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049A -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049A
KR20230129049A KR1020237028067A KR20237028067A KR20230129049A KR 20230129049 A KR20230129049 A KR 20230129049A KR 1020237028067 A KR1020237028067 A KR 1020237028067A KR 20237028067 A KR20237028067 A KR 20237028067A KR 20230129049 A KR20230129049 A KR 2023012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on
reflected light
light
imag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호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Publication of KR2023012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차량 탑재 용도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을 제공한다.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10)은, 기재(1)와, 기재(1) 상에 적층되는 반사 제어층(5)을 구비한다. 반사 제어층(5)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1)에 대하여, 기재(1)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을 100%로 했을 때,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10)의 반사 제어층(5)에 대하여, 반사 제어 필름(10)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이 0 내지 25%이며, 또한, 정반사광의 반사각±5°의 방향의 반사광의 광량이 0.3 내지 2.0%이며, 헤이즈가 3 내지 11%이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본 발명은, 차량 탑재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표시 장치로서,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나 센터 콘솔 디스플레이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이용되어 왔다. 근년, 차량 탑재 표시 장치는 증가 경향이 있어, 디지털 아우터 모니터나 디지털 이너 모니터, 디지털 미터 클러스터와 같은 새로운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이용이 예상되고 있다. 차내에는 창을 통해서 여러 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하기 때문에, 차량 탑재 표시 장치에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을 마련함으로써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시인성 확보가 도모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광학 기판 상에 복수의 층을 적층해서 구성되며, 300 내지 660nm의 파장 영역에서, 45도 입사한 광의 반사율이 0.1% 이하인 반사 방지막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광성 무기 입자 및/또는 투광성 유기 입자를 분산시킨 광학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74903호 공보 일본 특허 제5725216호 공보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는, 표시 화상이 표시되는 것 외에, 근접 차량의 라이트나 가로등의 빛 등의 상이 투영되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표시면에 대한 투영(반사)을 억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차량 탑재 표시 장치에서의 적합한 반사광의 제어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아, 차량 탑재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광학 필름에 필요한 광학 특성에 대해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용도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은, 기재와, 기재 상에 적층되는 반사 제어층을 구비하고, 반사 제어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에 대하여, 당해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을 100%로 했을 때,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의 반사 제어층에 대하여, 당해 반사 제어 필름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이 0 내지 25%이며, 또한, 정반사광의 반사각±5°의 방향의 반사광의 광량이 0.3 내지 2.0%이고, 헤이즈가 3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탑재 용도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광의 반사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10)(이하, 단순히 「반사 제어 필름」이라고 함)은, 기재(1)와, 기재(1)의 한쪽 면에 적층되는 반사 제어층(5)을 구비한다.
기재(1)는, 반사 제어 필름(10)의 기체가 되는 필름이며, 가시광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기재(1)의 형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아크릴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노르보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등의 투명 수지나 무기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필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재(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의 표면에는, 반사 제어층(5)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알칼리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스퍼터 처리, 계면 활성제나 실란 커플링제 등의 도포, Si 증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사 제어층(5)은, 기재(1)측부터 차례로 방현층(2)과 저반사층(3)을 구비한다.
