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969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969A
KR20230117969A KR1020220014387A KR20220014387A KR20230117969A KR 20230117969 A KR20230117969 A KR 20230117969A KR 1020220014387 A KR1020220014387 A KR 1020220014387A KR 20220014387 A KR20220014387 A KR 20220014387A KR 20230117969 A KR20230117969 A KR 20230117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outlet
air
blower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의성
송우석
이태용
임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969A/ko
Priority to PCT/KR2022/017616 priority patent/WO2023149623A1/ko
Priority to EP22925090.7A priority patent/EP4375582A1/en
Priority to US18/093,626 priority patent/US20230243521A1/en
Publication of KR2023011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공기 청정기는,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 제1방향과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제2송풍기와,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정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 상기 정화 필터를 하우징에 수용된다. 하우징은 공기 흐름 경로를 형성한다. 하우징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화 필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흡입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켜 토출하는 장치이다. 공기 청정기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전면 흡입구를 통하여 오염원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 필터를 통과시켜 오염원을 제거하고, 정화된 상면 또는 측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공기 청정기는 선풍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선풍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공기는 전면 흡입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공기는 배출구를 통하여 흡입되는데, 정화 필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동 저항 때문에 선풍 기능을 만족시킬 만한 충분한 양의 공기가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선풍 기능을 가진 공기 청정기에서 선풍 기능은 보조적 기능일 뿐이다.
공기 청정기에서 충분한 송풍 용량을 갖는 선풍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큰 용량을 갖는 대형 송풍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청정기가 대형화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소비 에너지가 많아질 수 있다. 본 개시는 선풍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컴팩트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선풍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와 직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송풍기;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정화 필터; 상기 제1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 상기 정화 필터가 수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화 필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선풍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에서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측면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부와 측면부와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제1배출구, 제2배출구, 및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공기의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선풍 모드에서 공기를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1송풍기;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 모드에서 공기를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정화 필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는 직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제1배출구가 마련된 선풍 영역, 제2배출구가 마련된 공기 청정 영역, 및 상기 선풍 영역과 상기 공기 청정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흡입구가 마련된 경계 영역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되며,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와 직렬로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정화 필터; 선풍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에서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직렬 배치된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 사이에 흡입구를 위치시킴으로써, 공기 청정 모드와 충분한 송풍 용량을 갖는 선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는 컴팩트한 공기 청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공기 흐름 방향에 따른 구성 요소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선풍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선풍 모드를 보여주는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공기 청정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공기 청정 모드를 보여주는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100), 제1, 제2송풍기(10)(20), 제어부(40), 및 정화 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공기 흐름 경로를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예를 들어 덕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배출구(191), 제2배출구(192), 및 흡입구(10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우징(100)은 프런트 하우징(101)과 리어 하우징(10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02)은 정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으며, 프런트 하우징(101)은 리어 하우징(102)의 개방된 정면을 막도록 리어 하우징(1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배출구(191), 제2배출구(192), 및 흡입구(103)는 하우징(1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하우징(100)은 제1, 제2송풍기(10)(20)와 정화 필터(30)를 수용한다.
