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548A - 블록 적층 배열 - Google Patents

블록 적층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548A
KR20230130548A KR1020230025404A KR20230025404A KR20230130548A KR 20230130548 A KR20230130548 A KR 20230130548A KR 1020230025404 A KR1020230025404 A KR 1020230025404A KR 20230025404 A KR20230025404 A KR 20230025404A KR 20230130548 A KR20230130548 A KR 20230130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area
loading
block
vehicle
stacking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베커
외르그 카벨리우스
팀 모라비츠
마르쿠스 리브하버
Original Assignee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3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8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matrix-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복수의 컨테이너 수용 슬롯(2), 컨테이너 수용 슬롯(2) 아래에 중력 방향으로 배열된 적재 공간(3) 및 적재 공간(3)에서 이동될 수 있고 컨테이너 수용 슬롯(2)에서 컨테이너(5)와 함께 위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수용 슬롯(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차량(4)을 포함하는 블록 적층 배열(1)이 명시되었다.
의도는 블록 적층 배열의 동작을 신뢰성 있게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록 적층 배열(1)은 이동 경로를 통해 적재 공간(3)에 연결된 적재 차량 유지 보수 영역(8)을 갖는다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 적층 배열{BLOCK STACKING ARRANGEMENT}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테이너 수용 슬롯, 컨테이너 수용 슬롯 아래에 중력 방향으로 배열된 적재 공간 및 적재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고 컨테이너 수용 슬롯에서 컨테이너와 함께 보관될 수 있고 컨테이너 수용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차량을 포함하는 블록 적층 배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컨테이너는 이러한 블록 적층 배열에서 공간 절약 방식으로 보관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스택의 형태로 컨테이너 수용 슬롯에 보관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다른 컨테이너의 바로 위에 서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큰 패킹 밀도는 중력 방향이 된다. 컨테이너 수용 슬롯 자체는 또한 수평 방향으로 비교적 밀접하게 인접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도 비교적 높은 패킹 밀도가 야기된다. 컨테이너들이 아래로부터 컨테이너 수용 슬롯 내에 놓이고 또한 하향 방향으로 컨테이너 수용 슬롯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제거될 컨테이너들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각각의 경우에 비교적 짧다.
적재 차량은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수용 슬롯에 배치하고 컨테이너 수용 슬롯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재 차량은, 한편으로, 컨테이너를 보관소 내에 놓거나 제거하기 위해 컨테이너 수용 슬롯 아래에 위치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컨테이너가 컨테이너 수용 슬롯 내에 배치되게 할 수 있게 하도록 들어 올려 지게 하거나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수용 슬롯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내려 질 수 있게 하는 리프팅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적층 배열의 신뢰할 수 있는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블록 적층 배열이 이동 경로를 통해 적재 공간에 연결된 적재 차량 유지 보수 영역을 갖는다는 것에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블록 적층 배열에서 달성된다.
아래에서 줄여서 "유지 보수 영역"으로 지칭되는 적재 차량 유지 보수 영역은 적재 차량이 검사받을 수 있고 필요시 수리되는 적재 차량을 위한 유지 보수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유지 보수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적층 배열에 제공된 모든 적재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그러면, 유지 보수 영역은, 예를 들어 보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지 보수 인력이 블록 적층 배열에 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게 되면, 모든 적재 차량은 유지 보수 영역으로 이동될 것이고, 그러면 블록 적층 배열 내의 유지 보수 인력은 더 이상 위험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보수 영역은 중력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적재 공간 옆에 측면으로 배열된다. 특히, 유지 보수 영역이 적재 공간에 인접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유지 보수 영역은 적재 공간을 옆으로 이어지며, 유지 보수 영역이 적재 공간과 중력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이 완전히 가능하다. 이 배열은 높은 공간 절약 배열을 갖는 유지 보수 영역을 야기한다. 또한 적재 차량을 위한 적재 공간으로부터 유지 보수 영역으로의 이동 경로는 짧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수용 슬롯 및 적재 공간은 공통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고, 유지 보수 영역은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하우징은 화재 방지 이유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 내에서, 예를 들어, 산소가 감소된 대기가 유지될 수 있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없거나 또는 어렵게만 발생할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이 마찬가지로 하우징 내에 배열되면, 적재 차량 또는 적재 차량들은, 화재 상황이 발생할 때, 또는 화재 상황이 의심될 때라도, 산소 유입의 위험 없이, 적재 공간으로부터 유지 보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유지 보수 영역의 영역에 창문을 갖는다. 