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004A - 환승장치 - Google Patents

환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004A
KR20230130004A KR1020237023296A KR20237023296A KR20230130004A KR 20230130004 A KR20230130004 A KR 20230130004A KR 1020237023296 A KR1020237023296 A KR 1020237023296A KR 20237023296 A KR20237023296 A KR 20237023296A KR 20230130004 A KR20230130004 A KR 2023013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carriage
transfer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크문트 두데크
크리스티안 하그마이어
Original Assignee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3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0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4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flat surfaces, e.g. platforms, grids, forks
    • B65G17/345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flat surfaces, e.g. platforms, grids, forks the surfaces being equipped with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수영역(26a)에서 상류 컨베이어 라인(10a)으로부터 이송상품(9)을 인수하고, 이송영역(26f)에서 이송면(FE)의 이송방향(FR)으로 이송상품(9)을 이송하며, 이송방향 옆으로 배치된 환승영역(3) 방향으로 이송상품(9)을 선택적으로 환승시키는 환승장치(20)에 관한 것이다. 환승장치(20)에 다수의 벨트 캐리지들(21)이 있고, 이들 벨트 캐리지들은 가이드(23)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송영역(26f)에서 이송방향(FR)으로 움직인다. 벨트 캐리지가 환승벨트(24)를 포함하며, 이 환승벨트(24)는 이송상품(9)의 임시 지지면(241)을 형성한다. 환승벨트(24)는 이송상품(9)의 선택적 측방향 환승을 위해 이송방향(FR)에 횡방향(Q)으로 이송면(FE)에 평행하게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승장치
본 발명은 환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WO 2020/025329 A1은 수평형 크로스벨트 분류기를 소개한다. 크로스벨트 분류기는 이동방향으로 앞뒤로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 캐리지를 갖는다. 컨베이어 캐리지마다 이송상품을 놓을 수 있는 크로스벨트가 있다. 크로스벨트는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송상품을 분류하기 위해 크로스벨트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송상품이 측면으로 가속되고 컨베이어 캐리지에서 아래로 이송(환승)된다. 이런 크로스벨트 분류기는 높은 이송속도에서도 이송상품을 정밀하게 환승시키는 기능이 특징이다. 이런 크로스벨트 분류기는 대형 설비로 100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을 필요로 한다.
이송상품을 크로스벨트 분류기로 보내려면(인피드), 일반적으로 측면 인피더(소위 인피드)가 사용되며, 이는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이송방향에 예각으로 크로스벨트 분류기로 이송상품을 안내한다. 또는, 소위 탑로더(toploader)를 사용해, 이송상품을 위에서 컨베이어 캐리지로 떨어뜨린다.
DE 20 2012 04 830 U1은 수직형 크로스벨트 분류기를 소개한다. 컨베이어 캐리지의 복귀는 이송상품의 이송면 아래에 있는 수직면에서 이루어진다. 수직 분류기에 적용된 모든 이송상품들은 후단부 앞에서 측방으로 환승되거나 수집 스테이션의 단부에서 수집되어야 한다. 수직 편향으로 인해, 수평 분류기와 달리 이송상품을 시작점으로 되돌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수직 분류기의 컨베이어 캐리지는 수평 분류기와 크기가 비슷하며 큰 편향 반경이 필요하다.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컨베이어 캐리지는 이송상품을 완전히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이송방향의 일반적인 길이는 50~100 cm이다. 컨베이어 캐리지의 크기와 관련 편향 반경으로 인해, 크로스벨트 분류기를 설치하려면 큰 공간이 필요하다. 또, 크로스벨트 분류기에 대한 접근은 움직이는 캐리지에서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로 광범위하게 막아야 한다.
모듈식 벨트 컨베이어 라인이나 롤러 컨베이어 라인의에서 상품을 환승시키는데 고가의 크로스벨트 소터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Interroll High Performance Divert 8711"과 "Interroll Transfer RM 8731"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은 벨트나 롤러 컨베이어 라인을 따르거나 여러 컨베이어 라인들 사이에 환승장소를 만드는데 적합하다. .
"Interroll Transfer RM 8731"을 사용하면 이송상품이 환승중에는 이송방향으로 완전히 감속되었다가 이송방향에 횡방향인 환승방향으로 가속된다.
"Interroll Transfer RM 8731"과 "Interroll High Performance Divert 8711" 모두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컨베이어 속도보다 훨씬 낮은 컨베이어 속도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
전술한 솔루션은 롤러 컨베이어 라인이나 벨트 컨베이어 라인에서 모듈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크로스벨트 분류기와는 대조적으로 이런 환승장치의 장점은 이송면에서 환승장치로 상품을 보낼 수 있다는데 있다. 다른 롤러 컨베이어 라인이나 벨트 컨베이어 라인은 이송방향으로 콤팩트 환승장치의 바로 하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직 환승되지 않은 이송상품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간단히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다른 컨베이어 라인들과 함께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환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이 환승장치는 크로스벨트 분류기에 비견되는 성능을 가지면서도 설치 공간과 노력이 현저히 적어 비용도 현저히 낮아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붐위에 기재된 환승장치, 컨베이어 시스템 및 용도에 의해 해결된다.
환승벨트는 이송방향으로 이송상품의 지지면을 제공하고, 이송상품을 측면으로 환승한다. 또, 마찰계수가 높은 환승벨트에 이송상품을 놓을 수 있다. 그 결과, 이송속도가 높아도 측방향 환송의 신뢰성이 매우 높다.
일례로, 이송방향의 이송속도는 1.5m/s 이상, 바람직하게는 2.0m/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s이다.
벨트 캐리지는 환승벨트를 포함한 고도의 구성이다. 환승벨트에 더하여, 벨트 캐리지는 벨트롤러, 벨트 캐리지 프레임 및 가이드를 따라 벨트 캐리지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프레임, 특히 고정 프레임에 부착된다.
크로스벨트 분류기와 달리, 환승장치는 상류 컨베이어 라인과 하류 컨베이어 라인 사이에 모듈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송상품은 이송면으로 보내지고, 환송장치에서 환송되지 않은 이송상품은 다시 이송면에서 하류 컨베이어라인으로 인계된다.
