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12B1 -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612B1
KR102336612B1 KR1020170101210A KR20170101210A KR102336612B1 KR 102336612 B1 KR102336612 B1 KR 102336612B1 KR 1020170101210 A KR1020170101210 A KR 1020170101210A KR 20170101210 A KR20170101210 A KR 20170101210A KR 102336612 B1 KR102336612 B1 KR 102336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link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data
exter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802A (ko
Inventor
윤용상
김승년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12B1/ko
Priority to US16/057,245 priority patent/US102060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1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UDIO SIGNAL USING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에서 재생하는 오디오를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수첩,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의 오디오 소스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이어폰, 이어버드, 무선 스피커, 무선 헤드셋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소스 장치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한쪽(예: left)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스터 장치와 다른 쪽(예: right)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오디오 소스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슬레이브 장치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보다 더 많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마스터 장치의 배터리 소모가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 유선 통신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유선 통신 링크가 단절된 경우, 슬레이브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를 스니핑함으로써 마스터 장치의 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다른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 유선 통신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유선 통신 링크가 단절된 경우, 슬레이브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를 스니핑함으로써 마스터 장치의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유선 통신 링크가 단절된 경우에도,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 없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소스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environment)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유선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오디오 소스 장치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오디오 소스 장치 사이의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소스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environment)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100은 제1 전자 장치 101, 제2 전자 장치 102, 및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MP3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홈시어터(home theater), 웨어러블 장치,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PC,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는 이어폰, 이어버드, 무선 스피커, 무선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이어버드 중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한 쪽(예: 왼쪽) 이어버드이고, 제2 전자 장치 102는 다른 쪽(예: 오른쪽) 이어버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무선적으로(wirelessly)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형성(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오디오 소스(audio source)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reproduce)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고,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스트리밍 방법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을 통해 출력(output)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소리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형성(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 대신 제2 전자 장치 102와 무선 통신 링크(미도시)를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소리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형성(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제1 전자 장치 101의 동작들은, 마스터 동작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스터 동작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설립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예: 유선 통신 링크 130)가 설립된 경우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동작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사이에 형성된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또는 설정 정보, 이하 통신 파라미터(communication parameter))를 획득하는 동작, 및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사이에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access)(또는 관찰(observe))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함으로써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획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로부터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니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에 따라 형성되는 경우, 통신 파라미터는, Bluetooth Device Address (BD_ADDR), logical transport address (LT_ADDR), SRC(source, 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의 native clock (CLKN), SRC와 SNK(sink, 예: 제1 전자 장치 101) 사이의 clock offset, SRC와 SNK 사이의 링크에 대한 encryption parameter(예: key exchang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형성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즉,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 102는 하기와 같은 동작들(즉,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전자 장치 101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수신된 적어도 일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형성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은, 스니핑(sniffing)(또는 스누핑(snooping))을 포함할 수 있다. 스니핑 또는 스누핑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가 다른 전자 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인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하고, 상기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획득된(또는 스니핑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1 전자 장치 101 사이에 형성된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은, 제2 전자 장치 102가, 획득(또는 스니핑)을 위한 정보 또는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 또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은,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의 적어도 일부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 또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은, 비표준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non-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예: IEEE 802.11), P2P(peer to peer) (예: ad-hoc, wifi direct, DLS(dierect link setup) 등) 방식 등, 블루투스 프로토콜과는 다른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유선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케이블 230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케이블 230을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전자 장치 101, 제2 전자 장치 102, 및 케이블 23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하우징 251, 홀 261, 이어팁 271, 고정부 281, 커넥터 홀 2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 프로세서, 오디오 모듈, 스피커,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 모듈, 입력 장치, 또는 메모리 등)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 25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251의 일부 영역에 홀 261이 위치할 수 있다. 홀 261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 신호가 흘러나올 수 있다. 홀 261 주변에 이어팁 271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팁 271은, 홀 261을 둘러쌀 수 있다. 한편, 고정부 281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 101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 251에 추가될 수 있다. 