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300A -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 Google Patents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300A
KR20230122300A KR1020220018795A KR20220018795A KR20230122300A KR 20230122300 A KR20230122300 A KR 20230122300A KR 1020220018795 A KR1020220018795 A KR 1020220018795A KR 20220018795 A KR20220018795 A KR 20220018795A KR 20230122300 A KR20230122300 A KR 2023012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rush
spatula
painting
pu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429B1 (ko
Inventor
황판권
Original Assignee
황판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판권 filed Critical 황판권
Priority to KR102022001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29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69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a pump in the hand too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10Hand tools for removing partially or for spreading or redistribut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colour touch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20Brushes for applying products to surfaces in general
    • A46B2200/202Applicator paint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장 면에 도료를 도장하기 위한 페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번 도료를 붓에 찍어 사용할 필요없이 페인트를 계속 붓 속으로 공급할 수 있고, 도료와 희석제를 항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도장할 수 있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Painting device including a paint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피도장 면에 도료를 도장하기 위한 페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번 도료를 붓에 찍어 사용할 필요없이 페인트를 계속 붓 속으로 공급할 수 있고, 도료와 희석제를 항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도장할 수 있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붓은 페인트를 묻혀 피도장면에 일정 두께로 칠하는 털과 전술한 털이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붓을 말하고, 주걱(금속재, 또는 프라스틱재)은 피도장면에서 이물질을 긁어내거나 홈이나 패인 피도장면에 충진제를 충진하거나 바를 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피도장면에 특정 페인트를 도장하는 방법은 공압 스프레이, 롤러, 분체도장, 붓칠 등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별도의 장비가 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페인팅할 수 있는 붓칠 방식이 주로 통용되고 있다.
통상 피도장면에 페인트를 칠할 때 피도장면의 홈이나 패인부분을 충진제를 미리 채워 건조시킨 후 평탄하게 마감한 후에 도료를 페인팅하게 되므로 최소한 2번의 페인팅 작업이 동반되는 불편함이 있다.
때때로, 페인팅도중에 마감되지 않은 작은 홈이나 구멍 등이 있는 경우 그대로 페인팅되는 경우도 있지만 페인트가 건조된 후 도장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페인팅도중 주걱을 사용하여 해당부위에 충진재를 채워 마감한 후 페인팅하기도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70803와,대한민국 공개 실용실안 20-2004-0028321을 참조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2번의 페인팅 작업을 1회에 할 수 있는 해결방안에 대해 창안하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료를 붓에 찍어 사용할 필요없이 페인트를 붓속으로 계속 공급할 수 있고, 도료와 희석제를 항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도장할 수 있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도료 용기와 연결되어 도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도료펌핑장치와;
전술한 도료펌핑장치에 의해 펌핑된 도료를 피도장 면에 도포하는 솔을 갖춘 도장용 붓과;
전술한 붓의 몸체에 주걱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주걱 탈부착기구;
로 구성된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도료펌핑장치는 환형 링과, 일측단은 전술한 용기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붓의 솔에 연결되면서 상기 환형 링의 내경에 위치되는 신축튜브와, 전동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전술한 신축튜브의 외경을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를 갖춘 회전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도료펌핑장치는 양 단부가 신축튜브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신축튜브 내의 과압에 의해 관로가 개로되어 과압을 전술한 입구측 신축튜브쪽으로 배출하여 과압을 상쇄시키는 압력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신축튜브의 양 단부에는 접속구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전술한 신축튜브는 상기 링의 내부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느 일측의 신축튜브는 페인트를 펌핑하고, 다른 신축튜브는 희석제나 다른 칼라의 페인트를 동시에 펌핑할 수 있다.
