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395A -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395A
KR20230130395A KR1020220027518A KR20220027518A KR20230130395A KR 20230130395 A KR20230130395 A KR 20230130395A KR 1020220027518 A KR1020220027518 A KR 1020220027518A KR 20220027518 A KR20220027518 A KR 20220027518A KR 20230130395 A KR20230130395 A KR 2023013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xx
mpk38
pharmaceutical composition
polynucleotide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정
성현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395A/ko
Publication of KR2023013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61Apoptosis related proteins, e.g. Apoptotic protease-activating factor-1 (APAF-1), Bax, Bax-inhibitory protein(s)(BI; bax-I), Myeloid cell leukemia associated protein (MCL-1), Inhibitor of apoptosis [IAP] or Bcl-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DAXX 단백질은 MPK38와 결합하고, 두 단백질 결합을 통해 DAXX는 MPK38 단백질의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MPK38-유도 ASK1/TGF-β/p53 신호전달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DAXX는 내당능 및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할 수 있고,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FFA)의 순환 농도를 감소시키며, 지방 생성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DAXX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에 관한 것이다.
Fas 결합 단백질인 DAXX(Death domain associated protein)는 죽음도메인(death domain)을 지닌 Fas 연관 단백질과 무관하게 Fas 매개 세포자멸사를 자극한다. DAXX는 핵과 세포질 모두에서 발현되며 세포사멸, 전사 및 세포주기를 포함한 많은 세포 과정을 조절한다. 또한 apoptosis signal-regulating kinase1(ASK1)/c-Jun N-terminal kinase(JNK) 경로를 활성화하고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AXX는 변형 성장 인자(TGF)-β 수용체 유형 II 및 p53과 상호작용하여 TGF-β 및 p53 유도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 그리고, DAXX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E261, 무기질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 수용체, paired box gene 3,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수용체, Smad4, 안드로겐(androgen) 수용체, 핵 인자 kB와 같은 많은 전사인자의 전사 활성을 억제한다. 마지막으로, DAXX는 인슐린 민감성 포도당 수송체 GLUT4 및 CCAAT/인핸서 결합 단백질 β(C/EBPβ)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것이 대사 조절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범위의 단백질은 모체(maternal) 배아 류신 지퍼 키나제(MELK)라고도 하는 뮤린 단백질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MPK38)과 상호작용하고 그 활성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오레독신(Trx; Thioredoxin)은 MPK38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안정성과 활성 손실을 유발한다. 이는 ASK1 활성에 대한 Trx의 억제 효과와 유사하지만, ZPR9는 이 키나제를 안정화시켜 MPK38 활성을 자극한다. 또한, MPK38 활성 및 안정성은 Smad7이 아닌 Smad2/3/4에 의해 증가되며, Unr-상호작용 단백질이라고도 알려진 STRAP(serine-threonine kinase receptor-associated protein)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MPK38 활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MPK38 활성의 조절을 담당하는 메커니즘은 크게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일 양상은 DAXX(Death domain associated protein)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DAXX"는 "death domain associated protein", "death-associated protein 6" 또는 "DAP6" 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AXX 단백질은 서열번호의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DAXX는 MPK38과 결합하여, MKP38 유도 AKS/TGF-β/p53 신호전달 체계가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MPK38의 카복시 말단 도메인과 DAXX의 아미노 말단 도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두 단백질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MPK38은 키나제이며, DAXX와 결합하여 DAXX의 T578 부위를 인산화시킬 수 있다. 상기 두 단백질의 결합을 통해 DAXX는 MPK38의 안정성을 높이고, MKP38 유도 AKS/TGF-β/p53 신호전달 체계가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DAXX는 내당능, 또는 인슐린 감수성 개선하고,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DAXX는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또는 유리 지방산(FFA)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병적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의 부위의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생존의 연장,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예방"은 특정 질병을 갖지 않는 대상에게 작용하여 상기 특정 질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거나, 그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발병 빈도를 낮추는 기작 및/또는 효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또는 세포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생존하는 개체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개체 투여 후 세포의 생존 기간은 짧으면 수 시간, 예를 들면 24시간 내지 수일 내지 길면 수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대사성 질환"은 생체 내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하는 것이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장내 방어막(intestinal barrier)의 기능 변화, 혈중 LPS의 농도 변화, 장내 염증 발생, 장내 점액질 변화, 인슐린 저항성 증가, 인슐린 민감도 감소, 공복혈당 증가, 인슐린 내성 증가, 글루코스 내성 증가, 혈중 크레아티닌, 요소 질소(BUN), 요산, 크레아틴 키나제 농도 증가 중 1 이상의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거나, 상기 현상으로 인한 것 내지는 상기 현상을 전조 증상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질환,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지방간, 간 질환, 신장 손상,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질환은 인슐린에 대한 세포 및 조직의 감수성 저하로 인하여 인슐린 효과가 감소되는 상태를 통칭하는 것으로, 고인슐린혈증,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및 간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고인슐린혈증" 은 혈중 인슐린 수치가 높은 상태로서, 교감 신경 활성 항진이나 신장에 있어서의 나트륨 흡수 등을 촉진시키는 등 비만 또는 당뇨병 등에 수반되는 질병이다.
