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76A -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76A
KR20230112476A KR1020220008770A KR20220008770A KR20230112476A KR 20230112476 A KR20230112476 A KR 20230112476A KR 1020220008770 A KR1020220008770 A KR 1020220008770A KR 20220008770 A KR20220008770 A KR 20220008770A KR 20230112476 A KR20230112476 A KR 2023011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button
scenario
recommend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76A/ko
Priority to PCT/KR2022/018916 priority patent/WO2023140489A1/ko
Publication of KR202301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건조기 내의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 건조기의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 센서 및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서버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DRYER,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가전 기기간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달과 함께, 최근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가전 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즉, 건조기,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가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가전 기기를 연동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스마트 허브'와 같은 플랫폼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복수의 가전 기기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복수의 가전 기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가전 기기의 동작이 종료된 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다시 접속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가령, 건조기 사용 후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하면 건조기를 사용한 이후 다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건조기의 입력부를 활용하여 다른 가전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기의 입력부를 활용하여 다른 가전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건조기 내의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 상기 건조기의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 센서 및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게 및 상기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건조기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건조기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건조기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고,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건조 완료, 상기 건조 중 및 상기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게 및 상기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건조기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건조기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건조기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건조 완료, 상기 건조 중 및 상기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입력부를 활용하여 다른 가전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어, 별도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거나 다른 가전 기기에 직접 가지 않고도 다른 가전 기기를 손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 서버 및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입력부에 포함된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복수의 버튼 중 유휴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서버가 추천 시나리오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가 추천 시나리오를 수신하고 유휴 버튼에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추천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나리오 중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 서버 및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건조기(200)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건조실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피건조물은 열풍을 통해 건조 및 살균이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은 옷감, 의류, 타월, 이불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시나리오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건조기(200)와 연동하여 서버(1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200)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주위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건조기(200)가 동작 중인 경우, 에어컨(301)을 동작시키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건조기(200)로부터 피건조물을 꺼내 옷장 등에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먼지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동작이 완료되면, 공기 청정기(302) 또는 로봇 청소기(303)를 동작시키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건조기(200)는 서버(100)로부터 추천 시나리오가 수신되면, 건조기(200)에 마련된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200)는 해당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추천 시나리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3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이 건조기(200)에서 선택된 경우, 서버(100)는 공기 청정기(3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공기 청정기(3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기 청정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302)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건조기(20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건조기(200)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전자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버(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건조기(200)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되면,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는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기(200) 내의 피건조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00)는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먼지 필터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기(200)는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200)는 측정된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00)는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는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조기(200)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00)는 도어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기(200) 내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추천 시나리오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건조기(200)와 연동하여 서버(1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무게, 먼지량, 동작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상황 별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시작 전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에어컨(301)을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중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에어컨(301)을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완료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완료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완료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가 건조 완료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추천 시나리오는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추천 시나리오들은 일 예이고, 이 외에도 다양한 추천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를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컨(301)을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하고 있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컨(301)을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완료한 상태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완료한 상태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완료한 상태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완료한 상태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200)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건조기(200)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건조기(20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건조기(200)는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은 건조기(200)의 건조 행정을 시작시키거나, 진행되고 있는 건조 행정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이 설정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김방지 버튼(222)은 건조기(200)의 건조 행정을 구김방지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구김방지 모드는 건조기(200) 내에 구비된 드럼이 회전하는 각속도를 다른 모드보다 낮게 설정하여 피건조물의 구김을 방지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조정도 버튼(223)은 건조기(200)의 피건조물의 건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정도는 "강력", "표준", "약하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간 설정 버튼(224)은 건조기(200)의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 버튼(225)은 건조기(200)의 부가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기능은 건조 행정 이외에 건조기(2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으로, 일 예로,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다림질 하기 적합한 상태임을 알려주는 다림질 알림 기능 및 건조기(200)의 드럼 내부를 밝게 비출 수 있는 드럼 라이트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복수의 버튼이 물리적인 버튼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복수의 버튼은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다이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버튼이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 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건조기(200)는 이들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거나, 이들 버튼 이외의 다른 버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건조기(200)의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유휴 상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는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조기(200)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휴 상태라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여도,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유휴 상태에 있는 버튼(이하, 유휴 버튼이라 함)은 제조 단계에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200)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가정한다. 이 경우, 도어가 열려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을 선택하여도 건조기(200)는 건조 행정을 시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200)가 건조 시작 전이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은 유휴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건조기(200)의 정상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건조기(200)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각각은 각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 활성화 되거나 또는, 유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복수의 버튼 중 유휴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표(400)는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른,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을 나타내는 표이다.