이어팁 271 또는 고정부 281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251은 커넥터 홀 291(또는 인터페이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 291을 통해, 케이블 230이 제1 전자 장치 101에 연결(또는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 홀 291을 통해, 케이블 230의 인터페이스가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케이블 230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230의 한 쪽 끝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커넥터 홀 291에 장착될 수 있고, 케이블 230의 다른 쪽 끝은 제2 전자 장치 102의 커넥터 홀 292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 230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와 제2 전자 장치 102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함으로써,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 230은 배터리(미도시) 및 전력 관리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230의 배터리는, 전력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또는 유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케이블 230이 커넥터 홀 291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됨으로써, 제1 전자 장치 101이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230의 배터리의 전원에 연결된 단자(또는 핀(pin))들(예: VBUS, GND, 등)이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됨으로써, 제1 전자 장치 101이 충전될 수 있다. 케이블 230이 커넥터 홀 292를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 연결되면, 제2 전자 장치 102가 충전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의 구성 요소들인 하우징 252, 홀 262, 이어팁 272, 고정부 282, 커넥터 홀 292(또는 인터페이스 홀)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구성 요소들에 대응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거나 추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케이블 230을 제거(remove)하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분리되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사이에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각각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의 커넥터 홀 291로부터 케이블 230을 분리(disconnect)시키거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의 커넥터 홀 292로부터 케이블 230을 분리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케이블 230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 300은, 제1 전자 장치 101(예: 왼쪽 이어버드)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예: 오른쪽 이어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300은, 프로세서 310, 무선 통신 모듈 390, 인터페이스 360, 오디오 모듈 370, 스피커 377, 입력 장치 350, 전력 관리 모듈 380, 배터리 388, 메모리 3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다른 구성 요소들(예: 무선 통신 모듈 390, 입력 장치 350, 오디오 모듈 370, 전력 관리 모듈 380, 메모리 330, 또는 인터페이스 360)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서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칩(chip), 회로(circuitry) 등과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집합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10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들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설립(예: BT 페어링)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링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함을 검출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오디오 소스(audio source)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reproduce)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예: 디코딩(decoding))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왼쪽(L; left) 채널에 관한 데이터 및 오른쪽(R; right) 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테레오(stereo)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의 설정 정보에 따라,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채널(예: left) 또는 양쪽 채널 모두(예: left and right)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전자 장치 300의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 36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됨을 식별한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형성된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의 채널(예: right)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양쪽 채널 모두(예: left and right)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형성된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변환(즉, 디코딩) 전 또는 후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과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사이에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의 설립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인 통신 파라미터(communication parameter)를 획득(또는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획득된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 3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다양한 경로(예: 유선 통신 링크 130, 또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모드 파라미터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때,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음향 효과 또는 오디오 필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때 적용되는 출력 세기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예: 볼륨 설정 정보, 출력 loudness)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왼쪽(L; left) 채널에 관한 정보 및 오른쪽(R; right)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또는 처리)가 적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사이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진 경우에도,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또는 처리)가 적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에서,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수립된 경우와 단절된 경우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또는 처리)가 적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메모리 3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드 파라미터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모드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 3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도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와 모드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하나의 패킷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대체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 360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또는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연결됨을 식별한 경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연결됨을 식별한 경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 사이에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예: BT 페어링)을 설립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ID) 및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또는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의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형성된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링크 130의 단절은 케이블 230이 분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예: BT 페어링)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가 설립(예: BT 페어링)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 300이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전자 장치 102인 경우, 프로세서 31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설립된 경우, 인터페이스 360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예: right 채널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오디오 모듈을 통해 변환(즉, 디코딩)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변환(즉, 디코딩)되지 않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즉, 디코딩)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드 파라미터의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33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또는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 (ID) 및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또는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 3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receive)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 또는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또는 획득(acquire)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또는 관찰(observe))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로부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 39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또는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또는 획득)하는 동작은, 스니핑(sniffing)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즉, 디코딩)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전자 장치 300(예: 제2 전자 장치 102)의 설정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채널(예: right) 또는 양쪽 채널 모두(예: left and