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550A - 휴대형 프린터 - Google Patents

휴대형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550A
KR20230120550A KR1020220130679A KR20220130679A KR20230120550A KR 20230120550 A KR20230120550 A KR 20230120550A KR 1020220130679 A KR1020220130679 A KR 1020220130679A KR 20220130679 A KR20220130679 A KR 20220130679A KR 20230120550 A KR20230120550 A KR 2023012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main body
nozzle
roller
portable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881B1 (ko
Inventor
이지희
장성현
권현진
현창환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US18/270,4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09350A1/en
Priority to PCT/KR2022/016085 priority patent/WO2023075294A1/ko
Priority to CN202280067864.8A priority patent/CN118076488A/zh
Priority to PCT/KR2023/001604 priority patent/WO2023153729A1/ko
Priority to US18/282,442 priority patent/US20240157708A1/en
Publication of KR2023012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550A/ko
Priority to KR1020230161759A priority patent/KR2023016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12Mechanism driven by cams engaging rot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6Applications of alarms, e.g. responsive to approach of end of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프린터{portable printer}
본 발명은 휴대형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피부는 사람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피부에는 문신이 새겨질 수 있다. 일례로 시술자는 문신용 바늘에 문신용 잉크를 묻힌 후 문신용 바늘을 피부에 침투시켜 문신을 새길 수 있다. 시술자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피부에 특정 문양의 문신이 새겨진다.
한편, 문신용 바늘에 잉크를 묻히고 피부에 침투시키는 과정이 장시간에 걸쳐 수행되므로, 문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고통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의 진피에 문신이 시술되므로, 한번 새겨진 문신은 제거하기가 어려우며, 문신 시술 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문신 시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신이 갖는 문제들을 해소하는 대안으로, 헤나, 바디 페인팅, 스티커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피부에 특정 도안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 제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프린터 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피부에 쉽게 인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피부는 평면이 아니므로, 프린터 제품의 노즐과 피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인쇄되길 원하는 원본 이미지와 피부 상에 인쇄된 이미지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용지나 인화지 등에 프린팅하는 데에는 가정용 잉크젯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정용 잉크젯 프린터는 정해진 크기와 종류의 용지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다이어리나 수첩, 스티커 등과 같이 용지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프린팅 하기 위해서는 노즐과 롤러가 이동 가능한 휴대용 프린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휴대용 프린터는 사용자가 프린팅하고자 하는 곳으로 노즐과 롤러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피부에 사용하는 휴대용 프린터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피부와 종이는 연질과 경질로 성질이 달라, 동일한 롤러, 노즐 구조로 겸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할 수 있는 휴대형 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프린팅 물질이 인쇄되는 대상체가 피부 등의 연질인 경우나 종이 등의 경질인 경우 모두에 대해 원활한 인쇄가 가능하도록, 노즐과 대상체 표면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휴대형 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 및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상기 제1 롤러의 하단과 상기 노즐 사이의 높이 차이는 4.5mm 내지 8.5mm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이 연질의 표면을 갖는 상기 대상체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함으로써 피부 및 종이 겸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휠은,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중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휠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어긋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중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휠 및 상기 제2 휠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어긋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휠은,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중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휠은,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과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측방에 마련되는 제3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는, 적어도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맞닿는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 상에서, 상기 롤러와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6.9㎜ 내지 13.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중앙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체의 센터 라인을 확인하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센서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제2 휠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센서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롤러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물질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프린팅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롤러 중 적어도 상기 롤러를 상기 본체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피부 및 종이 겸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기 롤러 대비 상기 본체의 내측에 치우쳐 배치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연질의 피부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롤러를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를 6.0mm 내지 7.0mm로 조정하고, 경질의 종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를 0.5mm 내지 2.5mm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한 상기 롤러의 이동 시, 상기 노즐과의 높이 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밀어내도록 변형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본체와 마주한 타단의 높이가 가변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와 걸려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로 유지하거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인입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제한하며, 일단의 가압 시 타단이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어긋나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버튼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버튼은,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서 롤러 대비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경질의 표면을 갖는 상기 대상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지;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캐리지 또는 상기 카트리지 중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교체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교체 버튼; 및 상기 캐리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교체 버튼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캐리지와 마주한 타단의 높이가 가변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교체부는, 상기 캠의 타측에 마련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가압돌기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을 갖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캠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캐리지를 기준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밀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물질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프린팅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로 유지하려는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조작부재와 마주하는 일측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제한하며, 일단의 조작 시 타단이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어긋나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걸림핀이 이동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1 경로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핀이 안착되어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는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끝단과 상기 제1 경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경로를 갖는 조절편; 및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 상기 걸림핀이 상기 조절편의 제1 경로의 끝단을 넘어 상기 그루브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가 상기 인입 위치에 놓이고, 상기 안착부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에 추가로 인입되면 상기 걸림핀이 상기 그루브를 벗어나 상기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경로의 일단으로 복귀하여 상기 안착부가 상기 돌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회전돌기를 수용하는 홀을 갖고, 상기 회전돌기의 편심 회전에 의해 병진 이동하는 형태를 갖는 조절편; 및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편심 회전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편에 의해 상기 인입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편심 회전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조절편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주변에 마련되는 롤러;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 및 상기 본체에 탈착되며 상기 노즐을 밀폐하는 프린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터 커버는, 상기 프린팅 조정부와 간섭되어 상기 롤러를 상기 인입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밀어내도록 변형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밀어내도록 변형된 상태일 때, 상기 프린터 커버가 상기 노즐을 밀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안착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인입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부재는, 일단이 상기 프린터 커버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밀어내도록 변형된 상태일 때, 일단의 조작에 의해 타단이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안착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인입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물질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프린팅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피부와 노즐 사이의 최적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헤드 부분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게 하여, 노즐과 대상체의 표면 간의 거리를 적절히 변경 가능할 수 있어, 대상체의 경도가 달라지더라도 인쇄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피부와 종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1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2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3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개념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개념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2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캐리지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내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형 프린터는 프린팅 물질을 대상체에 전달할 수 있는데, 이때 대상체라 함은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대상체는 연질의 피부이거나, 또는 경질의 종이 등(피부나 네일 등에 부착 가능한 베이스 종이를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는 대상체의 강도에 따라 일부 구성이 이동 등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연질 또는 경질이라는 의미는 상대적인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부위를 한정하지 않음)를 연질의 대상체로 하고, 피부보다 단단한 물체는 경질의 대상체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피부라고 지칭한 대상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종이 등의 대상체로도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미지는 문자나 숫자, 그림, 도안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조합한 것으로서, 그 형상이나 모양, 색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만을 포함하지 않으며, 특수 장비 등을 통해서만 식별 가능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프린터 커버(70)가 마련되는 상태이고 도 3은 프린터 커버(70)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1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2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제3 높이의 프린팅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제1 내지 제3 높이는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높이로서, 제1 높이는 4.5mm 미만, 제2 높이는 4.5mm 내지 8.5mm, 제3 높이는 8.5mm 초과의 값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본체(10), 안착부(20), 롤러(21), 프린터 커버(70) 등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노즐(33)을 갖는 카트리지(31)를 수용한다. 노즐(33)은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10)는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크기, 무게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휴대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정도임을 의미한다.
본체(10)는 휴대형 프린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휴대성 향상을 위해 모서리 부분이 곡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체(10)는 상부 본체(11)와 하부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본체(11) 및 하부 본체(12)는 일측에 마련되는 분리 버튼(13C)에 의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부 본체(11)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부 본체(11)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출납 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본체(11)의 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부 본체(11)는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져,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출납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본체(12)는 상부 본체(1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본체(12)는 상부 본체(11)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하부 본체(12)는 휴대형 프린터(1)의 프린팅을 위한 구성인 안착부(20), 롤러(21), 노즐(33) 등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외관에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작동 버튼은 프린팅 버튼(13A) 및 전원 버튼(13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버튼(13A)은 상부 본체(1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프린팅 버튼(13A)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즐(33)이 프린팅 물질을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프린팅 버튼(13A)이 상부 본체(11)의 상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린팅 버튼(13A)은 상부 본체(11)의 외관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버튼(13B)은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버튼(13B)은 휴대형 프린터(1)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원 버튼(13B)이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버튼(13B)은 하부 본체(12)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본체(12) 외관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가 마련될 수 있다. 램프(14)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램프(14)가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램프(14)는 하부 하우징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본체(11)의 내부 공간에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본체(11)의 내부 공간에는 카트리지(31), 배터리(40), 제어부(5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40)는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40)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이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전원 버튼(13B)의 조작에 의해 휴대형 프린터(1)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킬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의 프린팅 버튼(13A)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통하여 카트리지(31)에 수용된 프린팅 물질을 노즐(33)을 통해 토출시켜 인체의 피부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50)는 통신부(60)를 이용하여 프린트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60)는 USB 단자,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송수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통신부(6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대상체에 프린트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카트리지(31)는 프린팅에 필요한 프린팅 물질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프린팅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33)이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즐(33)은 본체(1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240)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노즐(33)의 주변은 헤드(32)로 정의될 수 있다.
프린팅 물질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프린팅 용액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린팅 물질은 적어도 일부가 액체 및 고체(분말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프린팅 용액이라 설명 하였더라도 반드시 100% 액체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진 않음을 알려둔다.
카트리지(31)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31)는 단일 색상의 프린팅 물질을 수용하여 한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31)가 단일 색상의 프린팅 물질을 수용하는 경우, 휴대형 프린터(1)는 단일 색상으로 구성되는 이미지를 대상체에 프린트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는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물질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노즐(33)을 통하여 프린팅 물질을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31)가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물질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경우, 휴대형 프린터(1)는 컬러 이미지를 대상체에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각 카트리지(31)는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31)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31)는 본체(10) 내에 마련되는 캐리지(30)에 수용될 수 있는데, 캐리지(30)는 카트리지(31)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 본체(1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카트리지(31)의 헤드(32) 및 노즐(33)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캐리지(30)는 카트리지(3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31)가 하나의 캐리지(30)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캐리지(30)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31)가 나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구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용액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4mPa*s 미만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에서 누출되거나, 피부에 토출된 이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6mPa*s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피부에 토출된 이후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10mPa*s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에서 토출되지 않거나,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에 흡착되어 노즐(33)이 폐쇄될 수 있다.
프린팅 용액은 안료 또는 염료와, 안료 또는 염료를 분산시키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정제수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유기 용매는 프린팅 용액의 점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용매는 비휘발성 유기 용매이면서, 분자 구조가 친수성기를 포함하여 물과 혼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은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용매는 PEG-8,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용액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경우,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4mPa*s 미만을 가져,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에서 누출되거나, 피부에 토출된 이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이 40wt% 이상인 경우,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6mPa*s를 초과하여,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에서 토출되지 않거나, 프린팅 용액의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내의 단일 유기 용매의 함량이 20wt%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피부에 안착되지 않고, 피부상에서 유동되거나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프린팅 용액의 조성을 나타내는 표이며,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특성 평가 결과를 설명하는 표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프린팅 용액의 조성
구분 유기용매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염료
성분명 정제수 PEG-8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 CI 17200
실시예1 to 100 20 - 0.2 4
실시예2 to 100 - 20 0.2 4
실시예3 to 100 10 10 0.2 4
실시예4 to 100 15 10 0.2 4
비교예1 to 100 5 - 0.2 4
비교예2 to 100 10 - 0.2 4
비교예3 to 100 30 - 0.2 4
비교예4 to 100 40 - 0.2 4
비교예5 to 100 - 5 0.2 4
비교예6 to 100 - 10 0.2 4
비교예7 to 100 - 30 0.2 4
비교예8 to 100 - 40 0.2 4
비교예9 to 100 5 5 0.2 4
비교예10 to 100 20 20 0.2 4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은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계량하여 300rpm으로 20분 동안 교반 후 탈포하고, 기공 0.45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프린팅 용액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특성 평가 결과
점도
(mPa*s)
누액 토출 인쇄시 번짐 건조 후 번짐
실시예1 4.5 X O X X
실시예2 4 X O X X
실시예3 4 X O X X
실시예4 4.5 X O X X
비교예1 3 O O O X
비교예2 3.5 O O O X
비교예3 5 X X O
비교예4 6.5 X X X O
비교예5 3 O O O X
비교예6 3.5 O O O X
비교예7 4.5 X X O
비교예8 5.5 X X X O
비교예9 3.5 O O O X
비교예10 6.5 X X X O
표 2에서, 프린팅 용액의 점도 평가는 브룩필드 DV-E 점도계(Brookfield DV-E viscometer)로 스핀들 넘버 1(Spindle Number 1), 60rpm, 및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것으로, mPa*s 단위로 표시된다.
