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739A -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739A
KR20230120739A KR1020220017325A KR20220017325A KR20230120739A KR 20230120739 A KR20230120739 A KR 20230120739A KR 1020220017325 A KR1020220017325 A KR 1020220017325A KR 20220017325 A KR20220017325 A KR 20220017325A KR 20230120739 A KR20230120739 A KR 2023012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cription
drug
medical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01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739A/ko
Publication of KR2023012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7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여행이나 업무차 해외에 체류하거나 거주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비대면 진료를 통해 병증 치료를 위한 최적의 의약품 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이 제공된다. 의약품처방시스템은 해외거주자가 소지하는 환자단말기의 진료요청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비대면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라 진단정보 및 의약품 통합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정보를 생성하여 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처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scribing of drugs based on non-face-to-face medical}
본 발명은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외에 체류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비대면 진료를 통해 병증 치료를 위한 최적의 의약품 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분업의 시행에 따라 국내에서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의료진으로부터 진료와 관련된 처방전을 발급받고, 발급받은 처방전을 가지고 근처의 약국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처방전을 약사에게 전달하여 약을 구입 및 수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약의 구입방법은 환자가 처방전을 가지고 직접 약국을 방문하여 이전의 대기자들의 약 조제가 끝날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53512호는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온라인을 통해 약국으로 제공하여 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통한 처방전을 이용하여 환자가 약을 구입하는 방법은 반드시 의사의 대면진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환자, 의사 및 약사가 모두 동일국가에 있어야 한다.
최근, 해외여행객이나 해외에서의 업무수행을 위해 해외에 방문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해외에 방문하여 체류하거나 거주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병증이 발생되었을 때 해외의 의료기관을 이용하여 발생된 병증을 치료하거나 이에 대한 의약품 처방을 발급받는 것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512호(2011.05.24)
본 발명은 해외에 체류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비대면 진료를 통해 병증 치료를 위한 최적의 의약품 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처방시스템은, 해외거주자가 소지하는 환자단말기; 및 상기 환자단말기와 다른 국가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상기 환자단말기의 진료요청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비대면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비대면 진료의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정보 및 의약품 통합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처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처방방법은, 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진료요청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비대면 진료를 진행하는 단계;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 상기 의료진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의약품 처방소견을 수신하여 제1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제2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방정보와 제2처방정보를 통합하여 통합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처방정보는 상기 의료진단말기가 위치한 진료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이고, 상기 제2처방정보는 상기 환자단말기가 위치한 거주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처방시스템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하는 환자와 의료진 간 진행된 비대면 진료에 기초하여 진료국가와 거주국가 각각의 처방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거주국가 처방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 처방을 원할하게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해외여행이나 업무차 해외에 체류하거나 거주하는 사람들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해외 의료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병증상태에 대한 진단정보와 이에 따른 의약품처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현재의 병증에 대한 원활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처방시스템은, 환자의 거주국가에 진료국가의 처방정보에 대응되는 의약품과 동일제품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동일성분의 의약품을 포함하는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최적의 의약품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의약품처방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10)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사용자, 예컨대 병증이 발발된 환자와 의료진 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상기 환자의 거주국가에 맞는 최적의 의약품 처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는 여행이나 업무수행을 위해 해외에 체류하여 병증 발발 시 해외의료기관의 이용에 불편함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의약품처방시스템(10)은 통신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환자단말기(100) 및 통합처방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의료진, 즉 의사가 있는 병원에 구축될 수 있으며, 환자단말기(100)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될 수 있다.
