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108A - 편직 도구 - Google Patents

편직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108A
KR20230119108A KR1020237013304A KR20237013304A KR20230119108A KR 20230119108 A KR20230119108 A KR 20230119108A KR 1020237013304 A KR1020237013304 A KR 1020237013304A KR 20237013304 A KR20237013304 A KR 20237013304A KR 20230119108 A KR20230119108 A KR 2023011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knitting
functional part
knitting tool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르크 자우터
롤란트 지멘딩어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20214742.7A external-priority patent/EP4015690B1/d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1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Abstract

최근 몇 년 동안, 편직 도구 분야의 개발은 마찰과 마모 감소에 중점을 두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1) 및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디바이스(27)는 종래의 편직 도구보다 편직 기계에서의 마찰 및 오물(23)의 축적을 더 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부분(5)은 무게 중심선(4)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보다 큰 서브 섹션(7)들을 가진다.

Description

편직 도구
산업용 편직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편직 도구는 19세기 이후로 추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편직 기계의 분야에서 추가 발전에 의해 제기된 새로운 도전에 지속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상승하는 에너지 가격과 생산 비용을 배경으로 마찰과 마모의 감소에 중점을 두었다. 통상적인 편직 도구는 생크를 가지며, 생크는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기능적 부분에서,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바늘 슬롯들에서 실질적으로 선형 편직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작업 영역 내에서 편직 기계(환편기 및 횡편기 모두)의 바늘 슬롯들로 안내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편직 운동을 위한 힘은 버트를 통해 편직 도구에 전달되며, 버트는 도구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상승 방향으로 편직 도구의 샤프트 위로 돌출된다. 버트는 또한 수평 방향 힘(transverse force)에 의해, 도구의 길이 방향과 상승 방향에 직각인 측 방향으로 작용한다. 수평 방향 힘은 바늘 슬롯에서 편직 도구의 기울기로 이어지고, 바늘 슬롯의 측벽과의 접촉에 의해 지지된다. 편직 도구의 기울기로 인해, 편직 도구는 상단과 하단에서만 바늘 슬롯과 선형 접촉한다. 바늘 슬롯에서 편직 도구의 기울기는 EP1860219A1의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접촉 위치는 거기에서 타원형 원으로 마킹된다.
FR2260262A7은 높은 편직 속도에서 발생된 후크(루프 형성 수단)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그러므로 바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편직 도구를 설명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버트(도 1, 도 5)에 인접한 바늘의 후방 생크 색션은 파형 형상이다(도 1, 도 4c 및 도 4d). 이러한 파형 형상은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DE3612316A1은 개선된 충격 흡수 특성을 가지도록 의도된 편직 도구를 설명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편직 도구는 생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그루브를 가진다. 도 4는 생크에 후행하는 아치형 컷아웃(도 4, 도 11)을 가지는 이러한 유형의 편직 도구의 특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컷아웃은 편직 바늘의 중량을 줄이고 그 섹션에서 스프링 탄성을 부여하도록 의도된 브릿지의 형성을 초래한다.
DE3213158A1은 후크 요소(루프 형성 수단) 및 클로저 요소를 가지는 편직 도구를 기술하고; 후크 요소의 후크는 클로저 요소와 후크 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폐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편직 도구는 또한 복합 바늘로서 지칭된다. 도 5는 실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오목부(도 5, 도 7 및 도 9)를 가지는 이러한 편직 도구의 특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오목부(도 5, 도 7 및 도 9)는 길이 방향으로 후크 요소에 직접 인접하며, 바늘 슬롯에서 안내되지 않는다.
EP2927360A1은 감소된 두께 부분을 가지며, 이에 의해 편직 도구와 바늘 슬롯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불구불한 생크를 가지는 편직 도구를 설명한다. 구불구불한 생크는 상승 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고, 각각의 경우에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생크 부분을 가진다. 이들 생크 부분은 상승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편직 도구의 구불구불한 생크는 도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어떠한 섹션도 가지지 않는다: 모든 생크 섹션들은 정확히 도구의 길이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도구의 길이 방향과 90°의 각도를 둘러싼다.
전술한 EP1860219A1은 생크가 기능적 부분을 가지는 편직 도구를 기술한다. 상승 방향 및 측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서, 편직 도구 단면의 무게 중심의 높이는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단면의 위치에 따라 기능적 부분 내에서 변한다. 이러한 것은 소위 "플로팅 섹션(floating section)"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플로팅 섹션"은 편직 도구의 밑면과 편직 도구의 상단측 모두로부터 이격된다. 기능적 부분의 나머지 섹션과 같이 "플로팅 섹션"은 편직 도구가 삽입되는 편직 기계의 바늘 슬롯의 바닥에 평행하게 진행하며, 즉, 이것들은 실질적으로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플로팅 섹션" 내에서의 무게 중심의 높이는 일정하다. "플로팅 섹션"은 편직 도구와 바늘 슬롯 사이의 접촉 표면을 줄이기 위한 의도로 편직 도구의 상단측 및 밑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플로팅 섹션들"은 생크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은 실질적으로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편직 도구의 상단측 및 밑면에 배치되며, 바늘 슬롯과 선형 접촉 표면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종류의 편직 도구 실시예에서, 편직 동안 오물이 수집될 수 있는 공간은 "플로팅 섹션" 위와 아래에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편직 도구 및 편직 시스템과 비교하여, 마찰이 감소되고 또한 더 적은 오물이 수집되는 편직 도구 및 편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 및 제12항의 2개의 청구항에 의해 달성된다. 편직 도구는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 본질적으로 편직 동안 도구가 이동되는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생크를 가지며,
- 생크는 그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도구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진행하고 측 방향 및 상승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단면 표면을 가지며,
- 각각의 이들 단면 표면은 중심을 가지며, 도구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모든 단면 표면의 상기 중심들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무게 중심선이 상기 중심을 통해 진행하며,
- 생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부분을 가지며,
- 무게 중심선은 상승 방향으로 높이를 변경하며(즉, 무게 중심선은 무게 중심선의 높이가 일정한 어떠한 섹션도 가지지 않으며, 즉, 실질적으로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어떠한 섹션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무게 중심선의 2차 도함수는 경사도가 0이면 0이 아니다).
