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890A -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890A
KR20230119890A KR1020220016197A KR20220016197A KR20230119890A KR 20230119890 A KR20230119890 A KR 20230119890A KR 1020220016197 A KR1020220016197 A KR 1020220016197A KR 20220016197 A KR20220016197 A KR 20220016197A KR 20230119890 A KR20230119890 A KR 2023011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sheet
heat
transfer sheet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민
정의영
장근영
임새영
이효정
서인용
김진한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22001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890A/ko
Priority to PCT/KR2023/001804 priority patent/WO2023153791A1/ko
Publication of KR2023011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열전달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시트는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달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 또는 면방향이 되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밴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1부재와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열전달시트는 크랙 등의 손상 없이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거나 높이 단차가 있는 서로 이격된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는 우수한 밴딩 및/또는 폴딩 특성을 가진다. 또한, 매우 뛰어난 열전달 특성을 가짐에 따라서 발열원이 있는 구조물에서 이격된 다른 구조물로 열을 매우 빠르게 전달하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서 발열로 인한 전자기기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Heat transfer sheet, heat transf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는 고성능화, 다기능화 및 경박단 소형화 추세에 따라서 작고 고성능인 다양한 많은 부품들이 전자기기에 채용되고 있는데, 소형화 및 고성능화된 각종 전자 부품으로 인한 발열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전자기기 내 좁은 공간에서 발생되는 많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전자 부품의 오동작 및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 전자기기는 내부에 방열판, 히트싱크류 등의 방열을 위한 구조물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추세에 있으나 경박단 소형화 추세로 인해서 방열을 위한 각종 방열구조물의 크기도 소형화 됨에 따라서 어느 발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인접해 배치된 하나의 방열구조물을 통해서 해결하기는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또한, 경박단 소형화된 전자기기 내부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협소함에 따라서 하나의 전자기기 내 방열구조물들을 여러 개 구비하거나 발열원이 있는 구조물과 방열구조물이 이격되어 있다고 했을 때 여러 개의 방열구조물 또는 발열원이 있는 구조물과 이에 인접한 방열구조물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한다거나, 동일 평면에 이격해 위치하는 경우에도 높이 단차가 있을 수 있어서 어느 일 구조물로부터 이에 이격된 다른 구조물로 열을 전달시켜서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많은 열을 단시간 내 빠르게 방출시키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서로 이격된 구조물 간의 열전달을 위해서는 이들 구조물 간을 매개하는 열전달 부재가 필요하며, 이들 이격된 구조물이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거나 높이 단차가 있는 경우에는 열전달 부재가 밴딩 특성이나 폴딩 특성까지 구비해야 하는데, 우수한 열전달 특성 및 밴딩특성/폴딩특성을 모두 갖는 열전달 부재는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달리 말하면, 일반적인 방열시트는 통상적으로 열전도 특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각종 시트상의 금속류나 시트상의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계 물질로 제조되어 왔는데, 이들 방열시트는 밴딩특성이나 폴딩특성 있는 경우 방열성능이 충분하지 못하며, 반대로 방열성능이 뛰어난 경우 밴딩특성이나 폴딩특성이 충분치 못하거나 거의 없어서 밴딩이나 폴딩 시 크랙 등의 파손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서 방열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요성의 폴리머 매트릭스 내부에 방열필러가 분산된 형태의 방열시트의 경우 밴딩 특성이나 폴딩특성을 가지지만 열전달 특성이 부족해 이격된 구조물을 상호 연결시키는 열전달부재로는 부적합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63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랙 등의 손상 없이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거나 높이 단차가 있는 서로 이격된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는 우수한 밴딩 특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열전달 특성을 가지는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달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 또는 면방향이 되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밴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1부재와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전달시트는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면 및 제2면 각각에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되어 제1면 측의 열을 제2면 측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그라파이트 시트,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 및 그래핀 시트 중 1종의 탄소계 시트, 또는 1종의 탄소계 시트 또는 2종 이상의 탄소계 시트가 구비된 다층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10 ~ 5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구리, 알루미늄,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양백, 백동, 베릴륨동(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두께가 10 ~ 500㎛인 금속시트일 수 있다.
