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702A -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702A
KR20230118702A KR1020237025712A KR20237025712A KR20230118702A KR 20230118702 A KR20230118702 A KR 20230118702A KR 1020237025712 A KR1020237025712 A KR 1020237025712A KR 20237025712 A KR20237025712 A KR 20237025712A KR 20230118702 A KR20230118702 A KR 2023011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io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321B1 (ko
Inventor
다이스케 나카무라
히로아키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75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등록된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부(22)와, 기기 정보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16)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기 관리 서버(16)로부터,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23)와,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를 구비하도록, 단말 장치(15)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본 개시는,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등록을 접수하여, 등록된 기기의 일람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한다)이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등록될 수 있는 기기는, 예컨대, 각종 가전제품이다.
한편, 최근, 예컨대 가전제품 중에서도, 인터넷 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와 통신 가능한 것이 늘어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기기는, 가전제품 이외의 전자 기기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라고 불린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3-125448호 공보
IoT 기기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다른 IoT 기기와 상호 통신 가능하기 때문에, 비 IoT 기기보다 편리하다. 따라서, 유저는,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 중, 비 IoT 기기를 IoT 기기로 바꾸고 싶다고 생각하는 일이 있다.
유저가, 종래기술에 의해 표시된 기기의 일람표를 보더라도, 등록된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유저는, 기기의 일람표를 보더라도, 바꿀 대상의 기기를 특정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가 IoT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 장치는,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부와, 기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가 IoT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의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은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의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8은 기기(11-n), 단말 장치(15) 및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의 요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처리 수순인 정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기기(11-n)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에 대응하고 있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기기(11-n)의 식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단말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9는 기기(11-n), 단말 장치(15) 및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의 요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20은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연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조작 입력 장치(12), 표시 출력 장치(13), 기억 장치(14), 단말 장치(15), 기기 관리 서버(16) 및 네트워크(17)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11-n)(n=1, …, N)는,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유형(有形)의 물체이고,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전자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유형의 물체에는, 가전제품 외에, 주택 설비 기기, 차량 탑재 기기, FA(Factory Automation) 기기, 빌딩 설비 기기, 음식점 설비 등이 포함된다.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기기(11-1~11-N)의 전부가 네트워크(17)에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17)에 접속되는 기기(11-n)는, IoT 기기이고, 비 IoT 기기인 기기(11-n)는, 네트워크(17)에 접속되지 않는다.
또, 기기(11-n)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IoT에 대응하는 준 IoT 기기이면, 당해 기기(11-n)는, 네트워크(17)에 접속된다. 특정한 조건으로서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등을 실현하는 어댑터 등을, 기기(11-n)의 외부 접속 단자 등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통신 기능을 기기(11-n)에 추가하고, 기기(11-n)를 네트워크(17)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외부 옵션을 도입하는 조건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조건으로서는, 기기(11-n)를 네트워크(17)에 접속 가능하게 하고, 또한, 단말 장치(15)에 의한 기기(11-n)의 원격 제어 및 단말 장치(15)에 의한 기기(11-n)의 동작 로그의 취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 적외선 리모컨 장치 등의 외부 옵션을 기기(11-n)의 근방에 도입하는 조건을 생각할 수 있다. 스마트 적외선 리모컨 장치는, 기기(11-n)를 향해서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기기(11-n)에 부속된 표준 적외선 리모컨 장치가 발신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방수(傍受)할 수 있는, 무선 LAN 통신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키보드, 마우스, 제스처 조작 인식 장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 기기에 의해 실현된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유저의 조작(이하 "유저 조작"이라고 한다)을 접수하여, 유저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단말 장치(15)에 출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조작 입력 장치(12)가, 키보드, 마우스, 제스처 조작 인식 장치,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조작 입력 장치(12)는, 예컨대, 유저의 음성을 받아들이는 마이크 및 마이크에 의해 받아들여진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전기 신호로부터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조작 해석부를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표시 출력 장치(13)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고, 단말 장치(15)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키는 장치이다.
기억 장치(14)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기억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 장치(14)는,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기입 요구에 따라서, 정보를 기억 매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요구에 따라서,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단말 장치(15)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또는, 전용 집적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조작 입력 장치(12) 및 표시 출력 장치(13)가, 단말 장치(15)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단말 장치(15)가, 휴대 단말에 의해 실현되어 있는 경우, 조작 입력 장치(12) 및 표시 출력 장치(13)가, 단말 장치(15)의 내부에 마련되는 일이 있다.