벨트 캐리지 자체 및/또는 환승벨트는 이송방향으로 전체 길이가 비교적 짧다. 이때문에 수직 편향 반경을 아주 작게 할 수 있다. 이런 작은 편향 반경은 이송면에서 이송방향으로 상류 컨베이어 라인에서 인수되거나 하류 컨베이어 라인으로 인계하는데 유리하다. 이때문에 경제적인 벨트 및/또는 롤러 컨베이어 라인에 환승장치를 모듈식으로 통합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달성된다.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컨베이어 벨트가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다.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2개의 편향 롤러 주위에 배치되며 순환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의 윗면에서 이송상품이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 컨베이어 라인에는 컨베이어 롤러가 다수이다. 특히, 컨베이어 롤러는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다. 컨베이어 롤러는 적어도 일부가 모터로 구동되므로,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롤러가 모터롤러이다. 이송 롤러는 윗면이 이송면이고, 이송상품이 이런 이송면에 놓여 이송된다. 이송 과정중에, 이송상품은 항상 2개 이상의 롤러에 동시에 놓인다.
일례로, 환승장치의 길이는 최대 10m 또는 최대 7m이다.
환승벨트는 폴리-V 벨트나 톱니벨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승벨트의 상부면은 벨트 캐리지의 편평한 베이스에 미끄러지게 놓여진다. 따라서, 지지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벨트 캐리지와 환승벨트 사이에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지만 이송상품이 실제로 환승될 때만 그렇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이송상품과 벨트 캐리지 사이에 생기는 마찰은 허용된다.
"이송면"은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고, 반드시 수학적으로 정확한 평면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제시된 탑로더에서 극단적인 형태로 발생하는 하강 전이와 구별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이송면은 최대 7cm나 4cm 정도 범위의 약간의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이송방향 및/또는 이송면은 특히 제1 컨베이어 라인 또는 제2 컨베이어 라인이 곡선인 경우 인수지점이나 인계지점에서 극도로 작을 수 있다. 그러나, 환승지점이나 인수지점에서의 이송방향은 특히 연속적인 경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환승장치는 이송상품의 최소 변 길이(폭)가 최대 120mm, 100mm 또는 90mm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더 큰 이송상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환승장치는 최소 변의 길이가 120mm인 이송상품도 이송할 수 있다.
모든 이송상품은 적어도 인접 2개의 환승벨트들에 동시에 놓이는 크기를 갖는다.
관련 변 길이들은 평평하고 최대 측면을 갖는 이송면에 이송상품을 놓았을 때 평면으로 보이는 이송상품의 외부 경계로 보면 된다. 따라서, 이송 봉투의 높이(두께라고도 함)는 변의 길이로 보지 않는다.
특히, 환승벨트는 구동휠에 확실하게 구동연결되어 있다. 특히, 환승벨트가 밑면에 돌기가 달린 톱니벨트이고, 이런 돌기가 구동휠로서의 톱니바퀴와 맞물린다.
도 1 은 종래의 수평형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수직형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환승하는 동안의 이송상품의 속도 그래프;
도 5는 도 3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환승장치의 사시도 .
도 6은 도 3의 X-X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Y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Z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절곡 단면(XY)의 사시도;
도 10은 환승벨트와 환승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드라이브의 정면도와 하부런의 평면도;
도 11은 봉투 형태의 이송상품의 사시도;
도 12는 캐리지의 정상 부하상태와 과부하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캐리지의 정상 부하상태와 과부하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도 5에 따른 환승장치내 다른 캐리지의 단면도;
도 15는 14에 따른 캐리지들의 작은 스케일의 단면도;
도 16은 환승벨트(24)의 단면도;
도 17a는 전술한 유형의 벨트 캐리지 실시예의 일부구간의 사시도, b는 도 16a에 따른 벨트 캐리지의 단면도.
도 1~2는 다수의 컨베이어 캐리지(91)가 이송방향(FR)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어 움직이는 크로스벨트 분류기(90)를 보여준다. 크로스벨트(92)는 각각의 컨베이어 캐리지(91)의 상부에 배치되어, 크로스벨트(92) 윗면이 이송상품(9)의 지지면이자 이송면(FE)을 이룬다. 최소의 이송상품이 최대 1개의 캐리지(91)와 1개의 크로스벨트(92)에 놓일 수 있게 한다. 큰 상품은 동시에 2 이상의 캐리지(91)와 크로스벨트(92)로 이송될 수 있다. 각 캐리지의 길이는 이송방향으로 최소 50cm이다.
다수의 이송 스테이션(93)에서, 이송상품(9)을 컨베이어 캐리지(91)에서 선택적으로 빼내 그 옆의 환승영역(94)으로 옮길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로스벨트(92)가 컨베이어 캐리지(91)에서 움직이도록 설정되어, 이송상품은 가속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이송방향(FR)에 횡으로 움직인다.
이송상품(9)을 캐리지(91)에 두기 위한 인피드 영역(99)이 있다. 이송상품(9)은 먼저 인피드 컨베이어 라인(98)에 공급되어, 인피드 방향(E)을 따라 컨베이어 캐리지(91)를 향해 움직인다.
도 1에서, 인피드 방향(E)은 위에서 보았을 때 이송면(FE)에 있고 이송방향(FR)에 대해 30° 내지 60°정도의 예각이다. 2 방향 E, FR은 합류부(97)에서 만난다. 합류부(95)에서, 이송상품은 인피드 컨베이어 라인(98)에서 컨베이어 캐리지(91)로 옮겨진다. 이송상품을 컨베이어 캐리지에서 픽업하기 위해, 크로스벨트는 이송방향에 (좌우 방향인) 횡방향(Q)으로 움직인다.
도 1에서, 인피드 방향(E)은 위에서 볼 때 이송방향(FR)과 일치하지만, 컨베이어 캐리지(91) 위에 인피드 컨베이어 라인(98)을 배치해야 한다. 다음, 이송상품이 이송면(FE) 위의 평면에서 컨베이어 캐리지(91)로 환승된다. 이런 인피드 섹션은 "탑 로더"라 한다(도 2 참조).
수평 분류기도 수직 분류기도 아닌 종래의 크로스벨트 분류기는 이런 컨베이어 라인(98)으로부터 이송상품을 받을 수 없고, 이때문에 이송상품이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이송방향(FR)과 이송면(FE) 양쪽으로 온다. 크로스벨트 분류기에서 하류 컨베이어 라인으로 이송상품을 인계할 수도 없는데, 컨베이어 라인에서는 이송상품이 인계영역에서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이송방향(FR)과 이송면(FE) 양쪽으로 인계된다.
