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818A -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 Google Patents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818A
KR20230119818A KR1020220016024A KR20220016024A KR20230119818A KR 20230119818 A KR20230119818 A KR 20230119818A KR 1020220016024 A KR1020220016024 A KR 1020220016024A KR 20220016024 A KR20220016024 A KR 20220016024A KR 20230119818 A KR20230119818 A KR 2023011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mbinant
recombinant protein
vaccine composition
protein
i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박병용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818A/ko
Publication of KR2023011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 C07K14/245Escherichia (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58Escheric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 C07K14/25Shigella (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에 관한 것으로, 현저한 항체 역가를 유도하여 돼지에게 부종병에 대한 면역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돼지, 특히 자돈의 부종병 예방을 위한 백신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대장 상피세포 내 흡수 효과를 나타내므로, 재조합 단백질과 융합된 다양한 운반 대상체를 경구 투여 경로를 통하여 대상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경구용 전달 시스템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Recombinant Stx2e Protein, Swine Edema Disease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Oral Dosage Form}
본 발명은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및 전 세계적으로 사람 및 반려동물 그리고 가축에 있어 백신 및 치료제의 투여 경로를 경구로 투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사람의 경우에는 주사 공포감 내지는 부작용 우려로 인해 주사를 꺼리는 분위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경우에도 사람에서와 비슷한 주사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축산 농가에서는 주사는 전문가가 필요한데 최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축산 농가에 경제적 부담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손쉽게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전달 시스템 개발을 원하고 있으며 또한 경구용 전달 시스템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축산 산업에 있어 경제적 손실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포유 시기에 소화기 질병에 의한 설사로 인한 폐사 및 사료 효율의 저하에 따른 증체율 저하의 결과이다. 이처럼 축산 산업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소화기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예방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소화기 점막은 대다수의 질병 유발 병원성 미생물과 처음으로 접하는 장소임과 동시에 이들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을 방어하는 최전방으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이유 후에는 호흡기 질환 및 전신성 질환으로 인한 피해가 축산 농가에 경제적인 손실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Stx2e는 rRNA N-글리코시다아제 활성을 갖는 A subunit(Stx2eA)과 수용체(globotetraosyl ceramide(Gb4))와 결합하는 오량체의 B subunit(Stx2eB)으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AB5형의 독소 단백질이다. 장관으로부터 흡수된 Stx2e는 오량체의 B subunit에 의해 혈관 내피세포 등의 세포와 결합하고 endosome 형태로 세포내로 흡수된 후 Stx2e의 A subunit이 리보솜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부종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돼지 부종병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백신, 이의 경구투여 제형 및 경구용 전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33120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모돈 또는 자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예방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말단에 운반 대상의 카고(cargo)가 결합되어 있는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을 대상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의 카고를 대상체 내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효과적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투여가 가능하므로, 백신 투여 경로의 다변화를 통한 종래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제약 극복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상피세포 내로 쉽게 흡수될 수 있으므로, 종래 경구투여에 의해 흡수가 어려웠던 물질도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과 융합됨으로써 경구투여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돼지 부종병에 대해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상피세포 내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백신"은 생체에 면역을 주는 항원을 함유한 생물학적인 제제로서, 감염증의 예방을 위하여 사람이나 동물에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함으로써 생체에 면역이 생기게 하는 면역원 또는 항원성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안정제, 유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리포솜, 이스콤(iscom) 보조제, 합성 글리코펩티드, 증량제, 카복시폴리메틸렌, 서브바이랄(subviral) 입자 보조제, 콜레라 독소, N,N-디옥타데실-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프로판디아민,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및 드립 (drip) 또는 스프레이 등의 비강용 제형 그리고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레시틴 유사 유화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제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 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강내 투여를 위한 제제에 적합한 침투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적합한 제형물은 안정성과 순응도를 위해 바람직하게 무균, 등장 및 완충되도록 제형화된다. 