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17A -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17A
KR20230126517A KR1020220023796A KR20220023796A KR20230126517A KR 20230126517 A KR20230126517 A KR 20230126517A KR 1020220023796 A KR1020220023796 A KR 1020220023796A KR 20220023796 A KR20220023796 A KR 20220023796A KR 20230126517 A KR20230126517 A KR 20230126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ainwater
trees
coupl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근
Original Assignee
(주) 상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림원 filed Critical (주) 상림원
Priority to KR102022002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17A/ko
Publication of KR2023012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저류기둥,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류판, 및 상기 저류판을 저류기둥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리는 빗물을 수목 주변에 저장시켜 수목 주변 지중으로 장기간 침투시켜 뿌리로 공급함에 따라, 수목의 생육을 도울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the rainwater storage device for the tree and thi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리는 빗물을 수목 주변에 저장시켜 수목 주변 지중으로 장기간 침투시켜 뿌리로 공급함에 따라, 수목의 생육을 도울 수 있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을 옮겨심기한 후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또는 갈수기에 수목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목에 물을 줄 때에는 한꺼번에 많은 량을 흠뻑 주어 수목의 뿌리를 적셔줌이 바람직한다.
그러나 물은 경사를 따라 위 에서 아래로 흐르는 특징이 있어 수목에 물을 줄 때 지면으로 스며드는 수량에 비해 흘러 내려가는 수량이 훨씬 많게 되므로 수목의 뿌리까지 적실 정도로 충분히 물을 주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만큼 많은 량의 물이 필요 하게 되어 수목 물주기시 물낭비가 매우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비료를 주는 경우에도 그 비료가 모두 땅속에 녹아내리지 않고 많은 량이 비에 씻겨 흘러가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병충해 방지를 위한 농약 살포시에도 많은 량의 농약이 공기중에 흩어져 시비량 또는 농약량에 비해 그 효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2170898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빗물 유도공이 구비되어 지중으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빗물 유도공은 비가 올경우에만 사용됨은 물론, 일정 강우량이 유지되지 않으면, 빗물이 많이 모이지 않고, 집수량이 적어 수목 생육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저류기둥,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류판, 및 상기 저류판을 저류기둥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내리는 빗물을 수목 주변에 저장시켜 수목 주변 지중으로 장기간 침투시켜 뿌리로 공급함에 따라, 수목의 생육을 도울 수 있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목 주변을 감싸도록 지중에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류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저류판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저류판의 일측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저류판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류부는,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저류기둥, 및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류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류기둥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날카롭게 형성된 말뚝이다.
또한, 상기 저류기둥은, 지중 설치 시, 지중의 토양이 지상으로 토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을 따라, 배출로,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류기둥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저류판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류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굴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결합턱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 함몰형성되는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턱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홈은 저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이탈방지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류판은, 수목 주변에 저류된 빗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저류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임시저류공간부, 수목 주변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임시저류공간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저류판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절유입구, 및 상기 임시저류공간부에 임시저장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류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유입구를 통해 빗물이 임시저류공간부로 유입될 경우, 임시저류공간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용이한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공기출입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저류공간부에 저장되는 빗물이 일정 수위 이상 저장될 경우, 배출시키도록 저류판의 외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조절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조절배출구의 형성된 높이는 상기 조절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지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저류판의 외측면 하단부에 물받이,가 더 구비된다.
또한, 빗물 저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설치라인을 설정하는 설치라인 설정단계, 상기 설치라인을 따라 일정 폭으로 토양을 굴착하는 토양 굴착단계, 상기 굴착된 토양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저류기둥을 설치하는 저류기둥 설치단계, 및 결합부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저류판을 설치하기 위한 저류판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양 굴착단계에서 굴착되는 폭은 상기 저류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저류판의 상단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는 굴착되는 저면보다 지중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내리는 빗물을 수목 주변에 저장시켜 수목 주변 지중으로 장기간 침투시켜 뿌리로 공급함에 따라, 수목의 생육을 도울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는 저류부(10)와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저류부(10)는 수목 주변을 감싸도록 지중에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복수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부(300)는 인접한 저류부(1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일 실시 예로, 저류부(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저류판(12)이다.
그리고 결합부(300)는 결합홈(310)과 결합턱(320)을 포함한다.
결합홈(310)은 어느 하나의 저류판(12)의 일측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또한 결합턱(320)은 결합홈(310)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저류판(12)의 타측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저류판(12)은 일정 두께를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굴곡 형성된다.
저류판(12)이 직선형으로 제작될 경우, 수목 주변을 다각형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다각형의 변을 형성하는 위치의 결합홈(310)은 어느 하나의 저류판(12)의 일측단면에 함몰 형성되고, 결합턱(320)은 인접한 다른 저류판(12)의 타측단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모서리부분에 위치되는 결합홈(310)은 어느 하나의 저류판(12)의 일측단부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결합턱(320)은 인접한 다른 저류판(12)의 타측단면 또는 타측단부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저류판(12)이 굴곡형으로 제작될 경우, 수목 주변을 원형 또는 다양한 굴곡진 형태로 설치될 경우, 결합홈(310)은 어느 하나의 저류판(12)의 일측단면에 함몰 형성되고, 결합턱(320)은 인접한 다른 저류판(12)의 타측단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저류판(12)은 배출로(14)가 더 형성된다.
이 배출로(14)는 지중 설치 시, 지중의 토양이 지상으로 토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저류판(12)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돌출 쇄기(16)가 형성되어 지중 설치 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저류판(12)의 하단부는 전면과 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뽀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저류부(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기둥(100)과 저류판(200)를 포함한다.
저류기둥(100)은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구비된다.
그리고 저류판(200)은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100)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결합부(300)는 저류판(200)을 저류기둥(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에 의하면, 해당 수목 주변으로 빗물을 저장하여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수목의 생육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저류기둥(100)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날카롭게 형성되는 말뚝이다.
이러한 저류기둥(100)은 배출로(110)가 더 형성된다.
이 배출로(110)는 지중 설치 시, 지중의 토양이 지상으로 토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저류판(200)은 일정 두께를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굴곡 형성된다.
이 저류판(200)은 일측부의 높이와 타측부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수목이 자라고 있는 지면이 평평할 경우, 동일한 높이의 저류판(200)을 사용하고, 경사진 지면에서 자랄 경우, 다른 높이를 갖는 저류판(200)을 사용하여 빗물을 저장시킨다.
물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 예의 저류부(10, 10')는 경사진 지면에서 자라는 수목에 설치되는 저류판(200)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판(200)은 상술한 다른 높이를 갖는 저류판(200)의 짧은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제작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저류판(20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돌출 쇄기(210)가 형성되어 지중 설치 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저류판(200)의 하단부는 전면과 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뽀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300)는 결합홈(310)과 결합턱(320)을 포함한다.
결합홈(310)은 저류기둥(10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턱(320)은 결합홈(310)에 대응되도록 저류판(20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300)는 이탈방지부(330)를 더 포함한다.
이 이탈방지부(330)는 결합홈(310)에 결합된 결합턱(320)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330)는 이탈방지홈(332)과 이탈방지돌기(334)를 포함한다.
이탈방지홈(332)은 결합홈(310)의 내측면에 함몰형성된다.
그리고 이탈방지돌기(334)는 이탈방지홈(332)에 대응되도록 결합턱(320)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방지홈(332)은 저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게 형성되고, 이탈방지돌기(334)는 이탈방지홈(3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 수위조절부(400)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에 의해 수목 주변에 저류된 빗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조절부(40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와 조절유입구(420) 및 조절배출구(430)를 포함한다.
임시저류공간부(410)는 저류판(12, 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유입구(420)는 수목 주변에 저장된 빗물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유입되도록 저류판(200)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다.
조절배출구(43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임시저장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출시키도록 저류판(20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어 일정 수위 이상 될 경우, 저장된 빗물이 조절유입구(420)를 통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이동되어 별도로 저장되어 저장된 빗물이 저류판(200)의 상측으로 넘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된 빗물에 의해 해당 저류판(200)의 중량을 중가시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된 빗물은 조절배출구(430)를 통해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부(400)는 공기출입부(440)를 더 포함한다.
이 공기출입부(440)는 조절유입구(420)를 통해 빗물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유입될 경우, 임시저류공간부(410)의 공기가 배출되어 용이한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수위조절부(400)는 제2조절배출구(45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조절배출구(45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되는 빗물이 일정 수위 이상 저장될 경우, 배출시키도록 저류판(200)의 외측면 상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조절배출구(450)의 형성된 높이는 조절유입구(4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수위조절부(400)는 물받이(460)가 더 구비된다.
이 물받이(460)는 제2조절배출구(450)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지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류판(200)의 외측면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물받이(460)의 상면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의 설치방법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라인 설정단계(S10)와 토양 굴착단계(S20), 저류기둥 설치단계(S30) 및 저류판 설치단계(S40)를 포함한다.
설치라인 설정단계(S10)는 빗물 저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설치라인을 설정한다.
그리고 토양 굴착단계(S20)는 설치라인을 따라 일정 폭으로 토양을 굴착한다.
저류기둥 설치단계(S30)는 굴착된 토양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저류기둥(100)을 설치한다.
또한 저류판 설치단계(S40)는 결합부(300)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100) 사이에 저류판(200)을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토양 굴착단계(S20)에서 굴착되는 폭은 저류판(2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저류판(200)의 상단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는 굴착되는 저면보다 지중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1 : 저류장치 10, 10' : 저류부
100 : 저류기둥 12, 200 : 저류판
300 : 결합부 400 : 수위조절부