환자단말기(100)는 해외에 체류 중 병증 발발로 인해 의약품 처방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 즉 환자가 소지하는 장치로, 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장치일 수 있다. 환자단말기(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타국의 통합처방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통합처방관리서버(200)를 통해 환자 진단정보 및 의약품 통합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환자단말기(100)에는 통합처방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환자단말기(100)는 통합처방관리서버(200)를 통해 비대면 진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터치패드 등의 입력부(미도시), 진료결과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 환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환자의 열 발생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미도시)나 체온감지센서(미도시) 또는 환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심전도센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병원 등에 구축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의료진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환자단말기(100)의 접속을 인증하고, 인증된 환자단말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단말기(300) 간을 매칭시켜 상기 의료진단말기(300)를 통해 환자의 비대면진료 및 그에 따른 의약품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진단정보 생성모듈(210), 처방정보 생성모듈(220), 의약품 검색모듈(230) 및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240)는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 및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인증된 환자단말기(100)로부터 진료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단말기(300)를 해당 환자단말기(100)와 매칭하여 비대면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단말기(300)는 서로 다른 진료과목의 다수의 의료진, 예컨대 의사들 각각이 소지하는 장치로, 환자의 진료를 위한 컴퓨터,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단말기(300)는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에 의해 매칭된 환자단말기(100)를 통해 환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진료소견을 진단정보 생성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의료진단말기(300)의 진료소견에 기초하여 환자의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단말기(100)로부터 감기 증상에 대한 진료요청이 수신되면,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통합처방관리서버(200)에 연결된 다수의 의료진단말기(300) 중에서 내과 또는 이비인후과의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단말기(300)를 추출할 수 있다.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추출된 의료진단말기(300) 중에서 환자단말기(100)의 진료요청 시점에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의료진단말기(300)와 해당 환자단말기(100)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환자단말기(100)와 매칭된 의료진단말기(300)는 상기 환자단말기(100)로 진료요청에 대응되는 문진을 전송하고, 상기 문진에 대한 회신을 검토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단말기(300)는 환자단말기(100)의 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체온감지센서 또는 심전도센서 등을 통해 환자에 대한 간이검사가 진행되도록 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의료진단말기(300)는 전술된 문진 및 간이검사를 모두 진행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의료진단말기(300)는 비대면 진료에 따른 결과, 예컨대 진료소견 및 그에 따른 의약품 처방소견을 통합처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의료진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진료소견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환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 의료진단말기(300)로부터 의약품 처방소견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제1처방정보, 예컨대 진료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환자단말기(100)의 인증에 따라 수신되는 환자정보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제1처방정보로부터 제2처방정보, 예컨대 환자의 거주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서 생성된 제1처방정보는 진료국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생성될 수 있고, 제2처방정보는 거주국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합처방관리서버(200)가 한국에 위치하고, 환자단말기(100)가 중국에 위치하는 경우에,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한국어로 이루어진 제1처방정보를 생성하고, 중국어로 이루어진 제2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제1처방정보와 제2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의약품 통합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서 생성된 통합처방정보는 해당 의료진단말기(300), 즉 의약품 처방소견을 전송한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되어 해당 의료진에 의해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검토가 완료된 통합처방정보는 기 생성된 진단정보와 함께 해당 환자단말기(100)에 진단정보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환자단말기(100)는 환자의 거주국가 언어로 생성된 통합처방정보의 제2처방정보를 해당 국가의 의료시설 또는 약국에 제출함으로써 해당 의약품이 환자에게 처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의료진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의약품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 즉 진료국가의 의약품 데이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국내의약품정보는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되어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부터 제1처방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다수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국내의약품정보를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하여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생성된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의료진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된 국내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처방소견을 전송한 의료진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른 국내의약품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하여 이로부터 제1처방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환자정보 및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 즉 환자의 거주국가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해외의약품정보는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되어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부터 제2처방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제1처방정보에 포함된 국내의약품과 동일한 해외의약품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제1처방정보에 따른 국내의약품과 동일명칭 또는 동일성분을 갖는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외의약품정보를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하여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생성된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의료진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된 해외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처방소견을 전송한 의료진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른 해외의약품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로 전송하여 이로부터 제2처방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240)의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에는 진료국가, 즉 통합처방관리서버(200)가 위치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국내의약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는 국내의 의약품 제조사 또는 의약품 판매사로부터 의약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240)의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에는 거주국가, 즉 환자단말기(100)가 위치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는 해외의 의약품 제조사 또는 의약품 판매사로부터 의약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 및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 각각에 저장된 의약품정보는 다수의 정보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국내의약품정보 및 해외의약품정보 각각은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의약품형상,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등의 정보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약품처방시스템(10)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하는 환자와 의료진 간 진행된 비대면 진료에 기초하여 진료국가와 거주국가 각각의 처방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환자는 통합처방정보의 거주국가 처방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 처방을 원할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약품처방시스템(10)은 환자의 거주국가에 진료국가의 처방정보에 대응되는 의약품과 동일제품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동일성분의 의약품을 포함하는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최적의 의약품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해외에 거주하는 사용자, 즉 환자는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합처방관리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환자단말기(100)는 환자의 성명, 성별, 나이, 연락처, 거주국가 등의 개인정보와 ID, 패스워드 등의 접속정보를 통합처방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회원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통합처방관리서버(200)에 접속 인증을 진행하고, 인증된 환자단말기(100)는 환자정보와 진료요청을 통합처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정보는 전술된 환자의 개인정보일 수 있으며, 환자의 거주국가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진료요청은 환자의 현재 병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단말기(100)로부터 환자정보와 진료요청을 수신한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상기 진료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단말기(300)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료진단말기(300)와 환자단말기(100) 간을 연결하여 비대면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S10).