원형 경로로 움직이는 크로스벨트 분류기의 대형 컨베이어 캐리지는 대형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특히 컨베이어 캐리지를 돌려 리턴 경로(R)로 인피드 영역(99)으로 되돌리려면 설치공간이 커야 한다. 수직 분류기의 경우(도 2), 크로스벨트 표면에서의 처짐 반경 U는 1m 정도이다. 이렇게 길이차가 커서, 롤러/벨트 컨베이어를 컨베이어는 이송방향(FR)으로 상류냐 하류에 직접 연결할 수 없다. 수평 분류기(도 1)의 경우, 회전 반경이 1.5m 이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시스템(1)을 보여준다. 이송상품들(9)을 이송하기 위한 여러 장치(10,20)가 이송 방향(FR)으로 앞뒤로 배열된다. 이송상품들(9)은 먼저 컨베이어 라인(10a)을 통해 공급된 다음, 제1 환승장치(20a)로 넘겨진다. 이어서, 이들 상품은 추가 컨베이어 라인들(10b,10c) 및 추가 환승장치(20b,20c)로 넘겨지고, 이들 환승장치(20)는 2개의 컨베이어 라인들(10) 사이에 배열된다. 컨베이어 라인은 롤러 컨베이어 라인(10a,10d)이나 벨트 컨베이어 라인(10b,10c)처럼 어떤 것도 가능하다.
환승장치(20)는 선택된 상품들(9)을 이송방향(FR)에서 틀어져 옆으로 배열된 환승영역(3)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상품들(9)은 적어도 단시간동안 동안 횡방향(Q)으로 가속된다.
컨베이어 라인(10)은 소정의 이송방향(FR)으로 상품(9)을 이송하는 롤러/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다. 이송방향(FR)은 예를들어 벨트커브나 롤러커브의 경우 곡선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1)이 환승장치들(20)을 통해 제1 컨베이어 라인(10a)에서 제4 컨베이어 라인까지 연속 이송면(FE)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Interroll High Performance Divert 8711"나 "Interroll Transfer RM 8731"에 의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에도 기본적으로 환승장치(20)를 적용할 수 있다 .
이하, 도 5~10을 참조해 환승장치(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환승장치(20)는 길이 4ft 정도의 프레임(28)을 갖고(도 5), 상품(9)을 이송방향(FR)으로 이송하는 이송면(201)을 형성한다. 이송면(201)은 이송면(FE)을 이룬다.
환승장치(20)의 가이드(23)에 다수의 벨트 캐리지(21)가 원형 경로로 움직일 수 있게 배열된다. 평면에서 보면 벨트 캐리지들이 이송방향(FR)으로 움직인다. 인수영역(26a)에서, 이송상품(9)은 상류 컨베이어 라인(10a)에서 벨트 캐리지(21)의 윗면으로 인수된다. 인계영역(26b)에서, 이송상품(9)은 하류 컨베이어 라인(10c)으로 인계되고 벨트 캐리지(21)의 윗면에 배치된다.
벨트 캐리지(21)가 각각 환승벨트(24)를 지지하고, 환승벨트의 종축선은 횡방향(Q)에 일치한다(도 3 참조). 환승벨트(24)는 벨트 캐리지(21) 위로 돌출해 지지면(241)을 형성하고, 지지면이 이송면(FE)을 형성하며 이송상품(9)이 지지면에 놓인다. 이송상품(9)과 함께 전체 벨트 캐리지(21)가 기본 속도(v0)로 움직이므로, 환승벨트(24)와 그 위의 이송상품(9) 사이에 유의미한 관성력 전달은 없다.
벨트 캐리지는 드라이브(29)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구동된다. 드라이브는 모터(291)와 별도의 기어 유닛(292)을 가질 수 있지만(도 5), 드럼 모터(29)일 수도 있다(도 6).
따라서 이송상품들(9)이 벨트 캐리지(21)에 의해 이송방향(FR)으로 이송된다(도 6). 환승중에는, 이송상품들(9)이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옆으로 환승될 수 있다. 환승되지 않은 이송상품들(9)은 인계영역(26b)에 도착하고, 이 영역은 하류 컨베이어 라인(10b)으로 이어진다. 환승되지 않은 상품들(9)는 여기서 하류 컨베이어 라인(20b)으로 인계된다. 후방 편향영역(25b)에서 (이 경우) 벨트 캐리지들이 아랫쪽으로 휘어지고, 복귀 경로(R)를 따라 전방 편향영역(25a)에 도달한다. 다음, 벨트 캐리지들은 후방 편향영역(25b)으로 이동한다. 전방 편향영역(25a)에서는 벨트 캐리지들(21)이 위쪽으로 휘어져 인수영역(26a)으로 돌아가고, 이곳에서 이송상품들(9)이 다시 픽업된다.
인수 영역(26a) 뒤와 인계 영역(26b) 앞의 영역을 이송영역(26f)이라 한다. 여기서, 이송상품들(9)이 벨트 캐리지(21)와 접한다. 의도된대로 컨베이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송상품들(9)이 완전히 이송영역(26f)에 배치되었다면 적어도 2개의 벨트 캐리지(21)에 놓이고, 특히 인접 2개의 벨트 캐리지의 환승벨트와 접촉할 정도의 큰 크기를 갖는다. 소형 이송상품들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없는데, 이는 인접 2개의 환승벨트들(24) 사이의 갭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고, 이 경우 안정적인 환승이 보장되지 않는다.
인수영역(26a)에서 이송 방향(FR)으로 상류 컨베이어 라인(10a)으로부터 이송상품들(9)이 계속 인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특히 환승장치(20a)와 상류 컨베이어 라인(10a) 모두에서 이송상품들이 평면과 측면 양쪽에서 같은 이송방향(FE)으로 안내되고 상류 컨베이어 라인과 그 뒤의 공통 이송면(FE)의 환승장치(20) 모두 이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인수나 인계는 기존의 크로스벨트 분류기로는 불가능하다.
편향영역(25)에서는 벨트 캐리지(21)가 아래로 움직인다. 편향영역에서의 편향 동안, 지지면(241)은 하향 곡선궤도 경로(UB)를 따라 움직인다(도 6). 이 궤도 경로는 예를 들어 단면으로 보아 편향축(U)에 대해 100mm의 편향 반경(U20)을 갖는다. 편향 반경이 작아 이송방향(FR)과 이송면(FE)에서 이송상품들의 연속적 인수인계가 가능하다.
