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940A -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 Google Patents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940A
KR20230124940A KR1020237022278A KR20237022278A KR20230124940A KR 20230124940 A KR20230124940 A KR 20230124940A KR 1020237022278 A KR1020237022278 A KR 1020237022278A KR 20237022278 A KR20237022278 A KR 20237022278A KR 20230124940 A KR20230124940 A KR 2023012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pants
absorbent
folded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츠미 우메하라
도시유키 다니오
다카히로 우에다
아키라 하시노
아야 요코이치
다카시 모리사와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2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before use, e.g. how are the diapers folded or arranged in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통 둘레 개구부(1a)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과, 1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포장하는 포장재(101)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00)로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26)을 갖고, 포장재(101)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LB, RB, BL)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포장재(101)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LC1, LC2)를 가지며, 접음부(LC1, LC2)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다.

Description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본 발명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나 쇼츠형의 생리용 패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가 휘발성의 향료를 구비하고, 이 향료가 향기 성분을 대기 중에 휘산시킴으로써, 착용자 등에게 주는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8-10261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휘발성 물질의 향료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착용자가 착용하기 전에, 향료 등의 휘발성 물질이 휘발해 버려, 착용자 등이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착용 시에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착용자 등에게 인식시키기 쉬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몸통 둘레 개구부(開口部)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折疊部)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折部)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이다.
또, 몸통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접음부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 시에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착용자 등에게 인식시키기 쉬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도 1은,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체(10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등측(背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7 중, 도 7A는, 도 6의 흡수성 물품(1)을 개킴 기준 위치(B1)에서 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흡수성 물품(1)을 개킴 기준 위치(B2)에서 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멘톨의 유출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중, 도 13A는,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10)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20)의 평면도이다.
도 14 중, 도 14A는, 패키지(2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B는, 측면(200C)측에서 본, 패키지(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몸통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이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보다 컴팩트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 하면서, 적어도 한쪽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포장재의 접음부측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이, 다리 둘레 개구부로부터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단부(端部)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 접합부는,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며, 또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포장재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높으며,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높음으로써,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경우보다도 한쪽측 단부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몸통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접음부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이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보다 컴팩트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 하면서, 몸통 둘레 개구부를 포장재의 접음부측과 대향시킴으로써,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이, 다리 둘레 개구부로부터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킴부보다 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포장재의 접음부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 또는 몸통 둘레 개구부를 통한 포장재의 외부로의 휘발성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하 개킴부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은, 개킴부와 가랑이 아래부 사이에 끼여 있기 때문에, 휘발성 물질이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개킴부는, 상기 흡수체보다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휘발성 물질이,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개킴부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포장재의 접음부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 또는 몸통 둘레 개구부를 통한 포장재의 외부로의 휘발성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좌우 개킴부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이, 좌우 개킴부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로부터 유출되는 경로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휘발성 물질이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르고, 상기 포장재 내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접음부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가, 상기 접합부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접음부와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가, 접합부와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보다 긴 경우보다도 접음부와 팬티형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을 더욱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둘레 개구부 또는 몸통 둘레 개구부를 통해 포장재 내에 유출되는 휘발성 물질의 양을 경감시켜, 포장재의 외부로 유출되는 양을 보다 경감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포장재의 단부에 설치된 단부 접합부와, 상기 접음부를 따르고, 또한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상기 내측 접합부의 접합 강도 쪽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보다 접합 강도가 낮은 단부 접합부의 접합을 박리함으로써,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개봉하기 쉽게 하면서, 보다 접합 강도가 높은 내측 접합부가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쉬움으로써, 포장재를 주머니상(狀)으로 유지하기 쉬워져, 사용 후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재에 넣은 상태로, 휴대하거나, 파기하거나 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지고,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음부를 따르고, 또한,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보다 가랑이 아래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부에는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고, 가랑이 아래부는, 몸통 둘레 개구부가 설치된 부분보다도 강성이 높기 때문에, 가랑이 아래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내측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내측 접합부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형성하기 쉬워져, 내측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접합부가 없는 면에 몸통 둘레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접합부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단(端)까지의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상하 개킴부에서의 개킴에 의해 상하 개킴부보다 몸통 둘레 개구부측의 부분으로, 다리 둘레 개구부의 보다 넓은 범위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다리 둘레 개구부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의하면, 가랑이 아래부가 몸통 둘레 개구부를 덮고, 가랑이 아래부와 포장재 사이에 몸통 둘레 개구부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휘발성 물질이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수용하는 주머니체(袋體)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로서, 상기 주머니체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에 의하면,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휘발성 물질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외부로 누설된 경우라도, 주머니체의 외측으로 유출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로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산소 투과도가, 상기 주머니체의 상기 산소 투과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에 의하면,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주머니체의 산소 투과도보다 높은 경우보다도, 휘발성 물질의 유출을 경감시켜, 개별 포장체의 내부에 휘발성 물질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로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가 접합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며, 또한 상기 포장재의 단부에 설치된 단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단부 접합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강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가 상기 주머니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이,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가, 상기 주머니체의 바닥면(底面)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에 의하면, 보다 접합 강도가 낮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여도,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가 주머니체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와 주머니체의 바닥면과의 틈새가 생기기 어려워져,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 본 실시형태 ===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용의 소위 쇼츠형 패드로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하, 「흡수성 물품」이라고도 한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쇼츠형 패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른용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나 유유아(乳幼兒)용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등이어도 된다.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란, 적어도 포장재(후술)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측(腹側) 몸통 둘레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의 좌우 방향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접합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말한다.
<<<흡수성 물품(1)>>>
도 1은,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전후 방향」을 갖고 있다. 「전개 상태」란, 흡수성 물품(1)의 개킴을 모두 전개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말한다. 「자연 상태」란, 기저귀(1)를 소정 시간 방치했을 때의 상태이다. 팬티상(狀)의 흡수성 물품(1)(도 1 참조)의 상하 방향에 대해, 흡수성 물품(1) 중, 몸통 둘레 개구부(1a)측을 「상측」으로 하고, 가랑이 아래측(가랑이 아래부(10m)측)을 「하측」으로 한다. 또,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측은 「복측」이기도 하고, 후측은 「등측」이기도 하다.
도 2는,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분리 평면 상태」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의 양측 단부의 측단부 접합부(10e, 10e)를 각각 풀어,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를 분리시켜, 상하 방향으로 열어서 평면상으로 펼친 상태이다. 「신장 상태」란, 흡수성 물품(1)을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외장체(10)나 흡수성 본체(20) 등)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길이가 될 때까지 신장된 상태인 것을 말한다.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좌우 방향」, 「두께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도 2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피부측의 반대를 「비(非)피부측」이라고 하며, 도 1의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을 따른다. 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을 착용 중의 착용자에게 있어서의 「좌측」으로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을 착용 중의 착용자에게 있어서의 「우측」으로 한다. 도 2 등의 C-C 선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이다.
