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55A -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55A
KR20230130455A KR1020220027672A KR20220027672A KR20230130455A KR 20230130455 A KR20230130455 A KR 20230130455A KR 1020220027672 A KR1020220027672 A KR 1020220027672A KR 20220027672 A KR20220027672 A KR 20220027672A KR 20230130455 A KR20230130455 A KR 2023013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lor change
change layer
sp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이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원 filed Critical 이강원
Priority to KR102022002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455A/ko
Publication of KR2023013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for the control of the col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상부영역의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전면 유리와, 차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도어에 결합되어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후방영역의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리와, 제1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부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전면 변색층 및, 제2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측면 변색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window transparenc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유리와 측면 유리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방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면 및 후면 유리창과,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측면 유리창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유리창들은 햇빛을 그대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고, 직사광선의 유입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리창에 어두운 색상의 썬팅 필름을 부착시키거나 운전석과 조수석에 선바이저를 설치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있으며, 필름의 종류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성능이 달라지므로 자신이 원하는 썬팅 필름의 농도를 선택하여 햇빛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선바이저는 면적이 좁아 햇빛을 넓은 면적으로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운전 중에 위치를 빈번하게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썬팅 필름은 눈부심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나, 야간 운전 및 터널 등을 통과하는 경우 오히려 운전자의 가시성을 저하시키므로 햇빛 차단 성능과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2375호(1994년 10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차량 썬팅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유리와 측면 유리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는 차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상부영역의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전면 유리와, 상기 차체의 측방에 구비된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후방영역의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리와, 상기 제1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전면 변색층 및, 상기 제2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기 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측면 변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의 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보조 공간부와, 상기 제1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후방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상기 실내측 방향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보조 공간부와, 상기 제2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2보조 변색층 및,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조도값을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유리의 전방영역 내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3보조 공간부 및, 상기 제3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3보조 변색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보조 변색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 변색층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3보조 변색층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상기 제3보조 변색층으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유리와 측면 유리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눈부심 및 시력 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어 탑승자의 피부 노화와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를 통한 후방 시야가 확보되므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유리와 측면 유리의 광 투과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유리의 일부영역과 전체영역을 선택적으로 변색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를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전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낮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전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측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측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낮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3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3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를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전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낮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전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측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높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서 측면 변색층의 투명도가 낮아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3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제1보조 변색층과 제2보조 변색층과 제3보조 변색층과 제어부 및 조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는 탑승공간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 유리(100)와, 탑승공간의 측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유리(200)와, 전면 유리(100)에 구비되는 전면 변색층(300) 및, 측면 유리(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변색층(400)을 포함한다.
차체(10)의 탑승공간은 전방과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되는데, 차체(10)의 전방에는 탑승공간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유리(100)가 구비되고, 차체(10)의 측방에는 탑승공간의 측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20)가 구비되며, 도어(20)에는 탑승공간의 측방을 커버하는 측면 유리(20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면 유리(100)는 차체(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탑승자가 위치하는 실내측(30)과 외부를 차단하고, 전면 유리(100)의 가장자리가 차체(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전면 유리(100)의 상부영역(S1)은 후술될 전면 변색층(300)에 의해 광 투과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구조를 갖고, 전면 유리(100)의 하부영역(S2)은 광 투과율이 조절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영역(S1)의 내부에는 후술될 전면 변색층(300)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제1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제1공간부(110)는 전면 유리(100)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고, 제1공간부(110)의 형상(상하 폭, 좌우 폭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전면 유리(100)의 상부영역(S1)은 운전 중 전방에서 광(L)이 강하게 조사되는 경우 변색 농도가 높아지므로, 실내측(30)으로 유입되는 광(L)과 자외선(UV)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측(30)으로 광(L)이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으므로 운전 중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유리(200)는 차체(10)의 측방에 설치된 도어(20)에 결합되어 탑승자가 위치하는 실내측(30)과 외부를 차단하고, 측면 유리(200)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도어(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유리(200)의 하단이 도어(20)에 승강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측면 유리(200)의 후방영역(S3)은 후술될 측면 변색층(400)에 의해 광 투과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은 광 투과율이 조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영역(S3)의 내부에는 후술될 측면 변색층(400)이 삽입되는 제2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제2공간부(210)는 측면 유리(200)의 실내측(30) 일면과 실외측 일면 사이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고, 제2공간부(210)의 형상(상하 폭, 좌우 폭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은 광 투과율이 조절되지 않는 일반 유리로 적용될 수 있고, 운전자가 차체(10)의 양측에 위치된 사이드 미러(40)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을 통해 보이는 사이드 미러(40)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측면 유리(200)의 후방영역(S3)은 운전 중 측방에서 광(L)이 강하게 조사되는 경우 변색 농도가 높아지므로, 실내측(30)으로 유입되는 광(L)과 자외선(UV)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측(30)으로 광(L)이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으므로 운전 중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40)를 통한 후방 시야가 확보되므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면 변색층(300)은 전면 유리(100)의 상부영역(110)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조사되는 광(L)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변색층(300)은 제1공간부(110)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L)의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부영역(S1)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킨다.
