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188A -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188A
KR20230127188A KR1020230110520A KR20230110520A KR20230127188A KR 20230127188 A KR20230127188 A KR 20230127188A KR 1020230110520 A KR1020230110520 A KR 1020230110520A KR 20230110520 A KR20230110520 A KR 20230110520A KR 20230127188 A KR20230127188 A KR 20230127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ear
motor
whee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86B1 (ko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
Priority to KR102023011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86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3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dismounted when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및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는, 바이크 차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바퀴, 상기 바퀴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바퀴와 상기 모터 사이에 설치되고 페달이 연결되며 주행 중 상기 모터 또는 페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카고; 상기 카고에 배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 장착 홀더; 및 기어 연결 상태를 조절하는 기어 연결 조절부와 연결되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모터 또는 페달에 대한 기어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전기동력주행모드, 수동주행모드 및 겸용주행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주행 및 정차 중 충전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 또는 상기 페달 및 기어 사이의 연결에 대해 연결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는 상기 프레임 내부의 전력선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CARGO BIKE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SELF-GENERATION CONTROL METHOD WHILE DRIVING THEREOF, BATTERY EXCHANGE STATION}
본 발명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카고 바이크에 대한 것으로, 특히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입니다.
전기 자전거에 충전가능한 배터리 팩을 가역적으로 커플링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기 자전거의 모터를 구동할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의 무게만 감당하면 족하여 작은 배터리 팩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구동이 가능하지만 카고 바이크와 같이 별도의 카고를 두고 상기 카고에 많은 양의 짐을 싣게 될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여 작은 배터리 팩만으로는 구동이 충분하지 않거나 주행 거리가 매우 짧아지게 된다.
특히, 전기 자전거의 충전식 배터리는 용량이 적어 주행거리가 짧으므로 일정 거리 이상 주행하기 어려우며 여기에 카고의 무게와 카고에 실린 무게의 양까지 더해지면 실질적으로 주행하기 어려워 수동 페달링을 이용한 일반 자전거와 다를 바가 없게 된다.
다만,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킬 정도로 큰 배터리 팩을 설치할 경우 배터리 팩 자체의 무게에 의해 필요한 전력 양이 더 증가하게 되는 바 배터리 팩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배터리 팩의 크기를 크게 키우지 않으면서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킬 정도로 충분한 전원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특허문헌 1) KR1020170078666 A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차 중은 물론이고 관성주행 중에도 바퀴를 역방향 페달링하면 자가발전 된 에너지를 획득함으로써 카고 내에 장착된 교체형 배터리가 실시간 충전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는, 바이크 차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바퀴, 상기 바퀴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바퀴와 상기 모터 사이에 설치되고 페달이 연결되며 주행 중 상기 모터 또는 페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카고; 상기 카고에 배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 장착 홀더; 및 기어 연결 상태를 조절하는 기어 연결 조절부와 연결되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모터 또는 페달에 대한 기어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전기동력주행모드, 수동주행모드 및 겸용주행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주행 및 정차 중 충전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 또는 상기 페달 및 기어 사이의 연결에 대해 연결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는 상기 프레임 내부의 전력선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및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 및 기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를 통해서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부착되면 부착된 교체형 배터리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양방향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인버터 및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의 중앙에 배치되거나,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의 좌우에 대칭되게 배치된 배터리 장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착석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교체형 배터리를 커버하고 상부에 평평한 면을 배치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터는 상기 바퀴의 중심축 내부에 설치된 인휠모터이거나, 또는 상기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에 연결된 별개의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은, 바퀴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바퀴와 상기 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된 모터 또는 페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와, 상기 모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카고를 포함하는 카고 바이크에서, 모터와 기어 또는 페달과 기어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여 모터로부터 전달 받은 제1 동력 또는 페달로부터 전달받은 제2 동력을 기어를 통해 바퀴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고 바이크가 주행하는 주행단계; 및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내리막길 주행을 검출하도록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 및 기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를 통해서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주행 중 발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고 바이크가 정차 중인 경우,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카고 바이크가 주행 중일 때는 물론 정차 중일 때도 자가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상술한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량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과, 검출된 상기 배터리 충전량에 대응하는 요금을 산정요금 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형 배터리를 방전된 다른 배터리와 교환해주는 배터리 교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제어부에 의해 바퀴 및 기어간 연결 또는 페달 및 기어간 연결이 차단된 동안 교체형 배터리의 SOC 변동 값을 측정하여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고 바이크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SOC 값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다. 