비강내 투여를 위한 제제는 또한 정상적인 섬모 작용을 유지시키기 위해 점액 분비를 여러 측면에서 자극하도록 제조되며,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8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199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pH 5.5 내지 6.5를 유지하는 등장성의 완충된 제형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항미생물 방부제 및 적합한 약물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수산화 알루미늄, GEL 01, GEL 02, IMS 1313(VG), IMS 1313(VG N), ISA 15A(VG), ISA 28R(VG), ISA 35(VG), ISA 201(VG), ISA 206(VG), ISA 660(VG), 기름속 수형 에멀젼(물-in-oil emulsion), 불완전 프로인트항원보조제(불완전한 Freund’s adjuvant), 백반(alum),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Toll-like 수용체 작용제(Toll-like receptor agonist), 면역자극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및 생물학적 보조제(biological adjuv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adjuva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담체 또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수산화 알루미늄, GEL 01, GEL 02, IMS 1313(VG), IMS 1313(VG N), ISA 15A(VG), ISA 28R(VG), ISA 35(VG), ISA 201(VG), ISA 206(VG), ISA 660(VG), 기름속 수형 에멀젼(water-in-oil emulsion), 불완전한 프로인트항원보강제(Freund's adjuvant), 백반(alum),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Toll-like 수용체 작용제(agonist), 면역자극성(Immunostimulatory) 올리고뉴크레오티드 또는 생물학적 보조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IMS 1313(VG)일 수 있다. 상기 담체란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원 보강제, 안정제, 희석제, 보존제,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성 작용제, 흡착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백신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글리세린,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부피 1㎖를 기준으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1㎍ 내지 2000㎍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백신 조성물 부피 1㎖를 기준으로 1㎍ 내지 2000㎍ 포함되어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포함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돼지는 모돈 또는 자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또는 근육 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자돈 또는 모돈에 접종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돈에 접종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돼지의 무게,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모돈 또는 자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2주 간격으로 2회 접종되어 부종병에 대한 효과적인 면역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예방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을 원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가축에 허용되는 곡류 및 그 부산물 등의 공지된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말단에 운반 대상의 카고(cargo)가 결합되어 있는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고(cargo)”는 상피세포 내로의 흡수 효과가 우수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에 결합하여 세포 내로 운반될 수 있는 화학물질, 작은 분자, 폴리펩티드, 핵산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의 말단에 결합된 운반 대상의 카고(cargo)는 상피세포를 매우 높은 효율로 투과하고, 세포 내에서 세포질 및 핵에 잔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운반 대상의 카고는 화학물질, 폴리펩티드, 핵산, 탄수화물 또는 지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는 물질, 즉 카고(cargo)가 될 수 있는 물질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폴리펩티드), 핵산(폴리뉴클레오티드), 화학 물질(약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약물, 조영제(예를 들어, T1 조영제, 초상자성 물질과 같은 T2 조영제, 방사성 동위 원소 등), 형광 마커, 염색 물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펩티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잔기로 구성되는 아미노산의 중합체로 펩티드 및 단백질을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세포 불멸에 관여하는 단백질(예를 들어, SV40 라지 T 항원 및 텔로머라아제), 항-아폽토틱 단백질(예를 들어, 돌연변이 p53 및 BclxL), 항체, 암유전자(예를 들어, ras, myc, HPV E6/E7 및 아데노바이러스 Ela), 세포 주기 조절 단백질(예를 들어, 사이클린 및 사이클린 의존성 인산화효소) 또는 효소(예를 들어, 녹색 형광 단백질, 베타-갈락토시다아제 및 클로람페니콜 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핵산은 예를 들어, RNA, DNA 또는 cDNA가될 수 있으며, 핵산의 시퀀스는 암호화 부위 서열 또는 비암호화 부위 서열(예를 들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siRNA)이 될 수 있다. 핵산 카고로서의 뉴클레오티드는 표준 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아데노신, 시토신, 구아닌, 티민, 이노신 및 우라실) 또는 아날로그(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일수 있다. 예를 들어, 핵산 카고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안티센스 시퀀스 또는 RNAi일 수 있다.
한편, 카고가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은 인 비트로(in vitro) 또는 인 비보(in vivo)에서 세포막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면 단백질과 결합된 카고는 세포 내로 운반된다. 상기 재조합 단백질과 상피세포막의 접촉에서 특별하게 요구되는 조건, 예를 들어, 제한적인 시간, 온도 및 농도 등의 조건은 없으며, 당업계에서 세포막 투과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을 대상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의 카고를 대상체 내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운반 대상의 카고는 화학물질, 폴리펩티드, 핵산, 탄수화물 또는 지질일 수 있다.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에 따르면, 현저한 항체 역가를 유도하여 돼지에게 부종병에 대한 면역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돼지, 특히 자돈의 부종병 예방을 위한 백신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대장 상피세포 내 흡수 효과를 나타내므로, 재조합 단백질과 융합된 다양한 운반 대상체를 경구 투여 경로를 통하여 대상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경구용 전달 시스템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재조합 MBP-TEV-eGFP-HJP1 단백질 발현 재조합 벡터 pMAL-c5X의 모식도이다.