또한, 이격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거리인 보강부의 길이는 1 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플레이크 형상인 방열필러들 및 상기 방열필러 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필러는 금속 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성분은 고무계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평균입경이 4 ~ 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접합부 전체 중량 기준 필러들이 80 ~ 96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성분 중 일부는 탄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사이의 거리인 접합부의 길이는 0.1mm ~ 2m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1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은 적어도 제1탄소계시트와 제2탄소계시트가 적층된 다층시트이며, 제1탄소계시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길이와 제2탄소계시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두께방향으로 최상부에 배치되는 제1열전달부재 및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2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상기 열전달부재가 멀티레이어를 형성하며, 제2열전달부재의 보강부 길이는 제1열전달부재의 보강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열전달부재는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의 어느 일면에 배치된 신축성 필름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달부재가 피착면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부재가 어느 일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에는 밴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 중 어느 한 구조물 측의 열을 다른 구조물 측으로 전달시키는 열전달 어셀블리로서, 제1면을 가지는 제1구조물, 상기 제1면과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한 제2면을 가지는 제2구조물, 및 두께방향 어느 일면 상에 열전달부재 내 제1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제1구조물의 제1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며, 상기 일면 또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 상에 열전달부재 내 제2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2구조물의 제2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도록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시트를 구비하는 열전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은 각각 히트싱크, 방열판, 회로기판, 브라켓, 디스플레이 패널, 배터리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밴딩'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구부려지거나 완전히 구부려져 일면이 서로 맞접하도록 접히거나 일면이 특정 각도를 이루는 두 부분으로 접히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완전하게 감기는 것(예를 들어 롤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달시트는 크랙 등의 손상 없이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거나 높이 단차가 있는 서로 이격된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는 우수한 밴딩 및/또는 폴딩 특성을 가진다. 또한, 매우 뛰어난 열전달 특성을 가짐에 따라서 발열원이 있는 구조물에서 이격된 다른 구조물로 열을 매우 빠르게 전달하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서 발열로 인한 전자기기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X-X' 경계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Y-Y' 경계선에 대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Z-Z' 경계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를 제조하는 공정모식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에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홀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에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홀 패턴을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의 단면도,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시트(100)는 열전달부(10), 보강부(20) 및 접합부(30)를 포함하는 열전달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열전달부(10)는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는 통상적인 방열시트에 사용되는 판상의 방열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금속시트 또는 탄소계 시트일 수 있으나 제1부재(11)에서 제2부재(12) 또는 제2부재(12)에서 제1부재(11)로의 빠른 열전달을 위해서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는 수평방향의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탄소계 시트일 수 있다. 상기 탄소계 시트는 일 예로 천연 그라파이트 시트,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 및 그래핀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계 시트는 이들 중 어느 1종이 1장 구비되거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소계 시트가 2장 이상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는 각각 제1탄소계시트(11a,12a)와 제2탄소계시트(11c,12c)가 적층된 다층시트이며, 이때 제1탄소계시트(11a,12a)와 제2탄소계시트(11c,12c) 사이에는 접착층(11b,12b)이 개재되어 탄소계 시트가 고정될 수 있다.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각각의 두께가 소정의 값을 가질 때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1장의 탄소계 시트가 구비되는 것에 대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장의 탄소계 시트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이 열전달 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제1탄소계시트(11a,12a)와 제2탄소계시트(11c,12c)는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이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제1탄소계시트(11a,12a)에 대응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부분(이하 '제1부분'이라 함)의 길이(W1)와 제2탄소계시트(11c,12c)에 대응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부분(이하 '제2부분'이라 함)의 길이(W2)를 상이하게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밴딩특성 및 열전달 특성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달시트(101)가 밴딩될 때 외측이 되는 두께방향 어느 일면(S2) 측은 밴딩되는 보강부(20) 내 가상의 밴딩선, 즉 밴딩될 때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이 가장 큰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인장력이 우세하고, 반대로 내측이 되는 두께방향 다른 일면(S1)은 상기 밴딩선을 중심으로 압축력이 우세하게 작용할 수 있는데, 인장력이 