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521A -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21A
KR20230143521A KR1020220042547A KR20220042547A KR20230143521A KR 20230143521 A KR20230143521 A KR 20230143521A KR 1020220042547 A KR1020220042547 A KR 1020220042547A KR 20220042547 A KR20220042547 A KR 20220042547A KR 20230143521 A KR20230143521 A KR 20230143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device
storage
storage spac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근
민창현
신민지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주) 상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림원 filed Critical (주) 상림원
Priority to KR102022004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521A/ko
Publication of KR2023014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저장공간부를 갖고, 지중에 설치되는 저장몸통, 상기 저장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되어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 하기 위한 제2필터링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면서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돕고, 배수가 되지 않아 물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썩는 재질로 제작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Rainwater penetration with carbon storage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면서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돕고, 배수가 되지 않아 물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썩는 재질로 제작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을 옮겨심기한 후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또는 갈수기에 수목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목에 물을 줄 때에는 한꺼번에 많은 량을 흠뻑 주어 수목의 뿌리를 적셔줌이 바람직한다.
그러나 물은 경사를 따라 위 에서 아래로 흐르는 특징이 있어 수목에 물을 줄 때 지면으로 스며드는 수량에 비해 흘러 내려가는 수량이 훨씬 많게 되므로 수목의 뿌리까지 적실 정도로 충분히 물을 주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만큼 많은 량의 물이 필요 하게 되어 수목 물주기시 물낭비가 매우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비료를 주는 경우에도 그 비료가 모두 땅속에 녹아내리지 않고 많은 량이 비에 씻겨 흘러가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병충해 방지를 위한 농약 살포시에도 많은 량의 농약이 공기중에 흩어져 시비량 또는 농약량에 비해 그 효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2170898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빗물 유도공이 구비되어 지중으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빗물 유도공은 비가 올경우에만 사용됨은 물론, 일정 강우량이 유지되지 않으면, 빗물이 많이 모이지 않고, 집수량이 적어 수목 생육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저장공간부를 갖고, 지중에 설치되는 저장몸통, 상기 저장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되어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 하기 위한 제2필터링부,를 포함하여 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면서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돕고, 배수가 되지 않아 물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썩는 재질로 제작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저장공간부를 갖고, 지중에 설치되는 저장몸통, 상기 저장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되어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 하기 위한 제2필터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몸통은, 종이로 제작되며, 저장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이 스며들은 후, 지중으로 침투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몸통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지중으로 빗물의 침투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투수공은, 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는, 메쉬망으로 상기 저장몸통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부는,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저장격판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획되고, 각 구획된 상기 저장공간부에 제2필터링부가 각각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링부는, 조개탄, 숯,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된다.
또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굴착범위를 표시하는 설치위치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굴착범위를 굴착하는 굴착단계, 상기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굴착된 지중에 거치시키는 저장장치 거치단계, 및 거치된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주변에 흙을 메우는 매설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면서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돕고, 배수가 되지 않아 물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썩는 재질로 제작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는 저장몸통(510)과 필터링부(520), 및 제2필터링부(530)를 포함한다.
저장몸통(510)은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저장공간부(502)를 갖고, 지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필터링부(520)는 저장공간부(502)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필터링부(530)는 저장공간부(502)에 충진되어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에 의하면, 빗물이 저장몸통(510)의 저장공간부(502)로 유입되되, 필터링부(520)에 의해 이물질이 1차 필터링되어 유입되고, 제2필터링부(530)를 거치며 2차 필터리된 후, 저장몸통(510)에 투과되어 지중으로 침투된다.
그리고 이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는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물웅덩이가 상습적으로 생기는 곳이나 지정 식물을 감싸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저장몸통(510)은 종이로 제작되어 저장공간부(502)로 유입된 빗물이 스며들은 후, 지중으로 서서히 침투되는 것으로,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빗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제작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중에 설치됨에 따라, 장시간 후, 썩어서 환경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며, 빗물 투과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재질이면 제작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장몸통(510)은 복수의 투수공(512)이 형성된다.