도 2는 Stx2eB 단백질 발현 재조합 발현 pET30a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MBP-TEV-eGFP-HJP1-Stx2eB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SDS-PAGE 결과(M: 마커, (-) IPTG : IPTG 처리 전, (+) IPTG: IPTG 처리 후, A: 재조합 MBP-TEV-eGFP-HJP1, B: 재조합 Stx2eB 단백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정제 및 농축된 재조합 eGFP-HJP1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웨스턴 블롯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재조합 단백질이 in vitro 상에서 장관 내로 흡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A: 재조합 eGFP-HJP1 단백질을 1시간 반응(저배율 사진), B: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을 1시간 반응(저배율 사진) 및 녹색 형광색을 띄는 재조합 단백질이 세포내외에 흡착 및 흡수, C: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을 1시간 반응(고배율 사진), D: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을 1시간 반응(고배율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자돈에 경구투여한 후,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에 대한 혈청 IgG 항체역가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박테리아 균주, 플라스미드 및 균주 배양 조건
부종병 의심 자돈으로부터 분리된 야생형 Stx2e+ F18+ STEC 균주인 STEC150229 및 HJL573을 도전감염 균주로 준비하였으며, E.coli BL21(DE3)를 pMAL-c5x-MBP-TEV-eGFP-HJP1(도 1) 및 pET30a-Stx2eB(도 2)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시켜 재조합 HJP1 균주를 제조하였다(표 1). HJP1은 Stx2eA의 215번 내지 319번째의 아미노산 단편이다. STEC150229, HJL573 및 HJP1 균주는 LB 액체배지(Luria-Bertani broth;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미국) 또는 LB 한천배지에서 37℃로 배양되었다.
eGFP-HJP1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1)
MVSKGEELFTGVVPILVELDGDVNGHKFSVSGEGEGDATYGKLTLKFICTTGKLPVPWPTLVTTLTYGVQCFSRYPDHMKQHDFFKSAMPEGYVQERTIFFKDDGNYKTRAEVKFEGDTLVNRIELKGIDFKEDGNILGHKLEYNYNSHNVYIMADKQKNGIKVNFKIRHNIEDGSVQLADHYQQNTPIGDGPVLLPDNHYLSTQSALSKDPNEKRDHMVLLEFVTAAGITLGMDELYKAPEDVDLTLNWGRISNVLPEYRGEAGVRVGRISFNNISAILGTVAVILNCHHQGARSVRAVNEESQPECQITGDRPVIKINNTLWESNTAAAFLNRKSQSLYTTGE
Stx2eB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2)
KKMFIAVLFALVSVNAMAADCAKGKIEFSKYNEDNTFTVKVSGREYWTNRWNLQPLLQSAQLTGMTVTIISNTCSSGSGFAQVKFN
플라스미드 내 eGFP-HJP1 발현 핵산 서열(서열번호 3)
CATATGGTTAGCAAAGGCGAGGAACTGTTTACCGGCGTGGTGCCGATTCTGGTGGAACTGGATGGCGATGTTAATGGTCACAAATTCAGCGTTAGCGGCGAGGGCGAAGGTGACGCGACCTACGGCAAGCTGACCCTGAAATTCATCTGCACCACCGGCAAACTGCCGGTGCCGTGGCCGACCCTGGTTACCACCCTGACCTACGGTGTTCAGTGCTTTAGCCGTTATCCGGACCACATGAAGCAACACGATTTCTTTAAAAGCGCGATGCCGGAGGGTTACGTGCAGGAACGTACCATCTTCTTTAAGGACGATGGCAACTATAAAACCCGTGCGGAAGTGAAGTTCGAAGGCGACACCCTGGTTAACCGTATCGAGCTGAAGGGTATTGACTTTAAAGAAGATGGCAACATTCTGGGTCACAAGCTGGAGTACAACTATAACAGCCACAACGTGTATATCATGGCGGATAAGCAGAAAAACGGTATCAAGGTTAACTTCAAGATCCGTCACAACATTGAGGACGGTAGCGTGCAACTGGCGGATCACTACCAGCAAAACACCCCGATTGGTGATGGTCCGGTTCTGCTGCCGGATAACCACTATCTGAGCACCCAGAGCGCGCTGAGCAAGGACCCGAACGAGAAACGTGATCACATGGTGCTGCTGGAGTTCGTTACCGCGGCGGGCATCACCCTGGGTATGGACGAGCTGTACAAAGCGCCGGAGGACGTGGACCTGACCCTGAACTGGGGTCGTATTAGCAACGTTCTGCCGGAGTATCGTGGCGAAGCGGGTGTGCGTGTTGGCCGTATCAGCTTTAACAACATCAGCGCGATTCTGGGCACCGTGGCGGTTATTCTGAACTGCCATCACCAAGGCGCGCGTAGCGTGCGTGCGGTTAACGAGGAAAGCCAGCCGGAGTGCCAAATTACCGGCGATCGTCCGGTGATCAAGATTAACAACACCCTGTGGGAAAGCAACACCGCGGCGGCGTTTCTGAATCGTAAGAGCCAAAGCCTGTACACCACCGGCGAGTAAGGATCC
플라스미드 내 Stx2eB 발현 핵산 서열(서열번호 4)
catatgaagaagatgtttatagcggttttatttgcattggtttctgttaatgcaatggcggcggattgtgctaaaggtaaaattgagttttccaagtataatgaggataatacctttactgtgaaggtgtcaggaagagaatactggacgaacagatggaatttgcagccattgttacaaagtgctcagctgacagggatgactgtaacaatcatatctaatacctgcagttcaggctcaggctttgcccaggtgaagtttaactgagcggccgcactcgag
실시예 2.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재조합 HJP1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 및 카나마이신(Kanamycin)이 포함된 100㎖의 LB 배지에 접종하여 37℃ 온도에서 200rpm 속도로 밤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 10㎖를 암피실린 및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 1L에 접종하여 O.D. 600 값이 0.5가 될 때까지 20℃ 온도에서 200rpm 속도로 배양하였다. IPTG(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Duchefa)를 최종농도 0.5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20℃ 온도에서 150rpm 속도로 20시간 동안 배양하여 재조합 MBP-TEV-eGFP-HJP1-Stx2eB 단백질의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된 세포들을 4℃, 5,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농축한 다음 20㎖ 용균 버퍼(lysis buffer)(10mM Tris, 1M NaCl, pH8.0)로 재부유하고, French press 방법으로 파쇄하였다. 4℃에서 12,000rpm으로 25분간 원심분리하여 용출액 중 수용성 단백질을 농축하였고, AKTA prime FPLC system(GE healthcare, USA)에 연결되어 있는 아밀로즈 컬럼(amylose column)을 이용하여 1차 정제한 다음, TEV 프로테이나제(proteinase)로 재조합 MBP-TEV-eGFP-HJP1-Stx2eB 단백질의 TEV를 절단하고, 이온 교환 컬럼 (ion exchange column)으로 2차 정제하여 순수한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을 얻었다. 순수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을 SDS-PAGE로 확인하여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이 함유된 부분을 모은 후, 정제된 표적(target) 단백질을 buffer C(PBS buffer, GE healthcare, USA)를 이용하여 투석하고, centrcon(cut-off 30 kDa, Amicon, Millipore, Germany)을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그 후, 농축된 재조합 eGFP-HJP1-Ste2eB 단백질의 농도를 단백질 정량법(Bradford protein assay)으로 측정하였다. 정제 및 농축된 재조합 단백질을 15% SDS-PAGE에 전기영동하여 정제한 재조합 단백질의 밴드를 확인한 결과,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에 해당하는 밴드가 관찰되었다(도 3).
또한, 정제 및 농축된 재조합 단백질을 15% SDS-PAGE에 전기영동하고 PVDF 멤브레인(Millipore, Germany)에 트랜스퍼한 뒤, 1:1,000으로 희석한 항 Stx2eA 항체를 일차 항체로 반응시켰다. 세척 후 1:10,000으로 희석한 HRP conjugated goat anti-Rebbit IgG 항체(Southernbioyech, USA)를 이차 항체로 반응시키고 ECL 용액(SurModics, USA)으로 밴드를 확인한 결과,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에 해당하는 밴드가 관찰되었다(도 4).
