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614A - 스킨 프린터 - Google Patents

스킨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614A
KR20230059614A KR1020210143969A KR20210143969A KR20230059614A KR 20230059614 A KR20230059614 A KR 20230059614A KR 1020210143969 A KR1020210143969 A KR 1020210143969A KR 20210143969 A KR20210143969 A KR 20210143969A KR 20230059614 A KR20230059614 A KR 2023005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ozzle
housing
roll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희
장성현
권현진
정해나
정지희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4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614A/ko
Priority to US18/270,419 priority patent/US20240109350A1/en
Priority to PCT/KR2022/016085 priority patent/WO2023075294A1/ko
Publication of KR2023005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킨 프린터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린팅 용액을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동 안내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의 하단과 상기 노즐 사이의 높이 차이는 4.5㎜ 내지 8.5㎜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킨 프린터{SKIN PRINTER}
본 발명은 스킨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피부는 사람의 외관을 형성한다. 피부에는 문신이 새겨질 수 있다. 시술자가 문신용 바늘에 문신용 잉크를 묻힌 후 문신용 바늘을 피부에 침투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피부에 특정 문양의 문신이 새겨진다.
한편, 문신용 바늘에 잉크를 묻히고 피부에 침투시키는 과정이 장시간에 걸쳐 수행되므로, 문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고통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의 진피에 문신이 시술되므로, 한번 새겨진 문신은 제거하기가 어려우며, 문신 시술 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문신 시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문신, 바디 페인팅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에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 프린터를 사용하여 문신 또는 바디 페인팅을 하는 경우, 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피부에 인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프린터는 노즐과 피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인쇄되길 원하는 원본 이미지와 피부 상에 인쇄된 이미지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할 수 있는 스킨 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킨 프린터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린팅 용액을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동 안내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의 하단과 상기 노즐 사이의 높이 차이는 4.5㎜ 내지 8.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 및 피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 내지 2.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일측에 마련된 레버에 의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와,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6.9㎜ 내지 13.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노즐의 이동 라인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 상에서, 제2 롤러 및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6.9㎜ 내지 13.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2 롤러 및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1 롤러; 및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 프린터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중앙에 대응하여 인쇄 이미지의 센터 라인을 확인하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 프린터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는 프린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팅 용액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승하강 가능하여, 상기 노즐 및 피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프린터는 피부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상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하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킨 프린터에서 노즐 커버를 제거한 하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노즐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다양한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4.5㎜ 미만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4.5㎜ 내지 8.5㎜ 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8.5㎜ 초과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상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하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킨 프린터에서 노즐 커버를 제거한 하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노즐부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다양한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4.5㎜ 미만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며, 도 10은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4.5㎜ 내지 8.5㎜ 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며, 도 11은 제1 롤러 및 노즐 사이의 거리가 8.5㎜ 초과인 경우의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스킨 프린터(10)는 하우징(100), 헤드부(200), 제1 롤러(300), 제2 롤러(400), 광학 센서(500) 및 프린터 커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스킨 프린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0)은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은 일측에 마련된 레버(170)에 의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0A)은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00A)은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출납 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하우징(100A)의 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100A)은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져,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출납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하우징(100B)은 상부 하우징(100A)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0B)은 상부 하우징(100A)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관에는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작동 버튼은 프린팅 버튼(110) 및 전원 버튼(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버튼(110)은 상부 하우징(100A)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프린팅 버튼(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헤드부(200)가 프린팅 용액을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프린팅 버튼(110)이 상부 하우징(100A)의 상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린팅 버튼(110)은 상부 하우징(100) 외관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버튼(120)은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버튼(120)은 스킨 프린터(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원 버튼(120)이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버튼(120)은 하부 하우징(100B)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0B) 외관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0)가 마련될 수 있다. 램프(130)는 스킨 프린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램프(130)가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마련됨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램프(130)는 하부 하우징(100B)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스킨 프린터(10)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하우징(100A)의 내부 공간에는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100A)의 내부 공간에는 카트리지(140), 배터리(150) 및 제어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140)는 문신 이미지의 인쇄에 필요한 프린팅 용액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프린팅 용액을 토출하는 노즐(145)이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즐(145)은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140)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40)는 단일 색상의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여 한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140)가 단일 색상의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는 경우, 스킨 프린터(10)는 단일 색상으로 구성되는 이미지를 피부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노즐(145)을 통하여 프린팅 용액을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40)가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경우, 스킨 프린터(10)는 컬러 이미지를 피부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40)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각 카트리지(1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프린팅 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4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140)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용액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4mPa*s 미만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노즐(145)에서 누출되거나, 피부에 토출된 이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될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6mPa*s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피부에 토출된 이후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10mPa*s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노즐(145)에서 토출되지 않거나, 프린팅 용액이 노즐(145)에 흡착되어 노즐(145)이 폐쇄될 수 있다.