righ)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모듈 37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예: 제2 전자 장치 102)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과 대체적으로 동시에,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모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에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 동일한 음향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 390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전자 장치 300과 외부 전자 장치들(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제1 전자 장치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통신 링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300이 제1 전자 장치 101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 10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 300이 제2 전자 장치 102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39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39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함으로써,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36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360은, 케이블 23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는, 케이블 2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됨으로써,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예: serial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사이에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설립된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의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 102의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소리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입력 장치 350(예: 마이크)를 통해 소리 신호(예: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를 이용하여, 획득된 소리 신호를, 소리 신호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또는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변환기(예: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코덱(codec)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encoding)하거나 압축(compress)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자 장치 300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 310, 무선 통신 모듈 390, 인터페이스 360, 메모리 330 등)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전자 장치 300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 310, 무선 통신 모듈 390, 인터페이스, 메모리 330 등)으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변환기(예: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 370은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decoding)하거나 압축 해제(decompress)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또는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출력 장치(예: 스피커 377)를 통해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출력 장치를 통해 골전도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소프트웨어(예: 코덱) 및 하드웨어(예: 코덱,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의 집합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덱은 소프트웨어의 형태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의 적어도 일부(예: 코덱)는 프로세서 3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300이 제1 전자 장치 101인 경우, 오디오 모듈 37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 370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설정 정보에 따라,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의 채널(예: lef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이 다른 전자 장치(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연결된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 370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의 채널(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 370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양쪽 채널 모두(예: left and right channel)에 관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고, 디코딩 전의 오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300이 제2 전자 장치 102인 경우, 오디오 모듈 37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수신된 경우, 오디오 모듈 370은, 인터페이스 36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에서 디코딩되기 전의 오디오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수신된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전자 장치 300(예: 제2 전자 장치 102)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스피커 37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하나의 채널(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하나의 채널(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37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양쪽 채널 모두(예: left and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 300(예: 제2 전자 장치 102)의 설정 정보에 따라 하나의 채널(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양쪽 채널 모두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의 오디오 모듈 370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미리 저장된 모드 파라미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 370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샘플링 비율 변경, 하나 이상의 필터 적용, 보간(interpolation) 처리, 증폭 또는 감쇄(예: 일부 주파수 대역 또는 전 주파수 대역의 증폭 또는 감쇄) 처리, 노이즈 처리(예: 노이즈 또는 에코 감쇄), 채널 변경(예: 모노 및 스테레오간 전환), 합성(mixing), 또는 지정된 신호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는 모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음향 효과 또는 오디오 필터가 적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300이 제2 전자 장치 102인 경우 오디오 모듈 370은,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 330에 미리 저장된 모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수립된 경우 및 단절된 경우에 동일하게 오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된 경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모듈 370(또는 스피커 377)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1 모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 1 전자 장치 101과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모듈 370(또는 스피커 377)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제2 모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모드 상태 및 제2 모드 상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출력 효과(예: 음향 효과, 볼륨, 오디오 필터 등)를 적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 350은, 사용자로부터 지시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 35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다음 곡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 3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 350은 손가락 및 펜의 터치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입력 장치 350은 물리 키(physical key) 또는 하드 키(hard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 350은 수신된 입력 및 상기 수신된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프로세서 3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380은,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 또는 제2 전자 장치 102)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관리 모듈 380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380은, 전자 장치 300의 배터리 388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380은, 전자 장치 300의 배터리 388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 3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의 배터리 388의 잔량에 관한 정보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송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의 배터리 388의 잔량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 300이 마스터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던 전자 장치 300(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배터리 388의 잔량이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던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의 배터리의 잔량보다 지정된 양만큼 작으면, 전자 장치 300이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전자 장치가 마스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던 전자 장치 300(예: 제2 전자 장치 101)의 배터리 388의 잔량이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던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의 배터리의 잔량보다 지정된 양 이상 크면, 전자 장치 300이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전자 장치가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388은 전자 장치 