우세하게 작용되는 쪽의 일면(S2)에 가까운 접합부(30)의 제1부분 길이(W2)를 반대되는 일면(S1)에 가까운 접합부(30)의 제2부분 길이(W1)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인장력에 의한 제1탄소계시트(11a,12a), 접합부(30), 및 보강부(20) 간의 계면에서 분리 발생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전달 특성 감소를 방지하며, 반대로 더 큰 수준의 밴딩에도 접합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밴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30)의 제2부분 길이가 제1부분보다 짧아진다는 것은 제2탄소계시트(11c,12c)의 길이가 더 길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는 동종의 재질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이 이종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종의 재질로 구현되나 물성,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동일하거나, 또는 동종의 재질이나 물성, 예를 들어 열용량이 다르게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가 다층시트일 경우 제1부재(11') 내 제1탄소계시트(11a)와 제2부재(12') 내 제2탄소계 시트(12a)는 동종의 재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종의 재질일 수 있다. 또는 동종의 재질이나 물성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10 ~ 500㎛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는데, 만일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해 가해지는 외력에 손상되기 쉬우며, 만일 두께가 500㎛를 초과 시 경박단 소형화되는 추세에 역행할 수 있어서 적합하지 않고, 재질에 따라서 이와 같은 두께로 단일의 판상형 시트를 제조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부(20)는 상술한 열전달부(10)의 제1부재(11)와 제2부재(12) 사이에 배치되며,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서로 다른 높이 또는 면방향이 되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밴딩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는 재질에 따라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휨을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나 유연성을 가지기 어려우며, 가상의 선인 밴딩 선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로 접히는 특성은 더더욱 가지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그라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시트로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가 구성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금속 시트에 대비해 매우 뛰어난 열전달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밴딩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부족하고, 특정 각도로 접혀지기는 더더욱 어려워서 다양한 위치관계로 이격된 구조물에 양 단부가 각각 부착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외력을 견디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사이에 보강부(20)를 구비함을 통해서 외력에 의한 밴딩 특성이 약하거나 미약한 재료를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강부(20)를 통해서 열전달시트가 밴딩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밴딩될 수 있는 공지의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판상의 금속시트일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는 쉽게 구부러지거나 탄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구리, 알루미늄,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양백, 백동, 베릴륨동(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평열전도 특성, 밴딩을 고려했을 때 구리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는 압연박, 인조박 또는 전해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는 두께가 10 ~ 500㎛일 수 있고, 만일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밴딩에 의해 쉽게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중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의 열 전달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보강부(20)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는 경우 밴딩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보강부(20)의 두께는 상술한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목적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는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가 이격된 방향, 예를 들어 도 1에서 X-X' 경계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 거리인 길이(ℓ1)가 목적하는 밴딩 수준, 이로 인해 보강부(20)에 형성될 곡률반경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보강부(20)의 길이(ℓ1)는 1 ㎜ 이상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밴딩특성을 발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1부재(11,11')와 보강부(20) 사이 및 상기 제2부재(12,12')와 보강부(2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각각과 보강부(20) 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접합부(30)는 이종의 재질과 특성을 가지는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각각과 보강부(20) 간을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지면서 열계면물질(TIM)로써 기능해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중 어느 일방에서 전달되는 열을 보강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방열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합부(30)는 접합 기능과 열계면물질(TIM)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된 공지의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접합부(30)는 다수 개의 금속필러와 금속필러 간을 접합시키는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부(30)는 접합부 형성조성물을 통해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 형성조성물은 고분자화합물인 바인더 성분, 방열필러,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화합물이 일부 또는 전부 경화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접합부 형성조성물은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성분은 접착수지로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일 수 있고, 일 예로 고무계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즈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부티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수지는 이소프렌 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 