예컨대, 환자단말기(100)에서 감기에 대한 병증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요청이 전송되면, 통합처방관리서버(200)의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다수의 의료진단말기(300) 중에서 내과 또는 이비인후과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의료진단말기(300)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다.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추출된 의료진단말기(300) 중에서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단말기, 즉 환자단말기(100)의 진료요청 시점에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단말기(300)를 선택하고, 이를 환자단말기(100)와 매칭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에, 환자단말기(100)와 연결된 의료진단말기(300)는 상기 환자단말기(100)를 통해 문진이나 간이검사를 진행하고, 이의 결과로부터 환자의 병증에 대한 비대면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의료진단말기(300)는 비대면 진료에 따른 진료소견과 의약품 처방소견을 통합처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은 의료진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진료소견으로부터 환자의 병증에 대한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합처방관리서버(200)의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의료진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의약품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제1처방정보, 즉 통합처방관리서버(200)가 위치한 진료국가의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
먼저,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의료진단말기(300)의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로부터 하나 이상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국내의약품리스트는 추출된 국내의약품정보를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한 리스트일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국내의약품리스트를 해당 의료진단말기(300), 즉 처방소견을 전송한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수신한 의료진단말기(300)는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국내의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의료진단말기(300)의 의약품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국내의약품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 제공하고, 이에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선택된 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1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기 생성된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제2처방정보, 즉 환자단말기(100)가 위치한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
도 4는 도 3의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환자정보 및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로부터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즉 환자정보에 따른 환자의 거주국가의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110).
예컨대, 환자정보에 따른 환자의 거주국가가 중국인 경우에,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3)에서 다수의 중국 의약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검색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제품 여부, 예컨대 동일한 의약품명칭 여부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S120).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가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제품으로 판단되면(Y),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판단 결과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동일한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외의약품정보를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하여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생성된 해외의약품리스트를 해당 의료진단말기(300), 즉 처방소견을 전송한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수신한 의료진단말기(300)는 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의료진단말기(300)의 의약품 선택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선택된 해외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2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반면,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중에서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제품으로 판단된 의약품정보가 없으면(N),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성분 여부, 예컨대 동일한 의약품성분명을 갖는 하나 이상의 대체의약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140).
이어,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검색된 하나 이상의 대체의약품정보를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처방순위, 부작용발생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렬하여 해외대체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의약품 검색모듈(230)은 생성된 해외대체의약품리스트를 해당 의료진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의료진단말기(300)의 의약품 선택정보를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 제공할 수 있다(S150). 이에,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선택된 해외대체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2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의약품 검색모듈(230)이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241)로부터 추출한 다수의 국내의약품정보 중에서 의료진단말기(300)에서 선택된 국내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1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처방정보는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복용방법 및 의약품형상에 대한 정보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방정보는 진료국가의 언어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 검색모듈(230)에 의해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제품으로 판단된 해외의약품정보가 검색되어 의료진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되면,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선택된 해외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2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처방정보는 영어 및 환자의 거주국가의 언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기 생성된 제1처방정보와 동일한 의약품명칭, 의약품성분명, 의약품제조사, 복용방법 및 의약품형상에 대한 정보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 검색모듈(230)에 의해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과 동일성분으로 판단된 해외대체의약품정보가 검색되어 의료진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되면,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선택된 해외대체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제2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방정보는 영어 및 환자의 거주국가의 언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기 생성된 제1처방정보와 대비하여 의약품명칭, 의약품제조사 및 의약품형상에 대한 정보필드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은 기 생성된 제1처방정보와 제2처방정보를 통합하여 이들을 포함하는 통합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
그리고, 통합처방관리서버(200)는 진단정보 생성모듈(210)에서 생성된 진단정보와 처방정보 생성모듈(220)에서 생성된 통합처방정보를 해당 환자단말기(100)에 진료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환자단말기(100)는 수신된 진료정보의 진단정보를 통해 자신의 현재 병증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합처방정보의 제2처방정보를 해당 국가, 즉 자신의 거주하는 국가의 의료기관이나 약국에 제출하여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통합처방정보의 제1처방정보를 통해 처방된 의약품에 대한 복용방법을 숙지하여 복용함으로써, 현재의 병증상태의 원활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약품처방방법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하는 환자와 의료진 간 진행된 비대면 진료에 기초하여 진료국가와 거주국가 각각의 처방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거주국가 처방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 처방을 원할하게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해외여행이나 업무차 해외에 체류하거나 거주하는 사람들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해외 의료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병증상태에 대한 진단정보와 이에 따른 의약품처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현재의 병증에 대한 원활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약품처방방법은 환자의 거주국가에 진료국가의 처방정보에 대응되는 의약품과 동일제품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동일성분의 의약품을 포함하는 거주국가의 처방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최적의 의약품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 의약품 처방시스템 100: 환자단말기