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388은, 전자 장치 300이 지정된 충전 장치에 장착(또는 연결)되는 경우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배터리 388은, 커넥터 홀 291에 케이블 230이 장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388은, 커넥터 홀 291을 통해 전자 장치 300의 인터페이스가 케이블 230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경우 충전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230으로 연결된 경우, 유선 통신 링크 130가 수립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중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이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수립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의 수립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에 따라 수립되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의 수립은, BT 페어링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는, 비표준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non-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수립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또는 식별)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소스 103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하고 있음을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제1 전자 장치 101의 설정 정보(예: 왼쪽 이어버드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따라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예: lef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 10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나머지 일부(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예: lef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만 디코딩한 후 제1 전자 장치 10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나머지 일부 또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제2 전자 장치 102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대체적으로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하고 있음을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 (ID) 및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와 모드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하나의 패킷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대체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모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또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음향 효과 또는 오디오 필터가 적용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수립함으로써,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킨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소모 전류를 낮출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수립함으로써,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 대신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수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으로 연결된 경우, 통신 파라미터 (또는 추가적으로 모드 파라미터)는, 유선 통신 링크 130 대신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전자 장치 102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으로 연결된 경우,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접근하고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관찰함으로써,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송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모 전류 또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 102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또는 스니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또는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임의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함을 나타내는 응답(ACK)을,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임의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응답(NACK)을,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모두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ACK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중 하나라도 오디오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NACK을 수신한 경우, 해당되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재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 101 및 제2 전자 장치 102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누락하지 않고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 유선 통신 링크(예: 유선 통신 링크 130)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예: 인터페이스 360),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 390), 및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예: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예: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설립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예: 배터리 388)를 충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음향 효과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예: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예: 유선 통신 링크 130)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예: 인터페이스 360),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 390), 및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와 관련된 설정 정보(예: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다른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예: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설립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의 프로세서 31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이 방송하는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의 UI에 제1 전자 장치 101이 표시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식별 또는 획득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사이에 설립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로,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2 전자 장치 102와의 연결 상태를 검출(detect)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로 연결되었는지,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가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됨을 결정하는 경우, 동작 650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으로 연결됨을 결정하는 경우, 동작 640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오디오 소스 장치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케이블 230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702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마스터 동작으로써,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인 통신 파라미터를 식별 또는 획득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파라미터는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이후에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는 경우 제2 전자 장치 102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예: BT 페어링)을 설립하기 위한 정보(예: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 (ID) 및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뿐 아니라 모드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모드 파라미터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모드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06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설정 정보가 왼쪽 이어버드임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된 스테레오(stereo)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왼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오른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설정 정보가 왼쪽 이어버드임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된 스테레오(stereo)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고, 왼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2 전자 장치 102의 설정 정보가 오른쪽 이어버드임을 나타내는 경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 중 오른쪽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제2 전자 장치 10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대체적으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기 전까지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는 동작 705 및 동작 706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708에서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예: on)시킬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가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 102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에 포함된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 (ID) 및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이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제2 