부가적인 충전 수단에 따른 자가발전 충전량을 측정하여 충전량만큼의 금전 또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교환 장치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방전된 배터리일 경우 상기 카고 바이크의 방전된 배터리를 이미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해줄 수 있다. 즉, 배터리 교환 장치는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교체형 배터리를 방전된 배터리와 교환해줄 수도 있고, 카고 바이크의 동력으로 모두 방전된 교체형 배터리를 완충된 배터리와 교환해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차 중은 물론이고 관성주행 중에도 역방향 패달링을 수행하면 모터의 자가발전이 가능하여 한정된 배터리 용량으로도 충분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또는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를 방전된 배터리와 교환함으로써 자가발전으로 획득한 에너지에 대응하는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고, 제3 사용자는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어 열악한 환경의 사용자에게 생계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다른 사용자 공급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주행 또는 정차 중의 제1 충전 모드 또는 제2 충전 모드에 따라 각 구성연결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카고 및 배터리 장착 홀더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교체형 배터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배터리 교환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형태 및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는, 바이크 차체 프레임(303), 상기 프레임(303)에 설치된 바퀴(301)와, 상기 바퀴(301)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에 연결되는 모터(302)와, 상기 바퀴(301)와 상기 모터(302) 사이에 설치되고 페달(304)이 연결되며 주행 중 상기 모터(302) 또는 페달(30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305)를 구비한 본체부(300), 상기 본체부(300)의 전면부에 설치된 카고(400), 상기 카고(400)에 배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 장착 홀더(200) 및 기어 연결 상태를 조절하는 기어 연결 조절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모터(302) 또는 페달(304)에 대한 기어(305)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전기동력주행모드, 수동주행모드 및 겸용주행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주행 및 정차 중 충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기어(305) 및 상기 바퀴(301) 사이의 연결 또는 상기 페달(304) 및 기어(305) 사이의 연결에 대한 연결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는 상기 프레임(303) 내부의 전력선(306)을 통해 상기 모터(30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바이크를 지지 및 구성하는 바이크 차체 프레임(303), 상기 프레임(303) 하부에 설치된 바퀴(301), 상기 바퀴(301)에 연결되며 바이크 주행을 위해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의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하여 상기 바퀴(30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2), 및 상기 바퀴(301)와 상기 모터(302) 사이에 설치되고 페달(304)이 연결되며, 주행 중 상기 모터(302) 또는 페달(30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305)를 구비한 본체부(300), 상기 본체부(300)의 전면부에 설치된 카고(400), 상기 카고(400) 내부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 장착 홀더(200), 및 상기 모터(3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는 상기 모터(302)와 전력선(306)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및 정차 중에 수행되는 수동 페달링에 의해 상기 모터(302)를 구동시켜 자가 발전된 에너지로 실시간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305)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및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기어(305) 및 상기 바퀴(301)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 전부가 상기 모터(302)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고 바이크의 내리막길 주행을 검출하도록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305)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304) 및 기어(305)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301)에 의한 회전력 전부가 기어(305)를 통해서 상기 모터(302)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페달링으로 자가발전을 수행하는 충전모드는 제1 충전 모드 및 제2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정차 상태 및 주행 상태 모두에서 수행 가능하다.
상기 충전모드들은 주행 상태에서 수행 가능하며, 상기 주행 상태는 모터(302) 동력에 의한 동력 주행은 포함되지 않으며, 모터(302)나 정방향 수동 페달링 없는 상태에서 주행하는 관성 주행 상태를 의미한다. 즉, 동력 주행시에는 자가발전되지 않고, 관성 주행 시, 역방향 페달링으로 자가발전 가능하며, 정차 중에도 역방항 페달링으로 자가발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0)는 바퀴(301), 모터(302), 카고 바이크의 구조를 지탱하는 프레임(303), 수동 페달링에 의해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키는 페달(304), 체인을 통해 크랭크에 결합된 기어들을 구비한 기어(3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들(311), 안장 등의 다른 카고 바이크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자전거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2)가 전기 에너지를 바퀴(301)에 전달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는 바퀴(30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받아 구동되어 교체형 배터리(100)에 전달하고, 모터(302)와 교체형 배터리(100)가 전력선(306)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2) 외에 상기 바퀴(30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302) 및 발전기가 전력선(306)을 통해 교체형 배터리(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더하여, 모터(302)는 상기 바퀴의 중심축 내부에 설치된 인휠모터이거나, 또는 상기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에 연결된 별개의 모터일 수 있으며, 또는 발전기와 전동기를 함께 수행하는 구동 모터일 수 있으며 또는 회생 발전이 가능한 인휠 모터일 수 있다.