제1배출구(191)는 하우징(100)의 정면부(100F)와 측면부(100D)와 상면부(100T)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배출구(191)는 하우징(100)의 정면부(100F)와 측면부(100D)와 상면부(T)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선풍 모드 시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정면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2배출구(192)는 하우징(100)의 측면부(100D)와 상면부(100T)와 후면부(100R)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배출구(192)는 하우징(100)의 상면부(100T)에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구(192)는 하우징(100)의 상면부(100T)와 후면부(100R)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배출구(192)는 후면부(100R)에 마련될 수도 있다. 흡입구(193)는 제1배출구(191)와 제2배출구(192) 사이에 위치된다. 흡입구(193)는 하우징(100)의 측면부(100S)와 상면부(100T)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93)는 하우징(100)의 측면부(100S)와 상면부(100T)에 마련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흡입구(193)에 댐퍼가 마련될 수 있다. 댐퍼는 제어부(40)에 의하여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어 흡입구(193)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는 흡입구(193)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하우징(100), 예를 들어 리어 하우징(102)에 지지될 수 있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리어 하우징(102)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0) 내부로 비교적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흡입구(193)에 먼지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 필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먼지 필터는 정화 필터(30)에 비하여 입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예를 들어 메쉬 등의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는 직렬로 배치된다. 제1송풍기(10)는 선풍 모드 시에 동작된다. 제1송풍기(10)는 제1방향(D1)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2송풍기(20)는 공기 청정 모드 시에 동작된다. 제2송풍기(20)는 제1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D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1방향(D1)은 흡입구(193)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제1배출구(191)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이다. 제2방향(D2)은 흡입구(193) 및 제1배출구(19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제2배출구(192)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이다. 제1, 제2송풍기(10)(20) 각각은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송풍기(10)(2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제2송풍기(10)(20)로서 축류 송풍기, 원심 송풍기, 사류 송풍기, 횡류 송풍기 등 다양한 종류의 송풍기가 채용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드 시에 공기가 정화 필터(30)를 통과하므로, 공기 청정 모드 시의 공기의 유동 저항은 선풍 모드 시의 공기의 유동 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제2송풍기(20)의 송풍 용량이 제1송풍기(10)의 송풍 용량 보다 클 수 있다.
정화 필터(30)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제2송풍기(2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 필터(30)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제2송풍기(20)의 상류측이자 흡입구(193)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정화 필터(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성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 필터(30)는 입자성 오염원을 제거하는 먼지 필터, 냄새,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등을 제거하는 탈취 필터,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바이오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바이오 필터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필터는 성능에 따라 미디엄(medium), 헤파(HEPA), 울파(ULPA) 등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화 필터(30)는 교체 가능하게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제2송풍기(10)(20) 및 정화 필터(30)는 하우징(100)에 수용된다. 제1배출구(191)는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제1송풍기(10)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제2배출구(192)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제2송풍기(20)의 하류측이자 정화 필터(30)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는 제1배출구(191)와 제2배출구(192)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흡입구(193)는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제1송풍기(10)의 상류측이자,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제2송풍기(20)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흡입구(193)는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 사이에 위치된다. 흡입구(193)는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한다.
제1, 제2송풍기(10)(20)는 프레임(50)에 설치될 수 있다. 정화 필터(30)는 필터 커버(60)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커버(60)는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2송풍기(10)(20)가 설치된 프레임(50)과 정화 필터(30)가 설치된 필터 커버(60)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다. 프런트 하우징(101)은 리어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프런트 하우징(101)을 분리하면, 제1송풍기(10)가 노출되며, 제1송풍기(10)에 대한 점검,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다. 물론, 프런트 하우징(101)을 분리하고, 제2송풍기(20)에 대한 점검,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회로와,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송풍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회로, 전력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선풍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에서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제어부(40)는 선풍 모드에서 제1송풍기(10)를 제1방향(D1)으로 구동하며, 공기 청정 모드에서 제2송풍기(20)를 제2방향(D2)으로 구동한다. 제어부(40)는 선풍 모드 시에 제1배출구(191)를 향하여 제1방향(D1)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1송풍기(10)를 구동하고, 공기 청정 모드 시에 제2배출구(192)를 향하여 제2방향(D2)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송풍기(10)를 구동한다.