전술한 주걱은 주걱 탈부착기구를 사용하여 붓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주걱 탈부착기구는 솔이 결합된 붓 몸체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되, 주걱의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를 포함하는 체결밴드와, 전술한 체결밴드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포켓은 주걱 손잡이의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조임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주걱 탈부착기구와 주걱은 각각의 조임볼트를 통해 붓 몸체와 포켓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료펌핑장치를 통해 도료를 게속 붓 속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번 솔에 도료를 묻힐 필요없이 붓으로 피도장 면에 페인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펌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료펌핑장치 케이스의 덮개를 개방한 평면도로, 그 중 도 2a는 도료펌핑장치의 제 1 실시 예이고, 도 2b는 도료펌핑장치의 제 2 실시 예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채용된 공지된 주걱을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주걱 탈부착기구에 대한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c의 구성을 결합한 붓의 일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주걱 탈부착기구에 대한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주걱 탈부착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주걱과 주걱 탈부착기구 및 붓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거 기술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않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료펌핑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펌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료펌핑장치의 덮개를 오픈한 평면도로, 그 중 도 2a는 도료펌핑장치의 제 1 실시 예이고, 도 2b는 도료펌핑장치의 제 2 실시 예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도료 펌핑장치의 케이스이고, 11은 전술한 케이스의 덮개이며, 12는 전술한 케이스의 함체이고, 13은 허공에 매달린 페인트 용기(도면에는 미도시)와 연결되어 도료가 흐르는 가이드 튜브이고, 14는 전동 모터(25, 도 2a 참조)를 제어(On/Off)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펌핑장치(10)는 전술한 함체(1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도료펌핑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펌핑장치(20)는 그 내부에 환형 링(21)과, 상기한 링(21)의 내경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는 롤러(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전동 모터(25)의 구동축(22)과 결합되어 구동축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체(23), 상기 링(21)과 롤러(24) 사이에 위치되고 혼합튜브(13a)와 연결되는 입/출구 접속구(23a)를 갖춘 신축튜브(23)와 양 단부가 전술한 신축튜브(23)의 입구측과 출구측 에 각각 연결되는 바이패스 튜브(27a)와 상기 바이패스 튜브(27a)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튜브(23)의 출구측 내에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었을 때 스스로 개로되어 과압을 상쇄시키는 압력밸브(27)를 포함한다.
전술한 링(21)은 전술한 신축튜브(23)의 양 단부가 함체(12) 밖으로 유도하기 위한 홈(도면부호 미표기)이 마련되어 있다. 도 2a에서 도면부호 23a는 페인트 가이드 튜브(13)에 신축튜브(23)를 분리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접속구이다.
전술한 롤러(24)는 전동 모터(25)의 구동시 그와 함께 회전체(25)가 회전되면서 신축튜브(23)의 원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가이드 튜브(13) 내의 페인트는 신축튜브(23)의 출구측 방향(도 2b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페인트는 신축튜브(23)의 출구측과 붓(10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혼합튜브(13a)를 통해 붓(103)의 몸체(101a)와 솔(103)사이에 마련된 공간(도면에는 미도시)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 혼합튜브(13a)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전술한 압력밸브(27)는 과압에 의해 스스로 개로된다. 상기한 압력밸브(27)는 관로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는 밸브로, 혼합튜브(13a) 내에 과압이 발생했을 때 관로가 개로된다.
한편, 전술한 도료펌핑장치(20)의 신축튜브(23)는 신축성을 지니는 재질로 이루어져 도 2b에 도시된 환형 링(21) 내에 대칭되게 이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밸브(27)가 개로되면 압력밸브가 연결된 신축튜브(23)의 출구측 과압은 입구측 신축튜브(23)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참고로 도 2b의 주요구성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되었다.
이렇게 하면, 페인트와 희석제는 양 가이드 튜브(13)를 따라 흐르면서 혼합튜브(13a)속에서 서로 혼합되면서 붓(10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붓에 탈부착되는 주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걱에 대한 제 1 실시 예]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주걱 탈부착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채용된 공지의 주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도장용 붓, 주걱 탈부착기구, 주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붓의 일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붓(100)은 주걱(300)과 상기 주걱(300)의 탈부착기구(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도장용 붓(100)과 주걱(300) 및 주걱(300) 탈부착기구(200)는 도 3a 내지 도 3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도장용 붓(100)은 도료를 피도장 면에 도포하기 위한 솔(103)과, 상기 솔(103)이 결합된 손잡이(101)를 포함한다.
전술한 솔(103)은 붓 손잡이(101)와 솔(103)이 결합되는 붓 몸체(101a)를 포함하고, 솔(103)과 붓 몸체(101a)사이에 후술하는 도료 주입구(104)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붓 몸체(101a)의 둘레에는 두께가 얇은 마감용 밴드(102)로 밴딩되어 있다. 전술한 도료 주입구(104)는 붓칠을 하는데 간섭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솔과 몸체 사이에는 도료가 일부 저장되는 공간(도면에는 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도료 주입구(104)는 그 단부에 혼합튜브(13a)가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접속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걱(300)은 프라스틱(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진 공지의 구성으로, 끝단이 일직선이고 단부쪽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날(301)과 상기 날(301)과 일체로 이루어진 손잡이(302)를 포함한다.