그러면 유지 보수 인력은 유지 보수 영역에 위치한 적재 차량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블록 적층 배열에서, 화재 위험은 주로 적재 차량 또는 적재 차량들에서 시작된다. 그러면, 유지 보수 인력은 연기가 적재 차량에서 나오고 있는지 여부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공기 차단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보수 영역과 적재 공간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면, 공기 차단 설비는 유지 보수 영역과 적재 공간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여, 유지 보수 영역 및 적재 공간 대기가 서로 분리되어 유지될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적재 차량에 중력 방향으로 작업 공간을 더한 연장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유지 보수 인력은 또한 위에서 적재 차량을 검사하고 다룰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 영역은 일반적으로 또한 적재 공간보다 더 높다. 적재 공간은 일반적으로 적재 차량보다 약간 더 높을 뿐이다. 적재 공간은 적재 공간에 대해 가능한 한 적은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낮게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보수 영역은 적어도 1.8m의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지 보수 인력이 유지 보수 영역을 직립 자세로 들어갈 수 있게 하여, 적재 차량 또는 적재 차량들이 유지 보수될 때 편안한 작업 자세가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보수 영역은 안전 액세스 문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재 차량이 유지 보수 영역에 들어갈 때 유지 보수 인력이 유지 보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연기 검출 신호가 연기 검출기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적재 차량을 유지 보수 영역으로 조종하는 조종 장치에 연결된 연기 검출기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연기 추출 시스템에 의해 가능한, 연기가 검출되면 적재 차량은 유지 보수 영역으로 자동으로 가져와 질 것이다. 따라서, 적재 차량은 더 이상 컨테이너 수용 슬롯 아래에 위치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컨테이너 수용 슬롯 내에 수용된 컨테이너는 잠재적인 가연성 재료를 형성한다.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적재 차량을 유지 보수 영역으로 조종하는 조종 장치에 연결된 온도 센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재 검출기"로 지칭될 수 있는 온도 센서는 블록 적층 배열에서 화재 또는 발화를 나타내는 허용할 수 없는 고온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 경우 또한, 적재 차량은 적재 차량으로부터 그 안에 적재된 상품이 있는 컨테이너 오버헤드로의 화재의 확산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재 공간 밖으로 즉시 구동될 것이다. 유지 보수 영역 내의 적재 차량은 소방 부서에 의해 곧바로 접근될 수 있다.
이동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레일 배열로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 배열은 적재 공간에서 유지 보수 영역까지 깔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일 배열은 적재 차량이 적재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의 선형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하나의 레일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레일 시스템으로 적재 차량을 전달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충전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는면 유지 보수 영역 내에 제공된다. 충전 스테이션은 적재 차량이 유지 보수 영역에 있을 때 적재 차량 내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보수 영역은 리프팅 장치를 가지며, 이의 한계 하중은 적재 차량의 무게보다 크다. 리프팅 장치는, 예를 들어, 트롤리 또는 크레인으로 설계될 수 있어서, 적재 공간 내의 적재 차량이 레일 상에 배치되거나 수리 목적을 위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면에서
단일 도면은 블록 적층 배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블록 적층 배열(1)은 복수의 컨테이너 수용 슬롯(3)을 갖는다. 컨테이너의 스택은 각각의 컨테이너 수용 슬롯에 수용될 수 있다. 적재 공간(3)은 중력 방향으로 컨테이너 수용 슬롯(2) 아래에 배열된다. 복수의 적재 차량(4)은 적재 공간(3)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적재 차량(4)은 컨테이너(5)를 컨테이너 수용 슬롯(2)에 보관하거나 컨테이너 수용 슬롯(2)으로부터 컨테이너(5)를 제거하는 일을 한다. 이를 위해, 적재 차량(4)은 리프팅 장치(6)를 갖고, 따라서 화살표 Y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5)는 중력 방향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
컨테이너 수용 슬롯(2)은 "X"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으로 서로 옆에 배열된다. 복수의 이러한 행은 거기에 수직인 서로의 옆에 배열된다. 이는 "Z"방향으로 표현된다. 적재 차량(4)은 행의 방향, 즉 X방향, 및 이에 횡방향, 즉 Z방향, 모두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재 공간(3)은 유지 보수 인력이 적재 공간(3)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7)을 갖는다.
블록 적층 배열(1)은, 하기에서 간략히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지칭되는, 적재 차량 유지 보수 영역(8)을 갖는다. 유지 보수 영역(8)은, 본 경우에, 레일 배열(9, 10)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경로를 통해 적재 공간(3)에 연결된다. 레일 배열(9, 10)은 적재 공간(3)으로 연장되는 제1 레일(9), 및 유지 보수 영역(8)에만 위치되는 제2 레일(10)을 갖는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레일 배열(9, 10)은 간격(11)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레일 배열(9, 10)은 또한 연속 레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8)은 중력 방향을 횡방향으로 적재 공간(3)에 옆에 측면으로 배열되고 적재 공간(3)에 인접한다. 따라서, 적재 차량(4)은 더 긴 거리에 걸쳐 이동할 필요 없이 적재 공간(3)으로부터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직접 통과할 수 있다.
