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072A -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072A
KR20230120072A KR1020220079891A KR20220079891A KR20230120072A KR 20230120072 A KR20230120072 A KR 20230120072A KR 1020220079891 A KR1020220079891 A KR 1020220079891A KR 20220079891 A KR20220079891 A KR 20220079891A KR 20230120072 A KR20230120072 A KR 2023012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electrical contact
contact terminal
solder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박병주
김진산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310139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583037A/zh
Publication of KR2023012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대상물 간에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장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금속층의 양측 하부를 포함하는 솔더링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층을 개재하여 실장되고, 상기 솔더층의 일부는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의 길이가 상기 솔더 오름부의 길이보다 크다.

Description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접촉단자가 솔더링 된 후 눌림에 의해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대향하는 대상물을 상하방향으로 신뢰성 있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진공픽업이 가능하며, 전기저항이 낮고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우수하고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대상물이 전기접촉단자를 수직방향으로 누를 때 전기접촉단자는 상하의 대상물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러한 전기접촉단자로는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10-1001354, 10-1711013, 10-1735656, 10-2038412 및 10-2331990과,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2316 등이 있다.
도 1(a)과 1(b)은 각각 종래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전기접촉단자(200)는, 확대된 원 안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215)이 형성된 튜브 형상의 탄성 코어(210), 접착제층(220)을 개재하여 코어(210)를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230), 및 폴리머 필름(230)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240)으로 구성된다.
전기접촉단자(200)의 상부를 진공 픽업하여 전기접촉단자(200)의 솔더링부(245)를 솔더링부(245)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분리 형성된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20) 위의 솔더 크림에 위치시키고 리플로우 솔더링 하면 금속층(240)에 접착된 솔더 크림은 용융된 후 냉각되면서 솔더층(30)으로 변하여 도전패턴(20)과 금속층(240)을 접착하면서 솔더링 되어 실장된다.
이러한 구조의 솔더링 된 전기접촉단자(200)가 상부의 대상물로부터 수직 방향의 가압에 의해 힘을 받아 눌리면, 가해진 힘에 의해 옆으로 퍼지기 쉬운 부위나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 등에서 코어(210)가 접히거나 응력이 집중된다.
코어(210)가 접히는 부위나 외부의 힘이 집중되는 부위는 코어(210)의 크기 및 형상과 코어(210)에 형성된 관통구멍(215)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금속층(240)의 양쪽 하부는 솔더층(30)에 의해 고정되고, 솔더 크림의 오름에 의해 금속층의 측면 위에 형성된 솔더층(30)은 탄성을 갖지 않고 강도가 높으므로 금속층(240)이 솔더층(30)을 만나는 경계 부분에 누르는 힘이 집중된다.
또한, 접착제층(220)에 의해 코어(210)와 폴리머 필름(230)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210)가 특정 부분에서 접히거나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 폴리머 필름(230)과 금속층(240)도 해당 부분이나 인접한 부분이 접히거나 응력이 집중된다.
이러한 눌림에 의한 접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반복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에 이들 부위에서의 금속층(240)에 크랙(crack)이 발생하기 용이하다.
특히, 많이 눌리는 눌림이 반복되는 경우에 도 1(b)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층(240)의 측면 위에 솔더링 된 솔더층(30)과 금속층(240)의 경계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금속층(240)에 크랙(242)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더층(30)과 금속층(240)의 경계 부분에서 금속층(240)의 크랙(242)에 의해 금속층(240)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절단되는 경우 전기접촉단자(200)는 상하방향으로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절단되지 않고 일부는 연결되는 경우 전기접촉단자(200)는 상하 방향으로 전기저항이 커진다.
즉, 전기접촉단자(200)의 금속층(240)의 양쪽 하부를 솔더링하여 전기접촉단자(200)를 고정한 후 전기접촉단자(200)를 수직방향에서 누르면 솔더층(30)은 탄성이 없으므로 금속층(240)과 솔더링이 만나는 경계 부분에 많은 힘이 집중되므로 이 부분의 금속층(240)이 절단되기 용이하여 상하방향으로 전기저항이 변할 수 있다.