프린팅 용액의 누액 평가는 프린팅 용액을 HP62 카트리지(31)에 5ml 충진 후 3일간 상온에 노즐(33)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방치하여 평가를 진행하며, 표 2에서는 누액 발생시 'O'로 표기하고, 누액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Ⅹ'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토출 평가는 프린팅 용액이 충진된 카트리지(31)를 기기에 장착하여 이미지 프린팅을 실시하여 평가한다. 특히, 10회 반복 프린팅을 실시하여 선명하게 프린팅된 이미지의 수를 확인하며, 선명한 이미지가 75%를 초과하면 'O'로 표기하고, 선명한 이미지가 50% 내지 75%이면 '△'로 표기하고, 선명한 이미지가 50% 미만이면 'X'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프린팅 시 번짐 평가는 프린팅 용액이 충진된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하여 팔 전완부에 이미지를 프린팅한 직후의 이미지의 선명도를 확인한다. 프린팅된 이미지에서 번짐이 발생하면 'O'로 표기하고,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 'X'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건조 후 번짐 평가는 이미지를 프린팅하고 1분간 건조시킨 후, 3회 문질러 프린팅 용액의 건조 상태 및 번짐 여부를 확인한다. 1분간 건조된 이미지에서 번짐이 발생하면 'O'로 표기하고,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 'X'로 표기한다.
상술한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9에서 누액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40wt% 이상인 비교예 4, 비교예 8 및 비교예 10에서 카트리지(31)에서 프린팅 용액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9에서 피부에 토출된 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되어 이미지 번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단일 유기 용매의 함량이 20wt%를 초과한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7 및 비교예 8에서, 건조가 충분히 되지 않아 문질렀을때 번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안착부(20)는, 본체(10)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한다. 안착부(20)는 하부 본체(12)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노즐(3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31)는 안착부(20)와 함께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31)가 안착부(20)와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면, 휴대형 프린터(1)의 사용 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이미지를 프린트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의 일측에는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카트리지(31)의 일측에 마련된 거리 센서에서 전송된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적정 값을 벗어난 경우, 카트리지(31) 및 안착부(20) 등을 승하강시켜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안착부(20)는 하부 본체(12)의 하부, 즉 휴대형 프린터(1)의 이미지 프린팅 시 하부 본체(12)에서 피부에 마주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20)는 카트리지(31)의 하부에 마련되는 노즐(33)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안착부(20)는 카트리지(31)와 함께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0)는 승하강을 위하여 랙 및 피니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안착부(20)는 랙에 연결되어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안착부(20)가 카트리지(31)와 함께 승하강 가능하면, 휴대형 프린터(1)의 사용 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이미지의 프린팅을 보장하는 정도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롤러(21)는, 본체(10)의 하부에서 노즐(33)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이라 함은,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본체(10)가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대상체의 표면에 본체(1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노즐(33)의 전방 및 후방에 롤러(21)가 마련된다.
롤러(21)는 대상체의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면서도 대상체에 불편함을 주지 않고 본체(10)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고자, 대상체와 맞닿는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롤러(21)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플라스틱 경질 재료에 연질 재료가 코팅된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21)는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를 포함한다. 제1 롤러(21A)는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21A)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노즐(33)의 전방에 마련되며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피부와 노즐(33)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롤러(21A)는 노즐(33)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제1 회전축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휠(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휠은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노즐(33)과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하여 프린터에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형 프린터(1) 및 피부의 밀착을 위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부와 카트리지(31)의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는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이미지의 선명한 프린팅을 위하여, 피부와 카트리지(31)의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0.5mm 내지 2.5mm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와 카트리지(31)의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1.0mm 내지 2.0mm일 수 있다.
피부와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0.5mm 미만이거나 2.5mm 초과인 경우,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해 프린팅되는 이미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피부 상에 프린팅된 이미지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피부와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0.5mm 미만인 경우, 노즐(33)이 피부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노즐(33)이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노즐(33)의 후단 및 헤드(32)가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노즐(33)에서 토출된 프린팅 용액이 노즐(33)의 후단 및 헤드(32)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피부와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2.5mm 초과인 경우,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멀어 노즐(33)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용액이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와 카트리지(31)의 노즐(33)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를 0.5mm 내지 2.5mm로 유지하기 위하여,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 상에서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는 4.5mm 내지 8.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는 5.5mm 내지 7.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mm 내지 8.5mm로 유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명한 이미지가 피부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mm 미만이거나 8.5mm 초과인 경우,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해 프린팅되는 이미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피부 상에 프린팅되는 이미지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mm 미만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노즐(33)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물질의 뭉침에 의해, 피부 상에 프린팅된 이미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mm 미만인 경우에는 노즐(33) 또는 헤드(32)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휴대형 프린터(1)의 이동 시 피부에 프린팅된 이미지에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롤러(21A)의 하단과 노즐(33) 사이의 높이 차이(H)가 8.5mm 초과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멀어 노즐(33)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용액이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선명하지 않은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21A)는 휴대형 프린터(1)의 프린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21A)는 본체(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롤러(21A)는 노즐(33)에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21A)는 일정 길이의 롤 형상을 가지며, 본체(1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32)(노즐(3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롤러(21A)의 길이는 노즐(33)이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거나 노즐(33)이 연장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휴대형 프린터(1)의 평면 상에서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노즐(33)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용액에 의해 제1 롤러(21A)가 오염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6.9mm 내지 13.1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8.5mm 내지 11.5mm일 수 있다.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6.9mm 미만인 경우, 노즐(33)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용액에 의해 제1 롤러(21A)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13.1mm 초과인 경우, 제1 롤러(21A)에 의해 피부가 눌리더라도 노즐(33)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가 피부 탄성에 의해 회복되어, 노즐(33) 및 피부 사이의 거리가 0.5mm 미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13.1mm 초과인 경우, 노즐(33) 또는 헤드(32)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휴대형 프린터(1)의 이동 시 프린팅된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제2 롤러(21B)는,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롤러(21B)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헤드(32)(노즐(33))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롤러(21B)는 이미지가 프린팅되는 피부와 하부 본체(12)의 하면을 이격시키며, 제1 롤러(21A)와 함께 피부를 따라 롤링할 수 있다.
제2 롤러(21B)는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바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롤러(21B)는 노즐(33)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 회전축(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복수 개의 제2 회전축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 휠(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휠은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노즐(33)과 어긋나게 마련된다. 즉 제2 롤러(21B)는 노즐(33)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21B)는 예를 들면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두 개의 제2 롤러(21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2 롤러(21B)는 적어도 노즐(33)이 연장된 길이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 프린터(1)의 프린팅 경로를 따라 제2 롤러(21B)가 이동하면서,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제2 롤러(21B)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번짐 없이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피부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제2 롤러(21B)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2 롤러(21B)에 의해 프린팅 용액이 제2 롤러(21B)에 이염되었다가 피부에 전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휴대형 프린터(1)의 평면 상에서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제1 롤러(21A)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 프린터(1)의 평면 상에서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6.9mm 내지 13.1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8.5mm 내지 11.5mm일 수 있다.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6.9mm 미만인 경우, 노즐(33)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물질에 의해 제2 롤러(21B)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13.1mm 초과인 경우, 제2 롤러(21B)에 의해 피부가 눌리더라도 노즐(33)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가 피부 탄성에 의해 회복되어, 노즐(33) 및 피부 사이의 거리가 0.5mm 미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러(21B) 및 노즐(33)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13.1mm 초과인 경우, 노즐(33) 또는 헤드(32)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휴대형 프린터(1)의 이동 시 프린팅된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롤러(21B)가 본체(1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32)의 후방에 마련되고, 노즐(33)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제2 롤러(21B)로 마련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는 승하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가 승하강 가능하면, 휴대형 프린터(1)의 사용 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이미지의 프린팅을 보장할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하부 본체(12)의 하부에는 광학 센서(2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프린터(1)의 프린팅 방향에서, 광학 센서(22)는 헤드(32)의 후방에서 노즐(33)의 중앙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휴대형 프린터(1)가 이미지를 피부 상에 프린팅하는 경우, 광학 센서(22)는 노즐(33)의 이동 라인의 센터 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프린터 커버(70)는, 본체(10) 및 안착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되며 노즐(33)을 밀폐한다. 프린터 커버(70)는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본체(12)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즉 프린터 커버(70)는 하부 본체(12)의 하부에 노출 또는 돌출되는 헤드(32), 제1 롤러(21A), 제2 롤러(21B) 및 광학 센서(22) 등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커버(70)는 헤드(32), 제1 롤러(21A), 제2 롤러(21B) 및 광학 센서(22) 등의 오염을 방지하고, 프린팅 용액이 불필요한 곳에 묻는 것을 억제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헤드(32) 및 노즐(33)을 보호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휴대형 프린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하여 피부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전에, 피부 상에 피부 평탄화를 위한 프라이머를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프라이머는 피부를 평탄화하여 휴대형 프린터(1)에 의해 피부에 프린팅되는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는 액상형 프라이머 또는 고형 프라이머일 수 있다.
액상형 프라이머는 빠른 건조를 위하여 다량의 휘발성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과 피막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액상 프라이머는 에탄올이 휘발성 용매이므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피막 성분이 피부 자극성이 강하며, 클렌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반면, 고형 프라이머는 휘발성 용매의 함량이 액상형 프라이머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피부 자극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고형 프라이머는 휘발성 용매의 함량이 낮으므로, 빠른 시간에 피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고형 프라이머는 피막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클렌징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머로 고형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휴대형 프린터(1)를 이용하여 피부 상에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형 프린터(1)의 프린터 커버(70)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전원 버튼(13B)을 이용하여 휴대형 프린터(1)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휴대형 프린터(1)가 온(On) 되면, 배터리(40)는 휴대형 프린터(1)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부분에 전력을 제공하여, 휴대형 프린터(1)가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형 프린터(1)가 온(On)되면, 사용자는 통신부(60)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휴대형 프린터(1)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외부 기기에 저장되거나, 외부 기기에 연결된 사이트에서 획득 가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외부 기기에 저장되거나 외부 기기에 연결된 사이트의 이미지는 통신부(60)를 통하여 휴대형 프린터(1)의 제어부(5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피부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휴대형 프린터(1)를 피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휴대형 프린터(1)가 피부에 안착되면, 사용자는 프린팅 버튼(13A)을 조작하여 선택된 이미지의 프린팅을 시작할 수 있다.
선택된 이미지의 프린팅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일정 속도로 휴대형 프린터(1)를 이동시키면서, 휴대형 프린터(1)가 선택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형 프린터(1)는 제1 롤러(21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프린터(1)가 이동하는 동안, 프린팅 용액을 피부 상에 토출하는 노즐(33)은 제1 롤러(21A)에 의해 피부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휴대형 프린터(1)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된 채 피부 표면 상을 이동하는 동안, 이미지가 선명하게 피부 상에 프린팅될 수 있도록, 피부 및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제1 롤러(21A)에 의해 0.5㎜ 내지 2.5㎜로 유지될 수 있다.
휴대형 프린터(1)에 의해 이미지가 프린팅된 후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고착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고착 코팅은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프린터(1)는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동안 피부 및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0.5㎜ 내지 2.5㎜로 유지되므로, 피부에 선명한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프린팅 이전에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피부를 평탄화하면, 보다 선명한 이미지가 피부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러한 사항은 본 명세서 내 모든 실시예에 대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서 제1 롤러(21A)가 본체(1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32)의 전방에 마련되고 노즐(33)에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제2 실시예에서, 제1 롤러(21A)는 노즐(33)에 평행하게 연장된 하나의 제1 회전축(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제1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2 롤러(21B) 역시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노즐(33)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회전축(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제2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휠(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롤러(21B)의 제2 회전축은 노즐(33)의 이동 라인과 중첩할 수 있으나, 제2 회전축 양단의 제2 휠은 노즐(33)의 이동 라인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롤러(21A)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32)의 전방에 마련되는 반면, 제2 롤러(21B)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32)의 후방 중 헤드(3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21)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헤드(32)의 측방에 마련되는 제3 롤러(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롤러(21A, 21B, 21C)는 사실상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 등을 포함하는 롤러(21)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헤드(3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의 배치 외에도, 노즐(33)과 피부 사이의 적정한 수직 높이를 유지하면서 프린팅 용액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롤러(21)의 배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때 도 12(A), 도 13(A), 도 14(A)는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놓인 상태이고 도 12(B), 도 13(B), 도 14(B)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앞서 제1 실시예 등에서는 카트리지(31)가 승하강함으로써 피부와 노즐(3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카트리지(31)의 노즐(33)을 기준으로 롤러(21) 또는 안착부(20)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노즐(33)과 대상체의 표면 사이의 수직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프린팅 조정부(100)를 포함한다. 프린팅 조정부(100)는 안착부(20) 및 롤러(21) 중 적어도 롤러(21)를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만 롤러(21)의 회전축은 안착부(20)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롤러(21)는 프린팅 조정부(100)에 의해 안착부(20)와 함께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프린팅 조정부(100)는 안착부(20)를 이동시켜서 안착부(20) 및 롤러(21)가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조정부(100)에 의한 이동은 본체(10)의 내측 방향과 외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린팅 조정부(100)는 안착부(20) 등을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노즐(33)과 롤러(21)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노즐(33)과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연질의 피부 또는 경질의 종이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롤러(21A)와 제2 롤러(21B) 사이에서 피부는 피부 탄성에 의해 노즐(33)을 향하여 볼록하게 변형되는 반면, 종이는 그렇지 않다.