방현층(2)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고, 이 요철에 의해 외광을 산란시킴으로써 외광의 투영을 저감하는 광학 기능층이다. 방현층(2)은, 바인더 수지와, 유기 미립자 및/또는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기재(1)에 도포하여,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전리 방사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관능,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양쪽의 총칭이며,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과 메타크릴로일 양쪽의 총칭이다.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인산(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로겐프탈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히드로겐프탈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히드로겐프탈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테트라히드로히드로겐프탈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아다만탄, 아다만탄디올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갖는 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다만탄 유도체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2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나,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일부를 알킬기나 ε-카프로락톤으로 치환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혹은 프리폴리머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생성물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1종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도공액 중에서 모노머이어도 되고, 일부가 중합한 올리고머이어도 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상술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이외에, 에폭시기, 비닐에테르기, 옥세탄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로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나 각종 지환식 에폭시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디[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등의 옥세탄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지 재료는,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를 조건으로 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등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미립자는, 주로 방현층(2)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외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하는 재료이다. 유기 미립자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에틸렌계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수지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입자의 재료의 굴절률은, 1.40 내지 1.75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나 수지 입자의 분산을 조정하기 위해서, 재질(굴절률)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수지 입자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기재 수지에 첨가하는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0nm의 나노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의 첨가량은, 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는, 주로 방현층(2) 중의 유기 미립자의 침강이나 응집을 조정하기 위한 재료이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미립자나, 금속 산화물 미립자, 각종 광물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콜로이달 실리카나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로 표면 수식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나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물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운모, 합성 운모, 버미큘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철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바이델라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스티븐사이트, 논트로나이트, 마가디아이트, 아이라라이트, 카네마이트, 층상 티타늄산, 스멕타이트, 합성 스멕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물 미립자는, 천연물 및 합성물(치환체, 유도체를 포함함)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양자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광물 미립자 중에서도, 층상 유기 점토가 보다 바람직하다. 층상 유기 점토란, 팽윤성 점토의 층간에 유기 오늄 이온을 도입한 것을 말한다. 유기 오늄 이온은, 팽윤성 점토의 양이온 교환성을 이용해서 유기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광물 미립자로서, 층상 유기 점토 광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합성 스멕타이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스멕타이트는,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의 점성을 증가시켜, 수지 입자 및 무기 미립자의 침강을 억제하고, 광학 기능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에는, 레벨링제를 첨가해도 된다. 레벨링제는, 건조 과정의 도막 표면에 배향하여, 도막의 표면 장력을 균일화하고, 도막의 표면 결함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광학 기능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는, 적절히 유기 용제를 첨가해도 된다. 유기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디에틸셀로솔브, 디에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물 등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저반사층(3)은, 저반사층(3)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을, 저반사층(3) 및 방현층(2)의 계면에서 반사하는 광과의 간섭으로 제거함으로써, 반사 제어 필름(10)의 표면 반사를 저감하는 광학 기능층이다. 저반사층(3)은, 바인더 수지 및 저굴절률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방현층(2)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저반사층(3)의 형성에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현층(2)의 재료로서 예시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저굴절률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LiF, MgF, 3NaF·AlF 또는 AlF(모두, 굴절률 1.4), 혹은 Na3AlF6(빙정석, 굴절률 1.33) 등의 미립자나, 내부에 공극을 갖는 실리카 미립자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부에 공극을 갖는 실리카 미립자는, 공극 부분을 공기의 굴절률(약 1)로 할 수 있으므로, 저반사층(3)의 저굴절률화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실리카 입자, 셸(껍데기) 구조의 실리카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저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1nm 이상,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레일리 산란에 의해 광이 현저하게 반사되어, 저반사층(3)이 백화해서 반사 제어 필름(10)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저굴절률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1nm 미만일 경우, 입자의 응집에 의해, 저반사층(3)에서의 입자의 불균일성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저반사층(3)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 용매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방현층(2)의 재료로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포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중합 금지제, 광 증감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반사층 형성용 도공액의 도막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경우는, 도공액에 광중합 개시제가 첨가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방현층(2)의 재료로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저반사층(3)의 굴절률은, 방현층(2)의 굴절률보다 작으며, 또한, 1.25에서 1.50까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층의 굴절률은, 가능한 한 낮은 편이 공기(굴절률=1)와의 굴절률에 가까워져, 저반사율을 실현하기 쉽기는 하지만, 저굴절률 재료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계 강도가 낮아져서 흠집이 생기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저반사층의 굴절률이 1.50을 초과하면, 공기와의 굴절률 차가 커짐으로써 반사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저반사층(3)의 막 두께는, 광학 간섭층으로서의 특성면에서, 5nm 내지 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저반사층(3)의 막 두께에 저반사층(3)의 굴절률을 곱한 광학 막 두께가 가시광의 파장(억제해야 하는 파장)의 1/4과 거의 동등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박막화 및 반사율 억제의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2는, 광의 반사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탑재 표시 장치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는, 근접 차량의 라이트나 가로등의 빛 등의 외광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을 저감하고,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어, 표시면에의 입사광의 상의 투영을 가능한 한 저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한편,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투영된 외광의 상은, 차량 주위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라고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의 이용 확대가 예상되는 디지털 아우터 모니터나 디지털 이너 모니터는, 종래 광학 미러가 배치되어 있었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근접 차량의 라이트나 가로등의 빛 등이 입사하기 쉽기 때문, 투영되는 상을 주변 상황 파악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으면 의미가 있다. 그러나, 표시면에서의 반사 상을 일종의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반사 상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확보하는 기술 사상은 지금까지 없으며, 반사 상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속성이 광학 필름에 필요한지에 대해서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투영된 상을 차량 주변의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의 식별성이 중요하다. 여기서, 상의 식별성이란, 탑승자가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원의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투영된 외광의 상이 지나치게 선명할 경우, 표시 화상과 외광의 상을 분별하는 것이 곤란해지지만, 표시면에 입사한 외광의 반사를 지나치게 억제하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은 향상되기는 하지만, 외광의 상을 차량 주위의 상황 파악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방현성 필름과 같이 확산에 의해 반사율을 억제하는 방법도 있지만,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서의 광의 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면, 외광의 상이 흐려져버려,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판별이 곤란해지는 것을 알았다.