예를 들어, 건조기(200)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건조 행정을 시작할 수 없다. 따라서, 건조기(200)가 건조 시작 전이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은 유휴 버튼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건조기(200)를 동작시키기 전에, 부가 기능을 설정하거나, 건조 정도 및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시간 등을 설정하거나, 구김방지 모드를 설정하는 등의 건조 행정에 대한 다양한 셋팅 값을 설정하고, 건조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200)가 건조 시작 전이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건조기(200)의 복수의 버튼 즉,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 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은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건조기(200)에는 유휴 버튼이 없기 때문에, 도 4에서 N/A로 나타내었다.
또한, 건조기(200)가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중인 경우, 건조기(200)의 도어는 열릴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는 상정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도 4에서 N/A로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자는 건조기(200)에서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건조 행정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건조 정도를 조절하거나,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200)가 건조 행정을 수행 중이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건조정도 버튼(223) 및 시간설정 버튼(224)은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구김 방지 및 부가 기능은 건조기(200)의 동작 전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므로, 구김방지 버튼(222) 및 부가기능 버튼(225)은 유휴 버튼일 수 있다.
한편, 건조 행정이 완료된 경우, 건조기(200)는 기존과 동일한 설정을 이용하여 건조 행정을 다시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행정이 완료되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을 제외한 다른 버튼들 즉,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 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은 유휴 버튼일 수 있다. 다만, 건조기(2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건조 행정을 진행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작/일시정지 버튼(221)도 유휴 버튼일 수 있다.
한편, 모델 별로 건조기(200)에 마련된 버튼이 다를 수 있고, 또한,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어떠한 버튼이 유휴 상태에 있는지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 별 유휴 버튼에 대한 정보는 서버(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된 건조기(200)의 모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른 유휴 버튼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유휴 상태에 있는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유휴 상태에 있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의 개수만큼의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에 맵핑될 추천 시나리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의 개수만큼의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식별함으로써, 건조기(200)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유휴 버튼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완료한 상태이고,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 및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가 획득된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은 시간 설정 버튼 및 시작/일시정지 버튼이고,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은 시간 설정 버튼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이 2 개라는 점에서,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 및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에 맵핑될 추천 시나리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는 2 개이지만, 건조기(200)에서 유휴 버튼은 1 개만 존재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 및 로봇 청소기(303)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를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에 맵핑될 추천 시나리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건조기(200)에서 선택된 이력이 있는 추천 시나리오에 높은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추천 시나리오들 중에서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에 맵핑될 추천 시나리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가 건조기(200)에서 선택된 적이 있었던 경우,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의 시간 설정 버튼에 맵핑될 추천 시나리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200)에서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이력을 식별하고, 선택된 이력이 높은 추천 시나리오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유휴 버튼 각각에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하고, 추천 시나리오 및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추천 시나리오 및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가 건조기(200)의 시간 설정 버튼에 맵핑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공기 청정기를 가동하시려면, 시간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건조기(200)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 및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200)는 유휴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유휴 버튼에 맵핑된 추천 시나리오를 식별하고, 식별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가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되면,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공기 청정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302)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과정을 통해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을 이용하여 서버(100)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직접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직접 가지 않고서도 그 자리에서 다른 전자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입력부(220), 무게 센서(230), 먼지 센서(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이동통신, 와이파이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2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20)는 복수의 버튼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2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버튼은 건조기(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은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복수의 버튼이 물리적인 버튼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복수의 버튼은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다이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입력부(220)가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 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입력부(220)는 이들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거나, 이들 버튼 이외의 다른 버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무게 센서(230)는 건조기(200) 내의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무게 센서(230)는 건조기(200)의 드럼에 투입된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먼지 센서(240)는 건조기(200)의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는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먼지 필터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 센서(240)는 먼지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5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입력부(220), 무게 센서(230) 및 먼지 센서(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건조기(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모델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는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조기(200)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건조 행정의 시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를 건조 시작 전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건조 행정의 시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어 건조 행정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를 건조 중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건조 행정이 완료되면,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를 건조 완료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도어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기(200) 내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또는 닫힌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50)는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 변화하는 경우(가령,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경우),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무게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 변화하는 경우(가령,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경우),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가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면,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 