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779A -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779A
KR20230128779A KR1020220026086A KR20220026086A KR20230128779A KR 20230128779 A KR20230128779 A KR 20230128779A KR 1020220026086 A KR1020220026086 A KR 1020220026086A KR 20220026086 A KR20220026086 A KR 20220026086A KR 20230128779 A KR20230128779 A KR 2023012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skin
water
bongseon
strength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명
원유림
김도윤
김미정
김난영
임채정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779A/ko
Publication of KR2023012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를 유도하며, 표피 재형성을 유도하고,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유도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및 피부 미백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약학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atiens textori Miq. essential oi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가장 큰 단일 기관인 피부는 외곽 경계를 형성하며, 피부의 주요 장벽 기능을 수행하는 표피(epidermis)와 표피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기계적 강도와 탄력을 제공하는 진피(dermis) 그리고 절연체 및 충격 흡수제 역할을 수행하는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구분된다.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인 표피는 표피능선을 형성하는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기점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 형태에 따라서 5개의 층으로 나뉘고 표피의 재생을 매개한다. 표피는 진피와 표피의 경계 부위에 존재하는 기저층(stratum basal)과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와 림프액이 존재하여 외부 유해 물질을 차단하는 유극층(stratum spinosum), 케라토히알린과립(keratohyalin granule)의 단단한 가교 결합으로 장벽 형성 역할을 하는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손바닥과 발바닥 피부에 존재하며 엘레이딘(eleidin)으로 구성되어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투명층(stratum lucidum), 15∼20층의 케라틴(keratin)으로 구성되어 피부의 외곽에서 1차 방어막의 기능을 갖는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외부 유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손실 억제, 다양한 생화학물질 합성, 노폐물 배출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물리·화학·면역학적 측면에서 피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의 중간엽(mesenchyme)인 진피는 표피의 아래에 위치하며, 기저막에 의한 진피유두(papila of dermis)에서부터 시작된다. 진피는 콜라겐(collagen) 섬유의 밀도와 분포형태에 따라 2개의 층으로 구분되며, 낮은 밀도의 콜라겐 섬유가 불규칙한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두층(papilary layer)과 높은 밀도의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elastin) 가닥의 규칙적인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망상층(reticular layer)으로 구성된다. 진피는 피부의 구조, 강도, 유연성을 제공하여 표피 아래에서 지지체로 작용하고 모낭, 땀샘, 피지선, 혈관, 신경 및 감각수용체를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신체 활동을 수행한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진피를 형성하는 대표 세포로 결합조직의 사이를 채우고 있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생성하고 피부 재생과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피하 조직(subcutaneous tissue)은 피하 지방(subcutaneous fat) 이라고도 불리며 진피와 근육막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조직이다. 피부의 가장 아래에서 진피의 망상층과 명확한 구분 없이 존재하고 영양분과 에너지의 저장, 열 손실 방지 및 물리적 충격에 대한 완충제의 역할로 피부 아래 근육과 기관들을 보호한다. 피부는 위와 같은 대표적인 세 가지 층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의 상호 작용으로 피부 장벽 형성 및 인체 내부조직의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처리에 따라 각질형성세포 증식 또는 이주 유도, 콜라겐 세포 증식 또는 생합성 유도,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 등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피부 미백용 화장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KR 10-1772756 B1
본 발명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물봉선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침전물로부터 콘크리트(concrete)를 획득한 후, 콘크리트를 알코올에 용해시켜 불용성 왁스(wax)를 제거한 앱솔루트(absolute)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n-Hexadecanoic acid, 1-Eicosanol 또는 5-Eicos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각질형성세포 증식 또는 이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각질형성세포 내 표피 재형성, 콜라겐 세포 발아(sprout outgrowth) 또는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각질형성세포 내 ERK1/2, JNK, p38, AKT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멜라닌형성세포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멜라닌형성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멜라닌형성세포 내 MITF(microphthalmia-a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 억제, ERK1/2 인산화 억제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 재생 또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를 유도하며, 표피 재형성을 유도하고,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장벽 