표시면에 투영된 상의 식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 탑재 용도의 광학 필름에 필요한 속성(광학 특성)을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에 대하여 30°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i)의 정반사광(Lr)의 광량과, 이 정반사광의 반사각±5°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을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지견을 얻었다(도 2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탑재 표시 장치로서 비교적 외광이 입사하기 쉬운 위치에 마련되는 디지털 아우터 모니터나 디지털 이너 미러를 상정하고,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나, 운전자에 대향하는 표시면의 배향,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한 표시면의 각도를 고려한 결과,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는, 법선에 대하여 30°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하기 쉽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에 대하여 30°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Li)이 입사한 경우, 차량 탑재 표시 장치를 시인한 운전자의 눈에 입사하는 것은, 정반사광(Lr)을 중심으로 해서 약±5°의 반사각을 갖는 광인 것을 알았다. 또한, 도 2는, 운전석이 좌측에 있는 차량을 상정하고 있지만, 운전석이 우측에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정반사광(Lr)(반사각: 30°), 반사광(Lr')(반사각: 25°) 및 반사광(Lr")(반사각: 35°)의 광량에 주목해서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투영된 상의 식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하의 항목 (1) 내지 (3)에 나타내는 광학 특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에 있어서, 반사 제어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에 대하여,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을 기준 광량(=100%)으로 한다.
(1) 기재 상에 적층된 반사 제어층에 대하여,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Li)이 정반사된 광인 정반사광(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0 내지 25%이며,
(2) 기재 상에 적층된 반사 제어층에 대하여,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Li)의 정반사광(Lr)의 반사각±5°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광의 광량, 즉,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25°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광(Lr')의 광량과, 법선에 대하여 35°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광(Lr")의 광량이, 모두 기준 광량의 0.3 내지 2.0%이며,
(3) 반사 제어 필름(10)의 헤이즈가 3 내지 11%이다. 헤이즈는, JIS K7105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10)은, 이들 광학 특성을 가짐으로써, 차량 탑재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에 대하여 30°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Li)의 반사를 억제하고, 입사광(Li)을 적절하게 확산시킨다. 그 결과, 입사광(Li)의 상을 지나치게 선명하지 않으면서 또한 지나치게 흐리지 않은 상으로서 운전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입사광(Li)의 상을 표시 화상과 구별하기 쉬워, 무슨 상인지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투영된 상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은, 주로 반사 상의 흐려짐에 관여하는 파라미터이다.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2.0%를 초과하는 경우, 반사 상의 흐려짐이 너무 강해져서,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인식이 곤란해진다. 한편,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0.3% 미만일 경우, 반사 상이 선명해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과 반사 상의 구별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0.3% 미만이면서 또한 정반사광(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25%를 초과하는 경우는, 반사 상이 지나치게 선명해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과 반사 상의 구별이 곤란해진다. 또한,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에 관계 없이, 정반사광(Lr)의 광량이 기준 광량의 25%를 초과해서 많아지면, 정반사광이 지나치게 밝음으로써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헤이즈는, 정반사광(Lr),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의 어느 것에도 관계하는 파라미터이다. 반사 제어 필름(10)의 헤이즈가 3% 미만일 경우, 광의 확산성이 저하되어,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이 상술한 하한값보다 적어지기 때문에, 반사 상을 적절하게 흐리게 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반사 제어 필름(10)의 헤이즈가 11%를 초과하는 경우, 광의 확산성이 강해져서, 반사광(Lr' 및 Lr")의 광량이 상술한 상한값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반사 상의 흐려짐이 강해져서, 반사 상의 인식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10)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투영된 외광의 상을 차량 주변의 상황을 나타내는 일종의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상기 항목 (1) 내지 (3)의 광학 특성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시인성과, 표시면에 투영된 외광의 상의 식별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투영된 외광의 상도 정보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발상은 없었기 때문에, 외광의 상을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 광학 필름에 필요한 요건도 검토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10)은, 상술한 반사 상의 식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 없었던 발상을 실현한 광학 필름으로서 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10)은, 전형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마련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되지만,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적층체 중에서의 적층 위치에 대해서는,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사 제어 필름(10)의 반사 제어층(5) 상에, 대전 방지층, 방오층, 적외선 흡수층, 자외선 흡수층, 색 보정층 등의 광학 기능층을 1층 이상 마련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을 구체적으로 실시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9 내지 11)
기재 상에, 반사 방지층으로서, 방현층 및 저반사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반사 제어 필름을 제작했다. 기재로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했다. 기재 상에,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했다. 그 후, 방현층 상에 저반사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저반사층을 형성했다.