도 1은 앞쪽 바퀴(301)가 카고(400)보다 앞에 배치된 이륜 카고 바이크이며, 도 2는 앞쪽 바퀴들(301)이 카고(400)의 측면에 배치된 삼륜 카고 바이크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이륜 또는 삼륜으로 구성된 전기 카고 바이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륜 이상으로 구성된 전기 카고 바이크일 수 있다. 더 안정적으로 짐과 교체형 배터리(1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고 바이크는 수동 페달링에 의해 바퀴(301)를 회전시키는 수동 방식 및 교체형 배터리(100)에 의해 에너지를 인가 받은 모터에 의해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 구동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추진력을 낼 수 있다.
즉, 수동으로 페달(304)을 돌려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키는 수동 방식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302)를 구동하고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키는 전동 방식을 모두 구비한 하이브리드 카고 바이크일 수 있으며, 수동 방식과 전동 방식 각각을 구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동 방식 및 전동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카고 바이크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302)를 구동하면서도 주행 또는 정지 중에 페달(304)를 수동 페달링하여 생성된 회전 에너지를 자가발전하여 모터(302) 또는 발전기로 전달함으로써 모터(302) 구동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모터(302)와 바퀴(301) 사이에 연결 설치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기계장치나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의 동력전달수단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기어열, 체인과 스프로킷, 벨트와 풀리, 클러치부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로서 기어(305)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터(302) 또는 발전기와 교체형 배터리(100)는 프레임(303) 내부에 배치된 전력선(306)을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302)의 회전력을 바퀴로 직접 전달하여 구동하고 제어부(310)에 의해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모터(302)가 발전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구동 모터임을 가정하고 서술한다.
바퀴가 3개 이상인 3륜 이상의 카고 바이크의 경우 별도의 바퀴 지지대 없이도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가지는 바, 바퀴 지지대 없이도 넘어질 염려 없이 역방향 페달링을 수행하여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브레이크를 잡은 정차 상태에서 제어부(310)가 바퀴(301) 및 기어(305)의 연결을 차단한 상태에서 역방향 페달링이 됨으로써 바퀴(301)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도 페달(304)에 의한 회전력이 바퀴(301)로 전달되지 않아 고정된 상태에서 페달링 수행이 가능하며, 페달(304)에 의한 회전력이 모터(302)로 전달되어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주행 동력 전달 방향과 역방향으로 페달링시 동력이 바퀴(301)에 전달되지 않는 중립 모드 구조이며, 정차 중 발전을 위해 주행 동력 전달 방향과 역방향으로 페달(304)을 페달링하면 바퀴(301)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모터(302)를 구동시켜 교체형 배터리(100)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자가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300)는 상기 프레임(303) 하부에 설치된 바퀴 지지대와, 체인을 통해 크랭크에 결합된 기어의 조합을 변화시키는 기어(30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바퀴 지지대에 의해 상기 카고 바이크가 고정된 정지 상태에서 상기 기어가 중립 모드로 설정되고 주행 동력 전달 방향과 동일한 정방향으로 수동 페달링되면 상기 수동 페달링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가 상기 모터(302)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정방향 페달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페달(304)에 의한 회전력이 바퀴(301)에 전달될 수 밖에 없는 바, 바퀴 지지대를 프레임(303)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며, 프레임(303) 및 바퀴 지지대의 연결부에서 지면까지의 수직 길이보다 바퀴 지지대의 길이가 더 길어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바퀴 지지대를 지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퀴(301)가 공중에 뜨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방향 페달링에 의해 바퀴(301)에도 회전력이 전달되지만 위치 이동하지 않은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모터(302)에도 회전력이 전달되어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고 바이크 정차 후 브레이크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기어를 중립 모드로 둘 경우 정방향 페달링을 통해서도 동력이 바퀴(301)에도 전달되고, 모터(302)에도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정방향 페달링을 하여 동력을 모터(302)에 전달하고 이를 전력선(306)을 통해 교체형 배터리(100)로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중에는 자가발전을 통한 교체형 배터리(100) 충전을 진행할 수 없고 정차 중에만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륜 이상의 카고 바이크에서 바퀴 지지대 없이 제어부(310)에 의해 기어(305) 및 바퀴(301)간 연결을 제어하여 수동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에너지 자가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전체 구성 및 그에 따른 신호와 힘의 전달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2)는 교체형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전달장치인 기어(305)를 통해 바퀴(30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또는 모터(302)는 기어(305)에 연결된 페달(304)의 수동 역방향 페달링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교체형 배터리(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302)에 송신함로써 모터(302)의 구동 또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제동부(309)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동부(309)가 제동신호를 받으면 바퀴(301)에 제동력이 생기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동부(309)가 제동신호를 받아 카고 바이크가 정지하게 되면 카고 바이크의 정차 또는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고 교체형 배터리(100)가 충전될 수 있도록 기어를 중립 모드로 변경하는 등 