흡수성 물품(1)은, 소위 2피스 타입의 쇼츠형 패드이며, 외장체(10)와,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20)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2 피스 타입의 쇼츠형 패드(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복측 몸통 둘레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를 별체(別體)로 하여 배치한 소위 3피스 타입의 쇼츠형 패드(팬티형 흡수성 물품)여도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복측을 덮는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10m)와,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 등측 몸통 둘레부(10b)를 갖는다. 가랑이 아래부(10m)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의 사이에 개재하는 영역이다.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외장체(10)는, 흡수성 물품(1)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이며, 평면시(平面視)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이 움푹 들어간 부분은, 팬티형으로 성형하면,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b)가 된다. 또, 외장체(10)는, 흡수성 본체(20)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쪽측 연출부(延出部)(10L)와, 다른쪽측의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측 연출부(10R)를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복측 몸통 둘레부(10f)가, 흡수성 본체(20)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등측 몸통 둘레부(10b)가, 흡수성 본체(20)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한다.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는, 각각 양측 단부에,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를 접합하는 측단부 접합부(10e)를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분리 평면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 즉 가랑이 아래부(10m)에 설치된, 좌우 방향을 따른 접음선(CL)에서 둘로 접어지고, 측단부 접합부(10e)에서, 복측 몸통 둘레부(10f)의 측단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의 측단부가 접합됨으로써 팬티형이 된다. 측단부 접합부(10e)는, 초음파 접합, 접착제, 용착 접합 등의 주지의 접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팬티형으로 성형되면, 몸통 둘레 개구부(1a)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 된다. 또한, 접음선(CL)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대략 중심이며, 좌우 방향을 따른 직선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되접힌 부분을 갖는 기저귀(1)의 최하단이며, 가랑이 아래부(10m)의 단이다.
<외장체(10)>
외장체(10)는, 외장 톱 시트(11), 외장 백시트(12),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를 구비하고, 서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외장 톱 시트(11)와 외장 백시트(12)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흡수성 물품(1)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외장 톱 시트(11)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방수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장 백시트(12)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장 백시트(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측 및 등측의 외측단(상단)은, 각각 피부측으로 되접어, 외장 톱 시트(11)의 외측단(상단)을 감싼 복측 되접음부(10ff)와 등측 되접음부(10bf)를 갖고 있다. 또한, 복측 되접음부(10ff)와 등측 되접음부(10bf)를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단, 흡수성 물품(1)이, 복측 되접음부(10ff), 등측 되접음부(10bf)를 구비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부(1a)에 있어서의 외장체(10)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통해서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후술)의 양을 감소시키기 쉬워진다.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 및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는, 각각 복측 몸통 둘레부(10f)와 등측 몸통 둘레부(10b)에 있어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외장 톱 시트(11)와 외장 백시트(12)의 사이에 설치된다.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 및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는, 예를 들면, 복수 가닥의 실고무 등이다.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 및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 및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에 의해, 복측 몸통 둘레부(10f) 및 등측 몸통 둘레부(10b)에,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성이 부여된다.
복측 몸통 둘레부(10f)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3)의 수축력에 의한 몸통 둘레 개구부(1a)측 상단부의 수축력이, 가랑이 아래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의 수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등측 몸통 둘레부(10b)에 있어서,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에 의한 몸통 둘레 개구부(1a)측 상단부의 수축력이, 가랑이 아래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의 수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보다 줄이기 쉽게 하여,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좁힘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통해서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감소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복측 몸통 둘레부(10f) 및 등측 몸통 둘레부(10b)가,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성 본체(20)>
흡수성 본체(20)는, 외장체(10)의 피부측면에 접합된다. 외장체(10)에 흡수성 본체(20)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이들의 조합 등, 공지의 접속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중의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20)를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흡수성 본체(20)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체(흡수성 코어)(22), 흡수체(22)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22a), 제 1 피부측 시트(24a), 제 2 피부측 시트(24b), 비피부측 시트(24c), 사이드 시트(24d), 가랑이 아래 탄성 부재(30) 및 냉감제(26)를 구비한다. 각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나, 용착, 압착 등의 주지의 수단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 흡수성 본체(20) 중, 흡수체(22)가 설치된 영역에는, 피부측에서 두께 방향으로 압착을 한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른 형상의 압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체(22)는, 액체 흡수성 소재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성형한 부재이며,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22)의 형상은, 반드시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코어 랩 시트(22a)로는, 티슈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코어 랩 시트(22a)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 1 피부측 시트(24a)는,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대략 직사각형상이고, 흡수체(22)보다도 큰 평면 사이즈를 갖는다. 제 2 피부측 시트(24b)는, 제 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면에 적층되어 있다. 제 1 피부측 시트(24a) 및 제 2 피부측 시트(24b)는, 각각 흡수체(22)보다도 피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피부측 시트(24a) 및 제 2 피부측 시트(24b)는, 예를 들면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 1 피부측 시트(24a)와 제 2 피부측 시트(24b)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흡수체(22)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1 피부측 시트(24a)를 구비하고, 제 1 피부측 시트(24a)와 흡수체(22)의 사이에 시트 부재(제 2 피부측 시트(24b))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되며, 제 1 피부측 시트(24a)와 흡수체(22)의 사이에, 코어 랩 시트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비피부측 시트(24c)는, 흡수체(22)보다도 큰 평면 사이즈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시트이며, 흡수체(22)를 비피부측에서 덮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비피부측 시트(24c)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4d)는, 흡수체(22)보다도 큰 평면 사이즈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시트 부재이며, 사이드 시트(24d)로는,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사이드 시트(24d)는, 피부측에서 보아,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덮는바, 구체적인 구성은,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에서,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보다 외측에서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을 향해 되접어져, 흡수체(22)의 비피부측면의 전역(全域)을 덮고,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보다 외측에서 두께 방향의 피부측을 향해 되접어져, 흡수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부를 덮은 것이다. 사이드 시트(24d)에는, 흡수체(22)보다 피부측에 탄성 부재(50S)가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50S)의 수축에 의해, 한 쌍의 입체 개더(50)가 형성되며, 입체 개더(50)가 방루벽(防漏壁)이 되어, 흡수성 본체(20)의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될 우려를 경감시키고 있다.
가랑이 아래 탄성 부재(30)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22) 및 비피부측 시트(24c)보다 비피부측이고, 또한 사이드 시트(24d)보다 피부측, 즉, 비피부측 시트(24c)와 사이드 시트(24d)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른 복수 가닥(4가닥)의 실고무이지만, 가닥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여도 4가닥 이상의 복수여도 되며, 실고무 등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는 띠상의 탄성 시트 등이어도 된다.
냉감제(26)는, 흡수성 물품(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냉감제(26)가 설치된(도포된) 영역을 도포 영역(26P)이라고 하며, 도 3 등에 있어서, 편의상, 도포 영역(26P)을 도트 패턴(砂地)의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의 내측」이란, 흡수성 물품(1)의 가장 외측의 시트인 외장 백시트(12)보다 피부측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면에 도포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양측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고, 또한 흡수체(22)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도포 영역(26P)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배설구(질구)에 맞닿게 하기 위해, 냉감제(26)를 흡수체(2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피부측 시트(24a)에 도포 영역(26P)을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내측이면, 임의로 배치 가능하다. 단, 착용자의 피부에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게 하기 위해, 도포 영역(26P)을 흡수성 본체(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냉감제(26)는, 제 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제 1 피부측 시트(24a)가 보유하는 냉감제(26)의 양이, 사이드 시트(24d)가 보유하는 냉감제(26)의 양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피부측 시트(24a)는, 흡수성 본체(20) 중, 착용 시의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위치의 부재이기 때문에, 제 1 피부측 시트(24a)에 설치된 냉감제(26)의 효능을 착용자에게 느끼게 하기 쉬워진다. 한편, 사이드 시트(24d)가 보유하는 냉감제(26)의 양을 줄임으로써, 탄성 부재(50S)를 사이드 시트(24d)에 고정하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냉감제(26)는, 착용자에게 땀참이나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키기 위한 물질이며, 착용자의 온도 감각에 자극을 주는 냉감 자극제를 구비한 물질이다. 본 실시형태의 냉감 자극제는, 장착된 상태에서 냉감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질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소변이나 경혈 등의 배설물이 배설되어, 배설물을 흡수성 본체(20)가 흡수한 상태에서는, 착용자는, 배설물에 의한 불쾌감을 얻기 쉬워져,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기 어렵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냉감제(26)에 이용하는 냉감 자극제는, 배설물에 포함되는 수분에 반응하여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한 시점에서 냉감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착용자는,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기 쉬워져, 냉감제(26)에 의한 상쾌감을 얻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1)에 설치된 냉감제(26)는, 휘발성의 용매와 혼합된 상태로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휘발성이 높다.