프린팅 용액은 안료 또는 염료와, 안료 또는 염료를 분산시키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정제수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유기 용매는 프린팅 용액의 점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용매는 비휘발성 유기 용매이면서, 분자 구조가 친수성기를 포함하여 물과 혼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은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용매는 PEG-8,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용액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경우,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4mPa*s 미만을 가져, 프린팅 용액이 노즐(145)에서 누출되거나, 피부에 토출된 이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될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내의 유기 용매의 함량이 40wt% 이상인 경우, 프린팅 용액의 점도가 6mPa*s를 초과하여, 프린팅 용액이 노즐(145)에서 토출되지 않거나, 프린팅 용액의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내의 단일 유기 용매의 함량이 20wt% 초과인 경우, 프린팅 용액이 피부에 안착되지 않고, 피부상에서 유동되거나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프린팅 용액의 조성을 나타내는 표이며,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특성 평가 결과를 설명하는 표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프린팅 용액의 조성
구분 유기용매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염료
성분명 정제수 PEG-8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 CI 17200
실시예1 to 100 20 - 0.2 4
실시예2 to 100 - 20 0.2 4
실시예3 to 100 10 10 0.2 4
실시예4 to 100 15 10 0.2 4
비교예1 to 100 5 - 0.2 4
비교예2 to 100 10 - 0.2 4
비교예3 to 100 30 - 0.2 4
비교예4 to 100 40 - 0.2 4
비교예5 to 100 - 5 0.2 4
비교예6 to 100 - 10 0.2 4
비교예7 to 100 - 30 0.2 4
비교예8 to 100 - 40 0.2 4
비교예9 to 100 5 5 0.2 4
비교예10 to 100 20 20 0.2 4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은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계량하여 300rpm으로 20분 동안 교반 후 탈포하고, 기공 0.45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프린팅 용액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의 특성 평가 결과
점도
(mPa*s)
누액 토출 인쇄시 번짐 건조 후 번짐
실시예1 4.5 X O X X
실시예2 4 X O X X
실시예3 4 X O X X
실시예4 4.5 X O X X
비교예1 3 O O O X
비교예2 3.5 O O O X
비교예3 5 X X O
비교예4 6.5 X X X O
비교예5 3 O O O X
비교예6 3.5 O O O X
비교예7 4.5 X X O
비교예8 5.5 X X X O
비교예9 3.5 O O O X
비교예10 6.5 X X X O
표 2에서, 프린팅 용액의 점도 평가는 브룩필드 DV-E 점도계(Brookfield DV-E viscometer)로 스핀들 넘버 1(Spindle Number 1), 60rpm, 및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것으로, mPa*s 단위로 표시된다.