충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기어(305)에 송신함으로써 기어(305)와 페달(304)간의 연결, 또는 기어(305)와 바퀴(301)간의 연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 주행 상태로 제1 충전 모드가 가능한 상황임을 제어부(310)가 감지하면 제1 충전 모드를 실행하면서 바퀴(301) 및 기어(305)간의 연결을 해제하여 페달(304)에 의한 역방향 페달링의 회전력이 모터(302)로만 전달되도록 하고, 모터(302)의 자가발전 에너지를 전력선(306)을 통해 교체형 배터리(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정방향 페달링 이후 사용자가 역방향 페달링을 수행하면 제어부(310)가 제1 충전 모드라고 감지하여 상술한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리막길 또는 감속시 회생발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충전 모드가 가능한 상황임을 제어부(310)가 감지하고 제2 충전 모드를 실행하면서 페달(304) 및 기어(305)간의 연결을 해제하고 바퀴(301)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으로부터 회생발전을 수행하여 기어(305)를 통해 모터(302)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302)의 자가발전 에너지를 전력선(306)를 통해 교체형 배터리(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기울기 센서를 통해 내리막길임을 감지하거나, 제동부(309)에 연결된 브레이크의 제동 신호를 통해 제어부(310)가 제2 충전 모드 진행 가능 상황임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어부(310)가 제동부(309)의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면 바퀴회전동력이 페달(304)에 전달되지 않게 바퀴(301) 및 페달(304)은 연결하는 기어(305)를 변경하여 페달(304)은 일정 위치에 고정하고 회생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전 모드 및 제2 충전 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힘이 분산될 수 있다.
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차 중에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동부(309)가 바퀴(301)을 고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도 4(a)와 동일한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가 구성 간 연결을 차단하고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305)는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302) 회전축에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연결되고, 바퀴(301)에는 제2 기어와 제3 기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는 모터(302)와 바퀴(301)를 연결하는 기어, 제2 기어는 모터(302)와 페달(304)을 연결하는 기어, 제3 기어는 페달(304)과 바퀴(301)를 연결하는 기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들의 위치 변경을 통해 각 동력원인 모터(302) 또는 페달(304)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기도 하고, 차단하기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성 주행에 따라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때 제1 기어의 위치를 변경하여 바퀴 회전이 모터(30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기어의 연결을 통해 페달(304)의 역방향 페달링을 통한 회전력을 모터(302)에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제1 충전 모드에서 바퀴(301) 및 기어(305)간의 연결을 해제한다는 것은 바퀴(301)와 페달(304), 바퀴(301)와 모터(302)를 연결하는 기어(305)의 제3 기어, 제1 기어의 위치를 옮겨 바퀴(301)의 동력이 모터(302)나 페달(304)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는, 제2 충전 모드에서 페달(304) 및 기어(305)간의 연결을 해제한다는 것은 바퀴(301)와 페달(304), 모터(302)와 페달(304)를 연결하는 기어(305)의 제3 기어, 제2 기어의 위치를 옮겨 페달(304)에 의한 역방향 페달링 동력이 모터(302)나 바퀴(301)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바이크의 핸들(311)의 조작 방향이나 브레이크 눌림 여부 등을 전달 받아 결정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종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312)의 정보를 전달 받아 결정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태표시창(312)은 교체형 배터리(100)의 상태, 현재 주행 중인지, 주행 중이라면 오르막 주행 중인지, 오프로드 주행 중인지 등에 따라 설정된 운전 모드, 속도 또는 바퀴의 rpm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이나 카고 바이크 상태를 감지하고 각종 경고를 알림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교체형 배터리(100)와 함께 보조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어 일반 자전거에 비해 무게가 나가는 카고 바이크도 충분한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의 카고 및 배터리 장착 홀더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부착되면 부착된 교체형 배터리(100)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양방향 인버터(230)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인버터(230) 및 상기 전력선(306)을 통해 상기 모터(30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200)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의 중앙에 배치되거나,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의 좌우에 대칭되게 배치된 배터리 장착 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장착 홀(210)이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중앙에서 분리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의 좌우가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복수의 교체형 배터리(100)가 대칭되게 분리장착될 수 있어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착석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커버하고 상부에 평평한 면을 배치한 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바이크의 전면부, 즉 핸들(311)의 앞에 설치된 카고(400) 내부에 의자 겸 배터리를 장착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200)를 배치할 수 있다. 