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678A -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678A
KR20230129678A KR1020220026582A KR20220026582A KR20230129678A KR 20230129678 A KR20230129678 A KR 20230129678A KR 1020220026582 A KR1020220026582 A KR 1020220026582A KR 20220026582 A KR20220026582 A KR 20220026582A KR 20230129678 A KR20230129678 A KR 20230129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washing machine
information
serv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김태윤
이정협
이태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678A/ko
Priority to PCT/KR2022/009267 priority patent/WO2023167372A1/ko
Publication of KR2023012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관리 서버의 서버 통신부가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 통신부가 세탁기와 연동된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따라 서버 제어부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TO WASH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AND DEVICE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세탁기와 건조기를 사용하여 세탁 후 건조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은 세탁기와 건조기의 사용 매뉴얼을 숙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즉, 세탁기와 건조기는 개별 장치라서 사용자가 세탁기 및 건조기를 사용하기 위해 각각에 대한 특징이나 코스를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기 사용 후 건조기의 메뉴를 셋팅하거나 설정을 재조정해야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에, 세탁기와 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건조기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의 코스의 매칭을 판단하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 코스 또는 건조 코스를 가이드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들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코스 설정을 세탁물에 적합하게 하지 않는 경우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관리 서버의 서버 통신부가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 통신부가 세탁기와 연동된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따라 서버 제어부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는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고,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 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최적 코스/옵션을 설정하도록 알림을 제공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의 코스 정보들이 매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세탁물에 최적화된 코스의 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의 사용 패턴을 반영하여 코스 설정의 알림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동작에 대응하여 서버가 건조기의 코스 설정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음성 안내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각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건조기의 코스 매칭에 따른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스 매핑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스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세탁기 및 건조기가 수행한 작업의 물리력에 기반하여 코스 재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세탁기 및 건조기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 차이에 기반하여 코스 재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세탁기 및 건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코스(메뉴)를 설정하거나 가이드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동작에 대응하여 서버가 건조기의 코스 설정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각각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각각의 동작에 따른 정보(시작 시간, 종료 시간, 수행 기능, 설정 코스 등)를 관리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다(S1, S2).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에서 수행되었던 코스와 건조기(200)에 설정된 코스를 매칭(matching)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정보(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멘트가 각 장치들(100, 2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음성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S3).
아울러,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통지할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에게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S7). 이때, 사용자 단말(500)은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소유하거나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며, 사용자 단말(500)은 관리 서버(300)를 경유하여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에 연동될 수 있다.
음성 서버(400)는 제품 음성 알림 음원을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에게 전송한다(S8, S9). 사용자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가 출력하는 음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와 음성 서버(400)는 하나의 서버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통합 서버(700)가 관리 서버(300)의 기능 및 음성 서버(400)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에 기반할 경우,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에서 수행한 세탁 코스와 건조기(200)에서 수행하도록 설정된 건조 코스에 대한 정보를 각각 S1, S2 과정에서 획득한다.
관리 서버(300)는 S1 및 S2에서 수신한 데이터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각 고객 별로 해당 고객의 행동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 음성 알림(S8, S9)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500)의 앱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는 각각의 장치의 사용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는 사용 정보를 저장하여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 사이의 코스 매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코스 정보를 사용자별 모니터링 DB(사용자 히스토리)에 저장한다.
저장된 모니터링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별로 설정하였던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 코스에 대해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함에 있어 보다 적합한 세탁기(100) 코스 또는 건조기(200) 코스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S3, S8, S9는 관리 서버(300)가 음성 서버(400)와 협업하여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알림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음성 안내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각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S1, S2, S7은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므로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관리 서버(300)는 S1 및 S2에서 수신한 코스 정보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각 고객 별로 해당 고객의 행동 특성을 반영하여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가 음성 안내할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통지 메시지를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에게 전송한다(S18, S19).
통지 메시지는 1) 문자로 구성된 메시지 이거나 또는 2) 음원을 포함하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통지 메시지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이를 수신한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는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음원 출력하거나 표시판에 문자로 출력할 수 있다.