본 발명의 용어 "비만(obesity)" 이란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의 기준은 상기 체내 지방이 체중의 25% 이상, 여자는 30~35%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반적 측정방법으로는 체중(㎏)/신장(m)2으로 나타내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가 널리 쓰이고 있다. 서양인 체질량지수가 30㎏㎏/m2이 초과되면 비만, 25~30㎏/m2인 경우에는 과체중으로 정의하며, 동양인의 경우에는 이보다 2정도 낮은 28㎏/m2이 초과되면 비만, 23~28㎏/m2은 과체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허리대비 엉덩이 둘레비 (WHR; Waist to Hip Ratio) 또는 복부지방량을 기준으로 비만을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기준을 포함하여 이외의 통상적인 기준으로 정의된 비만의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의 작용 및 기능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나타나는 질병을 의미하며, 이 병에 걸릴 경우 글리코겐, 단백질 및 지방질의 과도한 분해로 간 또는 혈액 중 글루코스 농도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일으켜 당뇨 및 케톤뇨를 초래하고, 수분 및 전해질 대사의 이상으로 전해질 상실에 의한 혈액 농축 상태와 함께 순환장애, 신장장애 등의 병적 상태를 가져오게 된다. 인슐린은 췌장 내에 존재하는 랑게르한스섬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고,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증가하면 분비되며, 감소하면 분비가 억제되어 에너지원의 적절한 활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 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형)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II형)으로 구분된다. 당뇨병 진단은 일반적으로 혈중 글루코스 농도 측정을 통해서 가능한데, 기준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낸다. 인간에게서는 일반적으로 혈중에서 글루코스가 평소 200 ㎎/㎗ 이상, 공복시 140 ㎎/㎗ 이상일 때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상기 당뇨병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일 수 있다. 상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우리 몸이 분비되는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4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나, 최근 발병 연령이 낮아지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에게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증상으로는 심한 갈증을 느끼거나, 소변을 자주 보며,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공복감이 증가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용어 "이상지질혈증" 은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말하며,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고지혈증" 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 및 중성지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정상 상태에 비해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간 질환"은 자가면역성 간질환, 약물 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감염성 간질환, 선천성 대사성 간질환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대사 장애를 원인으로 하는 간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간 질환은 간 손상을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어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간 질환의 예시는 간 손상, 지방간, 간경변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지방간"은 정상세포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중성지방이 간 세포 내에 비정상적으로 침착되어 보이는 현상을 의미하며, 간의 무게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초과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간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알콜성 지방간 질환, 영양성 지방간 질환,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만성 지방간 질환,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또는 지방간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원발성과 속발성에 따른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을 모두 포함하고, 예를 들어 원발성 고지혈증, 당뇨 또는 비만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단순 지방간 (Simple steatosis), 비알콜성 지방간염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및 이러한 질환의 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간섬유화 (Liver fibrosis)와 간경화 (Liver cirrhosi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동맥경화증"은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난 결과,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만성적으로 높은 상태로서,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상기 고혈압은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병하기도 한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DAXX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가 제공될 수 있다.
용어 "벡터(vector)"는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켜 생체 내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는 AAV1, AAV2, AAV3, AAV4, AAV5, AAV6, AAV7, AAV8, AAV9, AAV10 및 AAV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재조합 벡터에서 상기 단백질 복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은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조절 서열(예를 들어, 프로모터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서열은 "작동 가능하게 연결(operatively linked)"됨으로써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를 들어, pLλ 프로모터, CMV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라이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및 HSV의 tk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상기 재조합 세포는 상기 재조합 벡터를 적절한 숙주 세포에 도입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숙주세포는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 세포도 이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DAXX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AXX의 투여 용량은 0.01㎎ 내지 10,000㎎, 0.1㎎ 내지 1000㎎, 1㎎ 내지 100㎎, 0.01㎎ 내지 1000㎎, 0.01㎎ 내지 100㎎, 0.01㎎ 내지 10㎎, 또는 0.01㎎ 내지 1㎎일 수 있다. 또한, 중간엽줄기세포의 투여 용량은 1.0Х 105 내지 1.0Х 108 세포/㎏(체중)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가능한 투여 경로에는 경구, 설하,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또는 정맥내), 직장, 국소 (경피 포함), 흡입, 및 주사, 또는 이식성 장치 또는 물질의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치료의 대상동물로서는, 인간 및 그 밖의 목적으로 하는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소, 개, 말, 돼지 등이 포함된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생체고분자(biopolymer) 등의 유기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무기물,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매트릭스,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그의 화학적 유도체 등과 조합시키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것들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는 상술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용도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므로, 이들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며,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DAXX 단백질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통상의 건강기능식품과 같이 여러가지 생약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상술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 첨가제"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 보조사료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 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상술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일 양상에 따른 DAXX 단백질은 MPK38와 결합하고, 두 단백질 결합을 통해 DAXX는 MPK38 단백질의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MPK38-유도 ASK1/TGF-β/p53 신호전달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DAXX는 내당능 및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할 수 있고,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FFA)의 순환 농도를 감소시키며, 지방 생성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MPK38 및 DAXX의 상호작용을 확인하는 GST pull-down assay 및 공동면역침전(coimmunoprecipitation)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MPK38 및 DAXX의 결합부위를 확인하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3은 시험관 내(in vitro) MPK38-DAXX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8% native PAGE를 사용한 분석결과 이미지 및 도표이다.
도 4는 HEK293 세포 용해물에 H2O2, TNF-α, thapsigargin(Tg), ionomycin (IONO), TGF-β1, 5-fluorouracil(5FU) 또는 doxorubicin(Dox)을 처리(+) 또는 무처리(-)하여 면역블롯팅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5는 DAXX에서 MPK38 인산화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관 내 키나제(kinase)분석 결과 이미지이다.
도 6은 MPK38의 키나제 활성에 대한 DAXX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관 내 키나제(kinase)분석 결과 이미지이다.