이 복수의 투수공(512)은 저장몸통(5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저장공간부(502)에 저장된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켜 침투수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투수공(512)은 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흙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빗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필터링부(520)는 메쉬망으로 저장몸통(5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 필터링부(520)인 메쉬망은 복수 구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각 구멍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이물질을 크기별로 필터링하여 제거할 수 있다.
물론, 각 메쉬망은 저장몸통(51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각각 세척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기사용 시, 저장몸통(510)이 썩을 경우, 필터링부(520)를 수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이 필터링부(520) 역시, 썩는 재질로 제작하여 별도의 수거작업 없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저장몸통(510)은 저장격판(514)을 더 포함한다.
이 저장격판(514)은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저장공간부(502)를 구획시킨다.
각 구획된 저장공간부(502)는 제2필터링부(530)가 각각 충진된다.
여기서, 제2필터링부(530)는 조개탄, 숯,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저장공간부(502)에 충진된다.
이에,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하여 지중으로 침투시킴에 따라, 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지중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효유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의 설치방법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위치 설정단계(S510)와 굴착단계(S520), 저장장치 거치단계(S530) 및 매설단계(S540)를 포함한다.
설치위치 설정단계(S510)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굴착범위를 표시한다.
그리고 굴착단계(S520)는 설정된 굴착범위를 굴착한다.
저장장치 거치단계(S530)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를 굴착된 지중에 거치시킨다.
또한 매설단계(S540)는 거치된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 주변에 흙을 메워 매설을 마무리한다.
이에, 상습 침수지역에 대한 해소는 물론, 지면이나 포장된 노면을 따라 배출되는 빗물을 저장 및 지중으로 천천히 침투시킬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500)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를 더 포함한다.
이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는 도 3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기둥(100)과 저류판(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저류기둥(100)은 수목 주변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구비된다.
그리고 저류판(200)은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100)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결합부(300)는 저류판(200)을 저류기둥(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에 의하면, 해당 수목 주변으로 빗물을 저장하여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수목의 생육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저류기둥(100)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날카롭게 형성되는 말뚝이다.
이러한 저류기둥(100)은 배출로(110)가 더 형성된다.
이 배출로(110)는 지중 설치 시, 지중의 토양이 지상으로 토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저류판(200)은 일정 두께를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굴곡 형성된다.
이 저류판(200)은 일측부의 높이와 타측부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수목이 자라고 있는 지면이 평평할 경우, 동일한 높이의 저류판(200)을 사용하고, 경사진 지면에서 자랄 경우, 다른 높이를 갖는 저류판(200)을 사용하여 빗물을 저장시킨다.
물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에서 자라는 수목에 설치되는 저류판(200)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판(200)은 상술한 다른 높이를 갖는 저류판(200)의 짧은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제작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저류판(20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돌출 쇄기(210)가 형성되어 지중 설치 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저류판(200)의 하단부는 전면과 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뽀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300)는 결합홈(310)과 결합턱(320)을 포함한다.
결합홈(310)은 저류기둥(10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턱(320)은 결합홈(310)에 대응되도록 저류판(20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300)는 이탈방지부(330)를 더 포함한다.
이 이탈방지부(330)는 결합홈(310)에 결합된 결합턱(320)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330)는 이탈방지홈(332)과 이탈방지돌기(334)를 포함한다.
이탈방지홈(332)은 결합홈(310)의 내측면에 함몰형성된다.
그리고 이탈방지돌기(334)는 이탈방지홈(332)에 대응되도록 결합턱(320)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방지홈(332)은 저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게 형성되고, 이탈방지돌기(334)는 이탈방지홈(3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 수위조절부(400)는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에 의해 수목 주변에 저류된 빗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조절부(40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와 조절유입구(420) 및 조절배출구(430)를 포함한다.
임시저류공간부(410)는 저류판(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유입구(420)는 수목 주변에 저장된 빗물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유입되도록 저류판(200)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다.
조절배출구(43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임시저장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출시키도록 저류판(20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어 일정 수위 이상 될 경우, 저장된 빗물이 조절유입구(420)를 통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이동되어 별도로 저장되어 저장된 빗물이 저류판(200)의 상측으로 넘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된 빗물에 의해 해당 저류판(200)의 중량을 중가시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된 빗물은 조절배출구(430)를 통해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부(400)는 공기출입부(440)를 더 포함한다.