통지 메시지가 음원 파일을 포함할 경우, 이를 수신한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는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과 마찬가지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500)의 앱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여(S7)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푸시 메시지 역시 통지 메시지에 해당하며 문자, 음원 등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S18, S19는 관리 서버(300)가 단독으로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알림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과 도 2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기능성 의류를 세탁기 표준 코스로 세탁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성 의류의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 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세탁기(100)/건조기(200) 간 최적 코스/옵션 설정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별 행동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 음성 알림 또는 푸시 메시지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와 같은 이종 제품의 사용 코스 정보는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 간 코스 매칭을 확인 후, 이를 사용자별 모니터링 DB에 저장한다. 저장된 모니터링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 간 최적 코스/옵션 설정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세탁물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줄여서 서버로 지칭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제어부(320) 및 서버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세탁기(100), 건조기(2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서버 통신부(310) 및 서버 저장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버 제어부(320)는 프로세서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는 가전 기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용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서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세탁기(100), 건조기(200) 등이 전송하는 정보나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는 각각의 세탁기(100), 건조기(200) 등이 수행한 기능, 세탁 코스, 건조 코스, 또는 각 기능의 시작 시간과 완료 시간, 또는 세탁물의 무게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각 기능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 또는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 역시 전술한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30)는 전술한 사용자들의 히스토리 정보, 예를 들어 모니터링 D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 건조기(200) 등이 전송하는 메시지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 건조기(200) 등이 출력할 수 있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해당 통지 메시지가 세탁기(100), 건조기(200)에게 전송되면 세탁기(100), 건조기(200) 내의 스피커나 LCD 표시판 등이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통지 메시지는 음원으로 구성된 파일일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100), 건조기(200) 등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 건조기(20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 건조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상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가전 기기와의 통신 상태의 유지 여부 등을 확인하여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500)에게 세탁기(100), 건조기(200)를 제어하거나 세탁기(100), 건조기(200)의 작동 상태나 기능을 제어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가이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30)는 다수의 세탁기들 및 건조기들이 제공하는 세탁 코스 정보 및 건조 코스 정보들의 매칭에 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330)는 각 사용자가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를 사용한 히스토리(예를 들어 모니터링 DB)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를 도 1에 적용할 경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버 제어부(320)가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음원 출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310)가 요청 메시지를 음원 서버(400)에게 전송한다. 이후 음원 서버(400)가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음원 파일을 생성하여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음원 파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결과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는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음원 파일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를 도 2에 적용할 경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가 출력할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310)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결과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는 통지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에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500)에게 전송할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310)가 사용자 단말(500)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단말 통신부(510), 단말 제어부(520) 및 단말 인터페이스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등과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500)은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거나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의 동작에 따른 푸시 메시지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510)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510)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520)는 단말 통신부(510) 및 단말 인터페이스부(5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 제어부(520)는 프로세서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는 가전 기기(10)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 인터페이스부(530)는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인터페이스부(53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기능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510)는 관리 서버(500)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통신부(510)가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세탁기(100)/건조기(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500)은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세탁기-건조기의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사항에 대한 가이드를 위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00)은 수신한 통지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로 수신하여 팝업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인터페이스부(530)는 통지 메시지를 출력한 후, 단말 통신부(510)는 사용자가 확인했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를 관리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건조기의 코스 매칭에 따른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세탁기(100)는 세탁을 시작한다(S21). 그리고 세탁기(100)는 세탁 기능으로 설정된 세탁기의 코스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 코스 정보를 저장한다(S22). 이후 세탁이 종료하여 사용자가 세탁물을 건조기(200)로 이동시켜 건조기(200)의 건조 기능을 시작시킨다(S23).
건조기(200)는 건조 기능으로 설정된 건조기의 코스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게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는 건조기 코스 정보를 저장한다(S24).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간 코스 매칭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코스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코스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코스 매칭 여부는 Yes/No와 같이 판단할 수도 있고 매칭 비율(예를 들어 0~100%)로 판단할 수 있다.