각각에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하고, 추천 시나리오 및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튼 중 건조기(200)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튼 중 유휴 버튼을 식별하고,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 및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유휴 버튼의 기능을 유휴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건조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서버(100)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시간 설정 버튼(224)에 맵핑된 추천 시나리오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공기 청정기를 가동하시려면, 시간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시간 설정 버튼(224)의 기능을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설정하고, 건조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공기 청정기를 가동하시려면, 시간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50)는 시간 설정 버튼(224)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시간 설정 버튼(224)에 설정된 기능은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인 것으로 식별하고,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가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되면,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공기 청정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302)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는 서버(100)가 유휴 버튼에 맵핑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이다. 즉,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유휴 버튼에 개수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복수의 버튼 중 유휴 버튼으로 식별된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유휴 버튼에 설정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에 기초하여, 유휴 버튼의 기능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건조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0)는 유휴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같이, 시간 설정 버튼(224)의 기능이 공기 청정기(302)를 구동하는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시간 설정 버튼(224)의 기능을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유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되지 않아도, 유휴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에 따라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이를 건조기(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서버가 추천 시나리오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피건조물의 무게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 전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제습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10)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고 건조기(2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이 유휴 버튼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유휴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1 개의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여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른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설정된 시나리오 중 1 순위의 시나리오인 제습기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a에는 제습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서버(100)는 건조기(200)에 로봇 청소기 가동을 추천하거나, 에어컨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등을 추천 시나리오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 전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피건조물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공기 청정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200)에 피건조물을 투입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 전 공기 청정기를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고 도어가 열린 상태이며, 서버(100)와 연결된 세탁기(미도시)에서 감지된 세탁물의 무게가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피건조물의 무게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습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기(미도시)에서 세탁물을 꺼낸 후, 그 중 일부만을 건조기(200)에 투입하고 나머지 세탁물은 직접 실내 공간에 널어놓는 경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건조 동작 전 제습기를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추천 시나리오는 건조기(200)에서 감지된 무게, 먼지량 및 건조기(200)의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센싱 값 등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a에는 건조기(200)의 상태 정보 및 무게에 기초하여 서버(100)가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 및 전송하는 과정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피건조물의 무게 및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가 진행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에어컨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및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20)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에서 건조가 진행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구김방지 버튼(222) 및 부가기능 버튼(225)이 유휴 버튼인 것으로 가정한다..이 경우, 서버(100)는 유휴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2 개의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여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른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설정된 시나리오 중 1 순위 및 2 순위의 시나리오인 에어컨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 및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b에는 에어컨 가동 및 로봇청소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서버(100)는 건조기(200)에 제습기 가동 및 공기청정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등을 추천 시나리오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가 진행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피건조물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컨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건조기(200)에 투입된 피건조물의 용량이 많아 건조 시간이 길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동작 중 에어컨을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를 수행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로봇 청소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건조기(200)에 투입된 피건조물의 먼지 함량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서버(100)는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무게 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피건조물의 무게 및 먼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에어컨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공기청정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 및 제습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30)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이 유휴 버튼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유휴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4 개의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여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른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설정된 시나리오 중 1 순위, 2 순위, 3 순위 및 4 순위의 시나리오인 에어컨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 공기청정기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 및 제습기의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건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c에는 에어컨 가동, 공기청정기 가동, 로봇청소기 가동 및 제습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3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시나리오가 추천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피건조물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컨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건조기(200)에 투입된 피건조물의 용량이 많아 건조 시간이 길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의 에어컨을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0)는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먼지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공기 청정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건조기(200)에 투입된 피건조물의 먼지 함량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서버(100)는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킬 것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100)는 피건조물의 무게와 먼지량을 모두 고려하여 로봇 청소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가령, 피건조물의 먼지량이 60%로 동일하지만 피건조물의 무게가 3kg인 경우와 7kg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피건조물의 먼지 함량이 많은 경우는 후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서버(100)는 먼지량이 피건조물의 무게 값에 10를 곱한 수치 이상일 경우, 로봇 청소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도 있다. 