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632A -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632A
KR20230126632A KR1020220148277A KR20220148277A KR20230126632A KR 20230126632 A KR20230126632 A KR 20230126632A KR 1020220148277 A KR1020220148277 A KR 1020220148277A KR 20220148277 A KR20220148277 A KR 20220148277A KR 20230126632 A KR20230126632 A KR 2023012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rmentation product
medium composition
composi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139B1 (ko
Inventor
김유미
장기현
석창환
신지원
곽윤금상
Original Assignee
(주) 바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노텍 filed Critical (주) 바이노텍
Priority to PCT/KR2022/0174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63318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Fermentation Products Comprising Short Chain Fatty Acids And Use Of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Overweight Thereof}
본 발명은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에 대한 시장은 매년 약 20% 이상 증가하는 고성장 시장이며, 2025년에는 약 3억명 이상의 비만 환자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비만 인구도 갈수록 급증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성인병의 증가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또한 삶의 질과 미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체중 감소와 관련된 제품의 시장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치료제로서의 비만에 대한 약물은 대부분 식욕 억제에 관한 것이고, 이에 대한 부작용이 매우 커서 일반적인 사람들이 쉽게 복용하기에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체중 감소와 관련하여, 체지방 감소 보조제 또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녹차추출물, 공액 리놀렌산 등이 이용되고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지방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체지방 감소 시장의 약 47 %를 차지하고 있으나, 간 독성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체지방 감소를 도모하는 신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미생물은 우리 인체와 공생함으로써, 인간의 소화기능이나 에너지의 확보 등 대사 기능 조절과 면역계 발달, 신경계와의 상호작용, 인체의 항상성 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장 질환뿐만 아니라,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우울증이나 ADHD와 같은 정신질환, 그리고 노화 등 인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나 소장에서 소화되어 흡수되지 않고 대장까지 내려가는 저항성 전분(Resistant starch)을 대장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먹이로 섭취하게 되면, 단쇄 지방산이 생성된다. 단쇄 지방산은 아세테이트(Acetate),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 부티레이트(butyrate)와 같이 탄소수 6개 이하의 유기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쇄 지방산은 우리 인체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장 점막을 이루는 세포들은 단쇄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대장벽을 유지하고, 세균이 몸속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부티레이트는 대장 점막으로 흡수되어서 모든 소화관과 장기의 점막 상피 세포를 증식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티레이트는 지방세포에 있는 FFAR3(Free fatty acid receptor3) 세포막 수용체를 활성화(PPAR-γ 수정여부)시키는데, 이는 지방의 축적을 방지하고 근육과 대사에 에너지를 이용하여 체중 감소 및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개시되었다. Hua.V. Lin et al의 비만 쥐의 동물 모델에서, 부티레이트가 포함된 고지방 식이를 4주 동안 진행했을 때 굉장히 뚜렷하게 체지방의 감소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Hua V. Lin et al., PLoS One. 2012; 7(4): e35240). 또한, 부티레이트가 포함된 고지방 식이를 한 인체 적용시험에서도 체중감소, 장염증성 질환의 염증 감소 효과를 증명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다만, 전술한 것처럼, 부티레이트가 체지방 감소에 있어 많은 임상적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특이취가 매우 강하여 상업적으로 제품화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버터와 같은 포화 지방산을 섭취할 때, 부티레이트를 섭취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부티레이트가 매우 소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버터를 많이 섭취하여 생기는 체지방 증가가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외에, 장 내에서, 부티레이트를 생성하는 미생물이,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과 같은 저항성 전분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부티레이트를 생성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Hua V. Lin et al., PLoS One. 2012; 7(4): e35240
본 발명은 단쇄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발효 생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 생성물을 이용하여 과체중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은 주어진 수치 또는 범위의 10% 이내, 바람직하게는 5%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내를 의미한다.
단쇄 지방산 포함 발효 생성물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단쇄 지방산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 생성물은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시켜 생성되며, 이 경우 고농도의 단쇄 지방산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로서,
상기 발효 생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포함하며, 강화 클로스트리디아 배지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시켜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발효 생성물은 약 10 mM 이상의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인,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발효 생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한 효소적 또는 대사적 분해의 결과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또는 하기에서 구체적 실시태양으로 언급하는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한 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발효 생성물"은 "발효물" 등과 혼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배지" 또는 "배지 조성물"은 상기 미생물 또는 균주를 배양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혼합한 물질을 의미하며, 생존 및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 및 발육인자 등을 공급한다. 나아가, 본원의 배지 조성물은 단쇄 지방산, 특히 부티레이트를 고농도로 생성하기에 최적의 조성과 함량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질소원으로서 ;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한다. 그 외 무기염류, 아미노산 및/또는 비타민과 같은 생육인자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은 통상의 배지 내에서 혐기성 조건 하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효모 추출물, 볶음 콩가루, 소이 펩톤 등은 질소 공급원으로서 기능하고, 미생물의 생장에 있어 질소원의 구성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배지 조성물이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추가로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부티레이트 생성량이 많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부티레이트의 과체중에 대한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질소원은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거나, 효모 추출물 및 소이 펩톤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효모 추출물은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 중량%, 예컨대 약 0.5 또는 1 중량%일 수 있다. 효모 추출물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질소원으로써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 조흥으로부터 분말이스트엑기스-II로써 구입된 것일 수 있다.