강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유도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HaCaT)에 대한 세포독성(도 2A)과 각질형성세포(HaCaT) 증식 효과(도 2B)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HaCaT) 이주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HaCaT) 내 표피 재형성 유도 과정 관련 콜라겐 세포 발아(sprout outgrowth)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HaCaT) 내 표피 재형성 유도 과정 관련 신호전달인자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B16BL6)에 대한 세포독성(도 7A)과 멜라닌형성세포(B16BL6) 증식 억제 효과(도 7B)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B16BL6)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를,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B16BL6)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B16BL6)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관련 신호전달인자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은 봉선화과 식물로 한의학 등에서 피부 감염 및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왔다. 물봉선 잎 추출물은 항종양, 항염증, 항소양제 및 항산화 효과가 알려져 있고, 꽃은 알레르기 예방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봉선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정유)은, 물봉선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침전물로부터 콘크리트(concrete)를 획득한 후, 콘크리트를 알코올에 용해시켜 불용성 왁스(wax), 비휘발성 지질성분 등을 제거한 앱솔루트(absolute)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바람직하게는 n-Hexadecanoic acid, 1-Eicosanol 또는 5-Eicos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계처리는 GraphPad Prism 5 Softwave(Graphpad)를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mean ± standard error mean(SEM)으로 처리하였으며, Student’s t test를 이용하여 P < 0.05의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식품학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증류법(steam distillation), 메서레이션(maceration), 용매추출법(solvent extraction), 냉침법(enfleurage), 압착법(expression), 초임계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마이크로파 추출법(microwave-assisted extraction), 아임계수추출법(subcritical water extraction)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에센셜오일의 화학적 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라서 분자의 개수와 입체 화학적 유형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서 알맞은 추출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기후와 토양, 식물의 부위 및 생육 단계에 따라 품질과 양, 구성 성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에센셜오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해서는 동일한 토양조건, 기후 및 계절 등에 대해서 철저한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 재생 또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하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 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콜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 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 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제조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용매추출법(solvent extraction)을 이용하여 앱솔루트(absolute)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건조하지 않은 물봉선(Impatiens textori) 꽃 4.05 kg을 헥산(n-hexane) 15 L에 침지시켜 물봉선 꽃 추출물을 제조한 후, 꽃을 제거하고 진공 냉각 필터(vacuum cooling filtration) 처리하였다.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evaporator; EYELA, Japan)를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하고 노란색의 고형 콘크리트(concrete)를 회수하였다. 콘크리트에 포함된 왁스(wax)와 비휘발성 지질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에틸알코올 1 L에 용해하여 -20 ℃에서 보관한 뒤, 진공 냉각 필터를 거쳐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였다. 회전식 감압농축기와 Speedback dryer(4 ℃)를 이용하여 에틸알코올을 완전히 제거하여 황녹색의 물봉선 꽃 에센셜오일을 제조하였다. 0.083 % 수율로 앱솔루트 타입의 에센셜오일 3.38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성분 분석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의 컬럼은 DB5-MS(30 m × 0.25 μm, 0.25μm)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로 헬륨을 1 mL/분으로 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 ℃-2 ℃/분-230 ℃-5 ℃/분-300 ℃(1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주입구 온도는 280 ℃로 설정하였다. 인터페이스의 온도는 290 ℃, 이온소스(ion source)의 온도는 230 ℃, 분석관의 온도는 150 ℃이고, 질량비정(Mass range) 50 ~ 800 m/z에서 분석하였다.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성분은 휘발 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time, RT)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과 일치하거나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 05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머무름 지수(retention index, RI)는 n-alkane(C8 ~ C37)을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성분분석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confidence 90 % 이상의 성분은 peak 3의 n-Hexadecanoic acid, peak 6의 1-Eicosanol, peak 8의 5-Eicosene로 확인되었다.
