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291A - 핸드피스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피스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291A
KR20230118291A KR1020220014664A KR20220014664A KR20230118291A KR 20230118291 A KR20230118291 A KR 20230118291A KR 1020220014664 A KR1020220014664 A KR 1020220014664A KR 20220014664 A KR20220014664 A KR 20220014664A KR 20230118291 A KR20230118291 A KR 2023011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nozzle
hollow
pipe
hollo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용
김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둘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둘로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둘로스텍
Priority to KR102022001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291A/ko
Publication of KR2023011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피스 세척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과 핸드피스를 결합시켜 핸드피스의 내부에 삽입된 유로를 통해 세척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핸드피스 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핸드피스 세척 장치{HANDPIEC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드피스 세척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과 핸드피스를 결합시켜 핸드피스의 내부에 삽입된 유로를 통해 세척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핸드피스 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치과용 핸드피스는 전 세계 치과의사가 매일 사용하는 기구이며 세계 각국의 핸드피스는 환자의 구강에서 치아의 절삭, 충치 제거와 같은 의료 행위에 사용된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한국치위생감염관리학회의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지침서'를 보면 고위험 기구로 분류되어 사용 후 즉시 세척-윤활제도포-공회전- 멸균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환자가 바뀔 때마다 멸균한 핸드피스를 준비하려면 다수의 핸드피스와 멸균기를 구비해야 하지만, 큰 비용이 들어 일부 치과에서는 간이 멸균 처리한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외부만 세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핸드피스의 외부적 구조는 매끈한 프레임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핸드피스의 내부 구조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외부 세척만으로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다.
도 1을 참고하여 핸드피스(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핸드피스(100)는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며, 도 1은 분리형 핸드피스(100)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분리형 핸드피스(100)를 설명하면, 분리형 핸드피스(100)는 치과 진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막대 형상으로 외형이 구성되며, 핸드피스(100)는 치아를 절삭하기 위한 블레이드 또는 드릴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110), 헤드부(110)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본체부(120), 내부에 핸드피스(100)를 통해 환자의 구강에 공기와 세척수를 공급받는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핸드피스 커넥터부(130) 및 커플링부(140)를 포함한다.
호스 커넥터부(10)는 핸드피스(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커플링부(140)의 단부는 돌출된 결합부(150)가 형성되며, 이는 커플링부(140) 내부의 유로와 연통된다. 이때, 돌출된 결합부(150)가 호스 커넥터부(10) 내의 노즐에 삽입되어, 마치 암수결합과 같은 형태로 삽입 및 결합된다.
호스 커넥터부(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삽입되어 있어 호스 커넥터부(10)를 핸드피스(100)의 타단에 결합하면, 복수 개의 노즐이 커플링부(14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체형 핸드피스(미도시)는 헤드부(110), 본체부(120), 핸드피스 커넥터부(130) 및 커플링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드피스(100)의 타단에 호스 커넥터부(10)가 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여 핸드피스(100)의 헤드부(110)를 확대도시한 A를 설명한다.
헤드부(110)의 일단을 살펴보면 환자의 치아를 절삭하기 위한 드릴(111), 환자 치아 진료 시 시술부위에 명암이 없는 밝은 시야를 제공하는 라이트(112) 및 후술할 제3 유로(13)와 제4 유로(14)에서 배출되는 물과 공기가 스프레이 형상으로 환자의 구강을 향해 배출되는 배출부(117)를 구비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호스 커넥터부(10)의 단면을 확대도시한 B를 설명한다.
핸드피스(100)의 타단에는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컴프레셔(미도시) 및 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탱크(미도시)와 연결된 호스 커넥터부(10)가 연결되어, 이를 확대 도시한 B를 살펴보면 제1 유로(11), 제2 유로(12),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유로는 설명을 위한 위치일 뿐이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유로를 상이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유로(11)는 컴프레셔(미도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핸드피스(100) 내부에 형성된 휠(114)을 작동시킨 후, 제2 유로(12)를 통해 배기되는 구성이다.
제3 유로(13)는 환자의 구강 내 치아가루 등을 불어내기 위해 공기가 환자의 구강으로 흐르는 구성이다.
제4 유로(14)는 물이 흘러, 핸드피스(100) 내의 고속 회전하는 드릴의 마찰열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구강의 시술부위를 세척하기 위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통해 핸드피스(100)의 내부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핸드피스(100)의 내부에는 제1 중공부(115)가 형성되고, 제1 중공부(115)의 외주면에는 제2 중공부(116)가 맞닿아 형성된다.
