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103A -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103A
KR20230125103A KR1020237027887A KR20237027887A KR20230125103A KR 20230125103 A KR20230125103 A KR 20230125103A KR 1020237027887 A KR1020237027887 A KR 1020237027887A KR 20237027887 A KR20237027887 A KR 20237027887A KR 20230125103 A KR20230125103 A KR 2023012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audio
parameters
parameter
communic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투안 소울리어
토마스 지라디에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305702.3A external-priority patent/EP3745813A1/en
Priority claimed from EP19306521.6A external-priority patent/EP3829129A1/en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2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오디오 소스와 블루투스 오디오 싱크 사이, 또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제2 장치와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 값의 변경 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소스 장치와 블루투스 멀티미디어(오디오 또는 비디오) 싱크 장치 간의 통신 링크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configuration)"은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세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를 "구성 파라미터"라고 한다. "구성 수정"은 구성 파라미터 세트 중 하나 또는 여러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싱크 장치는 블루투스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는 전기 오디오 신호를 해당 소리로 변환하는 모든 전기음향 변환기를 의미한다. "라우드스피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시스템의 오디오 스피커, 헤드폰, 이어버드, 보청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소스 장치(또는 단순히 "소스 장치" 또는 "소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컴퓨터, 태블릿, 텔레비전, 스테레오 시스템의 제어 장치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스 장치를 "마스터 장치"라고도 한다.
블루투스는 연속적인 버전을 발행한 조직 그룹(블루투스 SIG)에 의해 관리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통신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양방향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Personal Zone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를 지정하는 피코넷 네트워크). 따라서 블루투스 장비의 범위는 수십 미터로 제한된다. 블루투스는 UHF 대역(300MHz ~ 3GHz)에 있는 전파를 사용한다. 블루투스는 케이블 연결을 제거하여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는 소스 멀티미디어 장치(하이파이 시스템, 카 라디오, 컴퓨터, 태블릿, 휴대전화 등)가 무선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배열된 스피커와 같은 멀티미디어 싱크 장치 사이의 케이블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스피커는 높은 휴대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일반적으로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블루투스 링크 구성은 연결이 설정될 때 결정되며 이후에는 수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는 싱크 장치의 오디오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보낼 수 있고, 응답에 기초하여 링크의 적절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블루투스 대역폭에 기초하여 오디오 비트 레이트를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몇몇 방법이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US 8,031,658은 블루투스 연결 조건에 따라 코덱에서 사용되는 비트율을 동적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US 2013/0304458은 소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어기는 통신하는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라미터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이전의 기술은 오디오 끊김을 방지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연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만 제안한다.
그러나 블루투스 장치 간의 연결을 설정할 때 채택된 구성이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링크 구성을 동적으로 수정하는 것이 흥미로운 다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반드시 연결 파라미터가 아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소스 장치와 블루투스 멀티미디어 싱크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의 구성(오디오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2 장치와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 값의 변경 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블루투스 BR/EDR(Bluetooth Basic Rate/Enhanced Data Rate)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저에너지(BLE)를 포함한 모든 블루투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코어 스펙 버전 5.1 또는 이전 버전의 블루투스 코어 스펙에 설명된 대로)에 따라 설정된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와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블루투스 호스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블루투스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배터리 레벨,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읽기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품질 중 하나일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구성 파라미터는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 또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파라미터는, 코덱의 유형, 코덱과 관련된 파라미터, 데이터 유형, 오디오 채널 선택 파라미터, 또는 샘플링 속도 파라미터 중 하나의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는 구성 파라미터는, 플러시 타임아웃 파라미터, 채널 유형 파라미터,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다수의 재전송 파라미터, BLE 링크 파라미터들 중 파라미터, 패킷 유형 파라미터, 및 최대 전송 유닛(MTU) 파라미터 중 하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블루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칩,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장치와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 값의 변경 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의 운영 체제와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블루투스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호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블루투스 호스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배터리 레벨,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읽기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품질 중 하나일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구성 파라미터는 하나의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또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파라미터는, 코덱의 유형, 코덱과 관련된 파라미터, 데이터 유형, 오디오 채널 선택 파라미터, 또는 샘플링 속도 파라미터 중 하나의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는 동작 파라미터는, 플러시 타임아웃 파라미터, 채널 유형 파라미터,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다수의 재전송 파라미터, BLE 링크 파라미터 중 파라미터, 패킷 유형 파라미터, 및 최대 전송 유닛(MTU) 파라미터 중 하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일 수 있다.
다른 양태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드 가능하고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장치가 위의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유형은 자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고정 광학 저장 매체, FPGA(field programable gate arrays), 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플래시-RAM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독립 실행형이거나 더 큰 블루투스 지원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블루투스 소스 장치는 블루투스 싱크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수행한다. 블루투스 소스 장치는 또한 동작 파라미터 변경을 검출하고,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라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싱크 장치로의 구성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작 파라미터의 변화의 검출은,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및/또는 블루투스 소스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의 정보 교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블루투스 소스 장치는 여기에 설명된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싱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왼쪽 또는 오른쪽 스피커 끄기, 음향 조건 변경, 스테레오 또는 모노 모드 간 전환, 낮은 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블루투스 싱크 장치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단계, 동작 파라미터의 국부적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 블루투스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변경한 다음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블루투스 싱크 장치는 메시징을 통해 블루투스 소스 장치에 대한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을 표시한 다음 블루투스 소스 장치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구성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고, 또는 선호하는 구성 파라미터를 결정한 다음 원하는 구성 변경을 수행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회로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는 제2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칩, 동작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회로,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하기 위한 결정 회로, 설정된 통신 링크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 및 결정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블루투스 장치는 오디오 정보를 제2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모듈은 제2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출력 디지털 데이터를 제2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처리 회로를 포함함-,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레벨을 갖는 배터리,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운영 체제 계층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블루투스 제어 프로세스는 무선 주파수 처리 유닛을 사용하여 제2 장치와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무선 링크는 제1 구성을 가짐-; 및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관련 정보의 동작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라 링크의 구성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의 도면에서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1 실시예의 표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가능한 실시예의 표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3 실시예의 표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가능한 실시예의 표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의 흐름도의 단계들은 마스터 장치 및/또는 싱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계(101)에서, 마스터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 이 무선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 표준에 의해 정의된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사용하는 블루투스 링크일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정보는 설정된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102)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포함하는 오디오 또는 스테레오 스트림일 수 있다.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는 마스터 장치 및 싱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을 검출(103)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변경은 해당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가 무엇이든 간에 마스터 장치 측에서 또는 싱크 장치 측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는 자신의 동작 파라미터 중 하나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지만, 싱크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검출되지 않는 한(단계 103, "N"), 이 구성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구성은 수정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는 이 통신 링크를 통해 계속해서 전송된다(102).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검출되면(단계 103, 'Y"), 마스터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가 결정된다(104).
그런 다음 통신 링크의 구성은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변경되어 이 동작 모드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소스 장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를 위해, 통신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파라미터가 수정된다(105). 오디오 데이터는 그 후 이 재구성된 링크를 통해 송신/수신된다(102).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장치이다. 즉, 동작 파라미터는 마스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파라미터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시작되거나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게임, 비디오 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등)이거나 블루투스 장치에서 시작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예: 사용자가 Spotify®를 사용 중이고 스마트폰에서 Youtube®를 시작함).
실제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링크의 구성을 수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샘플링 속도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샘플링 속도가 현재 블루투스 장치에서 시작된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와 일치하도록 블루투스 오디오 링크를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따라서 오디오 패킷을 보내기 전에 리샘플링을 회피).