No. 성분명 RT RI Area
(%)
Confidence
(%)
Observed Literature
1 Geraniol 34.575 1249 1249 0.36 78
2 (Z)-hexadec-1-enoic acid 75.272 1959 1959 70.56 86
3 n-Hexadecanoicacid 75.847 1971 1984 13.06 95
4 2-Tridecenoic acid 76.308 1981 1966 0.50 53
5 Methyl icosa-1,14,17-trienoate 83.411 2136 - 6.37 87
6 1-Eicosanol 98.029 2489 2583 4.34 91
7 Methyl 4-hydroxyoctadecanoate 98.966 2516 2516 0.49 80
8 5-Eicosene 103.817 2694 - 2.88 96
9 1,22-Docosanediol 107.615 2891 2891 0.38 80
10 (+)-Longifolene 113.995 3316 3316 1.06 -
전체 동정율 (%) 100 -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성분분석 결과, confidence 90 % 이상의 성분은 n-Hexadecanoic acid (13.06 %), 1-Eicosanol (4.34 %), 5-Eicosene (2.88 %)으로 확인되었다. confidence 90 % 미만 성분의 RI 값은 n-alkane (C8 ~ C37)을 기준으로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도출하였으며, Adams 및 Kovats index법을 이용하여 literature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인간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 한국한의약진흥원에서 분양받았다. 10% fetal bovine serum (FBS; Merck Millipore, USA)과 1 % penicillin/streptomycin (P/S; Cytiva, MA)이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Inc., Korea) 배지에 배양하였다. 세포의 계대배양은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elgene inc., Korea)으로 세척 후 0.25% trypsin-EDTA (Gibco, USA)를 처리하여 세포를 탈착시켜 원심분리(500 × g) 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뒤, 새로운 배지와 배양 용기에서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96 well cell culture plate (Corning, USA)에 HaCaT 세포를 3 × 10³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각 well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미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Ez-cytox (DoGenBio, Korea)를 각 well에 30 ㎕/well 처리하고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multi-well plate read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A에서 보듯이, 50 μg/mL에서 178.83±13.11%, 100 μg/mL에서 233.65±11.06%, 200 μg/mL에서 331.78±8.30%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한편, 300∼500 μg/mL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500 μg/mL에서 44.86±4.94%로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세포 생존율이 확인되었다.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70% 이하로 관찰될 경우,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다른 효능 분석 시험 시 세포 독성에 의해 유의한 실험 결과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이하 실험에서는 물봉선 에센셜오일 1∼400 μg/mL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3>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각질형성세포 증식 효과
표피를 구성하는 주요 세포인 각질형성세포는 세포의 지속적인 증식을 통해 피부 장벽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피부 재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Cell proliferation은 DNA 합성, 대사 활성, 증식 관련 단백질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 가능하다. 그 중 Bromodeoxyuridine (BrdU) incorporation assay는 DNA 합성 과정에서 thymidine의 유사체인 uridine이 항체 probe로 작용하여 비색 반응을 통해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재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세포의 증식률을 측정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96 well cell culture plate (F-bottom, black, Corning, USA)에 HaCaT 세포를 3 × 10³ cells/well로 분주하여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에 물봉선 에센셜오일과 양성 대조군으로 종래에 상처치유 및 피부 재생에 활용되고 있는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함께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미처리군을 이용하였다. cell proliferation ELISA, BrdU kit (Roche, Germany)를 사용하여 각 세포에 BrdU labeling solutio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배지 제거 및 washing (DMEM, 10% FBS)하고 fix solution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이후, Anti-5-bromo-2-deoxyuridine (BrdU)-POD working solution을 처리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washing하고 substrate solution을 주입하여 luminomet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B에서 보듯이, EGF (50 ng/mL) 처리에 따라 241.68±6.55%의 증식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50 μg/mL에서 180.68±12.60%, 100 μg/mL에서 254.29±16.72%의 농도 의존적인 증식 유도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200 μg/mL에서 195.72±15.02%, 300 μg/mL에서 154.25±6.47%의 증식 유도가 확인되었다. 한편, 400 μg/mL에서는 49.21±8.49%의 증식 억제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4>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주 효과
세포의 이주는 표피 재형성, 상처 치유, 면역반응 등의 세포 생리적 활성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Microchemotaxis Boyden chamber는 세포 침습 및 이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방법으로, 미세 다공성 막으로 분리된 두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어 세포의 능동적인 이동을 평가한다.