여기서, 전면 변색층(300)은 전면으로 유입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변색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전면으로 전달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낮아질수록 변색량이 감소하는 변색 소재(변색 유리, 변색 필름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변색층(300)은 염화은(AgGl), 브롬화은(AgBr), 요도화은(Agl) 등의 광 변색 물질이 첨가될 수 있으나, 광 변색 물질의 종류 등은 필요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광 변색 물질은 전면 변색층(300)의 내부에 첨가시키거나 전면 변색층(300)의 전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에 코팅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화은(AgGl)은 자외선을 만나면 분리가 되고, 화학적으로 AgCl + 자외선 => Ag++Cl- 가 되며, 은(Ag)은 농도에 따라 붉은색, 갈색, 검은색이 되는데, 자외선에 의해 분리된 은(Ag) 성분이 많을수록 농도가 짙어지는 원리를 갖는다.
즉, 차량 운전 중 전면 유리(100)의 전면으로 광(L)이 전달되는 경우 광(L)에 포함된 자외선에 의해 전면 변색층(300)이 어두운 색상으로 변색되면서 상부영역(S1)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얼굴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L)과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운전 중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터널 등의 구간을 지나거나 야간에 운행을 하는 경우 전면 변색층(300)이 투명하게 변색되면서 상부영역(S1)의 광 투과율을 증가시키므로 운전자의 급격한 시력 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측면 변색층(400)은 측면 유리(200)의 후방영역(210)에 설치되어 측방에서 조사되는 광(L)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2공간부(210)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L)의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후방영역(S3)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킨다.
여기서, 측면 변색층(400)은 일면으로 전달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변색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일면으로 전달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낮아질수록 변색량이 감소하는 변색 소재(변색 유리, 변색 필름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변색층(400)은 염화은(AgGl), 브롬화은(AgBr), 요도화은(Agl) 등의 광 변색 물질이 첨가될 수 있으나, 광 변색 물질의 종류 등은 필요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 변색 물질은 측면 변색층(400)의 내부에 첨가시키거나 측면 변색층(400)의 전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에 코팅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화은(AgGl)은 자외선을 만나면 분리가 되고, 화학적으로 AgCl + 자외선 => Ag++Cl- 가 되며, 은(Ag)은 농도에 따라 붉은색, 갈색, 검은색이 되는데, 자외선에 의해 분리된 은(Ag) 성분이 많을수록 농도가 짙어지는 원리를 진다.