다른 예에 따르면,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저지연 모드를 활성화해야 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장치인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파라미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읽기 모드(예를 들어, 모노/스테레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동작 파라미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품질(예를 들어, 압축 레벨, 고/표준/저선명 등)일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마스터 장치 또는 싱크 장치의 물리적 컴포넌트,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마스터 장치 및 싱크 장치 중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와 관련된 모드 또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는 마스터 또는 싱크 장치의 전력 소모(예: 절전 모드), 콘텐츠의 품질(예: 고품질 모드), 지연 등과 관련될 수 있다.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통신 링크의 "구성(configuration)"은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구성 파라미터의 세트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링크와 관련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및 적용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Baseband" 빌딩 블록, lMP("link Manager Protocol") 빌딩 블록,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빌딩 블록 또는 " 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 ")와 같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정의한 로우-레벨 빌딩 블록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파라미터는 재전송 횟수, 패킷 유형, MTU, 소스 장치의 버퍼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 패킷의 만료 기간을 정의하는 FTO(또는 "Flush Timeout") 값, L2CAP 채널에 전송될 패킷을 포함하는 것과 그 효과적인 전송 사이의 최대 대기 시간을 정의하는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용 파라미터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라미터, 즉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블루투스 표준에서 오디오 전송은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 의해 정의된다. A2DP 프로파일은 오디오 스트림을 설정하고 오디오 스트림 파라미터를 교섭하고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장치 간의 절차를 정의하는 AVDTP(Audio/Video Distribution Transport Protocol)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오디오 전송의 경우 적용 파라미터는,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데 사용할 코더/디코더(코덱) 유형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르면 SBC("낮은 복잡도 서브밴드 코덱"용)는 모든 블루투스 장치에서 지원해야 하는 유일한 코덱이지만 AAC(Advanced Audio Coding), LDAC 또는 Apt-X와 같은 다른 코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코덱 유형을 선택하면 오디오 콘텐츠 품질이 향상되거나 저하될 수 있다-;
-코덱과 관련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비트 전송률, 채널 구성(모노, 스테레오 또는 조인트 스테레오) 등);
- 각 오디오 채널에 대해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 유형(예를 들어 " 왼쪽", "오른쪽" 또는 둘의 조합(예: (왼쪽 + 오른쪽)/ 2);
- 샘플링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 시 새로운 동작 모드의 결정은 자동으로(예: 배터리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이거나 배터리 레벨의 미분값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절전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또는 사용자 액션(예: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할 때 "게이밍 모드"가 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게임을 종료할 때 동작 모드가 "게이밍 모드"에서 "표준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에 의해 수동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결정된 동작 모드에 기반한 통신 링크 구성의 수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AVDTP의 "재구성 명령"(AVDTP 스펙에서 정의됨)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스트림 내에 참여하는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스트림을 일시 중단하기 위한 "스트리밍 절차 중단(suspend Streaming Procedure)"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재구성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재구성 후 "스트리밍 절차 시작(start Streaming Procedure)"을 사용하여 스트리밍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절차를 중단할 필요가 없는 통신 링크를 재구성하기 위해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SBC 코덱의 비트풀(bitpool)을 변경하여 비트 전송률을 줄임). 따라서 통신 링크는 스트리밍을 중단하지 않고 동적으로 재구성된다.
예시 목적으로만, 도 1의 방법의 일부 예가 아래에 제공된다. 이러한 예 중 일부는 다양한 가능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아래 표를 기반으로 한다.
동작 파라미터
동작 모드 링크 구성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또는 사용자 수동 입력에 대한 배터리 로우 이벤트
절전 모드 낮은 복잡도 코덱, 낮은 비트레이트, 버스트 패킷 스케줄링
사용자 수동 입력, 실시간 비디오 애플리케이션(PUBG, Fortnite), 또는 트리거된 게이밍의 시작
저지연 모드 저지연 코덱, 몇 번의 재전송, 버스트를 피하기 위한 정확한 패킷 스케줄링
사용자 수동 입력, 또는 트리거된 오디오 애플리케이션(Spotify, Apple Music)의 시작

고품질 모드 고품질 코덱, 최대 비트레이트(비트률), 최대 재전송
이전 동작 모드의 종료(배터리 비부족, 게이밍/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표준 모드 디폴트 구성
탭 1. 동작 모드의 예무선 통신 링크가 이미 설정되고(101)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102).
첫 번째 예에서, 동작 파라미터(operational parameter)는 (마스터 장치 또는 싱크 장치의) 배터리 레벨이다. 단계 103에서, 방법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는 배터리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이하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4)에서 통신 링크의 현재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수정될 수 있다고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다음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정될 수 있다(단계 105):
- 코덱 복잡도: 예를 들어, 더 낮은 복잡도를 갖는 코덱, 즉 더 적은 처리 능력을 요구하는 코덱 압축 기술을 기반으로 함,
- 코덱 비트 레이트: 예를 들어, 더 낮은 비트 레이트를 갖는 코덱이 사용될 수 있음;
- 패킷 스케쥴러: 예를 들어, 버스트 트래픽에 적합한 패킷 스케쥴러가 사용될 수 있다. "버스트 트래픽"이란 마스터 장치의 스케줄러가 하나의 큰 패킷 또는 여러 개의 연속 패킷으로 보내기 전에 더 많은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이어버드/스마트폰의 칩셋이 중간에 슬리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스니프 또는 홀드 모드 사용).
다른 구성 파라미터,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수 있다(단계 105):
-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의 데이터 속도,
-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속도;
-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모든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 예를 들어 코덱 유형, 코덱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 유형, 오디오 채널 선택 파라미터, 샘플링 속도 파라미터 등이다.
다른 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이다. 103단계에서 마스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게임 또는 실시간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통신 링크의 현재 동작 모드가 "저지연 모드(low-latency mode)"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단계(104)에서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정될 수 있다(단계 105):
- 코덱 레이턴시(지연): 레이턴시가 낮은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고품질(및 고대역폭), 즉 G.71 1과 같은 높은 MOS(Mean Opinion Score)와 관련된 코덱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덱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디코딩 대기시간(지연)이 가장 적게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 재전송 횟수: 이 횟수는 작게 선택될 수 있다.
- 패킷 스케줄러: 예를 들어 버스트 트래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패킷 스케줄러가 마스터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러는 너무 많은 버퍼링(대기 시간(지연) 증가)을 피하기 위해 작은 패킷이 적시에 전송되는 것을 선호한다.
여전히 동작 파라미터가 애플리케이션 유형인 경우, 단계 103에서 애플리케이션 유형(예: 게임, 오디오 또는 실시간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이 마스터 장치에서 종료되는 것이 검출되면, 통신 링크의 현재 동작 모드가 디폴트 구성 파라미터를 갖는 "표준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단계(104)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모드"는 동작 파라미터가 배터리 레벨인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고, 단계 103에서 배터리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다시 초과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특정 오디오 애플리케이션(Spotify®, Apple Music®)이다. 단계 103에서 하나의 특정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이 마스터 장치에서 시작되었음을 검출하면 단계 104에서 통신 링크의 현재 동작 모드가 "고품질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정될 수 있다(단계 105):
- 코덱 품질: 높은 품질(및 높은 대역폭)의 코덱, 즉 높은 MOS와 관련된 코덱이 사용될 수 있다.
- 코덱 비트 레이트: 예를 들어, 최대 비트 레이트를 갖는 코덱이 사용될 수 있음;
- 재전송 횟수: 이 횟수는 최대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103)이 고도로 압축된 소스에서 덜 압축된 소스로의 오디오 소스의 변경에 대응하는 경우,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105)은,
- 코덱 구성 파라미터를 더 높은 압축에서 더 낮은 압축으로 변경하고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처리량 파라미터의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 무선 통신 링크에 대한 MTU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가 스마트폰이고 슬레이브 시스템(201)이 2개의 이어버드를 포함하는 경우,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103)은 더 높은 품질의 소스에서 더 낮은 품질의 소스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로컬 소스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통신 링크는 변경에 응답하여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더 높은 품질의 링크로부터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더 낮은 품질의 링크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2, 3,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3 및 4에서, 마스터 장치(203)는 컴퓨터, 태블릿 장치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소스 장치일 수 있다. 마스터 장치(203)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장치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시스템(201)에 연결될 수 있다. 슬레이브 시스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이어버드/이어폰, 블루투스 이어버드/이어폰 쌍, 블루투스 라우드스피커 또는 복수의 블루투스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
다수의 싱크 장치(예: 한 쌍의 이어버드)가 있는 경우, 마스터 장치(203)는 마스터 장치(203)와 복수의 싱크 장치들(201) 사이에 점대다점 링크(point-to-multipoint link)를 생성함으로써 싱크 장치들(201)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SEP를 생성하도록 배열된 블루투스 칩(도 2에 나타내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칩은 각 싱크 SEP(제어해야 하는 각 블루투스 싱크 장치에 해당)에 대해 고유한 소스 SEP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소스(203)에서 싱크 장치(201) 각각으로의 점대점 링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그리고 이 구현을 위해, 그러한 점대다점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수정된 A2DP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칩을 제안하는 애플리케이션 EP17182123.4를 참조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203)로부터 싱크 장치들 각각으로의 각각의 링크는 재구성될 수 있다.