- 단면 표면의 높이(단면 표면 높이)는 기능적 부분 길이의 모든 지점에서, 기능적 부분 내의 생크 높이보다 작으며(생크 높이는 기능적 부분 내에서 상승 방향으로 생크의 최저 지점과 상승 방향으로 생크의 최고 지점 사이의 상승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 기능적 부분의 길이가 전체 편직 도구의 길이의 20% 이상, 그러나 바람직하게 25% 이상인, 편직 도구에 있어서, 기능적 부분은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과 ∞ 사이인 서브 섹션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브 섹션들에서의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의 절대값은 0보다 크다. 무게 중심선의 두 지점 사이의 경사도는 상승 방향에서의 높이 차이와 무게 중심선의 이들 두 지점 사이의 도구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 차이의 몫에 대응한다(경사도 = 높이 차이/길이 차이). 이러한 방식으로 어떠한 경사도도 계산될 수 없는 편직 도구의 영역(예를 들어, 무게 중심선의 두 지점 사이의 길이 차이가 0인 경우)은 본 특허 출원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서브 섹션들이 아니다. 서브 섹션들에서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 내지 3이면 이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서브 섹션들에서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의 절대값은 0 내지 1이다. 서브 섹션들의 길이의 적어도 50%에 대해, 무게 중심선 경사도의 절대값이 0.01 내지 0.8, 바람직하게 0.025 내지 0.6이면 유리하다. 무게 중심선은 최단 경로를 통해 중심들을 연결한다. 기능적 부분의 서브 섹션에서, 무게 중심선은 그 높이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며, 즉, 무게 중심선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그 경로를 따라서 상승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한다. 무게 중심선이 x-z 평면에서 볼 때 "진동"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변경하면 이점이 얻어진다. 무게 중심선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밀도나 재료에서의 변화가 아니라 x-y 평면에서 편직 도구의 단면과 관련된 변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상승 방향으로의 단면의 변위일 수 있다. 편직 도구가 스탬핑에 의해 제작되면 유리하다. 편직 도구가 모놀리식 스탬핑 부분이면 특히 유용하며; 전체 편직 도구는 그런 다음 바람한 것으로서 단일 재료로 이루어지며, 본질적으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밀도를 가진다.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로 인해, 생크 영역에서의 오물은 편직 도구의 편직 이동 동안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생크로부터 위로 양의 상승 방향으로 밀리며, 그러므로 편직 도구의 작업 영역 밖으로 밀려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업 영역은 편직 이동 동안 편직 도구가 머무를 수 있는 영역이다. 편직 도구는 실질적으로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 기능적 부분과 접촉하는 오물은 접촉 지점에서 편직 도구의 표면에 직각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작용된다. 무게 중심선의 형상으로 인해, 이러한 힘은 도구의 이동 방향과 상승 방향으로의 방향 성분을 가진다. 따라서, 자가 청소 효과가 작업 영역에서 생성되며; 오물이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편직 도구의 신뢰성과 수명이 증가된다.
적어도 하나의 버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에 의해 추가적인 이점이 제공된다. 버트는 실질적으로 상승 방향으로 연장된다. 버트는 상승 방향으로 편직 도구의 주변 영역 위로 유리하게 돌출된다. 구동력과 구동 움직임은 버트를 통해 편직 도구로 전달될 수 있다. 편직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버트는, 편직 도구와 정지 캠 사이의 상대 이동을 통해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버트에 편직 운동을 전달하는 아치형 캠 곡선과 캠을 맞물리게 한다. 추가적인 이점이 적어도 2개의 버트를 가지는 편직 도구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시는 또한 2개보다 많은 버트를 포함하는 편직 도구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과 ∞ 사이인 서브 섹션을 각각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으로 기능적 부분이 이루어지면, 이들 서브 부분은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부분이 의미하는 바는 이러한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 사이에 기능적 부분에 속하지 않는 편직 도구의 영역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편직 도구의 단면의 무게 중심이 그 높이를 변화시키지 않는, 즉 높이가 일정한 영역일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 사이의 거리가 버트의 길이, 즉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버트 길이만큼, 바람직하게 1.5배 큰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버트가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 사이에 위치되면 또한 유리하다.
편직 도구가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버트에 선행하는 기능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 및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버트에 후행하는 기능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을 가지면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편직 동안 구동력의 힘 전달 지점으로서, 버트는 높은 부하를 받는다. 기능적 부분의 선행 및 후행 서브 부분들은 편직 동안 전달되는 구동력을 분배하고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는 기능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 바람직하게 2개의 서브 부분이 버트에 직접 인접하거나 전체 편직 도구 길이의 10% 이하인 거리 만큼만 도구 길이 방향에서 버트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전체 편직 도구 길이의 5% 미만인 거리가 특히 유리하다.
기능적 부분이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상승 극단(최고점 또는 최저점)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극단에서,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는 0이다. 이러한 국부 극단들은 무게 중심선의 경사도가 0과 ∞ 사이인 상기된 서브 섹션들에 의해 각각의 측면에서 인접한다. 바늘 슬롯에서 편직 도구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힘은 편직 도구가 기울어지게 하고 국부 최저점 및 최고점의 근처에서 바늘 슬롯의 측벽들과 접촉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수평 방향 힘이 거기에서 지지되며; 접촉 지점이 생성되고, 편직 도구에 의한 편직 이동의 결과로서, 마찰이 또한 발생한다. 국부 최저점 및 최고점의 근처에서, 편직 동안 여기에서 생성된 각각의 접촉 지점이 작은 접촉 표면을 가지는 방식으로 생크가 구성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2개의 국부 상승 극단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적어도 2개의 국부 최저점 및/또는 2개의 국부 최고점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적어도 2개의 국부 최고점이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3 국부 최고점의 높이가 더 낮은 높이를 가지면 추가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적어도 2개의 국부 최저점이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3 국부 최저점이 더 큰 높이를 가지면 유리하다.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2개의 국부 극단이 전역 극단인 경우, 즉 무게 중심선의 높이가 어느 지점에서도 더 크지 않거나(전역 최고점) 작지 않은 경우(전역 최저점) 특히 유리하다.