도 7은 MPK38과 ASK1, Smad3 또는 p53 사이의 복합체 형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항-FLAG 항체를 사용한 면역블롯팅 결과 이미지이다.
도 8은 온전한(+/+) 또는 null(-/-)인 MEF 세포로부터의 MPK38 면역침전물을 지시된 항체로 면역블롯팅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9은 재조합 ASK1(KD)(왼쪽), Smad3(가운데) 또는 p53(오른쪽) 단백질을 기질로 사용하여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10은 H2O2(5mM, 30분), TGF-β1(100ng/㎖, 20시간) 또는 5FU(0.38mM, 30시간)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DAXX+/+ 또는 DAXX-/- MEF 세포들을 표시된 항체로 면역블롯팅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11은 MPK38의 안정성을 확인하기위해, HEK293 세포에서 MPK38에 대한 항면역블롯팅(anti-immunoblotting) 결과 이미지이다.
도 12은 야생형 및 DAXX T578A 녹인(KI) HEK293 세포를 사용한, 내인성 MPK38 유비퀴틴화에 대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13은 MPK38-Mdm2 복합체 형성에 대하여,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를 사용하여 정제된 GST-융합 MPK38 단백질을 항-FLAG 항체로 면역블롯팅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14은 MPK38-ZPR9 또는 MPK38-Trx 복합체 형성에 대하여,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를 사용하여 정제된 GST-융합 MPK38 단백질을 항-FLAG 항체로 면역블롯팅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15는 DIO(diet-induced obesity) 마우스에서 지방 생성 유전자의 상대적 mRNA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는 DIO 마우스에서 GTT(Glucose tolerance testing) 및 ITT(insulin tolerance testing)를 수행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7는 DIO 마우스에서 섭식 및 단식(~8-10h)후의 포도당과 인슐린의 순환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는 DIO 마우스에서 부고환 백색 지방 조직(WAT)에 의한 인슐린(10mU/㎖) 자극 2-데옥시글루코스 흡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왼쪽) 및 인슐린을 꼬리 대정맥에 주입한 후 IRS-PI3K 신호전달의 면역블롯 분석결과 이미지(오른쪽)이다.
도 19는 DIO 마우스에서 간 포도당신생합성 유전자 상대적 mRNA 발현 및 혈당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는 DIO 마우스에서 부고환(epididymal) WAT에서 pro-lipogenic 유전자의 상대적 mRNA 발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DIO 마우스에서 순환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DIO 마우스에서 부고환 WAT에서 지질분해 유전자의 상대적 mRNA 발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는 DIO 마우스에서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 유전자의 상대적 mRNA 발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DIO 마우스에서 섭식 및 단식(~18시간) 중의 총 혈청 케톤체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항체, 플라스미드, 세포배양, 생쥐배아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s; MEFs), DAXX (T578A) 녹인(knock-in) 세포 및 동물
GST-태그된 MPK38 플라스미드(wild-type(WT)), kinase-dead (K40R), MPKC 및 MCAT)가 실험예에서 사용되었다. 항-DAXX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Inc.(Dallas, TX)에서 구입하였다. HEK293, NIH 3T3 및 MCF7 세포들은 10% 열불활성화(heat-inactivated)소태아혈청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에서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MEFDAXX-/- 세포는 Dr. G.G. Maul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가 제공해주었다. CRISPR/Cas9 DAXX (T578A) knock-in HEK293 세포주는 DAXX 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상보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표적 서열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대략 4주된 C57BL/6 N 수컷 마우스에게 10주간 HFD(지방으로 60% 에너지;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를 먹인 후, 충북대학교 윤리심의위원회(CBNUA966-16-02)에 의해 승인된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을 수행하였다.
참조예 2. MPK38 인산화-결함(phosphorylation-defective) DAXX 돌연변이
DAXX 돌연변이는 PCR에 의해 생성되었다. pGEX4T-1 DAXX 구성에서 세린 또는 트레오닌-알라닌 점돌연변이를 생성하기 위해 DAXX 정방향 또는 역방향 프라이머 및 DAXX 돌연변이 프라이머와 함께 WT DAXX를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PCR 산물은 EcoRI 및 XhoI로 분해한 후 pGEX4T-1 벡터의 EcoR1/XhoI 부위에 연결되었다.