냉감 자극제는,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감 자극제로는, 예를 들면,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등); 멘톨 유도체(예를 들면, 유산 멘틸, 멘틸 글리세릴 에테르 등); 살리실산 메틸; 민트나 유칼리 등의 식물 유래의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냉감제(26)의 냉감 자극제는,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의 하나인 TRPM8은, 냉감 센서인 냉자극 수용체이다.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유산 멘틸) 등은, TRPM8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실제로는 온도가 내려가 있지 않아도 냉감 센서를 반응시키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시원함을 줄 수 있다. 즉, 그 자체가 흡열하여 온도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착용자에게 냉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과도하게 피부를 너무 차갑게 식히거나 하는 일 없이, 냉감을 느낄 수 있다.
또, 냉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예를 들면, 향료와 같은 휘발성 물질은, 기체가 되면 주변의 악취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냉감제(26)는 기화한 후에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그 주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냉감제(26)가 부직포(제 1 피부측 시트(24a)) 등을 개재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착용자는, 서서히 냉감제(26)의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용매는, 냉감 자극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용매는, 냉감 자극제를, 예를 들면, 용해, 분산 등 할 수 있다.
친유성 용매로는, 유지(油脂), 예를 들면, 천연유(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등), 탄화수소(예를 들면, 파라핀,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용매는, 물 및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저급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개별 포장체(100)>>>
흡수성 물품(1)은, 포장재(101)로 포장되어, 개별 포장체(100)가 된다. 도 5는, 개별 포장체(100)의 평면도이다. 개별 포장체(100) 중의 흡수성 물품(1)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LB, RB, BL)에서 접어 개켜진 상태로, 포장재(101)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이하, 포장재(101)로 포장된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 및 흡수성 물품(1)을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나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라고 하고, 포장재(101)로 포장될 수 있는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개킨 상태」라고도 한다.
또, 도 5 등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이, 개별 포장체(100)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르고,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이, 개별 포장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재(101)는, 접음부(LC1, LC2)(후술)를 따른 접음 방향과, 접음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접음 방향 및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있다.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에 있어서, 포장재(101)의 접음 방향은, 개별 포장체(100) 및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포장재(101)의 직교 방향은, 개별 포장체(100) 및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을 따르며, 포장재(101)의 두께 방향은, 개별 포장체(100)의 두께 방향 및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을 따른다.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진 상태를 말한다. 도 6은,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등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편의상, 도 6∼도 12에 있어서의 한쪽측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좌하향 사선부로 나타낸다.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도 8 참조)은, 도 6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 개킴 기준 위치(B1, B2, B3)에서 각각 접어 개킴으로써 형성된다. 개킴 기준 위치(B1, B2, B3)는, 각각 흡수성 물품(1)을 접어 개킬 때의 기준(지점)이 되는 위치이다. 흡수성 물품(1)(개별 포장체(100))에서는,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 개킴 기준 위치(B1, B2)에서 각각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 접어 개킨다. 개킴 기준 위치(B1)는, 상하 방향을 따른 개킴을 위한 기준 위치이며, 한쪽측 연출부(10L)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다. 개킴 기준 위치(B2)는, 상하 방향을 따른 개킴을 위한 기준 위치이며, 다른쪽측 연출부(10R)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다. 개킴 기준 위치(B3)는,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을 위한 기준 위치이며,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하측(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 우선, 한쪽측 연출부(10L)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개킴 기준 위치(B1)보다 외측의 부분을 등측을 향해 접어 개킴으로써, 도 7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다음으로, 다른쪽측 연출부(10R)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개킴 기준 위치(B2)보다 외측의 부분을 등측을 향해 접음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7A는, 도 6의 흡수성 물품(1)을 개킴 기준 위치(B1)에서 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흡수성 물품(1)을 개킴 기준 위치(B2)에서 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킴 기준 위치(B1, B2)에서 접어 개킴으로써, 한쪽측 연출부(10L) 중 접어 개켜진 부분의 일부와, 다른쪽측 연출부(10R) 중 접어 개켜진 부분의 일부가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쪽측 연출부(10L)와 다른쪽측 연출부(10R)는, 어느 쪽을 먼저 접어 개켜도 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개킴 기준 위치(B1) 및 개킴 기준 위치(B2)에서 각각 한쪽측 연출부(10L)의 부분 및 다른쪽측 연출부(10R)의 부분을 접어 개킨 상태(도 7B)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을 두께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예를 들면, 등측)에서 본 경우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한쪽측의 단을 「한쪽측 개킴부(LB)」라고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다른쪽측의 단을 「다른쪽측 개킴부(RB)」라고 하며, 한쪽측 개킴부(LB)와 다른쪽측 개킴부(RB)를 「좌우 개킴부」라고도 한다. 한쪽측 개킴부(LB)와 다른쪽측 개킴부(RB)는, 각각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킨 상태의 한쪽측 개킴부(LB) 및 다른쪽측 개킴부(RB)는, 각각 개킴 기준 위치(B1) 및 개킴 기준 위치(B2)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전개 상태에 있어서, 한쪽측 개킴부(LB)는, 개킴 기준 위치(B1)와 전후 방향(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치져 있고, 다른쪽측 개킴부(RB)는, 개킴 기준 위치(B2)와 전후 방향(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LB, RB)」가,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평행한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LB, RB)가, 상하 방향에 대해 각각 45도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7B에 나타내는 상태의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킴 기준 위치(B3)보다 하측(가랑이 아래측)의 부분을 상측(몸통 둘레 개구부(1a)측)을 향해 접어 개킴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 된다. 도 8은,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 기준 위치(B3)에서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킨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두께 방향의 상측에서 본 경우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하측의 단을 「상하 개킴부(BL)」라고 한다. 상하 개킴부(BL)는,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킨 상태의 상하 개킴부(BL)는, 개킴 기준 위치(B3)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몸통 둘레 개구부(1a)측)에 위치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BL)」가,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BL)가, 좌우 방향에 대해 각각 45도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하 개킴부(BL)는, 개킴 기준 위치(B3)와 전후 방향(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체(22)의 상하 방향에 직교하도록 개킴 기준 위치(B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개킴 기준 위치(B3)를, 흡수성 본체(20)에 설치된 압착부(40)와 교차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흡수체(22)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강성이 높은 부재이다. 마찬가지로, 압착부(40)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더욱 강성이 높은 부분이다. 강성이 높은 압착부(40)와 교차하는 부분에서 접어 개킴으로써, 흡수체(22)에 소위 접은 자국이 생기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1)의 개킨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므로, 흡수성 물품(1)의 내측에 설치된 냉감제(26)가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통해서 휘발될 우려를 경감시키기 쉬워진다.