물론, 마스터 장치(203)로부터 복수의 싱크 장치들(201)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솔루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203), 제1 이어버드 및 제2 이어버드(이어버드(201) 쌍의 경우) 사이에 체인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이어버드는 제1 무선 링크, 예를 들어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사용하는 블루투스 링크에 따라 마스터 장치(203)에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채널 모두에 대한 스테레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스트림은 마스터 장치(203)에서 제1 이어버드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이어버드는,
- 두 채널 중 하나(예: 왼쪽 채널)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만 재생하고
-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예: True Wireless 스테레오) 또는 NFMI(Near Field Magnetic Induction) 링크일 수 있는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다른 채널에 대한 모노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이어버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솔루션은 마스터 장치(203)에서 2개의 이어버드 중 하나로의 무선 링크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이어버드는 무선 링크를 "스니핑(sniff)"(또는 "스누핑(snoop)")하도록 구성된다. 이 솔루션에 따르면, 제1 이어버드는 제1 무선 링크, 예를 들어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사용하는 블루투스 링크에 따라 마스터 장치(203)에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채널 모두에 대한 스테레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킷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스트림은 마스터 장치(203)에서 제1 이어버드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어버드는 제2 무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에 따라 제2 이어버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어버드 및 제2 이어버드는 제2 이어폰이 제1 링크를 스니핑하고 오른쪽 채널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니핑/디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일부 파라미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링크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교환되지 않는다. 이 솔루션에 따르면, 제2 이어버드는 마스터 장치(203)에 연결되지 않고, 제1 무선 링크를 스니핑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203)는, 오디오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20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 슬레이브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들어오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가는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장치(201)로 전송되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처리 회로;
-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레벨을 갖는 배터리;
-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
-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운영 체제 계층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203)는 오디오 정보를 한 쌍의 이어버드(201)에 전송하기 위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이어버드는 좌측 이어버드 및 우측 이어버드를 포함하고, 마스터 장치는:
- 이어버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어버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유닛;
-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레벨을 갖는 배터리;
-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유닛;
-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운영 체제 계층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1 실시예의 표현이다.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서로 다른 유형의 코덱(예: SBC, LDAC, Apt-X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코덱은 하나 또는 여러 가능한 비트 전송률(레이트)(예: 990kbits/s, kbps 또는 660kbps의 LDAC)과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상이한 가능한 비트 레이트에서 한 유형의 코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배터리 레벨(202a, 202b)을 갖고 배터리 레벨(202a, 202b)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예를 들어, 최대 배터리 레벨의 20%) 아래로 떨어질 때 마스터 장치(203)에 낮은 배터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 부족 신호는 BLE(블루투스 Low Energy) 전송 또는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보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슬레이브 시스템(201)의 배터리 레벨(202a, 202b)이다. 배터리 레벨(202a, 202b)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진다는 사실은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에 대응한다. 새로운 동작 모드는 절전 모드일 수 있고, 링크의 재구성(또는 point-to-multipoint 전송의 경우 링크)은 코덱의 유형 및/또는 비트 레이트를 수정(예: 비트 전송률 감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시스템(201)의 배터리 레벨(202a)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동안, 마스터 장치(203)는 제1 코덱 유형(예: 990kbps의 스테레오 LDAC)을 통해 처리된 오디오 패킷을 슬레이브 시스템(201)에 전송할 수 있다(204). 슬레이브 시스템(201)의 배터리 레벨(202b)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배터리 부족 신호를 마스터 장치(203)에 전송(205)한다. 이 낮은 배터리 신호를 수신하면(205), 마스터 장치(203)에서 블루투스 오디오 링크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슬레이브 시스템(201)으로 전송될 오디오 패킷(206)은 제2 코덱 유형 (예: 328kbps의 스테레오 SBC)을 통해 처리된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부족 신호(낮은 배터리 신호)의 수신(205) 시, 마스터 장치(203)가 절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는 확인을 사용자로부터 요청하는 메시지가 마스터 장치(203)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링크 구성의 수정은 사용자의 명시적 동작에 의해 트리거된다. 또는, 마스터 장치(203)는 사용자의 확인 없이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아무런 조치 없이 링크/링크 구성의 수정이 트리거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시스템(201)의 배터리 레벨(202a)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보다 높은 동안, 마스터 장치(203)는 제1 코덱 유형(예를 들어, 990kbps의 스테레오 LDAC)을 통해 처리된 오디오 패킷을 슬레이브 시스템(201)에 전송할 수 있다(204). 슬레이브 시스템(201)의 배터리 레벨(202b)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슬레이브 시스템(201)에서 통신 링크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결정된다.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그 다음 이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장치(203)에 보낼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한 후, 마스터 장치(203)는 슬레이브 시스템(201)으로 전송하기 전에 제2 코덱 유형을 갖는 오디오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동작 파라미터가 마스터 장치(203)의 배터리 레벨인 경우에도 유사한 재구성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장치(203)의 배터리의 저전력 레벨이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시 일부 구성 파라미터가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에 대한 데이터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가능한 실시예의 표현이다.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상이한 유형의 코덱(예를 들어, SBC, LDAC, Apt-X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코덱은 하나 이상의 가능한 비트 레이트(예: 990kbit/s, kbps 또는 660kbps의 LDAC)와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상이한 가능한 비트 레이트에서 한 유형의 코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마스터 장치(203)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3)에서 런칭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할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Youtubeⓒ 대신 Spotifyⓒ를 사용하는 경우)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검출된다. 실제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예: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샘플링 속도를 가질 수 없을 수 있다. 샘플링 속도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와 일치하도록 블루투스 오디오 링크를 재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은 마스터 장치(203)의 오디오 서버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샘플링해야 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는 오디오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링크/링크 구성의 수정은 사용자의 동작(액션)(애플리케이션 변경)에 의해 암시적으로 트리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디오 패킷이 제1 샘플링 레이트(예: 48000Hz의 샘플링 주파수 및 328kbps의 비트 전송률에서 스테레오 SBC)로 제1 코덱에 의해 처리되고 오디오 슬레이브 시스템(201)으로 전송되는(301) 제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3)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시작(302)할 때, 코덱의 샘플링 주파수 및/또는 비트 레이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변경 후에 오디오 패킷은 제2 샘플링 속도(예: 44100Hz의 샘플링 주파수 및 328kbps의 비트 전송률에서 스테레오 SBC)로 제2 코덱에 의해 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3 실시예의 표현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작 파라미터는 마스터 장치(203)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예: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PUBG, Fortniteⓒ 등)이다.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3)에서 주어진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검출된다. 실제로 일부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는 특정 동작 모드가 필요하며, 예를 들어 더 나은 게임 경험을 위해서는 저지연(low-latency) 모드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슬레이브 시스템(201)이 이러한 저지연 모드를 지원한다면, 마스터 장치(203)와 슬레이브 시스템(201) 사이의 링크를 낮은 레이턴시(저지연) 구성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서, 링크/링크의 구성 수정은 사용자의 동작(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시작)에 의해 암시적으로 트리거된다.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기 전에, 마스터 장치(203)와 슬레이브 시스템(201)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링크는 오디오 패킷이 제1 레이턴시(지연)를 갖는 제1 코덱에 의해 처리되고 오디오 슬레이브 시스템(201)으로 전송되는(401) 제1 동작 모드(예: 소스와 디코딩된 오디오 간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는 표준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3) 상에서 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을 실행(402)할 때, 코덱은 제1 레이턴시(지연 또는 지연시간)보다 훨씬 더 낮은 제2 레이턴시를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오디오 패킷은 새로운 코덱에 의해 처리되고 마스터 장치(203)에서 슬레이브 시스템(201)으로 전송된다(403). 이러한 저지연 모드는 다른 상황에서, 예를 들어 동작 파라미터가 오디오 데이터의 로컬 소스이고 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예: 음악 재생에서 비디오 게임으로 전환)에 대응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다음 구성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수정할 수 있다:
- 패킷 재전송의 최대 횟수를 줄일 수 있다;
- MTU가 줄어들 수 있다;
- 최대 플러시 타임아웃(Flush Timeout) 파라미터가 줄어들 수 있다.
물론 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U와 샘플링 속도를 모두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능한 제4 실시예의 표현이다.
이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시스템(201)은 한 쌍의 이어버드(201a, 201b)로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각 이어피스는 각각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오디오 콘텐츠의 경우, 제1 이어버드(201a)는 2개의 채널 중 하나(예: 오른쪽 채널)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이어버드(201b)는 2개의 채널 중 다른 하나(예: 왼쪽 채널)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명의 사용자(501, 502)가 다른 사용자(502)와 오디오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각 사용자(501, 502)는 마스터 장치(203)에 연결된 한 쌍의 이어버드 중 각자의 이어버드(201a, 201b)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에서는 각 사용자(501, 502)가 두 채널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오디오 콘텐츠만 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501, 502)에 대한 청각적 편안함이 부족하다.
따라서, 각 이어버드(201a, 201b)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503, 504)가 스테레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이 흥미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구성에서, 오디오 패킷의 전송은 제1 코덱(예를 들어, SBC 코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오른쪽 이어버드(201a)는 오른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왼쪽 이어버드(201b)는 왼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코덱은 포워딩 구조의 경우 스테레오 코덱일 수 있고, 점대다점 구조의 모노 코덱일 수 있다.