S25와 같이 확인 결과 세탁기(100)-건조기(200)간 코스가 매칭된 경우이거나, 혹은 매칭 비율이 일정 비율(예를 들어 80%) 이상인 경우에는 별도의 안내를 하지 않을 수 있다(S26). 반면, S25와 같이 확인 결과 세탁기(100)-건조기(200)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혹은 매칭 비율이 일정 비율(예를 들어 80%)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별(개인별) 코스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S27).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세탁기(100)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표준 세탁 코스를 선택하여 세탁기(100)를 동작시킨 후, 건조기(200) 사용 시 기능성 의류와 관련된 건조 코스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은 경우이며, 건조기(200)에서 설정한 기능성 의류 관련 건조 코스에 정확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음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님~ 기능성 의류를 세탁하실 때, 표준 세탁 코스를 자주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기능성 의류 세탁 코스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
반대로, 사용자가 세탁기(100)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기능성 세탁 코스를 선택하여 세탁기(100)를 동작시킨 후, 건조기(200) 사용 시 표준 코스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건조기(200)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은 경우이며, 세탁기(100)에서 설정한 기능성 의류 관련 세탁 코스에 정확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음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님~ 기능성 의류를 건조하실 때, 표준 건조 코스를 자주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기능성 의류 건조 코스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
또한, 관리 서버(300)는 코스가 매칭된 경우 및 매칭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모니터링 DB에 저장하여 추후 사용자가 동일한 패턴으로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 코스를 설정할 경우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기능성 의류를 세탁기의 표준 코스로 세탁하거나 건조기의 표준 코스로 건조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능성 의류의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관리 서버(300)와 세탁기(100), 건조기(200)는 세탁기/건조기 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세탁기/건조기 간 최적 코스/옵션 설정 알림을 가이드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잘못 설정한 코스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사용자의 행동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와 세탁기(100), 건조기(20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 음성 알림 또는 푸시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거나 해당 알림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사용자별로 세탁기 및 건조기에 대해 이종 제품 사용 코스 정보가 관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건조기 간 코스 매칭을 확인 후, 이를 사용자별 모니터링 DB에 저장한다. 저장된 모니터링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세탁기/건조기 간 최적 코스/옵션 설정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세탁물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 서버(300)의 서버 통신부(310)가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며, 서버 통신부(310)가 세탁기와 연동된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한다(S21~S24). 그리고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20)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한다(S25).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서버 제어부(320)가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26, S27). 알림 프로세스의 수행은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음성 안내 멘트의 출력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알림 프로세스의 수행은 사용자 단말(500)에 푸시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스 매핑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제공하는 기능이 상이하다. 또한 제조 시점에 따라 제공하는 코스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모델 및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코스들을 매칭한 매핑 테이블을 관리 서버(300)가 저장할 수 있다. 모델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세탁기 모델에 대응하여 다수의 건조기들 각각에 대해 코스 매핑 테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코스는 표준, CourseA, CourseB, ..., CourseK 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건조기 코스 역시 표준, CourseM, CourseN, ..., CourseT를 포함한다.
도 6은 이들 코스들이 서로 매칭되는지에 대해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로 표시된 코스들은 서로 매칭되는 코스임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세탁기 코스 중 "표준"과 건조기 코스의 "표준" 및 "CourseT"는 서로 매칭된 코스이다. 이에, 사용자가 세탁기 코스 중 "표준"으로 세탁한 후 건조기 코스의 "표준" 또는 "CourseT"로 건조한 경우 세탁물을 보호하고 세탁 또는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X"로 표시된 코스들은 서로 매칭되지 않는 코스임을 보여준다. 세탁기 코스 중 "표준"과 건조기 코스의 "CourseM", "CourseM"은 매칭되지 않는 코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물을 "표준" 코스로 세탁한 후에 건조 코스로 "CourseM" 또는 "CourseM"으로 설정한 경우 매칭되지 않으며 옷감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세탁 또는 건조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세탁 또는 건조 코스 설정이 세탁물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리고 적절한 세탁 또는 건조 코스를 설정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코스 중 "CourseA"는 건조기 코스 중 "CourseT"에만 매칭된다. 그리고 세탁기 코스 중 "CourseB"는 건조기 코스 중 "CourseM" 및 "CourseN"에 매칭된다. 그리고 세탁기 코스 중 "CourseK"는 건조기 코스 중 "CourseM"에 매칭된다.