참조예 3. 결합분석, 재조합 단백질 정제, in vitro MPK38 kinase assay 및 단백질 안정성 및 유비퀴틴화 분석
내인성 상호작용은 HEK293, NIH 3T3 및 MCF7 세포 용해물을 사용한 면역침전 실험에 의해 평가되었고, 외인성 상호작용은 글루타티온 스트랜스퍼라제(GST; glutathione Stransferase) 풀다운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DAXX와 상호작용하는 MPK38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TNT 결합 망상적혈구 용해물 시스템(Promega; Madison, WI)을 사용하여 만든 시험관 내 번역된 35S 표지 DAXX 단백질을 사용하여 천연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PAGE)도 수행하였다. GST 태그가 지정된 야생형(WT) 및 DAXX의 결실 돌연변이체 및 His-MPK38을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Amersham Biosciences, Amersham, UK), Ni-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비드(Qiagen, Hilden, Germany) 및 친화성 정제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시험관 내 MPK38 키나제 활성, MPK38 단백질 안정성 및 유비퀴틴화 분석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참조예 4. 포도당 및 인슐린 내성 검사(GTT/ITT), 대사 매개변수, 실시간 정량적 PCR(qPCR) 및 아데노바이러스 매개 유전자 전달
GTT 및 ITT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순환 포도당 농도는 Accu-Check glucometer (Roche Diagnostics; Indianapolis, IN)를 사용하여 정량화하고 인슐린 농도는 ELISA 키트(Crystal Chem; Downers Grove, I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LDL)-콜레스테롤 및 포도당의 순환농도는 Hitachi 자동 분석기(7080; Hitachi Science,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습니다. 순환 케톤 농도는 Ketone body assay kit(Wak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qPCR 반응은 LightCycler 반응 키트(Roche Diagnostic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재조합 DAXX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조하기 위해 FLAG-DAXX(WT 또는 T578A)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프라이머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참조예 5. 통계분석
결과는 최소한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 ± S.E.M으로 표시하였다. 일원(One-way) 또는 양방향(two-way) ANOVA가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예 1. 세포 내에서 DAXX와 MPK38의 상호작용 확인
DAXX는 ASK1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MPK38이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ASK1의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밝혀졌다. 이는 DAXX가 MPK38 경로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1. GST pull-down assay
HEK293 세포를 표시된(indicated) 발현 벡터의 다양한 조합으로 일시적으로 형질감염 시켰다. GST 태그가 붙은 단백질을 글루타티온-세파로스(glutathione-sepharose) 비드(bead) (GST Purification)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MPK38-DAXX 복합체 형성은 항-FLAG 항체를 사용한 면역블롯팅(immunoblotting)에 의해 평가되었다(도 1 왼쪽 및 도 2). 토끼 pre-immune serum(Preimm.) 또는 항-MPK38항체(α-MPK38)를 사용하여 HEK293, MCF7 및 NIH 3T3 세포 용해물로부터 얻은 면역침전물을 항-DAXX 항체로 면역블롯팅하여 MPK38과 DAXX 사이의 내인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도 1, 오른쪽).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2. 시험관 내( in vitro ) MPK38-DAXX 상호작용을 평가
시험관 내(in vitro) MPK38-DAXX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관 내 번역된 35S-표지 DAXX 단백질(~2㎍)을 표지되지 않은 재조합 GST, GST-WT 또는 MPK38의 결실 돌연변이(각각 ~3㎍)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후, 8% native PAG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3. 내인성 MPK38-DAXX 상호작용 평가
내인성 MPK38-DAXX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HEK293 세포 용해물에 H2O2(2mM, 30분), TNF-α(500ng/㎖, 30분), thapsigargin(Tg; 20μM, 30분), ionomycin (IONO; 1μM, 24시간), TGF-β1(100ng/㎖, 20시간), 5-fluorouracil(5FU, 0.38mM, 30시간) 또는 doxorubicin(Dox; 100ng/㎖, 24시간)을 처리(+) 또는 무처리(-)하였다. 그후, 표시된 항체로 면역침전시킨 다음 항-DAXX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블롯팅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4. DAXX에서 MPK38 인산화 부위 확인
DAXX에서 MPK38 인산화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MPK38(WT 또는 K40R)로 형질감염되고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를 사용하여 정제된 HEK293 세포에서 얻은 GST-융합 MPK38 단백질을 재조합 DAXX 기질(substrate(~2㎍)(왼쪽)을 사용한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재조합 MPK38 단백질은 재조합 WT 및 DAXX의 치환 돌연변이체(S690A, S702A 또는 T578A)를 기질로 사용하는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에 사용되었다(오른쪽)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5. MPK38의 키나제 활성에 대한 DAXX의 영향
MPK38의 키나제 활성에 대한 DAXX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HEK293 세포를 표시된 발현 벡터의 다양한 조합으로 일시적으로 형질감염시키고,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를 사용하여 정제한 GST-융합 MPK38 단백질 재조합 ZPR9를 기질로 사용하는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을 하였다. 각 실험은 유사한 결과로 독립적으로 세 번 수행되었다. (WT, 야생형; WB, 웨스턴 블롯; 32P, 32P 편입; P, 인산화됨; re, 재조합)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DAXX가 시험관 내(in vitro)(도 1 왼쪽) 및 생체 내(in vivo)(도 1, 오른쪽) 모두에서 MPK38과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AXX는 야생형 MPK38 및 MPKC(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도메인, 아미노산 270-643 포함) 둘 다에 결합하지만 MCAT(단백질의 아미노 말단 키나제 도메인, 아미노산 7-269 포함)에는 결합하지 않는다(도 2, 왼쪽). 이는 시험관내 번역된 35S-표지된 DAXX 및 재조합 GST-표지된 MPK38 단백질을 사용한 비변성 PAGE에 의해 확증되었다 (도 3). 또한, MPK38은 DAXX 1-440(단백질의 아미노말단 도메인, 아미노산 1-440)과 상호작용하지만 다른 DAXX 결실 구조(DAXX 441-500(산성 아미노산이 풍부한 도메인, 아미노산 441-500), DAXX 501-625(ASK1 결합 도메인, 아미노산 501-625) 또는 DAXX 626-740(Fas 결합 도메인, 아미노산 626-740))과는 상호작용을 하지않는다(도 2, 오른쪽). 이를 통해, MPK38의 카복시 말단 도메인과 DAXX의 아미노 말단 도메인이 이 두 단백질의 결합에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양한 ASK1/TGF-β/p53 신호가 HEK293 세포에서 MPK38-DAXX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했으며, 이러한 자극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내인성 MPK38-DAXX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4). 재조합 DAXX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MPK38(WT 또는 K40R) (도. 1E, 왼쪽) 또는 재조합 MPK38 단백질(도. 1E, 오른쪽)의 GST 침전물을 사용하여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에서, MPK38이 DAXX를 인산화하고(도 5, 왼쪽 (5th lane), 오른쪽 (2nd lane)), MPK38에 의해 유도된 인산화가 S690A 및 S702A DAXX 돌연변이체에서 온전하였지만, T578A 돌연변이체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Thr578을 MPK38에 대한 인산화 부위로 식별한 MPK38 기질 모티프 (도 5, 오른쪽)에 대한 스크리닝 결과를 확증하였다. MPK38 키나제 활성에 대한 DAXX의 효과는 MPK38 단독 또는 MPK38 및 DAXX로 형질감염된 HEK293 세포에서 결정되었다. T578A 돌연변이가 아닌 WT DAXX는 MPK38 키나제 활성을 증가시켰다(도 6). 이는 DAXX에 의한 Thr578에서의 인산화가 MPK38 키나제 활성을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상기 실험예 1-1 내지 1-5를 통해서, DAXX가 MPK38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MPK38의 키나제(kinase)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DAXX의 MPK38 유도 ASK1/TGF-β/p53 신호 전달 증가 확인
MPK38 활성을 증가시키는 DAXX 효과의 기본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해 먼저 MPK38이 ASK1/TGF-β/p53 신호 전달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DAXX가 다운스트림 표적(ASK1, Smad3 또는 p53)과 MPK38의 복합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1.