기기 관리 서버(16)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컴퓨터, 또는, 전용 집적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단말 장치(15)와 기기 관리 서버(16)는, 네트워크(17)를 통해서,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7)는, LAN,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4G(4th Generation), 5G, 또는, 인터넷 회선 등의 통신망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15)와 기기 관리 서버(16)는, 인터넷 회선 등의 광역의 통신망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가정 내의 LAN, 또는, 공장 내의 LAN만을 통해서, 서로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이, 예컨대, 1개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기기이면, 단말 장치(15)와 기기 관리 서버(16)는, 기기 내의 배선을 통해서,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네트워크(17)에는, 기기(11-n)(n=1, …, N), 기억 장치(14), 단말 장치(15) 및 기기 관리 서버(16)의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단말 장치(15)는, 기기 등록부(21), 기기 정보 취득부(22), 식별 정보 취득부(23),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표시 처리부(25), 통신 확립부(26) 및 제어부(27)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 등록부(21)는, 예컨대, 기기 등록 회로(31)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 등록부(21)는,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n=1, …, 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등록부(21)는, 기기 정보를 후술하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기기(11-n)의 등록을 행한다. "구입한 물건 리스트"는, 예컨대, 기억 장치(14)에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고, 도시하지 않는 외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구입한 물건 리스트"는, 기기 등록부(21)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단말 장치(15)에서는, 기기 등록부(21)가,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기기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예컨대, 기기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기기(11-n)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도시하지 않는 바코드 리더가, 당해 바코드를 읽고, 기기 등록부(21)가, 당해 바코드 리더에 의해 읽힌 바코드가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기 등록부(21)가, 기기(11-n)의 구입처의 판매 사이트에 남아 있는 구입 이력으로부터, 기기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카메라가, 기기(11-n)의 하우징, 기기(11-n)의 포장 상자, 또는, 기기(11-n)의 취급 설명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기기 정보인 제품 번호의 문자열을 촬영하고,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이, 카메라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기기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기기 등록부(21)는, 취득한 기기 정보를 기기 정보 취득부(22)에 출력한다.
기기 정보 취득부(22)는, 예컨대, 기기 정보 취득 회로(32)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 정보 취득부(22)는, 기기 등록부(21)로부터 출력된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정보 취득부(22)는, 취득한 기기 정보를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출력한다.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예컨대, 식별 정보 취득 회로(33)에 의해 실현된다.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기기 정보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기기 관리 서버(16)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IoT에 대응하는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식별 정보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및 통신 확립부(26)의 각각에 출력한다.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예컨대,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34)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25)에 출력한다.
표시 처리부(25)는, 예컨대, 표시 처리 회로(35)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처리부(25)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통신 확립부(26)는, 예컨대, 통신 확립 회로(36)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 확립부(26)는, 식별 정보 취득부(23)로부터 출력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인식한다.
통신 확립부(26)는, 기기 등록부(21)에 의해 등록이 행하여진 기기(11-n)가, IoT 기기,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준 IoT 기기이면, 기기(11-n)와 단말 장치(15)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일 때,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컨대,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고,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통신 확립부(26)는,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을 확립시킨 기기(11-n)를 나타내는 통신 확립 정보를 제어부(27)에 출력한다.
제어부(27)는, 예컨대, 제어 회로(37)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7)는, 통신 확립부(26)로부터 통신 확립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27)는, 통신 확립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를 접수하는 외에, 기기(11-n)의 최신 상태 등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정보의 취득 지시 등을 접수한다.
제어부(27)는, 기기(11-n)의 제어를 접수하면,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기(11-n)를 제어한다.
또,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제어부(27)가 행하더라도 좋지만, 제어부(27)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기기(11-n)에 주고, 기기(11-n)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부(27)가,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기기 관리 서버(16)에 주고, 기기 관리 서버(16)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2에서는,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인 기기 등록부(21), 기기 정보 취득부(22), 식별 정보 취득부(23),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표시 처리부(25), 통신 확립부(26) 및 제어부(27)의 각각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즉, 단말 장치(15)가, 기기 등록 회로(31), 기기 정보 취득 회로(32), 식별 정보 취득 회로(33),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34), 표시 처리 회로(35), 통신 확립 회로(36) 및 제어 회로(37)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기기 등록 회로(31), 기기 정보 취득 회로(32), 식별 정보 취득 회로(33),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34), 표시 처리 회로(35), 통신 확립 회로(36) 및 제어 회로(37)의 각각은, 예컨대,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고,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프로세서, 혹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해당한다.
도 4는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의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기기 등록부(21), 기기 정보 취득부(22), 식별 정보 취득부(23),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표시 처리부(25), 통신 확립부(26) 및 제어부(27)에 있어서의 각각의 처리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메모리(41)에 저장된다. 그리고, 컴퓨터의 프로세서(42)가 메모리(4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의 각각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도 4에서는,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단말 장치(15)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나머지의 구성 요소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서버(16)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 기기 정보 수신부(52), 기기 식별부(53) 및 식별 정보 송신부(54)를 구비하고 있다.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61)에 의해 실현된다.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는,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기기 정보 수신 회로(62)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등록부(21)에 의해 등록이 행하여진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기기 정보를 기기 식별부(53)에 출력한다.
기기 식별부(53)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기기 식별 회로(63)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 식별부(53)는, 기기 정보 수신부(52)로부터,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식별부(53)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한다.
기기 식별부(53)는,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송신부(54)에 출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가,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기기 식별부(53)가,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참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예컨대, 기기(11-n)의 제조원의 서버가,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으면, 기기 식별부(53)가, 제조원의 서버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참조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식별 정보 송신부(54)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식별 정보 송신 회로(64)에 의해 실현된다.
식별 정보 송신부(54)는, 기기 식별부(53)로부터 출력된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식별 정보 송신부(54)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송신한다.
도 5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인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 기기 정보 수신부(52), 기기 식별부(53) 및 식별 정보 송신부(54)의 각각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즉, 기기 관리 서버(16)가,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61), 기기 정보 수신 회로(62), 기기 식별 회로(63) 및 식별 정보 송신 회로(64)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여기서,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61)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해당한다.