배터리 장착 홀더(200)는 카고(40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교체형 배터리(100)를 집어 넣을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을 의자로서 활용하기 위해 카고(400) 바닥부와 단차가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방향(B)과는 반대 방향인 A 방향으로 교체형 배터리(100)를 슬라이딩 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형 배터리(100)를 A 방향으로 장착시킨 후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 장착 홀더(200)는 교체형 배터리(100)의 배터리 장착 방향이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인 A 방향으로 되어 있는 바, 카고 바이크가 가속 주행되더라도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관성에 의해 배터리 장착 홀더(200)와 더 강하게 결합하여 안정적인 배터리 장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 홀더(200)에 대해 A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교체형 배터리(100)의 장착 홀(210)을 설치하여, 배터리 무게에 의해 카고 바이크 및 카고(400)의 무게 중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짐과 함께 교체형 배터리(100)의 무게를 부담하게 하여 전체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장착 홀더(200)에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삽입 장착되도록 중앙에 장착 홀(210)을 가지는 배터리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교체형 배터리(100)가 배터리 장착 홀더(200) 중앙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밀어 넣을 수 있게 양쪽에 한 쌍의 배터리 장착 홀(210)을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카고(400) 외부의 좌우측에 배터리 장착 홀더(2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가 복수 개 설치될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배터리 장착 홀(210)은 서로 대향되도록 외측을 개방하고, 상하로 다단을 이루는 복수의 배터리소켓부 및 상기 배터리소켓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터리 장착 홀더(200)의 양측면과 마주하여 일치하는 노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100)의 내부 구성을 투시하는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102)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태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BMS(101)를 포함하는 복수의 교체형 배터리(100)는, 배터리 장착 홀더(200)와 탈부착되도록 일단에 전력선(306)이 통과하는 플러그인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100)는, 배터리 장착 홀더(200)에 대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태의 케이스(11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터리 셀, 슬레이브 BMS(1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과 슬레이브 BMS(101)를 케이스(110) 내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구성을 일체로 둘러쌓게 배치한 고정프레임(120)을 통해 상기 구성을 함께 고정할 수 있고, 슬레이브 BMS(101)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설치된 배터리랙에 구비된 마스터 BMS와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 상태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 셀(102)이 적층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102)를 고정하는 배터리 홀더(103) 일측에 상기 배터리 상태를 제어하고 측정하는 슬레이브 BMS(101)가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교체형 배터리(100)의 일단에 연결된 플러그인 커넥터(140)를 배치하여 교체형 배터리(100)를 카고 바이크의 모터(302) 등과 연결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40)의 케이스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일측에, 배터리 셀(102)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릴레이 어셈블리 또는 스위치 릴레이(10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셀(102), 슬레이브 BMS(101), 릴레이 어셈블리 또는 스위치 릴레이(104) 및 플러그인 커넥터(140)가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의 구성을 둘러쌓아 볼트를 통해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20)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 일체를 케이스(110) 내부에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부품 교체를 위해 케이스(110) 내부에서 용이하게 구성 부품을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케이스(110)를 들고 이동하며 플러그인 커넥터(140)로 배터리 장착 홀더(200) 뿐만 아니라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설치된 배터리랙 등 다양한 대상에 연결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는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200)와 접촉되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의 모서리부 또는 상하부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범퍼(미도시) 및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40)가 설치된 일측의 반대편에 설치된 손잡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교체형 배터리(100)의 손잡이(130)를 들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모서리부 또는 상하부면에 위치한 범퍼에 의해 교체형 배터리(100) 연결을 위해 배터리 장착 홀더(200)에 인입시킬 때 장치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부드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범퍼는 외부 장치와 접촉될 때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배터리 장착 홀더(200)에 대해 레일 역할을 수행하여 교체형 배터리(100)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범퍼는 MC 나일론 또는 아세탈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청구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하여,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의 케이스(110) 외부에는 배터리 잔량 표시창 등을 더 배치하여, 교체형 배터리(100)의 위아래를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교체형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100)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7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700)은 바퀴(301)에 연결된 모터(302)와, 상기 바퀴(301)와 상기 모터(302)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된 모터(302) 또는 페달(30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305)와, 상기 모터(302)로 동력을 전달하는 교체형 배터리(1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카고(400)를 포함하는 카고 