볶음 콩가루는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중량%, 예컨대 약 1, 3, 또는 5 중량%일 수 있다. 볶음 콩가루는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질소원으로써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적절히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예컨대 일호식품으로부터 구입가능함).
소이 펩톤은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일 수 있다. 소이펩톤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SOLABIA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탈지 분유는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일 수 있다. 탈지분유는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서울우유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배지 조성물은 질소원 이외에 탄소원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며, 탄소원은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탄소원는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5 ~ 20 중량%, 예컨대 약 5, 10, 13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원은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 중 하나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이눌린 및 치커리 분말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거나, 이눌린, 치커리 분말 및 말토덱스트린을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탄소원 각각은 부티레이트 생성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이눌린은 약 1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부티레이트의 생성량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 7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일 수 있다. 이눌린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BIOGLAN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치커리 분말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 ~ 7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치커리 분말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조은약초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 ~ 7 중량%, 예컨대 약 3 또는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예컨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일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삼양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포도당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 ~ 7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포도당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삼양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알긴산 나트륨, 펙틴 및 올리고당(예컨대,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락툴로스, 키틴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아검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 중량%, 예컨대, 약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 중량%, 예컨대, 약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펙틴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 중량%, 예컨대, 약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예컨대,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락툴로스, 키틴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 중량%, 예컨대, 약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제2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암모늄 및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류 각각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1 중량%, 예컨대 약 0.06 중량%, 약 0.1 중량%, 약 0.3 중량%, 약 0.4 중량%, 약 0.5 중량%, 또는 약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약 0.5 중량%, 약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약 제2 인산칼륨 0.3 중량%, 약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약 황산암모늄 0.4 중량% 및 탄산 칼슘 1 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배지 조성물이 상기 언급된 질소원, 탄소원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기염류를 포함하는 경우, 부티레이트의 생성량이 증가되어, 이의 발효 생성물의 과체중 예방 효과가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배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0.1 내지 10 중량%; 및 볶음 콩가루 0.1 내지 10 중량% 또는 소이 펩톤 0.1 내지 10 중량%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1 내지 10 중량%, 치커리(chicory) 분말 1 내지 10 중량%, 말토덱스트린 1 내지 10 중량% 및 포도당 1 내지 10 중량%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 0.1 내지 1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0.1 내지 5 중량%, 알긴산 나트륨 0.1 내지 5 중량%, 펙틴 0.1 내지 5 중량% 및 올리고당 0.1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0.5 내지 1 중량%; 및 볶음 콩가루 1 내지 5 중량% 또는 소이 펩톤 5 중량%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5 중량%, 치커리(chicory) 분말 5 중량%, 말토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 및 포도당 5 중량%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0.3 중량%, 알긴산 나트륨 0.3 중량%, 펙틴 0.3 중량% 및 올리고당 3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0.5 중량%,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제2 인산칼륨 0.3 중량%,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황산암모늄 0.4 중량% 및 탄산 칼슘 1 중량%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표 1 및 2에 언급된 실시예 1 내지 17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과체중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치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부티레이트의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고, 배양 배지 조성물을 제조할 때 용해가 잘 되지 않거나, 침전물이 발생하거나, 멸균 시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지 조성물은,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효모추출물 0.5 중량%; 및 소이펩톤 5 중량%를 포함하고,
탄소원으로서 이눌린, 치커리 분말, 말토덱스트린 또는 포도당 각각 5 중량%를 포함하면서,
염화나트륨 0.5 중량%,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제2 인산칼륨 0.3 중량%,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황산암모늄 0.4 중량% 및 탄산 칼슘 1 중량%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배지 조성물의 제조시 용해도가 향상되고 부티레이트의 생성량이 약 9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0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0 mM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단쇄 지방산은 부티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아세테이트이며, 구체적으로, 부티레이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약 10 mM 이상의 부티레이트, 예컨대 약 20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약 40 mM 이상, 약 50 mM 이상, 약 60 mM 이상, 약 70 mM 이상, 약 80 mM 이상, 약 90 mM 이상, 약 100 mM 이상, 약 110 mM 이상, 약 120 mM 이상, 약 130 mM 이상, 약 140 mM 이상, 약 150 mM 이상, 약 160 mM 이상, 약 170 mM 이상, 약 180 mM 이상, 약 190 mM 이상, 약 200 mM 이상, 약 210 mM 이상의 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배양)시키면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과 배양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은 RCM(강화 클로스트리디아 배지;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을 포함하지 않는다. RCM은 식품, 의료 분야 등에서 클로스트리디움과 기타 혐기성균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이다. 이 배지는 비멸균제품에 대한 미생물 검사 시 증균배지로 사용되며 USP, EP, JP 등에 등록된 표준 배지이기도 하다. 상기 배지는 Beef extract, Casein peptone, Dextrose, Sodium chloride, Sodium acetate, Yeast extract, Soluble Starch, L-Cysteine HCl, Agar 등을 포함하며, 상업적으로 쉽게 입수가능하다. RCM은 또한 식품, 음료 분야에서 Closteridium perfringens 같은 Sulfite reducing bacteria의 분별배지로도 이용되기도 한다. RCM의 용도 및 목적은 실험용으로 제조된 시약으로 식품 제조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업용 식품 조성물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RCM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균주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클로스트리디움 타이로부티리쿰(Clostridium tyrobutyricum),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사카로퍼부탈아세토니쿰(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포함하며, 강화 클로스트리디아 배지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기 위한 배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알긴산 나트륨, 펙틴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염화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제2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암모늄 및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의 구체적 종류 및 함량은 상기 언급된 바에 따른다.