HEK293 세포를 표시된 발현 벡터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질감염시켰다. MPK38과 ASK1, Smad3 또는 p53 사이의 복합체 형성 정도는 항-FLAG 항체를 사용한 면역블롯팅에 의해 결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2.
DAXX 발현에 대해 온전한(+/+) 또는 null(-/-)인 MEF 세포로부터의 MPK38 면역침전물을 지시된 항체로 면역블롯팅하여 내인성 복합체 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3.
재조합 ASK1(KD)(왼쪽), Smad3(가운데) 또는 p53(오른쪽) 단백질을 기질로 사용하여 시험관 내 키나제 분석을 수행하여 MPK38의 키나제 활성에 대한 DAXX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4.
H2O2(5mM, 30분), TGF-β1(100ng/㎖, 20시간) 또는 5FU(0.38mM, 30시간)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DAXX+/+ 또는 DAXX-/- MEF 세포들을 표시된 항체로 면역블롯팅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T578A 돌연변이와 달리, WT DAXX가 다운스트림 표적에 대한 MPK38의 결합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또한 DAXX-null (DAXX-/-) MEF 세포들을 이용하여 반복실험하여 대조군 DAXX+/+ MEF 세포와 비교한 결과, DAXX-null (DAXX-/-) MEF 세포에서 ASK1/TGF-β/p53 신호의 존재에 관계없이 MPK38과 그 다운스트림 표적 사이의 복합체 형성이 손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8). 이와 일관되게 DAXX 결핍은 대조군 DAXX+/+ MEF 세포에 비해 MPK38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켰다(도 9). 또한, DAXX-/- MEF 세포에서 MPK38에 의한 ASK1/TGF-β/p53 신호전달의 활성화는 대조군 DAXX+/+ MEF 세포에서보다 현저히 낮았다(도 10).
이를 통해, DAXX는 ASK1, Smad3 또는 p53과 MPK38의 복합체 형성을 촉진하여 ASK1/TGF-β/p53 신호 전달을 자극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DAXX에 의한 MPK38 안정화
실험예 3-1. MPK38의 안정성 평가
DAXX가 MPK38의 활성을 자극하는 메커니즘을 추가로 조사하기 위해, 면역 블롯 분석을 수행하여 MPK38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MPK38의 안정성은 HEK293 세포에서 MPK38에 대한 항면역블롯팅(anti-immunoblotting)에 의해 평가되었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숫자는 20㎎/㎖ 사이클로헥시미드(CHX) 단독 또는 10mM MG132(프로테아좀 억제제)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시점(분)이다.
실험예 3-2. 생체 내 유비퀴틴화 분석
MPK38의 DAXX 매개 안정화가 MPK38 유비퀴틴화 억제의 결과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생체 내 유비퀴틴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내인성 MPK38 유비퀴틴화는 야생형 및 DAXX T578A 녹인(KI;knock-in) HEK293 세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숫자는 DAXX(T578A) KI 세포의 클론을 나타낸다.
실험예 3-3. MPK38-ZPR9 및 MPK38-Trx 복합체 형성에서 DAXX의 영향
HEK293 세포를 표시된 발현 벡터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질감염시켰다. 글루타티온-세파로스 비드를 사용하여 정제된 GST-융합 MPK38 단백질을 항-FLAG 항체로 면역블롯팅하여 MPK38-Mdm2(C), MPK38-ZPR9(D) 또는 MPK38-Trx(D) 복합체 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3 및 14에 나타내었다.
T578A 돌연변이가 아닌 WT DAXX는 대조군 빈 벡터와 비교하여 MPK38의 안정성을 증가시켰으며(도 11), 이는 DAXX의 Thr578 인산화가 MPK38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생체 내 유비퀴틴화 분석을 수행했으며 실제로 T578A 돌연변이가 아닌 WT DAXX가 MPK38의 유비퀴틴화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또한 DAXX가 이전에 특성화된 MPK38과 Mdm2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했으며, 대조군과 비교할 때 T578A 돌연변이가 아닌 WT DAXX가 이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13). 이러한 결과는 DAXX의 Thr578 인산화가 MPK38의 Mdm2 매개 유비퀴틴화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MPK38이 ZPR9에 의해 안정화되지만 Trx에 의해 불안정화되기 때문에 DAXX가 MPK38-ZPR9 및 MPK38-Trx 복합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T578A 돌연변이가 아닌 WT DAXX가 MPK38-ZPR9 복합체 형성을 증가시키고 MPK38-Trx 복합체 형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4).