한편, 매칭 여부에 대해 도 6은 두 가지를 분류하였으나, 도 7에서는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즉, 매칭되는 코스들은 "○"로 표시되고, 매칭되지 않는 코스들은 "X"로 표시된다. 그리고 매칭 정도가 중간인 코스들은 "△"으로 표시된다. 도 7에서 세탁기 코스의 "CourseA"와 건조기 코스의 "CourseM"이 "△"으로 표시된다. 또한, 세탁기 코스의 "CourseB"와 건조기 코스의 "CourseN"이 "△"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세탁기 코스의 "CourseK"와 건조기 코스의 "표준"이 "△"으로 표시된다.
"△"로 분류된 코스들은 매칭 정도가 높지는 않으므로, 관리 서버(300)는 다른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세탁 또는 건조 코스 설정이 세탁물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스별 매칭 크기를 백분율, %로 표시한 테이블이다. 앞서 도 7에서 "○"로 표시된 매칭들에 대해 도 6의 테이블은 "100" 또는 "95", "90" 의 값이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도 7에서 "△"으로 표시된 매칭들에 대해 도 8의 테이블들은 "40", "45", "60"과 같이 비율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7에서 "X"로 표시된 매칭들에 대해 도 8의 테이블들은 "0", "5", "10", "15"와 같이 비율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관리 서버(300)는 각 매칭의 비율을 이용하여 세탁기 코스 및 건조기 코스의 매칭 정도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세탁 또는 건조 코스 설정이 세탁물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제시된 매핑 테이블의 세부 설정 정보는 관리 서버(300)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세탁기/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세탁 및 건조 과정에서 설정했던 코스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도 6 내지 도 8의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매핑 테이블은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저장부(330)가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은 2차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핑 테이블은 세탁기(100)가 포함된 모델 또는 세탁기(100)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세탁 코스 정보들을 포함한다.
아울러, 매핑 테이블은 건조기(200)가 포함된 모델 또는 건조기(200)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건조 코스 정보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매핑 테이블은 세탁 코스 정보들과 건조 코스 정보들 간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20)는 매핑 테이블에 저장된 세탁 코스 정보 및 건조 코스 정보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두 코스 정보들이 매칭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표준"이 아닌 다른 코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세탁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들이 선택한 코스들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세탁 또는 건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만 코스를 설정하고 그 외의 경우 코스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매칭된 코스들의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도 6 내지 도 8에 제시된 매칭에 대한 정보들을 변경하거나 누적 저장된 정보들이 매칭된 정보에 위배됨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스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의 코스들은 세탁기 및 건조기가 제공하는 코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은 테이블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설정한 세탁기-건조기 코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의 매핑 테이블은 세탁기 코스 "표준" 설정 시, 건조기 코스 "표준"과 "셔츠"설정 시 매칭되는 것을 나타내며, 그 외의 건조기 코스 설정 시 매칭되지 않는 코스임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의 매핑 테이블은 세탁기 코스가 "기능성의류" 설정 시, 건조기 코스가 "기능성의류"로 설정될 경우에만 매칭된 것으로 나타내며 그 외의 건조기 코스 설정은 매칭되지 않은 것임을 나타낸다.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이 매칭 여부에 따라 세탁기와 건조기의 코스 설정이 서로 매칭되는 코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간 코스 매칭은 설정 코스에 따라서 1:1, m:1, 1:n, m:n 등 가능하며, 세탁기/건조기 모델 별로 코스 매핑 테이블은 달라질 수 있다(m,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한, 다수의 모델들을 묶은 그룹 별로 코스 매핑 테이블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 서버(300)는 각 세탁기들 및 건조기들이 코스를 설정하고 작동시키는 시간, 코스 정보, 세탁물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누적 저장하여 사용자 별로 세탁기-건조기 간의 연동 사용된 코스들의 매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No. 세탁기 코스 건조기 코스 횟수