제1, 제2송풍기(10)(20) 각각은 송풍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송풍 모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송풍 모터는 교류 모터일 수 있으며, 직류 모터일 수도 있다. 송풍 모터는 예를 들어 3상 브러쉬리스(brushless) 모터일 수 있다. 송풍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는 복수의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자는 4개의 자극을 포함하며, 고정자는 6개의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코일부는 각각 두 개씩의 U상, V상, W상을 가질 수 있다. 갖는다. U상, V상, W상에 유도되는 자극의 조합에 의하여 송풍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U상, V상, W상에 유도되는 자극의 조합에 의하여 송풍 모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공기 흐름 방향에 따른 구성 요소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덕트를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직선 형태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선풍 영역(110), 공기 청정 영역(120), 및 두 영역(110)(120) 사이의 경계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풍 영역(110)은 경계 영역(130)을 기준으로 하여 제1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1배출구(191)는 선풍 영역(110)에 마련된다. 공기 청정 영역(120)은 경계 영역(130)을 기준으로 하여 제2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2배출구(192)는 공기 청정 영역(120)에 마련된다. 흡입구(193)는 경계 영역(130)에 마련된다.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은 경계 영역(130)에 직렬로 배치된다.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송풍기(10)는 경계 영역(130)에서 선풍 영역(110)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2송풍기(20)는 경계 영역(130)에서 공기 청정 영역(110)에 가깝게 위치된다. 흡입구(193)는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제2송풍기(10)(20)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한다. 정화 필터(30)는 공기 청정 영역(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 필터(30)는 제2송풍기(20)와 제2배출구(19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 필터(30)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제2송풍기(2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정화 필터(30)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흡입구(193)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이 경우, 정화 필터(30)는 경계 영역(130)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도 5는 선풍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선풍 모드를 보여주는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공기 청정 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공기 청정 모드를 보여주는 공기 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7은 덕트를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직선 형태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공기 청정기가 선풍 모드로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0)를 구동한다. 제1송풍기(10)는 제1방향(D1)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는 흡입구(193)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다. 공기는 부분적으로 제2배출구(192)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될 수도 있다. 흡입구(193)가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제1송풍기(10)의 상류측이자 정화 필터(30)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주로 흐름 저항이 작은 흡입구(193)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충분한 풍량의 공기를 제1배출구(19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선풍 모드에서 제어부(40)는 제2송풍기(20)를 역방향, 즉 제1방향(D1)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배출구(192)를 통한 공기 흡입량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제1배출구(191)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공기 청정기가 공기 청정 모드로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40)는 제2송풍기(20)를 구동한다. 제2송풍기(20)는 공기를 제2방향(D2)으로 공급한다. 공기는 흡입구(193)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다. 물론 공기는 제1배출구(191)를 통하여도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가 정화 필터(3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오염원이 제거된다. 정화된 공기는 제2배출구(192)를 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하여 공기 청정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드에서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0)를 역방향, 즉 제2방향(D2)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배출구(191)를 통한 공기 흡입량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정화된 공기의 배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공기 청정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드에서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20)의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송풍기(10)의 회전 속도가 제2송풍기(20)의 회전 속도보다 늦을 수 있다.
선풍 모드용 흡입구가 없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경우, 선풍 모드에서 제2배출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정화 필터(30)를 통과하여 제1배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흐름 저항이 커서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제1배출구(191)로 배출하기 어렵다. 선풍 모드에서의 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용량이 큰 대형 송풍기를 채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공기 청정기의 크기가 커지고 송풍기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선풍 모드에서 정화 필터(30)를 거치지 않고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위치에 흡입구(193)를 마련함으로써써, 제1송풍기(1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송풍기(10)에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시키지 않고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제1배출구(191)를 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선풍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 모드와 충분한 송풍 용량을 갖는 선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는 컴팩트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은 공기 청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 영역(120)이 상향으로 구부러지고, 정화 필터(30)가 제2배출구(19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공기 청정기는 다수의 