<포장재(101)에 의한 포장 방법 >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포장재(101)로 포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1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포장 공정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보다 큰 사이즈로 직사각형 형상의 포장재(101)를 수평으로 펼치고, 포장재(101)의 대략 중앙부에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재치(載置)한다. 이때,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 중, 두께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1a)(몸통 둘레부(10f, 10b))측을 포장재(101)에 접하는 측(하측)으로 하고, 가랑이 아래부(10m) 측을 상측으로 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접음 기준 위치(L1)는, 제 2 포장 공정에서 포장재(101)를 접기 위한 기준 위치이며, 제 2 접음 기준 위치(L2)는, 제 3 포장 공정에서 포장재(101)를 접기 위한 기준 위치이다. 이때, 제 1 접음 기준 위치(L1)와 제 2 접음 기준 위치(L2)가,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한다.
포장재(101)는, 냉감제(26) 등의 휘발성 물질을 투과시키기 어려운(소위,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이 구비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휘발성 물질을 투과시키기 어려운 포장재(101)로는, 23℃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시트 부재를 이용한다. 포장재(101)의 두께 방향의 휘발성 물질의 투과도는, 산소 투과도와 대략 비례 관계인 점에서, 포장재(101)의 두께 방향으로 휘발성 물질이 투과하는 정도를, 포장재(101)의 두께 방향의 산소 투과도를 이용하여 규정한다.
포장재(101)로는, 예를 들면, EVOH 수지(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PET(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 등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재(101)는, EVOH 수지(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를 함유하는 PE/admer/EVOH/admer/PE의 복층의 필름 소재의 시트이며, 산소 투과도가 2.0cc/㎡/day/atm이다. 포장재(101)의 산소 투과도는, 예를 들면, 23℃, 0% RH 조건하의 전기량법(coulometric method)(MOCON법) 등의 주지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냉감제(26)인 멘톨에 침지한 여과지(濾紙)와, 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101)를 준비하고, 여과지 및 포장재(101)의 중량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101) 위에 멘톨을 포함한 여과지를 재치하고, 셋으로 접기를 하여, 시일 부재로 밀봉(封止)한 상태의 샘플 A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 상태의 샘플 A의 중량에서 멘톨을 포함하지 않는 여과지의 중량과 포장재(101)의 중량을 제함으로써, 여과지가 포함한 멘톨의 중량이 얻어진다. 그 후, 소정 조건으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40℃, 70%의 항온항습기에 넣은 상태로 1주일 및 4주일) 경과 후에, 샘플 A의 중량을 측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 전보다 감소한 중량을 산출함으로써, 냉감제(26)인 멘톨의 유출량이 얻어진다. 또,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과 소정 시간 경과 전의 멘톨의 중량을 비교함으로써, 멘톨의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멘톨의 유출량 등은, 소정수(예를 들면, 10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PET로 이루어지는 시트 위에 멘톨을 포함한 여과지를 재치하고, 셋으로 접기를 하여, 시일 부재로 밀봉한 상태의 샘플 B,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지는 시트 위에 멘톨을 포함한 여과지를 재치하고, 셋으로 접기를 하여, 시일 부재로 밀봉한 상태의 샘플 C, PE(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는 시트 위에 멘톨을 포함한 여과지를 재치하고, 셋으로 접기를 하여, 시일 부재로 밀봉한 상태의 샘플 D에 대해서, 각각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냉감제(26)인 멘톨의 유출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샘플의 여과지의 크기 및 시트의 크기는, 동일하게 한다.
도 9는, 멘톨의 유출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각 중량 및 비율은, 각각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샘플 A(EVOH 수지, 포장재(101))의 측정 개시 시의 멘톨의 중량은 0.5g이며, 1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2% 감소하고, 4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2% 감소한다. 샘플 B(PET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측정 개시 시의 멘톨의 중량은 0.5g이며, 1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2% 감소하고, 4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2% 감소한다. 샘플 C(PVC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측정 개시 시의 멘톨의 중량은 0.5g이며, 1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6% 감소하고, 4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10% 감소한다. 샘플 D(PE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측정 개시 시의 멘톨의 중량은 0.5g이며, 1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32% 감소하고, 4주일 경과 후의 멘톨의 중량은, 측정 개시 시로부터 98% 감소한다.
샘플 A∼D에 사용한 시트 부재의 산소 투과도는, 각각, 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2.0cc/㎡/day/atm, PET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80cc/㎡/day/atm, PVC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200cc/㎡/day/atm, PE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7900cc/㎡/day/atm이다.
샘플 A∼D의 소정 시간 경과 전의 냉감제(26)의 중량과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냉감제(26)의 중량을 비교하여, 멘톨의 감소율이 10% 이하이면, 착용자는, 냉감제(26)를 장착 시에 고간부(흡수성 본체(20)와 맞닿는 부분)에서 인식하기 쉽다. 샘플 A∼D의 4시간 경과 후의 냉감제(26)의 중량에 대해서,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PET로 이루어지는 시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PVC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소정의 중량의 멘톨이 잔존하고 있는 것에 비해,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보다 높은 PE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멘톨이 거의 잔존하고 있지 않다는 결과가 되었다. 또, 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PET로 이루어지는 시트, PVC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1주일 후와 4주일 후의 멘톨의 감소율의 값의 변화가 작은 것에 비해, PE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1주일 후와 4주일 후의 멘톨의 감소율의 값의 변화가 큰 점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멘톨이 PE 시트를 통해 유출되고 있다.
샘플 A∼D의 냉감제(26)의 유출량의 결과로부터,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인 PVC로 이루어지는 시트(샘플 C)를 포장재(101)로서 이용한 경우는,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낄 수 있을 만큼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한편, PE로 이루어지는 시트(샘플 D)를 포장재(101)로서 이용한 경우는,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낄 수 있을 만큼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재(101)는, 두께 방향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시트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재(101)를 접음 기준 위치(L1)에서, 포장재(10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제 1 되접음부(101L)를 좌우 방향의 다른쪽측을 향해, 또한, 제 1 되접음부(101L)를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가랑이 아래부(10m)의 측에서 덮도록 접음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제 2 포장 공정의 상태가 된다. 도 11은, 제 2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되접은 제 1 되접음부(101L)를 좌하향 사선부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포장 공정에 있어서, 접음 기준 위치(L1)를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으로 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한쪽측을, 흡수성 물품(1)과 포장재(101) 사이에 틈새가 거의 없는(작은 틈새)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접음 기준 위치(L1)에서 제 1 되접음부(101L)를 되접은 상태에 있어서, 개별 포장체(100)(포장 도중의 개별 포장체(100))를 두께 방향(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예를 들면, 등측)에서 본 경우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한쪽측의 단을 「한쪽측 접음부(LC1)」라고 한다.
제 2 포장 공정에 있어서, 제 1 되접음부(101L)의 외측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101h)를 도포한다. 당해 접착제(101h)는, 제 1 되접음부(101L)와 제 2 되접음부(101R)를 접합하여, 접합부(102)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부이다. 이 접착제(101h)는, 개별 포장체(100)의 내측에 이물(異物)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별 포장체(100)로부터 흡수성 물품(1)에 설치된 냉감제(휘발성 물질)(26)가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포장재(10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해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101h)는, 제 1 되접음부(101L)의 외측면과, 제 2 되접음부(101R)의 내측면을 접착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제 1 되접음부(101L)의 외측면에 접착제(101h)를 설치하지 않고, 제 2 되접음부(101R)의 내측면에 접착제(101h)를 설치해도 된다.