실시예 3.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의 대장 상피세포 흡수 촉진 효과 확인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이 대장 상피세포 내로 융합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서 정제 및 농축한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과 재조합 eGFP-HJP1 단백질을 사람 대장암 상피세포인 Caco-2세포에 각각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포를 4% PFA(paraformaldehyde)로 20분 동안 실온에서 고정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5분 동안 300μM의 DAPI(4,6-diamidino 2-phenylindole dihydrochloride)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Carl Zeiss, LSM 880 with Airyscan)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Caco-2 세포에 재조합 eGFP-HJP1 단백질을 반응시킨 경우에는 DAPI 염색에 의해 세포의 핵만이 관찰되었고 재조합 eGFP-HJP1 단백질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재조합 eGFP-HP1 단백질이 세포 안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세포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A). 반면, Caco-2 세포에 재조합 eGFP-HJP1-Stx2eB를 반응시킨 경우에는 재조합 eGFP-HJP1-Stx2e 단백질이 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관찰되었다(도 5B 내지 도 5D). 구체적으로,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은 대장 상피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넓게 펼쳐져 관찰되는 경우와 세포질 안 일부 영역에 밀집된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은 융복합 단백질을 대장의 상피세포 안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경구용 전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백신 접종 및 샘플 수집
국내 전북 소재 종돈장에서 부종병 증상이 없고 Stx2e에 음성인 모돈 및 3일령 포유 자돈을 구입하였으며, 한국동물보호협회 지침에 따른 준수사항을 전북대 동물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신 모돈에 대해 통상적인 백신 프로그램에 따라 예방접종하였다. 예상되는 분만일 14일 전에 임신 모돈을 각각 자돈을 위한 열전등(heat lamp)과 분만틀을 가진 분만우리에 옮겼다. 임신 모돈은 항생제 또는 다른 생장 촉진제 없는 식단으로 급여하였다. 자돈은 출생 후 최대 21일까지 모돈과 함께 사육하였다. 전체 5마리 임신 모돈으로부터 출생한 자돈 40마리를 5그룹으로 나누었다. 자돈이 5일령이 되었을 때, 그룹 A, B, C, D 및 E로 나누고, 그룹 A 및 B 자돈에 대해서는 멸균 PBS 1㎖를 경구 접종하였으며, 그룹 C, D 및 E 자돈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재조합 eGFP-HJP1-Stx2eB 단백질을 20% 수크로오스(sucrose) 함유 PBS에 혼합하여 각각 50㎍/㎖, 100㎍/㎖ 및 200㎍/㎖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으며(0 week post prime immunization; WPPI), 자돈이 19일령이 되었을 때 동일한 용량 및 방법으로 2차 접종하였다(2 WPPI). 자돈이 21일령이 되었을 때 전북대학교 특성화 캠퍼스로 각 그룹당 5마리씩 이송하여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보냈다. 혈액 샘플은 2차 접종 전(2 WPPI) 그리고 도전감염 전(5주령, 4 WPPI)에 각각 채혈하여 수집하였으며, 모든 샘플은 사용 전까지 -70℃에 저장하였다. 한편, 경구용으로 1차 및 2차 투여 후에 설사, 발열, 폐사, 침울, 식옥부진, 돼지 부종병 등의 증상이 관찰되지 않아 경구 투여 따른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의 현저한 혈청 IgG 역가 증가 효과 확인
부종병에 대한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의 면역증진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pig IgG ELISA Quantitation Kit(Bethyl Lab Inc., 미국)를 사용하여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에서 수집한 자돈의 혈청 샘플을 1:200으로 희석하여 IgG 역가 측정에 사용하였으며, o-페닐렌디아민(Sigma-Aldrich, 미국)으로 발색하여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 항원에 대한 혈청 IgG 역가는 대조군인 그룹 A과 PBS를 접종한 그룹 B에서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 항원을 접종한 그룹 C 내지 E 모두에서 대조군 대비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도 6).