발효 생성물의 체중 감량 용도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과체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효 조성물은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지방 축적 감소, 나아가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체지방률 및 체지방량 역시 감소시켰다. 결국 본 발명의 발효 조성물은 비만 세포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시켜, 과체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또한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나아가 TNF alpha 수준을 감소시킴이 확인되어 염증성 질환 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과체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과체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수의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과체중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양으로의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 및 특정 양으로의 특정 성분의 조합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야기된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그것이 약학 조성물에 관련될 때 이러한 용어는 활성 성분 및 담체를 구성하는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포함하고, 임의의 2종 이상의 성분의 조합, 복합화 또는 응집 또는 1종 이상의 성분의 해리, 다른 종류의 반응 또는 상호작용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야기된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조성물"은 인간에게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동물에게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의학 조성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용 식이 제품 또는 식품(예를 들어, 기능성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즉, 식품, 음료, 사료 또는 반려동물 식품, 또는 식품, 음료, 동물용 사료 또는 반려동물 식품 보충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수의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용도에 따라 약학성 허용되는 부형제, 수의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식품상 허용되는 부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약학상 허용되는", "수의학상 허용되는", 또는 "식품상 허용되는"은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와 어울리는, 건전한 의학적 또는 식품상 판단의 범주 내에서, 과독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또는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담체, 및/또는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약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수의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식품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도 다른 방식으로도 바람직한 약학, 수의학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부형제를 의미하며, 인간 약학 용도 또는 동물 수의학 용도, 나아가 식품 용도를 위해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약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수의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식품상 허용되는 성분"는 1종 이상의 이러한 부형제 둘 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되는 약학상, 수의학상, 식품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희석제 또는 불활성 담체, 윤활제, 결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되는 부형제는 충전제,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케이킹 방지제, 코팅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약학상, 수의학상, 또는 식품성 허용되는 부형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과체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일 수도 있고, 과체중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체중 개선 이외에도, 항염증 또는 항산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인체에 투여될 수 있고, 다른 포유류에도 투여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포유류로는 개, 고양이, 토끼, 돼지, 양, 염소, 젖소, 말, 소 등의 가축, 애완 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이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으로 주사용 제형이 있고, 이때 조성물의 형태는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으로는 분말, 과립, 정제, 환약, 캡슐 등이 있을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물 전달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약물 전달 시스템은 리포좀, 에토좀, 탄성 에토좀, 타겟팅 리포좀,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나노입자, 나노캡슐, 나노 파이버 등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 체지방 감소를 위한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음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식품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복합제, 껌, 음료, 각종 식품류, 차, 각종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소스류, 과자류, 캔디류, 유가공품, 기타 가공식품, 발효 식품, 천연조미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기능성" 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제조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에 용해 및 멸균시켜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균주가 접종된 배지 조성물을 발효시켜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에서 멸균은 약 100 ~ 130℃의 온도에서 약 10 ~ 20 분 동안 가열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에서, 멸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온도는 약 120℃일 수 있고, 가열 시간은 약 15분 일 수 있다.
단계 (c)에서 발효는 혐기성 배양통에 혐기성 팩을 넣어 배양 상태를 혐기성으로 유지시켜 약 1 ~ 15일 동안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 5일 간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양 온도는 약 25 ~ 3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 기간은 약 5일이고, 배양 온도는 약 37℃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쇄 지방산, 예컨대 부티레이트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효 조성물은 비만 세포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시켜, 과체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장관 내피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초대 배양한 비장세포에서의 티엔에프알파 레벨 감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DSS로 유도된 장염 동물의 혈장에서 IgE 레벨 감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3T3-L1 프리아디포사이트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평가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3T3-L1 지방 전구 세포에서 지방 세포로 분화 유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오일레드오 염색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 순수한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TG)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투여에 따른 고지방 식이 비만 유도 mice에서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투여에 따른 고지방 식이 비만 유도 mice에서 체지방률 및 체지방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투여에 따른 고지방 식이 비만 유도 mice에서 장기 중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전체 배양 배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 1 중량%, 볶음 콩가루 1 중량%를 첨가하고, 이눌린 5 중량% 및 치커리 분말 5 중량%를 정제수에 첨가한 후 용해시켰다(RCM(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은 사용하지 않음).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21℃에서 15 분 동안 멸균시킨 뒤 배양 배지로써 사용하였다.