제2 중공부(116)의 내부에는 드릴(111)의 작동을 위한 휠(114)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중공부(115)의 하부에는 제1 유로(11), 제2 유로(12),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로(11)는 제1 중공부(115)와 연통되고,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휠(114)을 향해 공기가 흐르게 되며 공기의 압력을 통해 휠(114)을 회전시켜, 휠과 연동된 드릴(111)을 구동하게 되며 휠(114)을 회전시킨 후의 공기는 구동된 공기는 제2 유로(12)를 통해 배기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제2 유로(12)는 일 실시예로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제1 유로(11)와 같이 유로 형식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제1 유로(11),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를 제외한 공간은 중공부로 형성될 수도 있어 상기 중공부를 통해 휠(114)을 회전시킨 후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를 통해 공기가 배기된 경우, 상기 중공부를 통해 배기된 공기가 모여 핸드피스(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유로(12)를 통해 배기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로(13)와 제4 유로(14)는 제2 중공부(116)와 연통되고, 제3 유로(13)와 제4 유로(14)를 통해 각각 유입되는 공기와 세척수는 혼합되어 배출부(117)를 통해 스프레이 형상으로 배출되어 환자의 구강을 세척하고, 드릴의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드피스(100)의 잦은 사용으로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이물질(피, 타액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핸드피스(100)에 연결된 호스 커넥터부를 통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셔 및 세척수가 보관되는 탱크에 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컴프레셔, 탱크 등에 유입된 이물질은 다시 배출되기가 어려우며, 현 실정 상 컴프레셔, 탱크 등을 별도로 세척하지 않으므로 핸드피스 사용 후 다음 환자에게는 이전 환자들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녹아든 압축 공기 및 세척수가 구강 내로 유입되는 위생 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도록 한다. 도 5는 장기간 사용한 핸드 피스 내의 휠 등의 실제 사진이다.
도 5와 같이,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공기 및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17)에 고착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휠 내로 유입되어 굳어, 휠 및 휠 주변 부품에 고착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핸드피스 세척장치는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를 세척장치의 내부에 삽입한 뒤 단지 핸드피스(100)의 외주면을 세척하게 되므로, 핸드피스(100)의 내부 구성요소를 꼼꼼하게 세척할 수 없으며, 제1 유로(11), 제2 유로(12),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는 관 형태로 핸드피스(100)를 관통하고 있어 세척의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은 구강 위생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환자가 타 환자의 피 또는 구강 이물질에 의해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핸드피스(100)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핸드피스(100)의 성능을 저하하고 고장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120)와 핸드피스 커넥터부(130)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 핸드피스(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핸드피스 세척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3352호
본 발명은 핸드피스 세척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과 핸드피스를 결합시켜 핸드피스의 내부에 삽입된 유로를 통해 세척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핸드피스 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가 삽입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부에 위치되되, 복수 개의 노즐이 삽입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관부를 통해 상기 핸드피스에 세척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하부에는 상기 핸드피스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상부에는 상기 관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관부는 연통되고, 상기 핸드피스를 세척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핸드피스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중공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 및 상기 핸드피스의 외면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부는, 휠이 구비된 상기 핸드피스의 제1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 노즐; 상기 배출부가 구비된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3 노즐; 및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4 노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 상기 제3 노즐, 상기 제4 노즐을 통해 상기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2 중공부로 상기 세척부재가 공급되어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중공부를 세척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배출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되,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2 중공부의 내부를 세척하고, 배출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1 수집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1 노즐로 공급되면,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1 중공부를 세척한 후,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2 수집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캡부는, 상기 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홈부에는 상기 핸드피스가 복수 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캡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캡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홈부에 상기 핸드피스를 결합한다.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과 핸드피스를 결합시켜 핸드피스의 내부에 삽입된 유로를 통해 세척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핸드피스의 구성요소인 본체부, 핸드피스 커넥터부 및 커플링부를 분리하지 않아도 핸드피스와 관부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를 세척한 후, 제1 중공부를 세척한 세척부재와 제2 중공부를 세척한 세척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핸드피스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피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핸드피스의 헤드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핸드피스의 타단을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핸드피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핸드피스의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있는 실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가 케이스부 내에 결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재가 복수 개의 핸드피스에 공급되었을 경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재가 공급되는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일단'이라 함은 헤드부(11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단'이라 함은 호스 커넥터부(10)가 형성된 부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 세척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부(200), 공급부(300), 제1 수집부(400) 및 제2 수집부(500)를 구비하고, 도 6에 도시된 케이스부(2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케이스부(2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케이스부(200)의 상부에는 캡부(210)가 형성되고, 캡부(210)에는 복수 개의 홈부(220)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210)에는 홈부(220)가 4개 형성되어 있지만, 홈부(220)의 개수는 국한되지 않으며, 홈부(220)의 개수는 4개 이하일 수도 있고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홈부(220)에는 핸드피스(100)의 타단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이는 핸드피스(100)의 종류에 따라 홈부(200)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캡부(210)는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캡부(2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캡부(2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를 결합시킨 후 캡부(210)를 회전시켜 케이스부(200) 내에 핸드피스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고하여, 핸드피스(100)가 케이스부(200) 내에 결합하는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피스(100)와 호스 커넥터부(10)를 분리하면, 핸드피스(100)의 타단에 복수 개의 결합부(15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핸드피스(100)의 타단과 홈부(220)를 결합되면 결합부(150)가 홈부(220)를 관통하여 홈부(220)의 상부를 향해 돌출 및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탈부착이 가능하다.