공유 모드에서 오디오 패킷의 전송은 제2 코덱(예: SBC 코덱)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패킷은 왼쪽 및 오른쪽 채널 모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양쪽 이어버드(201a, 201b)로 전송(503, 504)된다. 따라서, 양쪽 이어버드(201a, 201b)는 수신된 패킷을 기반으로 동일한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코덱은 모노 코덱이거나 두 채널에서 동일한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코덱일 수 있다. 오디오 콘텐츠는 예를 들어 왼쪽 채널과 대응하는 오른쪽 채널의 다운믹스된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마스터 장치(203)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201)에서 "공유 모드(sharing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링크 구성의 수정은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명시적으로 트리거된다.
대안적으로, 공유 모드는 예를 들어 2개의 이어버드(201a, 201b)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이다. 이러한 장치는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600)는 컴퓨터를 포함하고, 이 컴퓨터는 회로에 로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명령이 회로(PROC)(604)에 의해 실행될 때 회로(604)가 본 발명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메모리(MEM)(605)를 포함한다.
메모리(605)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회로(604)는 예를 들어:
- 컴퓨터 언어로 명령어를 해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장치 -프로세서 또는 처리 장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메모리와 관련될 수 있거나, 메모리에 부착될 수 있음-, 또는
- 프로세서/처리 장치와 메모리의 연관(association) - 프로세서 또는 처리 장치는 컴퓨터 언어로 명령어를 해석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포함함-, 또는
- 본 발명의 단계가 실리콘 내에 기술된 전자 카드, 또는
- FPGA 칩과 같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 칩(≪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용)일 수 있다.
이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의 값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INP)(603), 및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OUTP)(606)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크린(601) 및 키보드(602)가 제공될 수 있고 컴퓨터 회로(60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표시된 블록 다이어그램은 일부 명령이 설명된 장치(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예이다. 따라서 도 1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반 알고리즘의 흐름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동작은 메모리(605)의 제1 섹션에 저장된 블루투스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 동작 파라미터는 메모리(605)의 제2 섹션에 저장된 운영 체제로 결정된다. 추가적으로, 운영 체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하여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605)의 제3 섹션에 위치한다. 이러한 기능을 유리하게 분리하면 동시에 다른 기능을 변경할 필요 없이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위에 제시된 것 이외의 다른 변형 및 기타 상황으로 확장된다.
예를 들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오디오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회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오디오 코덱의 음질(사운드 품질) 구성 파라미터를 더 높은 품질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오디오 코덱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를 처리한다.
음질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오디오 코덱에 대한 샘플링 레이트, 오디오 코덱 선택 파라미터, 또는 모노에서 스테레오로 채널 구성을 변경하는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이 오디오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회의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 구성 파라미터의 수정은 채널 구성 파라미터를 단방향 오디오 링크에서 양방향 오디오 링크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시스템(201)이 두 개의 이어버드(201a, 201b)로 구성되는 경우, 두 개의 이어버드 중 하나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 이 이어버드에 대한 통신 링크가 중단된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이어버드가 비활성화된 것으로 검출될 수 있고, 채널 구성이 스테레오에서 모노로 전환될 수 있다. 하나의 이어버드의 비활성화는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테레오 소스에서 모노 소스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로컬 소스 변경이 검출될 때도 유사한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스테레오 링크에서 모노 링크로 재구성될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는 그 다음 모노 포맷으로 이어버드에 전송된다.
선택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에 설명된 각 방법의 특정 행위, 동작, 이벤트 또는 기능은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발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추가, 병합 또는 수행되지 않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행위, 동작 또는 이벤트는 연속적이지 않고 동시에 수행되거나 발생한다.
다수의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및 장비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다양한 대안, 수정 및 개선을 포함하고, 이러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개선은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은 함께 또는 별도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양태 및 특징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위에 설명된 시스템 및 장비 중 일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모든 모듈 및 기능을 통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오디오 스트리밍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에서 블루투스는 일반적으로 최대 10미터로 제한되는 거리에서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초고주파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기 위한 통신 표준을 정의한다. 이 표준은 휴대성, 특히 단거리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고객에게 매우 인기 있는 블루투스 장치를 만든다.
송수신된 데이터의 오디오 품질은 주로 헤드폰이나 라우드스피커와 같은 블루투스 오디오 출력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코덱이라고 하는 디지털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에 따라 달라진다. 표준 블루투스 코덱, 즉 SBC(standard Bluetooth codecs)라고 하는 저복잡도(low-complexity) 서브밴드 코덱의 사용은 낮은 계산 복잡도을 유지하면서 중간 비트 전송률에서 합리적으로 좋은 오디오 품질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필요하다. 또한 SBC는 최대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로 모노 및 스테레오 스트림을 지원하는 반면 비트 전송률은 일반적으로 모노 및 조인트 스테레오 스트림에 대해 각각 최대 193kbit/s 및 328kbit/s로 설정된다.
송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현재 추세는 각각 최대 352 및 990kbit/s의 비트 전송률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오디오 스트리밍을 허용하는 APTX 오디오 코덱 압축 알고리즘 또는 LDAC 오디오 하이브리드 코딩 기술과 같이 점점 더 큰 대역폭 사용이 필요한 코덱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한 손실 압축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코덱은 SBC와 같은 표준 블루투스 프로토콜 및 코덱을 사용할 때 오디오 품질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오디오 스트림의 품질을 달성하는 것은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코딩, 디코딩, 믹싱 및 샘플링 프로세스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대역폭 사용량이 더 높은 코덱을 사용한다고 해서 반드시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소스 장치와 무선 헤드폰이나 스피커와 같은 싱크 장치의 경우 블루투스 표준을 사용할 때 그렇다.
또한 현재 오디오 청취 장치에서 사용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자체 인코딩 형식에 의존하며, SBC와 같은 표준 블루투스 코덱보다 더 높은 압축률과 더 나은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이는 또한 소스와 싱크 장치 간에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여러 디코딩, 인코딩 및 리샘플링 프로세스를 거쳐 상당한 품질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추가 목적이 이제 설명된다.
다음의 제1 목적은 오디오 스트림, 특히 블루투스에 의해 전송되는 오디오 스트림의 품질 및 레이턴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제1 목적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방법은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됨-;
- 수신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
-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수신된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 그리고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수신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블루투스는 기존 및 향후 버전을 포함하여 모든 버전의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현재 블루투스 버전 5.1은 BR/EDR 프로토콜 또는 블루투스 클래식 프로토콜이라고도 하는 "Basic Rate/Enhanced Data Rate" 프로토콜과 BLE 프로토콜이라고도 하는 블루투스 "Low Energy"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 링크는 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주어진 소스 장치와 주어진 싱크 장치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물리적 링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블루투스 통신 링크는 점대점 연결 또는 단방향 링크와 같은 다른 유형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화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중 오디오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주어진 바이트 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코덱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를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여기서, 오디오 코덱 구성은 코덱의 유형, 비트레이트(bitrate), 즉 비트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될 수 있는 비율, 16비트 또는 24비트와 같은 해당 정수 크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코덱 유형에는 SBC, AAC, MP3, APT-X, LDAC, LHDC, Vorbis, Opus 또는 LC3 코덱이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다. 첫 번째 목적에 따른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품질 손실을 줄이고 지연을 낮추면서 전송할 수 있다. 실제로, 배경 기술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스트림의 인코딩, 디코딩, 리샘플링 또는 믹싱을 수행하기 위해 소스 장치 및/또는 싱크 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는 체계적으로 품질 손실 또는 지연의 증가를 초래한다.
여기서,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음악,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또는 클라우드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일반적으로 팟캐스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리밍 패스스루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스트리밍하고 오디오 서버를 우회하여 대기 시간(지연)을 개선하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짧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및 스트리밍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디오 코덱 구성은 비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빈 오디오 코덱 구성은 PCM이라고 하는 펄스 코드 변조 또는 PCM 오디오 코덱 구성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같은 인코딩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통신 링크는 미리 설정되며, 즉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로 전송하기 전의 예비 단계 동안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설정되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의 수신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정되지 않은 비트스트림의 수신 시에 수행된다.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비트의 시퀀스이다.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화로 인한 패킷은 구조화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연속 페이지로 그룹화, 인코딩 또는 디코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속 페이지를 논리적(logical) 비트스트림이라고 한다.