고체 배지에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1백금이 소량 채취하여 멸균이 된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37℃ 인큐베이터(Incubator)에 혐기성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지를 혐기 배양통 2.5 L에 넣고, 가스팩을 이용해 배양하였다. 이후 혐기 배양상태 표시종이를 이용해 혐기 배양통 내부의 산소 유무를 확인해 가며 총 5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실시예 2
볶음 콩가루를 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볶음 콩가루를 5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구아검을 0.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알긴산나트륨을 0.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펙틴을 0.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프락토올리고당 분말을 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갈락토올리고당을 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3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전체 배양 배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써 소이 펩톤 5 중량% 및 효모 추출물 0.5 중량%를 첨가하고, 탄소원으로써 이눌린 5 중량%, 무기염류로써 염화나트륨 0.5 중량%,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제2인산칼륨 0.3 중량%,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황산암모늄 0.4 중량%, 탄산칼슘 1 중량%를 정제수에 첨가한 후 용해시킨 후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21℃에서 15 분 동안 멸균시킨 뒤 배양 배지로써 사용하였다.
고체 배지에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1백금이 소량 채취하여 멸균이 된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37℃ 인큐베이터(Incubator)에 혐기성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지를 혐기 배양통 2.5 L에 넣고, 가스팩을 이용해 배양하였다. 이후 혐기 배양상태 표시종이를 이용해 혐기 배양통 내부의 산소 유무를 확인해 가며 총 5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실시예 11
탄소원으로써 치커리 분말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탄소원으로써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탄소원으로써 포도당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질소원으로써 효모 추출물 0.5 중량%; 및 소이 펩톤과 탈지분유 각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질소원으로써 효모 추출물 0.5 중량%; 및 소이 펩톤과 탈지분유 각 5 중량%, 탄소원으로써 치커리 분말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질소원으로써 효모 추출물 0.5 중량%; 및 소이 펩톤과 탈지분유 각 5 중량%, 탄소원으로써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질소원으로써 효모 추출물 0.5 중량%; 및 소이 펩톤과 탈지분유 각 5 중량%, 탄소원으로써 포도당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RCM(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을 38.4 g/L 농도로 정제수에 혼합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사용하여 121℃에서 15 분 동안 멸균시킨 뒤 배양 배지로 사용하였다.
제조한 배양 배지에 RCM 고체 배지에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1백금이 소량 채취하여 접종하고, 37℃ 인큐베이터(Incubator)에 혐기성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지를 2.5 L의 혐기 배양통에 넣고, 가스팩을 이용해 배양하였다. 이 후 혐기 배양상태 표시종이를 이용해 혐기 배양통 내부의 산소 유무를 확인해 가며 총 5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비교예 2
멸균 이전에 전체 배양 배지 기준으로 이눌린 분말을 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전체 배양 배지 기준으로 이눌린 분말을 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4
전체 배양 배지 기준으로 이눌린 분말을 10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5
전체 배양 배지 기준으로 이눌린 분말을 20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6
이눌린 분말 대신, 치커리 분말을 전체 배양 배지 기준으로 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7
전체 배양 배지의 질량을 기준으로, RCM을 대체하여 효모 추출물 1 중량%, 분리대두단백 1 중량%를 첨가하고, 이눌린 5 중량% 및 치커리 분말 5 중량%를 정제수에 첨가한 후 용해시켰다.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21℃에서 15 분 동안 멸균시킨 뒤 배양 배지로써 사용하였다.
고체 배지에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1백금이 소량 채취하여 멸균이 된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37℃인큐베이터(Incubator)에 혐기성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지를 혐기 배양통 2.5 L에 넣고, 가스팩을 이용해 배양하였다. 이후 혐기 배양상태 표시종이를 이용해 혐기 배양통 내부의 산소 유무를 확인해 가며 총 5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비교예 8
분리대두단백 대신 유청분리단백 1 중량%(전체 배양 배지 기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전체 배양 배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써 효모 추출물 0.5 중량% 및 탈지분유 5 중량%를 첨가하고, 탄소원으로써 이눌린 5 중량%, 무기염류로써 염화나트륨 0.5 중량%,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제2인산칼륨 0.3 중량%,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황산암모늄 0.4 중량%, 탄산칼슘 1 중량%를 정제수에 첨가한 후 용해시킨 후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21 ℃에서 15 분 동안 멸균시킨 뒤 배양 배지로써 사용하였다.
고체 배지에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1백금이 소량 채취하여 멸균이 된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37 ℃ 인큐베이터(Incubator)에 혐기성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지를 혐기 배양통 2.5 L에 넣고, 가스팩을 이용해 배양하였다. 이후 혐기 배양상태 표시종이를 이용해 혐기 배양통 내부의 산소 유무를 확인해 가며 총 5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비교예 10
탄소원으로써 치커리 분말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탄소원으로써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탄소원으로써 포도당 5 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7, 비교예 1 내지 12의 조성을 정리하여 아래 표 1 내지 3으로 나타내었다.