벨트 캐리지들 사이의 반경부 안쪽에, (도 5의 대안으로) 드럼 모터(29)를 구동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드럼 모터는 전기모터와 기어장치를 포함한 일체형 장치로 설계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라인(10a)과 환승장치(20) 사이의 이송면(FE)의 갭은 패시브 갭브리지(12)을 덮을 수 있다(도 6). 패시브 갭브리지(12)는 컨베이어 롤러나 다른 컨베이어 요소 없이 지지면을 제공한다. 갭브리지(12)의 이송방향(FR)의 최대 길이(l12)는 이송상품(9)의 최소 크기에 좌우된다. 이송상품들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이송요소(예: 롤러(11), 벨트 캐리지(21), 환승벨트(24))에 놓고 이송방향(FR)으로 계속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갭브리지를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갭에 작은 컨베이어 유닛이 배치되고, 이 유닛은 예를 들어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poly-V 벨트로 구성된다. 이들 벨트는 이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갭에서 이송되는 상품에 구동력을 가한다.
이송영역(26f)에서, 연속 2개의 벨트 캐리지들(21)은 그 사이의 갭이 소정 최대값 안에 있도록 서로 근접할 수 있다. 이 최대값은 손가락이 갭에 끼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편향영역(25a~b)에서는 곡선경로이기 때문에 인접 벨트 캐리지들(21) 사이의 갭이 커진 원주 갭(25L)이 생기고, 사용자 손가락이 이곳에 들어갈 수 있다(도 6 참조). 이곳에서 다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원주 갭(25L)을 막을 중간면(222)을 제공된다. 도 7~8은 중간면(222)의 기능을 보여준다.
중간면(222)은 특히 편평한 이송상품들이 벨트 캐리지들 사이의 갭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런 빠짐은 특히 인수영역(26a)에서 일어나는데(도 6 참조), 이는 첫째 이곳에서 이송상품이 지지면(241)에 부딪히고 동시에 두 캐리지 사이의 갭이 편향으로 인해 커지기 때문이다.
편향영역(25)에 보호커버(25S)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호커버는 벨트 캐리지(21)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자전거 바퀴의 흙받이 역할을 하여 원주 갭에서의 의도치않은 맞물림을 방지한다.
벨트 캐리지(21)는 측면으로 인접한 안내면들, 환승벨트에 의한 지지면과 함께 폐쇄면을 형성한다(도 7~9). 안내면들(212)은 벨트 캐리지의 프레임(211)에 정적으로 고정된다(도 9). 이송영역에서는, 인접 벨트 캐리지들(21)의 안내면들(212)이 서로 맞닿아 폐쇄면을 형성한다. 편향영역(25)에서는, 인접 벨트 캐리지들(21)의 안내면들(212) 사이에 전술한 원주 갭이 생기고, 이 갭은 중간면(222)으로 직접 막힌다.
중간면(222)은 인접 2개의 벨트 캐리지들(21) 사이에 배치되는 (선택적) 중간 캐리지(22)의 일부일 수 있다(도 9). 중간면(222)은 중간 캐리지의 프레임(221)에 지지된다. 중간 캐리지(22) 자체에 롤러가 있어 중간 캐리지가 환승장치(20)의 가이드(23)에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캐리지 프레임(221)이 인접 벨트 캐리지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 8은 벨트 캐리지(21)의 중간면(222)과 안내면(212)을 보여준다. 중간면(222)은 위쪽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안내면(212)은 캐리지들이 편향영역 밖에 있을 때 중간면(222)의 절반을 덮는다.
특히, 일종의 홈통이 중간면에 형성되는데, 이송영역에서 중간면의 측벽에 안내면(212)이 맞닿는다. 안내면(212)의 밑면은 중간면과 접촉한다. 편향영역에서는 안내면(212)이 중간면의 외측 끝까지 중간면을 따라 미끄러져, 안내면(212)으로부터 중간면(222)을 해제한다. 특히, 안내면(212)이 아래로 기울어져 안내영역에서 중간면의 오목한 "홈통"에 맞물린다.
이송장치의 길이(L20)는 약 3~5m이다. 이 길이는 이송영역의 길이로 간주된다. 모든 추가 부품들은 무시할 수 있다.
환승벨트(24)의 횡방향(Q) 구동은 기본적으로 DE 1 98 017 06 A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와 관련해, 본 발명의 특징을 도 10에서 설명한다.
환승벨트(24)는 상부면(24)과 하부면(24u)을 갖는다. 상부면(24o)은 지지면(241)을 이루고, 하부면(24u)은 구동풀리(312)에 마찰로 연결된다. 구동풀리(312)를 회전시키면, 환승벨트(24)는 지지면(241)이 횡방향(Q)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된다. 환승벨트(24)는 구동풀리(312)로 구동된다.
구동풀리(312)는 종동풀리(311)에 구동 연결되며, 구동풀리(312)와 종동풀리(311)는 공통 구동축(A312)에 동축으로 배열된다. 기어박스는 불필요하다. 종동풀리(311)와 구동풀리(312)는 벨트 캐리지와 함께 이송방향(FR)으로 움직인다. 종동풀리(311)와 구동풀리(312)는 회전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데, 여기서는 축연결부(315)로 연결된다. 종동풀리가 구동풀리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DE 198 01 706 A1에 소개된 것처럼, 종동풀리(311)가 고정 제어 플랩(313)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제어 플랩(313)은 플랩 작동기(314)에 의해 구동 상태(도 10의 우측 플랩)나 아이들 상태(도 10의 좌측 플랩)로 전환될 수 있다. 종동풀리(311)는 환승벨트와 함께 이송방향(FR)으로 고정 제어 플랩(313)을 통과한다. 제어 플랩(313)이 구동 상태이면, 제어 플랩에서 구동풀리(311)로 구동 토크가 전달된다. 구동 토크는 환승벨트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플랩(313)에서 종동풀리(311)로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구동휠의 축은 이송방향(FR)에 횡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구동휠과 종동휠은 제어 플랩(313)과 종동풀리(311) 사이 또는 구동풀리(312)와 환승벨트(24) 사이의 마찰연결부에서의 미끄러짐과 관련 속도손실을 변속비 증가로 보상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부면(24u)은 상부면(24o)에 대해 비틀리는데, 특히 90°로 비틀린다. 따라서, 구동풀리(312)가 종동풀리(311)에 동축으로 정렬되면서도 하부면(24u)에 동력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DE 19801706 A1의 베벨기어는 불필요하다. 하부면의 비틀림은 환승벨트의 작은 폭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 또, 베벨기어는 본 실시예에 맞도록 매우 작아야 한다.