아크릴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경화제는 선택되는 바인더 성분 종류를 고려해 함께 사용되는 공지의 경화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테르피네올, 알파-테르피네올, 디하이드로 테르피네올, 디하이드로 터피닐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BC)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아세테이트(BCA)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또한, 기타 첨가제의 경우 분산제,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필러는 공지의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계 분말, 또는 니켈, 은, 팔라듐, 백금, 구리 및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분말, 2종 이상의 금속분말 혼합물, 2종 이상의 합금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필러는 플레이크 형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바인더수지를 통해 접합되는 방열필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밴딩 시 발생하는 인장력에도 접합부에 크랙 등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면서 방열필러 함량을 증가시키기 유리해 어느 일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높은 효율로 보강부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플레이크 형상의 방열필러의 면방향이 서로 겹쳐지면서 접합부의 두께방향으로 스택됨에 따라서 열전달 특성 및 접합특성을 개선시키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다만, 플레이크 형상의 방열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열전달 특성 및 접합특성 상 탄소계 플레이크 보다는 금속 플레이크가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평균입경이 4 ~ 12㎛일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보다 상승된 열전달 특성 및 접합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입경은 레이저 회절 광산란법에 의한 입도측정에 기초하는 값으로서 체적 기준의 입경이며, 평균입경은 체적 기준 입도분포에서 입경이 작은 측으로부터 누적빈도 50체적%에 해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열필러는 접합부 전체 중량 기준 8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9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6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90 ~ 96중량%로 함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전달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접합특성을 발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술한 접합부 형성 조성물로 형성된 접합부(30)는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 각각과 보강부(20) 사이의 거리인 길이(ℓ2)가 0.1 ~ 2㎜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1㎜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만일 길이가 0.1㎜ 미만일 경우 접합부 형성 조성물이 충진되기 어려워서 이를 통해 형성된 접합부로 부재와 보강부 간 접합특성을 발현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길이가 2mm를 초과 시 열전달 특성이 저하되고, 접합부에서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접합부(30)는 열전달 특성의 개선을 위하여 열전달부재(40) 또는 열전달시트(100) 상태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일 예로 150 ~ 250℃ 온도에서 5 ~ 60분 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접합부(30)가 열처리 된 것은 열처리로 인해서 바인더 성분인 고분자화합물의 일부가 탄화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열전달시트(100,101)는 상술한 열전달부재(40)의 두께방향 어느 일면을 피복하는 커버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외부로부터 상술한 열전달부재(40)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한편, 보강부(30)의 밴딩 특성을 고려 시 상기 커버부재(60)는 신축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신축성 필름은 일 예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TPA), 열가소성 플라스틱 코폴리에스테르(TPC) 등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로 제조된 필름이거나 실리콘 함유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60)는 특히 열전달부재(40)의 측면을 덮도록 넓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열전달부(10)의 재질,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시트가 열전달부(10)로 구비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분말이 전자기기 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필름은 두께가 5 ~ 50㎛일 수 있다. 만일 신축성 필름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 보호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50㎛를 초과 시 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60)는 신축성 필름을 열전달부재(40)의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층(또는 점착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또는 점착층)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접착층(또는 점착층)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 카르복실 니트릴 엘라스토머, 페녹시 및 폴리이미드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수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를 구비하는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 형성 조성물은 상기 접착성분이 경화형 수지인 경우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서 경화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화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계 경화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2차 아민계 경화제, 3차 아민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이소시안산계 경화제 및 페놀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또는 점착층)은 두께가 3 ~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시트(100)는 상술한 제1부재(11,11') 및 제2부재(12,12') 각각이 피착면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부재(50)를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 각각에 대응하는 어느 일면 상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점착부재(50)는 점착층(52) 및 상기 점착층(52)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착부재(50')는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머 필름층(53)의 양면에 점착층(52)이 구비된 양면 점착테이프 및 어느 일 점착층(52) 상에 부착된 이형필름(51)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점착부재(50)는 점착부재(50)로 인한 밴딩 특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보강부(20) 내 밴딩선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영역 상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딩 특성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하여 열전달시트(102)의 보강부(21)는 다수 개의 홀(H)이 형성되거나, 열전달시트(103)의 보강부(22)에는 다수 개의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홈(G)에 대비해 밴딩 특성을 더 개선시키기에 유리하나 타공된 부분으로 인한 열전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비해 홈(G)은 홀(H)에 대비해 보강부(22) 두께 방향으로 일부분은 연속되므로 수평방향 열전달 특성을 유지하면서 밴딩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홀(H) 또는 홈(G)은 보강부(21,22)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한 횡단면 모양이 정형화된 다각형이나, 폐곡선일 수 있고, 또는 비정형화된 다각형이나 폐곡선일 수 있다. 