1 표준세탁 기능성의류 235
2 기능성의류 173
3 헹굼+탈수 31
4 찌든때 34
5 (미선택) 37
6 아기옷 23
7 컬러케어 15
8 이불 13
9 스피드워시 12
10 란제리/울 9
이 과정에서 관리 서버(300)가 표 1과 같은 코스 사용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1번의 경우는 세탁기의 표준코스 및 건조기의 기능성 의류 코스를 선택한 경우인데, 도 9의 테이블과 비교할 때 이는 매칭되지 않는 코스이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235회에 해당하는 1번의 경우의 사용자들에게 세탁시 기능성 의류 코스를 추천하도록 세탁기(100), 건조기(200) 또는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코스에서 이불을 선택하고 건조기 코스에서 기능성 의류를 선택한 사용자들(8번의 사례)에 대해, 관리 서버(300)는 이불 코스인 경우, 건조기 코스로 "침구 털기" 또는 "이불" 코스로 설정할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표준 코스로 세탁 후 기능성 의류로 건조기 코스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게 기능성 의류(고어택스, 쿨맥스 등)를 표준 코스로 탈수할 경우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음을 가이드하고 세탁 시에도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세탁할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되는 내용은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에서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0)의 앱에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로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관리 서버(300)는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세탁된 후 건조기 코스가 "표준"코스로 이루어진 경우, 관리 서버(300)가 자동으로 건조기에 설정된 코스를 "기능성 의류" 코스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리 서버(300)는 건조기(200)가 코스를 자동으로 변경했음을 음성 안내하도록 건조기(200)에게 가이드를 위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관리 서버(300)는 기능성 의류나 울, 란제리 등과 같이 탈수 세기가 약하게 설정되어야 하는 세탁물에 대해 사용자가 세탁 코스를 "표준" 또는 "이불" 등으로 설정하여 세탁 또는 탈수가 강하게 이루어져서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방법으로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에 설정된 코스와 건조기(200)에 설정된 코스를 비교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지 않는 코스를 설정한 횟수를 누적 저장하여 해당 횟수가 누적될 경우 사용자에게 코스 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세탁기/건조기의 사용 코스에 대해 매칭되지 않는 코스들을 일정 기준 이상 발생하면 관리 서버(300)는 개인별 코스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매번 세탁기/건조기 사용시 세탁 코스 정보와 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지 않는, 혹은 도 8의 경우와 같이 매칭 비율이 낮은 조합이 반복하여 일정 횟수 이상(기간 별 N회 이상, 전체 횟수 별 N회 이상 등) 선택되면 개인별 코스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코스 "표준", 건조기 코스 "기능성의류" 조합이 임계값(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또는 전체 사용자에 대해 임계값이 5회로 설정된 경우)에 설정된 5회 이상 발생 시, 관리 서버(300)는 코스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세탁기(100)나 건조기(200) 사용을 종료하고 세탁기(100)나 건조기(200) 근처에 있을 때, "고객님~ 기능성 의류를 세탁하실 때, 표준 세탁 코스를 자주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기능성 의류 세탁 코스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와 같은 음성 멘트를 출력한다.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 멘트를 출력하도록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임계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 1회만 매칭이 되지 않아도 관리 서버(300)는 코스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임계값에 대한 설정은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에 따라 달리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알림 서비스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에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별 누적된 코스 매칭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UserID 세탁기 코스 건조기 코스 누적횟수