연질의 대상체가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에 의해 가압될 때 제1 롤러(21A)와 제2 롤러(21B) 사이에서 노즐(33)을 향해 볼록하게 변형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프린팅 조정부(100)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경도에 따라 노즐(33)의 수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33)은 롤러(21) 대비 본체(10)의 내측에 치우쳐 배치되며, 프린팅 조정부(100)는 연질의 피부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롤러(21)를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서 노즐(33)과 롤러(21) 간의 높이를 6.0mm 내지 7.0mm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린팅 조정부(100)는, 경질의 종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롤러(21)를 인입 위치로 이동시켜서 노즐(33)과 롤러(21) 간의 높이를 0.5mm 내지 2.5mm로 조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프린팅 조정부(100)는 롤러(21)의 이동을 자동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가압에 의해 롤러(21)가 이동되도록 보조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노즐(33)이 피부와 같은 연질 대상체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고자 하는 경우, 프린팅 조정부(100)는 헤드(32)와 롤러(21) 하단의 수직 높이가 바람직하게 6.5mm 내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33)과 피부 사이에 적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프린팅 물질이 번지거나 뭉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노즐(33)이 지류를 포함하는 경질의 물체(네일스티커용 베이스 종이 등)인 경우, 프린팅 조정부(100)는 헤드(32)와 롤러(21) 하단의 수직 높이가 바람직하게 2.0mm 내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33)과 종이 사이에 적정한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프린팅 물질의 선명도가 보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대상체의 경도에 따라 노즐(33)과 대상체의 표면 사이의 거리, 정확하게는 대상체를 가압하는 롤러(21)와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33) 사이의 수직 거리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대상체의 경도가 다르더라도 프린팅의 퀄리티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헤드(32)와 롤러(21) 하단의 수직 높이를 변경하는 것은, 대상체가 연질인 경우 제1 롤러(21A)와 제2 롤러(21B) 사이에서 헤드(32)를 향해 대상체가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린팅 조정부(100)를 활용함에 따라, 대상체의 표면과 노즐(33) 사이의 수직 높이가 대상체의 경질/연질 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노즐(33)과 헤드(32)는 모두 카트리지(31)의 하단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헤드(32)는 노즐(33)의 주변부를 의미하는 바, 본 명세서에서 노즐(33)과 헤드(32)는 동일한 수직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헤드(32)와 롤러(21)의 수직 높이가 변경되면, 노즐(33)과 롤러(21)의 수직 높이 역시 변경된다. 다만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33) 및 헤드(32)를 기준으로 대상체의 표면까지의 수직 높이는, 대상체의 경도에 따라 롤러(21)가 이동함에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프린팅 조정부(100)를 활용하여, 안착부(20)가 하부 본체(12)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와, 안착부(20)가 하부 본체(12)에서 하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상태로 전환해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이미지를 프린팅할 대상체로 피부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도 12(A)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안착부(20) 및 롤러(21)가 돌출 위치에 놓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32)의 전방 및 후방에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가 각각 마련되는데,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는 프린팅 조정부(100)에 의한 롤러(21)의 내외 이동 시, 노즐(33)과의 높이 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한다.
도 14(A)에서 제1 롤러(21A)와 노즐(33) 간의 수직 높이 및 제2 롤러(21B)와 노즐(33) 간의 수직 높이는 대략 6.5mm 내외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가 피부 탄성에 의해 볼록하게 변형되는 특성이 있다 하더라도, 제1 롤러(21A)와 제2 롤러(21B) 사이에서 노즐(33)과 피부 사이의 거리는 적정한 수준으로 이격된다.
사용자는 도 12(A) 등에 나타난 휴대형 프린터(1)를 피부에 밀착시키고, 제1 롤러(21A) 등을 이용하여 본체(10)를 피부 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노즐(33)과 피부 사이의 거리가 적정한 2.0mm 내외로 이격되므로, 피부에는 선명한 이미지가 프린팅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이미지를 프린팅할 대상체로 종이 등의 경질 물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도 12(B)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안착부(20) 및 롤러(21)가 인입 위치에 놓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32)의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되는 제1 롤러(21A) 및 제2 롤러(21B)는 프린팅 조정부(100)에 의한 안착부(20)의 내외 이동 시, 노즐(33)과의 높이 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한다.
도 14(B)에서 제1 롤러(21A)와 노즐(33) 간의 수직 높이 및 제2 롤러(21B)와 노즐(33) 간의 수직 높이는 대략 2.0mm 내외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1A)와 제2 롤러(21B) 사이에서 볼록하게 변형되지 않는 종이에 대해, 노즐(33)과의 수직 거리는 적정한 수준으로 이격된다.
사용자는 도 12(B) 등에 나타난 휴대형 프린터(1)를 종이에 밀착시키고, 제1 롤러(21A) 등을 이용하여 본체(10)를 종이 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노즐(33)과 종이 사이의 거리가 적정한 2.0mm 내외로 이격되므로, 종이에는 선명한 이미지가 프린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팅 조정부(100)가 구현하는 안착부(20) 및 롤러(21)에 대한 내외 방향 이동은, 랙 및 랙기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이외에 안착부(20)의 수직 높이를 둘 이상의 값으로 변경 및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프린팅 조정부(100)가 가질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를 다른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개념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및 조작부재(120)를 이용하여 안착부(20)(또는 롤러(2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15, 도 17, 도 19(A), 도 22는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도 16, 도 19(B), 도 20은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탄성부재(110)는,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다.
안착부(20)는 본체(10) 내부로 인입되어 상부 본체(1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벽체(23)를 가질 수 있으며, 벽체(23)의 일 지점에서 본체(10)의 특정 지점 사이에 탄성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에는 높이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즉 탄성부재(110)는 인장될 때 탄성력으로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가 돌출되면 본체(10)와 벽체(23) 사이의 탄성부재(110)는 인장되므로, 안착부(20)는 본체(10) 내로 인입되는 인입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즉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에 대해 인입 위치를 복원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팅 조정부(100)는 탄성부재(110)를 이용하여 안착부(2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안착부(20)에 마련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탄성부재(110)가 인입 위치를 복원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조작부재(120)는 안착부(20)를 돌출 위치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재(1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탄성부재(110)를 인장시키면서 안착부(20)로부터 본체(10)를 밀어내도록 변형되어, 안착부(20)를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즉 조작부재(120)는 안착부(20)를 기준으로 본체(10)가 상승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버튼(121)을 이용할 수 있다.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부(20)의 표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에 의해 둘러싸이고 안착부(20)보다 돌출되지 않게 마련되어 프린팅에 방해되지 않게 마련된다.
조작 버튼(121)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조작 버튼(121)은 조작 여부와 무관하게 안착부(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버튼(121)은 탄성부재(110)에 의해 안착부(20)가 인입 위치로 복원된 상태일 때 제1 위치에 놓이며, 수평 방향으로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안착부(20)를 기준으로 본체(10)를 상승시키는 힘을 유도할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조작 버튼(121)에 연결되는 캠(122)을 포함한다. 캠(122)은 안착부(2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조작 버튼(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캠(122)은 회전축(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마련되지만, 일단과 타단이 비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캠(122)은 일단이 조작 버튼(121)에 의해 회전하면, 본체(10)와 마주한 타단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조작 버튼(121)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캠(122)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단의 높이가 상승할 수 있다. 캠(122)의 타단은 본체(10) 내부의 일정 지점과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캠(122)의 타단 높이가 상승하게 되면 안착부(20)를 기준으로 본체(10)가 상승한다.
이때 탄성부재(110)는 탄성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서 인장되고, 안착부(20)는 본체(10)를 기준으로 돌출된 위치에 놓인다. 특히 캠(122)은 도 21(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10)를 밀어 올리는 부분이 평면 형태를 갖도록 하여, 도 21(B)의 상태에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안착부(20)를 돌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프린팅 조정부(100)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재(120)가 제1 위치에 있고 탄성부재(110)에 의해 안착부(20)가 본체(10)에 인입된 인입 위치일 경우, 휴대형 프린터(1)는 도 16 등에 나타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 롤러(21A)나 제2 롤러(21B) 대비 노즐(33)의 높이는 2.0mm 내외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의 휴대형 프린터(1)를 종이에 대고 슬라이딩시켜서 이미지가 종이 등에 적정한 해상도로 프린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20)는 본체(10) 내에서 구조적으로 맞물려서 추가적인 인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안착부(20)의 자중에도 불구하고 탄성부재(110)로 인해 안착부(20)의 돌출 역시 제한된다. 따라서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종이를 대신하여 피부 등의 연질 대상체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1에서와 같이 조작 버튼(121)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 버튼(121)과 연계된 캠(122)이 회전하게 되면서, 캠(122)의 타단이 본체(10)를 밀어 올려 고정하게 되고,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10)는 인장된다.
사용자는 도 17 등으로 나타난 상태의 휴대형 프린터(1)를 피부에 대고 슬라이딩시켜서, 이미지가 피부에 적정한 해상도로 프린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캠(122)의 타단 중 평평한 부분이 본체(10) 내부에 맞닿아 있으므로, 안착부(20)는 본체(10) 내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인장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20)의 추가 돌출은 엄격히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간격은 6.5mm 내외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도 17 등에 나타난 상태의 휴대형 프린터(1)를 도 16 등의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 버튼(121)을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캠(122)의 타단 중 평평한 부분이 본체(10) 내부에서 맞닿는 부분으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20) 및 롤러(21)는 자동적으로 본체(1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를 인입 위치에서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해야 할 때, 탄성부재(110)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요구된다. 반면,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를 돌출 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제2 위치에서 제 위치로 수평 이동해야 할 때에는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이 보조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안착부(20)를 돌출시키는 경우 대비 적은 외력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20)는 본체(10)에 인입된 상태를 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착부(20)나 롤러(21) 등을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하부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 투시도이다.
참고로 도 24, 도 27, 도 28은 카트리지(31)가 인입된 상태이고, 도 25, 도 26은 카트리지(31)가 돌출된 상태이다.
도 23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제5 실시예와 대비할 때 프린팅 조정부(1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공통되나, 프린팅 조정부(100)의 구성에 변화가 있다.
앞선 실시예가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를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 역시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를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앞선 제5 실시예가 프린팅 조정부(100)에 마련되는 인장 스프링인 탄성부재(110)를 통해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 역시 프린팅 조정부(100)가 구비하는 인장 스프링인 탄성부재(110)를 통해 안착부(20)의 인입 위치가 복원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앞선 제5 실시예는 조작부재(120)가 탄성부재(110)를 인장시키면서 안착부(20)가 돌출되도록 하는 반면, 본 실시예는 조작부재(120)가 탄성부재(110)가 인장된 상태를 고정하여 안착부(20)의 돌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예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서 돌출 위치로 변경될 때 조작부재(120)에 의한 외부 조작 및 탄성부재(110)의 강제적 인장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서 돌출 위치로 변경될 때 탄성부재(110)의 강제적 인장이 이루어진다.