바이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2)와 기어(305) 또는 페달(304)과 기어(305)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여 모터(302)로부터 전달 받은 제1 동력 또는 페달(304)로부터 전달받은 제2 동력을 기어(305)를 통해 바퀴(30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고 바이크가 주행하는 주행단계(S7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305)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기어(305) 및 상기 바퀴(301)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 전부가 상기 모터(302)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내리막길 주행을 검출하도록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304) 및 기어(305)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301)에 의한 회전력 전부가 기어(305)를 통해서 상기 모터(302)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주행 중 발전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중 제어부(310)가 바퀴(301), 페달(304), 모터(302)간 연결을 제어하여 주행 중에도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고 바이크가 정차 중인 경우, 상기 기어(305)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730).
이는 기능적으로 단계를 분류한 것으로 숫자에 따라 순서대로 상기 단계가 진행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교체형 배터리(100)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방전된 다른 배터리와 교환해주는 배터리 교환 장치(800)를 포함하는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교환 장치(800)는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의 배터리 충전량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810)과, 검출된 상기 배터리 충전량에 대응하는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산정 모듈(8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제어부(100)에 의해 바퀴(301) 및 기어(305)간 연결 또는 페달(304) 및 기어(305)간 연결이 차단된 동안 교체형 배터리(100)의 SOC 변동 값을 측정하여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교환 장치(800)는 검출 모듈(810)과 요금 산정 모듈(820)에 의한 대가 지급이 완료되면 방전된 배터리 또는 완충되거나 충전된 다른 배터리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교환해주는 교환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상기 카고 바이크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SOC 값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교환 장치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방전된 배터리일 경우 상기 카고 바이크의 방전된 배터리를 이미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장치는,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교체형 배터리(100)의 과금방법으로, 교체형 배터리(100)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에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다른 배터리와 교환해주는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에서, 교체될 교체형 배터리(100)의 배터리상태정보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배터리 상태검출단계, 상기 배터리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교체형 배터리의 수명등급을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수명등급을 관리서버에 저장관리하는 수명등급 산정단계 및 회수된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 사용량 및 배터리 수명등급과, 교환될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수명등급을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충전요금을 산정하는 요금산정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 상태검출단계에서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및 정차 중에 수행되는 수동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요금산정단계에서 상기 교체형 배터리(100)를 이미 완충되었거나 충전 중인 다른 배터리로 교환할 경우 다른 배터리와 교체형 배터리(100)의 SOC 차이 값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량에 대응하는 대가를 지급하거나 또는 상기 대가를 제외한 만큼의 충전요금을 산정하며, 또는 상기 요금산정단계에서 상기 교체형 배터리를 방전된 배터리로 교환할 경우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SOC 값을 고려하여 상기 SOC 값에 대응하는 대가를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가는 포인트 지급이나 현금 페이백이 될 수 있으며, 또는 교환될 배터리의 충전요금에서 SOC 차이 값만큼 할인된 것으로 지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방전된 교체형 배터리(100)를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하고 충전 요금을 지불하거나, 또는 거의 방전되었으나 자가발전으로 일부 충전된 교체형 배터리(100)를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하여 충전된 SOC 값만큼 할인된 충전 요금을 지불하거나, 또는 자가발전으로 완충된 교체형 배터리(100)를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반납하고 포인트 또는 현금을 지급받은 후 방전된 배터리를 가져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카고 바이크 운행을 위해 완충된 배터리가 필요한 사용자는 손쉽게 완충된 배터리를 가져가서 사용할 수 있으며, 운동 하거나 돈을 지급받고 싶은 사람은 방전된 배터리를 가져가서 자가발전으로 충전시킨 후 가져올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구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명등급 산정 단계는, 교체형 배터리에 대한 충전 이력, 방전 이력, 현재 SOC 값, 배터리의 전압, 온도 및 내부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체형 배터리 수명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고 바이크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상태검출단계에서 상기 카고 바이크의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검출하며, 상기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교환될 배터리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태양광 패널에 의해 충전된 SOC 차이 값을 고려하여 충전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고(400)의 상부 또는 카고 바이크 프레임(303) 일부에 태양광 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부를 두어 설치할 수도 있다.