또한, 기기 정보 수신 회로(62), 기기 식별 회로(63) 및 식별 정보 송신 회로(64)의 각각은, 예컨대,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도 7은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의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가 컴퓨터의 메모리(71) 상에 구성된다. 기기 정보 수신부(52), 기기 식별부(53) 및 식별 정보 송신부(54)에 있어서의 각각의 처리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71)에 저장된다. 그리고, 컴퓨터의 프로세서(72)가 메모리(7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도 6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의 각각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도 7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기기 관리 서버(16)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나머지의 구성 요소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기(11-n), 단말 장치(15) 및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의 요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처리 수순인 정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유저 조작으로서, 예컨대,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n=1, …, N)의 등록 조작을 접수한다.
기기(11-n)의 등록 조작은,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이다.
또한, 기기(11-n)의 등록 조작은,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로서, 예컨대, 유저 ID(IDentification)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이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와 유저 식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면, 기기 정보와 유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등록 요구를 단말 장치(15)의 기기 등록부(21)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기기 등록부(21)는,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출력된 기기 등록 요구를 취득한다.
기기 등록부(21)는, 기기 등록 요구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억 장치(14)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억 장치(14)에 기기(11-n)의 등록을 행하게 한다.
기억 장치(14)는, 기기 등록부(21)로부터 기기 등록 요구를 받으면, 기기 등록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유저에 대응하고 있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기기 등록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정보를 추가한다.
유저에 대응하고 있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기기 정보가 추가됨으로써, 기기(11-n)가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등록된다.
도 11은 기기(11-n)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에 대응하고 있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기 정보가 "ABC-0001"인 에어컨과, 기기 정보가 "GP-1234"인 선풍기와, 기기 정보가 "TV-567"인 텔레비전과, 기기 정보가 "BD-789"인 비디오 레코더가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기기 등록부(21)가, 기억 장치(14)에 대하여, 기기(11-n)의 등록을 직접 행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기기 등록부(21)가, 기기 등록 요구를 기기 관리 서버(16)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기 관리 서버(16)가, 기억 장치(14)에 대하여, 기기(11-n)의 등록을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는, IoT 기기 및 준 IoT 기기뿐 아니라, 비 IoT 기기도 등록되어 있다.
기억 장치(14)는, 유저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유저에 대응하고 있는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등록된 모든 기기(11-1~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단말 장치(15)의 기기 등록부(21)에 송신한다.
기기 등록부(21)는, 기억 장치(14)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등록된 모든 기기(11-1~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기기 등록부(21)는, 등록된 모든 기기(11-1~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기기 정보 취득부(22)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기기 정보 취득부(22)는, 기기 등록부(21)로부터, 등록된 모든 기기(11-1~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도 8의 스텝 ST1, 도 9의 스텝 ST21).
기기 정보 취득부(22)는, 등록된 모든 기기(11-1~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기기(11-n)(n=1, …, 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정보 수신부(52)에 송신한다(도 8의 스텝 ST2, 도 9의 스텝 ST22).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도 8의 스텝 ST3, 도 10의 스텝 ST41).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기기 정보를 기기 식별부(53)에 출력한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식별부(53)는, 기기 정보 수신부(52)로부터,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식별부(53)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한다(도 8의 스텝 ST4, 도 10의 스텝 ST42).
도 12는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기기 정보가 "TV-567"인 텔레비전이 IoT 기기, 기기 정보가 "TV-288"인 텔레비전이 준 IoT 기기, 기기 정보가 "BD-789"인 비디오 레코더가 비 IoT 기기이다. 또한, 기기 정보가 "ABC-0001"인 에어컨이 IoT 기기, 기기 정보가 "GP-1234"인 선풍기가 준 IoT 기기이다.
기기 식별부(53)는,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송신부(54)에 출력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기기 식별용의 테이블에는, IoT 기기의 식별 결과 및 준 IoT 기기의 식별 결과뿐 아니라, 비 IoT 기기의 식별 결과도 기억되어 있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식별 정보 송신부(54)는, 기기 식별부(53)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식별 정보 송신부(54)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송신한다(도 8의 스텝 ST5, 도 10의 스텝 ST43).
단말 장치(15)의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식별 정보 송신부(54)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도 8의 스텝 ST6, 도 9의 스텝 ST23).
식별 정보 취득부(23)는, 식별 정보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및 통신 확립부(26)의 각각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식별 정보 취득부(23)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도 8의 스텝 ST7, 도 9의 스텝 ST24).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25)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표시 처리부(25)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25)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화상인 식별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도 8의 스텝 ST8, 도 9의 스텝 ST25).
도 13은 기기(11-n)의 식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이 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다. 기기(11-n)가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청색으로 표시되고,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황색으로 표시되고, 기기(11-n)가 비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적색으로 표시된다.
도 13에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이 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식별 화상이 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기기(11-n)가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2), 기기(11-n)가 비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3)이 표시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기(11-n)가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1),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2), 기기(11-n)가 비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3)이 표시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기(11-n)의 일람을 나타내는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IoT 기기, 준 IoT 기기, 비 IoT 기기별로 분류되어 있는 기기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은,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기기(11-1~11-N)의 식별 화상이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를 파악할 수 있다. 모든 기기(11-1~11-N)의 취급 설명서를 나타내는 설명서 데이터를, 기기의 제조원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유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기기(11-1~11-N)의 식별 화상 등 중, 어느 하나의 기기(11-n)의 식별 화상 등에 접촉하면, 당해 기기(11-n)의 취급 설명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의 취급 설명서를 일원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가, 단말 장치(15)를 이용하여,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의 일람을 관리하는 것의 계기는, 반드시 IoT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아니라, 예컨대, 기기(11-n)의 취급 설명서를 일원 관리하고 싶다고 하는 다른 요망이더라도 좋다. 또, 여기서는 취급 설명서가 표시되는 경우로 예시하였지만, 제조원 등이 제공하는 기기(11-n)에 관한 공식 웹사이트, 또는, FAQ(자주 묻는 질문) 등, 당해 기기에 관련된 정보, 또는, 이들 정보를 일람으로서 정리한 관련 정보의 일람 표시이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5)의 통신 확립부(26)는, 식별 정보 취득부(23)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확립부(26)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인식한다.