컨테이너 수용 슬롯(2) 및 적재 공간(3)은 공통 하우징(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우징(12)은 또한 유지 보수 영역(8)을 포함하며-유지 보수 영역(8)은 따라서 하우징(12) 내에 배열된다. 전술한 문(7)은 유지 보수 인력이 하우징(12)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하우징(12)은 산소 감소에 의해 화재 위험에 대해 보호되는 시스템에서 필요하다.
다른 유형의 소화 시스템에서, 하우징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수용 슬롯(2) 및 적재 공간(3)은 용어 "하우징"으로 또한 포함되는 보호 펜스 또는 유사한 패널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8)은 또한 컨테이너 상으로의 화염의 번짐 위험을 피하기 위해 물 소화 시스템(스프링클러)를 갖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2)은 유지 보수 영역(8)의 영역에 창문(13)을 갖는다. 명확한 개요의 이유로, 이 창문(13)은 컨테이너 수용 슬롯(2)의 행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벽에 배열된다. 그러나, 창문(13)은 또한 다른 벽에 배열될 수 있다. 창문(13)은 예를 들어 여기에 임의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유지 보수 영역(8)을 들여다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유지 보수 영역(8)에 위치된 적재 차량(4)이 연기를 내고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공기 차단 설비(14)는 유지 보수 영역(8)과 적재 공간(3) 사이에 배열된다. 공지 차단 장치(14)는 유지 보수 영역(8)의 대기로부터 적재 공간(3)의 대기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감소된 산소 함량을 갖는 대기가 적재 공간(3) 및 컨테이너 수용 슬롯(2)에서 유지되어야 할 때, 유리하며, 화재 안전성 이유로 종종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주변 공기 중의 정상적인 산소 함량이 유지 보수 영역(8)에서 요구된다.
유지 보수 인력이 유지 보수 영역에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안전 액세스 문(15)이 제공되며, 이는 유지 보수 영역(8)을 외부로부터 폐쇄한다. 액세스 문(15)은 여기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더 높을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8)은 중력 방향으로의 적재 차량(4)의 연장보다 상당히 더 큰 중력 방향의 높이를 갖는다. 작업 공간은 적재 차량(4) 위에 제공되어서, 유지 보수 또는 작동 인력도 또한, 예를 들어 거기서 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위에서 적재 차량(4)에 접근할 것이다.
유지 보수 영역은 중력 방향에서 적어도 1.8m의 높이를 갖는다. 이는 대부분의 유지 보수 인력이 직립 자세로 그 내부에서 걸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16)은 유지 보수 영역(8) 내에 제공되며, 이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적재 차량(4)이 유지 보수 영역(8) 내에 위치될 때 적재 차량(4)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8)은 또한 예를 들어 트롤리 또는 크레인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리프팅 장치(17)를 갖는다. 적재 차량(4)은 레일(10) 위에 놓일 수 있도록 리프팅 장치(17)를 사용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유지 보수 영역(8)은 바람직하게는, Z방향으로 모든 컨테이너 수용 슬롯(2)의 연장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수용 슬롯(2)의 행에 수직인 연장(즉, 도면에 따른 도면에 수직)을 갖는다. 따라서, 유지 보수 영역(8)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적층 배열(1)에 존재하는 모든 적재 차량(4)이 필요하다면 적재 공간(8)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다.
블록 적층 배열(1)은 연기를 검출하면 연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검출기(19)를 갖는다. 이 연기 검출 신호는 적재 차량(4) 또는 적재 차량들(4)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적재 차량(4)은 연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적재 차량(4)을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조종하는 조종 장치를 갖는다.