태양광 패널로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302)를 구동시켜 교체형 배터리(10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은, 상술한 카고 바이크의 배터리 교환 및 과금 방법에 따라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를 회수하고 대가를 정산 해주거나, 상기 카고 바이크의 방전된 배터리를 이미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해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도심 곳곳에 자전거 충전소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손쉽게 카고 바이크를 이용하고 카고 바이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충전이 쉽지 않은 오지에서 전기 충전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지급 받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이동 수단을 생계 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이 밝히는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치환 또한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준한다.
100: 교체형 배터리 101: 슬레이브 BMS
102: 배터리 셀 103: 배터리 홀더
104: 스위치 릴레이 110: 케이스
120: 고정프레임 130: 손잡이
140: 플러그인 커넥터 200: 배터리 장착 홀더
210: 장착 홀 220: 지지부재
230: 양방향 인버터
300: 본체부 301: 바퀴
302: 모터 303: 바이크 차체 프레임
304: 페달 305: 기어
306: 전력선 309: 제동부
310: 제어부 311: 핸들
312: 상태표시창 400: 카고

Claims (12)

  1.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로서,
    바이크 차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바퀴, 상기 바퀴와 상기 교체형 배터리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바퀴와 상기 모터 사이에 설치되고 페달이 연결되며 주행 중 상기 모터 또는 페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카고;
    상기 카고에 배치되며,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 장착 홀더; 및
    기어 연결 상태를 조절하는 기어 연결 조절부와 연결되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모터 또는 페달에 대한 기어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전기동력주행모드, 수동주행모드 및 겸용주행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주행 및 정차 중 충전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 또는 상기 페달 및 기어 사이의 연결에 대해 연결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는 상기 프레임 내부의 전력선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및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 및 기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를 통해서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부착되면 부착된 교체형 배터리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양방향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인버터 및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의 중앙에 배치되거나,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의 좌우에 대칭되게 배치된 배터리 장착 홀을 포함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착석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교체형 배터리를 커버하고 상부에 평평한 면을 배치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바퀴의 중심축 내부에 설치된 인휠모터이거나, 또는 상기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에 연결된 별개의 모터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8. 바퀴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바퀴와 상기 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된 모터 또는 페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와, 상기 바퀴, 모터, 페달 중 적어도 하나와 기어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카고를 포함하는 카고 바이크에서,
    모터와 기어 또는 페달과 기어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여 모터로부터 전달 받은 제1 동력 또는 페달로부터 전달받은 제2 동력을 기어를 통해 바퀴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카고 바이크가 주행하는 주행단계; 및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바퀴회전 동력은 차단되고 역방향 페달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카고 바이크의 내리막길 주행을 검출하도록 상기 카고 바이크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기어의 속도가 감속하는 경우 상기 페달 및 기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바퀴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를 통해서 상기 모터에 전달되게 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주행 중 발전단계;를 포함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바이크가 정차 중인 경우, 상기 기어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역방향 페달링을 감지하면 제1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의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량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과, 검출된 상기 배터리 충전량에 대응하는 요금을 산정요금 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형 배터리를 방전된 다른 배터리와 교환해주는 배터리 교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카고 바이크의 제어부에 의해 바퀴 및 기어간 연결 또는 페달 및 기어간 연결이 차단된 동안 교체형 배터리의 SOC 변동 값을 측정하여 역방향 페달링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측정하는,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바이크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충전된 배터리 충전량을 상기 교체형 배터리의 SOC 값을 고려하여 측정하는,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환 장치는 상기 교체형 배터리가 방전된 배터리일 경우 상기 카고 바이크의 방전된 배터리를 이미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해주는,