환승벨트를 안내할 다른 벨트롤러(214)가 제공된다. 지지면(241)을 형성하도록 상부면(24o)을 안내하는 제1 벨트롤러들(214a)이 제공되고, 이런 지지면은 이송면(FE)에 배치된다. 또, 하부면을 안내하여 제2 벨트롤러들(214b)이 구동휠과 동력전달 접촉하고, 특히 구동풀리(312) 주위 구간을 감싸도록 제공된다. 제1 벨트롤러(214a)의 회전축과 구동축의 회전축(A312)은 서로 가로로 정렬된다.
도 4a는 환승장치(20)에서의 이송과정동안의 이송상품(9)의 속도벡터를 보여준다. vF는 이송방향(FR)의 속도; vQ는 이송상품(9)의 횡방향(Q) 속도; v9는 전술한 부분 속도들(vF,vQ)의 합벡터의 결과로서의 절대속도이다.
도 4b는 환승장치에서 이송상품의 환승과정 동안의 속도 vF, vQ, v9의 그래프이다. 제1 위상(I)에서, 이송상품(9)이 벨트 캐리지에서 이송방향(FR)으로 이송된다. 절대속도 v9는 이송방향의 벨트 캐리지의 이동으로 결정되는 이송방향의 속도 vF에 해당한다.
제2 위상(II)에서, 환승벨트가 구동되어, 이송상품도 속도 vQ로 가로방향으로 움직인다. 벡터합의 결과인 절대속도 v9는 이송방향의 속도 vF보다 크다.
제3 위상(III)에서, 이송상품(9)은 컨베이어 라인을 떠나 더이상 벨트 캐리지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제2 위상(II)과 비교해, 상품은 더 낮은 절대 속도 v9로 더 멀리 이송된다. 속도 vF 및 vQ는 환승영역(94)의 방향에 좌우된다.
환상벨트의 이송방향(FR)의 폭(B24)은 16mm이다(도 7). 벨트 캐리지의 이송방향의 폭(L21)은 50mm이다(도 7). 벨트 캐리지의 횡방향의 길이(X21)는 1,000mm이다(도 10). 환승벨트의 횡방향의 길이(X24)는 1,000mm이다(도 10).
도 11은 가능한 최소의 이송상품(9)으로, 본 발명의 환승장치로 필요에 따라 이송 및 환승된다. 이송상품(9)은 가능한 가장 낮게 수직 위로 돌출하는 높이(H9)를 갖는다.
이 높이(H9)는 원하는 만큼 작을 수 있다. 특히, 운송봉투의 경우 높이가 10mm 미만으로 수 밀리미터일 수 있다. 이송상품의 길이(L9)와 폭(B9)은 아래와 관련해 변의 길이라고도 한다. 높이(H9)는 지지면과 관련이 없어 변의 길이가 아니다.
폭(B9)은 작은 변 길이이고; 길이(L9)는 큰 변의 길이이다. 극단적으로, 폭(B9)이 높이(H9)보다 작지 않고 길이(L9)보다 크지 않거나, 폭(B9)이 길이(L9) 및 높이(H9)와 같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송상품으로 큐브가 있을 수 있고 다음 조건도 적용된다.
이송상품(9)이 2개의 변 길이(L9,B9)에 의해 걸쳐지는 표면을 갖는 이송면에 놓인다. 따라서, 이 이송면이 가장 큰 변이다. 이송상품이 다른 더 작은에 놓이면, 늦어도 환승장치를 통과할 때 뒤집어져 가장 큰 변을 갖는 상품이 이송면에 놓인다.
이송상품이 안정적으로 환승이나 이송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데 바닥면적의 치수가 중요하다. 이송상품이 "최소"의 변 길이/폭(B9)을 가지면, 동시에 2개의 환승벨트(24)에 안정적으로 놓이지 못할 위험이 있고, 따라서 횡으로 움직일 수 없는 안내면(212)에 마찰력으로 놓인다(도 8). 이 경우 안정적인 환승이 불가능하다.
일례로 환승장치에 사용할 이송상품의 최소 변 길이(B9)는 120mm이고 높이는 4m이다.
도 12a는 정상 작동 상태에 있는 전술한 환승장치의 일례를 자세히 보여준다. 캐리지(21,22)는 벨트 캐리지(21)나 중간 캐리지(22)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양쪽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캐리지의 가이드롤러(231)는 프레임의 지지면(281)에 지지된다. 반대로, 캐리지의 안내면들이 프레임의 가이드롤러에 지지될 수도 있다. 또, 가이드롤러 대신 슬라이딩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요컨대, 이것은 프레임(28)에 대한 캐리지(21,22)의 메인 가이드(231,281)이다. 부하의 전체 하중(FL)이 메인 가이드(231,281)를 통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환승장치의 안정성을 위한 한가지 조건은 유지관리를 위해 이송면에 사람이 서있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캐리지는 움직이는 부품이므로 가능한 한 가벼워야 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지의 크기가 작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이로 인해 해결해야 하는 목적들이 충돌한다.
또, 좋은 방향 안정성을 위해 롤러 간격이 X방향으로 가능한 최대이고, 롤러의 수는 소음, 마찰, 경제성을 위해 가능한 적어야 한다.
도 12b는 도 12a의 특수한 상태로서, 예를 들어 환승벨트(24)의 지지면(241), 벨트 캐리지 프레임의 안내면(212) 또는 중간 캐리지(22)의 중간면(222)에서 사람이 발로 서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100kg 이상의 중량 하중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지(21,22)에 보조 가이드(232,282)가 있다. 보조 가이드는 보조 지지대(232) 및 보조 표면(282)을 갖는다. 보조 지지대(232)는 롤러(232a)나, 슬라이딩 블록과 같은 정적 지지요소(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에 가해지는 하중이 (도 12b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값에 도달할 때만 보조 지지대가 하중 지지 상태에 들어가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중 지지 상태에서, 보조 지지대는 지지력 FS를 제공한다. 이제 보조 지지대(232)는 보조 표면(282)과 접촉하게 된다. 이런 접촉은 캐리지(21,22)내의 탄성에 의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캐리지 프레임(211,221)은 필요한 탄성을 제공할 정도로 휘어지는 요소이다.