실시예 6.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의 부종병 예방 효과 확인
도전감염 균주를 사용하여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의 부종병 예방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HJL573과 STEC150229를 도전감염 균주(challenge strain)로 준비하고, 자돈이 5주령이 되었을 때 각 균주를 1×109 CFU/㎖로 준비하여 동량씩 혼합한 후 그룹 A 자돈을 제외한 모든 자돈에 2㎖씩 경구로 접종하였으며, 접종 후 7일 동안 매일 자돈의 임상증상 및 폐사 여부를 모니터링하였다. 부종병 증상이 발견된 자돈에서 직장도말(rectal swab)로 검체를 채취하여 병원성 대장균을 분리하였고, 표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Stx2e+ F18+ 대장균 여부를 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프라이머명  핵산서열(5'→3') 크기(bp) 서열번호
F18 forward TGGCACTGTAGGAGATACCATTCAGC 334 서열번호 5
reverse GGTTTGACCACCTTTCAGTTGAGCAG 서열번호 6
Stx2e forward CGGTATCCTATTCCCAGGAGTTTACG 599 서열번호 7
reverse GTCTTCCGGCGTCATCGTATAAACAG 서열번호 8
그 결과, 대조군인 그룹 B의 자돈 5두 모두 부종병의 임상 증상을 보였으며, 그룹 C의 자돈 1두에서 부종병의 증상이 관찰된 반면, 그룹 D 및 E의 자돈은 도전감염 7일까지 임상증상 및 폐사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그룹 자돈수 부종병 임상 증상 발현 자돈 수(%)
A 5 0(0%)
B 5 5(100%)
C 5 1(20%)
D 5 0(0%)
E 5 0(0%)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재조합 HJP1-Stx2eB 단백질 융복합되는 eGFP에 의해 구조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eGFP와의 융복합을 통하여 경구 투여 가능한 부종병 백신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00㎍/㎖ 이상의 용량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120> Recombinant Stx2e Protein, Swine Edema Disease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Oral Dosage Form <130> DHP22-128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eGFP-HJP1 <400> 1 Met Val Ser Lys Gly Glu Glu Leu Phe Thr Gly Val Val Pro Ile Leu 1 5 10 15 Val Glu Leu Asp Gly Asp Val Asn Gly His Lys Phe Ser Val Ser Gly 20 25 30 Glu Gly Glu Gly Asp Ala Thr Tyr Gly Lys Leu Thr Leu Lys Phe Ile 35 40 45 Cys Thr Thr Gly Lys Leu Pro Val Pro Trp Pro Thr Leu Val Thr Thr 50 55 60 Leu Thr Tyr Gly Val Gln Cys Phe Ser Arg Tyr Pro Asp His Met Lys 65 70 75 80 Gln His Asp Phe Phe Lys Ser Ala Met Pro Glu Gly Tyr Val Gln Glu 85 90 95 Arg Thr Ile Phe Phe Lys Asp Asp Gly Asn Tyr Lys Thr Arg Ala Glu 100 105 110 Val Lys Phe Glu Gly Asp Thr Leu Val Asn Arg Ile Glu Leu Lys Gly 115 120 125 Ile Asp Phe Lys Glu Asp Gly Asn Ile Leu Gly His Lys Leu Glu Tyr 130 135 140 Asn Tyr Asn Ser His Asn Val Tyr Ile Met Ala Asp Lys Gln Lys Asn 145 150 155 160 Gly Ile Lys Val Asn Phe Lys Ile Arg His Asn Ile Glu Asp Gly Ser 165 170 175 Val Gln Leu Ala Asp His Tyr Gln Gln Asn Thr Pro Ile Gly Asp Gly 180 185 190 Pro Val Leu Leu Pro Asp Asn His Tyr Leu Ser Thr Gln Ser Ala Leu 195 200 205 Ser Lys Asp Pro Asn Glu Lys Arg Asp His Met Val Leu Leu Glu Phe 210 215 220 Val Thr Ala Ala Gly Ile Thr Leu Gly Met Asp Glu Leu Tyr Lys Ala 225 230 235 240 Pro Glu Asp Val Asp Leu Thr Leu Asn Trp Gly Arg Ile Ser Asn Val 245 250 255 Leu Pro Glu Tyr Arg Gly Glu Ala Gly Val Arg Val Gly Arg Ile Ser 260 265 270 Phe Asn Asn Ile Ser Ala Ile Leu Gly Thr Val Ala Val Ile Leu Asn 275 280 285 Cys His His Gln Gly Ala Arg Ser Val Arg Ala Val Asn Glu Glu Ser 290 295 300 Gln Pro Glu Cys Gln Ile Thr Gly Asp Arg Pro Val Ile Lys Ile Asn 305 310 