계속해서, 포장재(101)를 접음 기준 위치(L2)에서, 포장재(10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제 2 되접음부(101R)를 좌우 방향의 한쪽측을 향해, 제 1 되접음부(101L) 및 제 2 되접음부(101R)를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가랑이 아래부(10m)의 단측에서 덮도록 접음으로써, 도 12에 나타내는 제 3 포장 공정의 상태가 된다. 도 12는, 제 3 포장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되접은 제 2 되접음부(101R)를 우하향 사선부로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포장 공정에 있어서, 접음 기준 위치(L2)를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으로 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다른쪽측을, 흡수성 물품(1)과 포장재(101) 사이에 틈새가 거의 없는(작은 틈새)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접음 기준 위치(L2)에서 제 2 되접음부(101R)를 되접은 상태에 있어서, 개별 포장체(100)(포장 도중의 개별 포장체(100))를 두께 방향(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예를 들면, 등측)에서 본 경우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다른쪽측의 단을 「다른쪽측 접음부(LC2)」라고 한다.
제 3 포장 공정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제 1 되접음부(101L)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부와 제 2 되접음부(101R)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가 서로 겹쳐져, 제 2 포장 공정에서 제 1 되접음부(101L)의 외측면에 설치된 접착제(101h)로 접합됨으로써, 내측 접합부(102)가 된다. 즉, 내측 접합부(102)는, 접착제(101h)에 의한 접합부이다. 내측 접합부(102)는, 한쪽측 접음부(LC1) 및 다른쪽측 접음부(LC2)를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에서 다른쪽측의 단까지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측 접합부(102)는, 좌우 방향(직교 방향)에 있어서, 한쪽측 접음부(LC1)보다 내측이고, 다른쪽측 접음부(LC2)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내측 접합부(10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쪽측 접음부(LC1)와 다른쪽측 접음부(LC2) 사이에 설치되며, 개별 포장체(100)에서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포장 공정에 의해, 포장재(101)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된 면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포장 공정에서, 접음 기준 위치(L1)에서 포장재(101)의 제 1 되접음부(101L)를 접고, 제 3 포장 공정에서, 접음 기준 위치(L2)에서 포장재(101)의 제 2 되접음부(101R)를 접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포장 공정에서 포장재(101)의 제 2 되접음부(101R)를 접고, 제 3 포장 공정에서 제 1 되접음부(101L)를 접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제 4 포장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단부 접합부(103)를 형성한다. 포장재(101)의 상하 방향(직교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 및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를 형성한다.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는, 각각 열과 압력을 가한 용착에 의한 접합부이다.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는, 좌우 방향(직교 방향)을 따르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에서 다른쪽측의 단까지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단부 접합부(103)의 형성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은, 포장재(101)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개별 포장체(100)가 된다.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1)의 개별 포장체(100)는, 휴대성 등의 이유로 컴팩트한 형상이 요망되고 있고, 착용자가, 그 컴팩트한 형상으로부터 취출한 흡수성 물품(1)의 냉감제(26) 등의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착용 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의 내측에 설치된 냉감제(26) 등의 휘발성 물질은, 「개구」로서 열려 있는 몸통 둘레 개구부(1a)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유출되기 쉽다.
개별 포장체(100)는, 냉감제(26)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LB, RB) 및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BL)에서 접어 개켜진 개킨 상태로, 한쪽측 접음부(LC1)를 구비한 포장재(101)로 포장되어 있다. 이 포장재(101)는,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고,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다.
통상, 팬티형의 흡수성 물품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 외측을 향해 다리 둘레 개구부(1b)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포장재(101)의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름으로써,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포장재(101)의 한쪽측 접음부(LC1)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한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의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의 유출을 경감시키는 덮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가령,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보다 한쪽측에, 상하 방향을 따른 포장재(101)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접합부의 틈새로부터 냉감제(26)가 유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흡수성 물품(1)과 같이,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이음매가 없는 포장재(101)의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흡수성 물품(1)보다 한쪽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한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한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킴으로써, 개별 포장체(100) 내부의 냉감제(26)의 양이 감소할 우려를 경감시키고, 착용자에게, 개별 포장체(100)의 개봉 시나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시에, 냉감제(26)의 효과를 쉽게 느끼게 할 수 있다.
또,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으로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보다 한쪽측에 상하 방향을 따른 한쪽측 접음부(LC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보다 한쪽측에 상하 방향을 따른 포장재(101)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개별 포장체(100)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개별 포장체(100)를 보다 컴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개별 포장체(100)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차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때, 포장 상태(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좌우 방향의 한쪽측 또는 다른쪽측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포장재(101)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감제(26)는, 휘발성의 용매를 포함하고, 냉감 자극제를 포함한 상태로 기화하는바,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외기의 순환 등에 의해, 냉감제(26)의 기화가 촉진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개별 포장체(100)를 컴팩트한 형상으로 하여,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개별 포장체(100)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차를 보다 짧게 함으로써, 개별 포장체(100)의 내부에 있어서, 포장재(101)에 대한 흡수성 물품(1)의 이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냉감제(26)의 기화를 경감시키기 쉬워져, 착용자에게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냉감제(26)의 「유출」이란, 냉감제(26)의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상태에서의 유출뿐만 아니라, 냉감제(26)의 기화한 상태에서의 유출도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이, 좌우 방향의 양측을 향해 개구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갖고, 포장재(101)가, 한쪽측 접음부(LC1)뿐만 아니라, 다른쪽측 접음부(LC2)를 구비하는 점에서,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경감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 포장체(100)의 개봉 시나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시에, 착용자는 냉감제(26)의 효과를 보다 느끼기 쉬워진다. 또한, 개별 포장체(100)는, 좌우 방향(직교 방향)에 대해서 대략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쪽측 접음부(LC1)에 있어서의 특징은, 다른쪽측 접음부(LC2)에 대한 특징과 마찬가지이며,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냉감제(26)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개킴부(BL)보다 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상하 개킴부(BL)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하 개킴부(BL)보다 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된 냉감제(26)는, 개킨 상태에서는, 상하 개킴부(BL)와 가랑이 아래부(10m) 사이에 끼이기 때문에, 냉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어,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 중, 냉감제(26)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22)보다 외측에 설치된 좌우 개킴부(LB, RB)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좌우 개킴부(LB, RB)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20)보다 외측이기 때문에 분명하게 흡수체(22)보다 외측이다.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우 개킴부(LB, RB)보다 내측에 설치된 냉감제(26)는, 좌우 개킴부(LB, RB)에서 접어 개켜짐으로써, 냉감제(26)가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경로를 좁힐 수 있어, 냉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고,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는, 좌우 방향(직교 방향)을 따른 단부 접합부(103)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00)를 밀봉 상태로 하기 위해, 포장재(101)끼리를 접합한 단부 접합부(103a, 103b)가, 상하 방향(접음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개별 포장체(100)의 포장재(101)의 내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때에,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가, 단부 접합부(103a)(또는 103b)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00)의 내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때에,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좌우 방향에 대한 최장 거리가, 단부 접합부(103a)(또는 103b)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상하 방향에 대한 최장 거리(X)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단부 접합부(103a)(103b)와 흡수성 물품(1)이 소정 거리(최장 거리(X))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에 비해,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이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어,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과의 거리가 극히 짧고, 제로에 가깝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분명하게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가, 단부 접합부(103a)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X)보다 짧다. 이것에 의해,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가, 단부 접합부(103a)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X)보다 긴 경우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 사이의 공간을 보다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감제(26)의 휘발을 촉진하는 공기의 순환을 보다 경감시켜, 흡수성 물품(1)으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통해 포장재(101) 내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삭감시킬 수 있어, 포장재(101)(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삭감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도 5 등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된 경우의,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가, 단부 접합부(103a)(103b)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X)보다 짧은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흡수성 물품(1)이,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경우도, 한쪽측 접음부(LC1)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를, 단부 접합부(103a)(103b)와 흡수성 물품(1)까지의 최장 거리(X)보다 짧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으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통해 포장재(101) 내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삭감시켜, 포장재(101)(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삭감시키기 쉬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의 흡수성 물품(1)은, 상하 개킴부(BL)와 좌우 개킴부(LB, RB)에서 접어 개켜진 개킨 상태이다. 또,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는, 좌우 방향(직교 방향)에 있어서, 한쪽측 접음부(LC1)(다른쪽측 접음부(LC2))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측 접합부(102)를 갖고 있다. 내측 접합부(102)는, 상하 방향(접음 방향)을 따르고 있다. 내측 접합부(102)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1a)보다 가랑이 아래부(10m)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도 10∼도 12 참조), 포장재(101)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된 면을 갖고 있고,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 몸통 둘레부(10f, 10b)측에 위치하며,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된 면이, 가랑이 아래부(10m)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1)과 같은 쇼츠형의 패드(팬티형 흡수성 물품)는,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해, 가랑이 아래부(10m)에 흡수체(22)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흡수체(22)는, 몸통 둘레 개구부(1a)가 설치된 부분(몸통 둘레부(10f, 10b))보다도 강성이 높다.
