면부(12)의 상단에 지지되고 승강안내스커트부(52c)의 내표면을 통해 상부체결벽부(42)의 외표면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버튼승강안내부(52)의 설치는 버튼바디측면부(61a)가 승강안내관부(52a)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버튼승강안내부(52)는 버튼(60)의 승강동작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펌핑부(70)는 체크밸브(71)에 더하여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72)과, 실린더피스톤(72)의 상측에 설치된 가압부재(73)와, 가압부재(73)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작동부재(74)와, 수직배출유로부(62)와 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중간유로부(75)와, 실린더(51)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76)와, 버튼(60)과 스프링지지부재(76) 사이에 설치된 버튼복귀스프링(77)을 갖고 있다.
체크밸브(71)는 하단이 밀폐된 원형관 형태의 체크밸브개폐부(71a)와, 체크밸브개폐부(71a)의 상측구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형의 지지링(71b)과, 체크밸브개폐부(71a)와 지지링(71b)을 연결하는 3개의 연결암(71c)을 갖고 있다.
체크밸브개폐부(71a)는 하단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크밸브(71)는 체크밸브개폐부(71a)가 통과공(51c)을 폐쇄하도록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다.
실린더피스톤(72)은 관 형태의 실린더피스톤밀착부(72a)와, 실린더피스톤밀착부(72a)의 내부에서 실린더피스톤밀착부(72a)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를 갖고 있다.
실린더피스톤밀착부(72a)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의 연결영역은 에이치(H)자 단면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피스톤(72)은 실린더피스톤밀착부(72a)가 실린더측면부(51b)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압부재(73)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스프링지지절곡부(73a)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부재(73)는 내표면을 통해 후술하는 실린더측중간수직유로부(75c)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개폐작동부재(74)는 하단이 밀폐된 개폐작동관부(74a)와, 개폐작동관부(74a)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개폐스커트부(74b)를 갖고 있다.
개폐작동관부(74a)는 하단에 작동관배출안내공(74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작동부재(74)는 개폐스커트부(74b)의 상면이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개폐작동관부(74a)의 내표면을 통해 가압부재(73)의 내표면에 결합된다.
배출중간유로부(75)는 직선상의 중간수평유로부(75a)와, 중간수평유로부(75a)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한 쌍의 버튼측중간수직유로부(75b)와, 중간수평유로부(75a)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측중간수직유로부(75c)와, 중간수평유로부(75a)의 저면에서 실린더측중간수직유로부(75c)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유동방지기둥(75d)을 갖고 있다.
중간수평유로부(75a)는 상하로 나누어 제작된 후,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중간유로부(75)는 각 버튼측중간수직유로부(75b)가 수직배출유로부(62)에 하나씩 진입하고, 유동방지기둥(75d)이 유동방지관부(45)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부재(76)에는 요형(凹형)의 스프링지지홈(76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프링지지부재(76)는 스프링지지홈(76a)이 스프링지지절곡부(73a)에 대향하도록 실린더측면부(51b)와 가압부재(73) 사이에 설치된다.
버튼복귀스프링(77)은 양단이 스프링지지홈(76a)의 바닥면과 스프링지지절곡부(73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배출개폐부(80)는 배출개폐부재(81)에 더하여 버튼(60)에 결합된 이탈방지부재(82)를 갖고 있다.
배출개폐부재(81)는 한 쌍의 개폐부재지지관부(81a)와, 개폐부재지지관부(81a)의 종단에 개폐부재지지관부(81a)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개폐부재지지판부(81b)와, 각 개폐부재지지관부(81a)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탄성변형개폐부(81c)를 갖고 있다.
개폐부재지지판부(81b)는 탄성변형개폐부(81c)의 전방에 지지판배출안내공(81d)이 형성된다.
탄성변형개폐부(81c)에는 개폐완칼선(81e)이 형성된다. 개폐완칼선(81e)의 형성은 엑스자(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개폐부재(81)는 NBR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개폐부재(81)는 개폐부재지지관부(81a)가 수평배출공(63a)에 삽입되고, 탄성변형개폐부(81c)가 수평배출공(63a)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이탈방지부재(82)는 방지판배출안내공(82e)이 관통 형성된 이탈방지판(82a)과, 이탈방지판(82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이탈방지판(82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덮개판(82b)과, 체결장공(61c)에 각각 대응하도록 덮개판(82b)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부(82c)와, 이탈방지판(82a)의 좌측단, 우측단 및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디귿자 단면의 싸개면부(82d)를 갖고 있다.