반면, 제5 실시예는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변경될 때 조작부재(120)의 조작 및 탄성부재(110)의 탄성 수축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는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변경될 때 조작부재(120)의 걸림 해제 및 탄성부재(110)의 탄성 수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는,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부재(110)와, 본체(1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조작부재(12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10)는 앞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하게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고, 이때 인장 스프링은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인장 스프링은 카트리지(31)와 안착부(20) 사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부재(120)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안착부(20)는 본체(10) 내부로 연장되는 벽체(23)를 구비할 수 있고, 본체(10)에서 벽체(23)와 인접한 부분에는 걸림돌기(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30)는 삼각 단면 형태를 가져서 조작부재(120)를 기준으로 상방 이동은 용이한 반면 하방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조작부재(120)도 역삼각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작부재(120)는 걸림돌기(13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반면 걸림돌기(130)를 하방으로 넘어가는 움직임은 허용될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0)와 걸려 안착부(20)를 돌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안착부(20)가 외부 조작 또는 내부 구성에 의한 작동 등을 통해 본체(10)를 기준으로 돌출되면, 걸림돌기(130)의 하단 아래에 조작부재(120)의 상단이 배치된다. 이 경우 걸림돌기(130)의 하면과 조작부재(120)의 상면은 상호 맞닿을 수 있다.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놓인 경우 탄성부재(110)는 인장된 상태로서 탄성 복원하려는 힘을 갖는다. 그러나 조작부재(120)와 걸림돌기(130)가 상호 맞닿음에 따라 안착부(20)가 본체(1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20)가 본체(10)의 걸림돌기(130)에 걸려서, 안착부(20)가 돌출 위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헤드(32)와 롤러(21) 사이의 높이가 증대되어 있어서, 오사용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조작부재(120)가 외부 조작에 의해 본체(10)의 걸림돌기(130)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10)의 탄성 복원력이 안착부(20)에 작용한다. 이 경우 안착부(20)는 본체(1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이동하여 인입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인입 위치에 놓인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인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인입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30)는 안착부(20)가 돌출 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120)에 걸림 가능할 수 있다. 조작부재(120)가 본체(10)의 걸림돌기(130)에 걸린 제1 상태는, 탄성부재(110)가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조작부재(1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본체(10)의 걸림돌기(130)와 걸림 해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조작부재(120)가 외부 조작에 의해 본체(10)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안착부(20)가 탄성부재(110)에 의해 이동되어 인입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변화시키고자 할 것인데, 조작부재(120)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0)에 걸려 안착부(20)의 인입을 방해하거나, 또는 걸림돌기(130)와 어긋나면서 안착부(20)의 인입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120)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걸림돌기(130)와 맞닿는 조작 버튼(121)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121)은 걸림돌기(130)에 타단이 걸리게 되면 탄성부재(110)에 의한 안착부(20)의 인입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의 하부로 일단이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일단이 가압되면 타단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조작 버튼(121)은 회전하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 버튼(121)의 타단은 본체(10) 내에서 걸림돌기(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작 버튼(121)은 걸림돌기(130)와 어긋나 탄성부재(110)에 의한 안착부(2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30)는 탄성부재(110)가 인장되면서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30)와 걸림 해제되면, 탄성부재(110)에 의해 자동적으로 안착부(20)가 인입된다.
안착부(20)가 인입되는 것은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수직 높이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휴대형 프린터(1)가 지류 등에 프린팅하기 적절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서, 피부에는 프린팅하기 부적절한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안착부(20)가 돌출되는 것은 안착부(20) 상의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수직 높이가 증가하여 피부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적절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피부에 대한 오사용을 방지하고자, 조작부재(120)를 이용하여 안착부(20)가 피부 프린팅에 적합한 돌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 버튼(121)은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때 복수 개의 조작 버튼(121)의 일단은, 안착부(20)에서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된다.
조작 버튼(121) 각각은 본체(10)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30)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조작 버튼(121) 모두가 걸림돌기(130)에서 해제되어야만 안착부(20)가 원활하게 인입 이동할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 버튼(121) 중 일부는 걸림돌기(130)에 걸려 있고 나머지만 걸림돌기(130)에서 걸림 해제된 경우, 안착부(20)는 본체(10)를 기준으로 인입 위치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조작 버튼(121) 모두의 일단이 한꺼번에 가압되어야만 안착부(20)의 인입 이동이 가능하다. 다만 조작 버튼(121)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조작되는 대신, 대상체의 표면에 직접 눌려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조작 버튼(121)은 일단이 안착부(20)에서 롤러(21) 대비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대상체가 피부인 경우에는, 조작 버튼(121)이 롤러(21) 대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더라도 피부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눌리지 못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피부에 적합하도록 안착부(20)와 헤드(32) 사이의 수직 높이가 커진 상태를 고정하고, 롤러(21)를 피부에 밀착시켜 슬라이딩하더라도 안착부(20)가 인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대상체가 종이인 경우에는, 조작 버튼(121)이 롤러(21) 대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경질의 종이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피부에 프린팅하기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종이 등에 안착부(20)를 맞대고 조작 버튼(121)이 종이에 의하여 눌리도록 하여, 안착부(20)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형 프린터(1)에서 롤러(21)와 노즐(33) 사이의 수직 높이가 감소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프린팅되는 대상체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21)를 갖는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에 의해 본체(10)에 인입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일 때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30)에 걸려 있게 되면서, 안착부(20)는 돌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조작 버튼(121)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타단이 걸림돌기(130)에 걸리는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조작 버튼(121)은 하측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측은 평평한 역삼각 형태로 마련되어, 걸림돌기(130)가 조작 버튼(121)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넘어갈 수는 있지만, 상측에서 하측으로는 넘어가지 못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조작 버튼(121)의 타단이 걸림돌기(130)보다 상방에 위치한 상태(안착부(20)의 인입 위치)에서, 안착부(20)가 외력 등에 의해 돌출되면, 조작 버튼(121)의 타단이 걸림돌기(130)에서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
이후 안착부(20)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돌출되어 조작 버튼(121)의 타단이 걸림돌기(130)를 넘어서면, 조작 버튼(121)의 타단에서 평평한 상측이 걸림돌기(130)의 평평한 하측과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121)은 걸림돌기(130)를 기준으로 상승이 억제되므로, 안착부(20)는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즉 안착부(20)가 돌출되면, 탄성부재(110)는 인장되며 조작 버튼(121)의 타단은 걸림돌기(130)에 의해 걸림돌기(130)에서 멀어지는 측방으로 벌어지면서 걸림돌기(130)가 조작 버튼(121)의 타단을 넘어서게 된다.
이후 조작 버튼(121)의 타단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30)에 걸림되는 상태로 전환되어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30)가 걸림되므로, 탄성부재(110)가 압축되려는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안착부(20)는 도 24에서와 같이 돌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안착부(20)는 사용자가 직접 잡고 잡아당겨 인입 위치에서 돌출 위치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프린터 커버(70)에 안착부(20)와의 걸림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프린터 커버(70)를 이용해 안착부(20)가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20)가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가 종이 등의 경질 대상체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121)의 타단을 동시에 눌러서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30) 간의 걸림을 모두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착부(20)는 본체(10)를 향해 인입되어 도 26에 나타난 상태가 된다.
또는, 사용자는 종이 등의 대상체에 안착부(20)를 가까이 하고 조작 버튼(121)이 대상체의 표면에 의해 직접 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조작 버튼(121) 중 일부가 눌리지 않고 조작 버튼(121) 모두가 눌려야만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변경되므로,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헤드(32)와 대상체의 표면이 수평한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9는 휴대형 프린터(1)에서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0은 안착부(20)가 인입되는 도중의 상태이고, 도 31은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 내지 도 3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앞선 제5 및 제6 실시예 대비 프린팅 조정부(10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가 갖는 탄성부재(110)는,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에 마련된다는 점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고, 또한 탄성부재(110)가 본체(10)를 기준으로 안착부(20)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다는 것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돌출 위치로 유지하려는 압축 스프링이라는 점에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는 제5, 6 실시예 대비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압축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안착부(20)가 탄성력에 의해 본체(10)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을 토대로 돌출 위치를 복원 위치로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위치에 놓이면 헤드(32)와 롤러(21) 사이의 수직 높이가 6.5mm 내외가 될 수 있다. 이때 피부에 롤러(21)를 슬라이딩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10)가 충분한 탄성력을 안착부(20)에 제공함으로써, 헤드(32)와 롤러(21) 사이의 수직 높이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작부재(1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안착부(20)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는 점에서, 제5, 6 실시예와 동일하다.
반면 본 실시예의 조작부재(120)는, 안착부(20)가 아닌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안착부(20)에서 조작을 수행해 안착부(20)를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본체(10)에서 조작을 수행하여 안착부(20)가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경 위치는 제5, 6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착부(20)가 인입된 인입 위치일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본체(10)에 마련되면서 본체(10)의 외관을 통해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20)는 일단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본체(10) 외부의 조작 부분이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조작부재(1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에서 안착부(20)의 돌출을 제한하도록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안착부(20)에는 조작부재(120)와 마주하는 일측에 걸림돌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40)와 조작부재(120)는 상호 맞닿을 경우 내외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조작부재(120)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걸림돌기(140)와 맞닿아 탄성부재(110)에 의한 안착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작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놓이기 전일 때에는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40)에 걸리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놓이면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40)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조작 버튼(121)의 이동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40)와 내외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놓인다. 이 경우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안착부(20)는 돌출되지 못하며 인입 위치를 유지한다.
반면 조작 버튼(121)은 일단의 조작에 의해 타단이 이동되어 걸림돌기(140)와 어긋나게 되면, 탄성부재(110)에 의해 안착부(2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력을 받게 되어, 안착부(20)의 이동이 허용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반대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 실시예는 안착부(20)의 인입이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30)의 걸림 해제 및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본 실시예는 안착부(20)의 인입이 안착부(20)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에서 안착부(20)가 인입 위치를 유지하는 것은 탄성부재(11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는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40)의 걸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면 제6 실시예는 안착부(20)의 돌출이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는 안착부(20)의 돌출이 조작 버튼(121)과 걸림 돌기의 걸림 해제 및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제6 실시예에서 안착부(20)가 돌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은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30)의 걸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착부(20)의 인입, 돌출, 위치 유지 등에서 반대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제6 실시예가 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안착부(20)를 인입/돌출시키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먼저 도 2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노즐(33)과 롤러(21) 사이의 높이는 피부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적절한 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종이 등의 경질 대상체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안착부(20)를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안착부(20)의 이동은 안착부(20)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이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안착부(20)가 일정한 수준까지 인입되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121)을 조작해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40)와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20)를 인입하려는 힘이 제거되더라도, 조작 버튼(121)이 걸림돌기(140)와 맞닿아 안착부(20)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탄성부재(11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피부 등의 연질 대상체에 프린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 버튼(121)을 걸림돌기(140)에서 어긋나는 방향으로 조작한다. 이때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돌출되므로, 노즐(33)과 롤러(21)의 수직 높이는 다시 6.5mm 내외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7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40)가 상호 뒤바뀐 경우를 포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실시예로서, 제7 실시예의 조작 버튼(121)에 대응되는 부분이 본체(10)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걸림 부분일 수 있고, 제7 실시예의 걸림돌기(140)에 대응되는 부분이 안착부(20) 상에 마련되어 이동 가능한 조작 부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121)과 걸림돌기(140)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그대로 이용하되, 조작 버튼(121)이 안착부(20)에 마련되고 걸림돌기(140)가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변경 예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32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33은 안착부(20)가 인입되는 상태이며, 도 34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다. 반면 도 35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서 돌출 위치로 변경되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과 다른 기술분야에 속하는 제품에 적용되는 구성(Pop-up button 등)을 차용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프린팅 조정부(100)를 이용하여 안착부(20)의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를 변경/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조정부(100)는 조절편(153)과 탄성부재(110)를 갖는다.
조절편(153)은, 본체(10)에 마련되는 걸림핀(160)이 이동하는 경로 또는 걸림핀(160)이 걸리는 그루브(1532)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절편(153)은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조절편(153)에 마련되는 경로 및 그루브(1532)를 따라 걸림핀(160)이 움직이면서, 안착부(20)의 위치를 변경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조절편(153)은 안착부(2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안착부(20)와 함께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편(153)은, 안착부(20)가 본체(1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핀(160)이 이동하는 제1 경로(1531)를 갖는다.
제1 경로(1531)는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걸림핀(160)은 본체(10)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걸림핀(160)은 ㄷ자 형태로 마련되고 상단이 본체(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조절편(153) 상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조절편(153)은 제1 경로(1531)의 끝단에 연결되고 걸림핀(160)이 안착되는 그루브(1532)를 갖는다. 그루브(1532)는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1532) 상에 걸림핀(160)이 위치하면 조절편(153) 및 안착부(20)는 본체(1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조절편(153)은 그루브(1532)의 끝단과 제1 경로(1531)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경로(1533)를 갖는다. 제2 경로(1533)는 직선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그루브(1532)를 벗어나는 걸림핀(160)이 제1 경로(1531)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는, 안착부(20)와 본체(10) 사이에 탄성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와 본체(10) 사이 외에 본체(10)와 조절편(153) 사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20)의 내외 방향 이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32에서 안착부(20)는 돌출 위치에 놓여 있다. 이때 안착부(20)의 돌출은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추가적인 돌출은 안착부(20)와 하부 본체(12) 사이의 걸림 구조 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33에서와 같이 안착부(20)가 외부 조작에 의해 본체(1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걸림핀(160)은 조절편(153)의 제1 경로(1531)를 따라 경사지게 움직인다. 이후 안착부(20)가 충분히 본체(10) 내로 인입되면, 걸림핀(160)은 조절편(153)에 마련되는 제1 경로(1531)의 끝단을 넘어 도 34에 나타난 것처럼 그루브(153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핀(160)이 제1 경로(1531)에서 그루브(1532)로 넘어갈 수 있도록, 제1 경로(1531)와 그루브(1532) 사이에는 걸림핀(160)의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면/곡면 구조 등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4에 나타난 상태에서 걸림핀(160)은 그루브(1532)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조절편(153)은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조절편(153)과 일체로 고정되는 안착부(20) 역시 본체(10) 대비 돌출되지 못하고, 인입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안착부(20)가 본체(10)에 추가로 인입되면, 걸림핀(160)은 그루브(1532)를 벗어나 제2 경로(1533)로 인입되어, 도 35에 나타난 상태가 된다. 도 35에서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밀어낼 수 있으므로, 안착부(20)는 본체(10)를 기준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 위치로 변경되며, 걸림핀(160)은 제2 경로(1533)를 지나 제1 경로(1531)의 일단으로 복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안착부(20)를 내측 방향으로 누르는 작동을 통해 안착부(20)가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를 번갈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안착부(2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36은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37은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는, 조절편(153)과 탄성부재(11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제8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조절편(153)은 그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달라진다.