기재 상에, 반사 방지층으로서, 방현층을 적층한 반사 제어 필름을 제작했다. 기재로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했다. 기재 상에,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했다.
(비교예 1 내지 8)
기재 상에, 반사 방지층으로서, 방현층을 적층한 반사 제어 필름을 제작했다. 기재로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했다. 기재 상에,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했다.
(비교예 12)
기재 상에, 반사 방지층으로서, 하드 코트층 및 저반사층을 적층한 반사 제어 필름을 제작했다. 기재로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했다.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을 형성했다. 그 후, 하드 코트층 상에 저반사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막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저반사층을 형성했다.
표 1 내지 3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 저반사층 형성용 도공액 및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공액의 조성을 나타낸다. 또한, 각 도공액은, 표 1 내지 3에 기재된 용제를 사용해서 도공에 적합한 농도로 희석했다.
[헤이즈값]
헤이즈는, JIS K7105에 따라서, 헤이즈 미터(NDH2000,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반사광량]
변각 광도계 고니오포토미터(GP-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를 사용해서, 반사 방지층측으로부터 입사각 30°로 D65 광원 근사광을 조사하여, 반사각이 30°인 정반사 광, 반사각이 23° 내지 37°인 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했다.
[평가]
액정 표시 장치 iPad(등록 상표) Air(제4세대)의 표면에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12의 반사 제어 필름을 접합한 상태에서, 암실 조건(주위로부터의 입사광이 없는 상태) 하에, 액정 표시 장치의 중심부를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100cm의 위치로 하고, 평가자의 눈 위치를 표시 화면의 중심부로부터의 수평 직선 거리 50cm의 위치로 하여, 표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켰다. 이 상태에서 형광등의 광을 입사각 30°로 입사시켜서, 정반사 방향, 정반사 방향±5°의 3조건에서 평가를 행했다.
표 4에서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평가자 15명의 3조건의 평가점의 평균점을 4점 이상 5점 이하(○), 3점 이상 4점 미만(△), 1점 이상 3점 미만(×)로 하고, 「○」 평가를 합격으로 했다.
<평가 기준>
5점: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음
4점: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식별할 수 있음
3점: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식별할 수 있지만, 표시 화상 또는 투영된 형광등의 상이 일부 희미함
2점: 표시 화상 또는 투영된 형광등의 상의 어느 쪽인가의 인식을 할 수 없음. 또는,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식별할 수 없음
1점: 표시 화상 및 투영된 형광등의 상 모두 인식도 식별도 할 수 없음
표 4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2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의 층 구성, 헤이즈, 반사광량(반사각 30°, 25° 및 35°의 반사광의 광량), 화상 식별성의 평가를 정리해서 나타낸다. 또한, 표 3의 층 구성에서의 「AGLR」은, 반사 방지층이 방현층 및 저반사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AG」는, 반사 방지층이 방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HCLR」은, 반사 방지층이 하드 코트층 상의 저반사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반사광량의 단위는「%」이며, 반사광량의 값은, 반사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에 D65 광원 근사광이 입사각 30°로 입사했을 때의 정반사광의 강도를 100%로 해서 나타낸 값이다.
실시예 1 내지 5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3 내지 11%임으로써 입사광이 적절하게 확산됨과 함께, 저반사층에 의해 표면 반사도 억제되어, 정반사광량이 25% 이하이면서 또한 반사각 25° 및 35°의 반사광의 강도가 0.3 내지 2.0%의 범위 내이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반사 제어 필름에 의해,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내지 5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3 내지 11%의 범위 내이지만, 저반사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반사광량은 25%를 초과하고,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도 2.0%를 초과했다. 정반사광량이 높기 때문에 투영된 형광등의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었지만, 정반사광량이 높음으로 인해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의 식별이 어려워져,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해서 낮은 평가가 되었다.