여기서, 여러 개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이 하나의 물리적 비트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리적 비트스트림이 하나 이상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논리적 비트스트림은 물리적 비트스트림에서 "래핑(wrapped)"된다고 한다. 물리적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언래핑하는 것은 디코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다중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 완전한 디코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수정되지 않은 비트스트림은 그 자체로 전송되고 예를 들어 오디오 애플리케이션과 소스 장치의 블루투스 스택 사이에 위치한 오디오 서버에 의해 재샘플링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 오디오 서버로부터 제2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 서버는 특히 소스 장치 및 싱크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과 오디오 리소스 또는 오디오 플로우(audio flows)를 관리 및/또는 공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플랫폼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리소스 또는 오디오 플로우는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음악, 소셜 미디어의 사운드 알림, 스케줄링 애플리케이션의 시계 알람 사운드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오디오 서버는 오디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운영 체제, 컴퓨터, 전자 회로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거나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서버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이 있는 하이브리드 스트리밍 방법을 제공하며, 이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단일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에 캡슐화된다.
이는 제1 목적의 방법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및 스트리밍하기 위한 대체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경로는 배경 기술의 방법에서 요구되는 가능한 오디오 서버를 우회(바이패스)한다. 따라서, 이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수신단에서 품질 손실을 암시하는 코딩, 디코딩, 믹싱 또는 리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오디오 서버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 및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알려진 방법과 비교하여 감소된 품질 손실 및 더 낮은 대기 시간으로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데, 상기 방법은 이러한 오디오 스트림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는 오디오 스트림과 믹스(MIX)되어야 하므로 품질 손실이 발생한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은 또한 오디오 서버가 오디오 서버 또는 싱크 장치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 또는 리샘플링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품질 손실을 초래하고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다중 기여(multicontribution) 유형이고, 방법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는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이 있는 하이브리드 스트리밍 방법을 제공한다. 이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단일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서 2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캡슐화된다.
여기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 멀티 기여 유형이라는 것은 오디오 코덱 구성(또는 샘플링 레이트)이 비배타적으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즉, 제1 오디오 스트림과 제2 오디오 스트림 모두의 오디오 코덱 구성(또는 샘플링 레이트)을 사용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고, 이는 멀티 기여 유형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 싱크 장치가 소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으로 믹스하는 단계; 그리고
- 싱크 장치에서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을 렌더링를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수신 측에서 여러 오디오 스트림의 품질 및/또는 대기 시간(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 및/또는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컨테이너에 래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단일 컨테이너에 여러 오디오 스트림을 캡슐화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 구성 및/또는 샘플링 속도에 해당하더라도 동일한 패킷으로 상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는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을 갖는 하이브리드 스트리밍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단일 컨테이너의 소스 장치에서 전송되는 단일 컨테이너에 캡슐화된다.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및 오디오 서버는 상이한 코덱을 사용하고, 따라서 상이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상이한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해 고품질 코덱을 사용할 수 있고 오디오 서버는 알림을 위해 저품질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그(Ogg) 스트림은 오디오 서버의 하나 이상의 인코더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인코딩되면 오디오 서버 논리적 비트스트림은 애플리케이션 논리적 비트스트림과 함께 컨테이너에 래핑될 수 있으며, 두 논리적 비트스트림 모두 동일한 패킷을 사용하여 싱크 장치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싱크 장치는 두 개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언래핑하고 각각의 코덱을 사용하여 별도로 디코딩한 다음 출력할 단일 원시 스트림으로 믹스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는 미디어 페이로드 포맷을 정의하는 엔티티이다. 오디오 페이로드 형식을 정의하는 오디오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코덱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ATM 컨테이너는 AAC 코덱과 연관될 수 있고, 오그(Ogg) 컨테이너는 "Vorbis" 또는 "Opus" 컨테이너와 연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Ogg-Vorbis" 컨테이너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컨테이너로 래핑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것은 제1 및 제2 래핑된 오디오 스트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오디오 스트림 또는 제2 오디오 스트림은 "Vorbis" 인코딩된 스트림이거나, 제1 오디오 스트림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은 "Vorbis" 인코딩된 스트림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가 사용된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스트리밍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두 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두 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캡슐화되어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유연성으로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에서 오디오 서버를 우회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 이미 설정되어 있더라도,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예를 들어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알림을 콜렉션하기 위해, 제2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 동일한 논리 채널 또는 두 개의 다른 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소스 장치가 포함하는 블루투스 스택을 향해 직접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반면, 2개의 다른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에서 최소 2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사용하는 데 더 많은 유연성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사용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고품질 오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으며,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거나 오디오 서버에서 오는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운드 알림과 같은, 다른 소스의 사운드를 렌더링하는 데 적어도 다른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논리적 링크는 동일한 블루투스 물리적 링크 또는 두 개의 다른 링크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다른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구별되며-;
-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상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플렉싱된다.
여기에서, 멀티플렉싱은 AVDTP 프로토콜 또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또는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R/EDR 링크를 통해 전송되거나,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및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R/EDR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LE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의 싱크 장치와의 성공적인 교섭(negotiation) 시에 수행된다.
이를 통해 싱크 장치가 오디오 코덱 구성과 샘플링 속도를 모두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싱크 장치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네이티브 코덱과 네이티브 샘플링 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2 목적에 따르면, 다음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싱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복수의 수신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으로 믹스하는 단계; 그리고
-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목적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것은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1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에 의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는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된다.
제2 목적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은 싱크 장치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의 성공적인 교섭 시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목적의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적어도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서버로부터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제1 오디오 스트림과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목적의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로부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장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플렉싱되고,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구별된다.
제3 목적에 따르면, 다음은 컴퓨팅 장치에 로드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컴퓨팅 장치에 로드되고 실행될 때)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제4 목적에 따르면, 다음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소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스 장치는,
-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수신하고;
- 수신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속도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고;
-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고; 그리고
-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수신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제5 목적에 따르면, 다음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싱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싱크 장치는,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으로 믹스하고; 그리고
- 싱크 장치에서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제5 목적의 싱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1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에 의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는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는(수신) 것이다.
제6 목적에 따르면, 다음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제4 목적에 따른 소스 장치 및 제5 목적에 따른 싱크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 도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설명된다.
본 개시의 목적의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이점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1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3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모드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4 모드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5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모드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예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6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6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6 모드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 내용의 모드에 따른 회로의 구조를 예시한다.
이제 모드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단순화된 방법 단계를 도시한다.
상기 제1 모드에 따른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AD)를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은 오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에 의해 싱크 장치(20)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원격 서버에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싱크 장치(20)는 라우드스피커이거나 착용가능한 헤드폰을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AD)는 블루투스 스택(BS)을 통해 싱크 장치(20)에 제공되며, 상기 블루투스 스택(BS)은 소스 장치(10),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포함된다.
여기서, 블루투스 스택(BS)는 소스 장치(10)의 임베디드 시스템 구현과 같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의 구현을 의미한다.
모드에서, 블루투스 스택(BS)는 마이크로제어기 및/또는 운영 체제가 있는 칩셋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L2CAP 및 AVDTP 프로토콜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단계 S1 동안, 오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은 오디오 데이터(AD)를 소스 장치(10)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정 없이(즉, 소스 장치의 오디오 서버를 거치지 않고) 소스 장치(10)에 의해 블루투스 스택(BS)로 직접 전송된다.
이는 오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 디코딩 인코딩 및/또는 중개 장치/서버에 의한 (재)샘플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AD를 블루투스 스택(BS)에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단계 S2에서, 블루투스 스택(BS)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AD)는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PAD)로 패킷화된다.
모드에서, 오디오 데이터(AD) 및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PAD) 중 적어도 하나는 블루투스 무선 오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이다.
단계 S3 동안, 소스 장치(10)는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PAD)를 싱크 장치(2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통해 수행된다.
단계 S4 동안, 싱크 장치(20)는 수신된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PAD)를 디코딩하고 오디오 출력(OUT), 예를 들어 PCM 신호 또는 방송 음악의 형태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1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소스 장치(10)의 입력(IN)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AD1), 특히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수신 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AD1)를 소스 장치(10)의 블루투스 스택(BS)에 직접 제공한다.
이는 소스 장치(10)에 의해 또는 소스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는 오디오 서버(30)에 의해 AD1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믹싱, 리샘플링 및/또는 인코딩 단계를 우회하는 것을 허용한다.
오디오 데이터(AD1)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소스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10)에 의해 구성된다. 오디오 데이터(AD1)를 블루투스 스택(BS)에 제공하면서 블루투스 스택(BS)은 이를 패킷화하여 제3자 장치, 구체적으로는 싱크 장치(20)로 전송한다.