그 때문에,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부(10m)에 가까운 위치에 내측 접합부(102)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접합부(102)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어,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 가까이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설치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내측 접합부(102)를 통해서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개킴부(BL)에서 몸통 둘레 개구부(1a)(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단)까지의 길이(N)가, 상하 개킴부(BL)에서 가랑이 아래부(10m)의 단(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하단)까지의 길이(M) 이상(N≥M)인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이 개킨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켜짐으로써, 상하 개킴부(BL)보다 몸통 둘레 개구부(1a)측의 부분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보다 넓고, 보다 확실하게 덮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냉감제(26)가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개별 포장체(100)에 대해서,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 강도보다, 내측 접합부(102)에 있어서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 강도 쪽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는, 개봉 전의 개별 포장체(100)에 대해서,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 또는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의 접합 강도가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보다 낮기 때문에,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접합 강도가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보다 높은 경우보다도,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을 분리시키기 쉽다. 한편,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가,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접합 강도보다 높음으로써,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가,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경우보다도 내측 접합부(102)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이 분리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봉 후의 개별 포장체(100)의 포장재(101)를, 단부 접합부(103a, 103b) 중 어느 한쪽이 개봉된 주머니상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주머니상의 포장재(101)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을 넣어 휴대하거나, 폐기하는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접합부(102)와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 강도」란, 개별 포장체(100)에 대해서, 각 접합부(102, 103)의 포장재(101)끼리의 접합을 분리(박리)시키기 위한 단위면적당의 힘의 크기를 말한다. 즉, 접합 강도와 분리 강도(박리 강도)는, 동일한 힘의 크기이다.
접합 강도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우선, 측정 대상이 되는 개별 포장체(100)로부터 동일한 면적의 샘플 1, 2를 잘라낸다. 샘플 1은, 포장재(101) 중 내측 접합부(102)가 설치된 부분이며, 샘플 2는, 포장재(101) 중 단부 접합부(103a, 103b)가 설치된 부분이다. 다음으로, 인장 시험기(예를 들면 인스트론 주식회사 제조 인스트론 시리즈 5564)의 상하 척에 샘플 1 또는 샘플 2를 세트한다. 그 후, 소정의 인장 속도(예를 들면 300mm/min)로 상하 척을 이격시켜, 샘플 1, 2를 잡아당긴다. 척 사이 거리가 멀어질 때까지의 최대 하중(N)을 취득한다. 샘플 1, 2 각각에 대해서, n개(예를 들면 10개)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n개의 최대 하중(N)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샘플 1의 평균치(N)를 내측 접합부(102)의 접합 강도로 하고, 샘플 2의 평균치(N)를 단부 접합부(103a, 103b)의 접합 강도로 하여, 양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접합 강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측정 방법에 의해 비교할 수 있다.
또, 포장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를 구비하고,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의 접합 강도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의 접합 강도보다 높으며, 흡수성 물품(1)의 몸통 둘레 개구부(1a)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몸통 둘레 개구부(1a)는, 흡수성 물품(1)의 내측을 향해 개구한 부분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상하 개킴부(BL)측보다도 냉감제(26)가 휘발하기 쉽다. 그 때문에,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 쪽이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보다 접합 강도가 높은 경우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에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보다 접합 강도가 높은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 측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향하게 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누설되는 냉감제(26)가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를 통해서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10)>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A는,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10)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개별 포장체(110)에 대해서, 상술의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00)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은, 부호 등을 동일하게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한쪽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포장재(101)) 밖으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켰지만, 개별 포장체(110)는,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10) 밖으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킨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10)는,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이 포장재(101)의 접음 방향을 따르고,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이 포장재(101)의 접음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르며,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이 포장재(101)의 두께 방향을 따른다. 또, 개별 포장체(110)의 포장재(101)에 의한 포장 방법은, 상술의 개별 포장체(100)와 대체로 같지만, 개별 포장체(110)의 내측 접합부(102)는,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포장재(101)의 접음 방향)을 따르고, 단부 접합부(103a, 103b)는,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포장재(101)의 직교 방향)을 따른다. 즉, 개별 포장체(110)는, 상술의 개별 포장체(100)에 수용된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90도 회전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수용한 것이다.
개별 포장체(110)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감제(26)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이 좌우 개킴부(LB, RB) 및 상하 개킴부(BL)에서 접어 개켜진 개킨 상태로 한쪽측 접음부(LC1)를 구비한 포장재(101)로 포장되어 있다. 이 포장재(101)는,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또,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몸통 둘레 개구부(1a)와 대향하고 있다.
한쪽측 접음부(LC1)가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을 따르고, 또한 몸통 둘레 개구부(1a)와 대향함으로써,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포장재(101)의 한쪽측 접음부(LC1)가 몸통 둘레 개구부(1a)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의 개별 포장체(110)의 외부로의 유출을 경감시키는 덮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유출되는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10)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킴으로써, 개별 포장체(110)의 내부에 머무르는 냉감제(26)의 양이 감소할 우려를 경감시켜, 착용자에게, 개별 포장체(110)의 개봉 시나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시에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게 하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형태의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20)>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B는, 다른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20)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개별 포장체(120)에 대해서, 상술의 실시형태의 개별 포장체(100)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은, 부호 등을 동일하게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측 연출부(10L) 중의 접어 개켜진 부분의 일부와, 다른쪽측 연출부(10R) 중 접어 개켜진 부분의 일부가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겹쳐졌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킴 기준 위치(B1, B2)에서 접어 개켜진 한쪽측 연출부(10L)의 부분과 다른쪽측 연출부(10R) 부분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접어 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포장재(101)의 접음부(LC1, LC2)로,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버리는 냉감제(26)의 양을 감소시키면서,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하여, 개별 포장체(100)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패키지(200)>>>
복수의 개별 포장체(100)는, 주머니체(201)에 수용된 패키지(200)로서 판매, 유통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4A는, 패키지(2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B는, 측면(200C)측에서 본 패키지(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200)는, 복수의 개별 포장체(100), 복수의 개별 포장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주머니체(201) 및 패키지(200)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부(202)를 갖는다. 패키지(200)는,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또, 패키지(2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패키지(200)에 대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정면(200A)과 배면(200B),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200C),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면 (200D)과 바닥면(200E)을 구비한다.