배양 조건
(중량%)
실시예
1 2 3 4 5 6 7 8 9
RCM - - -
이눌린 5 5 5 5 5 5 5 5 5
치커리 분말 5 5 5 5 5 5 5 5 5
구아검 - - - 0.3 - - - - -
알긴산나트륨 - - - - 0.3 - - - -
펙틴 - - - - - 0.3 - - -
프락토올리고당분말 - - - - - - 3 - -
갈락토올리고당 - - - - - - - 3 -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 - - - - - - - 3
분리대두단백 - - - - - - - - -
유청분리단백 - - - - - - - - -
볶음 콩가루 1 3 5 5 5 5 5 5 5
효모 추출물 1 1 1 1 1 1 1 1 1
배양 조건
(중량%)
실시예
10 11 12 13 14 15 16 17
소이 펩톤 5 5 5 5 5 5 5 5
탈지분유 - - - - 5 5 5 5
효모 추출물 0.5
이눌린 5       5      
치커리 분말   5       5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5       5  
포도당       5       5
염화나트륨 0.5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제2 인산칼륨 0.3
황산마그네슘 0.06
황산암모늄 0.4
탄산 칼슘 1
배양 조건
(중량%)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RCM 3.84 3.84 3.84 3.84 3.84 3.84 - - - - - -
탈지분유 - - - - - - - - 5 5 5 5
이눌린 - 1 5 10 20 - 5 5 5 - - -
치커리 분말 - - - - - 5 5 5 - 5 - -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 - - - - - - - - - 5 -
포도당 - - - - - - - - - - - 5
분리대두단백 - - - - - - 1 - - - - -
유청분리단백 - - - - - - - 1 - - - -
볶음 콩가루 - - - - - - - - - - - -
효모 추출물 - - - - - - 1 1 0.5 0.5 0.5 0.5
염화나트륨 - - - - - - - - 0.5 0.5 0.5 0.5
데히드로초산나트륨 - - - - - - - - 0.3 0.3 0.3 0.3
제2 인산칼륨 - - - - - - - - 0.3 0.3 0.3 0.3
황산마그네슘 - - - - - - - - 0.06 0.06 0.06 0.06
황산암모늄 - - - - - - - - 0.4 0.4 0.4 0.4
탄산 칼슘 - - - - - - - - 1 1 1 1
실험예 1 :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Clostridium butyricum ) 균주 발효 생성물의 부티레이트 함량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7, 비교예 1 내지 12로 제조된 발효 생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티레이트를 분석하기 위해 HPLC(HPLC, Shimazu)로 부티레이트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배양 조건
(중량%)
실시예
1 2 3 4 5 6 7 8 9
RCM - - -
이눌린 5 5 5 5 5 5 5 5 5
치커리 분말 5 5 5 5 5 5 5 5 5
구아검 - - - 0.3 - - - - -
알긴산나트륨 - - - - 0.3 - - -
펙틴 - - - - - 0.3 - - -
프락토올리고당분말 - - - - - - 3 - -
갈락토올리고당 - - - - - - - 3 -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 - - - - - - - 3
분리대두단백 - - - - - - - - -
유청분리단백 - - - - - - - - -
볶음 콩가루 1 3 5 5 5 5 5 5 5
효모 추출물 1 1 1 1 1 1 1 1 1
부티레이트
(mM)
11.3 21.3 26.0 26.7 27.3 32.0 31.6 29.3 32.6
배양 조건
(중량%)
실시예
10 11 12 13 14 15 16 17
소이 펩톤 5 5 5 5 5 5 5 5
탈지분유 - - - - 5 5 5 5
효모 추출물 0.5
이눌린 5 -  -  -  5 -  -  - 
치커리 분말 -  5 -  -  -  5 -  -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  -  5 -  -  -  5 - 
포도당 -  -  -  5 -  -  -  5
염화나트륨 0.5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제2 인산칼륨 0.3
황산마그네슘 0.06
황산암모늄 0.4
탄산 칼슘 1
부티레이트
(mM)
200 215 214 171 133 133 135 96
배양 조건
(중량%)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RCM 3.84 3.84 3.84 3.84 3.84 3.84 - - - - - -
탈지분유 - - - - - - - - 5 5 5 5
이눌린 - 1 5 10 20 - 5 5 5 - - -
치커리 분말 - - - - - 5 5 5 - 5 - -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 - - - - - - - - - 5 -
포도당 - - - - - - - - - - - 5
분리대두단백 - - - - - - 1 - - - - -
유청분리단백 - - - - - - - 1 - - - -
볶음 콩가루 - - - - - - - - - - - -
효모 추출물 - - - - - - 1 1 0.5 0.5 0.5 0.5
염화나트륨 - - - - - - - - 0.5 0.5 0.5 0.5
데히드로초산나트륨 - - - - - - - - 0.3 0.3 0.3 0.3
제2 인산칼륨 - - - - - - - - 0.3 0.3 0.3 0.3
황산마그네슘 - - - - - - - - 0.06 0.06 0.06 0.06
황산암모늄 - - - - - - - - 0.4 0.4 0.4 0.4
탄산 칼슘 - - - - - - - - 1 1 1 1
부티레이트
(mM)
2.4 10.7 16.7 14.8 13.9 3.9 - - - - - -
표 4 및 5를 참조하면, RCM을 사용하는 비교예 1 내지 6을 먼저 비교하면, 저항성 전분인 이눌린이 포함되는 경우(비교예 2 내지 5)의 부티레이트 생성량이 이눌린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및 6)의 부티레이트 생성량에 비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비교예 6의 경우, 치커리 분말은 부티레이트 생성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비교예 7 및 8의 경우, RCM이 사용되지 않았고, 이눌린 및 치커리 분말을 포함하며, 비교예 7은 효모 추출물과 분리대두단백을 포함하고, 비교예 8은 효모 추출물과 유청분리단백을 포함한다. 비교예 7 내지 12의 경우 부티레이트가 생성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3은 이눌린과 치커리 분말을 모두 포함하는데, 실시예 1 내지 3을 비교예 7 및 8과 비교했을 때, 볶음 콩가루를 배지 조성물의 구성으로 포함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 경우, 부티레이트가 생성되었으며, 특히 볶음 콩가루가 3 중량%(전체 배지 중량 기준)인 경우(실시예 2), 그리고 볶음 콩가루가 5 중량%(전체 배지 중량 기준)인 경우(실시예 3), 부티레이트 생성량이 각각 21.25 mM, 25.96 mM로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9는, 실시예 3과 비교하여, 배지 조성물에 탄소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데, 부티레이트 생성량이 실시예 3과 거의 유사하거나 약간 증가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7의 배지 조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효모추출물 및 소이펩톤를 포함하고, 탄소원으로서 이눌린, 치커리 분말, 말토덱스트린 또는 포도당을 포함하면서, 염화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제2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암모늄 및 탄산 칼슘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 경우, 배지 조성물의 제조시 용해도가 향상되었고, 부티레이트의 생성량이 90 mM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0 내지 12에서는 200 mM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하기 실험예들에서는,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활용하여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예 2 : 장관내피세포(IEC-18)에서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세포독성평가 실험