12345 표준 기능성 의류 15
12345 기능성 의류 기능성 의류 1
12345 기능성 의류 표준 7
54321 표준 기능성 의류 1
54321 기능성 의류 기능성 의류 16
54321 기능성 의류 표준 8
표 2를 살펴보면, 사용자 식별 정보가 "12345"인 사용자는 표준 코스로 세탁을 수행한 후에 건조기의 건조 코스를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설정한 횟수가 15회임을 보여준다. 이 사용자는 세탁기와 건조기 모두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설정한 경우가 1회이며, 기능성 의류로 세탁 코스를 설정한 후 건조기 코스를 표준으로 설정한 경우가 7회이다. 이는 해당 사용자가 기능성 의류로 세탁 코스를 설정한 후에 건조기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7배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12345"인 사용자가 세탁기 코스를 설정할 때 " 고객님~ 기능성 의류를 세탁하실 때, 표준 세탁 코스를 자주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기능성 의류 세탁 코스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와 같이 가이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 서버(300)는 "12345"인 사용자가 세탁기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후 건조기 코스 설정을 "표준"으로 한 경우, 건조기 코스 설정에 대해서도 기능성 의류에 기반하여 건조 코스를 설정할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300)는 식별 정보가 "12345"인 사용자에 대해서 음성 알림 또는 푸시 메시지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식별 정보가 "54321"인 사용자는 표준 코스로 세탁을 수행한 후에 건조기의 건조 코스를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설정한 횟수가 1회임을 보여준다. 이 사용자는 세탁기와 건조기 모두 기능성 의류 코스로 설정한 경우가 16회이며, 기능성 의류로 세탁 코스를 설정한 후 건조기 코스를 표준으로 설정한 경우가 8회이다. 이는 해당 사용자가 기능성 의류로 세탁 코스를 설정한 후에 건조기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절반 정도의 확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54321"인 사용자가 세탁기 코스를 설정할 때에는 별도의 가이드를 하지 않는다.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세탁기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후, 건조기(200)의 코스 설정을 "표준"으로 하는 경우에만 "고객님~ 기능성 의류를 건조하실 때, 표준 세탁 코스를 자주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기능성 의류 건조 코스를 한번 사용해 보세요~"와 같이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가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건조기 코스 설정을 기능성 의류로 하였음이 확인될 경우에는 음성 안내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이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과정에서 "54321" 사용자의 누적된 세탁/건조 행동의 결과가 달라질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세탁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후 건조기의 건조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횟수가 30회가 되며, 세탁기의 세탁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후 건조기의 건조 코스를 표준으로 설정한 횟수가 8회가 되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54321" 사용자에 대해서 별도의 가이드 없이 지속적으로 코스 설정 정보만을 수신한다.
추후, 다시 세탁기의 세탁 코스를 기능성 의류로 설정한 후 건조기의 건조 코스를 표준으로 설정한 횟수가 15회 등과 같이 증가할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전술한 "건조 코스에서 기능성 의류 코스 설정"을 제시하는 가이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세탁기 및 건조기의 코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탁물에 매칭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관리 서버(300)가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매칭 여부에 대해 관리 서버(300)는 각 세탁기 모델 및 건조기 모델 별로 매칭 여부를 제시하는 매핑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300)는 각 세탁기 모델 및 건조기 모델의 코스들을 취합하여 대표 코스로 설정하여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 세탁기의 코스들 중에서 기능성 의류와 란제리/울을 하나의 코스인 "약한 탈수"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건조기의 코스들 중에서 기능성 의류와 울을 하나의 코스인 "약한 건조"로 설정할 수 있다.