본 실시예의 조절편(153)은, 안착부(20)에 연결되어 안착부(20)와 일체로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절편(153)은 본체(10)에 마련되는 회전돌기(170)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다.
본체(10)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 또는 외부 조작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돌기(170)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는데, 회전돌기(170)는 편심 회전되는 형태를 갖는다. 즉 회전돌기(17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은 회전돌기(170)와 중심이 나란하지 않게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돌기(170)는 회전축의 회전 시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조절편(153)은, 홀(154) 내에 회전돌기(170)를 수용하며, 회전돌기(170)의 편심 회전에 의해 병진 이동하는 형태를 갖는다. 회전돌기(170)는 편심 회전함에 따라 본체(10) 내에서 일정한 원형의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홀(154)은 회전돌기(170)의 원형 움직임을 수용하면서도, 회전돌기(170)의 내외 방향 움직임에 의해 밀려서 조절편(153)의 움직임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는 탄성부재(110)를 구비하는데, 탄성부재(110)는 본체(10)와 안착부(20) 사이 또는 본체(10)와 조절편(153) 사이에 마련된다. 탄성부재(110)는 인장 스프링 또는 탄성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안착부(20)를 본체(10)에서 밀어내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홀(154) 내에 수용된 회전돌기(170)는 항상 홀(154)의 내측단과 마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해 안착부(20)의 내외 방향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에 따르면 회전돌기(170)는 편심 회전하는 원형 경로 상에서 가장 외측단에 위치한다. 홀(154)은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단이 회전돌기(170)와 맞닿으므로, 조절편(153)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6에서 안착부(20)는 돌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반면 도 37의 경우, 회전돌기(170)는 편심 회전하는 원형 경로 상에서 가장 내측단에 위치한다. 이때 홀(154)은 내측단이 회전돌기(170)와 맞닿은 채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조절편(153)은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7에서 안착부(20)는 인입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놓인 경우,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의 탄성력 및 회전돌기(170)와 홀(154) 간의 접촉에 의해 일정한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놓인 경우 역시,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의 탄성력 및 회전돌기(170)와 홀(154)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조절편(153)이 내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로(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가이드핀(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로는 가이드핀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수직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핀은 본체(10)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조절편(153)의 이동 시 가이드로 내 가이드핀의 위치가 일정하게 변경됨으로써, 조절편(15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38(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38(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조작기어(181), 랙(182)을 포함한다.
랙(182)은 안착부(20)에서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안착부(20)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랙(182)에 의한 안착부(20)의 움직임이 본체(10)의 내외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랙(182)에는 조작기어(181)가 맞물릴 수 있다. 조작기어(181)는 외부 조작 또는 내부 조작, 자동/수동 조작 등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조작에 의해 일정 각도 또는 일정 바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조작기어(181)와 랙(182)은 상호 기어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맞물려 있다. 이 경우 조작기어(181)가 회전하면, 조작기어(181)와 맞물린 랙(182)이 병진 운동하게 된다. 랙(182)에는 안착부(20)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랙(182)의 이동 시 안착부(20)가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버튼 등의 제한되지 않은 조작을 본체(10)에 입력하며, 이러한 입력에 의해 조작기어(181)가 회전 가동된다. 조작기어(181) 회전 시 랙(182)이 움직여서 안착부(20)가 승강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기어(181)의 가동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외에, 대상체의 표면 감지에 따른 자동 조작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랙(182)과 랙(182)기어를 이용하게 되므로 탄성부재(1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안착부(20)의 높이가 대상체의 표면이 연질인 경우의 높이와 경질인 경우의 높이 외에, 중간 높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39(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39(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및 링크암(183)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돌출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안착부(20)에서 대상체와 마주하는 일면 전체에 대해 균일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링크암(183)은, 하나 이상의 꺾임 포인트를 갖는 관절 구조로 이루어진다. 링크암(183)은 안착부(20)에 고정된 고정 포인트와 조작 포인트를 갖고, 조작 포인트와 고정 포인트 사이에서 꺾임 포인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링크암(183)은 복수 개의 바(bar)가 포인트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링크암(183)은 조작 포인트에 연결된 바를 조작 바(부호 도시하지 않음), 안착부(20)의 고정 포인트에 연결된 바를 승강 바(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지칭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조작 바와 승강 바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연결 바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을 때 조작 바가 내부/외부/자동/수동 조작에 의해 조작 포인트를 기점으로 회전하면, 꺾임 포인트를 통해 조작 바에 연결된 승강 바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 바는 꺾임 포인트와 고정 포인트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 바의 회전 시 꺾임 포인트가 내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승강 바 역시 내외 방향으로 움직이며, 다만 승강 바는 부분적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포인트와 꺾임 포인트가 내외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게 된다.
즉 링크암(183)은 조작 포인트에서의 회전 조작을 고정 포인트에서의 승강 동작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또는 본체(10) 내부적으로 조작 바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안착부(20)의 승강이 구현된다.
이때 링크암(183)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안착부(20)의 돌출 또는 인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탄성부재(110)가 사용되는데,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110)는 압축 스프링 외에 탄성 스프링을 사용 또는 부가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0(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0(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구동볼트(184) 및 피동너트(185)를 포함한다.
구동볼트(184)는 본체(10) 내에 마련되고 일측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볼트(184)는 머리 부분이 본체(10) 외부에 마련되어 본체(10) 외에서 구동볼트(184)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볼트(184)의 머리 부분 중 적어도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부분에는 조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요철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피동너트(185)는 안착부(20)에서 본체(10)의 내측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피동너트(185)는 구동볼트(184)와 나사 결합되며, 구동볼트(184)의 나사 회전 시 피동너트(185)는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구동볼트(184)가 회전하면 피동너트(185)는 회전되지 않고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볼트(184)는 회전이 가능하나 승강은 불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볼트(184)와 피동너트(185)는 2개로 마련될 수 있는데, 하나의 안착부(20)에 2개의 피동너트(185)가 마련되면 피동너트(185)는 자연적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본체(10)에서 피동너트(185) 주변에는 피동너트(185)의 회전을 제한하는 간섭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구동볼트(184)를 조작하면, 구동볼트(184)의 회전 시 피동너트(185)는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구동볼트(184)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구동볼트(184)를 갖는 안착부(20)는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0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나사 승강 방식을 이용하므로, 탄성부재(110)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승강 방식을 이용하면 안착부(20)의 미세 승강이 가능하고 안착부(20)의 높이를 2단계가 아닌, 그 이상의 복수 단계로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대상체가 연질 또는 경질인 경우에 따라 최적의 높이로 안착부(20)를 각각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구동볼트(184)나 본체(10) 등에는 대상체의 표면에 따른 최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인자가 부가될 수 있다.
또는 안착부(20)나 피동너트(185) 등에는 안착부(20)가 종이 프린팅 또는 피부 프린팅을 위한 높이에 도달했을 때 걸림되는 촉감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가 적용되어, 프린팅 품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안착부(20)의 높이를 일정 값으로 제한 또는 제안하는 방식은 본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에도 충분히 접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1(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1(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제12 실시예 대비 프린팅 조정부(100)가 조작볼트(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구동볼트(184) 및 피동너트(185)를 포함하는데, 앞선 실시예의 경우 구동볼트(184)가 복수 개일 때 사용자는 복수 개의 구동볼트(184)를 동시에 조작해야만 안착부(20)가 평행하게 승강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구동볼트(184)에 대해 조작을 달리하면, 안착부(20)가 기울어지면서 승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구동볼트(184)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의 구동볼트(184)를 모두를 하나의 조작볼트(186)로 조작하게 한다.
이때 구동볼트(184)에는 머리 부분에 웜기어(1841)가 마련되고, 웜기어(1841)는 조작볼트(186)의 나사산과 맞물려서 조작볼트(186)의 회전 시 구동볼트(184)가 조작볼트(186)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안착부(2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구동볼트(184)가 복수 개로 마련될 때, 복수의 구동볼트(184)를 하나의 조작볼트(186)로 한꺼번에 조작함으로써 안착부(20)가 대상체의 표면과 평행한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2(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2(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및 조작레버(18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본체(10)부 내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즉 탄성부재(110)는 외력이 없을 경우 안착부(20)를 도 42(B)로 복원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조작레버(187)는, 일단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작레버(187)는 타단에 마련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조작레버(187)의 타단에는 편심핀(1871)이 구비될 수 있다.
편심핀(1871)은 안착부(20)와 맞닿을 수 있으며, 안착부(20)가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편심핀(1871)은 안착부(20)를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편심핀(1871)은 조작레버(187)의 회전중심 대비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187)를 회전하게 되면, 조작레버(187)의 타단에 마련되는 편심핀(1871)은 편심 이동하게 되면서 안착부(20)를 기준으로 내외 방향으로 움직인다.
편심핀(1871)이 도 42(A)의 상태에 놓여 있으면 안착부(20)는 본체(10)에서 돌출된 위치에 놓여 있을 수 있는데, 반면 편심핀(1871)이 도 42(B)의 상태에 놓이면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에 의해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편심핀(1871)이 조작레버(187)의 회전에 의해 도 42(B)의 상태에서 도 42(A)의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편심핀(1871)은 탄성부재(110)의 인장 탄성력을 이겨내면서 안착부(20)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도 21에서의 캠 방식과 다소 유사할 수 있지만, 본체(10)의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다는 점에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3(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3(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조작기어(181), 피동기어(1811), 편심축(1812)을 포함한다.
조작기어(181)는 앞서 도 38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데, 본 실시예는 도면에서와 같이 조작기어(181)의 조작을 위한 레버가 조작기어(181)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도 38에 나타난 실시예의 경우에도 레버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기어(181)에는 피동기어(1811)가 연결될 수 있다. 피동기어(1811)는 조작기어(181)와 기어이를 통해 맞물려 있으며, 조작기어(181)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피동기어(1811)에는 편심축(1812)이 마련될 수 있고, 편심축(1812)은 안착부(20)와 연결된다.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이 헛돌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일례로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을 베어링 등으로 감싸도록 마련되며, 편심축(1812)의 회전은 안착부(2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이 내외 방향 등으로 이동할 경우 편심축(1812)과 함께 이동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편심축(1812)은 피동기어(1811)의 회전에 의해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외에도, 원호 형태의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안착부(20)에 대해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이 헛돌도록 커버하는 베어링 부분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이 원을 따라 회전할 경우, 편심축(1812)의 공전 움직임을 병진 움직임으로 변경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안착부(20)에서 베어링이 마련되는 부분은, 안착부(20)의 승하강 과정에서 일정 각도 내로 기울어질 수 있다.
편심축(1812)이 마련되는 피동기어(1811)는 조작기어(181)에 직접 맞물릴 수 있으며, 또는 조작기어(181)의 조작성(조작각도, 조작방향 등)을 고려하여 편심축(1812)이 마련된 피동기어(1811)와 조작기어(18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3(A)에서 사용자가 레버 등을 통해 조작기어(181)를 회전 조작하면, 조작기어(181)와 맞물린 피동기어(181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편심축(1812)은 도 43(B)에서와 같이 본체(10)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한다.