즉, 차량 운전 중 측면 유리(200)의 일면으로 광(L)이 전달되는 경우 광(L)에 포함된 자외선에 의해 측면 변색층(400)이 어두운 색상으로 변색되면서 후방영역(S3)의 광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운전자의 얼굴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L)을 차단할 수 있어 운전 중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변색층(400)이 적용되지 않은 전방영역(S4)은 자외선에 반응하지 않고 투명하게 유지되므로 사이드 미러(40)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는 도 6과 7에서처럼 상부영역(S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공간부(110)의 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보조 공간부(120)와, 제1보조 공간부(120)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부영역(S1)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1보조 변색층(500)과, 후방영역(S3)의 내부에 형성되고, 후방영역(S3)의 실내측(30) 방향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보조 공간부(220)와, 제2보조 공간부(220)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후방영역(S3)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2보조 변색층(600) 및,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조도값을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조도 감지부(80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1보조 변색층(500)은 전면 변색층(300)의 후방에서 광 투과율을 즉각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가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색되는 농도가 가변되는 변색 소재(유리, 필름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보조 변색층(500)의 내부에는 전기변색물질(액상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변색물질은 무기(inorganic) 전기변색물질과 유기(organic) 전기변색물질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무기 전기변색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등이 있고, 유기 전기변색물질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이 사용되며, 제1보조 변색층(500)에 충진되는 전기변색물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보조 변색층(600)은 측면 변색층(400)의 실내측(30) 방향에서 광 투과율을 즉각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가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색되는 농도가 가변되는 변색 소재(유리, 필름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보조 변색층(600)의 내부에는 전기변색물질(액상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변색물질은 무기(inorganic) 전기변색물질과 유기(organic) 전기변색물질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무기 전기변색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등이 있고, 유기 전기변색물질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이 사용되며, 제2보조 변색층(600)에 충진되는 전기변색물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5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고,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의 전기변색물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별도의 전기 케이블에 의해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의 전기변색물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700)로부터 연장된 플러스(+) 극의 전기 케이블과 마이너스(-) 극의 전기 케이블이 전기변색물질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에는 별도의 조작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작부는 차체(10)의 실내측(3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에는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조작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의 변색 농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보조 변색층(500)과 제2보조 변색층(60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는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배터리를 추가로 구성하여 차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조도 감지부(800)는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를 사용할 수 있고, 감지측이 차체(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면 유리(100)의 상부영역(S1)과 측면 유리(200)의 후방영역(S3)은 광(L)이 강하게 조사되는 경우 광 투과율이 낮아지므로 운전 중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전면 유리(100)의 상부영역(S1)과 측면 유리(200)의 후방영역(S3)은 광(L)이 차단된 구간(터널 등)을 통과하거나 야간에 운행시 투과율이 높아지므로 급격한 시력 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는 도 8과 9에서처럼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 내에 형성되고, 후방영역(S3)의 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3보조 공간부(230) 및, 제3보조 공간부(230)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전방영역(S4)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3보조 변색층(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3보조 변색층(9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보조 변색층(900)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3보조 변색층(900)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3보조 변색층(900)은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에 설치되어 광 투과율을 즉각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가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압에 따라 변색 농도가 가변되는 변색 소재(유리, 필름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3보조 변색층(900)의 내부에는 전기변색물질(액상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변색물질은 무기(inorganic) 전기변색물질과 유기(organic) 전기변색물질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무기 전기변색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 등이 있고, 유기 전기변색물질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이 사용되며, 제3보조 변색층(900)에 충진되는 전기변색물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에는 기준전압이 기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700)는 기준전압 이하로 제3보조 변색층(9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제3보조 변색층(900)의 광 투과도는 사이드 미러(4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낮아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의 조작부를 이용해 제3보조 변색층(900)의 변색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700)는 조도 감지부(80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제3보조 변색층(900)으로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3보조 변색층(90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제어부(700)가 자동으로 제3보조 