통신 확립부(26)는, 기기(11-n)가, IoT 기기,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준 IoT 기기이면(도 8의 스텝 ST9: YES의 경우, 도 9의 스텝 ST26: YES의 경우), 기기(11-n)와 단말 장치(15)의 통신을 확립시킨다(도 8의 스텝 ST10, 도 9의 스텝 ST27).
기기(11-n)와 단말 장치(15)의 통신의 확립은, 기기(11-n)를 예컨대 무선 LAN에 접속시켜, 기기(11-n)와 단말 장치(15)가, 서로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일 때,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컨대,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고, 단말 장치(15)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통신 확립부(26)는, 기기(11-n)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은 준 IoT 기기, 또는, 비 IoT 기기이면(도 8의 스텝 ST9: NO의 경우, 도 9의 스텝 ST26: NO의 경우), 기기(11-n)와 단말 장치(15)의 통신을 확립시키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통신 확립부(26)는,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을 확립시킨 기기(11-n)를 나타내는 통신 확립 정보를 제어부(27)에 출력한다.
기기(11-1~11-N) 중, 통신 확립부(26)에 의해, 통신이 확립된 기기를 명시하기 위해, 표시 데이터 생성부(24)가, 통신 확립이 끝난 기기와, 통신 미확립의 기기를 분별하는 아이콘 등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처리부(25)가,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당해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유저 조작으로서, 예컨대, 기기(11-n)의 제어 조작을 접수한다.
기기(11-n)의 제어 조작은,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와, 기기(11-n)의 제어 내용을 접수하는 조작이다.
조작 입력 장치(12)는, 기기 정보와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요구를 단말 장치(15)의 제어부(27)에 출력한다.
도 14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기기(11-n)가, "TV-567"의 텔레비전이고, 제어 내용이, 채널의 전환, 음량의 변경, 전원의 온/오프, 입력 전환, 화면 표시 및 음소거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을 때, 유저가, "TV-567"의 텔레비전을 나타내는 기기 화상, 당해 텔레비전의 기기 정보인 "TV-567", 또는, "TV-567"의 텔레비전과 대응하고 있는 "IoT"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의 표시가,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으로부터,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으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으로부터,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으로 전환되는 도중에, 기기(11-n)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다른 화면으로부터,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으로 전환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의 잔상을 배경에 남기면서, 그 위에,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을 중첩 표시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식별 화상을,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상반부로 축소된 묘화 영역에 표시시키면서,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에, 도 14에 나타내는 기기(11-n)의 제어 내용을 표시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5)의 제어부(27)는, 통신 확립부(26)로부터, 통신 확립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27)는,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출력된 기기 제어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가, 통신 확립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이면,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출력된 기기 제어 요구를 접수한다.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일 때,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컨대,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고, 단말 장치(15)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제어부(27)는, 기기 제어 요구를 접수하면(도 8의 스텝 ST11: YES의 경우, 도 9의 스텝 ST28: YES의 경우), 기기 제어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내용을 실현하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기 제어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를 제어한다(도 8의 스텝 ST12, 도 9의 스텝 ST29).
기기(11-n)는, 제어 내용에 따라서 동작한다(도 8의 스텝 ST13).
제어부(27)는, 기기 제어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으면(도 8의 스텝 ST11: NO의 경우, 도 9의 스텝 ST28: NO의 경우), 기기 제어 요구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예컨대, 기기(11-n)의 제조원의 서버로부터 배포되고 있으면, 제어부(27)는, 제조원의 서버로부터,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기기(11-n)를 직접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고, 기기(11-n)의 제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기기(11-n)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미니 애플리케이션이더라도 좋다. 제어 드라이버는, 제조원의 서버로부터 미리 배포된 다른 제어용 소프트웨어, 제조원의 IoT에 대응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임의의 홈 게이트웨이 장치 혹은 라우터 장치의 플러그인 소프트웨어 내에 존재하고 있다. 제어부(27)는, 유저에 의한 미니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기기(11-n)를 간접적으로 제어한다.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니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기기(11-n)의 제조원에서는, 기기(11-n)를 직접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경우보다,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비용이 저감된다. 미니 애플리케이션은, 기기(11-n)의 제조원 이외의 제조원이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기기(11-n)를 직접 제어하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인스톨하는 풀 스펙 애플리케이션이고, 개발 단계의 수가 방대하다. 미니 애플리케이션은, 기기(11-n)를 관리하는 풀 스펙 애플리케이션 내의 독자 환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풀 스펙 애플리케이션보다 개발 단계의 수가 적다. 따라서,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니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기기(11-n)의 제조원 등에서는, 기기(11-n)를 직접 제어하는 풀 스펙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경우보다,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기기(11-n)에 대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필요는 없고, 기기(11-n)가 속하고 있는 기기 카테고리에 속하고 있는 복수의 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더라도 좋다. 기기 카테고리가 예컨대 에어컨에 대한 카테고리이면, 기기(11-n)의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복수의 에어컨의 각각을 제어하는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 혹은, 기기(11-n)의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에어컨과, 기기(11-n)의 제조원과 상이한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에어컨을 제어하는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카테고리가 예컨대 텔레비전에 대한 카테고리이면, 기기(11-n)의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복수의 텔레비전의 각각을 제어하는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 혹은, 기기(11-n)의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텔레비전과, 기기(11-n)의 제조원과 상이한 제조원이 제조하고 있는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할 수 있다.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기기의 제조원과는 상이한 제삼자가 제공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제어부(27)가 행하더라도 좋지만, 제어부(27)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기기(11-n)에 주고, 기기(11-n)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부(27)가, 기기(11-n)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기기 관리 서버(16)에 주고, 기기 관리 서버(16)가,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등록된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부(22)와, 기기 정보 취득부(22)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16)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기 관리 서버(16)로부터,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23)와, 식별 정보 취득부(23)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를 구비하도록, 단말 장치(15)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단말 장치(15)는,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가 IoT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단말 장치(15)가,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하는 기기 연계부(83)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과 유사하고,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구성도는, 도 1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단말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조합 정보 취득 회로(91)에 의해 실현된다.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통신 확립부(26)에 의해,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11-n)가 2개 이상 있으면, 각각의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기기 관리 서버(16)로부터,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취득한다.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조합 정보를 표시 처리부(82) 및 기기 연계부(83)의 각각에 출력한다.