생크의 표면이 편직 도구의 양의 상승 방향, 즉 버트가 지금부터 상단 표면 상에서 도구의 주변 영역 위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한 경우에, 편직 도구가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2개의 국부 최고점의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및/또는 생크의 표면이 편직 도구의 음의 상승 방향, 즉 지금부터 바닥 표면 상에서 편직 동안 바늘 슬롯의 베드를 향해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향한 경우에,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2개의 국부 최저점의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유리하다. 양의 상승 방향과 음의 상승 방향은 정확히 서로 반대이다. 무게 중심선의 전역 최고점의 위치에서, 상단 표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및/또는 무게 중심선의 전역 최저점의 위치에서, 바닥 표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국부 극단이 대부분의 기능적 부분의 표면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승된 표면을 가지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에 의해 이점이 제공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편직 기계에서 사용되는 편직 도구는 국부 극단의 근처에서 바늘 슬롯과 접촉한다. 표면이 기능적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이들 위치에서 상승되면, 명확하게 정의된 접촉 표면은 상승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편직 도구의 다른 영역이 편직 기계의 부분들과 접촉 지점, 예를 들어 제조 부정확성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주로 점 모양의 접촉 지점이 편직 동안 편직 기계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표면이 상승되는 경우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무게 중심선의 국부 최고점의 위치에서, 샤프트가 기능적 부분의 최저 샤프트 높이로부터 이격되고, 중심선의 국부 최저점의 위치에서, 기능적 부분의 최고 샤프트 높이로부터 이격되면 유리하다. 이러한 이격 거리가 기능적 부분의 최고 샤프트 높이 크기의 적어도 절반이면 특히 유리하다.
기능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이 x-z 평면에서, 기능적 부분을 통해 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 오목부 및/또는 파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경우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상승 방향으로 오목부의 높이가 샤프트 높이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 적어도 65%이면 특히 유리하다.
편직 도구의 양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샤프트의 표면(상단 표면)이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으로, 즉 그 연장 방향으로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높이 최고점의 전방에 국부 경사도 최고점을 가지는 경사도 코스를 가지는 경우에, 및/또는 편직 도구의 음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샤프트의 표면(바닥 표면)이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으로, 즉 그 연장 방향으로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높이 최저점의 전방에 국부 경사도 최저점을 가지는 경사도 코스를 가지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에 의해 이점이 제공된다.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 또는 연장 방향은 루프 형성 요소가 위치되는 생크 단부를 향하는 도구 방향이다. 설명된 위치에서, 바닥 표면과 상단 표면은 "오물 포획(dirt catch)"을 형성하며, 이는 표면의 경사도 코스로 인해, 바람직하게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으로 오물을 추진한다. 따라서, 오물은 형성된 루프 또는 편직된 직물로부터 멀리 추진된다.
편직 도구의 양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생크 표면(상단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 및/또는 편직 도구의 음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생크 표면(바닥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의 절대값이 0.57 내지 2.75의 값을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상단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 및/또는 바닥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의 절대값은 0.83 내지 1.74이다. 바닥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의 절대값이 상단 표면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편직 도구의 양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생크 표면(상단 표면) 및 편직 도구의 음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샤프트의 표면(바닥 표면)이 기능적 부분의 서브 섹션들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경우 추가적인 이점이 얻어진다. 상단 표면과 바닥 표면은 적어도 단면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결과적으로, 재료 및 응력 분포는 이들 서브 섹션에서 일관된다. 상단 표면과 바닥 표면이 전체 기능적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경우 특히 유리하다.
연장 방향과 반대인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에서 본 기능적 부분의 무게 중심선의 마지막 최고점이 전역 최고점이면 유리하다.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이러한 마지막 최고점이 음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최고점 30 mm, 그러나 바람직하게 최고점 15 mm 만큼 편직 도구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면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도구는 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이 방지되고, 편직 기계에서 편직 도구의 양호한 안내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작동 동안 편직 도구를 수용하고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늘 슬롯, 및 다음 특징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도구를 가지는 편직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편직 동안 도구가 이동되는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주로 연장되는 생크를 가지며,
- 생크는 그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측 방향 및 상승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단면 표면을 가지며,
- 이들 단면 표면의 각각은 중심을 가지며, 도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모든 단면 표면의 상기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무게 중심선이 상기 중심을 통해 진행되고,
생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부분을 가지며,
- 무게 중심선은 그 높이를 변경하며,
- 단면 표면의 높이는 상승 방향에서 생크의 최저 지점과 기능적 부분 내에서 상승 방향에서 생크의 최고 지점 사이의 거리인, 기능적 부분 내의 생크 높이보다 기능적 부분의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작으며,