각 체결돌부(82c)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직사각형 판체 형태로 형성된다.
각 체결돌부(82c)는 체결장공(61c)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탈방지부재(82)는 이탈방지판(82a)이 배출개폐부재(81)의 전방에서 배출개폐부재(81)에 밀착되고 싸개면부(82d)가 배출개폐부재(81)를 둘러싸도록 버튼(60)에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82)의 결합은 체결돌부(82c)를 체결장공(61c)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버튼바디천장면부(61b)에 형성된 체결안내면(61d)에 의해 체결장공(61c)에 대한 체결돌부(82c)의 초기삽입깊이가 증가한다.
이탈방지부재(82)가 버튼(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싸개면부(82d)는 배출개폐부재(8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53)는 상단이 통과공(51c)에 연통하고 하단이 저장공간부(3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실린더(51)에 결합된다.
버튼홀더(54)는 수평배출유로부(63)와 버튼승강안내부(52) 사이에서 버튼바디측면부(61a)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버튼홀더(54)는 유통 또는 보관 중 버튼(60)이 비의도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튼(60)은 상승위치에 있고, 버튼홀더(54)는 버튼바디측면부(61a)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버튼(60)을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가압하여 버튼(60)을 하강시킨다. 버튼(60)이 하강하는 동안 버튼복귀스프링(77)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버튼(60)이 하강할 때 가압부재(73)와 배출중간유로부(75)와 개폐작동부재(74)도 함께 하강한다.
실린더피스톤(72)은 하강하는 가압부재(73)에 의해 가압될 때까지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버튼(60)과 함께 하강한다.
실린더피스톤(72)이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부재(73)가 하강하는 동안 개폐스커트부(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실린더(51)의 내부공간은 작동관배출안내공(74c), 개폐작동관부(74a) 및 배출중간유로부(75)를 통해 수직배출유로부(62)에 연결된다.
실린더피스톤(72)이 버튼(60)과 함께 하강하면 실린더(51)의 내부는 양압(陽壓) 상태가 된다.
실린더(51)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면 체크밸브(71)는 통과공(51c)을 밀폐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51)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은 수직배출유로부(62)와 수평배출유로부(63)를 거쳐 탄성변형개폐부(81c)에 도달한다.
탄성변형개폐부(81c)에 도달한 액상물질의 배출압력에 의해 개폐완칼선(81e) 주위의 분리 영역이 젖혀지고 이에 따라 탄성변형개폐부(81c)는 개방된다(도16 참조).
탄성변형개폐부(81c)가 개방되면 액상물질은 지지판배출안내공(81d)과 방지판배출안내공(82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16 참조).
다음에 버튼(60)에 대한 가압동작을 중지한다. 버튼(60)에 대한 가압동작이 중지되면, 버튼(60)은 버튼복귀스프링(77)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한다.
가압부재(73)와 배출중간유로부(75)와 개폐작동부재(74)는 버튼(60)과 함께 상승을 시작한다.
실린더피스톤(72)은 개폐작동부재(74)의 상승에 의해 개폐스커트부(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버튼(60)과 함께 상승한다.
실린더피스톤(72)이 정지된 상태에서 개폐작동부재(74)가 상승하는 동안 개폐스커트부(74b)가 실린더피스톤유로개폐부(72b)의 하단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51)의 내부공간과 수직배출유로부(62) 사이의 연결은 차단된다.