전자 장치 102는, 동작 704를 통해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송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고 동작 708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되는 동안에도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계속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작 705는, 동작 706 내지 710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는 경우 더 이상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의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관찰(observe)하고,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질 때도(즉, 동작 707에서 동작 708로 넘어갈 때도)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또는 끊김 없이)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동작 708 및 709는, 병렬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모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작 709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와, 동작 706에서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동일한 오디오 효과(예: 음향 효과, 필터 적용, 볼륨 설정, 출력 세기 등)를 적용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제2 전자 장치 102는,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 중 하나라도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게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NACK을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오디오 데이터를 누락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오디오 소스 장치 사이의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케이블 230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802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마스터 동작으로써,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인 통신 파라미터를 식별 또는 획득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804에서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각각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대체적으로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기 전까지는,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는 동작 804 및 동작 805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808에서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뿐 아니라 모드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와 모드 파라미터는, 하나의 패킷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동작 810에서,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송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 101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고, 동작 808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고, 동작 809에서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하는 동안에도,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계속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작 804는, 동작 807 내지 811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지는 경우 더 이상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의 끊어짐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관찰(observe)하고,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끊어질 때도(즉, 동작 807에서 동작 808로 넘어갈 때도)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또는 끊김 없이)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모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작 810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와, 동작 805에서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동일한 오디오 효과(예: 음향 효과, 필터 적용, 볼륨 설정, 출력 세기 등)를 적용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제2 전자 장치 102는,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도 7 또는 도 8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케이블 230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형성함으로써,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소모 전류를 낮출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된 경우 제2 전자 장치 102이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 101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 9 내지 1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이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실시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후술되는 도 9 내지 10에서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 101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서도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제1 전자 장치 101은,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제1 전자 장치 101의 프로세서 310은,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할 수 있음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은, 프로세서 310이 방송하는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의 UI에 제1 전자 장치 101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이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식별 또는 획득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과 오디오 소스 장치 103 사이에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이 설립됨을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파라미터 또는 모드 파라미터를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960에서,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하기 전까지 동작 940 및 동작 950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970에서,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예: BT 페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2 전자 장치 102로부터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는 경우, 더 이상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2 전자 장치 102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는 경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제2 전자 장치 102의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과 대체적으로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과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될 때까지 동작 1020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1040에서,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의 식별 정보 또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락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설립된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및 저장)할 수도 있다.
동작 1050에서,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060에서, 프로세서 310은 스피커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07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동작 1010 내지 1030에서는 제2 전자 장치 102의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예: off) 상태일 수 있다. 동작 1040 내지 1070에서는 제2 전자 장치 102의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예: on) 상태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유선 통신 링크 130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선 통신 링크 130이 단절된 이후에도, 제2 전자 장치 102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또는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 101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2 전자 장치 102는, 슬레이브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101과 제2 전자 장치 102는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제2 전자 장치 102의 프로세서 310은,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장치 103이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또는 스니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제1 전자 장치 101이 오디오 소스 장치 103과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을 설립(예: BT 페어링)함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102에게 수신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링크 13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또는 스니핑)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프로세서 310은,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예: ACK 또는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프로세서 3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과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연결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과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연결됨을 검출하기 전까지, 동작 1110 및 1130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과의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연결됨을 검출한 경우, 동작 1170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예: BT 페어링)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예: off)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또는 스니핑)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1190에서, 프로세서 310은, 설립된 유선 통신 링크 130을 통해, 제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1 전자 장치 101가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한 쪽 채널(예: right channel)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 310은, 유선 통신 링크 130이 설립된 경우, 인터페이스 360을 통해,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310은, 제2 전자 장치 102가 커넥터 홀 292을 통해 케이블 230과 연결됨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 102의 배터리 388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동작은 제1 전자 장치 101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102)의 동작 방법은,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 101)와 유선 통신 링크(예: 유선 통신 링크 130)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오디오 소스 장치 103)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예: 제1 무선 통신 링크 110)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회로(예: 인터페이스 360)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예: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 390)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예: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설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음향 효과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예: 제2 무선 통신 링크 120)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방식이 상기 유선 통신 링크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로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음향 효과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방식이 상기 유선 통신 링크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로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관한 정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음향 효과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이 상기 유선 통신 링크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로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 다른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선 통신 링크가 끊어진 경우,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70101210A 2017-08-09 2017-08-09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3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10A KR102336612B1 (ko) 2017-08-09 2017-08-09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6/057,245 US10206039B1 (en) 2017-08-09 2018-08-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udio signal by using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10A KR102336612B1 (ko) 2017-08-09 2017-08-09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02A KR20190016802A (ko) 2019-02-19
KR102336612B1 true KR102336612B1 (ko) 2021-12-07

Family

ID=6524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10A KR102336612B1 (ko) 2017-08-09 2017-08-09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06039B1 (ko)
KR (1) KR102336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2569B1 (en) * 2017-11-09 2019-02-19 Pixart Imaging Inc. Bluetooth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reception of packets of audio streams at a slave and master devices
US11012842B2 (en) * 2017-11-09 2021-05-18 Audiowise Technology Inc. Wireless stereo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US10555156B2 (en) * 2017-11-09 2020-02-04 Audiowise Technology Inc.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US11064281B1 (en) * 2017-11-15 2021-07-13 Amazon Technologies, Inc. Send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EP3790291A4 (en) * 2018-04-28 2021-03-24 1More Inc.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WIRELESS HEADPHONES, MASTER HEADPHONES, SLAVE HEADPHONES AND HEADPHONE SYSTEM
US10887051B2 (en) * 2019-01-03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Real time MIC recovery
US10838683B2 (en) * 2019-01-17 2020-11-17 Apogee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ly controlled microphone with audio compressor
KR102569374B1 (ko) * 2019-05-31 2023-08-22 구글 엘엘씨 블루투스 장치 동작 방법
KR20210020542A (ko) * 2019-08-16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링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2449284A (zh) * 2019-09-03 2021-03-05 博通集成电路(上海)股份有限公司 无线扬声器系统
KR20210034200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통신 링크 관리 방법
CN111356089B (zh) 2020-05-22 2020-11-2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通信方法、系统、电子设备、芯片和存储介质
KR20210157131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동작 방법
US20230164856A1 (en) * 2020-07-30 2023-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184938A4 (en) * 2020-07-31 2023-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UAL HEADPHONES
WO2022035184A1 (ko) * 2020-08-11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공유 방법
US11974107B2 (en) 2020-08-11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dio sharing using the same
TW202218438A (zh) * 2020-10-20 2022-05-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音訊播放裝置及相關的控制方法
WO2022154482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20105402A (ko) * 2021-01-20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7813825A (zh) * 2021-08-02 2024-04-02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WO2023058980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GB2621206A (en) * 2022-07-29 2024-02-07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Integrated circuit arrangement supporting aggregated transduc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27B1 (ko) * 2011-01-17 2012-02-2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5335B2 (en) * 2007-03-14 2012-04-10 Phillip Rutschman Headset having wirelessly linked earpieces
UA105805C2 (uk) 2009-09-10 2014-06-25 Косс Корпорейшн Синхронізація бездротових навушників
US8768252B2 (en) 2010-09-02 2014-07-01 Apple Inc. Un-tethered wireless audio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27B1 (ko) * 2011-01-17 2012-02-2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02A (ko) 2019-02-19
US10206039B1 (en) 2019-02-12
US20190052961A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612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598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rtable audio devices
KR102362156B1 (ko) 이어폰 무선 통신 방법, 마스터 이어폰, 슬레이브 이어폰 및 이어폰 시스템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370818A1 (en) Auto-discovery and auto-configuration of media devices
KR102350498B1 (ko) 외부 장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191950A1 (zh) 耳机降噪方法及装置、主耳机、从耳机及耳机降噪系统
JP6337066B2 (ja) 位置依存的無線スピーカ構成の技術
KR102652380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0911859B2 (en) Audio streaming charging case
KR102335903B1 (ko)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 방법 및 장치
TWI625982B (zh) Wearable system for receiving audio using a docking station
US202201418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210031168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45730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6531479A (ja) ワイヤレス接続スイッチング方法、ワイヤレス端末、及びそのシステム
JP7047833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システム
KR20210150919A (ko) 블루투스 통신 환경의 다중 장치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06744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16145870A1 (zh) 音频数据的请求播放及播放的方法、装置及终端
KR20180090699A (ko)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10059503A (ko) 수신 경로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JP581297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10041927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JP2017092737A (ja) クレードル、情報端末、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