200: 통합처방관리서버 210: 진단정보 생성모듈
220: 처방정보 생성모듈 230: 의약품 검색모듈
241: 국내의약품 데이터베이스 243: 해외의약품 데이터베이스
300: 의료진단말기

Claims (12)

  1. 해외거주자가 소지하는 환자단말기; 및
    상기 환자단말기와 다른 국가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상기 환자단말기의 진료요청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비대면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비대면 진료의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정보 및 의약품 통합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처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처방관리서버는,
    상기 의료진단말기에서 전송된 진료소견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단정보 생성모듈;
    상기 의료진단말기에서 전송된 처방소견에 기초한 제1처방정보와 상기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제2처방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제1처방정보 및 제2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합처방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제공하는 의약품 검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의약품 검색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국내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처방정보 및 상기 해외의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처방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검색모듈은,
    상기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중에서 상기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정보와 동일제품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검색모듈은,
    상기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중에서 상기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정보와 동일성분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대체의약품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방정보는 상기 의료진단말기가 위치한 진료국가의 의약품처방정보이고,
    상기 제2처방정보는 상기 환자단말기가 위치한 환자 거주국가의 의약품처방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검색모듈은,
    상기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추출된 다수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상기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검색모듈은,
    상기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상기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상기 처방정보 생성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시스템.
  8. 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진료요청에 따라 다수의 의료진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비대면 진료를 진행하는 단계;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 상기 의료진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처방소견을 수신하여 제1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제2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방정보와 제2처방정보를 통합하여 통합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방정보는 상기 의료진단말기가 위치한 진료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이고, 상기 제2처방정보는 상기 환자단말기가 위치한 거주국가의 의약품 처방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소견에 기초하여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수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국내의약품리스트를 상기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국내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주국가의 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처방정보에 대응되는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와 상기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정보의 동일제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동일제품으로 판단된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외의약품리스트를 상기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 중 상기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정보와 동일제품이 없으면,
    상기 추출된 다수의 해외의약품정보와 상기 제1처방정보의 국내의약품정보의 동일성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동일성분으로 판단된 하나 이상의 해외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해외대체의약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외대체의약품리스트를 상기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의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해외대체의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 상기 의료진단말기로부터 진단소견을 수신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정보 및 통합처방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처방방법.

KR1020220017325A 2022-02-10 2022-02-10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0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25A KR20230120739A (ko) 2022-02-10 2022-02-10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25A KR20230120739A (ko) 2022-02-10 2022-02-10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39A true KR20230120739A (ko) 2023-08-17

Family

ID=8780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325A KR20230120739A (ko) 2022-02-10 2022-02-10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7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512A (ko) 2009-11-16 2011-05-24 (주)인성정보 전자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512A (ko) 2009-11-16 2011-05-24 (주)인성정보 전자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3863B (zh) 一种就医任务管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09545315B (zh) 一种药品交易处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JP6245835B2 (ja) 医療情報検索支援装置及び医療情報検索支援システム
US201002502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assistance to a traveler
US20180268109A1 (en) Medical kiosk system and method
CN109585028A (zh) 一种医疗大数据的智能分析系统及应用方法
KR20120096647A (ko) 개인 맞춤형 의료정보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1039674A (ja) 医療データベースセンターシステム
JP2015090572A (ja) 遠隔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利用される介護施設端末機用プログラム、病院端末機用プログラム、薬局端末機用プログラム
JP2016189151A (ja) 電子カル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3610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legacy patients clinical documents for open sharing
JP2003178142A (ja) 遠隔診療システム
KR10045818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0739A (ko) 비대면 진료 기반의 의약품처방시스템 및 방법
JP2002245171A (ja) 医療情報管理装置、その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684007B1 (ko) 인터넷 망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TWM586863U (zh) 智慧看診醫生推薦系統
US20210398661A1 (en) Matching assistance device, matching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ent recording medium on which matching assistance program is recorded
WO2019130495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薬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41251A (ja) 診断投薬方法及び診断投薬システム
KR20150062843A (ko)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스마트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5799155B1 (ja) 処方箋データ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310574A (ja) 副作用情報管理システム、副作用情報管理方法、副作用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22105862A (ja) 問診情報取得システム、問診情報取得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116065A (ko) 셀프케어의약품 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담정보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