즉, 피건조물의 무게가 3kg인 경우 먼지량의 수치(=60)가 피건조물의 무게에 10을 곱한 수치(=30) 이상이므로, 서버(100)는 로봇 청소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추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피건조물의 무게가 7kg인 경우 먼지값의 수치(=60)가 피건조물의 무게 값에 10을 곱한 수치(=70) 이상이 아니므로, 서버(100)는 로봇 청소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는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건조물의 무게에 5를 곱한 수치와 먼지값의 수치를 비교하거나, 피건조물의 무게에 15를 곱한 수치와 먼지값의 수치를 비교하여 서버(100)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구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가 유휴 버튼에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고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서버(100)는 제습기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610)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이 유휴 버튼인 경우, 프로세서(250)는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의 기능을 제습기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250)는 스피커를 통해 “제습기를 가동하시려면, 시작/일시정지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서버(100)는 에어컨 가동 및 로봇청소기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620)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작/일시정지 버튼(221) 및 부가기능 버튼(225)이 유휴 버튼인 경우, 프로세서(250)는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의 기능을 에어컨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으로 설정하고, 부가기능 버튼(225)의 기능을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어떠한 유휴 버튼에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할 것인지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고, 프로세서(250)는 유휴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유휴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b와 같이, 프로세서(250)는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시작/일시정지 버튼(221)에 1 순위를 갖는 에어컨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맵핑하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부가기능 버튼(225)에 2 순위를 갖는 로봇 청소기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맵핑할 수도 있다.
다만, 추천 시나리오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버튼 중 좌측에 위치하는 버튼부터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우선 순위에 따라 추천 시나리오를 버튼에 맵핑하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250)는 스피커를 통해 “에어컨을 가동하시려면, 시작/일시정지 버튼을 누르시고, 로봇청소기를 가동하시려면 부가기능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건조기(2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서버(100)는 에어컨 가동, 공기청정기 가동, 로봇청소기 및 제습기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630)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이 유휴 버튼인 경우, 프로세서(250)는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 각각의 기능을 에어컨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공기청정기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로봇청소기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및 제습기의 가동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어떠한 유휴 버튼에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할 것인지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고, 프로세서(250)는 유휴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유휴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c와 같이, 프로세서(250)는 상대적으로 좌측에 있는 버튼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차례로 맵핑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0)는 구김방지 버튼(222), 건조정도 버튼(223), 시간설정 버튼(224) 및 부가기능 버튼(225) 각각에 1 순위를 갖는 에어컨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 2 순위를 갖는 공기청정기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 3 순위를 갖는 로봇 청소기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 및 4 순위를 갖는 제습기의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을 맵핑할 수 있다.
다만, 추천 시나리오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버튼 중 좌측에 위치하는 버튼부터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추천 시나리오를 맵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우선 순위에 따라 추천 시나리오를 버튼에 맵핑하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추천 시나리오가 맵핑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250)는 스피커를 통해 “에어컨을 가동하시려면 구김방지 버튼을 누르시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시려면 건조정도 버튼을 누르시고, 로봇청소기를 가동하시려면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시고, 제습기를 가동하시려면 부가기능 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추천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기능이 맵핑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추천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나리오 중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시나리오로 에어컨 가동 및 로봇 청소기 가동을 추천하는 시나리오(620)를 건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200)는 구김 방지 버튼(222)에 에어컨 가동을 선택하는 기능을 설정하고, 부가기능 버튼(225)에 로봇청소기 가동을 선택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부가기능 버튼(225)을 선택함으로써 1순위 시나리오인 에어컨 가동을 선택하지 않고, 2순위 시나리오인 로봇청소기 가동을 선택한 경우, 서버(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이력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의 선택 이력을 고려하여, 로봇청소기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1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에어컨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2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기(200)는 구김 방지 버튼(222)에 로봇 청소기 가동을 선택하는 기능을 설정하고, 부가기능 버튼(225)에 에어컨 가동을 선택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후순위 시나리오가 1 순위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서버(100)는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각 시나리오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우선 순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b에서, 사용자가 구김 방지 버튼(222) 및 부가 기능 버튼(225)을 선택하지 않고, 공기 청정기를 직접 가동시킨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버(100)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동작시킨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가 다른 전자 장치를 사용한 이력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를 가동시킨 경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공기 청정기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1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로봇 청소기 가동을 위한 시나리오를 2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b에서 1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가 로봇청소기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이고, 2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가 에어컨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라는 점에서, 서버(100)는 공기 청정기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1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고, 로봇 청소기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2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로 획득하게 된다. 또한, 건조기(200)가 건조 동작을 수행 중이고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유휴 버튼의 개수인 2개이기 때문에, 기존에 2 순위의 추천 시나리오였던 에어컨 가동을 위한 추천 시나리오는 추천 시나리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에서는, 사용자가 건조기(200)에 설정된 선택 기능 이외의 다른 전자 장치를 동작시킨 경우, 해당 시나리오가 1 순위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즉, 서버(100)는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각 시나리오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서버(100)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고려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조기(200)와 연동시켜 동작시켰을 때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조기(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입력부(220), 무게 센서(230) 및 먼지 센서(240) 이외에도 스피커(260) 및 디스플레이(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를 실시함에 있어 이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피커(260)는 사용자에게 건조기(200)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음성 형태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260)를 통해 입력부(220)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에 설정된 시나리오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있다.