편심축(1812)은 원호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지만,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의 움직임 중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움직인 것 외에는 모두 전달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안착부(20)는 베어링, 힌지 회전 구조 등을 통해, 편심축(1812)의 공전에도 불구하고 안착부(20)에서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는 부분이 수평 회전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안착부(20)는 편심축(1812)의 공전 시, 편심축(1812)이 본체(10)에서 내외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나사 결합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앞서 제10 실시예 등과 마찬가지로 탄성부재(110)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안착부(20)와 대상체의 표면 간의 안정적 접촉을 위해 탄성부재(110)(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4(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4(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피동기어(1811), 편심축(1812)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조작볼트(18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선 제15 실시예에서 설명한 피동기어(1811) 및 편심축(1812)을 통한 안착부(20)의 승하강을 구현하되, 피동기어(1811)의 회전을 위해 조작기어(181)가 아닌, 조작볼트(186)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작볼트(186)는 피동기어(1811)와 맞물릴 수 있고, 조작볼트(186)의 중심축이 피동기어(1811)의 중심축과 수직한 도면의 경우, 피동기어(1811)는 웜기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조작볼트(186)의 중심축과 피동기어(1811)의 중심축이 평행하다면, 피동기어(1811)는 일반적인 썬기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의 조작기어(181)를 조작볼트(186)로 대체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조작볼트(186)를 회전시키면 피동기어(1811)가 회전하고, 편심축(1812)을 거쳐 안착부(20)에는 승하강 움직임만 구현될 수 있다. 편심축(1812) 등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앞선 실시예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5(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5(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조작기어(181), 슬라이더(188)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구성으로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조작기어(181)는, 외부 또는 내부 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센싱 등을 통해 자동으로 조작기어(181)가 조작될 수 있다.
슬라이더(188)는, 조작기어(181)와 맞닿는 구동 슬라이더(1881)와, 안착부(20)에 고정된 피동 슬라이더(18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슬라이더(1881)에는 조작기어(181)와 맞닿는 부분에 랙(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기어(181)의 회전 시 구동 슬라이더(1881)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구동 슬라이더(1881)와 피동 슬라이더(1882)는, 경사면을 통해 상호 맞닿을 수 있다. 이때 경사면은 마찰력이 저감되는 재질(HDPE 등)로 이루어지거나 해당 재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사면은 구동 슬라이더(1881)의 병진 운동 대비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구동 슬라이더(1881)가 도면 기준으로 상하 움직이게 되면, 경사면을 통해 구동 슬라이더(1881)와 맞닿은 피동 슬라이더(1882)는, 도면 기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피동 슬라이더(1882)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은 탄성부재(110)에 의한 것일 수 있고, 반대로 피동 슬라이더(1882)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움직이는 것은 구동 슬라이더(1881)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피동 슬라이더(1882)는 안착부(20)에 일체로 마련되며, 피동 슬라이더(1882)가 도면 기준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안착부(20)는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슬라이더(188)가 경사면으로 맞닿는 구동 슬라이더(1881) 및 피동 슬라이더(18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구동 슬라이더(1881)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피동 슬라이더(1882)가 수직 방향 움직임으로 전환해 안착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안착부(20)의 승하강 범위, 조작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안착부(20)의 승하강을 천천히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 슬라이더(1881)의 병진 운동 방향 대비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45도 이내일 수 있으며, 반대로 안착부(20)의 승하강이 신속히 전환되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 슬라이더(1881)의 병진 운동 방향 대비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45도 이상일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6(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6(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조작롤러(189)를 포함한다. 또한 프린팅 조정부(100)는 슬라이더(188) 중 피동 슬라이더(188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피동 슬라이더(1882)의 경사면을 통해 안착부(20)의 승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구동 슬라이더(1881)를 사용하는 대신, 조작롤러(189)를 이용할 수 있다.
조작롤러(189)는 일단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 기준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서 조작롤러(189)는 본체(10)에 마련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와 나사 결합되어, 조작롤러(189)의 회전 시 조작롤러(189)는 본체(10)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조작롤러(189)는 일단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도면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작롤러(189)는 회전 방식이거나 또는 푸시 방식 등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작롤러(189)는, 타단이 피동 슬라이더(1882)의 경사면과 맞닿는다. 이를 위해 조작롤러(189)의 타단에는 경사면을 갖는 원뿔 또는 원뿔대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롤러(189)가 도면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면, 앞서 제17 실시예에서 구동 슬라이더(1881)가 이동하는 것과 유사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작롤러(189)는 피동 슬라이더(1882)와 경사면을 두고 상호 접촉하면서, 도면 기준 상방으로 이동할 때 피동 슬라이더(1882)가 탄성부재(110)에 의해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놓이게 한다. 반대로 조작롤러(189)는 피동 슬라이더(1882)와 경사면으로 접촉한 채 도면 기준 하방으로 이동하면, 피동 슬라이더(1882)가 조작롤러(189)에 의해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7(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7(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전자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190)은 안착부(20)에 마련되는 접착편(1901)과 상호 자성을 통해 접착될 수 있는데, 접착편(1901)은 금속 또는 자석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석(190)은 접착편(1901)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자성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전자석(190)은 외부 또는 내부 신호에 의해 전력을 전환 받아 접착편(1901)에 대해 척력 또는 인력을 가질 수 있다.
접착편(1901)은 안착부(20)에 고정 설치되며 안착부(20)와 함께 일체로 움직인다. 이때 전자석(190)이 접착편(1901)에 대해 척력 또는 인력을 가짐에 따라, 전자석(190)을 기준으로 접착편(1901)은 일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척력과 인력을 토대로 안착부(20)를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전자석(190)은 본체(10)의 내외 방향을 기준으로 접착편(1901)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7(A)에 따르면 전자석(190)에서 접착편(1901)의 내측에 위치한 일단은 척력, 접착편(1901)의 외측에 위치한 타단은 인력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신호 입력에 의해 전자석(190)의 극성이 반대로 바뀔 수 있고, 전자석(190)에서 접착편(1901)의 내측에 위치한 일단은 인력, 접착편(1901)의 외측에 위치한 타단은 척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석(190)이 접착편(1901)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면, 척력과 인력을 한꺼번에 활용해 접착편(1901)의 이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190)이 접착편(1901)에 대해 적용하는 자성의 정도는, 접착편(1901)의 이동은 허용하되 본체(10) 내 주변 구성들의 작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석(190)의 극성 전환을 통해, 안착부(20)를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 중 어느 하나로만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제10 실시예 등에서 나사 결합을 이용하는 경우와 다르다. 제10 실시예 등은 나사 결합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중간 위치에서도 정지가 가능하다. 반면 본 실시예는 안착부(20)의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안착부(20)가 중간 위치에 정지될 수는 없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8(A)는 안착부(20)가 돌출된 상태이고 도 48(B)는 안착부(20)가 인입된 상태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팅 조정부(100)가 탄성부재(110) 및 비대칭롤러(19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안착부(20)를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성으로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비대칭롤러(191)는, 단면이 비원형이고 방사상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비대칭롤러(191)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비대칭롤러(191)는 외부 또는 내부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데, 비대칭롤러(191)에는 안착부(20)에 고정된 벨트(1911)가 연결될 수 있다.
벨트(1911)는 체인이나 밴드,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비대칭롤러(191)의 적어도 일부에 권취되어 있을 수 있다. 벨트(1911)는 양단이 안착부(20)에 고정된 채, 중앙 부분이 비대칭롤러(191)에 감겨 있을 수 있다.
비대칭롤러(191)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비대칭롤러(191)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1911)는 비대칭롤러(191)에 맞닿는 부분의 길이는 물론이고, 본체(10)에서 비대칭롤러(191)와 맞닿은 가장 내측 지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1911)는 중앙 부분이 비대칭롤러(191)로 인해 당겨지거나 풀어지면서, 벨트(1911) 양단은 본체(10)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비대칭롤러(191)가 타원의 단면 형상을 이용하여 벨트(1911)를 더 감거나 또는 풀어내는 방식을 토대로, 벨트(1911)는 안착부(20)를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110)의 보조 및 비대칭롤러(191)의 회전에 의해 안착부(20)가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돌출 위치 및 인입 위치 모두에서 안착부(20)에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착부(20)가 경질 또는 연질 대상체의 표면에 탄성 접촉하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개념도이고,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 카트리지(31)를 교환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카트리지(31)가 수용되는데, 카트리지(31)는 헤드(32) 및 노즐(33)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형태의 캐리지(30) 안에 안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31)는 본체(10)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탑재되며, 캐리지(30) 역시 본체(10) 내에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캐리지(30)에는 카트리지(3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휴대형 프린터(1)는 본체(10) 내에 캐리지(30)를 마련하고, 캐리지(30) 내에 카트리지(31)를 체결함으로써 노즐(33)을 통한 프린팅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프린터(1)는 캐리지(30) 또는 카트리지(31) 중 적어도 카트리지(31)를 이동시켜 카트리지(3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교체부(20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교체부(200)는 본체(10) 내에 마련되며, 캐리지(30)나 카트리지(31)를 본체(10) 외부 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교체부(200)는 교체 버튼(210)과 캠(220)을 포함한다. 교체 버튼(210)은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서, 앞서 제5 실시예에서의 조작 버튼(121)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캠(220)은, 캐리지(3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된다. 앞서 제5 실시예에서도 캠(122)을 언급한 바 있는데, 제5 실시예의 경우 안착부(2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캠(220)은 캐리지(3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10)를 기준으로 캐리지(30) 등을 밀어 올리기 위한 것이고, 제5 실시예의 캠(122)은 안착부(2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되어 안착부(20)를 기준으로 본체(10)를 밀어 올리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캠(220)은 앞서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캠(122)의 형태를 적어도 일부 차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캠(220)은 가압돌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30)와 본체(10) 사이에 마련되는 캠(220)은 일단이 교체 버튼(2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캐리지(30)의 하단과 마주한 상태일 수 있다. 캠(220)의 일단은 교체 버튼(2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캠(220)의 일단이 회전하면 캠(220)의 타단은 높이가 가변된다. 즉 캠(220)의 회전 시 캠(220)의 타단이 상승하면 캐리지(30) 역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를 기준으로 캐리지(30)가 상승하게 되지만, 캐리지(30) 내에 장착된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와 함께 상승하므로, 카트리지(31)만의 교체는 아직 어려운 상태일 수 있다.
캠(220)은 카트리지(31)를 캐리지(30)에서 분리하기 위해 가압돌기(230)를 이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교체부(200)는 캠(220)의 타측에 가압돌기(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캐리지(30)는 가압돌기(230)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240)을 갖는다.
슬릿(240)은 캠(220)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가압돌기(230)가 관통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며, 슬릿(24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31)의 하부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캠(220)은 캐리지(30)를 밀어 올리지 않는 제1 상태에서, 교체 버튼(210)에 의해 회전하여 캐리지(30)를 본체(10)로부터 밀어 올리는 제2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후 캠(220)은 추가로 더 회전이 가능한데, 교체 버튼(210)의 추가 조작에 의해 캠(220)이 더 회전하면, 캠(220)에 마련되는 가압돌기(230)는 슬릿(240)을 관통하여 캐리지(30)를 기준으로 카트리지(31)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즉 가압돌기(230)는, 캠(22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제3 상태에서, 슬릿(240)을 통과해 캐리지(30) 내의 카트리지(31)만을 밀어 올려서, 카트리지(31)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카트리지(31) 교환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9(A) 및 도 5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 내에 수용되고 캐리지(30)는 본체(1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캠(220)은 회전되지 않는 제1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때 캠(220)은 본체(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교체 버튼(210)만 본체(10) 외부에 마련되어 본체(10)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캠(220)의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교체 버튼(210)을 활용하여 캠(220)을 제2 상태로 회전시키면, 도 49(B) 및 도 50(B)에서와 같이, 캠(220)의 타단은 높이가 상승함에 따라 본체(10) 내에서 캐리지(3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캐리지(30)가 밀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으므로, 캠(220)의 타단은 도면과 달리 곡면이나 경사면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49(B)의 상태를 살펴보면 캐리지(30)는 본체(10)에서 분리되어 있지만, 캐리지(30) 내에 카트리지(31)는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교체 버튼(210)을 수평 방향으로 더 밀어내어 캠(220)을 제3 상태로 추가 회전시킨다. 이 경우 도 49(C) 및 도 50(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캠(220)에 마련되는 가압돌기(230)가 카트리지(31)의 슬릿(240)을 통과하여 캐리지(30)만을 밀어 올리게 된다.