도 13은 변형례이다. 여기서, 메인 가이드(231)의 롤러들을 캐리지 프레임(211,221)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233)가 캐리지(21,22)에 있다. 과부하의 경우, 전체 캐리지 프레임이 수직 아래로 움직여 보조 가이드(232,282)가 하중지지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스프링 요소(233)는 과부하로 인해 탄성 변형된다.
도 14~15는 도 7~9와는 다른 캐리지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설명한다.
도 16은 환승벨트(24)의 확대단면도이다.
환승벨트(24)는 지지면(241)을 형성하는 상부면(24o)에 단턱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면(24o)의 중앙부가 지지면(241)을 형성하고, 그 좌우 각각에 홀딩면(242)이 형성된다. 지지면(241)은 홀딩면(242) 위로 돌출한다. 홀딩면(242)과 지지면(241)은 환승벨트(24)의 길이방향(=횡방향 Q, 도 7)으로 서로 평행하다.
환승벨트(24)는 하부면(24U)에 일정 간격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구동 돌출부들(243)을 갖는다 . 이와 관련하여, 환승벨트(24)가 톱니벨트일 수 있다. 환승벨트(24)는 적극적 구동 연결부를 통해 구동풀리(312)에 연결된다(도 10 참조). 구동풀리(312)는 이를 위해 톱니바퀴로 설계된다. 적극적 구동연결로 인해 환승벨트의 장력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마찰 및 동역학(벨트의 빠른 가속)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환승장치는 비교적 높은 이송 속도로 작동한다. 또, 편향 반경(U20)이 비교적 작다(도 6). 이때문에 편향영역(52a,25b)의 원심력(C)이 크고(도 15), 이런 원심력은 편향영역(25a,25b)내의 캐리지와 그 구성요소에 작용한다(도 6 참조).
특히, 환승벨트의 상부면에서 원심력(C)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상단면에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원심력(C)에 따른 환승벨트(24)의 상부면의 자유 이동은 이제 다운홀더(218) 에 의해 제한된다. 다운홀더(218)는 홀딩면(242) 위에 배열된다. 벨트 캐리지(21)가 평면 이송영역(26f)에 배열될 때는 벨트 캐리지(11)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벨트 캐리지가 편향영역(25a,25b)에 진입하자마자, 원심력(C)이 환승벨트(24)에 방사상으로 작용한다(도 15).
다운홀더(218)는 환승벨트(24) 섹션의 원심력 유도 리프팅을 제한한다. 이때문에 소음이 줄어드는데, 그렇지 않으면 리프팅 환승벨트(24)가 진동을 시작한다. 이송영역(26f)에서, 환승벨트는 다운홀더(218)에 대해 유격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다운홀더(218)는 환승벨트가 횡방향(Q)으로 이동할 때 어떤 마찰도 일으키지 않는다. 환승벨트(24)가 편향영역(25a)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횡방향 이동이 불필요하므로, 다운홀더(218)에 대한 환승벨트(24)의 원심력 유도 접촉이 어떠한 해로운 영향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환승벨트(24)는 이송상품과는 양호한 마찰을 일으키고 벨트 캐리지에는 가능한 마찰이 적게 홀딩되어야 한다.
이제 환승벨트(24)는 상부면(24o)에 비교적 높은 마찰용량이 생기고 하부면(24u)에는 비교적 낮은 마찰용량이 생긴다. 마찰용량은 동일한 마찰 파트너로 마찰계수가 얼마나 큰지에 대한 척도를 나타낸다. 마찰용량이 높은 재료는 마찰용량이 낮은 재료보다 동일한 마찰 파트너(예: 강철)로 높은 마찰 계수를 형성한다 .
조건을 다르게 하여 마찰 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조건(거칠거나 매끄럽고 코팅되지 않음)을 다르게 하면 마찰값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환승벨트(24)의 상부면(24o)을 환승벨트(24)의 하부면(24U)과 다른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환승벨트가 측면으로 편향될 때(도 16의 화살표 P1) 환승벨트(24)의 저마찰 하부면(24U)이 다운홀더와 접촉하고(화살표 P2) 상고마찰 상부면(24o)은 접촉하지 않도록 다운홀더(18)를 설계하고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14~15의 실시예에서, 안내면(222)은 벨트 캐리지(21)에 부착된다. 벨트 캐리지가 이송영역(26f)에 있을 때, 안내면(212)은 중간면(222) 밑에 온다.
중간면(222)은 중간 캐리지(22) 위에 배열된다. 중간 캐리지(22)와 벨트 캐리지 사이에 있는 원주 갭은 중간면(222)과 안내면(212)으로 덮힌다. 중간면(222)과 벨트 캐리지 사이의 원주 갭을 덮는데 탄성요소(223)가 도움을 준다. 이와 관련해, 탄성요소는 중간면(222) 아래에 위치하고 이송방향(F)으로 보았을 때 중간면과 겹친다. 각각의 캐리지가 편향영역(25a)이나 이송영역(26f)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중첩이 일어난다.
탄성요소(223)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벨트 캐리지 부분 및 중간 캐리지 부분 모두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런 접촉이 불가피할 수 있다. 캐리지는 여러번 이동할 수 있고 극도의 공차가 유지되는 경우에만 매우 정확한 안내가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간격에서만 가능하며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는다.
탄성요소 설계는 소음감소 효과를 낸다. 동시에, 중간면(222)은 이송상품과 접촉할 수 있는 요소로 남는데, 이는 중간면이 탄성요소 위에 배열되기 때문이다. 특히, 중간면은 비교적 매끈하거나 마찰이 적은 표면을 갖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탄성요소(223)가 각각 벨트 캐리지(21)에 배열되고 중간캐리지(22)의 방향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이때 안내면(212)은 중간 캐리지(22)에 배열된다.
도 17a는 벨트 캐리지(21)의 구간을 보여주는데, 이하의 설명은 중간 캐리지(22)에도 적용된다. 캐리지의 기본 구조는 도 17b에서도 볼 수 있다.
벨트 캐리지 프레임(211)은 다중 구조를 가지며 좌우로 베이스 캐리어(211G)가 있는데, 이들은 섀시 타입이다. 베이스 캐리어(211G)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거나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8)에서 캐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롤러들(215)이 베이스 캐리어(211G)에 부착된다(도 5 참조). 벨트 캐리지(21)가 베이스 캐리어(211G) 상의 구동 벨트(27)에 부착될 수도 있다.