프린팅 용액의 누액 평가는 프린팅 용액을 HP62 카트리지에 5ml 충진 후 3일간 상온에 노즐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방치하여 평가를 진행하며, 표 2에서는 누액 발생시 'O'로 표기하고, 누액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Ⅹ'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토출 평가는 프린팅 용액이 충진된 카트리지를 기기에 장착하여 이미지 인쇄를 실시하여 평가한다. 특히, 10회 반복 인쇄를 실시하여 선명하게 인쇄된 문신 이미지의 수를 확인하며, 선명한 문신 이미지가 75%를 초과하면 'O'로 표기하고, 선명한 문신 이미지가 50% 내지 75%이면 '△'로 표기하고, 선명한 문신 이미지가 50% 미만이면 'X'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인쇄시 번짐 평가는 프린팅 용액이 충진된 스킨 프린터를 이용하여 팔 전완부에 문신 이미지를 인쇄한 직후의 문신 이미지의 선명도를 확인한다. 인쇄된 문신 이미지에서 번짐이 발생하면 'O'로 표기하고,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 'X'로 표기한다.
프린팅 용액의 건조 후 번짐 평가는 문신 이미지를 인쇄하고 1분간 건조시킨 후, 3회 문질러 프린팅 용액의 건조 상태 및 번짐 여부를 확인한다. 1분간 건조된 문신 이미지에서 번짐이 발생하면 'O'로 표기하고,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 'X'로 표기한다.
상술한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9에서 누액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40wt% 이상인 비교예 4, 비교예 8 및 비교예 10에서 카트리지에서 프린팅 용액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유기 용매의 함량이 10wt% 이하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9에서 피부에 토출된 후에 피부 상에서 유동되어 이미지 번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프린팅 용액 전체에서, 단일 유기 용매의 함량이 20wt%를 초과한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7 및 비교예 8에서, 건조가 충분히 되지 않아 문질렀을때 번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140)는 헤드부(200)와 함께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140)가 헤드부(200)와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면, 스킨 프린터(10)의 사용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40)의 일측에는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값을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150)는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전원 버튼(120)의 조작에 의해 스킨 프린터(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프린팅 버튼(110)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통하여 카트리지(140)에 수용된 프린팅 용액을 헤드부(200)를 통하여 토출시켜 인체의 피부 상에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데이터 송수신부(180)를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부(180)는 USB 단자,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송수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수신부(18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카트리지(140)의 일측에 마련된 거리 센서에서 전송된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은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적정 값을 벋어난 경우, 카트리지(140) 및 헤드부(200)를 승하강시켜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 즉, 스킨 프린터(10)의 문신 이미지의 인쇄 시 하부 하우징(100B)의 피부에 마주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카트리지(140)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145)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200)는 카트리지(140)와 함께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00)는 승하강을 위하여 랙 및 피니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헤드부(200)는 랙에 연결되어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헤드부(200)가 카트리지(140)와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면, 스킨 프린터(10)의 사용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롤러(300)는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300)는 문신 이미지가 인쇄되는 피부와 노즐(145)를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스킨 프린터(10)를 이용하여 피부에 문신 이미지를 인쇄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킨 프린터(10) 및 피부의 밀착을 위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부와 카트리지(140)의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는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선명한 문신 이미지의 인쇄를 위하여, 피부와 카트리지(140)의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0.5㎜ 내지 2.5㎜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와 카트리지(140)의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피부와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0.5㎜ 미만이거나, 2.5㎜ 초과인 경우, 스킨 프린터(10)를 이용한 인쇄되는 문신 이미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문신 이미지와 피부 상에 인쇄된 문신 이미지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피부와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0.5㎜ 미만인 경우, 노즐(145)이 피부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노즐(145)이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노즐(145)의 후단 및 헤드부(200)가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노즐(145)에서 토출된 프린팅 잉크가 노즐(145)의 후단 및 헤드부(200)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피부와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수직 거리가 2.5㎜ 초과인 경우,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멀어 노즐(145)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잉크가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낮은 해상도의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와 카트리지(140)의 노즐(145)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를 0.5㎜ 내지 2.5㎜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킨 프린터(10)의 단면상에서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는 4.5㎜ 내지 8.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는 5.5㎜ 내지 7.