변색층(90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3보조 변색층(900)은 변색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로 낮아지지 않으므로, 측면 유리(200)로 광(L)이 강하게 유입되는 경우 전방영역(S4)으로 입사되는 광(L)과 자외선을 일부 차단할 수 있고, 전방영역(S4)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4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측면 유리(200)의 전방영역(S4)으로 유입되는 빛과 자외선을 일부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을 주차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실내측(30)에서 대기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전방영역(S4)을 변색시켜 광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면 유리(100)와 측면 유리(200)의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눈부심 및 시력 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광(L)과 자외선(UV)을 차단할 수 있어 탑승자의 피부 노화와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40)를 통한 후방 시야가 확보되므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유리(100)와 측면 유리(200)의 광 투과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유리(200)의 일부영역과 전체영역을 선택적으로 변색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체 20: 도어
30: 실내측 40: 사이드 미러
50: 전원 공급부 100: 전면 유리
110: 제1공간부 120: 제1보조 공간부
200: 측면 유리 210: 제2공간부
220: 제2보조 공간부 230: 제3보조 공간부
300: 전면 변색층 400: 측면 변색층
500: 제1보조 변색층 600: 제2보조 변색층
700: 제어부 800: 조도 감지부
900: 제3보조 변색층 L: 광
S1: 상부영역 S2: 하부영역
S3: 후방영역 S4: 전방영역

Claims (5)

  1. 차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상부영역의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전면 유리;
    상기 차체의 측방에 구비된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측과 외부를 차단하고, 후방영역의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리;
    상기 제1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전면 변색층; 및
    상기 제2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와 비례하는 농도로 변색되어 상기 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측면 변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의 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보조 공간부와,
    상기 제1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상부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후방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상기 실내측 방향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보조 공간부와,
    상기 제2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2보조 변색층 및,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조도값을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상기 제1보조 변색층과 상기 제2보조 변색층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유리의 전방영역 내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전방에 구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3보조 공간부 및,
    상기 제3보조 공간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전방영역의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제3보조 변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보조 변색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 변색층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3보조 변색층의 변색 농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값과 비례하는 전압의 전류를 상기 제3보조 변색층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KR1020220027672A 2022-03-03 2022-03-03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KR20230130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72A KR20230130455A (ko) 2022-03-03 2022-03-03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72A KR20230130455A (ko) 2022-03-03 2022-03-03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55A true KR20230130455A (ko) 2023-09-12

Family

ID=8801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72A KR20230130455A (ko) 2022-03-03 2022-03-03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4080C1 (ru) Ветровое стекл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 регулируемым солнцезащитным экраном
US10919269B2 (en) Composite pane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6304363B1 (en) Reduced ultraviolet radiation transmitting, electrochromic glazing assembly
US8102586B2 (en) Electronic window shading system for houses, transport vehicles and the like
KR20150074066A (ko) 차광 장치, 차량 및 유리 차광 방법
KR102502363B1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들을 갖고 활성 물질의 농도 구배를 갖는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US20210379968A1 (en) Composite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which can be switched in segments and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KR102488847B1 (ko) 세그먼트로 전환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기능 요소가 있는 복합 판유리
BR112020019269A2 (pt) Impressão óptica aprimorada de um painel de veículo de pdlc por meio de uma combinação de pilhas interna e externa escuras
US20150253594A1 (en) Adjustable Tint
US9302568B2 (en) Sun tracking tint visor
BR112020023455A2 (pt) elemento funcional com propriedades óticas eletricamente controláveis
BR112020001446A2 (pt) elemento funcional que tem propriedades ópticas eletricamente controláveis
KR20230130455A (ko)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KR20180096126A (ko) 투과도의 자동 조절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차광판
JP2023523567A (ja) 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する機能素子
JP2003146072A (ja) 車両用サイドバイザ
KR102625161B1 (ko) 자동차용 윈도우글래스 명암조절장치
KR20120117256A (ko) 윈도우 틴팅 시스템
CN217333072U (zh) 具有电致变色玻璃的车辆
CN209921009U (zh) 一种遮阳装置及车辆
CN214775319U (zh) 天窗装置
EP3862202B1 (en) Active opacity controllable thin films for windshields
KR20230166228A (ko)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글라스 장치
KR200218570Y1 (ko) 자동차의 투명 햇빛 가리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