특히, 오디오 데이터(AD1)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미리 설정된 링크(여기서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 L1)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블루투스 통신 링크(L1)는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에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물리적 링크 및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시,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싱크 장치(20)에 의해 디코딩된다. 이어서, 디코딩된 패킷은 싱크 장치(20)의 출력(OUT)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또는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서 언급한 단계 중 손실 전송 및/또는 압축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오디오 서버의 사용을 우회(바이패스)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의 구조의 일 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 BTDP는 여러 레이어, 패킷, 패킷 데이터 유닛, 프레임 및/또는 비트스트림을 포함한다. 특히,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 BTDP는 PDU라고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해당하는, L2CAP라고 하는,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L2CAP은 CID라고 하는, 두 개의 채널 식별자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데이터 패킷 BTDP의 프로토콜 계층을 정의한다.
유리하게는, L2CAP는 또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전송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링크 관리자 계층을 정의한다. L2CAP는 또한 데이터 패킷 분할, 데이터 패킷 조합, 데이터 패킷 재조립 및/또는 멀티플렉싱를 가능하게 한다.
L2CA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장치의 블루투스 칩 간에 논리적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L2CAP 프로토콜의 파라미터는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능력 등과 같은 소스 장치의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2CAP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오디오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인 AVDTP라고 하는 오디오/비디오 분배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AVDTP 프로토콜은 여러 블루투스 장치 간의 이진 트랜잭션을 정의하고 SEP라고 하는 두 스트림 엔드포인트(endpoints) 간에 오디오 스트림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설정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AVDTP 프로토콜은 스트림을 설정하고 L2C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스트리밍하도록 구성된다. AVDTP 프로토콜은 스트림 파라미터의 교섭을 추가로 허용하고 자체적으로 오디오 스트림을 관리할 수 있다.
AVDTP 프로토콜과 L2CAP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AVDTP 프로토콜은 컨테이너 CT라고 하는 미디어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컨테이너 CT 자체는 인코딩된 프레임 ENC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CT는 미디어 페이로드 헤더 및 하나 이상의 인코딩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컨테이너(CT)는 물리적 비트스트림을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된 프레임(ENC)은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정의한다. 물리적 비트스트림은 인코딩된 데이터와 관련 메타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된 프레임은 AAC(Advanced Audio Coding) 코덱 또는 AAC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한다. AAC 코덱은 손실이 있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을 위한 오디오 코딩 표준으로, 동일한 비트 전송률에서 MP3 코덱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제2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제2 모드의 방법 단계는 제1 모드와 유사하게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따라서 상기 전송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의 성공적인 교섭 시에 수행된다.
S10 단계(OPN)에서 블루투스 통신 링크가 오픈, 즉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에 설정된다. 소스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면, 상기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스트림의 오프닝(opening)을 요청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오프닝할 때 기존 스트림의 재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동안 단계 S15(CHK?)에서 선택적 교섭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섭 단계는 스트림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싱크 장치(20)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오프닝되거나 재구성되는 스트림의 인수(argument)로 전달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소스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스트림의 하나의 샘플링 레이트를 포함한다. 필요한 코덱과 샘플링 속도는 스트림의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S15 단계 동안, 싱크 장치(20)가 오디오 코덱 구성 및/또는 샘플링 레이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기존 스트림을 재구성하기 위한 새로운 스트림을 오프닝하는 기본 요청은 단계 S20(REJ) 동안 거부될 수 있다.
단계 S15 동안, 싱크 장치(20)가 코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지원하는 경우, 요청이 수락되고 소스 장치(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계 S40(CFG)을 포함하는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
단계 S40 동안, 새로운 스트림의 구성이 수행되거나,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기존 스트림의 재구성이 수행된다. 특히, 상기 구성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스 장치(10)의 HCI라 불리는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Interface)가 단계 S40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HCI는 제어기 서브시스템과 호스트 서브시스템 간의 선택적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헤드셋과 같은 단순한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장치에서 호스트와 제어기는 동일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내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장치(10)의 HCI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A2DP 스트림인, 단계 S40 동안 스트림의 구성 또는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0(REC) 동안, 소스 장치(10)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다.
S60 단계(PCK)에서 소스 장치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이용하여 수신한 오디오 스트림을 S40 단계에서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한다.
S70 단계(TRM)에서 소스 장치(10)는 패킷화된 수신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20)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제3 모드에서, 오디오 데이터(AD1)는 소스 장치(10)의 입력 IN으로부터 블루투스 스택(BS)에 의해 수신될 뿐만 아니라, 소스 장치(10)에 포함된 오디오 서버(30)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AD2)도 수신된다(상기 오디오 데이터 AD2는 예를 들어 시스템 오디오 알림일 수 있음).
그 다음, AD1 및 AD2 모두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된다.
그런 다음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설정된 블루투스 링크 L1을 사용하여 소스 장치(10)에서 싱크 장치(20)로 전송되고,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AD1 및 AD2) 모두는 싱크 장치(20)에 의해 패킷화 해제(unpacketized)되고 선택적으로 출력 OUT을 통해 렌더링, 브로드캐스트 또는 추가 스트리밍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별개의 단계에서 디코딩된다.
패킷화 해제 후, 오디오 데이터가 싱크 장치(20)에 의해 별도의 단계 동안 디코딩되면 디코딩된 데이터는 출력 OUT을 통해 렌더링, 브로드캐스트 또는 추가 스트리밍되기 전에 후속적으로 믹싱 또는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데이터를 믹스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싱크 장치 측의 각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볼륨의 각 백분율/값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오디오 소스를 결합할 수 있다. 유리하게, 그리고 예를 들어, 이를 통해 오디오 알림, 예를 들어 소스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파일을 듣는 동시에 소스 장치(10)에 설치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소스 또는 둘 이상의 오디오 소스가 존재할 때,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서버에서 믹싱되고 싱크 장치(20)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재샘플링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스트림이 재구성되었을 때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서, 도시된 모드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 및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서버(30)를 포함하는 여러 오디오 소스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순화된 오디오 링크 경로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3 모드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단계를 도시한다.
특히, 제3 모드의 방법 단계는 수신 단계 S50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두 단계 S51(REC1) 및 S52(REC2)로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모드와 유사하게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은 소스 장치(10)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으로부터 제1 오디오 데이터(AD1)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계 S52는 소스 장치(10)가 오디오 서버(30)로부터 제2 오디오 데이터(AD2)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특히,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의 패킷화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은 소스 장치(10)로부터 싱크 장치(20)로 전송되고,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은 제1 기여(contribution) ASTRM1 및 제2 기여 ASTRM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여 ASTRM1은 소스 장치(10) 상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상기 제2 기여 ASTRM2는 오디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은 A2DP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은 논리적 링크 LL1, 바람직하게는 ACL-U 논리적 링크에 의해 활성화된다.
여기서, 논리적 링크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이 어떤 정보를 전달하는지를 정의하는 링크이다. 예를 들어, 상기 논리적 링크는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프레임 데이터와 프레임되지 않은 데이터로 세분된다.
바람직하게는, 논리적 링크(LL1)는 논리적 전송(LT1), 바람직하게는 ACL 논리적 전송에 의해 운반된다.
여기서, 논리적 전송은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는 특성의 유형을 정의하는 무선 전송이다. 더욱이, 논리적 전송은 하나 이상의 논리적 링크를 지원할 수 있고 상기 특성은 무엇보다도 캐스팅 유형, 스케줄링 동작, 승인/반복 메커니즘, 흐름(플로우) 제어 및 시퀀스 번호 지정을 포함한다. 특히, 블루투스 논리적 전송은 논리적 전송의 유형에 따라 다른 유형의 논리적 링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여러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는 동일한 논리적 전송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논리적 전송의 예로는 비동기 연결 지향(ACL), 동기 연결 지향(SCO), 확장 동기 연결 지향(eSCO), 활성 슬레이브 브로드캐스트(ASB), 비연결 슬레이브 브로드캐스트(CSB), LE 비동기 연결(LE ACL), LE 광고 방송(ADVB), LE 주기적 광고 방송(PADVB), 전송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는 LE 연결 등시성(isochronous) 및 브로드캐스트 등시성 스트림이 있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적 전송 LT1은 통신 링크를 정의한다. 따라서 통신 링크는 두 장치 간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링크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통신 링크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링크를 포함하고, 2개의 장치 사이, 그리고 이 경우에는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정의한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적 전송 LT1은 BR/EDR 물리적 링크와 같은 물리적 링크 PL1을 정의한다.