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 내지 8.5㎜로 유지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명한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 미만이거나, 8.5㎜ 초과인 경우, 스킨 프린터(10)를 이용한 인쇄되는 문신 이미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문신 이미지와 피부 상에 인쇄된 문신 이미지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 미만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노즐(145)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잉크의 뭉침에 의해 피부 상에 인쇄된 문신 이미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가 4.5㎜ 미만인 경우에는 노즐(145) 또는 헤드부(200)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스킨 프린터(10)의 이동시 인쇄된 이미지에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롤러(300)의 하단과 노즐(145) 사이의 높이 차이(H)가 8.5㎜ 초과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멀어 노즐(145)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잉크가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낮은 해상도의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선명하지 않은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300)는 스킨 프린터(10)의 인쇄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300)는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롤러(300)는 노즐(145)에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300)는 일정 길이의 롤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롤러(300)의 길이는 노즐(145)이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거나 노즐(145)이 연장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스킨 프린터(10)의 평면 상에서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노즐(145)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잉크에 의해 제1 롤러(300)가 오염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6.9㎜ 내지 13.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는 8.5㎜ 내지 11.5㎜일 수 있다.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6.9㎜ 미만인 경우, 노즐(145)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잉크에 의해 제1 롤러(300)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13.1㎜ 초과인 경우, 제1 롤러(300)에 의해 피부가 눌리더라도 노즐(145)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가 피부 탄성에 의해 회복되어 노즐(145) 및 피부 사이의 거리가 0.5㎜ 미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가 13.1㎜ 초과인 경우, 노즐(145) 또는 헤드부(200)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스킨 프린터(10)의 이동시 인쇄된 문신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300)가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전방에 마련되고, 노즐(145)에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45)에 평행하게 연장된 하나의 제1 회전축과, 제1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롤러(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1 롤러(300A)와,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후방에 마련되고 헤드부(200)와 중첩하지 않는 제1-2 롤러(30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롤러(400)는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롤러(400)는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롤러(400)는 문신 이미지가 인쇄되는 피부와 하부 하우징(100B)의 하면을 이격시키며, 제1 롤러(300)와 함께 피부를 따라 롤링할 수 있다.
제2 롤러(400)는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바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롤러(400)는 노즐(145)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400)는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두 개의 제2 롤러(4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2 롤러(400)는 적어도 노즐(145)이 연장된 길이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킨 프린터(10)의 인쇄 경로를 따라 제2 롤러(400)가 이동하면서,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제2 롤러(400)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번짐없이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인쇄될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프린팅 용액과 제2 롤러(400)가 접촉하지 않음으로, 제2 롤러(400)에 의한 프린팅 용액이 제2 롤러(400)에 이염되고, 다시 피부에 전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스킨 프린터(10)의 평면 상에서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제1 롤러(3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킨 프린터(10)의 평면 상에서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6.9㎜ 내지 13.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는 8.5㎜ 내지 11.5㎜일 수 있다.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6.9㎜ 미만인 경우, 노즐(145)에서 분사되는 프린팅 잉크에 의해 제2 롤러(400)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13.1㎜ 초과인 경우, 제2 롤러(400)에 의해 피부가 눌리더라도 노즐(145)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가 피부 탄성에 의해 회복되어 노즐(145) 및 피부 사이의 거리가 0.5㎜ 미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러(400) 및 노즐(145) 사이의 이격 거리(W2)가 13.1㎜ 초과인 경우, 노즐(145) 또는 헤드부(200)가 피부와 맞닿게 되어 스킨 프린터(10)의 이동시 인쇄된 문신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롤러(400)가 하우징(100)의 이동 방향에서 헤드부(200)의 후방에 마련되고, 노즐(145)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제2 롤러(400)로 마련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롤러(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45)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롤러(400)의 제2 회전축은 노즐(145)의 이동 라인과 중첩할 수 있으나, 제2 회전축 양단의 휠은 노즐(145)의 이동 라인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300) 및 제2 롤러(400)는 승하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롤러(300) 및 제2 롤러(400)가 승하강이 가능하면, 스킨 프린터(10)의 사용중 사용자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피부와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선명한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광학 센서(500)는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킨 프린터(10)의 인쇄 방향에서, 광학 센서(500)는 헤드부(200)의 후방에서 노즐(145)의 중앙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킨 프린터(10)가 문신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하는 경우, 광학 센서(500)는 노즐(145)의 이동 라인의 센터 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프린터 커버(600)는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100B)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즉, 프린터 커버(600)는 하부 하우징(100B) 하부에 마련된 헤드부(200), 제1 롤러(300), 제2 롤러(400) 및 광학 센서(500)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커버(600)는 헤드부(200), 제1 롤러(300), 제2 롤러(400) 및 광학 센서(5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스킨 프린터(1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스킨 프린터(10)를 이용하여 피부에 문신 이미지를 인쇄하기 전에, 피부 상에 피부 평탄화를 위한 프라이머를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프라이머는 피부를 평탄화하여 스킨 프린터(10)에 의해 피부에 인쇄되는 문신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는 액상형 프라이머 또는 고형 프라이머일 수 있다.