연기는 예를 들어, 동작 중에 적재 차량(4)이 과열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적재 차량(4)이 연기 검출기(19)로부터의 연기 신호의 경우에 유지 보수 영역으로 이동되면, 2개의 이점이 달성된다. 한편으로는, 적재 차량(4)이 컨테이너 수용 슬롯(2)에 보관된 컨테이너 아래로부터, 즉 잠재적인 가연성 재료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 방식으로 연기가 적재 차량(4)으로부터 또는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물체로부터 유래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방 조치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연기 검출기(19)는 여기서 적재 공간(2)의 상단부에 배열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연기 검출기(19)는 또한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적층 배열은 사전명시된 설정 값을 초과하여 상승한 온도를 검출하면 온도 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20)를 가진다. 이 온도 신호는 또한 적재 차량(4) 내의 조종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러면 마찬가지로 적재 차량(4)을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동일한 것이 연기 검출 신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적재 차량(4)이 적재 공간(3) 밖으로 이동되었다면, 이는 컨테이너 수용 슬롯(2) 내에 배열된 컨테이너 및 그 안에 위치된 물체에 의해 형성된 잠재적인 가연성 재료 아래에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그러면 증가된 온도가 적재 차량(4) 또는 컨테이너 또는 그 안에 수용된 상품에서 유래하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블록 적층 배열(1)로서 복수의 컨테이너 수용 슬롯(2), 중력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 수용 슬롯(2) 아래에 배열된 적재 공간(3), 및 상기 적재 공간(3)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수용 슬롯(2)에 상기 컨테이너(5)와 함께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수용 슬롯(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차량(4)을 포함하는 블록 적층 배열(1)에 있어서, 이동 경로를 통해 상기 적재 공간(3)에 연결된 적재 차량 유지 보수 영역(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적층 배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상기 중력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로딩 공간(3) 옆에 측면으로 배열되는, 블록 적층 배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상기 로딩 공간(3)에 인접한, 블록 적층 배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수용 슬롯(2) 및 상기 적재 공간(3)은 공통 하우징(12)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상기 하우징(12) 내에 배열되는, 블록 적층 배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의 영역에서 창문(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적층 배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차단 장치(14)는 상기 유지 보수 영역(8)과 상기 적재 공간(3) 사이에 배열되는, 블록 적층 배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은 적재 차량(4)에 중력 방향으로 작업 공간을 더한 연장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블록 적층 배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적어도 1.80m의 높이를 갖는, 블록 적층 배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안전 액세스 문(15)에 의해 폐쇄되는, 블록 적층 배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기 검출 신호가 상기 연기 검출기(19)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재 차량(4)을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조종하는 조종 장치에 연결된 연기 검출기(19)가 제공되는, 블록 적층 배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적재 차량(4)을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으로 조종하는, 조종 장치에 연결된 온도 센서(2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적층 배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레일 배열(9, 1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적층 배열.
  13.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배열(9, 10)은 상기 적재 차량(4)이 상기 적재 공간(3)에서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의 선형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적층 배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재 스테이션(16)은 상기 유지 보수 영역(8) 내에 제공되는, 블록 적층 배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영역(8)은 최대 작업 부하가 상기 적재 차량(4)의 무게보다 큰 리프팅 장치(17)를 갖는, 블록 적층 배열.
KR1020230025404A 2022-03-03 2023-02-24 블록 적층 배열 KR20230130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60001.8 2022-03-03
EP22160001.8A EP4238902A1 (de) 2022-03-03 2022-03-03 Blocklag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548A true KR20230130548A (ko) 2023-09-12

Family

ID=8073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404A KR20230130548A (ko) 2022-03-03 2023-02-24 블록 적층 배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78789A1 (ko)
EP (1) EP4238902A1 (ko)
JP (1) JP2023129349A (ko)
KR (1) KR20230130548A (ko)
CN (1) CN116692317A (ko)
AU (1) AU2023201054A1 (ko)
CA (1) CA3191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004093A1 (de) * 2021-08-10 2023-02-16 Knapp Smart Solutions Gmbh Verfahren zum Instandsetzen einer Kommissioni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2305A1 (de) * 2019-10-25 2021-04-28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tapellag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apellageranordnung
EP3812307B1 (de) * 2019-10-25 2023-03-15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tapellag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92317A (zh) 2023-09-05
CA3191907A1 (en) 2023-09-03
EP4238902A1 (de) 2023-09-06
US20230278789A1 (en) 2023-09-07
JP2023129349A (ja) 2023-09-14
AU2023201054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3402B1 (en) Storage system with partition means and methods
JP5630668B2 (ja) 物品保管設備
KR20230130548A (ko) 블록 적층 배열
CN114521190B (zh) 气体隔离存储系统
US20220135324A1 (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CN114072340B (zh) 包括屏障的自动存储和取回系统
US20220177223A1 (en) Robot position detection system
CN213734652U (zh) 换电站
JP2021528332A (ja) レールシステム上にある不具合のある車両を取り扱う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利用する倉庫システム
US20220281684A1 (en) Method, and associated system, of providing an operator access to a target storage position i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9144906B2 (en) Anti-intrusion method in an automated system with robot
GB2541965A (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CN113646243A (zh) 具有被动防火布置的自动网格式存取系统
US20220241627A1 (e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s of locating and/or verifying fire or smoke i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S5842505A (ja) 自動倉庫設備
CN215326758U (zh) 堆垛装置
JP3204059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防火装置
US20210309459A1 (en) Storage system with partition means and methods
KR102514156B1 (ko) 1차 소화 기능을 가지는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CN117339161A (zh) 一种用于机械式停车设备的消防监测系统
KR20240044056A (ko)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주차시스템
JPH04292308A (ja) 倉庫設備
JPS6210881B2 (ko)
JPH04292307A (ja) 倉庫設備
TW202045423A (zh) 貯藏庫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