표시 처리부(82)는, 예컨대, 표시 처리 회로(92)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처리부(82)는, 도 2에 나타내는 표시 처리부(25)와 마찬가지로,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기기(11-n)가, IoT 기기인지, 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표시 처리부(82)는, 조합 정보 취득부(81)에 의해 취득된 조합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의 조합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처리부(82)는,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기기 연계부(83)는, 예컨대, 기기 연계 회로(93)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 연계부(83)는,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출력된 조합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조합 정보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을 인식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기(11-n)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한다.
도 15에서는,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인 기기 등록부(21), 기기 정보 취득부(22), 식별 정보 취득부(23),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표시 처리부(82), 통신 확립부(26), 제어부(27), 조합 정보 취득부(81) 및 기기 연계부(83)의 각각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즉, 단말 장치(15)가, 기기 등록 회로(31), 기기 정보 취득 회로(32), 식별 정보 취득 회로(33),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34), 표시 처리 회로(92), 통신 확립 회로(36), 제어 회로(37), 조합 정보 취득 회로(91) 및 기기 연계 회로(93)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기기 등록 회로(31), 기기 정보 취득 회로(32), 식별 정보 취득 회로(33),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34), 표시 처리 회로(92), 통신 확립 회로(36), 제어 회로(37), 조합 정보 취득 회로(91) 및 기기 연계 회로(93)의 각각은, 예컨대,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기기 등록부(21), 기기 정보 취득부(22), 식별 정보 취득부(23), 표시 데이터 생성부(24), 표시 처리부(82), 통신 확립부(26), 제어부(27), 조합 정보 취득부(81) 및 기기 연계부(83)에 있어서의 각각의 처리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도 4에 나타내는 메모리(41)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프로세서(42)가 메모리(4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단말 장치(15)의 구성 요소의 각각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도 4에서는, 단말 장치(15)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단말 장치(15)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나머지의 구성 요소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기기 관리 서버(16)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도 6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조합 정보 기억부(101)는,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조합 정보 기억 회로(111)에 의해 실현된다.
조합 정보 기억부(101)는,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을 기억하고 있다.
조합 특정부(102)는,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조합 특정 회로(112)에 의해 실현된다.
조합 특정부(102)는, 기기 정보 수신부(52)로부터,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2개 이상의 기기(11-n)의 각각을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조합 특정부(102)는, 조합 정보 기억부(10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조합과, 각각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을 특정한다.
조합 특정부(102)는, 특정한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조합 정보 송신부(103)에 출력한다.
조합 정보 송신부(103)는,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조합 정보 송신 회로(113)에 의해 실현된다.
조합 정보 송신부(103)는, 조합 특정부(102)에 의해 특정된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단말 장치(15)에 송신한다.
도 17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인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 기기 정보 수신부(52), 기기 식별부(53), 식별 정보 송신부(54), 조합 정보 기억부(101), 조합 특정부(102) 및 조합 정보 송신부(103)의 각각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즉, 기기 관리 서버(16)가,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61), 기기 정보 수신 회로(62), 기기 식별 회로(63), 식별 정보 송신 회로(64), 조합 정보 기억 회로(111), 조합 특정 회로(112) 및 조합 정보 송신 회로(113)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여기서,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61) 및 조합 정보 기억부(101)의 각각은, 예컨대,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가 해당한다.
또한, 기기 정보 수신 회로(62), 기기 식별 회로(63), 식별 정보 송신 회로(64), 조합 특정 회로(112) 및 조합 정보 송신 회로(113)의 각각은, 예컨대,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IoT 대응 상황 기억부(51) 및 조합 정보 기억부(101)가, 도 7에 나타내는 메모리(71) 상에 구성된다. 기기 정보 수신부(52), 기기 식별부(53), 식별 정보 송신부(54), 조합 특정부(102) 및 조합 정보 송신부(103)에 있어서의 각각의 처리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71)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프로세서(72)가 메모리(7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도 18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구성 요소의 각각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도 7에서는, 기기 관리 서버(16)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기기 관리 서버(16)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나머지의 구성 요소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기기(11-n), 단말 장치(15) 및 기기 관리 서버(16)의 처리 수순의 요부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여기서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과 상이한 부분을 설명한다.