여기서, 물리 링크는 BR/EDR 물리 링크 또는 LE 물리 링크로, 무선 장치 간의 기저대역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BR/EDR 물리적 링크에는 BR/EDR 활성 물리적 링크 및 BR/EDR 연결 없는 슬레이브 브로드캐스트 물리적 링크가 포함된다. LE 물리적 링크는 LE 활성 물리적 링크, LE 광고 물리적 링크, LE 주기적 물리적 링크 및 LE 등시성 물리적 링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링크(PL1)는 활성 BR/EDR 물리적 링크 또는 LE 등시성 물리적 링크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제4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제4 모드에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AD1)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된다.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오디오 서버(30)로부터 오는 제2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AD2)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된다.
대안으로, 두 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동일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속도를 사용한다. 그런 다음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블루투스 통신 링크 L1을 통해 이 두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AD1 및 AD2가 동일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되면 나중에 싱크 장치(20)에 의해 패킷화 해제되고 디코딩될 수 있다. 특히, 언패킷화(패킷화 해제) 및 디코딩은 AD1 및 AD2 각각에 대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특히 이러한 방법 단계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두 개의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 동안,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링크는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오프닝되거나 사전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소스 장치에서 실행 중인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스트림을 오프닝하도록 요청할 때 수행된다.
단계 S41(CFG1)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의 샘플링 레이트로 구성 또는 재구성된다.
단계 S42(CFG2) 동안, 단계 S41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오디오 서버(30)의 샘플링 레이트로, 또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샘플링 레이트로 구성 또는 재구성된다.
단계 S51 동안, 소스 장치(10)는 제1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다. 단계 S51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단계 S52 동안, 소스 장치는 제2 오디오 스트림이라고 하는 오디오 서버(30)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다.
단계 S61(PCK1) 동안, 소스 장치는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단계 S41 동안 구성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제1 오디오 스트림을 패킷화한다.
단계 S61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선택적 단계 S62(PCK2) 동안, 소스 장치는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한다.
S70 단계에서 소스 장치(10)는 패킷화된 제1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20)로 전송한다.
단계 S70에 대한 대안으로서, 단계 S61 및 S62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별개의 전송 단계 S71 및 S72가 뒤따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및 제2 패킷화된 오디오 스트림은 별도의 논리적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4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및 BTSTRM2는 단일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10)로부터 싱크 장치(20)로 전송된다.
특히,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BTSTRM1)은 제1 기여(ASTRM1)를 포함하고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BTSTRM2)은 제2 기여(ASTRM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여 ASTRM1은 소스 장치(10) 상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제2 기여 ASTRM2는 오디오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다.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및 BTSTRM2는 각각 A2DP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며,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ACL 논리적 전송과 같은 하나의 논리적 전송 LT1에 의해 운반되는 ACL-U 논리적 링크와 같은 하나의 논리적 링크 LL1에 의해 활성화된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및 BTSTR 2,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적 전송 LT1은 물리적 링크 PL1, 바람직하게는 BR/EDR 활성 물리적 링크를 정의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제5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특히, 제5 모드의 방법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L1)에 추가하여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LL2)가 오프닝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4 모드의 방법 단계와 유사한다. 이를 통해 두 개의 개별 블루투스 논리적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이 스트림 오프닝을 요청할 때 단계 S10 동안 상기 적어도 다른 링크(LL2)가 오프닝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2개의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및 BTSTRM2가 소스 장치(10)에서 싱크 장치(20)로 전송된다.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BTSTRM1)은 제1 기여(ASTRM1)를 포함하고,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BTSTRM2)은 제2 기여(ASTRM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지만, 상기 제1 기여 ASTRM1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40)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상기 제2 기여 ASTRM2는 오디오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은 ACL-U 논리적 링크와 같은 논리적 링크 LL1에 의해 활성화되는 반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2는 LE-S 논리적 링크와 같은 다른 논리적 링크 LL2에 의해 활성화된다.
논리적 링크 LL1은 ACL 논리 전송과 같은 논리 전송 LT1에 의해 전달되는 반면 논리적 링크 LL2는 LE 연결 등시성 논리 전송과 같은 다른 논리 전송 LT2에 의해 전달된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 전송 LT1은 바람직하게는 BR/EDR 활성 물리 링크인 물리 링크 PL1을 정의한다.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BTSTRM2), 논리적 링크(LL2) 및 논리적 전송(LT2)은 물리적 링크(PL2)를 정의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LE 등시성 물리적 링크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6 모드에 따른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특히, 이들 방법 단계는 오디오 데이터 AD1 및 AD2의 패킷화가 Ogg-컨테이너와 같은 컨테이너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래핑함으로써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제2 및 제3 모드의 단계와 유사하다. 이는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에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후속적으로 패킷화되고 전송될 수 있는 물리적 비트스트림을 초래한다.
상기 컨테이너 또는 물리적 비트스트림이 싱크 장치(20)에 의해 수신된 후, 이는 후속적으로 언패킷화되고 언래핑된다. 그런 다음 후속 디코딩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물리적 비트스트림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디코딩 단계가 수행되고, 오디오 서버에 상응하는 물리적 비트스트림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에 대해 다른 디코딩 단계가 수행된다. 두 디코딩 단계는 개별적으로 또는 단일 디코딩 단계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6 모드에 대응하는 방법 단계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51 동안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및 단계 S52 동안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 후, 2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결국 단계 S75(TRM-CT) 동안 싱크 장치(20)로 최종적으로 전송되기 전에, 단계 S55(WRP-CT) 동안 컨테이너 CT로 패킷화되고, 그 다음 단계 S65(PCK-CT) 동안 패킷화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6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은 소스 장치(10)로부터 싱크 장치(20)로 전송되고,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은 제1 기여 ASTRM1 및 제2 기여 ASTRM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여 ASTRM1은 소스 장치(10) 상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상기 제2 기여 ASTRM2는 오디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이다.
현재의 경우, 2개의 기여 ASTRM1 및 ASTRM2는 소스 장치(10)에서 싱크 장치(20)로 전송되기 전에 컨테이너 CT에 캡슐화된다.
다시,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적 전송 LT1에 의해 정의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장치(10)와 싱크 장치(2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정의한다.
다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BTSTRM1, 논리적 링크 LL1 및 논리적 전송 LT1은 BR/EDR 물리적 링크와 같은 물리적 링크 PL1을 정의한다.
유리하게는, 컨테이너 CT는 여기에서 "Ogg-Vorbis" 컨테이너이다. 블루투스 표준은 단일 오디오 스트림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것만 허용하지만 "Ogg-Vorbis"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동일한 패킷에 여러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Ogg-Vorbis" 컨테이너 또는 "Ogg" 스트림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하나 이상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캡슐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해당 패킷 경계(packet boundaries)를 찾기 위한 디코딩에 의존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다시 적절하게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싱크 장치(20)에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 오디오 서버(30)가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코덱은 컨테이너(CT)와 호환되어야 한다.
일단 인코딩되면 오디오 서버에서 오는 논리적 비트스트림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논리적 비트스트림과 함께 컨테이너에 래핑될 수 있다. 두 논리적 비트스트림은 동일한 패킷 내에서 싱크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싱크 장치(20)는 2개의 논리적 비트스트림을 언래핑하고, 이들의 각각의 코덱을 사용하여 이들을 별도로 디코딩하고, 출력될 단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디코딩된 결과의 믹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모드에 따른 방법, 특히, 복수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관리할 때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장치(1000)를 도시한다.
모드에서, 장치(1000)는 소스 장치 또는 싱크 장치와 같은 전자 회로 또는 임의의 유형의 전자 장치에 집적된 블루투스 칩을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0)는 저장 공간(MEM)(1002),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1002)를 포함하는 메모리(MEM)를 포함한다. 저장 공간(1002)은 또한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0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PROC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인 회로가 장착된 처리 유닛(PROC)(1004)을 더 포함한다. 처리 유닛(1004)은 임의의 이전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된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처리 유닛(1004)은 전술한 모드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명령어)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1000)는 또한 오디오 데이터, 오디오 스트림, 컨테이너 또는 임의의 비트스트림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10)는 오디오 코덱 구성 또는 샘플링 레이트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장치(1000)는 입력 인터페이스(IN)(1006) 및 출력 인터페이스(OUT)(1008)를 더 포함하며, 이들은 멀티미디어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1008)는 장치(1000)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에 따르면, 블루투스 칩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포함하다", 합하다", "통합하다", "내포하다", "이다" 및 "갖다"와 같은 표현은 설명 및 관련 청구범위를 해석할 때 비배타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즉,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다른 항목이나 컴포넌트도 존재하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수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모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이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모드의 교시에 특정 상황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특징을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모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모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는 설명에 개시된 다양한 파라미터가 수정될 수 있고 개시 및/또는 청구된 다양한 모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조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항목 A 내지 R에 따른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A.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함-;
- 수신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단계;
-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수신된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 그리고
-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수신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B. 항목 A에 따른 방법으로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정되지 않은 비트스트림의 수신 시에 수행된다.