Claims (10)

  1. 수목 주변을 감싸도록 지중에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저류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저류기둥; 및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류판;을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기둥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날카롭게 형성된 말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기둥은,
    지중 설치 시, 지중의 토양이 지상으로 토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을 따라, 배출로;가 더 형성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저류판의 일측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저류판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류기둥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저류판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결합턱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빗물 저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설치라인을 설정하는 설치라인 설정단계;
    상기 설치라인을 따라 일정 폭으로 토양을 굴착하는 토양 굴착단계;
    상기 굴착된 토양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저류기둥을 설치하는 저류기둥 설치단계; 및
    결합부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 사이에 저류판을 설치하기 위한 저류판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설치방법.
KR1020220023796A 2022-02-23 2022-02-23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30126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96A KR20230126517A (ko) 2022-02-23 2022-02-23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96A KR20230126517A (ko) 2022-02-23 2022-02-23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17A true KR20230126517A (ko) 2023-08-30

Family

ID=8784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96A KR20230126517A (ko) 2022-02-23 2022-02-23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4B (ko)
US6178690B1 (en) Plant cultivation mat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KR100739271B1 (ko) 식물 재배 매트용 저수 트레이 및 그 장치
US20090038214A1 (en)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US10064348B1 (en) Landscape border system
KR101188652B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KR100556096B1 (ko) 법면공사의 시공방법 및 법면공사용 고정구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20230126517A (ko)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CN208280285U (zh) 一种园林用自动浇灌排水系统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20230143520A (ko)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646507B2 (ja) グリーンベルト及びグリーンベルト用保水器具
KR100998674B1 (ko)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30143521A (ko)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490127B1 (ko) 절개지용 식생블록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CN214882721U (zh) 一种生态园林绿化步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