단말 장치(15)의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통신 확립부(26)에 의해,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11-n)가 2개 이상 있으면, 각각의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정보 수신부(52)에 송신한다(도 19의 스텝 ST51).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구입한 물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11-n) 중,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11-n)가, 기기 정보가 "ABC-0001"인 에어컨과, 기기 정보가 "GP-1234"인 선풍기와, 기기 정보가 "TV-567"인 텔레비전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ABC-0001", "GP-1234" 및 "TV-567"의 각각이,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정보 수신부(52)에 송신된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조합 정보 기억부(101)는, 예컨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을 기억하고 있다.
도 20은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의 예에서는,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으로서, 기기 정보가 "ABC-0001"인 에어컨과, 기기 정보가 "GP-1234"인 선풍기의 조합 등이 기억되어 있다.
기기 관리 서버(16)의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단말 장치(15)의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각각의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도 19의 스텝 ST52).
여기서는, 기기 정보 수신부(52)에 의해, "ABC-0001", "GP-1234" 및 "TV-567"의 각각이 수신된다.
기기 정보 수신부(52)는, 각각의 기기(11-n)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조합 특정부(102)에 출력한다.
조합 특정부(102)는, 조합 정보 기억부(101)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조합을 참조하여, 수신한 기기 정보가 나타내는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을 특정한다(도 19의 스텝 ST53).
조합 정보 기억부(101)에는,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의 조합이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ABC-0001"의 에어컨, "GP-1234"의 선풍기 및 "TV-567"의 텔레비전 중,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의 조합이,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으로서, 조합 정보 송신부(103)에 의해 특정된다.
조합 특정부(102)는, 특정한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조합 정보 송신부(103)에 출력한다.
조합 정보 송신부(103)는, 조합 정보를, 네트워크(17)를 통해서, 단말 장치(15)의 조합 정보 취득부(81)에 송신한다(도 19의 스텝 ST54).
단말 장치(15)의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기기 관리 서버(16)의 조합 정보 송신부(103)로부터, 네트워크(17)를 통해서, 조합 정보를 수신한다(도 19의 스텝 ST55).
조합 정보 취득부(81)는, 조합 정보를 표시 처리부(82) 및 기기 연계부(83)의 각각에 출력한다.
단말 장치(15)의 표시 처리부(82)는,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조합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2)는, 조합 정보가 나타내는 기기(11-n)의 조합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도 19의 스텝 ST56).
여기서는,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의 조합을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단말 장치(15)의 기기 연계부(83)는,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조합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조합 정보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을 인식한다.
여기서는,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으로서,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의 조합이, 기기 연계부(83)에 의해 인식된다.
기기 연계부(83)는,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다(도 19의 스텝 ST57).
여기서는,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의 연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이, 기기 연계부(83)에 의해 취득된다.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은, 예컨대, 유저가 조작 입력 장치(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 입력 장치(12)로부터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취득 요구가 출력되었을 때에, 행하여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15에서는, 조작 입력 장치(12)와 기기 연계부(83)의 접속선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기기 연계부(83)가, 자발적으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은, 예컨대, "ABC-0001"의 에어컨의 제조원의 서버 혹은 제조원 이외의 제삼자의 서버, 또는, "GP-1234"의 선풍기의 제조원의 서버 혹은 제조원 이외의 제삼자의 서버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기억 장치(14)가 사전에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고 있으면, 기기 연계부(83)가, 기억 장치(14)로부터,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기기 연계부(83)는, 취득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기(11-n)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한다(도 19의 스텝 ST58).
기기(11-n)끼리가 연계 제어를 행한다(도 19의 스텝 ST59).
연계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미니 애플리케이션이더라도 좋다.
또,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기기 연계부(83)가 행하더라도 좋지만, 기기 연계부(83)가,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연계 제어를 행하는 각각의 기기(11-n)에 주고, 각각의 기기(11-n)가,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5)의 표시 처리부(82)는, 조합 정보 취득부(81)로부터, 조합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2)는, 조합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연계부(83)에 의해, 연계 제어가 행하여지는 기기(11-n)를 인식한다.
표시 처리부(82)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도 21은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의 예에서는, "냉방 효과 최대화 시나리오"라고 하는 연계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ABC-0001"의 에어컨이, 설정 온도 27°C, 설정 습도 40%로 냉방 운전을 하고 있을 때, "GP-1234"의 선풍기가, 서큘레이터로서, 연계 동작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단말 장치(15)는, 제어부(27) 및 기기 연계부(83)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기 연계부(83)가, 2개 이상의 기기(11-n)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하고 있을 때에, 제어부(27)가 기기(11-n)의 제어를 접수하는 일이 있다.