315 320 Asn Thr Leu Trp Glu Ser Asn Thr Ala Ala Ala Phe Leu Asn Arg Lys 325 330 335 Ser Gln Ser Leu Tyr Thr Thr Gly Glu 340 345 <210> 2 <211> 8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Stx2eB <400> 2 Lys Lys Met Phe Ile Ala Val Leu Phe Ala Leu Val Ser Val Asn Ala 1 5 10 15 Met Ala Ala Asp Cys Ala Lys Gly Lys Ile Glu Phe Ser Lys Tyr Asn 20 25 30 Glu Asp Asn Thr Phe Thr Val Lys Val Ser Gly Arg Glu Tyr Trp Thr 35 40 45 Asn Arg Trp Asn Leu Gln Pro Leu Leu Gln Ser Ala Gln Leu Thr Gly 50 55 60 Met Thr Val Thr Ile Ile Ser Asn Thr Cys Ser Ser Gly Ser Gly Phe 65 70 75 80 Ala Gln Val Lys Phe Asn 85 <210> 3 <211> 10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for expressing eGFP-HJP1 in plasmid <400> 3 catatggtta gcaaaggcga ggaactgttt accggcgtgg tgccgattct ggtggaactg 60 gatggcgatg ttaatggtca caaattcagc gttagcggcg agggcgaagg tgacgcgacc 120 tacggcaagc tgaccctgaa attcatctgc accaccggca aactgccggt gccgtggccg 180 accctggtta ccaccctgac ctacggtgtt cagtgcttta gccgttatcc ggaccacatg 240 aagcaacacg atttctttaa aagcgcgatg ccggagggtt acgtgcagga acgtaccatc 300 ttctttaagg acgatggcaa ctataaaacc cgtgcggaag tgaagttcga aggcgacacc 360 ctggttaacc gtatcgagct gaagggtatt gactttaaag aagatggcaa cattctgggt 420 cacaagctgg agtacaacta taacagccac aacgtgtata tcatggcgga taagcagaaa 480 aacggtatca aggttaactt caagatccgt cacaacattg aggacggtag cgtgcaactg 540 gcggatcact accagcaaaa caccccgatt ggtgatggtc cggttctgct gccggataac 600 cactatctga gcacccagag cgcgctgagc aaggacccga acgagaaacg tgatcacatg 660 gtgctgctgg agttcgttac cgcggcgggc atcaccctgg gtatggacga gctgtacaaa 720 gcgccggagg acgtggacct gaccctgaac tggggtcgta ttagcaacgt tctgccggag 780 tatcgtggcg aagcgggtgt gcgtgttggc cgtatcagct ttaacaacat cagcgcgatt 840 ctgggcaccg tggcggttat tctgaactgc catcaccaag gcgcgcgtag cgtgcgtgcg 900 gttaacgagg aaagccagcc ggagtgccaa attaccggcg atcgtccggt gatcaagatt 960 aacaacaccc tgtgggaaag caacaccgcg gcggcgtttc tgaatcgtaa gagccaaagc 1020 ctgtacacca ccggcgagta aggatcc 1047 <210> 4 <211> 28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for expressing Stx2eB in plasmid <400> 4 catatgaaga agatgtttat agcggtttta tttgcattgg tttctgttaa tgcaatggcg 60 gcggattgtg ctaaaggtaa aattgagttt tccaagtata atgaggataa tacctttact 120 gtgaaggtgt caggaagaga atactggacg aacagatgga atttgcagcc attgttacaa 180 agtgctcagc tgacagggat gactgtaaca atcatatcta atacctgcag ttcaggctca 240 ggctttgccc aggtgaagtt taactgagcg gccgcactcg ag 282 <210> 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18_forward <400> 5 tggcactgta ggagatacca ttcagc 26 <210> 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18_reverse <400> 6 ggtttgacca cctttcagtt gagcag 26 <210> 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x2e_forward <400> 7 cggtatccta ttcccaggag tttacg 26 <210> 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x2e_reverse <400> 8 gtcttccggc gtcatcgtat aaacag 26

Claims (14)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돼지 부종병에 대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인 재조합 단백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상피세포 내로 흡수되는 것인 재조합 단백질.