디스플레이(270)는 건조기(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UI(User Interface)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7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7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270)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7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입력부(220)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270)에는 입력부(220)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의 기능을 대체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1010).
이후,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1020).
그리고,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다(S1030).
이후,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1040).
여기에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서버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건조기의 동작 상태 및 건조기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튼 중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건조기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건조기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110)
이후,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한다(S1120).
그리고,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로 전송한다(S1130).
또한, 건조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로부터 수신한다(S1140).
이후,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1150).
여기에서,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조기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의 동작 상태가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서버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프로세서
200 : 건조기 210 : 통신 인터페이스
220 : 입력부 230 : 무게 센서
240 : 먼지 센서 250 : 프로세서

Claims (16)

  1. 건조기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건조기 내의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
    상기 건조기의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 센서; 및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게 및 상기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서 이용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건조기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하는 건조기.
  5. 서버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건조기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건조기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고,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건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건조 완료, 상기 건조 중 및 상기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서버.
  9.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게 및 상기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서 이용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건조기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상기 추천 시나리오의 선택 기능으로 설정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기능을 원래 기능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3.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조기의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무게 및 상기 건조기의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중 상기 건조기에서 이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버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는, 건조 완료, 건조 중 및 건조 시작 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건조 완료, 상기 건조 중 및 상기 건조 시작 전 중 하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무게 및 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추천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220008770A 2022-01-20 2022-01-20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2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70A KR20230112476A (ko) 2022-01-20 2022-01-20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8916 WO2023140489A1 (ko) 2022-01-20 2022-11-28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70A KR20230112476A (ko) 2022-01-20 2022-01-20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76A true KR20230112476A (ko) 2023-07-27

Family

ID=8734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70A KR20230112476A (ko) 2022-01-20 2022-01-20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2476A (ko)
WO (1) WO20231404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73B1 (ko) * 2018-07-12 202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장치간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및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장치
KR102019132B1 (ko) *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20200049189A (ko) * 2018-10-31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KR20190092334A (ko) * 2019-07-19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68301A (ko) * 2019-11-29 2021-06-09 주식회사 미로 IoT 모듈이 장착된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489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4221B (zh) 家用电器、家用电器系统和控制家用电器的方法
RU2544824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их в действие
US9722668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969532B2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及び洗濯機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209509B1 (ko)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276857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276861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9558653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09478B1 (ko)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44504A (ko) 가전 기기와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의 제어 시스템
US11384467B2 (en) Detection and/or monitoring of the load on a textile piece during a treatment cycle
WO2014176918A1 (zh) 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US11098427B2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90058172A (ko) 인공지능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6437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2476A (ko)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034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021153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enu in washing machine integrally having drier
CN111134546A (zh) 家用电器的程序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109828679A (zh) 开机方法及装置
JP2019071972A (ja) 衣類処理装置
CN110714296B (zh) 衣物处理装置
US20240129155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
KR102214658B1 (ko) 가전제품 및 그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TR2022012836A2 (tr) Kurutma fonksiyonuna sahip beyaz eşyalar için bir kontrol yönte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