코스 매핑 테이블은 세탁기 및 건조기에 따라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들의 사용 패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코스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세탁기와 건조기 간에 코스 매칭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세탁물에 적합한 코스 설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정리하면,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저장부(330)는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20)가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서버 통신부(310)는 세탁기(100)로부터 새로운 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고, 건조기(200)로부터도 새로운 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서버 제어부(320)가 새로이 수신한 세탁 코스 정보 및 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한 후, 전술한 사용자 테이블에 비교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새로이 수신한 세탁/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가 과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세탁 코스 또는 건조 코스를 적합하게 설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세탁기 및 건조기가 수행한 작업의 물리력에 기반하여 코스 재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관리 서버(300)가 수신한 코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가해지는 힘 또는 열을 세탁기/건조기에 따라 산출하고 이들의 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코스들이 매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로,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 코스 정보에 따라 세탁기(100)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산출한다(S31). 그리고 서버 제어부(320)는 건조 코스 정보에 따라 건조기(200)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 정보를 이용하면 관리 서버(300)는 해당 세탁기(100)가 세탁을 수행함에 있어서 세탁물에 가하는 힘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물리력이란 힘의 크기, 수온, 열풍의 온도 등을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330)는 세탁기(100)가 수행하는 세탁 코스 별 힘의 크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30)는 표준 세탁인 경우 힘의 크기를 F1으로 저장하고, 기능성 의류의 경우 힘의 크기를 F2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330)는 란제리/울인 경우 힘의 크기는 F3 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힘의 크기란 세탁조(드럼)의 회전력 또는 회전속도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힘의 크기란 각 코스별 세탁물에 가해지는 세정력과 관련된 힘의 크기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과정에서 물의 온도 정보 역시 물리력을 구성하는 정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330)는 건조기(200)가 수행하는 건조 코스에 따른 열의 크기나 드럼의 회전력 등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320)는 힘의 크기나 온도 등의 물리력은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세탁기(100)의 물리력 및 건조기(200)의 물리력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의 물리력 및 건조기(200)의 물리력 사이의 차이를 산출하여 이러한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확인한다(S35). 일정 기준 이상 차이가 크다면 세탁기(100)의 세탁 코스와 건조기(200)의 건조 코스가 서로 매칭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320)는 물리력이 더 큰 코스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S37).
만약 차이가 크지 않다면,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기(100)의 세탁 코스와 건조기(200)의 건조 코스가 서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안내를 하지 않을 수 있다(S36).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 서버가 세탁기 및 건조기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 차이에 기반하여 코스 재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관리 서버(300)가 수신한 세탁물의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 세탁물의 무게 차이가 상이할 경우, 관리 서버(300)는 일부 세탁물이 건조기에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세탁기(100)로부터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의 제1무게 정보를 수신한다(S41). 그리고 서버 통신부(310)는 건조기(200)로부터 건조 시작 전의 세탁물의 제2무게 정보를 수신한다(S42). 서버 제어부(320)는 제1무게 정보 및 제2무게 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림 프로세스의 수행을 중지한다(S46). 만약, 제1무게정보가 5kg이고, 제2무게정보가 3kg인 경우, 일부 세탁물이 건조기(200)에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세탁물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제어부(320)는 코스 매칭과 관련된 별도의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중지한다.
반면, 세탁물의 무게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서버 제어부(320)는 세탁물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5의 S25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 수동 코스를 설정할 경우, 세탁물에 적합한 코스를 설정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가 저장하는 코스 매핑 테이블에 기반하여 세탁기(100)-건조기(200) 코스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코스 매핑 테이블은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의 모델 또는 상위 그룹 모델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매핑 테이블에 저장된 매칭에 대한 값들은 사용자들의 사용 행태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코스 매칭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행동 변화를 추적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기능성 의류나 울, 란제리 등 별도의 세탁/건조 코스 설정이 필요한 세탁물에 적합한 코스 설정을 가이드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세탁기/건조기 간 코스가 매칭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코스 설정과 관련된 정보들을 가이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건조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알림 메시지를 가이드받은 이후 행동의 변화를 반영하여 제품 음성 알림 또는 푸시 메시지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사용자가 보유한 세탁기와 건조기의 사용 코스 정보를 매핑테이블로 저장하고, 관리 서버(300)는 세탁기/건조기 간 코스 매칭 확인 후, 모니터링한 정보를 사용자 히스토리로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세탁기/건조기 간 최적 코스/옵션 설정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세탁물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코스의 일치 여부는 세탁물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능성 의류, 란제리, 울 등은 손상이 쉬운 세탁물이므로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 코스 및 건조 코스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알림 메시지를 세탁기/건조기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가이드 방법으로는 세탁기와 건조기의 경우 제품의 음성 안내 멘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경우 앱 푸시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코스의 일치 여부에 대한 판단은 전술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음성 안내 멘트는 사용자가 세탁기 또는 건조기 주변에 있을 경우에 출력될 수 있도록 관리 서버(300)는 멘트 출력에 관한 시간이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세탁기 200: 건조기
300: 관리서버 500: 사용자 단말

Claims (18)