특히, 전기접촉단자(2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회로기판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전기접촉단자(200)의 솔더링 강도는 좋아야 하므로, 솔더층(30)과 금속층(240)이 만나는 경계 부위는 전기접촉단자(200)의 하단으로부터 측면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전기접촉단자(200)가 많이 반복적으로 눌리면 측면 부위에 위치한 솔더층(30)과 금속층(240)이 만나는 경계 부위에 힘이 집중되어 이 부위에서 금속층(240)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솔더층(30)이 전기접촉단자(200)의 높이를 이루는 금속층(240)의 측면 부위에 형성되지 않고 금속층(240)의 밑면에만 형성된 경우에 전기접촉단자(200)의 솔더링 강도가 약하고, 특히 전기접촉단자(200)의 높이가 높고 폭이 길이보다 큰 경우에 전기접촉단자(200)의 솔더링 강도가 더욱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솔더층(30)이 금속층(240)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밑면에만 형성된 경우에 결과적으로 금속층(240)의 솔더링된 면적이 좁아 솔더링 강도가 약하고 특히 전기접촉단자(2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전기접촉단자(200)는 옆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전패턴(20)에서 분리되기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접촉단자(200)의 솔더층(30)과 금속층(240)과 만나는 경계 부위에서의 금속층(240)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졌지만, 솔더링 강도가 강하면서 전기접촉단자(200)가 반복적으로 많이 눌려져 금속층(240)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대향하는 대상물과 전기접촉단자(200)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하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인 많은 눌림에 의해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전기접촉단자의 수직방향으로의 전기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이가 높고 폭이 길이 보다 큰 전기접촉단자가 반복적으로 많이 눌릴 때에도 수직방향으로 전기적 연결이 완전히 끊어지거나 전기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솔더링 강도가 강한 전기접촉단자의 실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 되는 부위의 회로기판 수정이 용이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적게 드는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의 양측 하부를 포함하는 솔더링부가 상기 솔더 크림 위에 놓이도록 장착하고 리플로우 솔더링 하는 단계; 및 상기 솔더링에 의해 상기 솔더 크림이 용융되어 상기 금속층과 접합되어 솔더층을 형성하고, 상기 솔더 크림의 일부가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솔더 크림의 길이는 상기 금속층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패턴의 길이는 상기 금속층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길고, 상기 솔더 크림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는, 금속층의 폭방향의 양측 하면을 포함하는 솔더링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층을 개재하여 실장되고, 상기 솔더층의 일부는 상기 금속층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의 길이가 상기 솔더 오름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아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패턴은 단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도전패턴 위에 상기 금속층의 솔더링부를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금속층의 솔더링부를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도전패턴 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으로 구성된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실장하는 구조로서, 상기 금속층의 길이가 상기 도전패턴 위에 형성된 솔더층보다 길어 상기 금속층의 양단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도전패턴의 단부는 상기 금속층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고, 상기 전기접촉단자가 상부로부터 가압되어 눌리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도전패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금속층의 양단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패턴의 양단은 상기 금속층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솔더층에 의해 상기 도전패턴과 일정 간극으로 이격되고, 상기 접촉부의 길이는, 상기 전기접촉단자가 대략 10% 정도 눌릴 때 상기 접촉부가 상기 도전패턴에 접촉하도록 하는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가 반복적으로 많이 눌려 전기접촉단자의 측면에 위치한 금속층과 솔더 오름부가 만나는 부위의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전기접촉단자 측면의 양단의 금속층에는 솔더 오름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적어서 전기접촉단자의 수직방향으로의 전기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의 중앙 부위에는 솔더 오름부가 형성되므로 솔더링 강도가 강하다.