일 예로 횡단면 모양은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방향을 길게 연장되되 끝 단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테이퍼드 형상,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또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가 밴딩되면서 내측은 압축, 외측은 인장될 때 홀(H) 또는 홈(G)이 인장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길게 연장된 모양일수록 신장에 유리하며, 마름모 형상과 같이 각진 모양의 홀(H) 또는 홈(G)의 경우 인장 시 각진 부분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모양의 홀(H) 또는 홈(G)이 더 잘 신장되면서 크랙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도 7a에 도시된 모양의 홀(H)이나 홈(G)이 다른 모양에 대비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H)이나 홈(G)의 종단면은 도 4b 및 5b와 같이 두께방향에 평행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방향으로 종단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홀(H) 또는 홈(G)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다수 개의 홀(H) 또는 홈(G)은 보강부(21,22) 내 위치에 관계 없이 랜덤하게 형성되거나 도 8a 또는 도 8b에 형성된 것과 같이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밴딩이나 폴딩에 따른 외력을 가장 크게 받는 부분과 이보다 적게 외력을 받는 부분을 고려해서 홀(H) 또는 홈(G)의 개수, 크기 및/또는 홀(H) 또는 홈(G) 간 간격을 영역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보강부(21,22)에 홀(H) 또는 홈(G)이 형성된 열전달시트(101,102)는 보강부의 재질을 고려해 홀(H) 또는 홈(G)을 형성시킬 수 있는 공지의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부(21,22)에 레이져를 조사해 조사량 조절을 통해서 홀(H) 또는 홈(G)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칼금형 타발, 통상적인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 방법을 이용해 보강부(21,22)에 홀(H) 또는 홈(G)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홀(H)을 보강부(21)에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을 통해서 형성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면에 이형필름(1)이 부착된 미타공 보강부(20) 상에 포토레지스트층(2)을 형성시킨 뒤(도 6(a)), 포토레지스트층(2)에 원하는 타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원하는 패턴이 새겨진 마스크(3)를 이용해 UV를 통해 노광시키고(도 6(b)), 노광된 포토레지스트 패턴 부분(C)만을 남기고 미노광된 포토레지스트 부분은 제거한 뒤(도 6(c)), 노광된 포토레지스트 패턴 부분(C)을 따라서 보강부(20)를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해서(도 6(d)), 타공된 보강부(21)를 제조할 수 있다(도 6(e)). 한편, 도 6는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를 도시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해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식식각은 일 예로 RIE 및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습식식각은 보강부의 재질을 고려해 HF 용액, KOH 용액 등 공지된 식각용액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a 또는 도 5b에 따른 열전달시트(102,103)의 경우 밴딩특성을 더욱 개선한 실시예인데, 열전달 특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전달부재를 다수 개로 포함시켜서 멀티레이어로 구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열전달시트(104)는 열전달부재(40,70)가 2개 포함된 경우인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허용되는 두께범위 및 구현해야 하는 밴딩 수준을 고려해서 내에서 열전달부재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열전달부재를 멀티레이어로 구성시켜서 열전달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는 전체 열전달부재의 두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열전달부재를 단일층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비해 동일한 두께를 구현하도록 각각의 열전달부재의 두께를 줄여 다수 개 구비시킨 경우에서도 발현됨을 밝혀둔다.
한편, 열전달부재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최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와 최하부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는 밴딩되는 방향에 따라서 받는 힘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열전달시트(104)가 밴딩 시, 제1면(S1)이 내측이 되고, 제2면(S2)이 외측이 되는 경우 제1면(S1)에는 밴딩선을 기준으로 압축력이 작용하고, 반대로 제2면(S2)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해 인장력이 작용하는 측에 배치되는 제1열전달부재(40) 내 접합부의 길이 보다 압축력이 작용하는 측에 배치되는 제2열전달부재(70) 내 접합부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또는 접합부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접합부는 열전달 측면에서 열전달부와 보강부 사이를 가교하는 다리역할을 수행하는데 조성 상 열전달 효율이 열전달부나 보강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수 및 재료비는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제1부재(13) 및 제2부재(14) 각각과 보강부(23) 간에 계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더라도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 각각의 계면이 밀착됨에 따라서 접합부 없이도 열 전달이 가능할 수 있고, 열전달시트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측에 배치되는 제1열전달부재(40) 내 보강부(20)의 길이 보다 압축력이 작용하는 측에 배치되는 제2열전달부재(70) 내 보강부(23)의 길이를 짧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측의 경우 곡률반경이 인장력이 작용하는 측보다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보강부(23)를 구성시킬 수 있고, 수평 열전도도가 보강부보다 제1부재(13) 및 제2부재(14)가 더 클 경우 길이가 짧아지는 보강부(23)로 인해 상대적으로 제1부재(13) 및 제2부재(14)는 그 만큼 길이가 늘어가게 되어 수평방향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다.