- 기능적 부분의 길이는 전체 편직 도구 길이의 20% 이상, 바람직하게 25% 이상이다. 기능적 부분은 무게 중심선 경사도의 절대값이 0과 ∞ 사이인 서브 섹션들을 추가로 가진다. 따라서, 서브 섹션들에서, 무게 중심선은 도구의 길이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에워싼다. 이러한 것은 특히 서브 섹션들에서, 무게 중심선이 도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게 중심선의 이러한 형상은 밀도나 재료에서의 변화가 아니라 x-y 평면에서 편직 도구의 단면과 관련된 변화 또는 "이동"에 기인한다.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바늘 슬롯의 길이,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기능적 부분의 범위, 및 편직 동안 편직 도구의 편직 이동의 스트로크의 크기가 상호 조정되어,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기능적 부분의 범위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 90%, 바람직하게 100%가 편직 동안 바늘 슬롯 내에 남도록 하면 추가적인 이점이 얻어진다.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기능적 부분의 범위는 편직 도구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기능적 부분의 위치를 기술한다. 기능적 부분의 범위는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기능적 부분의 전면 및 후면 한계 사이의, 도구 길이 방향으로의 구역이다. 기능적 부분이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 섹션을 가지면, 기능적 부분의 범위는 또한 이들 서브 섹션들 사이에 위치된 편직 도구의 영역, 예를 들어 2개의 서브 섹션 사이에 위치된 버트를 포함한다. 편직 도구는 바늘 슬롯에 의해 기능적 부분에서 안내되고, 구동력은 바늘 슬롯에서 지지된다. 편직 도구의 기능적 부분과 바늘 슬롯 사이에 접촉 영역이 존재한다. 기능적 부분의 서브 부분이 편직 동안 바늘 슬롯을 빠져나갈 정도로 너무 크면, 결과적으로 바늘이 덜 안내될 것이다. 상기 언급된 선택 범위는 편직 도구의 양호한 안내를 보장하기 위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상적으로, 편직 도구의 안내 부분은 전체 편직 이동 동안 바늘 슬롯 내에 완전히 남아 있으며, 즉 특히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바늘 슬롯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바늘 슬롯의 상부 가장자리가 편직 도구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샤프트의 표면, 즉 상단 표면의 최고 지점으로부터 최고점 0.5 mm만큼, 그러나 바람직하게 최고점 0.3 mm만큼 상승 방향에서 이격되는 경우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거리는 지금부터 상승 거리로서 지칭된다. 상승 거리는 가능한 한 작으면 유리하다. 바늘 슬롯의 상단 가장자리가 양의 상승 방향에서 최고 지점에서 상단 표면보다 높거나 그 만큼 높은 경우 이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도구의 기능적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국부 최고점갑의 위치에서 바늘 슬롯과 접촉 영역을 형성하고, 특히 기능적 부분의 서브 섹션에서 바늘 슬롯과의 어떠한 접촉 영역도 형성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상부 가장자리가 양의 상승 방향으로 최고 지점에서 상단 표면과 상승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편직 디바이스의 편직 도구가 기능적 부분에 대해 양의 상승 방향으로 상승되고 편직 디바이스의 오목부(캠 곡선)와 맞물리는 버트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편직 도구의 양의 상승 방향을 향하는 생크 표면(상단 표면(10))의 양의 상승 방향에서 최고 지점이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캠 곡선으로부터 이격되면 또한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도구의 상단 표면은 이들 지점에서 캠 곡선과 우연히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우발적인 맞물림은 편직 도구가 끼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편직 도구 및/또는 편직 디바이스가 손상된다. 양의 상승 방향에서 최고 지점과 캠 곡선 사이의 도구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는 안전 거리이다. 안전 거리는 유리하게 0보다 크다.
도 1은 기능적 부분(5)을 가지는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2는 무게 중심선(4)에서의 국부 최고점(14)의 위치에서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부분(5)을 통과하는 A-A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무게 중심선(4)에서 국부 최저점(15)의 위치에서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부분(5)을 통과하는 B-B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기능적 부분(5)에서 삼각형 오목부(19)들을 가지는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5는 기능적 부분(5)에 파형 오목부(20)를 가지는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6은 무게 중심선(4)에서의 국부 최저점(15) 및 최고점(14)의 영역에 있는 그 표면이 오물 포획부(21)들을 가지는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7은 편직 도구(1)의 작업 영역(24)으로부터 오물(23)이 제거되는 3개의 서브 단계를 도시한다.
도 8은 3개의 바늘 슬롯(28)을 포함하는 편직 디바이스(27)를 도시하며, 그 중 하나에는 편직 도구(1)가 끼워진다.
도 9는 편직 디바이스(27) 및 편직 도구(1)의 4개의 캠 요소(29)를 도시한다.
도 10은 각각 편직 도구(1)가 끼워진 3개의 바늘 슬롯(28)을 가지는 편직 디바이스(27)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편직 도구(1)가 끼워진 바늘 슬롯(28)을 통과하는 x-z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상단 표면(10)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40)의 절대값이 바닥 표면(13)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41)의 절대값보다 작은 경우의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1은 생크(2)를 가지는 편직 도구(1)를 도시하며, 생크는 주로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연장되고,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에서 볼 때 제1 단부에서 후크로서 형상화된 루프 형성 요소(3)를 가진다. 생크(2)는 도구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측 방향(y) 및 상승 방향(x)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놓이는 단면 표면(8)을 가진다. 기능적 부분(5)에서, 상승 방향(x)에서 이러한 단면 표면(8)의 높이, 즉 단면 표면 높이(22)는 모든 지점에서 생크 높이(6)보다 작다. 생크 높이(6)는 상승 방향(x)으로의 기능적 부분(5)의 최저점 연장부와 최고점 연장부 사이의 높이이다. 단면 표면(8)과 단면의 중심(9)은 도 2에서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최단 경로를 통해 생크의 이들 단면 표면(8)의 모든 중심(9)을 연결하는 무게 중심선(4)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무게 중심선(4)은 3개의 국부 최고점(14) 및 3개의 국부 최저점(15)을 포함한다. 그러나, 편직 도구(1)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국부 최고점(14) 및/또는 국부 최저점(15)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국부 최고점(14)의 영역에서, 상단 표면(10)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3개의 국부 최저점(15)의 영역에서, 바닥 표면(13)은 상승 방향(x)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기능적 부분(5)의 서브 섹션(7)들에서, 무게 중심선(4)은 0보다 큰 경사도를 가진다. 따라서, 이들 서브 섹션(7)에서, 생크(2)는 도구의 길이 방향(z)에 대해 기울어지고, 특히, 도구의 길이 방향(z)과 평행하게 진행되지 않는다.