8 ㎛ pore의 poly-carbonate membrane(Neuro Probe, USA)을 type Ⅰ collagen (Corning, USA)으로 상온에서 코팅한 후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48 well microchemotaxis Boyden chamber (Neuro Probe, USA)의 lower chamber에는 0.1 %의 bovine serum albumin (BSA; Sigma, USA)가 포함된 DMEM에 녹인 물봉선 에센셜오일과 양성 대조군인 EGF (1 ng/mL)를 각각 처리하고 그 위에 코팅한 membrane을 올렸다. 음성 대조군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미처리군을 이용하였다. Upper chamber를 조립 후 HaCaT 세포를 5 × 104 cells/50 ㎕/well씩 분주하고 3시간 30분 동안 37 ℃,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Dif-Quick (Kobe, Japan) solution을 사용하여 chamber에서 분리한 membrane의 cell 고정 및 염색을 진행하였고, 현미경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이주한 세포를 capture (× 20; Carl ZEISS microscopy) 및 counting 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EGF (1 ng/mL) 처리에 따라 360.69±14.54%의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50 μg/mL에서 239.31±8.01%, 100 μg/mL에서 307.51±1.53%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각질형성세포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200 ~ 400 μg/mL의 범위에서는 100 μg/mL에 비해 이주 유도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5>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collagen sprout outgrowth 효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 및 증식에 따른 표피 재형성 과정은 외부 유해 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보호에 필수적인 장벽을 형성하는데 중요하다. 인체의 피부는 세포-세포 및 세포-기질간의 결합을 통해 3차원적인 조직을 형성한다. 이는 세포와 세포간의 communication을 통한 세포 증식 및 분화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vitro 연구 모델에서는 이러한 조직형성에 대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in vivo 환경에서의 반응과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type Ⅰ collagen과 피부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하여 3차원 피부모델을 구축하고, 세포의 증식 및 이주를 확인하였다.
HaCaT 세포 2.5 × 107 cells/mL와 type Ⅰ collagen, 10 × DMEM (Sigma, USA) 및 1 N NaOH (pH 7.2)를 혼합하여 24 well cell culture plate(Corning, USA)에 spotting하고 건조한 뒤 DMEM을 넣고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HaCaT cell spot에 물봉선 에센셜오일과 양성 대조군으로 EGF (10 ng/mL)를 처리하여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iff-Quick solution을 사용하여 spot을 고정 및 염색하였고, 현미경(ZEISS, Germany)으로 capture 및 Image J software를 사용하여 sprout outgrowth를 분석 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3차원 collagen 표피 조직 모델에서 양성 대조군인 EGF (10 ng/mL)는 522.15±19.79%의 발아(sprout outgrowth)를 유도하였고,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10 μg/mL에서 119.21±3.49%, 50 μg/mL에서 147.37±7.19%, 100 μg/mL에서 311.62±25.40%로 농도 의존적으로 sprout outgrowth 유도 활성을, 200 μg/mL에서는 109.30±5.72%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도 2B, 도 3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 유도 활성을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3차원 표피 모델에서도 재확인되어 in vivo에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콜라겐 세포 발아(sprout outgrowth) 효과, 표피 재형성 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물봉선 에센셜오일이 각질형성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에 미치는 영향 확인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는 세포의 증식, 이동, 분화 등 세포의 생리생화학적 활성을 유도하며 ER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JNK (c-Jnk n-terminal kinase), p38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을 포함한다. PI3K/AKT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rotein kinase B)는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로 알려져 있어, 표피 재형성 유도 과정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이다.
Immuno-blotting은 항체를 활용하여 단백질 혼합물에서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기법으로, 세포 및 조직의 생리생화학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필수적인 기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특정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적용한 immuno-blotting assay를 통해 물봉선 꽃 에센셜오일이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 및 분화 유도 관련 신호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유도 관련 신호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HaCaT 세포를 10 mm cell culture dish (SPL, Korea)에 1 × 106 cells/mL/dish로 분주한 뒤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뒤, S-DMEM (serum free DMEM)을 이용하여 starvation을 진행하였다. HaCaT 세포에 물봉선 꽃 에센셜오일과 양성 대조군인 EGF (5 ng/mL)를 처리하였다. 이 후, radio immuno precipitation assay (RIPA; Cell signaling, USA)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4 ℃에서 17,000 × g,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단백질 60~120 μg/lane을 10~12 %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진행 후,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rck Millipore, USA) membrane으로 transfer시켰다. Membrane을 3% non-fat dry milk 및 5% BSA로 실온에서 blocking 하고 primary antibody로 ERK 1/2, p-ERK 1/2, JNK, p-JNK, AKT, p-AKT, p38, p-p38, MITF (Cell signaling, USA), tyrosinase (Santa cruz, USA), β-actin (Sigma, USA)을 1 : 1,000 ~ 5,000으로 희석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0.05 % Tween-20 (Sigma, USA)이 포함된 PBS (PBS-T)로 세척하고,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Cell signaling, USA)를 1 : 2,000~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PBS-T로 membrane을 세척하고 EzWestLumiOne (ATTO, Japan)을 처리한 후, chemiluminescence imaging system (LuminoGraph, ATTO, Japan)을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Quantity One software (Bio-Rad, USA)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각질형성세포 내 ERK1/2 신호전달 경로는 EGF에 의해 745.08±48.07%로 인산화가 유도되었으며,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 μg/mL에서 288.22±12.49%, 200 μg/mL에서 239.90±11.07%, 300 μg/mL에서 182.78±12.2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ERK1/2의 인산화 유도를 나타내었다.