이를 통해, DAXX 인산화가 MPK38의 안정성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ASK1/TGF-β/p53 신호전달의 MPK38 유도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DIO(diet-induced obesity) 마우스의 손상된 포도당 및 지질 대사 개선효과
ASK1/TGF-β/p53 신호전달 및 MPK38 키나제 활성의 활성화는 연령이 일치하는 마른 대조군보다 DIO 마우스에서 더 낮다. 따라서 DAXX가 ASK1/TGF-β/p53 신호 전달을 증가시켜 DIO 마우스의 포도당 대사 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아데노바이러스(Ad) 유전자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Ad-DAXX 감염은 CCAAT-인핸서-결합 단백질 α(C/EBPα), 퍼옥시좀 증식자 활성화 수용체 γ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및 지방산 결합 단백질 4(FABP4)와 같은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도 15). 또한, 내당능(glucose tolerance) 및 인슐린 감수성(도 16) 개선하였고, 공복 상태에서 DIO 마우스의 순환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를 감소하였다(도 17). 또한 2-데옥시글루코스 흡수를 증가하였다(도 18). 하지만, Ad-T578A 감염은 그러하지 않았다. 이와 일치하게 Ad-DAXX 감염은 포도당 흡수를 매개하는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phosphoinositide 3-kinase (PI3K)/AKT 경로를 자극한 반면 Ad-T578A 감염은 이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그림 4D). Ad-DAXX 감염은 또한 글루코스 6- 포스파타아제 (G6PC),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시키나제-1(PCK1) 및 퍼옥시좀 증식자 활성화 수용체 γ 보조 활성화제 1α(PGC1α)와 같은 간(hepatic)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ic) 유전자의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혈당 농도를 감소시켰다(도 19). 다만, Ad-T578A 감염은 그러하지 않았다.
비만 관련 지질 대사에 대한 DAXX의 영향과 관련하여 Ad-DAXX 감염은 지방산 합성 효소(FAS), 스테롤 CoA 불포화 효소 1(SCD1) 및 스테롤조절요소 결합 전사인자 1c(SREBP1c)와 같은 지방 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도 20). 다만, Ad-T578A 감염은 그러하지 않았다. 또한, Ad-DAXX 감염은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FFA)의 순환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지방 생성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감소시켰다(도21). 이는 DAXX의 Thr578 인산화가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Ad-DAXX 감염은 또한 호르몬감수성 리파제(HSL), 지방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제(ATGL) 및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ADRB3)를 암호화하는 것과 같은 지방 지방분해 유전자(도 22)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퍼옥시좀 증식자 활성화 수용체 α(PPARα),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1(CPT1) 및 아실-CoA 산화효소(ACO)를 코딩하는 지방산 산화 유전자(도 23)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더 낮은 순환 농도와 일치한다. Ad-DAXX 감염은 또한 간 지질 축적과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발견은 DAXX가 지질 산화에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우리는 또한 DAXX가 간 케톤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Ad-T578A 감염이 아닌 Ad-DAXX 감염이 공복 상태에서 총 순환 케톤체 농도(도 24)와 케톤 생성 유전자(PPARα, CPT1 및 3-hydroxy-3-methylglutaryl-CoA synthase 2 (HMGCS2))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DAXX 인산화가 DIO 마우스의 특징인 포도당 및 지질 대사 장애를 의존적으로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1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comprising DAXX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130> PN220027KR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7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DAXX <400> 1 Met Ala Thr Ala Asn Ser Ile Ile Val Leu Asp Asp Asp Asp Glu Asp 1 5 10 15 Glu Ala Ala Ala Gln Pro Gly Pro Ser His Pro Leu Pro Asn Ala Ala 20 25 30 Ser Pro Gly Ala Glu Ala Pro Ser Ser Ser Glu Pro His Gly Ala Arg 35 40 45 Gly Ser Ser Ser Ser Gly Gly Lys Lys Cys Tyr Lys Leu Glu Asn Glu 50 55 60 Lys Leu Phe Glu Glu Phe Leu Glu Leu Cys Lys Met Gln Thr Ala Asp 65 70 75 80 His Pro Glu Val Val Pro Phe Leu Tyr Asn Arg Gln Gln Arg Ala His 85 90 95 Ser Leu Phe Leu Ala Ser Ala Glu Phe Cys Asn Ile Leu Ser Arg Val 100 105 110 Leu Ser Arg Ala Arg Ser Arg Pro Ala Lys Leu Tyr Val Tyr Ile Asn 115 120 125 Glu Leu Cys Thr Val Leu Lys Ala His Ser Ala Lys Lys Lys Leu Asn 130 135 140 Leu Ala Pro Ala Ala Thr Thr Ser Asn Glu Pro Ser Gly Asn Asn Pro 145 150 155 160 Pro Thr His Leu Ser Leu Asp Pro Thr Asn Ala Glu Asn Thr Ala Ser 165 170 175 Gln Ser Pro Arg Thr Arg Gly Ser Arg Arg Gln Ile Gln Arg Leu Glu 180 185 190 Gln Leu Leu Ala Leu Tyr Val Ala Glu Ile Arg Arg Leu Gln Glu Lys 195 200 205 Glu Leu Asp Leu Ser Glu Leu Asp Asp Pro Asp Ser Ala Tyr Leu Gln 210 215 220 Glu Ala Arg Leu Lys Arg Lys Leu Ile Arg Leu Phe Gly Arg Leu Cys 225 230 235 240 Glu Leu Lys Asp Cys Ser Ser Leu Thr Gly Arg Val Ile Glu Gln Arg 245 250 255 Ile Pro Tyr Arg Gly Thr Arg Tyr Pro Glu Val Asn Arg Arg Ile Glu 260 265 