도 2는 A-A 단면을 도시하며, 그 위치는 도 1에 도시되고 무게 중심선(4)에서 국부 최고점(14)의 위치에서 기능적 부분(5)에서의 생크(2)를 통과한다. 기능적 부분(5)의 부분들이 도시되며, 여기서 전체로서 취해진 기능적 부분(5)은 전체 생크 높이(6)에 걸쳐 연장된다. 생크 높이(6)는 최고점 생크 높이(12)에 의해 양의 상승 방향(x)으로, 그리고 최저점 생크 높이(11)에 의해 음의 상승 방향(x)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단면 표면(8)은 해칭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승 방향(x) 및 측 방향(y)에서 볼 때 단면 표면(8)의 중심에 "놓이는" 중심(9)을 가진다. 단면 표면(8)은 편직 도구(1)의 바닥 표면(13)에 의해 음의 상승 방향(x)으로 아래쪽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바닥 표면(13)은 또한, 단면 평면 외부에 놓이고 단면 표면(8) 아래로 연속하는 영역에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단면 표면(8)은 편직 도구(1)의 상단 표면(10)에 의해 양의 상승 방향(x)으로 위쪽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상단 표면(10)은 최고점 생크 높이(12)의 레벨에 있다. 단면 표면(8)의 위치에서, 바닥 표면(13), 따라서 생크(2)는 대조적으로 최저점 생크 높이(11)로부터 바닥 거리(16)만큼 이격된다. 즉, 음의 상승 방향(x)에서 국부 최고점(14) 아래에, 생크(2)와 최저점 생크 높이(11) 사이의 "간극"이 존재한다.
도 3은 B-B 섹션을 도시하며, 그 위치는 도 1에 또한 도시되어 있고 무게 중심선(4)에서의 국부 최저점(15)의 위치에서 기능적 부분(5)의 생크(2)를 통과한다. 기능적 부분(5)의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고, 전체로서 취해진 기능적 부분(5)은 전체 생크 높이(6)에 걸쳐서 연장된다. 생크 높이(6)는 최고점 생크 높이(12)에 의해 양의 상승 방향(x)으로, 그리고 최저점 생크 높이(11)에 의해 음의 상승 방향(x)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단면 표면(8)은 해칭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승 방향(x) 및 측 방향(y)에서 볼 때 단면 표면(8)의 중심에 "놓이는" 중심(9)을 가진다. 단면 표면(8)은 편직 도구(1)의 상단 표면(10)에 의해 양의 상승 방향(x)으로 위쪽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상단 표면(10)은 또한, 단면 평면 외부에 놓이고 단면 표면(8) 위로 연속하는 영역에서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다. 단면 표면(8)은 편직 도구(1)의 바닥 표면(13)에 의해 음의 상승 방향으로 아래로 범위가 정해진다. 도 3에서, 바닥 표면(13)은 최저점 생크 높이(11)의 레벨에 있다. 단면 표면(8)의 위치에서, 상단 표면(10)은 대조적으로 최고점 생크 높이(12)로부터 상단 거리(17)만큼 이격된다. 즉, 양의 상승 방향(x)에서 국부 최저점(15) 위로, 생크(2)와 최고점 생크 높이(12)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도 4는 편직 동안 구동력과 구동 움직임을 수용하여 편직 도구(1)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버트(18)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에서 볼 때 버트(18)의 전방 및 후방에는 기능적 부분(5)의 2개의 인접한 서브 부분(33)이 있다. 2개의 서브 부분(33)은 기능적 부분(5)을 함께 형성한다. 이것들은 버트(18)의 버트 길이(32)의 대략 1.5배인 기능적 부분 거리(31) 만큼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버트(18)는 기능적 부분(5)의 2개의 서브 부분(33) 사이에 위치된다. 기능적 부분(5)의 서브 부분(33)에 있는 생크(2)의 형상은 복수의 삼각형 오목부(19)를 가진다. 이들 삼각형 오목부(19)는 x-z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삼각형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측 방향으로 편직 도구(1)의 생크(2)를 완전히 "관통"한다. 생크(2)의 상단 표면(10)과 바닥 표면(13)은 기능적 부분(5)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5는 버트(18), 및 2개의 서브 부분(33)을 가지는 기능적 부분(5)을 또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1)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의 형상과 대조적으로, 서브 부분(33)들에서의 생크(2)의 형상은 복수의 파형 오목부(20)를 가진다. 이들 파형 오목부(20)는 x-z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파형 또는 아치형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측 방향으로 편직 도구(1)의 생크(2)를 완전히 "관통"한다. 2개의 서브 부분(33) 중 하나는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버트(18) 전방에 배치되고, 2개의 서브 부분(33) 중 다른 하나는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버트(28) 뒤에 배치된다. 2개의 서브 부분(33)은 버트(18)에 직접 인접한다. 따라서,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서브 부분(33)들과 버트(18)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존재하지 않는다. 연장 방향과 반대인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에서 볼 때 기능적 부분(5)의 무게 중심선(4)에서의 마지막 최고점은 기능적 부분(5)의 전역 최고점이다. 편직 도구(1)는 편직 도구(1)가 측 방향(y)으로 진행되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전역 최고점에 의해 특히 잘 지지되고 안내된다.
도 6은 버트(18) 및 안내 부분(5)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도구(1)를 도시하고, 상기 안내 부분(5)은 2개의 서브 부분(33)을 포함한다. 안내 부분(5)에서, 생크(2)는, 생크(2)와 무게 중심선(4)이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도구의 길이 방향(z)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서브 섹션(7)들을 가지며, 따라서 무게 중심선(4)의 경사도의 절대값은 0보다 크다. 각각의 극부 최고점(14)의 영역에서, 생크(2)의 상단 표면(10)은 오물 포획부(21)를 가진다. 각각의 국부 최저점(15)의 영역에서, 생크(2)의 바닥 표면(13)은 오물 포획부(21)를 가진다. 오물 포획부(21)들이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선(4)에서 국부 최고점(14)의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에, 생크(2)의 상단 표면(10)은 무게 중심선(4)의 국부 최고점(14) 전방에 국부 최고점을 가지는 경사도를 가진다. 오물 포획부(21)들이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선(4)에서 국부 최저점(15)의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에, 생크(2)의 바닥 표면(13)은 무게 중심선(4)의 국부 최저점(15)의 전방에서 국부 최저점을 가지는 경사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단 표면(10) 및 바닥 표면(13)은 도구의 길이 방향에 대해 더 강하게 기울어지며, 즉, 경사도의 절대값은 생크(2)의 인접한 서브 섹션(7)에서보다 크다.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으로 편직 도구(1)의 역방향 이동 동안, 오물 포획부(21)는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으로 오물 운반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물은 루프 형성 요소(3)를 포함하는 편직 도구(1)의 부분으로부터 멀리 유지된다. 형성된 루프 및 직물의 오염 가능성이 감소된다.