한편, 열전달부재(40,70)가 멀티레이어를 형성하는 경우 열전달부재(40,70) 사이에는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층(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80)은 공지된 접착제를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착층(80)은 열전달부재(40,70) 간 두께방향으로의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방열필러를 함유한 방열접착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시트(100,101,102,103,104)는 서로 이격된 구조물, 특히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서로 이격된 제1구조물의 제1면 및 제2구조물의 제2면 각각에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되어 제1면 측의 열을 제2면 측으로 전달시키는 열전달시트로써 유용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열전달시트(100,101,102,103,104)를 이용해 상호 이격된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 중 어느 한 구조물 측의 열을 다른 구조물 측으로 전달시키는 열전달 어셀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달 어셈블리는 제1면을 가지는 제1구조물, 상기 제1면과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한 제2면을 가지는 제2구조물, 및
상기 제1구조물의 제1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2구조물의 제2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달부,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열전달부가 부착되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밴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1부재와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100,101,102,103,104)를 구비하여 구현된다.
이를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전달 어셀블리(1000,1001,1002)는 상호 이격된 제1구조물(401,411,421) 및 제2구조물(402,412,422)을 포함하는 구조물(400,410,420) 및 열전달시트(100)를 포함하고, 제1구조물(401,411,421) 측에 열전달시트(100)의 제1부재가 맞접하고, 제2구조물(402,412,422) 측에 열전달시트(100)의 제2부재가 맞접하여 열전달시트(100)를 매개로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 중 어느 한 구조물 측의 열을 다른 구조물 측으로 전달하는 방열구조를 가진다.
특히,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조물(401) 및 제2구조물(402) 간에 상부면의 면방향은 동일하나 구조물의 높이 단차가 있는 경우나,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조물(421)의 상부면 및 제2구조물(422)의 하부면의 면방향은 동일하나 구조물이 서로 다른 평면에 존재하는 경우, 또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조물(411) 및 제2구조물(412) 간에 면방향이 상이하고 서로 다른 평면에 존재하는 경우에 제1구조물(401,411,421) 및 제2구조물(402,412,422)에 동시에 부착되는 열전달시트(100)에는 외력이 가해지는데, 열전달시트(100)가 갖는 밴딩 및/또는 폴딩 특성으로 인해서 열전달시트(100)의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없이 제1구조물(401,411,421) 및 제2구조물(402,412,422) 중 어느 일 측의 열을 타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구조물(401,411,421) 및 제2구조물(402,412,422)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트싱크, 방열판, 회로기판, 브라켓, 디스플레이 패널, 배터리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밖에 열거되지 않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공지된 부품 역시 구조물이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1001,1002: 열전달 어셈블리
100,101,102,103,104: 열전달시트 10: 열전달부
20,21,22,23: 보강부 30: 접합부
40,70: 열전달부재
50: 점착부재 60: 커버부재

Claims (22)

  1.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로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달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 또는 면방향이 되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밴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1부재와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시트는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면 및 제2면 각각에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되어 제1면 측의 열을 제2면 측으로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그라파이트 시트,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 및 그래핀 시트 중 1종의 탄소계 시트, 또는 1종의 탄소계 시트 또는 2종 이상의 탄소계 시트가 구비된 다층시트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10 ~ 500㎛인 열전달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구리, 알루미늄,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양백, 백동, 베릴륨동(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시트인 열전달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두께가 10 ~ 500㎛인 금속시트인 열전달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이격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거리인 보강부의 길이는 1 mm 이상인 열전달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플레이크 형상인 방열필러들 및 상기 방열필러 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성분을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필러는 금속 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성분은 고무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평균입경이 4 ~ 12㎛인 열전달시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접합부 전체 중량 기준 필러들이 80 ~ 96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는 열전달시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성분 중 일부는 탄화된 것인 열전달시트.