이 공기출입부(440)는 조절유입구(420)를 통해 빗물이 임시저류공간부(410)로 유입될 경우, 임시저류공간부(410)의 공기가 배출되어 용이한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수위조절부(400)는 제2조절배출구(45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조절배출구(450)는 임시저류공간부(410)에 저장되는 빗물이 일정 수위 이상 저장될 경우, 배출시키도록 저류판(200)의 외측면 상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조절배출구(450)의 형성된 높이는 조절유입구(4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수위조절부(400)는 물받이(460)가 더 구비된다.
이 물받이(460)는 제2조절배출구(450)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지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류판(200)의 외측면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물받이(460)의 상면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10)의 설치방법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라인 설정단계(S10)와 토양 굴착단계(S20), 저류기둥 설치단계(S30) 및 저류판 설치단계(S40)를 포함한다.
설치라인 설정단계(S10)는 빗물 저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설치라인을 설정한다.
그리고 토양 굴착단계(S20)는 설치라인을 따라 일정 폭으로 토양을 굴착한다.
저류기둥 설치단계(S30)는 굴착된 토양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저류기둥(100)을 설치한다.
또한 저류판 설치단계(S40)는 결합부(300)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류기둥(100) 사이에 저류판(200)을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토양 굴착단계(S20)에서 굴착되는 폭은 저류판(2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저류판(200)의 상단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는 굴착되는 저면보다 지중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500 :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510 : 저장몸통
520 : 필터링부 530 : 제2필터링부
10 : 저류장치 100 : 저류기둥
200 : 저류판 300 : 결합부
400 : 수위조절부

Claims (7)

  1.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저장공간부를 갖고, 지중에 설치되는 저장몸통;
    상기 저장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되어 유입된 빗물을 2차 필터링 하기 위한 제2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통은,
    종이로 제작되며, 저장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이 스며들은 후, 지중으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통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지중으로 빗물의 침투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메쉬망으로 상기 저장몸통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부는,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저장격판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획되고,
    각 구획된 상기 저장공간부에 제2필터링부가 각각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링부는,
    조개탄, 숯,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저장공간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굴착범위를 표시하는 설치위치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굴착범위를 굴착하는 굴착단계;
    상기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를 굴착된 지중에 거치시키는 저장장치 거치단계; 및
    거치된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주변에 흙을 메우는 매설단계;를 포함하는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의 설치방법.
KR1020220042547A 2022-04-05 2022-04-05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30143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47A KR20230143521A (ko) 2022-04-05 2022-04-05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47A KR20230143521A (ko) 2022-04-05 2022-04-05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21A true KR20230143521A (ko) 2023-10-12

Family

ID=8829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547A KR20230143521A (ko) 2022-04-05 2022-04-05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91982B (zh) 一种岩质边坡绿化及其集雨蓄水灌溉系统
CN108571058A (zh) 一种新型市政道路雨水导流装置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JP2007267731A (ja) 緑化システム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CZ301388B6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CN112982072A (zh)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CN217896674U (zh) 雨水收集灌溉系统
CN207987674U (zh) 一种道路路缘石渗透装置以及海绵城市道路
KR20230143521A (ko) 빗물 침투 겸용 탄소 저장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208280285U (zh) 一种园林用自动浇灌排水系统
JP5108225B2 (ja) 緑化容器
CN116335085A (zh) 一种水利工程生态护坡蓄水装置及蓄水方法
JP2003102278A (ja) 底面灌水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中央分離帯及び底面灌水プランター
KR20230143520A (ko) 수목용 빗물 저류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113374026A (zh) 一种西南丘陵地区坡地路带沟雨水收集与再利用系统
CN211816760U (zh) 一种便于植被生长的装配式绿化带结构
CN211745621U (zh) 一种蓄水树池
JP3191153U (ja) 緑化用植栽基盤
CN113789795A (zh) 一种公路边坡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46723Y1 (ko) 덩굴식물과 관목식물의 식생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GB2489455A (en) A drainage system for a tree pit
CN213296567U (zh) 一种园林用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