돌출된 결합부(150)의 상부에는 관부(230)가 결합되고,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230)의 일단에도 복수 개의 홈부(220)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핸드피스(100)와 관부(230) 사이에 홈부(220)가 위치되며, 홈부(220)는 핸드피스(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 및 도 8을 참고하여, 관부(2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노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관부(230)의 타단에는 공급부(300)와 제2 수집부(500)가 결합되고, 케이스부(200)의 하부에는 제1 수집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관부(230)의 내부에는 제1 노즐(11a), 제2 노즐(12a), 제3 노즐(13a) 및 제4 노즐(14a)이 삽입되어 있으며, 제1 노즐(11a), 제3 노즐(13a), 제4 노즐(14a)은 공급부(300)와 연통되고 제2 노즐(12a)은 제1 수집부(400)와 연통된다.
관부(230)와 핸드피스(100)가 결합하면, 전술한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유로(11), 제2 유로(12), 제3 유로(13), 제4 유로(14)는 각각 제1 노즐(11a), 제2 노즐(12a), 제3 노즐(13a) 및 제4 노즐(14a)과 연통된다.
공급부(300)의 내부에는 세척부재가 보관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급부(300)의 내부의 일측에는 펌프(미도시)가 형성되되, 펌프(미도시)와 공급부(300)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미도시)는 액체 상태인 세척부재를 공급부(300)에서 관부(23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세척부재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공급부(300), 펌프(미도시) 및 관부(230)는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급부(300)에는 배관과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급부(300)의 내부에 보관된 세척부재는 관부(2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노즐(11a), 제3 노즐(13a) 및 제4 노즐(14a)을 통해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노즐(11a)은 제1 유로(11)와 연통되고 제1 유로(11)는 제1 중공부(115)와 연통되므로, 세척부재는 제1 노즐(11a)을 통해 제1 중공부(115)로 향하고 제1 중공부(115)의 내부에 형성된 휠과 제1 중공부(115)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제1 중공부(115)의 내부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제1 중공부(115)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유로(12)로 향하게 된다.
제2 유로(12)는 제2 노즐(12a)과 연통되어 있고, 제2 노즐(12a)은 제2 수집부(50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중공부(115)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제2 수집부(500)의 내부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3 노즐(13a)과 제4 노즐(14a)을 통해 이동한 세척부재는 각각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로 이동한다.
제3 유로(13)와 제4 유로(14)는 제2 중공부(116)와 연통되어 있으며, 세척부재는 제2 중공부(116)의 내부를 세척한 후 제2 중공부(116)의 일 지점에 형성된 배출부(117)로 배출된다.
배출된 세척부재는 케이스부(200)의 내부를 향해 배출되고, 케이스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수집부(400)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즉, 제1 노즐(11a)을 따라 제1 중공부(115)의 내부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제2 노즐(12a)을 통해 배출되어 제2 수집부(500)에 저장되고, 제3 노즐(13a), 제4 노즐(14a)을 따라 제2 중공부(116)의 내부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배출부(117)를 통해 배출되어 제1 수집부(400)에 저장된다.