270 Arg Leu Ile Asn Lys Pro Gly Pro Asp Thr Phe Pro Asp Tyr Gly Asp 275 280 285 Val Leu Arg Ala Val Glu Lys Ala Ala Ala Arg His Ser Leu Gly Leu 290 295 300 Pro Arg Gln Gln Leu Gln Leu Met Ala Gln Asp Ala Phe Arg Asp Val 305 310 315 320 Gly Ile Arg Leu Gln Glu Arg Arg His Leu Asp Leu Ile Tyr Asn Phe 325 330 335 Gly Cys His Leu Thr Asp Asp Tyr Arg Pro Gly Val Asp Pro Ala Leu 340 345 350 Ser Asp Pro Val Leu Ala Arg Arg Leu Arg Glu Asn Arg Ser Leu Ala 355 360 365 Met Ser Arg Leu Asp Glu Val Ile Ser Lys Tyr Ala Met Leu Gln Asp 370 375 380 Lys Ser Glu Glu Gly Glu Arg Lys Lys Arg Arg Ala Arg Leu Gln Gly 385 390 395 400 Thr Ser Ser His Ser Ala Asp Thr Pro Glu Ala Ser Leu Asp Ser Gly 405 410 415 Glu Gly Pro Ser Gly Met Ala Ser Gln Gly Cys Pro Ser Ala Ser Arg 420 425 430 Ala Glu Thr Asp Asp Glu Asp Asp Glu Glu Ser Asp Glu Glu Glu Glu 435 440 445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la Thr Asp Ser Glu Glu Glu 450 455 460 Glu Asp Leu Glu Gln Met Gln Glu Gly Gln Glu Asp Asp Glu Glu Glu 465 470 475 480 Asp Glu Glu Glu Glu Ala Ala Ala Gly Lys Asp Gly Asp Lys Ser Pro 485 490 495 Met Ser Ser Leu Gln Ile Ser Asn Glu Lys Asn Leu Glu Pro Gly Lys 500 505 510 Gln Ile Ser Arg Ser Ser Gly Glu Gln Gln Asn Lys Gly Arg Ile Val 515 520 525 Ser Pro Ser Leu Leu Ser Glu Glu Pro Leu Ala Pro Ser Ser Ile Asp 530 535 540 Ala Glu Ser Asn Gly Glu Gln Pro Glu Glu Leu Thr Leu Glu Glu Glu 545 550 555 560 Ser Pro Val Ser Gln Leu Phe Glu Leu Glu Ile Glu Ala Leu Pro Leu 565 570 575 Asp Thr Pro Ser Ser Val Glu Thr Asp Ile Ser Ser Ser Arg Lys Gln 580 585 590 Ser Glu Glu Pro Phe Thr Thr Val Leu Glu Asn Gly Ala Gly Met Val 595 600 605 Ser Ser Thr Ser Phe Asn Gly Gly Val Ser Pro His Asn Trp Gly Asp 610 615 620 Ser Gly Pro Pro Cys Lys Lys Ser Arg Lys Glu Lys Lys Gln Thr Gly 625 630 635 640 Ser Gly Pro Leu Gly Asn Ser Tyr Val Glu Arg Gln Arg Ser Val His 645 650 655 Glu Lys Asn Gly Lys Lys Ile Cys Thr Leu Pro Ser Pro Pro Ser Pro 660 665 670 Leu Ala Ser Leu Ala Pro Val Ala Asp Ser Ser Thr Arg Val Asp Ser 675 680 685 Pro Ser His Gly Leu Val Thr Ser Ser Leu Cys Ile Pro Ser Pro Ala 690 695 700 Arg Leu Ser Gln Thr Pro His Ser Gln Pro Pro Arg Pro Gly Thr Cys 705 710 715 720 Lys Thr Ser Val Ala Thr Gln Cys Asp Pro Glu Glu Ile Ile Val Leu 725 730 735 Ser Asp Ser Asp 740 <210> 2 <211> 22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Sequence of DAXX <400> 2 atggccaccg ctaacagcat catcgtgctg gatgatgatg acgaagatga agcagctgct 60 cagccagggc cctcccaccc actccccaat gcggcctcac ctggggcaga agcccctagc 120 tcctctgagc ctcatggggc cagaggaagc agtagttcgg gcggcaagaa atgctacaag 180 ctggagaatg agaagctgtt cgaagagttc cttgaacttt gtaagatgca gacagcagac 240 caccctgagg tggtcccatt cctctataac cggcagcaac gtgcccactc tctgtttttg 300 gcctcggcgg agttctgcaa catcctctct agggtcctgt ctcgggcccg gagccggcca 360 gccaagctct atgtctacat caatgagctc tgcactgttc tcaaggccca ctcagccaaa 420 aagaagctga acttggcccc tgccgccacc acctccaatg agccctctgg gaataaccct 480 cccacacacc tctccttgga ccccacaaat gctgaaaaca ctgcctctca gtctccaagg 540 acccgtggtt cccggcggca gatccagcgt ttggagcagc tgctggcgct ctatgtggca 600 gagatccggc ggctgcagga aaaggagttg gatctctcag aattggatga cccagactcc 660 gcatacctgc aggaggcacg gttgaagcgt aagctgatcc gcctctttgg gcgactatgt 720 gagctgaaag actgctcttc actgaccggc cgtgtcatag agcagcgcat cccctaccgt 780 ggcacccgct acccagaggt taacaggcgc attgagcggc tcatcaacaa gccagggcct 840 gataccttcc ctgactatgg ggatgtgctt cgggctgtag agaaggcagc tgcccgacac 900 agccttggcc tcccccgaca gcagctccag ctcatggctc aggatgcctt ccgagatgtg 960 ggcatcaggt tacaggagcg acgtcacctc gatctcatct acaactttgg ctgccacctc 1020 acagatgact ataggccagg cgttgaccct gcactatcag atcctgtgtt ggcccggcgc 1080 cttcgggaaa accggagttt ggccatgagt cggctggatg aggtcatctc caaatatgca 1140 atgttgcaag acaaaagtga ggagggcgag agaaaaaaga gaagagctcg gctccaaggc 1200 acctcttccc actctgcaga cacccccgaa gcctccttgg attctggtga gggccctagt 1260 ggaatggcat cccaggggtg cccttctgcc tccagagctg agacagatga cgaagacgat 1320 gaggagagtg atgaggaaga ggaggaggag gaggaagaag aagaggagga ggccacagat 1380 tctgaagagg aggaggatct ggaacagatg caggagggtc aggaggatga tgaagaggag 1440 gacgaagagg aagaagcagc agcaggtaaa gatggagaca agagccccat gtcctcacta 1500 cagatctcca atgaaaagaa cctggaacct ggcaaacaga tcagcagatc ttcaggggag 1560 cagcaaaaca aaggacgcat agtgtcacca tcgttactgt cagaagaacc cctggccccc 1620 tccagcatag atgctgaaag caatggagaa cagcctgagg agctgaccct ggaggaagaa 1680 