도 7은 편직 도구의 "자가 청소"가 작동하는 원리를 예를 들어 3단계로 도시한다: 시작 위치에서, 여기에서 단계 a)는 오물(23)이 편직 도구(1)의 작업 영역(24)에서 수집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물(23)은 많은 수의 섬유, 오물 입자, 및 마모된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무게 중심선(4)은 국부 최고점(14)과 최저점(15) 사이에서 진행되고, 분명히 0보다 큰 경사도를 가진다. 도 7의 단계 b)에서, 편직 도구(1)는 전방 이동(25) 동안 도시된다. 서브 섹션(7)들에서 상승하는 무게 중심선(4)으로 인해, 오물(23)은 편직 도구(1)의 전방 이동(25) 동안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 및 상승 방향(x)으로 밀려난다. 도 7의 단계 c)에서, 편직 도구(1)가 역방향 이동(26) 동안 도시된다. 편직 도구(1)의 이동 및 상승하는 무게 중심선(4)으로 인해, 오물(23)은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 및 상승 방향(x)으로 밀려난다. 도면에서, 편직 도구(1)들은 도구의 길이 방향(z)이 직립하는 방식으로 편직 기계에 배열되며; 따라서, 중력 가속도(g)는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을 향한다. 따라서, 편직 도구가 작업 영역(24) 밖으로 밀려났기 때문에 상승 방향으로 편직 도구 위로 돌출되는 어떠한 오물(23)도 지구의 가속도(g)로부터 초래되는 중량으로 인해 편직 기계로부터 떨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시의 모든 실시예에서, 작업 영역(24)으로부터 돌출되는 오물(23)은 편직 도구(1)와 캠 요소(29) 또는 다이얼(수평으로 배치된 편직 도구의 경우)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추가로 "마멸"될 것이다. 따라서, 편직 도구(1) 및 편직 디바이스(27)의 오염이 감소된다.
도 8은 3개의 바늘 슬롯(28)을 포함하는 편직 디바이스(27)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에서의 3개의 바늘 슬롯(28) 중 가장 좌측 바늘 슬롯은 편직 도구(1)가 끼워지며, 이러한 경우에, 편직 바늘의 루프 형성 요소(3)는 후크이다. 중간 및 우측 바늘 슬롯(28)은 바늘 슬롯(28)이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편직 도구(1)가 끼워지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모든 바늘 슬롯(28)은 편직 동안 편직 도구(1)가 끼워진다. 편직 도구(1)는 편직 도구(1)의 나머지 부분 위로 돌출하는 버트(18), 및 상승 방향(x)으로의 바늘 슬롯을 포함한다.
도 9는 편직 도구(1), 및 캠 곡선(30)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캠 요소(29)를 도시한다. 편직 도구(1)의 버트(18)들은 4개의 캠 곡선 각각에 맞물릴 수 있고, 각각의 편직 도구(1)에서의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은 편직 도구(1)와 캠 요소(29) 사이의 상대 이동에 기인한다. 편직 도구(1)에 대한 캠 요소(29)의 위치 및 캠 곡선의 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캠 요소(29)는 도구의 길이 방향 축(z)에 대해 90°만큼 회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확한 설치 위치에서, 캠 곡선(30)의 오목부들은 사실상 음의 상승 방향(x)으로 개방되어서, 편직 도구의 버트(18)는 상승 방향(x)에서 캠 곡선(30) 중 하나에 맞물릴 수 있다. 편직 도구(1)의 무게 중심선(4)은 양의 방향(x)에서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이 위치되는 위치에서 2개의 국부 최고점(14)을 가진다. 명료함을 위해, 도면에는 전체 무게 중심선(4)이 도시되지 않고 2개의 국부 최고점(14)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단 표면(10)의 이들 최고 지점은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캠 곡선(30)들로부터 0보다 큰 안전 거리(38)만큼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도구(1)의 생크(2)는 불필요하게 캠 곡선(30) 중 하나에 "후킹"되어 편직 도구(1)의 구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거나 편직 도구(1)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3개의 바늘 슬롯(28)을 포함하는 편직 디바이스(27)의 평면도이다. 3개의 바늘 슬롯(28)의 각각에는 2개의 서브 부분(33)을 가지는 기능적 부분(5)을 포함하는 편직 도구(1)가 있다. 3개의 편직 도구(1) 중 최상측 및 최하측은 연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들은 연장된 상태의 두 가지 변형을 보여준다. 하나의 편직 이동에 대해, 단지 하나의 연장된 상태만이 있다. 그러나, 도 10에서, 두 변형이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연장된 상태에서, 편직 도구는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에서 편직 이동의 가장 먼 위치에 도달했다. 3개의 편직 도구(1) 중 최상측이 있는 도 10에 도시된 제1 연장 상태 변형의 경우에,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부분(5)은 최상측 바늘 슬롯(28)에 완전히 수용되고, 바늘 슬롯(28)의 전방 가장자리까지의 가장자리 거리(35)를 가진다. 3개 중 중간 편직 도구(1)는 후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에서 편직 이동의 가장 먼 위치에 도달했다.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도 10에서의 중간 및 최상측 편직 도구의 루프 형성 요소(3)들 사이의 거리는 편직 이동의 스트로크(34)에 대응한다. 도면에서 최하측 편직 도구(1)는 연장된 상태의 제2 변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트로크(34)의 크기는 이 경우에 기능적 부분(5)이 편직 동안 바늘 슬롯(28)을 빠져나가도록 매우 크다.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부분(5)의 도구 길이 방향(z)에서, 길이의 적어도 80%는 편직 동안 항상 슬롯(28) 내에 남아 있다.