또한, 외부의 누름에 의해 솔더 패턴의 길이 보다 긴 금속층의 부분은 솔더를 통과하지 않고 도전패턴과 연결되므로 신뢰성 있는 전기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회로기판에 단일의 도전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 패턴을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솔더링 되는 부위의 수정이 용이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적게 든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과 1(b)은 각각 종래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실장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a)과 3(b)는 각각 눌리기 전후를 보여준다.
도 4(a)와 4(b)는 각각 도전패턴 위에 솔더 크림이 도포된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실장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a)과 3(b)는 각각 눌리기 전후를 보여준다.
전기접촉단자(200)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튜브 형상의 탄성 코어(210),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코어(210)를 폭방향으로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230), 및 폴리머 필름(230)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2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접촉단자(200)로는 상기에서 언급한 한국등록특허 10-1001354, 10-1711013, 10-1735656, 10-2038412 및 10-2331990 등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탄성 코어(210)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솔더링에 대응하는 내열성을 가지고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발포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240)의 양측 하부를 포함하여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20) 위에 솔더링 되는 부분, 즉 솔더링부(245)의 형상은 이 실시 예에서 도 1과 같은 라운드 형상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대략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210)가 발포 고무인 경우 전기접촉단자(200)의 밑면은 대략 평면이고, 솔더링부(245)가 평면일 수 있다.
폴리머 필름(230)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240)은 폴리머 필름(230)에 금속을 스퍼터링하고 구리를 도금하여 형성하거나, 구리 포일에 액상의 폴리머수지를 캐스팅한 후 경화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폴리머 필름에 구리 포일을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진공 픽업에 의해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240)의 솔더링부(245)를 회로기판(10) 위에 분리 형성된 도전패턴(20) 위의 솔더 크림 위에 눌러서 위치시키고 리플로우 솔더링 하면, 액상의 용융된 솔더 크림은 금속층(240)의 하면과 도전패턴(20) 사이에서 냉각되어 고상의 솔더층(30)을 형성하면서 전기접촉단자(200)의 금속층(240)의 측면을 타고 올라 냉각되어 고상의 솔더 오름부(32)를 형성한다.
여기서, 도전패턴(20)은 통상 풋 프린트(Foot print) 또는 랜드 패턴(Land pattern)이라 명칭되며 회로기판과 대향하여 장착되는 전자부품을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금속층(240)의 하면과 도전패턴(20)의 상면 사이에서 솔더 크림이 냉각되어 형성된 부분을 솔더층(30)이라고 하고, 솔더 크림이 금속층(240) 위에서 전기접촉단자(200)의 측면을 타고 올라 냉각되어 형성된 부분을 솔더 오름부(32)라 한다.
도 4(a)와 4(b)는 각각 도전패턴 위에 솔더 크림이 도포된 것을 보여준다.
도 4(a)를 보면, 각각의 도전패턴(20) 위에 솔더 크림(31)이 도포되는데, 도전패턴(20)의 길이는 솔더 크림(31)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솔더 크림(31)은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하도록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도 4(a)와 같이 도전패턴(20)을 분리하여 형성하는 경우, 금속층(240)에 크랙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또는 솔더링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도전패턴(20)을 다시 제작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더 크림(31)이 도포되는 솔더 패턴은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솔더 패턴이 변경되는 경우 단지 해당 메탈 마스크를 바꾸어 솔더 패턴을 수정할 수 있는 반면, 도전패턴(20)을 바꾸려면 회로기판(10) 전체를 바꾸어야 한다.
이에 대해, 도 4(b)와 같이, 단일의 도전패턴(2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솔더 크림(31)을 분리하여 도포하는 경우, 전기접촉단자(200)가 눌릴 때 크랙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용이하면서 적절한 솔더링 강도를 갖는 솔더 패턴을 제공하기 용이하다.
또한, 단일의 도전 패턴(22)을 적용하여도 솔더 크림(31)이 분리되어 도포되고 전기접촉단자(200)의 금속층(240)의 하면도 분리되기 때문에 전기접촉단자(200)는 신뢰성 있게 리플로우 솔더링된다.