액상형 프라이머는 빠른 건조를 위하여 다량의 휘발성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과 피막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액상 프라이머는 에탄올이 휘발성 용매이므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피막 성분이 피부 자극성이 강하며, 클렌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반면, 고형 프라이머는 휘발성 용매의 함량이 액상형 프라이머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피부 자극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고형 프라이머는 휘발성 용매의 함량이 낮으므로, 빠른 시간에 피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고형 프라이머는 피막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클렌징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머로 고형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스킨 프린터(10)를 이용하여 피부 상에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킨 프린터(10)의 프린터 커버(600)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전원 버튼(120)을 이용하여 스킨 프린터(10)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스킨 프린터(10)가 온(On)되면, 배터리(150)는 스킨 프린터(10)의 전력을 필요로하는 각 부분에 전력을 제공하여, 스킨 프린터(10)가 프린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킨 프린터(10)가 온(On)되면, 사용자는 데이터 송수신부(180)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 예를 들면, 핸드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피부에 인쇄하고자 하는 문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문신 이미지는 스킨 프린터(10)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문신 이미지는 외부 기기에 저장되거나, 외부 기기에 연결된 사이트의 이미지일 수 있다. 외부 기기에 저장되거나 외부 기기에 연결된 사이트의 이미지는 데이터 송수신부(180)를 통하여 스킨 프린터(10)의 제어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피부에 인쇄하고자 하는 문신 이미지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스킨 프린터(10)를 피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스킨 프린터(10)가 피부에 안착되면, 사용자는 프린팅 버튼(110)을 조작하여 선택된 문신 이미지의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선택된 문신 이미지의 인쇄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일정 속도로 스킨 프린터(10)를 이동시키면서, 스킨 프린터(10)가 선택된 문신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킨 프린터(10)는 제1 롤러(3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킨 프린터(10)가 이동하는 동안, 프린팅 용액을 피부 상에 토출하는 노즐(10)은 제1 롤러(300)에 의해 피부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스킨 프린터(10)가 이동하는 동안, 제1 롤러(300)에 의해 이미지가 선명하게 피부 상에 인쇄될 수 있도록 피부 및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0.5㎜ 내지 2.5㎜로 유지될 수 있다.
스킨 프린터(10)에 의해 문신 이미지가 인쇄된 후에는, 문신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고착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고착 코팅은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킨 프린터(10)는 문신 이미지를 인쇄하는 동안 피부 및 노즐(145) 사이의 거리가 0.5㎜ 내지 2.5㎜로 유지되어, 피부에 선명한 문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문신 이미지의 인쇄 이전에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피부를 평탄화하여 보다 선명한 문신 이미지가 피부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스킨 프린터 100; 하우징
100A: 상부 하우징 100B: 하부 하우징
110: 프린팅 버튼 120: 전원 버튼
130: 램프 140: 카트리지
150: 배터리 160: 제어부
170: 레버 180: 데이터 송수신부
200: 헤드부 210: 노즐
300: 제1 롤러 400: 제2 롤러
500: 광학 센서 600: 프린터 커버

Claims (15)

  1.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린팅 용액을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동 안내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이동 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의 하단과 상기 노즐 사이의 높이 차이는 4.5㎜ 내지 8.5㎜인 스킨 프린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및 피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 내지 2.5㎜인 스킨 프린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일측에 마련된 레버에 의해 탈착 가능한 스킨 프린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프린팅 용액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와,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스킨 프린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스킨 프린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는 스킨 프린터.