agccctgtgt ctcagctctt tgagctagag attgaagctt tgcccctgga taccccttcc 1740 tctgtggaga cggacatttc ctcttccagg aagcaatcag aggagccctt caccactgtc 1800 ttagagaatg gagcaggcat ggtctcttct acttccttca atggaggcgt ctctcctcac 1860 aactggggag attctggtcc cccctgcaaa aaatctcgga aggagaagaa gcaaacagga 1920 tcagggccat taggaaacag ctatgtggaa aggcaaaggt cagtgcatga gaagaatggg 1980 aaaaagatat gtaccctgcc cagcccacct tcccccttgg cttccttggc cccagttgct 2040 gattcctcca cgagggtgga ctctcccagc catggcctgg tgaccagctc cctctgcatc 2100 ccttctccag cccggctgtc ccaaaccccc cattcacagc ctcctcggcc tggtacttgc 2160 aagacaagtg tggccacaca atgcgatcca gaagagatca tcgtgctctc agactctgat 2220 tag 2223

Claims (19)

  1.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AXX 단백질은 서열번호의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는 AAV1, AAV2, AAV3, AAV4, AAV5, AAV6, AAV7, AAV8, AAV9, AAV10 및 AAV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AXX는 MPK38과 결합하여, MKP38 유도 AKS/TGF-β/p53 신호전달 체계가 활성화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MPK38은 DAXX의 T578 부위를 인산화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AXX는 내당능, 또는 인슐린 감수성 개선하고,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AXX는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또는 유리 지방산(FFA)을 감소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질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DAXX 단백질은 서열번호의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DAXX 단백질은 서열번호의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질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8. DAXX 단백질 또는 그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DAXX 단백질은 서열번호의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KR1020220027518A 2022-03-03 2022-03-03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0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18A KR20230130395A (ko) 2022-03-03 2022-03-03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18A KR20230130395A (ko) 2022-03-03 2022-03-03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95A true KR20230130395A (ko) 2023-09-12

Family

ID=8801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518A KR20230130395A (ko) 2022-03-03 2022-03-03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3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zawa et al. ASXL2 regulates glucose, lipid, and skeletal homeostasis
JP5795670B2 (ja) 循環系細胞におけるpim−1活性を操作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14200180A1 (ko) 티오레독신-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135945B2 (ja) 褐色脂肪細胞分化誘導剤
KR20230130395A (ko) Daxx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94602B2 (ja) 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175170B1 (ko) HBV enhancer 억제인자 ACK1을 포함하는 B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86416B1 (ko) 12-lox 발현 촉진제를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1393B1 (ko) 아데노부속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전달용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25937A1 (ko) Pdk2를 이용한 여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스크리닝 된 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98905B1 (ko) 티오레독신-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59516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갈색지방화 유도용 조성물
KR102351688B1 (ko) Taz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88795B1 (ko) Ppm1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29707B1 (ko) Emodin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대사질환 치료 및 항 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2036A (ko) Yy2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18953B1 (ko) 골손실의 완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Gu et al. Reduced expression of transmembrane protein 43 during cardiac hypertrophy leading to deteriorating heart failure in mice
KR101774430B1 (ko) Rad5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6835B1 (ko) Cacul1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85252B1 (ko) CypB 단백질의 GSK-3β 조절 이상 질환 치료 용도
WO202403604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etabolic disorders
KR20220090473A (ko)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20090474A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1529689A (zh) 转录因子klf16蛋白在制备防治脂质和糖代谢异常相关疾病药物中的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