다만 카트리지(31)의 상방 탈거를 위해, 상부 본체(11)는 상방이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카트리지(31) 및 캐리지(30)가 하부 본체(12)에 체결된다면, 캠(220)이 제1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 중에, 하부 본체(12)를 기준으로 상부 본체(11)가 분리됨에 따라 카트리지(31)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사용자는 캠(220)의 추가 회전에 의해 카트리지(31)가 캐리지(30)로부터 분리된 것을 확인하고, 본체(10)에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카트리지(31) 및 캐리지(30) 중 적어도 카트리지(31)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새로운 카트리지(31)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카트리지(31)를 캐리지(30)에 밀어 넣고 카트리지(31)를 가압해 캐리지(30)가 하강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압돌기(230)가 카트리지(31)에 의해 눌리고 캠(220)이 캐리지(30)에 의해 눌려서, 카트리지 교체부(200)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교체 버튼(210)을 이용하여 캠(220)을 제1 상태로 되돌린 후, 카트리지(31)를 본체(10) 내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2 및 도 53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앞선 실시예 대비 프린터 커버(70)를 이용한 안착부(20)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 및 제23, 24 실시예는,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프린팅 조정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 커버(70)는, 조작부재(120)와 간섭되는 간섭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 커버(70)는 하부 본체(12) 또는 안착부(20)에 결합되어 헤드(32)와 노즐(33)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인데, 특히 본 실시예의 프린터 커버(70)는 본체(10) 등에 결합되면 안착부(20)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5 실시예를 다시 참고하면, 조작부재(120)와 탄성부재(110)의 작동 방식을 참작할 때,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를 돌출시킬 때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을 이겨내야 하고, 반대로 안착부(20)를 인입시킬 때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즉 제5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를 돌출시키는 조작 대비, 안착부(20)를 인입시키는 조작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프린터 커버(70)가 결합될 때 프린터 커버(70)에 마련된 간섭부재(300)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안착부(20)를 돌출 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변경시키는 방향으로 조작되게 한다.
즉, 간섭부재(300)는 조작부재(120)가 탄성부재(110)를 인장시키면서 안착부(20)로부터 본체(10)를 밀어내도록 변형된 상태일 때, 프린터 커버(70)가 노즐(33)을 밀폐하는 과정에서 조작 버튼(121)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간섭부재(300)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이동되면, 캠(220)이 본체(1)를 더 이상 밀어 올리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므로, 탄성부재(110)에 의해 안착부(20)가 인입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간섭부재(300)는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푸셔(Pusher)일 수 있으며, 경사지게 마련되는 푸셔가 조작 버튼(121)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전환되게 한다.
프린터 커버(70)는 하부 본체(12)에 결합될 수 있는데,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놓여 있게 되면 프린터 커버(70)와 하부 본체(12) 사이에서 안착부(20)가 프린터 커버(70)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프린터 커버(70)의 결합 시 안착부(20)가 자동적으로 인입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안착부(20)로 인해 프린터 커버(70)와 하부 본체(12) 사이의 체결이 미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간섭부재(300)가 앞선 실시예 대비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간섭부재(300)는 프린터 커버(7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사돌기 형태일 수 있으며, 프린터 커버(70)를 하부 본체(12)에 결합할 때 경사돌기가 조작 버튼(121)과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조작 버튼(121)은 경사돌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리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으므로, 도 54(A)에서 도 54(B)의 상태로 전환되어 안착부(20)가 인입될 수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2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4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프린터 커버(7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조작 버튼(121)이 수평 이동하는 대신, 프린터 커버(70)의 결합 후 수동 조작에 의해 조작 버튼(121)이 수평 이동하여 안착부(2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간섭부재(300)는 일단이 프린터 커버(70)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조작 버튼(121)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이때 간섭부재(300)의 타단은 프린터 커버(70)가 하부 본체(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 버튼(121)과 마주할 수 있다.
간섭부재(300)는, 조작 버튼(121)이 탄성부재(110)를 인장시키면서 안착부(20)를 돌출 위치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일단의 조작에 의해 타단이 조작 버튼(1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프린터 커버(70)를 하부 본체(12)에 맞물리게 한 뒤, 간섭부재(300)의 일단을 밀어 타단에 의해 조작 버튼(121)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안착부(20)는 탄성부재(110)에 의해 인입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커버(70)와 하부 본체(12) 간에 안착부(20)로 인한 체결 간섭을 해소하고자, 간섭부재(300)에는 걸림쇠(310)가 마련되고, 하부 본체(12)에는 걸림고리(320)가 마련된다. 따라서 간섭부재(300)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면, 조작 버튼(121)이 수평 이동하면서 안착부(20)가 인입되고, 동시에 간섭부재(300)의 걸림쇠(310)와 하부 본체(12)의 걸림고리(320)가 걸림된다.
이때 걸림쇠(310)와 걸림고리(320)는 도면에서와 같이 ㄱ자 및 ㄴ자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부분적으로 경사 형태를 가져서 걸림 과정에서 걸림고리(320)를 기준으로 걸림쇠(310)의 상승 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프린터 커버(70)를 하부 본체(12)에 완전히 장착하지 않고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간섭부재(300)를 사용해 안착부(20)를 인입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간섭부재(300)가 이동하면서 걸림고리(320)를 기준으로 걸림쇠(310)가 다소 상승 이동하면서 걸림에 따라, 프린터 커버(70)가 일부 상승하여 하부 본체(12)에 완전히 체결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선 제22, 23 실시예와 달리, 프린터 커버(70)가 하부 본체(12)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간섭부재(300)의 조작 후 프린터 커버(70)의 탈거가 가능할 것이다.
도 56 및 도 57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고, 도 58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9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측면도이고, 도 60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평면도이며, 도 61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56 내지 도 58은 상부 본체(11)가 하부 본체(12)에 결합된 상태이고, 도 59 내지 도 63은 상부 본체(11)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64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캐리지의 부분 측면도이다.
또한 도 65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66 및 도 67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프린터 커버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8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9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70은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56 내지 도 7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5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린터(1)는, 앞선 실시예 대비 본체(10)에 식별부(12A)를 더 포함한다.
식별부(12A)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분리 버튼(13C)을 통해 설명했던 일부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식별부(12A)는 본체(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며, 본체(10)의 프린팅 시작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특히 식별부(12A)는, 노즐(33)에서 프린팅 물질이 분사되는 부분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프린팅 시작 위치 및 프린팅 영역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식별부(12A)는 노즐(33)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폭을 갖도록 마련되어, 프린팅 물질이 프린팅되는 영역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별부(12A)의 위치 및 크기를 토대로 프린팅되는 위치와 크기 등을 예상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노즐(33)의 폭은, 대상체에 프린팅되는 영역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바, 식별부(12A)는 노즐(33)의 폭에 대응되거나 또는 노즐(33)에 의해 대상체에 프린팅되는 영역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식별부(12A)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노즐(33) 또는 프린팅 영역의 상단 경계와 하단 경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한 쌍의 식별부(12A) 사이의 폭이 노즐(33) 등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12A)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는 노즐(33) 대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나, 프린팅 방향(본체(10)의 이동 방향)으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노즐(33)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일례로 식별부(12A)는 프린팅 방향을 따라 노즐(33)과 일치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식별부(12A)를 통해 노즐(33)에 의하여 대상체에 프린팅되는 그림의 센터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식별부(12A)는 하부 본체(12) 등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본체(10)를 파지할 때 식별부(12A)를 손가락 등으로 만져서 프린팅 시작 지점 및 프린팅 방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12A)는 하부 본체(12)에 대해 돌출되는 것 외에 또는 돌출 없이 색상 등으로 구별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대상체에 대해 프린팅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식별부(12A)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식별부(12A)는 하부 본체(12)에서 충분한 높이(일례로 하부 본체(12)의 높이 대비 10% 내지 100%)를 갖도록 상하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식별부(12A)는 하부 본체(12)에서 상하로 연장된 밴드나 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프린팅 과정에서 식별부(12A)의 적어도 일부는 항상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식별부(12A)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발광을 통한 안내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식별부(12A)는 내부에 마련되는 LED 등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조나 재질로 마련되며, 프린팅 시작 시 또는 프린팅 중에 발광을 이용해 프린팅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식별부(12A)가 발광으로 프린팅 상태를 안내하는 기능은, 전원 버튼(13B)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식별부(12A)는 손가락 등에 의해 가려질 수 있음을 고려, 전원 버튼(13B) 등은 식별부(12A)를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59를 참고할 때 하부 본체(12) 또는 상부 본체(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걸림구(24)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구(24)는 ㄱ자 등의 단면을 이루어 분리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형태를 갖는다.
걸림구(24)는 분리 버튼(13C)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분리 버튼(13C)의 눌림에 의해 걸림구(24)가 도 59를 기준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본체(12)에 마련되는 걸림구(24)에 대응하여 상부 본체(11)에도 걸림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부 본체(11)의 걸림구는 역삼각형의 형태를 가져서, 상부 본체(11)가 하부 본체(12)에 체결 시 상부 본체(11)의 걸림구의 경사면이 하부 본체(12)의 걸림구(24)를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후 상부 본체(11)의 걸림구가 하부 본체(12)의 걸림구(24)를 넘어서면 상부 본체(11)와 하부 본체(12)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하부 본체(12)에 마련되는 분리 버튼(13C)을 누르게 되면, 하부 본체(12)의 걸림구(24)가 수평 이동하면서 상부 본체(11)의 걸림구와 상하 어긋나게 되어, 상부 본체(11)가 하부 본체(12)로부터 걸림 없이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0 내지 도 6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31)가 분리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에는 카트리지(31)를 수용하는 캐리지(30)가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카트리지(31)는 요철 구조를 통해 캐리지(30) 내에 삽입되면서 끼워 맞춤되어, 안착부(20) 상에서 노즐(33)이 적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는 레버(34)를 이용해 카트리지(31)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레버(34)는 캐리지(3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레버(34)는 회전 중심점으로부터 먼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면적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캐리지(30) 및 하부 본체(12) 등에는 레버(3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함몰된 형태를 갖는다.
레버(34)에는 리프팅부(341)가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부(341)와 관련하여 카트리지(31)에는 단턱(3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리프팅부(341)는 단턱(311) 하부에 배치된다. 리프팅부(341)는 레버(34)의 회전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레버(34)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면 리프팅부(341)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팅부(341)는 카트리지(31)의 단턱(311)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 내에서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다만 캐리지(30)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레버(34)는 적어도 카트리지(31)의 양측을 둘러싸는 형태로서 ㄷ자 또는 ㅁ자 형태를 가지며, 리프팅부(341)는 카트리지(31)의 단턱(31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카트리지(31) 분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0 및 도 61은 레버(34)가 수납된 상태로서 카트리지(31)가 캐리지(30) 내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 도 62는 레버(34)를 상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 것으로, 도 62에 보이지 않는 리프팅부(341)가 카트리지(31)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다.
이후 도 6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34)를 더 회전시키면, 리프팅부(341)가 카트리지(31)를 충분히 상승시키게 되고,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상태에 놓인다.
반대로 카트리지(31)의 장착 시 사용자는, 새로운 카트리지(31)를 캐리지(30) 내에 안착시킨 뒤 레버(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34)가 카트리지(31)의 상면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내리 누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레버(34)의 회전 대신 카트리지(31)를 누를 수 있고, 이때 카트리지(31)의 단턱(311)이 레버(34)의 리프팅부(341)와 간섭되면서 카트리지(31)의 하강에 의해 레버(34)가 회전될 수 있다.
카트리지(31)가 완전히 캐리지(30) 내에 인입되면, 카트리지(31)는 캐리지(30)에 마련되는 걸림편(35)에 의해 걸림될 수 있다. 걸림편(35)은 레버(34)의 회전 중심과 반대편 또는 그 외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또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편(35)은 카트리지(31)의 분리를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고, 반면 레버(34)는 카트리지(31)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레버(34)의 회전 시 카트리지(31)는 상승하면서 걸림편(35)을 밀어내어 걸림편(35)과의 걸림이 자연스럽게 해제될 수 있다. 반대로 카트리지(31)를 캐리지(30) 내에 인입할 때에는, 카트리지(31)가 하강하면서 걸림편(35)을 밀어낸 뒤 걸림편(35)에 걸릴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레버(34)의 회전핀(342)을 통해 레버(34)의 회전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레버(34)의 회전핀(342)은 머리 부분의 단면이 확대된 못과 같은 형태를 갖고, 캐리지(30)를 관통하며 레버(34)의 회전 중심점을 이룬다. 이때 캐리지(30)는, 회전핀(342)이 관통하는 제1 부분(30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회전핀(342)의 머리 부분을 둘러싸는 제2 부분(302)은 원호에 비원형 부분(302A)이 조합된 형태(부분적으로 잘린 원형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핀(342)은 적어도 머리 부분이 벌어진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회전핀(342)의 머리 부분은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도 64는 레버(34)가 하부 본체(12) 내에 수납된 상태로 카트리지(31)가 캐리지(3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회전핀(342)의 머리 부분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데, 회전핀(342)의 탄성력은 캐리지(30)의 제2 부분(302)에서 비원형 부분(302A)과 간섭되지 않는다.
반면 카트리지(31)의 분리를 위해 레버(34)를 회전하면, 벌어져 있던 회전핀(342)의 머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이 제2 부분(302)의 비원형 부분(302A)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전핀(342)에서 벌어져 있던 머리 부분이 오므라들게 되고, 회전이 다소 억제된다. 이후 레버(34)를 충분히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핀(342)은 제2 부분(302)의 비원형 부분(302A)을 지나친 뒤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레버(34)의 회전 과정에서 레버(34)의 회전핀(342)이 캐리지(30)에 의해 간섭된다. 즉 레버(34)는, 수납 상태에서 들어 올려질 때 캐리지(30)에 의해 간섭되고, 반대로 충분히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다시 수납 상태를 향해 회전할 때 캐리지(30)에 의해 간섭된다.