겔(Gel) 상태의 솔더 크림(31)은 두께가 대략 0.08㎜ 내지 0.15㎜이고 폭은 도전패턴(20)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금속층(240)의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솔더 오름부(32)의 길이가 전기접촉단자(200)의 금속층(240)의 길이보다 짧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층(240)의 길이가 L이고 솔더 오름부(32)의 길이가 ℓ이라고 할 때, 금속층(240)의 길이가 솔더 오름부(32)의 길이보다 크다(L > ℓ).
제조 공정의 측면에서, 솔더 크림(31)이 통상적인 두께로 도전패턴(20)의 폭 전체에 걸쳐 도포된다고 가정할 때, 도전패턴(20) 위의 솔더 크림(31)의 길이는 금속층(240), 즉 전기접촉단자(20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다시 말해, 솔더 크림(31)이 길이방향으로 퍼지는 것과 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오르는 것을 고려하면, 솔더 크림(31)의 길이를 금속층(240)의 길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솔더 오름부(32)의 길이가 금속층(240)의 길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접촉단자(200)의 폭과 길이를 고려하여 솔더 크림(31)의 길이는 금속층(240)의 길이보다 0.4㎜ 내지 4㎜ 정도 작게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기접촉단자(200)의 길이가 2㎜인 경우 솔더 크림(31)의 길이는 1.8㎜ 내지 1.4㎜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리플로우 솔더링 시 전기접촉단자(200)가 균형을 이루게 전기접촉단자(200)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는 솔더 크림(31)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금속층(240)은 주석(Sn), 은(Ag) 또는 금(Au)이고, 특히 금(Au)인 경우에 솔더 크림(31)이 리플로우 솔더링 될 때 솔더 크림(31)이 금속층(240)의 측면을 타고 많이 올라가 솔더 오름부(32)를 형성하므로 금속층(240)의 금속 종류에 따라 도전패턴(20), 솔더 크림(31) 및 금속층의 치수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전기접촉단자(200)의 금속층(240)의 길이는 도전패턴(20) 위에 도포되는 솔더 크림(31)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도전패턴(20)의 길이는 금속층(2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도전패턴(2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금속층(240)의 단부보다 길게 돌출된다.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이, 솔더링에 의해 도전패턴(20) 위에 도포된 솔더 크림은 용융되어 금속층(240)과 접합되어 솔더층을 형성하고, 솔더 크림의 일부가 전기접촉단자(200)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32)를 형성한다.
도 3(a)을 보면, 0.05㎜ 정도의 두께로 솔더층이 형성되어 도전패턴(20)에서 솔더 크림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금속층(240)은 도전패턴(20)과 일정한 간극(24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접촉단자(200)의 눌림에 의한 금속층(240)의 크랙(242)이 솔더 오름부(32)와 금속층(240)이 접하는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우 금속층(240)과 도전패턴(24) 간의 전기 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전기접촉단자(200)가 상부로부터 외력에 의해 눌리면, 도전패턴(20)에서 솔더 크림(31)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 다시 말해 솔더 오름부(3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금속층 부분, 즉 접촉부(241)(도 3(b)에서 점선의 사각형으로 표시됨)가 도전패턴(20) 위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금속층(240)보다 길게 형성되어 금속층(24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도전패턴(20)에 의해 접촉부(241)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도전패턴(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접촉부(241)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가령 전기접촉단자(200)가 대략 10% 이상 압축시 금속층(240)과 도전패턴(20)이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일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솔더 오름부(32)와 금속층(240)이 접하는 경계 부분 전체에서 크랙(242)이 발생하여 금속층(240)에서 솔더 오름부(32)를 통하는 전기적 통로가 완전히 끊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솔더 오름부(32)가 비교적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전기접촉단자(200)의 반복적인 눌림에 의해서도 솔더 오름부(32)의 양측에서 금속층(240)과 솔더 오름부(32)의 경계에 크랙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금속층(240)의 접촉부(241)를 통하여 금속층(240)과 도전패턴(20)이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전기 통로 이외에 크랙(242)가 생기지 않은 솔더 오름부(32)의 양측에서 금속층(240)과 솔더 오름부(32)에 의한 전기 통로가 더해져 전기 저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회로기판
20: 도전패턴
30: 솔더
240: 금속층
242: 크랙

Claims (11)

  1.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금속층으로 구성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금속층의 양측 하부를 포함하는 솔더링부가 상기 솔더 크림 위에 놓이도록 장착하고 리플로우 솔더링 하는 단계; 및
    상기 솔더링에 의해 상기 솔더 크림이 용융되어 상기 금속층과 접합되어 솔더층을 형성하고, 상기 솔더 크림의 일부가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솔더 크림의 길이는 상기 금속층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도전패턴의 길이는 상기 금속층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도전패턴의 길이는 상기 솔더 크림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방법.