JNK 신호전달 경로는 EGF에 의해 527.43±53.40%로 인산화의 유도가 확인되었으며,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200 μg/mL에서 322.59±11.64%, 300 μg/mL에서 281.00±7.52%로 유의하게 JNK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p38 신호전달 경로는 EGF에 의해 154.38±14.05%로 인산화가 유도되었으며,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 μg/mL에서 252.11±7.34%, 200 μg/mL에서 595.86±23.30%로 농도 의존적으로 인산화가 유도되었으며, 300 μg/mL에서 465.04±22.46%, 400 μg/mL에서 283.42±14.66%로 대조군보다 높은 p38 인산화 유도를 나타내었다.
AKT 신호전달 경로는 EGF에 의해 241.15±15.74%로 인산화가 유도되었고,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 μg/mL에서 174.69±17.84%, 200 μg/mL에서 221.65±10.69%로 농도 의존적으로 인산화가 유도되었으며, 300 μg/mL에서 196.76±2.23%, 400 μg/mL에서 157.48±7.70%의 AKT 인산화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7>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Type Ⅰ collagen은 인체에 존재하는 collagen 중 가장 풍부하고, type Ⅳ collagen은 기저층의 basement membrane에 다량 존재하여 피부 장벽 구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은 특이적 항체를 사용하여 표적 단백질의 생리생화학적 변화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이 가능하며, 민감도가 높은 실험 기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각질형성세포에서 물봉선 에센셜오일에 의한 type Ⅰ 및 type Ⅳ collagen synthesis 효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ELISA 기법을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를 10 mm cell culture dish에 분주한 뒤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 후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처리하고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배양액을 500 × g, 800 × g, 1,000 × g에서 각 10분간 원심분리하여 conditioned media (CM)을 확보하였다. 96 well black microtiter plate (F-bottom, black, Corning, USA)에 type Ⅰ 및 type Ⅳ collagen monoclonal antibody (Abcam, UK)를 2 μg/well씩 코팅 후 분리한 CM을 각각 분주하여 실온에서 90분간 반응하였다. PBS 세척 후 biotinylation된 type Ⅰ 및 type Ⅳ collagen polyclonal antibody (Abcam, UK)를 1 : 2,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avidin-HRP (Roche, USA)를 1시간 반응 시킨 뒤,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solution (Thermo Scientific, USA)을 처리하고 multi-well plate read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이용하여 각 collagen의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보듯이, type Ⅰ collagen은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에서 103.33±0.50%, 200 μg/mL에서 163.24±0.59%로 collagen 단백질 생합성이 유도되었으며, type Ⅳ collagen은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에서 109.20±8.35%, 200 μg/mL에서 220.47±9.10%로 collagen 단백질 생합성이 유도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200 μg/mL에서 type Ⅰ collagen과 type Ⅳ collagen의 생합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유도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물봉선 꽃 에센셜오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ECM과 basement membrane을 형성하는 주요 collagen 단백질의 생합성 유도 가능성을 암시하며, 표피 재형성에 효과적인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멜라닌형성세포 (B16BL6, Murine melanoma cell)는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공학연구센터에서 분양받았다. 10 % fetal bovine serum (FBS; Merck Millipore, USA)과 1% penicillin/streptomycin (P/S; Hyclone, USA)이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Inc., Korea) 배지에 배양하였다. 세포의 계대배양은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Welgene Inc., Korea)으로 세척 후 0.25% trypsin-EDTA (Gibco, USA)를 처리하여 세포를 탈착시켜 원심분리(500 × g) 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뒤, 새로운 배지와 배양 용기에서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96 well cell culture plate (Corning, USA)에 B16BL6 세포를 분주하고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B16BL6 세포에 2 % FBS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각 well에 처리하여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미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Ez-cytox (DoGenBio, Korea)를 각 well에 30 ㎕/well 