실린더피스톤(72)이 버튼(60)과 함께 상승하면, 실린더(51)의 내부는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실린더(51)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면 체크밸브개폐부(71a)가 상승하여 통과공(51c)은 개방된다. 통과공(51c)이 개방되면 저장공간부(31)에 저장된 액상물질은 실린더(51)의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공간부(31)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실린더(51)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안 저장공간부(31)의 부피는 축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밀폐부(20)와 용기측면부(12)와 용기바닥면부(11)의 사이 공간에 저장공간부(31)를 설치하고 있으나,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부를 생략하고 용기밀폐부(20)와 용기측면부(12)와 용기바닥면부(11)의 사이 공간에 직접 액상물질을 저장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경우 실린더(51)는 통과공(51c)이 액상물질저장공간(B)에 연통하도록 용기측면부(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액상물질저장공간(B)은 용기밀폐부(20)와 용기측면부(12)와 용기바닥면부(11) 사이공간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용기의 경우 액상물질저장공간(B)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양이 줄어들 때 외부로부터 액상물질저장공간(B)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액상물질저장공간(B)의 부피를 축소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데, 이러한 수단들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등록번호 제10-1959131호, 공개번호 제20-2014-0002216호 등 참조). 액상물질저장공간(B)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양이 줄어들 때 액상물질저장공간(B)의 부피를 축소하기 위한 수단이 채용된 경우 튜브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태의 버튼바디천장면부(61b)의 내표면에 버튼바디측면부(61a)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수직배출유로부(62)를 형성하고 일단은 버튼바디측면부(61a)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수직배출유로부(62)에 연결되고 수직배출유로부(6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버튼바디부(61)에 수평배출유로부(63)를 형성하는 한편, 개폐완칼선(81e)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81c)를 구비한 배출개폐부재(81)를 탄성변형개폐부(81c)가 수평배출유로부(63)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버튼바디부(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60)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출개폐부(80)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방지판배출안내공(82e)이 관통 형성된 이탈방지판(82a)을 구비한 이탈방지부재(82)를 이탈방지판(82a)이 배출개폐부재(81)의 전방에서 배출개폐부재(81)에 밀착되도록 버튼(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출개폐부재(81)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바디천장면부(61b)에 한 쌍의 체결장공(61c)을 각각 수평배출유로부(63)에 나란하도록 관통 형성하는 한편, 이탈방지판(82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이탈방지판(82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덮개판(82b)과 체결장공(61c)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덮개판(82b)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부(82c)를 더 포함하는 이탈방지부재(82)를 체결돌부(82c)를 체결장공(61c)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버튼(60)에 결합함으로써, 이탈방지판(82a)을 탄성변형개폐부(81c)의 전방에 배치한 상태로 이탈방지부재(82)를 버튼바디천장면부(61b)의 상면에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이탈방지부재(82)를 버튼(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탈방지부재(82)의 추가에 따라 버튼(60)의 가압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버튼바디천장면부의 상면에 덮개판이 설치됨).
또한 버튼바디천장면부(61b)의 상면 중 체결장공(61c) 사이 영역에 체결장공(61c)에 대한 체결돌부(82c)의 초기삽입깊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체결안내면(61d)을 탄성변형개폐부(8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절취 형성함으로써, 이탈방지부재(82)를 버튼(60)에 결합할 때 체결돌부(82c)를 용이하게 체결장공(61c)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10: 용기부 11: 용기바닥면부
12: 용기측면부 20: 용기밀폐부
30: 저장용기부 40, 140: 실린더지지부
51, 151: 실린더 52, 152: 버튼승강안내부
60, 160: 버튼 61, 161: 버튼바디부
62, 162: 수직배출유로부 63, 163: 수평배출유로부
70, 170: 펌핑부 71, 171: 체크밸브
72, 172: 실린더피스톤 73, 173: 가압부재
74, 174: 개폐작동부재 75: 배출중간유로부
77, 177: 버튼복귀스프링 80, 180: 배출개폐부
81: 배출개폐부재 82: 이탈방지부재
181: 노즐개폐부재 182: 개폐부재지지스프링

Claims (5)

  1.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부와 중공(中空)의 저장공간부와 하단이 상기 저장공간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공간부의 상단에 결합된 관형태의 저장용기체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용기밀폐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 사이공간을 용기보관공간이라고 할 때 상기 저장공간부가 상기 용기보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체결부재의 상단이 상기 용기밀폐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용기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통과공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와 상기 실린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측면부가 상기 용기측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저장공간부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를 구비한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의 내표면에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와 일단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형성된 수평배출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가 상기 실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용기부와 상기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버튼승강안내부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중간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을 상기 실린더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버튼의 복귀탄성력을 저장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실린더를 향해 하강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중간유로부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버튼에 대한 가압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저장공간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펌핑부를 갖는 펌핑형 용기에 있어서,
    개폐완칼선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변형개폐부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개폐부재를 구비한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