실시예 3의 조성물(발효 생성물)을 동결건조 시료로 MTT법을 통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장관내피세포인 IEC-18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Lab., USA)에서 배양한 후 24 well plate에 5 x 104 cells/mL로 분주하였다.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LPS 100㎍/mL 과 상기 동결건조 시료를 동시에 처리하였다. 이때 동결건조 시료는 수성 매질(물)을 사용하여 각각 10, 50, 100, 250, 500, 1000 ug/ml로 재구성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 시약을 처치하고 formazan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반응시킨 뒤 상층액을 모두 제거하고 DMSO를 처치한 후 microplate reader ELISA 기기를 사용하여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았으며, 최고 농도인 1000 μg/mL의 농도까지 세포 사멸을 실질적으로 유도하지 않았음을 도 1에서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장관면역세포에서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항산화 활성평가 실험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을 동결건조 된 시료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DPPH 실험을 통한 항산화 효능검증을 하였으며, 아스코르브산 (1 mg/mL)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발효 생성물과 비교하였다. 상기 동결건조 시료를 수성 매질(물)을 사용하여 각각 1, 2.5, 5, 7.5, 10 ug/ml로 재구성하였다. 0.2 mM DPPH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96 well plate에 각각의 시료, 정제수, MeOH, 0,2 mM DPPH를 순차적으로 혼합한 뒤 암실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그 후 Microplate reader ELISA 기기를 통해 517 nm 파장에서 나타나는 측정값(OD; optical density)을 계산하여 아스코르브산(대조군)과 비교하였다.
DPPH의 결과를 통하여 발효 생성물은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 활동이 관찰되었음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초대배양된 비장세포에서 발효를 통한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TNF alpha 측정평가 실험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 시료를 이용하여 Dextran Sulfate Sodium(DSS) 장염 마우스 동물 모델의 비장 세포에서 TNF alpha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상 대조군(CON)으로, DSS 마우스 모델을 음성 대조군(DSS)으로 하였으며, 그 외 Butyric acid 5 mM, 10 mM, Sulfasalazine 50 mg/kg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동결건조 시료는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100 ug/mL의 저농도 및 200 ug/mL의 고농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TNF alpha 측정은 TNF alpha Mouse ELISA kit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농도 의존적으로 TNF alpha 레벨이 감소되는 것을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시료는 Butyric acid보다 높은 감소능을 나타내었으며, Sulfasalazine과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TNF alpha는 여러 면역 매개 염증성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TNF alpha 레벨이 감소되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염증성 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5 : DSS로 유도된 장염 동물의 혈장에서 염증인자인 IgE level 측정 평가 실험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 시료로 DSS로 유도된 장염 마우스 동물의 혈장에서 IgE 레벨을 Mouse IgE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시료 및 실험군 등에 대해서는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3의 시료를 100 ug/mL의 저농도 및 200 ug/mL의 고농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IgE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 고농도 (200 ug/mL)에서 IgE 레벨이 가장 많이 감소된 것을 도 4에서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염증성 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6 : 3T3-L1 preadipocyte에 대한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세포독성평가 실험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 시료를 수성 매질(물)을 사용하여 각각 25, 50, 100, 200 ㎍/㎖의 농도로 재구성한 후, 이를 3T3-L1 세포에 각각 처리한 후 MTT법을 통한 세포 생존률 측정을 진행하였다. MTT 법은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을 100 ㎍/㎖ 농도로 처리시에는 세포 생존률이 93.5±4.2%였고, 200 ㎍/㎖ 농도로 처리시에는 84.1±1.8%를 나타내었다. 또한 25, 50, 100 ㎍/㎖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 농도를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7 :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지방세포분화 평가 및 Oil Red-O 염색 실험
실시예 3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 시료를 수성매질(물)로 재구성 후 25, 50, 100 ㎍/㎖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성숙된 지방 세포로의 분화로 유도하고 이를 Oil Red-O 염색으로 처리하였다.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s)인 3T3-L1 세포를 10% 소혈청(Bovine calf serum)이 들어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Lab., USA)에서 배양한 후 6 well plate에 1 x 105 cells/mL로 분주하였다.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167 nM 인슐린(insulin), 500 mM 3-아이소부틸-1 메틸잔틴(isobutylmetylxanthine), 0.1 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갈아주고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때 실시예 3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 시료를 수성매질(물)로 재구성 후 25, 50, 100 ㎍/㎖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formalin)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세포를 고정시켰다. 1시간 후 포르말린을 모두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지질 성분만을 염색시키는 Oil-red O 시약을 넣고 10분간 염색시켰다. 