주머니체(201)는, 시트상의 부재로 형성된 주머니상의 부재이다. 이 주머니체(201)가,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머니체(201)로는, 예를 들면, EVOH 수지(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머니체(201)는, PET(폴리에스테르)의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00)로부터 냉감제(26)가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키면서, 가스 배리어성의 주머니체(201)를 이용함으로써, 개별 포장체(100)로부터 냉감제(26)가 유출되어 버린 경우라도, 주머니체(201)를 통해서 냉감제(26)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패키지(200) 및 개별 포장체(100)의 개봉 시나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시에 냉감제(26)의 효과를 쉽게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체(100)의 포장재(101)의 산소 투과도가, 패키지(200)의 주머니체(201)의 산소 투과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00)의 포장재(101)의 산소 투과도는, 2.0cc/㎡/day/atm이며, 패키지(200)의 주머니체(201)의 산소 투과도는, 80cc/㎡/day/atm이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101)의 산소 투과도가 주머니체(201)의 산소 투과도보다 높은 경우보다도 개별 포장체(100)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냉감제(26)의 양을 감소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개별 포장체(100)의 내부에 냉감제(26)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포장체(100)의 외부이고 또한 주머니체(201)의 내측에 존재하는 냉감제(26)의 양을 감소시키기 쉬워져, 냉감제(26)의 휘발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냉감제(26)의 효과를 느끼게 하기 쉬워진다.
개별 포장체(100)에 있어서,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포장재(101)의 접음부(LC1, LC2)로 덮여 있는 것에 비해,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의 단부는, 단부 접합부(103a, 103b)에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음부(LC1, LC2)보다도 단부 접합부(103a, 103b)로부터 냉감제(26)가 유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보다 접합 강도가 낮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는,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를 통해서 냉감제(26)가 유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개별 포장체(100)는,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의 접합 강도가,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의 접합 강도보다 높다. 이와 같은 개별 포장체(100)가, 패키지(200)의 상하 방향과,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수용되고, 또한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가 주머니체(201)의 바닥면(패키지(200)의 바닥면(200E))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2개 겹쳐서 수용하고, 패키지(200)의 상하 방향과 단부 접합부(103a, 103b)가 직교하고 있으며, 또한 하측에 수용된 개별 포장체(100)의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보다 접합 강도가 약한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가 바닥면(200E)에 접촉하고 있다.
포장재(101)는, 부드러운 시트상의 부재이기 때문에, 개별 포장체(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접합부(103a, 103b)보다 외측의 부분은, 단부 접합부(103a, 103b)보다도 강성이 낮고, 부드럽다. 그 때문에,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200)의 상하 방향과,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개별 포장체(100)를 수용시키면, 패키지(200)의 가장 하측에 수용된 개별 포장체(100) 중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보다 하측의 부분은, 2개의 개별 포장체(100)의 무게에 의해, 패키지(200)의 좌우 방향(개별 포장체(100)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折曲)되어,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가 바닥면(200E)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개별 포장체(100)의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의 접합 강도가 한쪽측 단부 접합부(103a)의 접합 강도보다 약한 경우라도,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가 바닥면(200E)에 접촉함으로써,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와 주머니체(201)의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어려워져,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103b)로부터 냉감제(26)가 개별 포장체(100) 밖으로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패키지(200)에 대해서, 복수의 개별 포장체(100)를 수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키지(200)에 1개의 개별 포장체(100)를 수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패키지(200)는, 복수(또는 1개)의 개별 포장체(110)를 수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 그 외의 실시형태 ===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포장재(101)가 한쪽측 접음부(LC1)와 다른쪽측 접음부(LC2)를 구비하는 개별 포장체(100)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장재(101)가 접음부를 1개만 구비하는 개별 포장체(100)나, 포장재(101)가 3개 이상의 접음부를 구비하는 개별 포장체(100)여도 된다. 또, 개별 포장체(100)가 내측 접합부(102)를 반드시 갖는 구성이 아니어도 되고, 또, 내측 접합부(102)는, 반드시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면, 내측 접합부(102)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 좌우 개킴부(LB, RB)와 상하 개킴부(RB)에서 접어 개켜진 상태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 예를 들면, 좌우 개킴부(LB, RB)에서 접어 개켜지고, 상하 개킴부(RB)에서 접어 개켜져 있지 않은 상태여도 되고, 상하 개킴부(RB)에서 접어 개켜지고, 좌우 개킴부(LB, RB)에서 접어 개켜져 있지 않은 상태여도 된다. 또한, 좌우 개킴부(LB)와 좌우 개킴부(RB) 중 어느 한쪽만이 접어 개켜져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이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개킴부(BL)에서 몸통 둘레 개구부(1a)까지의 길이(N)가, 상하 개킴부(BL)에서 가랑이 아래부(10m)의 단까지의 길이(M) 이상(N≥M)인 상태의 개킨 상태의 흡수성 물품(1)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00)이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개킴부(BL)에서 가랑이 아래부(10m)의 단까지의 길이가, 상하 개킴부(BL)에서 몸통 둘레 개구부(1a)까지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M>N). 또한, 이때, 개별 포장체(100)의 두께 방향(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내측 접합부(102)가, 몸통 둘레 개구부(1a)보다 가랑이 아래부(10m)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랑이 아래부(10m)가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덮어, 가랑이 아래부(10m)와 포장재(101) 사이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냉감제(26)가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유출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냉감제(26)에,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냉감 자극제를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감제(26)로서, 기화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내리는 것,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냉감제(26)를 이용했지만, 냉감제(26)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온감제나 향료 등의 휘발성 물질을 이용해도 된다. 향료는, 냉감제(26) 대신에 이용해도 되고, 냉감제(26)나 온감제와 함께 이용해도 된다.
또한, 향료로서, 특히 그린 허벌 타입의 향료(그린 허벌 라이크(樣) 향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특히 정신적인 불쾌 증상을 신체에 물리적 자극을 주는 일 없이, 또, 경구 투여에 의하지도 않고,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더하여, 쾌적감도 얻어진다.
온감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생리통이나 냉증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온감 자극제는,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제의 예로는, 캡시코시드, 캡사이신(LD50: 47mg/kg, 분자량: 305),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LD50: 2,188mg/kg, 분자량: 213),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 바닐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LD50: 4,900mg/kg, 분자량: 210),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이소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에틸 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 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 알코올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LD50: 250mg/kg, 분자량: 294),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온감제는, 냉감제(26)와 마찬가지로,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종래 이용되어 온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향료로서, 그린 허벌 타입의 향료(그린 허벌 라이크 향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특히 정신적인 불쾌 증상을 신체에 물리적 자극을 주는 일 없이, 또, 경구 투여에 의하지도 않고,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더하여, 쾌적감도 얻어진다.