크로스 캐리어(211Q)가 2개의 베이스 캐리어(211G) 사이에 배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2개의 베이스 캐리어(211G) 사이의 거리에 걸쳐있다. 환승벨트(24)는 크로스 캐리어에 부착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환승벨트(24)의 전체 가이드와 드라이브도 크로스 캐리어(211Q)에 위치된다.
크로스 캐리어(211Q)는 베이스 캐리어(211G)와 별도로 환승장치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크로스 캐리어(211Q)를 베이스 캐리어(211G)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211S)를 푼다. 잠금 나사를 푼 후, 본 경우에 베이스 캐리어(211G)의 가동 요소일 수 있는 래치(211R)가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도 17a의 화살표 P1)로 이동된다. 크로스 캐리어(211Q)에 래치 오목부(211A)가 있는데, 래치는 해제 위치가 아닌 잠금 위치에서만 래치 오목부에 맞물린다. 래치가 해제 위치로 이동된 후, 예컨대 유지보수를 위해 환승벨트(24)와 함께 크로스 캐리어(211Q)가 환승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다(도 17a의 화살표 P2).
도 14는 캐리지, 특히 벨트 캐리지(21) 및/또는 중간 캐리지(22)에 대한 구동 벨트(27)의 연결을 보여준다. 구동벨트(27)는 톱니벨트로 설계된다. 연결 핀(271)이 구동벨트의 톱니에 맞물린다. 연결 핀(271)은 각각의 캐리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캐리지가 도 17과 같이 다중 부품인 경우, 연결 핀이 베이스 캐리어(211G)에 체결되므로, 도 17과 같은 크로스 캐리어의 분리 제거가 가능하다.

Claims (25)

  1. 인수영역(26a)에서 상류 컨베이어 라인(10a)으로부터 이송상품(9)을 인수하고, 이송영역(26f)에서 이송면(FE)의 이송방향(FR)으로 이송상품(9)을 이송하며, 이송방향 옆으로 배치된 환승영역(3) 방향으로 이송상품(9)을 선택적으로 환승시키는 환승장치(20)에 있어서:
    상기 환승장치(20)에 다수의 벨트 캐리지들(21)이 있고, 이들 벨트 캐리지들은 가이드(23)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송영역(26f)에서 이송방향(FR)으로 움직이고;
    상기 벨트 캐리지가 환승벨트(24)를 포함하며, 이 환승벨트(24)는 이송상품(9)의 임시 지지면(241)을 형성하고;
    상기 환승벨트(24)는 이송상품(9)의 선택적 측방향 환승을 위해 이송방향(FR)에 횡방향(Q)으로 이송면(FE)에 평행하게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환승되지 않은 이송상품(9)이 인계영역(26b)에서 컨베이어 라인(10b)에 인계되고, 이 컨베이어 라인(10b)은 이송방향(FR)으로 하류에 위치하면서 이송면(FE)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의 이송방향(FR)의 폭(L21)이 최대 120mm, 최대 100mm 또는 최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 및/또는 환승벨트(24)의 횡방향(QR)의 길이(X21,X24)가 400mm 이상, 600mm 이상 및/또는 15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벨트(24)의 이송방향의 폭(B24)이 최대 100mm, 최대 60mm 또는 최대 16mm임과 동시에, 이송방향으로 보았을 때 환승벨트(24)의 상기 폭(B24)이 벨트 캐리지(21)의 폭(L2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의 횡방향(Q)의 길이(X21)가 벨트 캐리지(21)의 이송방향(FR)의 폭(L21)의 3배 이상이고, 상기 환승벨트(24)의 횡방향(Q)의 길이(X24)가 환상벨트(24)의 이송방향(FR)의 폭(B24)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방향(FR)으로 이송영역(26f)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배열된 벨트 캐리지들(21)이 아래쪽으로 움직이고, 벨트 캐리지(21)의 지지면(241)이 벨트 캐리지(21)의 하향 곡선 궤도경로(UB)를 따라 움직이며, 상기 궤도경로의 편향반경(U20)이 최대 250mm 또는 최대 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벨트(24)가 구동풀리(312)에 의해 구동되고 지지면(241)과 구동풀리(312) 사이에서 비틀리도록 벨트 캐리지(21)에서 안내되며; 상기 벨트 캐리지가 이송영역(26f)에 배치된 동안 상기 구동풀리(312)는 이송방향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구동축(A312)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 캐리지가 이송영역(26f)에 배치된 동안 환승벨트의 상부면(24o)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롤러(214a)가 이송방향(FR)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풀리(311)가 고정식 제어 플랩(313)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 2개의 벨트 캐리지들(24) 사이에 갭(25L)이 있고, 이 갭은 이송영역(26f)보다 편향영역(25)에서 더 커지며, 상기 갭(25L)의 적어도 일부분이 편향영역(25)에서 중간면(222)으로 덮여 이송상품이 갭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가 이송영역(26f)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중간면(222)과 벨트 캐리지는 일부 겹치되, 중간면(222)이 편향영역(25)에 있을 때보다 중간면(222)이 이송영역(26f)에 있을 때 겹치는 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벨트 캐리지들 중의 제1 벨트 캐리지, 즉 중간 캐리지(22) 및/또는 벨트 캐리지(21)에 상기 갭(25L)을 덮는 탄성요소(223)가 배치되고, 이 탄성요소(223)는 이송방향(F)으로 보았을 때 벨트 캐리지들(21) 중의 다른 제2 캐리지 방향으로 제1 캐리지(22)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편향영역(25a,25b)과 이송영역(26f) 모두에서 상기 탄성요소(223)가 이송방향(F)으로 제2 캐리지(21)상의 안내면과 겹치고 상기 탄성요소와 제2 캐리지 사이에 접촉이 있도록 제1 캐리지(22)에 상기 탄성요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212)을 갖고, 상기 안내면은 이송방향(FR)으로 환승벨트(24)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면(222) 윗면이 오목하고, 이송영역(26f)에서 안내면(212)이 중간면(222)을 일시적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안내면이 이송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장치가,
    - 벨트 캐리지(21)의 이송 속도(vF)에 대응하는 절대 속도(v9)로 이송방향(FR)으로 이송영역(26f)을 따라 제1 위상(I)에서 이송상품(9)을 이송하고;
    - 이송방향(FR)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제2 위상(II)에서 이송상품을 이송하며;