따라서, 공급부(300)를 통해 제1 노즐(11a), 제3 노즐(13a), 제4 노즐(14a)로 세척부재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제1 중공부(115)와 제2 중공부(116)에 고착된 이물질들이 꼼꼼하게 세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핸드피스(100)의 구성요소인 본체부, 핸드피스 커넥터부 및 커플링부를 분리하지 않아도 핸드피스(100)와 관부(230)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중공부(115)와 제2 중공부(116)를 세척한 후, 제1 중공부(115)를 세척한 세척부재와 제2 중공부(116)를 세척한 세척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핸드피스(100)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수집부(400)와 제2 수집부(500)의 내부에 거름망(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거름망(미도시)을 통해 핸드피스(100) 내부의 이물질이 걸러진 세척부재가 제1 수집부(400)와 제2 수집부(500)에 위치되고, 이러한 세척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8은 세척부재가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에 공급되었을 경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홈부(220)의 개수만큼 핸드피스(100)가 4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핸드피스(100)를 제1 본체부(121), 제2 본체부, 제3 본체부(123) 및 제4 본체부(124)라고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본체부(121), 제2 본체부(122), 제3 본체부(123), 제4 본체부(124)에는 각각 제1 관부(미도시), 제2 관부(미도시), 제3 관부(미도시) 및 제4 관부(미도시)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S'는 공급부(300)에서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와 제4 관부를 통해 각각 제1 본체부(121), 제2 본체부(122), 제3 본체부(123), 제4 본체부(124)로 나뉘어지는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의 내부에는 각각 제1 노즐(11a), 제2 노즐(12a), 제3 노즐(13a) 및 제4 노즐(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관부 내의 각 노즐은 공급부(300)에서 시작된 각각의 main 노즐에서 분기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공급부(300)의 내부에 보관된 세척부재는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를 통해 각각 제1 본체부(121), 제2 본체부(122), 제3 본체부(123) 및 제4 본체부(124)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노즐(11a)을 통해 세척부재가 흘러 들어가고, 세척부재는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에 형성된 제1 중공부(115)를 세척하게 된다.
이후, 제1 중공부(115)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2 노즐(12a)을 통해 제2 수집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2 노즐(12a)은 모두 제2 수집부(500)와 연통되는 것이다.
또한, 제1 관부, 제2 관부, 제3 관부, 제4 관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3 노즐(13a) 및 제4 노즐(14a)을 통해 흘러 들어간 세척부재는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중공부(116)를 세척하게 된다.
이후, 제2 중공부(116)를 세척한 세척부재는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에 형성된 제3 유로(13) 및 제4 유로(14)를 통해 배출되어 제1 수집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핸드피스(100)에 대한 아무런 조작이나 분리가 필요없이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번에 복수 개의 핸드피스(100)를 세척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한 세척부재가 제1 수집부(400) 및 제2 수집부(500)에 수집되므로 세척부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수집부(400)와 제2 수집부(500)에 보관된 세척부재를 폐기할 때도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세척부재가 공급되는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부(300)의 내부에 보관되는 세척부재는 화학세정단계(A1), 물세척단계(A2) 및 건조단계(A3)로 총 3가지 단계로 나뉘어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화학세정제, 물, 공기는 공급부(300)의 외부에서 공급부(3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공급부(300)를 향해 이동하는 관에는 각각 화학세정제, 물, 및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복수 개의 관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핸드피스(100) 내부의 세정작업이 끝난 후 공급부(300)의 내부에 있는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관로 밸브는 펌프를 통해 화학세정제를 핸드피스(100)로 유입시킬 때, 각 관로 밸브를 on/off하여 화학세정제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가 공급부(300)에서 핸드피스(100)의 내부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공급부(300)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로 밸브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관로 밸브들의 구성은 구체적으로 기술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한정하여 설명한다.
세척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핸드피스(100)를 향해 화학세정제를 공급하는 밸브를 제1 밸브(310), 물을 공급하는 밸브를 제2 밸브(320),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는 제3 밸브(330)라고 가정한다.
제1 단계로 화학세정단계(A1)의 경우, 제1 밸브(310)만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밸브(320)와 제3 밸브(33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밸브(310)를 열어 화학세정제를 공급부(300)의 내부로 삽입하면, 공급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펌프에 의해 일정량의 화학세정제가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하는 과정은 중복 설명을 방지한다.