그린 허벌 라이크 향기는, 그린 라이크 향기(그린 노트) 또는 허벌 라이크 향기(허벌 노트)를 포함하는 향 타입(香調)이다. 그린 라이크 향기란, 풀이나 어린 잎의 상쾌한 향 타입을 말한다. 허벌 라이크 향기(허벌 노트)란, 허브를 이용한 자연스럽고, 약초적인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인 향 타입을 말한다.
그린 허벌 라이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시스-3-헥세놀, 포름산 시스-3-헥세닐, 초산(酢酸) 시스-3-헥세닐, 프로피온산 시스-3-헥세닐, 낙산(酪酸) 시스-3-헥세닐, 트랜스-2-헥세날, 초산 트랜스-2-헥세닐, 초산 헥실, 초산 스티랄릴, 2-메틸-3-(3,4-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파날(IFF사명, 헬리오날), 3(4)-(5-에틸비시클로[2,2,1]헵틸-2)-시클로헥사놀, 2-펜틸옥시 글리콜산 알릴(IFF사명,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4-메틸-3-데센-5-올(Givaudan사명, 운데카베르톨), 헥실알데히드, 2,4-디메틸-3-시클로헥세닐카르복시알데히드(IFF사명, 트립랄) 및 페닐아세트알데히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로서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이 포함되는 향료는 주로 그린 라이크 향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린 허벌 라이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추가로, l-멘톨, 1,8-시네올, 살리실산 메틸, 시트로넬랄, 캄퍼, 보르네올, 초산 이소보르닐, 초산 테르피닐, 유게놀, 아네톨, 4-메톡시벤질 알코올 및 에스트라골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이 포함되는 향료는, 주로, 허벌 라이크 향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1: 흡수성 물품(팬티형 흡수성 물품, 쇼츠형 패드)
1a: 몸통 둘레 개구부
1b: 다리 둘레 개구부
10: 외장체
10f: 복측 몸통 둘레부
10b: 등측 몸통 둘레부
10m: 가랑이 아래부
10e: 측단부 접합부
10ff: 복측 되접음부
10bf: 등측 되접음부
10L: 한쪽측 연출부
10R: 다른쪽측 연출부
11: 외장 톱 시트
12: 외장 백시트
13: 복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
14: 등측 몸통 둘레 탄성 부재
20: 흡수성 본체
22: 흡수체
22a: 코어 랩 시트
24a: 제 1 피부측 시트
24b: 제 2 피부측 시트
24c: 비피부측 시트
24d: 사이드 시트
26: 냉감제(휘발성 물질)
26P: 도포 영역
30: 가랑이 아래 탄성 부재
40: 압착부
50: 입체 개더
50S: 탄성 부재
100: 개별 포장체
101: 포장재
102: 내측 접합부
103a: 한쪽측 단부 접합부
103b: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
200: 패키지(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201: 주머니체
B1: 개킴 기준 위치
B2: 개킴 기준 위치
B3: 개킴 기준 위치
BL: 상하 개킴부
LB: 한쪽측 개킴부(좌우 개킴부)
RB: 다른쪽측 개킴부(좌우 개킴부)
L1: 제 1 접음 기준 위치
L2: 제 2 접음 기준 위치
LC1: 한쪽측 접음부
LC2: 다른쪽측 접음부
CL: 접음선

Claims (13)

  1. 몸통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折疊部)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折部)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단부(端部)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 접합부는,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며, 또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포장재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높으며,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3. 몸통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고,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과,
    1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내측에 휘발성 물질을 갖고,
    상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이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포장재는, 적어도 1개의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접음부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접음부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킴부보다 가랑이 아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으며,
    전개 상태 또한 자연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개킴부는, 상기 흡수체보다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휘발성 물질이,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개킴부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르고,
    상기 포장재 내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접음부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가, 상기 접합부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까지의 최장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접음부를 따른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포장재의 단부에 설치된 단부 접합부와,
    상기 접음부를 따르고, 또한,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측 접합부를 갖고,
    상기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상기 내측 접합부의 접합 강도 쪽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상하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지고,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른 좌우 개킴부에서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음부를 따르고, 또한,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측 접합부를 갖고,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보다 가랑이 아래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단까지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상하 개킴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복수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와,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수용하는 주머니체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로서,
    상기 주머니체의 산소 투과도가, 200cc/㎡/day/at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산소 투과도가, 상기 주머니체의 상기 산소 투과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끼리가 접합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르며, 또한, 상기 포장재의 단부에 설치된 단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단부 접합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단부와 다른쪽측의 단부에, 각각 한쪽측 단부 접합부 및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한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강하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가 상기 주머니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이,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상기 다른쪽측 단부 접합부가, 상기 주머니체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KR1020237022278A 2020-12-25 2021-11-02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KR20230124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7645 2020-12-25
JP2020217645A JP7483600B2 (ja) 2020-12-25 2020-12-25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PCT/JP2021/040437 WO2022137818A1 (ja) 2020-12-25 2021-11-02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940A true KR20230124940A (ko) 2023-08-28

Family

ID=8215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78A KR20230124940A (ko) 2020-12-25 2021-11-02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83600B2 (ko)
KR (1) KR20230124940A (ko)
CN (1) CN116568613A (ko)
TW (1) TW202228617A (ko)
WO (1) WO2022137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35717A (ja) * 2022-09-02 2024-03-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収容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612A (ja) 2016-12-27 2018-07-0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6432U (ko) * 1988-10-28 1990-09-18
JPH1095481A (ja) * 1996-09-19 1998-04-14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の個装構造
JP3747994B2 (ja) * 1998-07-10 2006-02-22 花王株式会社 ショーツ型生理用ナプキン
JP3403120B2 (ja) * 1999-07-09 2003-05-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装構造
JP2001201825A (ja) 2000-01-20 2001-07-27 Konica Corp 写真フィルム集合包装体
JP5665260B2 (ja) 2008-03-31 2015-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CN113230038B (zh) 2015-05-01 2023-07-2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和独立包装体的制造方法
JP6887803B2 (ja) 2016-12-28 2021-06-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包装体
CN112107431B (zh) 2019-06-20 2023-07-1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612A (ja) 2016-12-27 2018-07-0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7818A1 (ja) 2022-06-30
JP2022102738A (ja) 2022-07-07
JP7483600B2 (ja) 2024-05-15
TW202228617A (zh) 2022-08-01
CN116568613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4841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WO2019045060A1 (ja) 機能性物品
JP7309711B2 (ja)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WO2020179881A1 (ja) 吸収性物品
KR20230124940A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및 팬티형 흡수성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패키지
TWI837356B (zh) 短褲型吸收性物品
TWI767047B (zh) 吸收性物品的個別包裝體
JP6917240B2 (ja) 吸収性物品
JP6344952B2 (ja) 収容体
WO2020255533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2137868A1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製造方法
TWI843849B (zh) 吸收性物品
JP2020146458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WO2020179886A1 (ja) 吸収性物品
JP2020005667A (ja) 吸収性物品包装体
CN213250461U (zh)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及收纳该独立包装体的包装体
JP720942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12107428B (zh) 短裤型吸收性物品和短裤型吸收性物品制造方法
CN112107429B (zh) 短裤型吸收性物品和短裤型吸收性物品制造方法
WO2020179882A1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2024082652A (ja) 生理用ナプキン、生理用ナプキン収容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