기기 연계부(83)에 의해, 예컨대,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가 연계 제어되고 있을 때에, 제어부(27)에 의해, 예컨대, "ABC-0001"의 에어컨의 제어가 접수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연계 제어와, 제어부(27)에 의한 제어가 겹치는 경우, 제어부(27)는, 연계 제어의 우선도와,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우선도를 비교한다. 연계 제어의 우선도 및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우선도는, 제어부(27)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좋고, 단말 장치(15)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제어부(27)는,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우선도가,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우선도보다 높으면,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를 우선시키는 지령을 기기 연계부(83)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취지의 통지를 표시 처리부(82)에 출력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제어부(27)로부터, 연계 제어를 우선시키는 지령을 받으면, 연계 제어를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27)는, 자기가 접수한 제어를 캔슬하거나, 혹은, 연계 제어의 실행이 완료되고 나서, 자기가 접수한 제어를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82)는,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처리부(82)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출력 장치(13)에 출력시키는 것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도 22는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어부(27)는, 기기 연계부(83)에 의한 연계 제어의 우선도가,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우선도 이하이면, 자기가 접수한 제어를 우선시키는 지령을 기기 연계부(83)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취지의 통지를 표시 처리부(82)에 출력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제어부(27)로부터, 자기가 접수한 제어를 우선시키는 지령을 받으면,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때, 제어부(27)는, 자기가 접수한 제어를 실행한다.
기기 연계부(83)는,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의 실행이 완료되면, 연계 제어를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82)는, 제어부(27)로부터, 자기가 접수한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연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처리부(82)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출력 장치(13)에 출력시키는 것에 의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연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도 23은 제어부(27)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연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단말 장치(15)에서는, 2개 이상의 기기(11-n)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이,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11-n)의 조합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조합 가능한 기기가, IoT 기기 또는 준 IoT 기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유저 조작에 의해, 비 IoT 기기를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11-n)의 조합에 포함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IoT 기기인 에어컨과, 비 IoT 기기인 선풍기를 조합에 포함시키고 있는 경우, 당해 에어컨이 특정의 조건에 도달하였을 때에, 표시 데이터 생성부(24)가, "선풍기를 수동으로 기동시키면, 냉방 효과가 최대화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 처리부(82)가, 당해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당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3에서는, 표시 처리부(82)가,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의 표시를 전환하는 단말 장치(15)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단말 장치(15)의 구성과 유사하고,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단말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는, 도 15이다.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단말 장치(15)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단말 장치(15)에서는,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11-n)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의 배치 데이터가 표시 처리부(82)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예컨대, 유저가 조작 입력 장치(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배치도의 배치 데이터가 단말 장치(15)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더라도 좋다.
표시 처리부(82)는,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를 표시 출력 장치(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처리부(82)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의 표시의 전환을 행한다.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가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청색으로 표시되고, 기기(11-n)가 준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황색으로 표시되고, 기기(11-n)가 비 IoT 기기이면, 기기(11-n)가 예컨대 적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의 제어가 실행 중인지 여부가 표시된다.
제어부(27)는,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가, 단말 장치(15)와의 통신이 확립된 기기이면, 기기(11-n)가 유저에 의해 탭되면, 기기(11-n)의 제어를 접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7)는,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가 유저에 의해 탭되면, 기기(11-n)의 제어를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82)는,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11-n) 중에, 기기 연계부(83)에 의해, 서로 연계 제어하고 있는 복수의 기기(11-n)가 있으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기(11-n)에 있어서의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을 배치도 상에 표시시킨다.
도 24는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의 예에서는, "ABC-0001"의 에어컨과, "GP-1234"의 선풍기가 연계 동작하고 있고, 연계 동작하고 있는 상황이, 화살표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4의 예에서는, 기기(11-n)인 밥솥이, 취사 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본 개시는, 각 실시의 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의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본 개시는,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적합하다.
1: 정보 처리 시스템, 11-1~11-N: 기기, 12: 조작 입력 장치, 13: 표시 출력 장치, 14: 기억 장치, 15: 단말 장치, 16: 기기 관리 서버, 17: 네트워크, 21: 기기 등록부, 22: 기기 정보 취득부, 23: 식별 정보 취득부, 24: 표시 데이터 생성부, 25: 표시 처리부, 26: 통신 확립부, 27: 제어부, 31: 기기 등록 회로, 32: 기기 정보 취득 회로, 33: 식별 정보 취득 회로, 34: 표시 데이터 생성 회로, 35: 표시 처리 회로, 36: 통신 확립 회로, 37: 제어 회로, 41: 메모리, 42: 프로세서, 51: IoT 대응 상황 기억부, 52: 기기 정보 수신부, 53: 기기 식별부, 54: 식별 정보 송신부, 61: IoT 대응 상황 기억 회로, 62: 기기 정보 수신 회로, 63: 기기 식별 회로, 64: 식별 정보 송신 회로, 71: 메모리, 72: 프로세서, 81: 조합 정보 취득부, 82: 표시 처리부, 83: 기기 연계부, 91: 조합 정보 취득 회로, 92: 표시 처리 회로, 93: 기기 연계 회로, 101: 조합 정보 기억부, 102: 조합 특정부, 103: 조합 정보 송신부, 111: 조합 정보 기억 회로, 112: 조합 특정 회로, 113: 조합 정보 송신 회로

Claims (21)

  1.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부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
    를 구비한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는,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IoT에 대응하는 준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준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준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준 IoT 기기이면, 상기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의 통신을 확립시키는 통신 확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된 기기의 제어를 접수하여,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확립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된 기기의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기기의 제어를 접수하면, 상기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취득되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된 기기가 속하고 있는 기기 카테고리에 속하고 있는 복수의 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공통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가 2개 이상 있으면, 각각의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상기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2개 이상의 기기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취득하는 조합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합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조합 정보가 나타내는 조합에 따른 기기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하는 기기 연계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연계부는, 상기 조합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조합 정보가 나타내는 조합에 따른 기기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한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해, 연계 제어가 행하여지는 기기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접수된 기기가 겹치고 있는 경우,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한 연계 제어의 우선도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된 제어의 우선도보다 높으면,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한 연계 제어가 우선되고, 상기 연계 제어의 우선도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된 제어의 우선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한 연계 제어가 우선되는 경우, 상기 연계 제어의 실행을 우선하는 취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우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상기 연계 제어를 실행하는 취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의 표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준 IoT 기기이면, 상기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의 통신을 확립시키는 통신 확립부와,
    상기 통신 확립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된 기기의 제어를 접수하여,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가 탭되면, 상기 기기의 제어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확립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기가 2개 이상 있으면, 각각의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상기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2개 이상의 기기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취득하는 조합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합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조합 정보가 나타내는 조합에 따른 기기끼리의 연계 제어를 행하게 하는 기기 연계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배치도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중에, 상기 기기 연계부에 의해, 연계 제어가 행하여지는 복수의 기기가 있으면, 상기 복수의 기기에 있어서의 연계 제어의 실행 상황을 상기 배치도 상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단말 장치로부터,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기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기기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식별부와,
    상기 기기 식별부로부터 출력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한 기기 관리 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식별부는, 상기 기기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IoT에 대응하는 준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준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송신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관리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 수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2개 이상의 기기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기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기기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개 이상의 기기 중에서, 서로의 제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조합을 특정하는 조합 특정부와,
    상기 조합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조합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관리 서버.