  7. 제6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6.9㎜ 내지 13.1㎜인 스킨 프린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노즐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노즐의 이동 라인과 중첩하지 않는 스킨 프린터.
  9. 제8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제2 롤러 및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6.9㎜ 내지 13.1㎜인 스킨 프린터.
  10. 제9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2 롤러 및 노즐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스킨 프린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1 롤러; 및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1-2 롤러를 포함하는 스킨 프린터.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중앙에 대응하여 인쇄 이미지의 센터 라인을 확인하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킨 프린터.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는 프린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스킨 프린터.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용액은 4mPa*s 내지 6mPa*s의 점도를 갖는 스킨 프린터.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승하강 가능하여, 상기 노즐 및 피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킨 프린터.
KR1020210143969A 2021-10-26 2021-10-26 스킨 프린터 KR20230059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69A KR20230059614A (ko) 2021-10-26 2021-10-26 스킨 프린터
US18/270,419 US20240109350A1 (en) 2021-10-26 2022-10-20 Portable printer
PCT/KR2022/016085 WO2023075294A1 (ko) 2021-10-26 2022-10-20 휴대형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69A KR20230059614A (ko) 2021-10-26 2021-10-26 스킨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14A true KR20230059614A (ko) 2023-05-03

Family

ID=8638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69A KR20230059614A (ko) 2021-10-26 2021-10-26 스킨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6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4183S1 (en) * 2021-09-16 2024-04-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25199S1 (en) * 2021-09-16 2024-04-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26086S1 (en) * 2023-02-24 2024-05-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30859S1 (en) * 2023-02-21 2024-06-1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4183S1 (en) * 2021-09-16 2024-04-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25199S1 (en) * 2021-09-16 2024-04-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30859S1 (en) * 2023-02-21 2024-06-1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USD1026086S1 (en) * 2023-02-24 2024-05-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inter for tatto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59614A (ko) 스킨 프린터
KR102134130B1 (ko) 각질 표면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헬드 처치 기구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KR101964028B1 (ko) 각질 표면을 개선하기 위한 핸드헬드 처치 기구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CN106572737B (zh) 用于改变角质表面的手持式处理设备
TWI290857B (en) Inkjet painting device
KR101904709B1 (ko) 각질 표면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0548B1 (ko) 각질 표면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8846B1 (ko) 각질 표면 상의 처리 조성물의 침착을 위한 카트리지
JP6748119B2 (ja) 角質表面を改質するための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
US20160022009A1 (en) Handheld treatment apparatus for modifying keratinous surfaces
KR20170002615A (ko) 각질 표면을 변경하는 처리 조성물, 장치 및 방법
KR20170005465A (ko) 각질 표면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EP2944472B1 (en) Maintenance method of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101655978B1 (ko) 2액형 피부프린트용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095441A1 (en)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er
JP7243415B2 (ja) ネイルプリント形成方法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
US11839283B2 (en) Portable hair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ing same
KR102582137B1 (ko)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KR20230165169A (ko) 휴대형 프린터
US20240157708A1 (en) Portable printer and portable printing system
KR20230120616A (ko) 휴대형 프린터 및 휴대형 프린팅 시스템
CN117241946A (zh) 便携式打印机及便携式打印系统
US20240109350A1 (en) Portable printer
CN118076488A (zh) 便携式打印机
TW202413126A (zh) 可攜式列印機及可攜式列印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