  4. 청구항 1에서,
    상기 도전패턴은 분리되지 않은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방법.
  5.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으로 구성된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구조로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금속층의 폭방향의 양측 하면을 포함하는 솔더링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층을 개재하여 실장되고,
    상기 솔더층의 일부는 상기 금속층의 측면을 타고 올라 솔더 오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의 길이가 상기 솔더 오름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6. 청구항 5에서,
    상기 도전패턴은 단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도전패턴 위에 상기 금속층의 솔더링부를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7. 청구항 5에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금속층의 솔더링부를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도전패턴 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8. 청구항 5에서,
    상기 도전패턴의 길이는 상기 솔더층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9.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 접착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금속층으로 구성된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실장하는 구조로서,
    상기 금속층의 길이가 상기 도전패턴 위에 형성된 솔더층보다 길어 상기 금속층의 양단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도전패턴의 단부는 상기 금속층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고,
    상기 전기접촉단자가 상부로부터 가압되어 눌리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도전패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금속층의 양단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패턴의 양단은 상기 금속층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11. 청구항 9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솔더층에 의해 상기 도전패턴과 일정 간극으로 이격되고,
    상기 접촉부의 길이는, 상기 전기접촉단자가 대략 10% 정도 눌릴 때 상기 접촉부가 상기 도전패턴에 접촉하도록 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 구조.
KR1020220079891A 2022-02-08 2022-06-29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KR20230120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10139879.7A CN116583037A (zh) 2022-02-08 2023-02-08 弹性电接触端子的贴装方法及贴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6420 2022-02-08
KR1020220016420 202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072A true KR20230120072A (ko) 2023-08-16

Family

ID=8784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891A KR20230120072A (ko) 2022-02-08 2022-06-29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0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391B1 (ko) 칩형 고체 전해콘덴서
US7158368B2 (en) Process for producing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KR101662264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373569B1 (ko) 반도체장치
US10186366B2 (en) Electrod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rhod thereof
CN100409497C (zh) 内置电子元件的连接器
US20130133193A1 (en) Surface mount technology process for advanced quad flat no-lead package process and stencil used therewith
KR101562938B1 (ko) 전기접촉단자
KR101025792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230120072A (ko) 표면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JP4737664B2 (ja) 面実装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US7439625B2 (en) Circuit board
KR101001355B1 (ko) 표면 실장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722855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9165A (ja) チップ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4788581B2 (ja) 複合基板
CN116583037A (zh) 弹性电接触端子的贴装方法及贴装结构
JP2003283086A (ja) 配線基板、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を用いた電子部品
KR102140144B1 (ko)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JP2004235232A (ja) 電子部品の実装構造
KR102651162B1 (ko)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JPH0528752Y2 (ko)
JP2889213B2 (ja) 高周波電力用半導体装置
KR20040075754A (ko) 컨덴서 장치
JP2002359336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