처리하고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multi-well plate read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7A에서 보듯이, 물봉선 에센셜오일 1~200 μg/mL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지만, 300 μg/mL에서 56.97±2.41%, 400 μg/mL에서 55.56±4.05%로, 7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물봉선 에센셜오일이 3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하 실험에서는 물봉선 에센셜오일 1∼200 μg/mL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9>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물봉선 에센셜오일이 B16BL6 세포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96 well cell culture plate(F-bottom, black, Corning, USA)에 B16BL6 세포를 분주하여 37℃, 5%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B16BL6 세포에 2 % FBS와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함께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미처리군을 이용하였다. cell proliferation ELISA, BrdU kit(Roche, Germany)를 사용하여 각 세포에 BrdU labeling solutio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배지 제거 및 washing (DMEM, 10 % FBS)하고 fix solution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이후, Anti-5-bromo-2-deoxyuridine (BrdU)-POD working solution을 처리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washing하고 substrate solution을 주입하여 luminomet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B에서 보듯이, B16BL6 세포의 증식을 위해 사용된 2 % FBS는 236.46±7.55%의 증식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에서 87.61±3.65%, 100 μg/mL에서 26.46±1.22%, 200 μg/mL에서 17.00±0.38%로 대조군 대비 보다 B16BL6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200 μg/mL는 cell viability 측정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세포 독성에 의한 B16BL6 세포 증식 억제 효과라고 판단할 수 없으며, B16BL6 세포 basal level에서 세포 증식 억제를 의미한다.
<실험예 10>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합성 및 축적되는 멜라닌은 기미, 잡티, 주근깨, 색소 침착 같은 색소성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Tyrosinase는 멜라닌형성세포를 자극시켜 멜라닌을 생성하는 주요 효소이며, 멜라닌 생합성 및 억제 효능 비교의 지표로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세포 기반으로 물봉선 꽃 에센셜오일의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와 melanin 생합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B16BL6 세포를 60 mm cell culture dish (SPL, Korea)에 분주하고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B16BL6 세포에 α-MSH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Sigma, USA) 20 nM과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함께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PBS로 세척하고 lysis buffer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2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1 % Triton X-10)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10,000 ×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96 well ELISA plate (Corning, USA)에 상층액과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녹인 L-DOPA (2 mg/mL)를 37 ℃에서 반응시킨 후 multi-well plate reader (Synergy 2, Bio-Tek Ins.,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Bradford reagent (Bio-rad, USA)를 이용하여 tyrosinase의 total protein을 확인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고 남은 pellet에는 melanin lysis buffer (10% DMSO, 1 N NaOH)를 첨가하고 multi-well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Bradford reagent를 이용하여 melanin의 total protein을 확인하였다.
도 8A에서 보듯이, α-MSH는 멜라닌형성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341.45±7.13% 유도하였다. α-MSH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의 활성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 처리에 따라 억제되었으며, 100 μg/mL 처리 시 216.87±0.43%, 200 μg/mL 처리 시 36.90±6.23% 억제하였다.
도 8B에서 보듯이, 멜라닌형성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은 α-MSH에 의해 212.53±0.05% 유도되었다.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 처리에 따라 멜라닌 생합성이 억제되었으며,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 μg/mL 처리 시 62.66±0.00%, 200 μg/mL 처리 시 57.91±1.29% 억제하였다.