  19.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부와,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 관리 서버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상기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
    를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
  20. 기기 정보 취득부가,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고,
    식별 정보 취득부가, 상기 기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기기 정보 취득부가,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정보 취득 수순과,
    식별 정보 취득부가, 상기 기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정보를 기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가, IoT 기기인지,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순과,
    표시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비 IoT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 처리 수순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1020237025712A 2021-02-08 2021-02-08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645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04483 WO2022168292A1 (ja) 2021-02-08 2021-02-08 端末装置、機器管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02A true KR20230118702A (ko) 2023-08-11
KR102645321B1 KR102645321B1 (ko) 2024-03-07

Family

ID=8274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712A KR102645321B1 (ko) 2021-02-08 2021-02-08 단말 장치, 기기 관리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9404A1 (ko)
JP (1) JP7345693B2 (ko)
KR (1) KR102645321B1 (ko)
CN (1) CN116762063A (ko)
DE (1) DE112021006382T5 (ko)
WO (1) WO2022168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08467A1 (en) * 2022-03-24 2023-09-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Gateway Monitoring for Vulnerable Home Internet of Things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5448A (ja) 2011-12-15 2013-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KR20150121126A (ko) * 2013-02-25 2015-10-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들에서 관계들을 발견하고, 구성하고, 그리고 레버리지하는 방법들
KR20160143863A (ko) * 2014-05-29 2016-1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제어 시스템, 기기 제어 장치,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20190094128A (ko) * 2019-07-23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IoT 기기 정보 제공 방법, IoT 기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
JP2020512620A (ja) * 2017-02-28 2020-04-23 ラッサム、アンマー リモートデバイス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を適応的に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54346A (ko) * 2018-11-01 2020-05-20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Iot 시스템과 무선충전수신장치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266B2 (en) * 2012-08-10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US20140244997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Emergency mode for iot devices
SG10201913257UA (en) 2017-03-02 2020-02-27 Univ Singapore Technology &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identity of an unknown internet-of-things (iot)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19009595A (ja) 2017-06-23 2019-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集約装置、集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3952B2 (ja) 2018-07-09 2022-05-24 横河電機株式会社 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JP2020057964A (ja) * 2018-10-03 2020-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データ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18377A1 (en) 2018-12-14 2020-06-18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Apparatus and process for monitoring network behaviour of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JP2020110006A (ja) 2020-03-23 2020-07-16 デルタ電子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5448A (ja) 2011-12-15 2013-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KR20150121126A (ko) * 2013-02-25 2015-10-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들에서 관계들을 발견하고, 구성하고, 그리고 레버리지하는 방법들
KR20160143863A (ko) * 2014-05-29 2016-1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제어 시스템, 기기 제어 장치,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JP2020512620A (ja) * 2017-02-28 2020-04-23 ラッサム、アンマー リモートデバイス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を適応的に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54346A (ko) * 2018-11-01 2020-05-20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Iot 시스템과 무선충전수신장치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4128A (ko) * 2019-07-23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IoT 기기 정보 제공 방법, IoT 기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321B1 (ko) 2024-03-07
DE112021006382T5 (de) 2023-11-16
JPWO2022168292A1 (ko) 2022-08-11
TW202232915A (zh) 2022-08-16
CN116762063A (zh) 2023-09-15
WO2022168292A1 (ja) 2022-08-11
US20230379404A1 (en) 2023-11-23
JP7345693B2 (ja)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438B2 (en)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U2016201943B2 (en) An arrangement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9514641B2 (en) Smart remote control
US10949064B2 (en)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AU2015326466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US113726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2567695B (zh) 电子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EP3379795B1 (en) Dong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41853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remotely controlled by the same
US9451311B2 (en) Generic remote controller
US20230379404A1 (en) Terminal device, apparatus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US20220239523A1 (en) Universal virtual remote control for smart devices
TWI833075B (zh) 終端裝置、機器管理伺服器、資訊處理系統、資訊處理方法以及資訊處理程式
KR101270317B1 (ko)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90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5150901A (ja) 機器登録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
KR201901326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443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자기기의 원격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