비교예 6 및 7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저반사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헤이즈가 높음으로써 입사광의 확산성이 높아져서, 정반사광량이 비교예 1 내지 5보다도 작게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을 식별할 수 있었다. 단, 정반사광의 광량이 어느 정도 억제된 한편,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5.0%에 가까운 값으로 되었기 때문에, 투영된 형광등의 상이 비교적 어둡고, 또한, 흐린 상태로 시인되어,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인식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8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저반사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반사광량이 억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반사광량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의 구별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9 및 10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실시예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반사 제어층이 방현층 및 저반사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헤이즈가 높음으로써 입사광의 확산성이 높아져서,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2.0%를 초과했다. 정반사광의 양이 25% 이하로 억제된 한편,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투영된 상이 비교적 어둡고, 또한, 흐린 상태로 시인되어,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인식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11 및 12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작음으로써,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0.3%보다 작아졌다. 이 때문에, 투영된 상이 선명해져서,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구별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로부터 입사한 경우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과 반사 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반사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5 내지 8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2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의 헤이즈, 반사광량(반사각 23°, 24°, 25°, 26°, 27°, 30°, 33°, 34°, 35°, 36°, 37°의 반사광의 광량),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화상 식별성의 평가를 정리해서 나타낸다. 반사광량의 단위는「%」이며, 반사광량의 값은, 반사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기재에 D65 광원 근사 광이 입사각 30°로 입사했을 때의 정반사 광의 강도를 100%로 해서 나타낸 값이다.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의 단위는 무차원이다. 헤이즈 및 평가는 표 4에 대해서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 내지 5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3 내지 11%임으로써 입사광이 적절하게 확산됨과 함께, 저반사층에 의해 표면 반사도 억제되어, 정반사광량이 25% 이하이면서 또한 반사각 25° 및 35°의 반사광의 강도가 0.3 내지 2.0%의 범위 내이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8.30 내지 9.50의 범위 내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6.89 내지 7.87의 범위 내이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반사 제어 필름에 의해,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내지 5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3 내지 11%의 범위 내이지만, 저굴절률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반사광량은 25%를 초과하고,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도 2.0%를 초과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5.77 내지 6.20의 범위 내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5.36 내지 5.62의 범위 내이었다. 정반사광량이 높기 때문에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었지만, 정반사광량이 높음으로 인해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의 구별이 어려워져,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해서 낮은 평가가 되었다.
비교예 6 및 7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저굴절률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헤이즈가 높음으로써 입사광의 확산성이 높아져서, 정반사광량이 비교예 1 내지 5보다도 작게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을 구별할 수 있었다. 단, 정반사광의 광량이 어느 정도 억제된 한편,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5.0%에 가까운 값으로 되었기 때문에, 투영된 상이 비교적 어둡고, 또한, 흐린 상태로 시인되어,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인식을 할 수 없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6에서 4.74, 비교예 7에서 3.73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6에서 4.78, 비교예 7에서 3.63이었다.
비교예 8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저굴절률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반사광량이 억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반사광량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의 구별을 할 수 없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17.12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11.91이었다.
비교예 9 및 10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실시예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반사 제어층이 방현층 및 저굴절률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헤이즈가 높음으로써 입사광의 확산성이 높아져서,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2.0%를 초과했다. 정반사광의 양이 25% 이하로 억제된 한편,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투영된 상이 비교적 어둡고, 또한, 흐린 상태로 시인되어,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의 인식을 할 수 없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9에서 5.11, 비교예 10에서 4.41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9에서 5.08, 비교예 10에서 4.30이었다.