도 11은 편직 디바이스(27)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섹션은 x-z 평면에 있고, 편직 도구(1)가 끼워진 바늘 슬롯(28)을 통과한다. 바늘 슬롯(28)의 상부 가장자리(36)는 편직 도구(1)의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39)으로부터, 따라서 또한 생크(2)로부터 상승 거리(37) 만큼 이격된다. 양의 상승 방향(x)에서, 상부 가장자리(36)는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보다 높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유리한 것은 바늘 슬롯(28)이며, 그 상부 가장자리(36)는 양의 상승 방향(x)으로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승 거리(37)는 0이 될 것이다.
도 12는 도 6의 편직 도구(1)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가지는 편직 도구(1)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과 비교하여, 편직 도구(1)는 바닥 표면(13)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41)보다 작은 절대값을 가지는 국부 경사도 최고점(40)을 가지는 상단 표면(10)을 가진다. 편직 동안, 이러한 종류의 편직 도구(1)는 상단 표면(10)의 보다 평평한 경사도가 편직 도구(1)의 보다 양호한 안내 및 더욱 큰 유체 운동을 만들기 때문에 편직 디바이스의 바늘 슬롯에서 더 낮은 마찰력을 유발한다. 도구의 연장 방향과 반대인 음의 길이 방향(z)에서 본 기능적 부분(5)의 무게 중심선(4)의 마지막 최고점(14)이 전역 최고점(42)이라는 점에서, 편직 도구(1)는 도 6에 도시된 편직 도구(1)와 더욱 다르다. 이러한 전역 최고점(42)이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음의 길이 방향(z)에서 볼 때 편직 도구(1)의 단부로부터 이격될지라도, 거리는 가능한 한 작게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직 도구(1)는 측 방향(y)으로 진행되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조치 역시 편직 동안 편직 도구(1)의 더 나은 안내 및 유체 이동을 만든다. 전술한 특징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단 표면(10)에 의해 형성된 오물 포획부(21)들의 형상을 변경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오물 포획부(21)는 이 단락에서 이미 설명한 자가 청소 효과를 지원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1 : 편직 도구 2 : 생크
3 : 루프 형성 요소 4 : 무게 중심선
5 : 기능적 부분 6 : 생크 높이
7 : 서브 섹션 8 : 단면 표면
9 : 중심 10 : 상단 표면
11 : 최저점 생크 높이 12 : 최고점 생크 높이
13 : 바닥 표면
14 : 무게 중심선(4)에서의 국부 최고점
15 : 무게 중심선(4)에서의 국부 최저점
16 : 하단 거리 17 : 상단 거리
18 : 버트 19 : 삼각형 오목부
20 : 파형 오목부 21 : 오물 포획부
22 : 단면 표면 높이 23 : 오물
24 : 작업 영역 25 : 전방 이동
26 : 후방 이동 27 : 편직 디바이스
28 : 바늘 슬롯 29 : 캠 요소
30 : 캠 곡선 31 : 기능부 거리
32 : 버트(18)의 길이 33 : 기능적 부분(5)의 서브 부분
34 : 편직 이동의 스트로크 35 : 가장자리 거리
36 : 바늘 슬롯(28)의 상부 가장자리 37 : 상승 거리
38 : 안전 거리 39 :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
40 : 상단 표면(10)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
41 : 바닥 표면(13)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
42 : 무게 중심선(4)의 전역 최고점 x : 상승 방향
y : 측 방향 z : 도구의 길이 방향

Claims (18)

  1. ㆍ본질적으로 편직 도구(1)가 편직 동안 이동되는 도구의 길이 방향(z)으로 연장되는 생크(2)를 가지며,
    ㆍ상기 생크(2)는 그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z)에 직각으로 진행하고 측 방향(y) 및 상승 방향(x)에 의해 한정되는 단면 표면(8)을 가지며,
    ㆍ각각의 이들 단면 표면(8)은 중심(9)을 가지며,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z)을 따르는 모든 상기 단면 표면(8)의 중심(9)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무게 중심선(4)이 상기 중심을 통해 진행하며,
    ㆍ상기 생크(2)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부분(5)을 가지며,
    ㆍ상기 무게 중심선(4)은 높이를 변경하며,
    ㆍ상기 단면 표면(8)의 높이는 상기 기능적 부분(5)의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에서, 상기 기능적 부분(5) 내에서 상기 상승 방향(x)으로 상기 생크(2)의 최저 지점과 상기 상승 방향(x)으로 상기 생크(2)의 최고 지점 사이의 상승 방향(x)으로의 거리인 상기 기능적 부분(5) 내의 생크 높이(6)보다 작으며,
    ㆍ상기 기능적 부분(5)은 전체 편직 도구(1)의 길이의 20% 이상, 그러나 바람직하게 25% 이상인 특징을 가지는 편직 도구(1)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은 상기 무게 중심선(4)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과 ∞ 사이인 서브 섹션(7)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는 적어도 하나의 버트(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은 상기 무게 중심선(4)의 경사도의 절대값이 0과 ∞ 사이인 서브 섹션(7)들을 각각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서브 부분(33)로 이루어지고,
    이들 서브 부분(33)은 상기 편직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는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볼 때 상기 버트(18)에 선행하는 상기 기능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33) 및 상기 도구(z)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버트에 후행하는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 바람직하게 2개의 서브 부분(33)이 상기 버트(18)에 직접 인접하거나 또는 전체 편직 도구의 길이의 10% 이하인 거리 만큼만 상기 도구 길이 방향(z)에서 상기 버트(18)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은 상기 무게 중심선(4)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상승 극단(최저점(15) 또는 최고점(14))을 가지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극단에서, 상기 무게 중심선(4)의 경사도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의 양의 상승 방향(x)을 향한 상기 생크(2)의 표면(상단 표면(10))은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상기 무게 중심선(4)의 적어도 2개의 국부 최고점914)의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및/또는 상기 편직 도구(1)의 음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생크(2)의 표면(바닥 표면(13))은 상기 무게 중심선(4)의 적어도 2개의 국부 최저점(15)의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 방향(y)을 향하는 샤프트(2)의 측 방향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국부 극단(14)의 위치에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의 대부분에 대해 상기 측 방향(y)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선(4)의 국부 최고점(14)들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2)는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최저 샤프트 높이(11)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무게 중심선(4)의 국부 최저점(15)들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2)는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최고 샤프트 높이(1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부분(33)은 x-z 평면에서, 측 방향(y)에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 오목부(19)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형 오목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의 양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샤프트(2)의 표면(상단 표면(10))은 도구의 연장 방향을 향하는 상기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으로, 상기 무게 중심선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높이 최고점(14)의 전방에 국부 경사도 최고점(40)을 가지는 경사도 코스를 가지며, 및/또는
    상기 편직 도구(1)의 음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샤프트(2)의 표면(바닥 표면(13))은 상기 도구의 연장 방향을 향하는 상기 도구의 양의 길이 방향(z)으로, 상기 무게 중심선(4)의 적어도 하나의 국부 높이 최저점(15)의 전방에 국부 경사도 최저점(14)을 가지는 경사도 코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표면(10)의 국부 경사도 최고점(40)의 절대값 및/또는 상기 바닥 표면(13)의 국부 경사도 최저점(41)의 값은 0.57 내지 2.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의 양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생크(2)의 표면(상단 표면(10)) 및 상기 편직 도구(1)의 음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생크(2)의 표면(바닥 표면(13))은 상기 기능적 부분(5)의 서브 섹션(7)들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의 음의 길이 방향(z)에서, 상기 기능적 부분(5)의 무게 중심선(4)의 마지막 최고점(14)은 전역 최고점(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도구(1).