  1. 관리 서버의 서버 통신부가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세탁기와 연동된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세탁기가 포함된 모델 또는 상기 세탁기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세탁 코스 정보들과 상기 건조기가 포함된 모델 또는 상기 건조기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건조 코스 정보들과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매핑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세탁기 및 상기 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세탁기로부터 제2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제2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의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제2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2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테이블에 상기 비교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가 출력할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의 음원 출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음원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음원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상기 음원 파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세탁기와 상기 건조기에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에 따라 세탁기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과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에 따라 건조기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력이 더 큰 코스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세탁기로부터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의 제1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 시작 전의 세탁물의 제2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제1무게 정보 및 상기 제2무게 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프로세스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세탁기로부터 제1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고, 건조기로부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또는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설정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가 포함된 모델 또는 상기 세탁기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세탁 코스 정보들과 상기 건조기가 포함된 모델 또는 상기 건조기 모델이 포함된 상위 그룹의 둘 이상의 건조 코스 정보들과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이 저장된 서버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매핑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의 매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세탁기 및 상기 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세탁기로부터 제2세탁 코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제2건조 코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제2세탁 코스 정보 및 상기 제2건조 코스 정보를 비교한 후 상기 사용자 테이블에 상기 비교 결과를 저장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가 출력할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의 음원 출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음원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음원 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음원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상기 음원 파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가 상기 세탁기와 상기 건조기에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제1세탁 코스 정보에 따라 세탁기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과 상기 제1건조 코스 정보에 따라 건조기가 동작할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비교한 후, 상기 물리력이 더 큰 코스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세탁기로부터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의 제1무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 시작 전의 세탁물의 제2무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제1무게 정보 및 상기 제2무게 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프로세스의 수행을 중지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KR1020220026582A 2022-03-02 2022-03-02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9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582A KR20230129678A (ko) 2022-03-02 2022-03-02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2/009267 WO2023167372A1 (ko) 2022-03-02 2022-06-28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582A KR20230129678A (ko) 2022-03-02 2022-03-02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678A true KR20230129678A (ko) 2023-09-11

Family

ID=8788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582A KR20230129678A (ko) 2022-03-02 2022-03-02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9678A (ko)
WO (1) WO20231673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09B1 (ko) * 2015-12-24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93054B1 (ko) * 2020-02-21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JP7399015B2 (ja) * 2020-03-31 2023-12-15 株式会社Tosei ランドリー機器制御システム、ランドリー機器制御方法、端末機、そのランドリー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56726A (ko) * 2020-06-18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시스템, 모바일 장치 및 가전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10348A (ko) * 2020-07-17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372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54644B2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nd online system including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2018030585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BRPI0621758A2 (pt) sistema detalhado para gerenciamento do produto
WO2020052437A1 (zh) 用于家电系统的控制方法及家电系统
CN105155207A (zh) 洗衣机的监控方法、洗衣机和洗衣机系统
US10934653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9989220A (zh) 衣物处理设备的程序控制方法和系统
EP4079955A1 (en) Control method for smart clothes treatment system
KR20230129678A (ko) 세탁기 및 건조기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066255A (zh) 一种共用物联设备逻辑的物联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20070288223A1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Module for a Software-Engineered Reproduction of the Behavior of an Actual Domestic Appliance in a Model
JP7232990B2 (ja) 洗濯システム
US742844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menu in washing machine integrally having drier
CN107105327A (zh) 一种关联开关机方法及终端
CN115110244A (zh) 一种洗涤控制方法及其系统
KR20200086212A (ko) 가상 머신, 전자 장치 및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위한 통신 방법
CN112188486B (zh) 家电设备及其组网方法、局域网系统、存储介质
KR102193055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와 서버
KR20230119498A (ko) 세탁 코스를 가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094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JP2021016460A (ja) 洗濯システム、洗濯機、及びプログラム
ITTO20131082A1 (it) Elettrodomestico con guida alla selezione di cicli di lavoro
JP7304510B2 (ja) 洗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12476A (ko)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4141B1 (ko) 원격 세탁 모니터의 홈 코드 설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