전술한 주걱 탈부착기구(200)는 전술한 붓 몸체(101a), 즉 금속 밴드(102)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는 단면을 지니는 체결밴드(201)와, 상기 체결밴드(201)의 양 측면에 나사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조임볼트(202)와, 주걱 탈부착기구(200)의 어느 일측 면에 주걱(300)의 손잡이(302)를 끼운 후 그것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포켓(204)를 포함한다.
전술한 체결밴드(2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조임볼트(202)의 나사 체결력(깊이)을 조절하면 탈부착기구(200)를 몸체(101a)에 유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붓 몸체(10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체결밴드(201)는 붓 몸체(101a)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되어 있고, 붓 몸체(101a)의 폭보다 약간 더 넓게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체결밴드(201)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조임볼트(202)의 체결력을 조절하면 누구나 쉽게 붓 몸체(101a)에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b에서, 도면부호 204는 주걱 손잡이(302)을 끼우고 분리할 수 있는 제 1 포켓이고, 도면부호 203은 주걱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이다. 전술한 제 1 포켓(204)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체결밴드(20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걱(300) 손잡이(302)를 포켓(204)속으로 삽입(또는 분리)할 수 있고, 조임볼트(203)는 제 1 포켓(204) 내에 삽입된 주걱 손잡이(302)을 나사 체결력을 통해 포켓(204)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임볼트(203)를 사용하여 주걱(300) 손잡이(302)을 제 1 포켓(204)내에 삽입되는 위치를 가변되게 고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도장용 붓으로 도료를 피도장 면에 도장할 때 주걱의 날(301)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포켓(204)의 내부는 주걱 손잡이(302)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고, 폭은 주걱 손잡이(302)의 최대 폭과 유사하지만 어느 일측에 대해 주걱 손잡이(302)의 경사와 유사한 각도(도 1b에서, 도면부호 W2(최대 폭)-W1(최소 폭)의 편차만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05는 혼합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튜브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동식 유량조절밸브이다.
[주걱에 대한 제 2 실시 예]
도 5a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400)에 주걱(300)을 결합한 집게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1b에 도시된 주걱 탈부착기구에 대한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도장용 붓, 주걱, 주걱 탈부착기구 및 집게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붓의 일측면도이다.
제 2 실시 예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 언급한 도장용 붓(100)과 주걱 탈부착기구(200) 및 주걱(300)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다만, 주걱 탈부착기구(200)에서 제 2 실시 예는 포켓의 폭(W1, W2)은 동일한 점에서 차이가 있고, 주걱(300)을 주걱 탈부착기구(200)에 탈부착함에 있어 주걱(300)을 집게(400)에 먼저 장착한 후 상기 집게(400)를 주걱 탈부착기구(200)을 분리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전술한 집게(400)는 제 1 포켓(204)속에 결합되는 결합부(401)와, 상기 결합부(401)와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이 내재된 지지부(404)와, 상기 지지부(404)에 피벗되게 결합되는 제 2 포켓(204a)을 포함한다.
전술한 결합부는 제 1 실시 예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 1 포켓(204)에 삽입되고, 지지부(404)는 내재된 탄성에 의해 제 1 포켓(204) 표면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부(404)는 제 1 포켓(204)의 하부 모서리에 걸 수 있는 걸림턱(402a)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페인팅 작업시 상기 걸림턱(402a)에 의해 지지부(404)가 제 1 포켓(204)의 모서리에 걸려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다.
도 4에서, 도면부호 404는 스프링으로, 상기 스프링(404)은 집게(400)의 피벗부분(도면부호 미표기)에 결합되되, 그 양 단부는 각각 결합부(401)와 지지부(404)에 각각 지지되어 피벗을 중심으로 지지부(404) 쪽으로 원위치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집게(400)의 제 2 포켓(204a)은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 1 포켓(204, 도 1b)과 동일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300)을 그 곳에 삽입한 후 조임볼트(203)를 체결하여 주걱을 고정시키면 된다.