이로 인해 레버(34)는, 수납 상태 또는 카트리지(31)를 분리하기 위해 충분히 회전된 상태를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바, 레버(34)의 불필요한 회전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5 내지 68 등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프린터 커버(70)를 설명한다. 참고로 도 68(A)는 프린터 커버(70)가 제거된 휴대형 프린터(1)를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68(B)는 프린터 커버(70)가 제거된 휴대형 프린터(1)를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 커버(70)는 본체(1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내커버(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외커버(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이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내커버 등에는 후크(71)가 마련된다. 후크(71)는 본체(10) 또는 안착부(20) 등에 걸려 프린터 커버(70)가 본체(10)에 대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후크(71)는 프린터 커버(70)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이 제한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후크(71)와의 체결을 위해 안착부(20)에는 후크(71)와 마주하는 위치에 걸림홈(12B)이 마련될 수 있다.
후크(71)는 탄성암 형태로 마련되어 탄성 체결을 구현할 수 있다. 후크(71)는 프린터 커버(70)를 본체(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안착부(2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걸림홈(12B) 위치에서 원 상태로 복원되고 걸림홈(12B) 내에 걸림된다.
이때 후크(71) 중 적어도 일측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10)에 결합된 프린터 커버(7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71)를 탄성 변형시켜 해당 후크(71)를 걸림홈(12B)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커버(70)에서 변형된 후크(71)가 위치한 일측은 안착부(20)로부터 분리되므로, 이후 프린터 커버(70)의 타측에 대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프린터 커버(70)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후크(71) 및 걸림홈(12B)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후크(71)는 비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체(10)에 대한 프린터 커버(7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린터 커버(70)에 마련되는 실링부(72)가 노즐(33)을 적절히 커버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후술한다.
프린터 커버(70)는 노즐(33) 등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72)를 구비한다. 노즐(33)은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물질이 토출되는 곳으로, 프린팅 물질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린터 커버(70)는 실링부(72)를 두어, 프린터 커버(70)가 본체(10)에 체결될 때 노즐(33)이 1차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링부(72)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프링 등의 탄성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노즐(33)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노즐(33)은 안착부(20)의 외면 상에서 좌우 비대칭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렇다면 노즐(33)을 밀폐하는 실링부(72) 역시 프린터 커버(70)의 평면 상에서 비대칭의 위치에 마련된다.
이때 노즐(33)과 실링부(72)를 상호 맞닿도록 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한 쌍의 후크(71)를 비대칭으로 마련할 수 있다. 즉 비대칭으로 마련되는 후크(71)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프린터 커버(70)의 결합 방향이 한 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프린터 커버(70)가 본체(10)에 결합될 시 실링부(72)는 항상 노즐(33)을 마주할 수 있다.
프린터 커버(70)에는 핀(73)이 마련된다. 핀(73)은 안착부(20)에 마련되는 홀(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린터 커버(70)는 후크(71)로 안착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다. 물론 프린터 커버(70)에 홀(25)이 마련되고 안착부(20)에 핀(73)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린터 커버(70)에 핀(73)과 홀(25)이 모두 마련되고 안착부(20)에 반대되는 구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핀(73)과 홀(25)을 이용하면 프린터 커버(70)와 안착부(20)의 체결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9 및 도 7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프린팅 조정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앞서 제5 실시예 등에서 설명한 프린팅 조정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프린팅 조정부(100)는 탄성부재(110)와 조작부재(120)를 포함하며, 조작부재(120)는 조작 버튼(121) 및 조작 버튼(121)에 연결된 캠(12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조작 버튼(121)에 그루브(1211)를 마련하고, 그루브(1211)와 맞닿는 탄성돌기(1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루브(1211)는 조작 버튼(121)에서 복수 개로 마련되며, 그루브(1211)는 탄성돌기(123)와 협력하여 조작 버튼(121)의 상태를 구속할 수 있다.
탄성돌기(123)는 본체(10)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조작 버튼(121)은 안착부(20)를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로 전환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그루브(1211)와 탄성돌기(123)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그루브(1211)와 탄성돌기(123)는, 안착부(20)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또는 안착부(20)가 인입 위치에 있을 때 조작 버튼(121)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그루브(1211) 및 탄성돌기(123)는 안착부(20)의 승강을 위한 조작 버튼(121)의 조작 시 필요한 외력의 하한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조작 버튼(121)이 그루브(1211)와 탄성돌기(123)의 걸림을 이겨내면서 이동할 경우, 조작 버튼(121)이 안착부(20)의 일부분에 충돌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실시예는, 조작 버튼(121)의 주변에 탄성패드(124)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패드(124)는 안착부(20)를 돌출 위치 또는 인입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조작 버튼(121)을 위치 이동시킬 때, 조작 버튼(121)의 끝단과 맞닿아 충격을 저감한다. 이를 위해 탄성패드(124)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조작 버튼(121)의 조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조작 버튼(121)과 안착부(20) 간의 충돌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패드(124)는 안착부(20)에 설치되되 조작 버튼(121)의 양측에 마련되어, 조작 버튼(121)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 시 조작 버튼(121)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휴대형 프린터 10; 본체
11: 상부 본체 12: 하부 본체
12A: 식별부 12B: 걸림홈
13A: 프린팅 버튼 13B: 전원 버튼
13C: 분리 버튼 14: 램프
20: 안착부 21: 롤러
21A: 제1 롤러 21B: 제2 롤러
21C: 제3 롤러 22: 광학 센서
23: 벽체 24: 걸림구
25: 홀 30: 캐리지
301: 제1 부분 302: 제2 부분
302A: 비원형 부분 31: 카트리지
311: 단턱 32: 헤드
33: 노즐 34: 레버
341: 리프팅부 342: 회전핀
35: 걸림편 40: 배터리
50: 제어부 60: 통신부
70: 프린터 커버 71: 후크
72: 실링부 73: 핀
100: 프린팅 조정부 110: 탄성부재
120: 조작부재 121: 조작 버튼
1211: 그루브 122: 캠
123: 탄성돌기 124: 탄성패드
130: 걸림돌기 140: 걸림돌기
153: 조절편 1531: 제1 경로
1532: 그루브 1533: 제2 경로
154: 홀 160: 걸림핀
170: 회전돌기 181: 조작기어
1811: 피동기어 1812: 편심축
182: 랙 183: 링크암
184: 구동볼트 1841: 웜기어
185: 피동너트 186: 조작볼트
187: 조작레버 1871: 편심핀
188: 슬라이더 1881: 구동 슬라이더
1882: 피동 슬라이더 189: 조작롤러
190: 전자석 1901: 접착편
191: 비대칭롤러 1911: 벨트
200: 카트리지 교체부 210: 교체 버튼
220: 캠 230: 가압돌기
240: 슬릿 300: 간섭부재
310: 걸림쇠 320: 걸림고리

Claims (17)

  1. 연질 또는 경질의 표면을 갖는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노즐을 갖는 카트리지가 수용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착부;
    상기 대상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프린팅 조정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롤러 중 적어도 상기 롤러를 상기 본체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하는, 휴대형 프린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노즐과 상기 대상체의 표면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피부 및 종이 겸용으로 마련되는, 휴대형 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는, 휴대형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롤러 대비 상기 본체의 내측에 치우쳐 배치되며,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연질의 피부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롤러를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를 6.0mm 내지 7.0mm로 조정하고,
    경질의 종이에 프린팅 물질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롤러를 인입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즐과 상기 롤러 간의 높이를 0.5mm 내지 2.5mm로 조정하는, 휴대형 프린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프린팅 조정부에 의한 상기 롤러의 이동 시, 상기 노즐과의 높이 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휴대형 프린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조정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인 복원 위치로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를 인입 위치 또는 돌출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변경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밀어내도록 변형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휴대형 프린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본체와 마주한 타단의 높이가 가변되는 캠을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인입 위치로 유지하려는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와 걸려 상기 안착부를 상기 돌출 위치로 유지하거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인입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휴대형 프린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제한하며, 일단의 가압 시 타단이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어긋나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휴대형 프린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서 롤러 대비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경질의 표면을 갖는 상기 대상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휴대형 프린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지;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캐리지 또는 상기 카트리지 중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교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교체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교체 버튼; 및
    상기 캐리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교체 버튼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캐리지와 마주한 타단의 높이가 가변되는 캠을 포함하는, 휴대형 프린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교체부는, 상기 캠의 타측에 마련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가압돌기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을 갖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캠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캐리지를 기준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밀어내는, 휴대형 프린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물질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프린팅 용액인, 휴대형 프린터.
KR1020220130679A 2021-10-26 2022-10-12 휴대형 프린터 KR10260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70,419 US20240109350A1 (en) 2021-10-26 2022-10-20 Portable printer
PCT/KR2022/016085 WO2023075294A1 (ko) 2021-10-26 2022-10-20 휴대형 프린터
CN202280067864.8A CN118076488A (zh) 2021-10-26 2022-10-20 便携式打印机
PCT/KR2023/001604 WO2023153729A1 (ko) 2022-02-09 2023-02-03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US18/282,442 US20240157708A1 (en) 2022-02-09 2023-02-03 Portable printer and portable printing system
KR1020230161759A KR20230165169A (ko) 2022-02-09 2023-11-21 휴대형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075 2022-02-09
KR20220017075 2022-02-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759A Division KR20230165169A (ko) 2022-02-09 2023-11-21 휴대형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550A true KR20230120550A (ko) 2023-08-17
KR102605881B1 KR102605881B1 (ko) 2023-11-29

Family

ID=878001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407A KR20230120547A (ko) 2021-10-26 2022-09-15 휴대형 프린터
KR1020220130679A KR102605881B1 (ko) 2021-10-26 2022-10-12 휴대형 프린터
KR1020220185618A KR102582137B1 (ko) 2022-02-09 2022-12-27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407A KR20230120547A (ko) 2021-10-26 2022-09-15 휴대형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618A KR102582137B1 (ko) 2022-02-09 2022-12-27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1205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164B1 (ko) * 2023-12-28 2024-06-12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현재 사용 모드 식별이 가능한 프린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0988A1 (en) * 1999-10-27 2002-06-13 Desormeaux David A. Solid and semi-flexible body inkjet printing system
JP2006272612A (ja) * 2005-03-28 2006-10-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着脱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101865665B1 (ko) * 2017-09-08 2018-06-08 스케치온 주식회사 스킨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6195B2 (ja) 2017-09-27 2022-0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0988A1 (en) * 1999-10-27 2002-06-13 Desormeaux David A. Solid and semi-flexible body inkjet printing system
JP2006272612A (ja) * 2005-03-28 2006-10-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着脱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101865665B1 (ko) * 2017-09-08 2018-06-08 스케치온 주식회사 스킨 프린터
KR101865605B1 (ko) * 2017-09-08 2018-06-08 스케치온 주식회사 스킨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881B1 (ko) 2023-11-29
KR20230120547A (ko) 2023-08-17
KR20230120561A (ko) 2023-08-17
KR102582137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825B2 (ja) 手持ち式流体噴射装置用の整備ステーション
KR102134130B1 (ko) 각질 표면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헬드 처치 기구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KR101964028B1 (ko) 각질 표면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헬드 처치 기구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JP2021184802A (ja) 角質表面を改質するための手持ち式処置装置
CN104337201B (zh) 绘画装置及绘画装置的控制方法
KR20230120550A (ko) 휴대형 프린터
EP3386762B1 (en) Servicing cassettes for handheld fluid jet apparatuses for use in modifying surfaces
KR20170023137A (ko) 각질 표면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헬드 처치 기구
KR20230059614A (ko) 스킨 프린터
CA2505516A1 (en) Safety shield for medical needles
US20180126136A1 (en) Hand-held fluid-substance applicator
DE2749917A1 (de) Vorrichtung zur untersuchung von koerperhoehlen
US20240109350A1 (en) Portable printer
KR20230165169A (ko) 휴대형 프린터
CN118076488A (zh) 便携式打印机
JP2010502390A (ja) フィルムディスペンサ
NL1033809C2 (nl) Opvouwbare miniprojector met geïntegreerd scherm.
CN207023598U (zh) 毛发去除装置和蜡条
US20240157708A1 (en) Portable printer and portable printing system
KR20070113240A (ko) 도포 장치
KR20230120616A (ko)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KR20180046971A (ko) 네일아트장치
DE19905901A1 (de) Vorrichtung zum Abrollen und flächenhaften Aufbrin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