<실험예 11> 물봉선 에센셜오일의 멜라닌형성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에 미치는 영향 확인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는 멜라닌형성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 인자로, 멜라닌 생합성에 기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을 제어함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험예 6과 실험예10을 참조하여, 물봉선 에센셜오일이 α-MSH으로 자극된 멜라닌형성세포 내 MITF와 tyrosin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B16BL6 세포를 100 mm cell culture dish (SPL, Korea)에 분주한 뒤 37 ℃, 5 %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뒤, S-DMEM (serum free DMEM)을 이용하여 starvation을 진행하였다. B16BL6 세포에 2 % FBS가 포함된 α-MSH(Sigma)를 전처리 후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처리하였다. 이 후, radio immuno precipitation assay (RIPA; Cell signaling, USA)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4 ℃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단백질 60~120 μg/lane을 10~12%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진행 후,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rck, USA) membrane으로 transfer시켰다. Membrane을 3% non-fat dry milk 및 5% BSA로 실온에서 2시간 blocking 하고 primary antibody로 ERK 1/2, p-ERK 1/2, JNK, p-JNK, AKT, p-AKT, p38, p-p38, MITF(Cell signaling, USA), tyrosinase(Santa cruz, USA), β-actin(Sigma, USA)을 1 : 1,000~5,000으로 희석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0.05% Tween-20 (Sigma, USA)이 포함된 PBS (PBS-T)로 세척하고,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Cell signaling, USA)를 1 : 2,000~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PBS-T로 membrane을 세척하고 EzWestLumiOne (ATTO, Japan)을 처리한 후, chemiluminescence imaging system (LuminoGraph, ATTO, Japan)을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Quantity One software(Bio-Rad, USA)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도 9에서 보듯이, α-MSH에 의해 멜라닌형성세포 내 MITF는 120.52±6.29%로 발현이 유도되었고, α-MSH에 의해 유도된 MITF의 발현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10 μg/mL 처리 시 98.01±0.27%, 50 μg/mL 처리 시 89.19±2.27%, 100 μg/mL 처리 시 79.06±6.91%, 200 μg/mL 처리 시 50.07±5.31%로, MITF의 발현은 본 발명의 물봉선 에센셜오일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멜라닌형성세포 내 tyrosinase의 발현은 α-MSH에 의해 189.37±14.89%로 유도되었고, α-MSH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의 발현은 물봉선 에센셜오일 50 μg/mL 처리 시 134.13±5.87%, 100 μg/mL 처리 시 80.69±9.22%, 200 μg/mL 처리 시 59.54±6.60%로 억제되었다.
멜라닌형성세포는 α-MSH에 의해 ERK1/2의 인산화가 953.30±52.12% 유도되었으나, 물봉선 에센셜오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ERK1/2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특히 물봉선 에센셜오일 100 μg/mL 처리 시 349.43±41.94%, 200 μg/mL 처리 시 192.56±22.74%로 α-MSH에 의해 유도된 ERK1/2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Claims (14)

  1.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물봉선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침전물로부터 콘크리트(concrete)를 획득한 후, 콘크리트를 알코올에 용해시켜 불용성 왁스(wax)를 제거한 앱솔루트(absolute)인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n-Hexadecanoic acid, 1-Eicosanol 또는 5-Eicos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각질형성세포 증식 또는 이주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각질형성세포 내 표피 재형성, 콜라겐 세포 발아(sprout outgrowth) 또는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각질형성세포 내 ERK1/2, JNK, p38, AKT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 내 MITF(microphthalmia-a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 억제, ERK1/2 인산화 억제를 유도하는 것인,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2.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 재생 또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피부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
  14.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26086A 2022-02-28 2022-02-28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8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86A KR20230128779A (ko) 2022-02-28 2022-02-28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86A KR20230128779A (ko) 2022-02-28 2022-02-28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779A true KR20230128779A (ko) 2023-09-05

Family

ID=8797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86A KR20230128779A (ko) 2022-02-28 2022-02-28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7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56B1 (ko) 2015-08-31 2017-08-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56B1 (ko) 2015-08-31 2017-08-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229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KR101885501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KR20150116659A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40756A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128779A (ko) 물봉선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03732B1 (ko) 배향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57775B1 (ko) 참외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9551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2406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1125A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109221A (ko) 산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00040402A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5367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43076B1 (ko) Dna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특정 유전자 발현 억제, 후성유전학적 변이 조절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6799B1 (ko) 천연 복합 추출물 함유 피부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2034779B1 (ko)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364B1 (ko) 땅콩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10090778A (ko)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