  15. 편직 도구(1)를 수용하여 작업 동안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늘 슬롯(28), 및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편직 도구(1)를 가지는, 편직 디바이스(27).
  16. 제15항에 있어서, ㆍ상기 편직 도구(1)의 길이 방향(z)으로의 바늘 슬롯(28)의 길이,
    ㆍ상기 편직 도구(1)의 길이 방향(z)으로의 기능적 부분(5)의 범위, 및
    ㆍ편직 동안 상기 편직 도구(1)의 편직 이동의 스트로크(34)의 크기는 상기 길이 방향(z)으로의 상기 편직 도구(1)의 기능적 도구(5)의 범위의 적어도 80%, 유리하게 90%, 그러나 바람직하게 100%가 편직 동안 상기 바늘 슬롯(28) 내에 남아 있도록 상호 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디바이스(27).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슬롯(28)의 상부 가장자리(36)는 상기 편직 도구(1)의 양의 상승 방향(x)을 향한 샤프트의 표면, 즉 상단 표면(10)의 최고 지점(39)으로부터 0.5 mm의 최고점만큼, 그러나 바람직하게 0.3 mm의 최고점만큼 상승 방향(x)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디바이스(27).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도구(1)는 상기 기능적 부분(5)에 대해 양의 상승 방향(x)으로 상승되는 버트(18)를 가지며,
    상기 버트(18)는 상기 편직 디바이스(27)의 오목부(캠 곡선(30))에 맞물리며,
    상기 편직 도구(1)의 양의 상승 방향(x)을 향하는 상기 생크(2)의 표면(상단 표면(10))의 양의 상승 방향(x)에서의 최고 지점(39)은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z)에서 상기 캠 곡선(3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디바이스(27).
KR1020237013304A 2020-12-16 2021-11-17 편직 도구 KR20230119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4742.7 2020-12-16
EP20214742.7A EP4015690B1 (de) 2020-12-16 2020-12-16 Strickwerkzeug
DE102021119011.8 2021-07-22
DE102021119011.8A DE102021119011A1 (de) 2020-12-16 2021-07-22 Strickwerkzeug
PCT/EP2021/081984 WO2022128297A1 (de) 2020-12-16 2021-11-17 Strickwerk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108A true KR20230119108A (ko) 2023-08-16

Family

ID=7880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304A KR20230119108A (ko) 2020-12-16 2021-11-17 편직 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52537A1 (ko)
EP (1) EP4263925A1 (ko)
JP (1) JP2024500337A (ko)
KR (1) KR20230119108A (ko)
TW (1) TW202225511A (ko)
WO (1) WO20221282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5489A5 (ko) 1974-02-05 1976-05-14 Agula Sa
CH650292A5 (de) 1981-05-14 1985-07-15 Textilma Ag Maschenbildungseinheit fuer strickmaschine.
JPS61239065A (ja) 1985-04-12 1986-10-24 福原ニ−ドル株式会社 丸編機用のメリヤス板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4634B2 (ja) 2004-12-07 2010-04-21 福原ニードル株式会社 丸編機用部品
PT2927360T (pt) 2014-04-03 2017-04-20 Groz Beckert Kg Ferramenta de tricotar para máquinas de tricot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8297A1 (de) 2022-06-23
JP2024500337A (ja) 2024-01-09
US20240052537A1 (en) 2024-02-15
TW202225511A (zh) 2022-07-01
EP4263925A1 (de)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694B2 (en) System component having a braking spring
EP2063009B1 (en) Sinker for a knitting system and knitting system showing reduced wear
KR20230119108A (ko) 편직 도구
JP6621417B2 (ja) 編み機のための編み工具
JP4454634B2 (ja) 丸編機用部品
US7334436B2 (en) Component for a knitting system
US4621506A (en) Knitting machine
JP6059856B2 (ja) 改良されたスライダを有するスライダ針
KR101118027B1 (ko)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KR102285359B1 (ko) 경편기용 복합침
CN116648534A (zh) 编织工具
EP2392710B1 (en) Flat knitting machine
CN1876925A (zh) 纺织机的舌针
CN101240480B (zh) 针织横机
KR102416661B1 (ko) 기계 편직 도구, 특히 기계 편직 바늘
KR102366041B1 (ko) 횡편기
JP7341752B2 (ja) 編み機工具、特に編み機針
JP4977580B2 (ja) 横編機
CN211079522U (zh) 一种横机压纱装置
CN108166146B (zh) 一种大圆机及其选针机构
JP2024519163A (ja) 編み物を製造するためのシンカー、編み装置、および編み方法
CN102704172A (zh) 针织机
WO2022090356A1 (en) Knitting system and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CN102312344A (zh) 平型针织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