  2.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통과공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와 상기 실린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실린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밀폐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 사이공간을 액상물질저장공간이라고 할 때 상기 실린더측면부가 상기 용기측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액상물질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와, 관형태의 버튼바디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바디천장면부를 구비한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의 내표면에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수직배출유로부와 일단은 상기 버튼바디측면부의 외표면을 넘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버튼바디부에 형성된 수평배출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배출유로부가 상기 실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용기부와 상기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버튼승강안내부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중간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을 상기 실린더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버튼의 복귀탄성력을 저장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실린더를 향해 하강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중간유로부와 상기 수직배출유로부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버튼에 대한 가압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할 때 상기 실린더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액상물질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질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펌핑부를 갖는 펌핑형 용기에 있어서,
    개폐완칼선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탄성변형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변형개폐부가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의 종단을 차단하도록 상기 버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개폐부재를 구비한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폐부는 방지판배출안내공이 관통 형성된 이탈방지판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판이 상기 배출개폐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배출개폐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버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에는 한 쌍의 체결장공이 각각 상기 수평배출유로부에 나란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이탈방지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이탈방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체결장공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부를 상기 체결장공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버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버튼바디천장면부는 상면 중 상기 체결장공 사이 영역에 상기 체결장공에 대한 상기 체결돌부의 초기삽입깊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체결안내면이 상기 탄성변형개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용기.
KR1020220028318A 2022-03-04 2022-03-04 펌핑형 용기 KR20230131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18A KR20230131005A (ko) 2022-03-04 2022-03-04 펌핑형 용기
CN202210858299.9A CN116750334A (zh) 2022-03-04 2022-07-20 泵送式容器
JP2022115619A JP2023129198A (ja) 2022-03-04 2022-07-20 ポンピング型容器
US17/874,950 US20230278054A1 (en) 2022-03-04 2022-07-27 Pumping-Typ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18A KR20230131005A (ko) 2022-03-04 2022-03-04 펌핑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05A true KR20230131005A (ko) 2023-09-12

Family

ID=8785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318A KR20230131005A (ko) 2022-03-04 2022-03-04 펌핑형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8054A1 (ko)
JP (1) JP2023129198A (ko)
KR (1) KR20230131005A (ko)
CN (1) CN116750334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941B2 (en) * 2005-04-25 2011-02-15 Meadwestvaco Calmar Inc. Dispenser having air tight spout
FR2907518A1 (fr) * 2006-10-20 2008-04-25 Rexam Dispensing Systems Sas Pompe comprenant des moyens d'echappement d'air
FR2910448B1 (fr) * 2006-12-22 2009-02-20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2914294B1 (fr) * 2007-03-29 2009-07-10 Rexam Dispensing Systems Sas Buse de distribution comprenant un manchon de fermeture accroche axialement
KR101037361B1 (ko) * 2009-03-10 2011-05-26 (주)연우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101426790B1 (ko) * 2013-07-26 2014-08-05 (주)민진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29198A (ja) 2023-09-14
US20230278054A1 (en) 2023-09-07
CN116750334A (zh)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7308C (en) Dispensing pump, dispenser and dispenser unit-assembly
KR100916719B1 (ko) 화장품용기
US4823990A (en) Dispensing device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JP7253285B2 (ja) ポンプ組立体及び内容物排出機能付き容器
KR101591875B1 (ko)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KR100918856B1 (ko) 화장품용기용 압출펌프
KR102487773B1 (ko)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KR20230131005A (ko) 펌핑형 용기
EP3420843A1 (en) Pump-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side button
KR200401892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KR20240000137U (ko) 화장품 용기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38953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0492591Y1 (ko) 펌핑식 튜브용기
KR200439295Y1 (ko) 화장품용기
KR102015622B1 (ko) 유체 용기
KR20090012318U (ko) 화장품용기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JP3369699B2 (ja) 注出容器
KR200384793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