염색이 끝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이미지를 스캔 한 후 10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넣고 염색된 Oil-red O를 용출시켜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을 50 ㎍/㎖ 농도로 처리한 경우 34.1%, 100 ㎍/㎖에서 62.9% 만큼 지방 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100 ㎍/㎖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부티레이트 1 mM 대비 더 우수한 지방 분화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내 지방 축적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현미경 사진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인 부티레이트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발효물 100 ㎍/㎖에서 더 높은 지방 축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의 처리를 통한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측정평가 실험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동결건조물을 처리하여 성숙한 지방세포 내에 존재하는 순수한 트리글리세라이드(TG)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Triglyceride Quantification Assay kit를 사용하였다.
분화 유도된 지방전구세포를 5% NP-40 solution을 이용해 균질화 시킨 후 90℃ 온도로 5분간 배양 후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TG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수행하였다. 그 후 Lipase와 함께 2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Triglyceride Probe와 Triglyceride Enzyme Mix와 함께 6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 분광광도계로 570 nm 파장에서의 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수성매질(물)을 이용하여 25, 50, 100 ㎍/㎖ 농도로 재구성하여 사용되었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을 50 ㎍/㎖로 처리한 경우 23.7%, 100 ㎍/㎖로 처리한 경우 44.1%만큼 TG 함량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00 ㎍/㎖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부티레이트 1 mM 대비 더 우수한 TG 억제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9 : 부티레이트 발효생성물의 고지방 식이로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체중 변화 측정
성별 동물 수 투여액량
(mL/kg)
투여량
(g/kg)
정상 식이군 (NCD + vehicle) Male 8 10 -
고지방 식이군 (vehicle) Male 8 10 -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3 발효생성물 저농도 0.5 g/kg (BF-0.5) Male 8 10 0.5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 3 발효생성물 고농도 1 g/kg (BF-1) Male 8 10 1
고지방 식이군 + sodium butyrate 0.5 g/kg (SB-0.5) Male 8 10 0.5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동결 건조 시료를 표 7에 따라 재구성하였고, 고지방 식이와 함께 8주령 C57BL6J mice에 상기 표 7에 따라 경구 투여한 후 14 주간 실험 기간 동안 체중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군(vehicle)에서 정상 식이군(NCD+vehicle)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 및 고지방 식이 동시 투여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고농도 투여군(BF-1)은 양성 대조군(SB-0.5)과 거의 유사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0 : 부티레이트 발효생성물의 고지방 식이로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체지방량 감소 측정
전술한 실험예 9의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3의 발효 생성물의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로 피하 및 내장 지방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부티레이트 발효 생성물 및 고지방 식이(HFD) 동시 투여군에서 고지방 식이군(HFD + vehicle) 대비 유의적으로 체지방률 및 체지방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 부티레이트 발효생성물의 고지방 식이로 비만 유도된 마우스에서 장기 중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술한 실험예 9의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3의 발효생성물의 장기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간, 부고환, 사타구니 또는 갈색 지방 조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정상 식이군(NCD)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HFD)에서 부고환 지방의 크기가 증가하였고(도 11-A), 단순 고지방 식이군(HFD + vehicle)에 비해 본 발명의 부티레이트 발효생성물 동시 투여군에서 간, 부고환 백색 지방, 사타구니 박색 지방, 갈색 지방 조직의 중량이 더 낮았다(도 11-B). 특히 고농도 투여군(BF-1)은 양성 대조군(SB-0.5)과 거의 유사하거나 더 낮은 조직 중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험예들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비만 세포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실험예들에서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특히 부티레이트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에 효과적임을 고려할 때, 부티레이트 함량이 약 26 mM이었던 실시예 3에 따른 위 실험 결과를 통해, 부티레이트 함량이 이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높은 나머지 실시예들 역시 유사하거나 또는 보다 효과적인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로서,
    상기 발효 생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포함하며, 강화 클로스트리디아 배지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시켜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발효 생성물은 10 mM 이상의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인,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지방산은 부티레이트(butyrate)인, 발효 생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생성물은 20 mM 이상의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균주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클로스트리디움 타이로부티리쿰(Clostridium tyrobutyricum),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사카로퍼부탈아세토니쿰(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균주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인, 발효 생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알긴산 나트륨, 펙틴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제2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암모늄 및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염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0.1 내지 10 중량%; 및 볶음 콩가루 