비교예 11 및 12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헤이즈가 작음으로써, 반사각 25°의 반사광량 및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이 0.3%보다 작아졌다. 이 때문에, 투영된 상이 선명해져서, 표시 화상과 투영된 상을 구별할 수 없었다. 또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11에서 18.19, 비교예 12에서 97.00이었다.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비교예 11에서 13.65, 비교예 12에서 5.00이었다.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쪽이,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보다도 커진다. 이것은, 반사각이 0°에 가까워질수록 입사광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헤이즈가 작을수록,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작아진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와 저굴절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5를 비교하면, 반사율이 낮을수록,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헤이즈를 낮추는 것과, 반사율을 낮추는 것이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등을 낮추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반사각 23°와 2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 반사각 36°와 3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큰 차는 보이지 않는다. 한편,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현저한 차가 보인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6.89 내지 9.50임으로써, 비교예 1 내지 12에 대하여 평가 결과가 우수했다. 이것은, 반사각 25° 내지 7°의 반사광량의 관계와, 반사각 33° 내지 35°의 반사광량의 관계가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사람의 시각으로 경사지게 입사하는 광을 보았을 때, 표시 화상과 투영된 형광등의 상을 구별하고, 또한, 투영된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하는 데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로부터 입사한 경우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과 반사 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반사 상이 무슨 상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제어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차량 탑재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기재
2: 방현층
3: 저반사층
5: 반사 제어층
10: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Claims (3)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적층되는 반사 제어층을 구비하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이며,
    상기 반사 제어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상기 기재에 대하여, 당해 기재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을 100%로 했을 때, 상기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의 상기 반사 제어층에 대하여, 당해 반사 제어 필름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30°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정반사광의 광량이 0 내지 25%이며, 또한, 상기 정반사광의 반사각±5°의 방향의 반사광의 광량이 0.3 내지 2.0%이며, 헤이즈가 3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각 26°와 27°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2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과, 반사각 33°와 34°의 반사광량의 합을 반사각 35°의 반사광량으로 나눈 값이, 6.89 내지 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제어층이, 상기 기재측부터 차례로 방현층 및 저반사층을 구비하는,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KR1020237028067A 2021-05-14 2022-05-13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KR20230129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82726 2021-05-14
JP2021082726 2021-05-14
PCT/JP2022/020220 WO2022239860A1 (ja) 2021-05-14 2022-05-13 車載用反射制御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049A true KR20230129049A (ko) 2023-09-05

Family

ID=8402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067A KR20230129049A (ko) 2021-05-14 2022-05-13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239860A1 (ko)
KR (1) KR20230129049A (ko)
CN (1) CN116997826A (ko)
TW (3) TW202349031A (ko)
WO (1) WO202223986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16U (ko) 1980-07-21 1982-02-09
JP2001074903A (ja) 1999-09-03 2001-03-23 Nikon Corp 反射防止膜及び光学素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411A (ja) * 2000-03-30 2001-10-10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862941B2 (ja) * 2000-07-21 2006-12-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高精細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148383A (ja) * 2005-10-31 2007-06-14 Toray Ind Inc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78698A (ja) * 2008-09-24 2010-04-08 Nof Corp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JP2010186020A (ja) * 2009-02-12 2010-08-26 Nof Corp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2063504A (ja) * 2010-09-15 2012-03-29 Nof Corp 防眩性フィルム
JP2019105692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7067077B2 (ja) * 2018-01-18 2022-05-16 Agc株式会社 ガラス板及び表示装置
KR102566331B1 (ko) * 2019-10-10 2023-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변조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16U (ko) 1980-07-21 1982-02-09
JP2001074903A (ja) 1999-09-03 2001-03-23 Nikon Corp 反射防止膜及び光学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9031A (zh) 2023-12-16
JPWO2022239860A1 (ko) 2022-11-17
TW202349030A (zh) 2023-12-16
TW202244543A (zh) 2022-11-16
CN116997826A (zh) 2023-11-03
WO2022239860A1 (ja) 2022-11-17
TWI813288B (zh)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1018B1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698552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US7233378B2 (en) Anti-reflec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286878A (ja)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6221017B1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US808128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233048A1 (en) Anti-glare material and optical layered product
JP4712236B2 (ja)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9128393A (ja) 防眩材料
JP2003027003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塗膜、反射防止膜、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080256A (ja) 防眩フィルム
JP2012150226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60051669A (ko) 광학적층체
KR20230129049A (ko) 차량 탑재용 반사 제어 필름
JP2010079100A (ja)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156643A (ja) 光学積層体
JP2024073066A (ja) 車載用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60051602A (ko) 광학 적층체
WO2023090300A1 (ja)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2141625A (ja) 光学積層体
WO2021153423A1 (ja) 防眩フィルム及び防眩性且つ低反射性を有するフィルム
JP2010079111A (ja) 光学積層体
JP2008292987A (ja) 光学積層体
WO2023224104A1 (ja)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611460B1 (ko) 반사방지능이 우수한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