    상기 절대 속도(v9)가 벨트 캐리지(21)의 이송 속도(vF)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 및/또는 중간면(222)이 배치되는 중간 캐리지(22)가 메인 가이드(231,281)에 의해 프레임(28)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되며; 보조 가이드(232,282)가 제공되는데, 상기 보조 가이드(232,282)가 정상 작동상태에서는 무부하전달 상태를 유지하고 과부하 상태에서는 부하 전달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무부하전달 상태에서 부하전달 상태로의 변경이 벨트 캐리지(21,22)내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생기고; 벨트 캐리지 프레임(211) 및/또는 중간 캐리지 프레임(221)이 무부하전달 상태에서 부하전달 상태로 바뀌는 중에 변형되어 보조 가이드(232,282)가 부하전달 상태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가 다운홀더(218)를 갖고, 이 다운홀더가 환승벨트(24)의 상부면의 상승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홀더(218)가 지지면(241) 밑으로 환승벨트(24)의 홀딩면(242) 위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면은 환승벨트의 상부면의 상부면(24O)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면(241)이 다운홀더 및/또는 홀딩면(24) 위로 돌출하고, 상기 상부면(24O)이 계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캐리지(21) 및/또는 중간 캐리지(22)가 1개나 2개의 베이스 캐리어(211G)와 1개의 크로스 캐리어(211Q)를 갖고, 상기 캐리지(21,22)가 해제가능한 고정기구(211S,211R,211A)을 가지며, 고정기구의 해제 후 크로스 캐리어(211Q)가 베이스 캐리어(211G)와는 별도로 환승장치(20)에서 분리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로 움직이는 래치(211R)를 포함하며, 상기 환승벨트(24)가 크로스 캐리어(211Q)에 부착되고 크로스 캐리어와는 별도로 베이스캐리어(211G)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승장치.
  21. 제1 컨베이어 라인(10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승장치;를 포함하고,
    이송면(FE)에서 이송방향(FR)으로 제1 컨베이어 라인(10a)에서 환승장치(20)로 이송상품(9)이 제공되어 환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 라인(20a)을 더 포함하고; 이송면(FE)에서 이송방향(FR)으로 이송상품(9)이 환승장치(20)에 의해 제2 컨베이어 라인(10b)에 제공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 라인(10a)과 환승장치(20) 사이 및/또는 환승장치(20)와 제2 컨베이어 라인(10b) 사이의 갭에서 이송면 밑에 패시브 갭브리지(12)가 배치되고, 상기 갭브리지(12)의 이송방향의 길이(l12)가 최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4. 이송방향(FR)으로 이송상품(9)을 이송하도록 인수영역(26a)에서 이송상품(9)을 인수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송방향(FR)에 대해 옆으로 배치된 환승영역(3)으로 이송상품(9)을 선택적으로 환승시키기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승장치나 컨베이어 시스템의 용도.
  25. 제24항에 있어서, 가능한 최소의 이송상품(9)이 이송영역(26f)에서 인접 2개의 벨트 캐리지들(21)의 2개의 환승벨트(24)에 놓이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237023296A 2020-12-10 2021-12-08 환승장치 KR20230130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2966.0 2020-12-10
DE102020132966 2020-12-10
DE102021110697.4 2021-04-27
DE102021110697 2021-04-27
PCT/EP2021/084717 WO2022122792A2 (de) 2020-12-10 2021-12-08 Ausschleu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004A true KR20230130004A (ko) 2023-09-11

Family

ID=7926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296A KR20230130004A (ko) 2020-12-10 2021-12-08 환승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5653A1 (ko)
EP (1) EP4259555A2 (ko)
JP (1) JP2023553079A (ko)
KR (1) KR20230130004A (ko)
CA (1) CA3204855A1 (ko)
WO (1) WO2022122792A2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1068A (en) * 1963-01-07 1966-01-25 Prospect Mfg Co Inc Article delivery conveyer
JPH079850Y2 (ja) * 1986-12-09 1995-03-08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両側仕分装置
DE19801706A1 (de) 1998-01-17 1999-07-22 Axmann Foerdertechnik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Stückgütern
JP2002293425A (ja) * 1998-12-24 2002-10-09 Techno Wave:Kk コンベア装置
WO2014011852A1 (en) * 2012-07-11 2014-01-16 Dematic Corp. Crossbelt sorter system and method of sorting articles
US9409716B2 (en) * 2014-06-13 2016-08-09 Bastian Solutions, Llc Cross belt slat sorter
DE102018006014A1 (de) 2018-07-30 2020-01-30 Interroll Holding Ag Quergurtsorter mit Steu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59555A2 (de) 2023-10-18
WO2022122792A3 (de) 2022-08-04
JP2023553079A (ja) 2023-12-20
WO2022122792A2 (de) 2022-06-16
CA3204855A1 (en) 2022-06-16
US20240025653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6974A1 (en) Double-loop Cross-belt Sorter, Cross-belt Sorter System and Sorting Method
EP123572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US6378689B1 (en) Vertical conveyor for a palletizing apparatus
EP3302830B1 (en) Lim weight sorter
US5983803A (en) Article transport assembly
US7987963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iece goods, particularly pieces of luggage
US6776279B2 (en) Unit for automatic container returns systems
US5423410A (en) Conveying device for vertically positioning can bodies
CN1288399A (zh) 用于分拣邮件容器的发送系统和发送方法
CA2283308A1 (en) Conveyor having a cushioned belt and high speed discharge capabilities
US6145653A (en) Side by side belt conveyor system and method of use
DE60008747T2 (de) Sortierförderer mit kippmechanismus
KR20230130004A (ko) 환승장치
JP4511205B2 (ja) 容器供給装置
US6244424B1 (en) System for transporting piece goods
US5207313A (en) Kit for refitting retarding roller
US20040216984A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load carriers
US4986411A (en) Continuous motion vertical conveyor
CN117242021A (zh) 转运装置
CN111453382A (zh) 一种传送装置
EP0834460B1 (en) Sheet material collating system
KR10227180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 택배 물품 분류 시스템
JP3920981B2 (ja) 搬送物の仕分け装置
RU22863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сортировки панелей по высоте
KR100189193B1 (ko) 우편물 자동분류이송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