0.1 내지 10 중량% 또는 소이 펩톤 0.1 내지 10 중량%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1 내지 10 중량%, 치커리(chicory) 분말 1 내지 10 중량%, 말토덱스트린 1 내지 10 중량% 및 포도당 1 내지 10 중량%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 0.1 내지 1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0.1 내지 5 중량%, 알긴산 나트륨 0.1 내지 5 중량%, 펙틴 0.1 내지 5 중량% 및 올리고당 0.1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0.5 내지 1 중량%; 및 볶음 콩가루 1 내지 5 중량% 또는 소이 펩톤 5 중량%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5 중량%, 치커리(chicory) 분말 5 중량%, 말토덱스트린 3 내지 5 중량% 및 포도당 5 중량%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원으로서 탈지 분유 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탄소원으로서 구아검 0.3 중량%, 알긴산 나트륨 0.3 중량%, 펙틴 0.3 중량% 및 올리고당 3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기 배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0.5 중량%, 데히드로초산나트륨 0.3 중량%, 제2 인산칼륨 0.3 중량%, 황산마그네슘 0.06 중량%, 황산암모늄 0.4 중량% 및 탄산 칼슘 1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효 생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과체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과체중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을 포함하는 과체중의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
  19. (a) 질소원으로서 효모 추출물; 및 볶음 콩가루 또는 소이 펩톤 중 하나 이상; 및
    탄소원으로서 이눌린(inulin), 치커리(chicory) 분말, 말토덱스트린 및 포도당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물에 용해 및 멸균시켜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배지 조성물에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균주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균주가 접종된 배지 조성물을 발효시켜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148277A 2022-02-23 2022-11-08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KR10266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492 WO2023163318A1 (ko) 2022-02-23 2022-11-08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3893 2022-02-23
KR1020220023893 2022-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32A true KR20230126632A (ko) 2023-08-30
KR102660139B1 KR102660139B1 (ko) 2024-04-24

Family

ID=8784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277A KR102660139B1 (ko) 2022-02-23 2022-11-08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064A (ja) * 1993-11-23 1995-10-17 Taketoshi Yamada 腸内細菌叢改善組成物
CN112063679A (zh) * 2020-10-09 2020-12-11 山东省大健康精准医疗产业技术研究院 一种混合益生菌发酵复合碳水化合物制备短链脂肪酸的方法
CN113795155A (zh) * 2019-05-01 2021-12-14 宝洁公司 产生短链脂肪酸的益生菌菌株和包含该益生菌菌株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064A (ja) * 1993-11-23 1995-10-17 Taketoshi Yamada 腸内細菌叢改善組成物
CN113795155A (zh) * 2019-05-01 2021-12-14 宝洁公司 产生短链脂肪酸的益生菌菌株和包含该益生菌菌株的组合物
CN112063679A (zh) * 2020-10-09 2020-12-11 山东省大健康精准医疗产业技术研究院 一种混合益生菌发酵复合碳水化合物制备短链脂肪酸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 V. Lin et al., PLoS One. 2012; 7(4): e352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139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9590B2 (en) Anti-aging agent and anti-aging method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US8822536B2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terpenoid acids of maslinic acid or oleanolic acid and process for enhancing muscle mass in mammals
EP2271367B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r food composition
KR102558595B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60128117A (ko) 발효녹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TWI830696B (zh) 抑制肌纖維變性用組成物
KR100717742B1 (ko) 콜레스테롤 저하제,2차 담즙산 생산 억제제 및 음식품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80122380A (ko) 피칼리박테리움속 세균증식제
KR102660139B1 (ko)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JP2007126399A (ja) グルタチオン増加用組成物
KR20200022660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azemi et al. Evaluation the effect of royal jelly on the growth of two members of gut microbiota; Bacteroides fragillis and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KR101041044B1 (ko)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JP2016531844A (ja) モノアセチル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化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赤血球系細胞分化又は増殖促進用組成物
JP2020534281A (ja) ベータグルカンを有効成分とする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またはアルコール性肝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JP2021505528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CN112806577B (zh) 产丁酸的益生元益生菌增效组合
EP4082555A1 (en) Capillary blood vessel disorder inhibiting agent, capillary blood vessel disorder ameliorating agent, and capillary angiogenesis accelerating agent
KR101785970B1 (ko) 올레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손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45340A (ko) 체지방을 감소시키거나 지방간 형성을 억제시키기 위한 열처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8 조성물
JP2024032369A (ja) 筋肉量増加又は筋力増加用組成物
KR100829543B1 (ko) 감마-아미노부틸산 함량이 증가된 유산균 발효물을포함하는 기억력 향상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