  4. 제 1 항의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는 모돈 또는 자돈인 것인 백신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산화 알루미늄, GEL 01, GEL 02, IMS 1313(VG), IMS 1313(VG N), ISA 15A(VG), ISA 28R(VG), ISA 35(VG), ISA 201(VG), ISA 206(VG), ISA 660(VG), 기름속 수형 에멀젼(물-in-oil emulsion), 불완전 프로인트항원보조제(불완전한 Freund’s adjuvant), 백반(alum),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Toll-like 수용체 작용제(Toll-like receptor agonist), 면역자극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및 생물학적 보조제(biological adjuv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adjuvant)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백신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부피 1㎖를 기준으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1㎍ 내지 2000㎍ 포함하는 것인 백신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는 것인 백신 조성물.
  9. 제 4 항의 백신 조성물을 모돈 또는 자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10. 제 1 항의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예방용 사료 첨가제.
  11. 제 1 항의 재조합 단백질의 말단에 운반 대상의 카고(cargo)가 결합되어 있는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대상의 카고는 화학물질, 폴리펩티드, 핵산, 탄수화물 또는 지질인 것인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13. 제 11 항의 조성물을 대상체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의 카고를 대상체 내로 전달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대상의 카고는 화학물질, 폴리펩티드, 핵산, 탄수화물 또는 지질인 것인 운반 대상의 카고를 대상체 내로 전달하는 방법.
KR1020220016024A 2022-02-08 2022-02-08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KR20230119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24A KR20230119818A (ko) 2022-02-08 2022-02-08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24A KR20230119818A (ko) 2022-02-08 2022-02-08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18A true KR20230119818A (ko) 2023-08-16

Family

ID=8784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24A KR20230119818A (ko) 2022-02-08 2022-02-08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8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20A (ko) 2015-05-12 2016-11-22 (주)애드바이오텍 IgY 함유 돼지부종병 예방용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20A (ko) 2015-05-12 2016-11-22 (주)애드바이오텍 IgY 함유 돼지부종병 예방용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4587C2 (ru) КЛОСТРИДИАЛЬНЫЙ ТОКСИН NetB
KR101100237B1 (ko) 경구용 재조합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백신 및 그의 제조방법
EP2178558B1 (en) Yersinia pestis antigens, vaccin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EP3319630A1 (en) Vaccine against s.suis infection
JP6993650B2 (ja) 豚コレラワクチン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46137C2 (ru) КОМПОЗИЦИЯ ПО ПРЕДУПРЕЖДЕНИЮ ИНФЕКЦИИ Mycoplasma spp.
JP6808650B2 (ja) 短縮型ロタウイルスvp4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適用
KR102103013B1 (ko)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및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및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사균체 혼합 항원을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101030792B1 (ko) 돼지 써코바이러스2(pcv2) 유전자의 표면발현용 벡터 및 이로 형질전환된 살모넬라 백신 균주
Li et al. Surface Display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antigen protein cap on the spores of Bacillus subtilis 168: An effective mucosal vaccine candidate
Wu et al. Cross-protection of recombinant Pasteurella multocida toxin proteins against atrophic rhinitis in mice
KR20190053506A (ko) 개선된 고스트 장관독소형 대장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20230119818A (ko)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및 경구 투여 제형
TWI654992B (zh) 大腸菌性下痢症之預防
US1125358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ycoplasma synoviae infection
KR20190014265A (ko) 돼지 흉막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im et al. Generation of Salmonella ghost cells expressing fimbrial antigens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evaluation of their antigenicity in a murine model
CN109608541B (zh) 一种抗猪产肠毒素大肠杆菌卵黄抗体及其制备方法
KR20230143693A (ko) 재조합 Stx2e 단백질, 이의 대량생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부종병 백신 조성물
KR102439333B1 (ko) Stx2eA2-단량체-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102100503B1 (ko) 개선된 고스트 장관독소형 대장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CN112010949B (zh) 一种重组pcv2病毒样颗粒蜂胶疫苗及其制备方法
Hur et al. Protective efficacy by various doses of Salmonella ghost vaccine candidate carrying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fimbrial antigen against neonatal piglet colibacillosis
KR101712012B1 (ko) 개선된 고스트 살모넬라 변이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Zhang et al. Development of secretory and cell wall anchor recombinant Lactococcus lactis vaccine expressing the porcine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K88ac or K99-987P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