제2 단계는 물세척단계(A2)이며, 제2 밸브(320)만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밸브(310)와 제3 밸브(33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밸브(320)를 열어 물을 공급부(300)의 내부로 삽입하면, 공급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펌프(미도시)에 의해 일정량의 물이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제1 단계에서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남아있는 화학세정제의 잔여물을 세척할 수 있고, 제1 단계에서 미처 세척하지 못했던 핸드피스(100) 내부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제3 단계는 건조단계(A3)이며, 제3 밸브(330)만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밸브(310)와 제2 밸브(32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밸브(330)를 열어 공기를 공급부(30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공급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모터로 인해 공기가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통해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세척한 후,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핸드피스(100)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핸드피스(100) 세척 과정은 핸드피스(100) 내부에 세척이 필요한 곳에 화학세정제, 물, 공기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어 세척을 시작한 후 다른 세척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별도의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세척을 완료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호스 커넥터부,
11 : 제1 유로,
12 : 제2 유로,
13 : 제3 유로,
14 : 제4 유로,
11a : 제1 노즐,
12a : 제2 노즐,
13a : 제3 노즐,
14a : 제4 노즐,
100 : 핸드피스,
110 : 헤드부,
111 : 드릴,
112 : 라이트,
113 : 분사부,
114 : 휠,
115 : 제1 중공부,
116 : 제2 중공부,
117 : 배출부,
120 : 본체부,
121 : 제1 본체부,
122 : 제2 본체부,
123 : 제3 본체부,
124 : 제4 본체부,
130 : 핸드피스 커넥터부,
140 : 커플링부,
150 : 결합부,
160 : 호스 커넥터부,
200 : 케이스부,
210 : 캡부,
220 : 홈부,
230 : 관부,
300 : 공급부,
310 : 제1 밸브,
320 : 제2 밸브,
330 : 제3 밸브,
400 : 제1 수집부,
500 : 제2 수집부.

Claims (7)

  1. 핸드피스가 삽입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부에 위치되되, 복수 개의 노즐이 삽입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관부를 통해 상기 핸드피스에 세척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하부에는 상기 핸드피스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상부에는 상기 관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관부는 연통되고,
    상기 핸드피스를 세척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핸드피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중공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 및
    상기 핸드피스의 외면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부는,
    휠이 구비된 상기 핸드피스의 제1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 노즐;
    상기 배출부가 구비된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3 노즐; 및
    상기 제2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4 노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 상기 제3 노즐, 상기 제4 노즐을 통해 상기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2 중공부로 상기 세척부재가 공급되어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부를 세척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되,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2 중공부의 내부를 세척하고, 배출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1 수집부에 위치되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1 노즐로 공급되면,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1 중공부를 세척한 후,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제2 수집부에 위치되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홈부에는 상기 핸드피스가 복수 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캡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홈부에 상기 핸드피스를 결합하는 것인
    핸드피스 세척 장치.
KR1020220014664A 2022-02-04 2022-02-04 핸드피스 세척 장치 KR20230118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64A KR20230118291A (ko) 2022-02-04 2022-02-04 핸드피스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64A KR20230118291A (ko) 2022-02-04 2022-02-04 핸드피스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91A true KR20230118291A (ko) 2023-08-11

Family

ID=8756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664A KR20230118291A (ko) 2022-02-04 2022-02-04 핸드피스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82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52B1 (ko) 2015-02-25 2016-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의 세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52B1 (ko) 2015-02-25 2016-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의 세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017A (en) Endodontic irrigating instrument
JPH0631708U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装置
KR20230118291A (ko) 핸드피스 세척 장치
JPH04317623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H10165359A (ja) 内視鏡用処置具
CN107616849A (zh) 一种新型根管治疗仪
JP4206139B2 (ja) 内視鏡洗浄用アダプタ
JP2002248117A (ja) 歯科用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4266987B2 (ja) 歯科治療ユニット
JPH10258019A (ja) 内視鏡洗浄装置
JP4512728B2 (ja) 圧縮空気駆動の歯科用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H10113231A (ja) 口腔洗浄用ブラシ
KR20220129164A (ko) 필터가 결합된 일회용 핸드피스 커넥터
JP3725679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S6340536B2 (ko)
JPH0641529Y2 (ja) 側視型内視鏡
JP2021118755A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動作方法
EP4353186A1 (en) Device comprising handpiece connector having filter coupled thereto
JPS6317446Y2 (ko)
KR200474791Y1 (ko) 구강 세정기
CN211244257U (zh) 分体式护理机器人
CN214865859U (zh) 一种用于医疗气管的清洁装置
JP2003174998A (ja) 内視鏡
JP3190405B2 (ja) 洗浄システム
JP2001000455A (ja) 口腔内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