  13. 제8항에 있어서,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과 보강부 사이의 거리인 접합부의 길이는 0.1mm ~ 2mm인 열전달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은 적어도 제1탄소계시트와 제2탄소계시트가 적층된 다층시트이며, 제1탄소계시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길이와 제2탄소계시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합부 길이는 서로 상이한 열전달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최상부에 배치되는 제1열전달부재 및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2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상기 열전달부재가 멀티레이어를 형성하며,
    제2열전달부재의 보강부 길이는 제1열전달부재의 보강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열전달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달부재는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시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의 어느 일면에 배치된 신축성 필름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가 피착면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부재를 어느 일면 상에 더 포함하는 열전달시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는 밴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수 개 형성된 열전달시트.
  20. 상호 이격된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 중 어느 한 구조물 측의 열을 다른 구조물 측으로 전달시키는 열전달 어셀블리로서,
    제1면을 가지는 제1구조물;
    상기 제1면과 면방향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한 제2면을 가지는 제2구조물; 및
    두께방향 어느 일면 상에 열전달부재 내 제1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제1구조물의 제1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며, 상기 일면 또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 상에 열전달부재 내 제2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2구조물의 제2면 전부 또는 일부와 맞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전달시트;를 구비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은 각각 히트싱크, 방열판, 회로기판, 브라켓, 디스플레이 패널, 배터리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인 열전달 어셈블리.
  22. 제20항에 따른 열전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220016197A 2022-02-08 2022-02-08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KR20230119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97A KR20230119890A (ko) 2022-02-08 2022-02-08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PCT/KR2023/001804 WO2023153791A1 (ko) 2022-02-08 2023-02-08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97A KR20230119890A (ko) 2022-02-08 2022-02-08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90A true KR20230119890A (ko) 2023-08-16

Family

ID=8756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197A KR20230119890A (ko) 2022-02-08 2022-02-08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890A (ko)
WO (1) WO20231537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366A (ko) 2015-03-30 2016-10-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전도도가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9113B2 (en) * 2018-04-13 2020-03-03 Dell Products L.P. Graphite thermal conduit spring
KR102640261B1 (ko) * 2018-11-12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93582B1 (ko) * 2019-01-03 2021-08-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시트 제조방법
KR20200129880A (ko) * 2019-05-10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16893A (ko) *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폴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366A (ko) 2015-03-30 2016-10-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전도도가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91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9692B1 (en) Flexible circuit board
TWI437949B (zh) A wiring board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 heat dissipation method of a wiring board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US7443678B2 (en) Flexible circuit board with heat sink
US7505275B2 (en) LED with integral via
JP5460110B2 (ja)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ラジエ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形成方法
EP2009966A1 (en) Multi-layer electrically isolated thermal conduction structure for a circuit board assembly
CN1665027A (zh) 半导体器件
WO2012033896A1 (en) Thermally pyrolytic graphite laminates with vias
TWI618470B (zh) 印刷線路板
KR20130105021A (ko) 방열시트
TW201318501A (zh) 彎折式印刷電路板之製造方法
WO2013142580A1 (en) Application of dielectric layer and circuit traces on heat sink
KR102001719B1 (ko) 금속 복합시트
JP2004322649A (ja) 高導熱及び電磁遮蔽機能を備えた複合材構造
KR20070057356A (ko) 열전도성 및 전기절연성이 향상된 전자부품용 방열패드
KR102627619B1 (ko) 다층 이방성 전도 필름
KR20230119890A (ko) 열전달시트,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JP4823891B2 (ja) 放熱シート
KR101992749B1 (ko) 멀티 히트 스프레더
TWI533766B (zh) 具有堆疊式撓性互連之可撓性電路組件及其連接器組件
JP5072283B2 (ja) 回路基板
US11224117B1 (en) Heat transfer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an SMPS by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JP2017059616A (ja) 電子部品、接着シート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230119891A (ko) 열전달부재,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어셈블리 및 전자기기
WO2022054691A1 (ja) 放熱構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