    카고 바이크용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20230110520A 2021-06-14 2023-08-23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260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520A KR102603786B1 (ko) 2021-06-14 2023-08-23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855A KR102577537B1 (ko) 2021-06-14 2021-06-14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20230110520A KR102603786B1 (ko) 2021-06-14 2023-08-23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855A Division KR102577537B1 (ko) 2021-06-14 2021-06-14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188A true KR20230127188A (ko) 2023-08-31
KR102603786B1 KR102603786B1 (ko) 2023-11-17

Family

ID=845366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855A KR102577537B1 (ko) 2021-06-14 2021-06-14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20230110520A KR102603786B1 (ko) 2021-06-14 2023-08-23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855A KR102577537B1 (ko) 2021-06-14 2021-06-14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75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01B1 (ko) * 2009-06-08 2009-08-21 주식회사 삼현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제어방법
JP2010191636A (ja) * 2009-02-17 2010-09-02 Doken:Kk 電動装置の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WO2012035682A1 (ja) * 2010-09-16 2012-03-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
CN203439194U (zh) * 2013-09-07 2014-02-19 李富年 一种载人载物电动车
JP2019108105A (ja) * 2017-12-20 2019-07-04 株式会社シマノ 駆動システム
CN209126886U (zh) * 2018-09-19 2019-07-19 陕西光德分布式电站技术有限公司 电动三轮车用太阳能光伏装置和移动电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636A (ja) * 2009-02-17 2010-09-02 Doken:Kk 電動装置の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KR100913501B1 (ko) * 2009-06-08 2009-08-21 주식회사 삼현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제어방법
WO2012035682A1 (ja) * 2010-09-16 2012-03-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
CN203439194U (zh) * 2013-09-07 2014-02-19 李富年 一种载人载物电动车
JP2019108105A (ja) * 2017-12-20 2019-07-04 株式会社シマノ 駆動システム
CN209126886U (zh) * 2018-09-19 2019-07-19 陕西光德分布式电站技术有限公司 电动三轮车用太阳能光伏装置和移动电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32A (ko) 2022-12-21
KR102603786B1 (ko) 2023-11-17
KR102577537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5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t a charging station
CN202089202U (zh) 以蓄电池组为电源的电动车
CN201998815U (zh) 电动车以及电动车与电动工具的组合构成
US8694185B2 (en)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US20080023234A1 (en) Self controlled, electric powered trailer
JP5759012B2 (ja) 自動二輪車及び該自動二輪車の駆動方法
US20100151989A1 (en) Hydraulic-Electric Regenerative Energy Storage System
JP6195835B2 (ja) 電動トロリー
CN102627133A (zh) 两轮电动车
JP5572722B2 (ja) 電動自転車に対する電源配置
CN106005221A (zh) 电动自行车的多模式驱动方法及多模式驱动的电动自行车
JP2019087247A (ja) 動力源付きリーン車両用シェアリング管理装置及び動力源付きリーン車両用シェアリング管理方法
CN101962033A (zh) 新型电动牵引车
CN103457309B (zh) 电动车辆中的电力供给装置
JP2010200551A (ja) モータ駆動可能な自動車のエネルギー回生システム
KR101203387B1 (ko) 전기 자전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77537B1 (ko)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된 카고 바이크 및 주행 중 자가발전 제어 방법, 배터리 교환 시스템
JP2001045606A (ja) 電動車両
KR101257666B1 (ko) 운송 수단용 전기 트레일러
CN113320636B (zh) 人力驱动车用控制装置
CN107253508B (zh) 一种轻量化自行车动力改装套件及其改装控制方法
CN212861773U (zh) 一种自动充电电动自行车
US20120025963A1 (en) Vehicle using mo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09100849A4 (en) Portable Power and Control Pack
KR101963697B1 (ko) 장거리 여행을 위한 자전거용 하이브리드 자주식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