전술한 집게(400)는 결합부(401)를 제 1 포켓(204) 속에 결합하기만 하면 도장용 붓(100)에 주걱(300)을 바로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300)은 솔(301)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도장용 붓(100)에 장착되게 된다. 이 경우 주걱 날(301)은 스프링(404)의 탄성에 의해 피도장 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되므로 피도장 면에 칠해지는 페인트를 안배할 수 있고, 홈이나 구멍속으로 페인트를 쉽게 충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더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변경 예나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권리범위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 도료펌핑장치의 케이스 11: 케이스 덮개
12: 케이스의 함체 13: 가이드 튜브
13a: 혼합튜브 20: 도료펌핑장치
21: 환형 링 23: 신축튜브
24: 롤러 25: 전동 모터
27: 압력밸브 27a: 바이패스 튜브
100: 도장용 붓 101: 붓 손잡이
103: 솔 200: 주걱 탈부착기구
201: 체결밴드 202: 조임볼트
300: 주걱 301: 주걱 날
302: 주걱 손잡이

Claims (5)

  1. 도료 용기와 연결되어 도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도료펌핑장치와;
    상기 도료펌핑장치에 의해 펌핑된 도료를 피도장 면에 도포하는 솔을 갖춘 도장용 붓과;
    상기 붓 몸체에 주걱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주걱 탈부착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펌핑장치는,
    환형 링과,
    일측 단은 상기 도료 용기와 연결되고, 타측 단은 붓의 몸체와 솔과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환형 링의 내경에 위치되는 신축튜브와,
    전동 모터의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신축튜브의 원주면을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를 갖춘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튜브는 환형 링내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튜브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연결되고, 출구측 신축튜브 내에 과압에 의해 개로되어 과압을 상기 입구측 신축튜브쪽으로 배출하는 압력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튜브의 양단부에 접속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KR1020220018795A 2022-02-14 2022-02-14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KR10259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95A KR102598429B1 (ko) 2022-02-14 2022-02-14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95A KR102598429B1 (ko) 2022-02-14 2022-02-14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00A true KR20230122300A (ko) 2023-08-22
KR102598429B1 KR102598429B1 (ko) 2023-11-03

Family

ID=8779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795A KR102598429B1 (ko) 2022-02-14 2022-02-14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196B2 (ja) * 1999-02-10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間欠塗布装置及び間欠塗布方法
US20050226680A1 (en) * 2004-04-13 2005-10-13 Lawrence John S Continuous application of paint, via a traditional paint brush
JP2007007568A (ja) * 2005-06-30 2007-01-18 Fujifilm Holdings Corp 可撓性支持体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00128451A (ko) * 2009-05-28 2010-12-08 이에스티 주식회사 페인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페인팅 장치
JP2017010644A (ja) * 2015-06-17 2017-01-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用の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と二次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196B2 (ja) * 1999-02-10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間欠塗布装置及び間欠塗布方法
US20050226680A1 (en) * 2004-04-13 2005-10-13 Lawrence John S Continuous application of paint, via a traditional paint brush
JP2007007568A (ja) * 2005-06-30 2007-01-18 Fujifilm Holdings Corp 可撓性支持体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00128451A (ko) * 2009-05-28 2010-12-08 이에스티 주식회사 페인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페인팅 장치
JP2017010644A (ja) * 2015-06-17 2017-01-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用の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と二次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429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3563A1 (en) Continuous flow paste applicator for dry wall
US11407004B2 (en) Modular spray roller system
US5902451A (en) Applicator for wallboard joint compound
US3933415A (en) Painting system
US20110139068A1 (en) Flat box finisher
JPH10503123A (ja) 低粘度粘性塗料の塗布器
US6745955B2 (en) Spraying apparatus
US7806612B1 (en) Device for applying fluids to convex surfaces
KR20010020149A (ko) 고점성물용 스프레이 조립체
US20210308712A1 (en) Pressure-fed accessories adapter for an airless spray gun
US20180371767A1 (en) Drywall tape applicator
KR20230122300A (ko) 도료펌핑장치를 포함하는 페인팅장치
KR102539997B1 (ko) 도장용 붓과 탈부착되는 주걱
KR101107671B1 (ko) 무용제 청소형 도료 혼합기를 구비한 2액 내부혼합형 폴리우레탄 도장장치
US11173504B2 (en) Driving structure of a garden sprinkler
US6604881B2 (en) Applicator head
CN114798335B (zh) 一种注胶装置
CN205904049U (zh) 一种可手动调节的滚涂装置
KR102251235B1 (ko) 피스톤을 이용한 건타입 수중 코팅 장치
CN213062811U (zh) 一种房屋建筑用刷墙机
CN220514540U (zh) 一种用于高分子灌浆材料的喷涂装置
CN220215416U (zh) 一种圆柱状容器内壁油漆喷涂装置
KR200186884Y1 (ko) 도장작업용 롤러 붓
WO2009036527A1 (en) Aerosol spray gun
JPH07289976A (ja) 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