C. 항목 A 또는 B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오디오 서버(30)로부터 제1 오디오 스트림과 상이한 적어도 제2 오디오 스트림(AD2)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 항목 C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멀티-기여형(multi-contribution type)이고, 방법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E. 항목 C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1 오디오 스트림 및/또는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컨테이너(CT)에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에 배치된다.
F. 항목 E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Ogg-Vorbis" 컨테이너이다.
G. 항목 E에 있어서, 제1 오디오 스트림 또는 제2 오디오 스트림은 보비스(Vorbis) 인코딩된 스트림이거나, 또는 제1 오디오 스트림 및 제2 오디오 스트림은 보비스 인코딩된 스트림이다.
H. 항목 C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구별되며-;
-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싱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플렉싱된다.
I. 항목 H에 따른 방법에서,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또는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R/EDR 링크를 통해 전송되거나,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및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R/EDR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J. 항목 H에 따른 방법에서,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BLE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K. 전술한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의 싱크 장치와의 성공적인 교섭 시에 수행된다.
L. 컴퓨팅 장치에 로드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로드되고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항목 A 내지 K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적응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M.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싱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복수의 수신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으로 믹스하는 단계; 그리고
- 믹스된 오디오 스트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것은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1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디바이스)에 의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가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고,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은 싱크 장치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의 성공적인 교섭 시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N. 항목 M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적어도 제2 오디오 스트림을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서버로부터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제1 오디오 스트림과 상이하다.
O. 항목 N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로부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장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플렉싱되고, 수신된 제2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장치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상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과 구별된다.
P.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소스 장치로서, 상기 소스 장치는,
- 소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제1 오디오 스트림의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수신하고;
- 수신된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에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고;
-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고; 그리고
-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제1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수신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Q.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싱크 장치로서, 상기 싱크 장치는,
-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소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 복수의 수신된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믹스하고; 그리고
- 믹스 오디오 스트림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된 복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패킷화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으로 패킷화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제1 오디오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여 소스 장치에 의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코덱 구성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는 소스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다.
R.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을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항목 P에 따른 소스 장치 및 항목 Q에 따른 싱크 장치를 포함한다.

Claims (18)

  1.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2 장치와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101)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102);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의 값이 변경할 때(103),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104);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105);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102)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배터리 레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읽기 모드, 또는
    화질(Definition)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105)는 블루투스 호스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105)는 블루투스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 또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코덱의 유형,
    코덱과 관련된 파라미터,
    데이터 유형,
    오디오 채널 선택 파라미터, 또는
    샘플링 속도 파라미터 중 하나의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플러시 타임아웃 파라미터,
    채널 유형 파라미터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재전송 횟수 파라미터,
    BLE 링크 파라미터들 중 파라미터,
    패킷 유형 파라미터, 및
    최대 전송 유닛(MTU) 파라미터 중 하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및 제2 장치 중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관한 모드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및 제2 장치에서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
  10. 블루투스 칩,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로서, 블루투스 장치는,
    제2 장치와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 링크(101)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고(102);
    블루투스 장치 또는 제2 장치에서 동작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할 때(103),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새로운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104);
    결정된 새로운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하고(105);
    수정된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전송(102)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배터리 레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읽기 모드, 또는
    화질(definition)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의 운영 체제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105)하는 것은 상기 블루투스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 또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코덱의 유형,
    코덱과 관련된 파라미터,
    데이터 유형,
    오디오 채널 선택 파라미터, 또는
    샘플링 속도 파라미터 중 하나의 오디오 구성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플러시 타임아웃 파라미터,
    채널 유형 파라미터,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재전송 횟수 파라미터,
    BLE 링크 파라미터 중 파라미터,
    패킷 유형 파라미터, 및
    최대 전송 유닛(MTU) 파라미터 중 하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링크에 대한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 및 제2 장치 중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관한 모드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및 제2 장치에서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18.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드 가능하고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27887A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KR20230125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305702.3A EP3745813A1 (en) 2019-05-31 2019-05-31 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EP19305702.3 2019-05-31
EP19306521.6A EP3829129A1 (en) 2019-11-26 2019-11-26 Bluetooth audio streaming passthrough
EP19306521.6 2019-11-26
KR1020217030912A KR102569374B1 (ko)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PCT/EP2020/064993 WO2020239985A1 (en) 2019-05-31 2020-05-29 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912A Division KR102569374B1 (ko)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103A true KR20230125103A (ko) 2023-08-28

Family

ID=708474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887A KR20230125103A (ko)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KR1020217030912A KR102569374B1 (ko)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912A KR102569374B1 (ko) 2019-05-31 2020-05-29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48333A1 (ko)
JP (2) JP7302006B2 (ko)
KR (2) KR20230125103A (ko)
CN (1) CN114026894A (ko)
WO (1) WO2020239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4006B2 (en) * 2020-03-27 2022-04-12 Bos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roadcasting audio
US20220103948A1 (en) * 2020-09-25 2022-03-31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dio ducking for headsets
US11516586B2 (en) * 2021-01-25 2022-11-29 Dell Products L.P. Contextual latency configuration for isochronous audio transport
US20220256028A1 (en) * 2021-02-08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call support capability on compatible audio devices
CN115223579A (zh) * 2021-04-20 2022-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编解码器协商与切换方法
KR20230060993A (ko) * 2021-10-28 202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346321A1 (en) * 2022-08-12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advertising process synchronized with advertising process in another electronic device
WO2024092129A1 (en) * 2022-10-27 2024-05-02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providing an audio stream
CN115421618B (zh) 2022-11-04 2023-03-10 惠科股份有限公司 触控膜层和触控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9541A (ja) * 2002-04-15 2003-10-31 Sony Corp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及びデータ転送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24247B2 (en) * 2007-05-16 2012-07-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roller integrated audio codec for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udio streaming applications
JP4976440B2 (ja) 2008-05-19 2012-07-18 創新音▲速▼股▲ふん▼有限公司 接続を再確立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US7920495B2 (en) * 2008-06-25 2011-04-05 Nokia Corporation Channel management via link parameter adjustment
JP2011160161A (ja) * 2010-01-29 2011-08-18 Toshiba Corp 無線通信機器及びバッテリ残量報知方法
US8787403B2 (en) 2012-05-14 2014-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convergence control facilitating bitpool value converging to stable level
KR102125856B1 (ko) * 2012-11-12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들간 출력 장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300313B1 (ko) * 2014-06-11 2021-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Ble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832578B2 (en) * 2015-02-23 2017-11-28 Intricon Corporation Enabling concurrent proprietary audio and Bluetooth low energy using enhanced LE link layer for hearing device
US20160359925A1 (en) * 2015-06-08 2016-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3054399B1 (fr) * 2016-07-22 2018-08-03 Tap Sound System Pilotage de dispositifs multimedia bluetooth
CN106231478A (zh) * 2016-09-29 2016-12-14 中山市天键电声有限公司 基于手机app的蓝牙耳机听力控制方法
EP3319331B1 (en) * 2016-11-04 2020-01-29 Nagravision S.A. Transmission of audio streams
CN107040848A (zh) * 2017-03-07 2017-08-11 建荣半导体(深圳)有限公司 Avdtp协议的同步参数传输方法、装置及设备
KR102336612B1 (ko) * 2017-08-09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26894A (zh) 2022-02-08
WO2020239985A1 (en) 2020-12-03
KR20210130789A (ko) 2021-11-01
KR102569374B1 (ko) 2023-08-22
JP2022534644A (ja) 2022-08-03
JP2023134491A (ja) 2023-09-27
US20220248333A1 (en) 2022-08-04
JP7302006B2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374B1 (ko)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EP362956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bluetooth headphone
KR101543193B1 (ko) 블루투스 저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오디오 전달
US11595800B2 (en) Bluetooth audio streaming passthrough
JP7426448B2 (ja) 接続されたマルチメディアデバイスの制御
US20220263883A1 (en) Adaptive audio processing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10847A (ko) 오디오 프로세싱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동적 프러버저닝
US11889281B2 (en)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communication links in a point-to-multipoint Bluetooth network
CN111527733B (zh) 控制双模蓝牙低能耗多媒体装置
CN109661828B (zh) 控制蓝牙多媒体装置
US9008580B2 (en) Configuring a codec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using a Bluetooth network connection
WO2021160040A1 (zh) 音频传输方法及电子设备
EP374581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US20110235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igh-Quality Speech Communication Acros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s Networks
WO2020232631A1 (zh) 一种语音分频传输方法、源端、播放端、源端电路和播放端电路
TW202315430A (zh) 用於產生立體聲語音效果的藍牙語音通信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CN115174538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