제1송풍기(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제1송풍기(10)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는 다수의 제1송풍기(10)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제2송풍기(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2송풍기 쌍의 갯수는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환경, 예를 들어, 정화 공간의 크기, 평균적인 오염 정도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는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제1송풍기(11)(12)와, 두 개의 제1송풍기(11)(12)와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제2송풍기(21)(22)를 채용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공기 청정기의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100), 제1송풍기(11)(12), 제2송풍기(21)(22), 제어부(40), 및 정화 필터(31)(3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송풍기(11)(1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송풍기(11)(12)는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송풍기(11)(12)의 구조는 전술한 송풍기(10)와 동일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송풍기(21)(22)는 각각 제1송풍기(11)(12)와 직렬로 배치된다. 제2송풍기(21)(22)의 구조는 전술한 송풍기(10)와 동일할 수 있다. 제2송풍기(21)(22)의 송풍 용량은 제1송풍기(11)(12)의 송풍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정화 필터(31)(32)는 제2송풍기(21)(22)에 각각 대응된다. 정화 필터(31)(32)는 전술한 정화 필터(30)와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필터 커버(60)는 정화 필터(31)(3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필터 커버(60)는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가 설치된 프레임(50)과 정화 필터(31)(32)가 설치된 필터 커버(60)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다.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를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예를 들어, 선풍 모드에서 송풍 단계에 따라서, 제1송풍기(11)(1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제1방향(D1)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선풍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아래쪽에 위치된 제1송풍기(11) 또는 위쪽에 위치된 제1송풍기(12)를 구동할 수 있다. 선풍 모드에서,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1)(12) 중 적어도 하나와 제2송풍기(21)(22) 중 적어도 하나를 제1방향(D1)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21), 제1송풍기(12)와 제2송풍기(22)의 조합뿐 아니라,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22), 제1송풍기(12)와 제2송풍기(21)의 조합도 가능하다. 물론,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 모두를 제1방향(D1)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예를 들어, 공기 청정 모드에서 송풍 단계에 따라서, 제2송풍기(212)(2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제2방향(D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공기 청정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아래쪽에 위치된 제2송풍기(21) 또는 위쪽에 위치된 제2송풍기(22)를 구동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드에서, 제어부(40)는 제1송풍기(11)(12) 중 적어도 하나와 제2송풍기(21)(22) 중 적어도 하나를 제2방향(D2)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21), 제1송풍기(12)와 제2송풍기(22)의 조합뿐 아니라,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22), 제1송풍기(12)와 제2송풍기(21)의 조합도 가능하다. 물론, 제1송풍기(11)(12)와 제2송풍기(21)(22) 모두를 제2방향(D2)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제2송풍기(21)(22)에 의하여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는 제2배출구(192)로 배출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기(21)에 대응되는 제1공기 청정 유로(AP1)와, 제2송풍기(22)에 대응되는 제2공기 청정 유로(AP2)가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0)의 상면부(100T)와 후면부(100R) 각각에 제2배출구(1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공기 청정 유로(AP1)는 후면부(100R)에 마련된 제2배출구(192)와 연결되고, 제2공기 청정 유로(AP2)는 상면부(100T)에 마련된 제2배출구(19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송풍기(21)(22)에 의하여 두 개의 배출구(192)로 각각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공기 청정 유로(AP1)는 후면부(100R)에 마련된 제2배출구(192)와 연결되고, 제2공기 청정 유로(AP2)는 후면부(100R)와 상면부(100T)에 마련된 두 개의 제2배출구(192) 모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제1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와 직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송풍기;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정화 필터;
    상기 제1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 상기 정화 필터가 수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화 필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선풍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에서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큰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부와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8. 제1배출구, 제2배출구, 및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공기의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선풍 모드에서 공기를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1송풍기;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 모드에서 공기를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는 직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공기 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 청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큰 공기 청정기.
  14. 제1배출구가 마련된 선풍 영역, 제2배출구가 마련된 공기 청정 영역, 및 상기 선풍 영역과 상기 공기 청정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흡입구가 마련된 경계 영역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되며,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와 직렬로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정화 필터;
    선풍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에서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의 공통의 흡입구로서 기능하는 공기 청정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 청정기.
  17. 제14항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다수의 제1송풍기와 쌍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 용량은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 용량보다 큰 공기 청정기.
KR1020220014387A 2022-02-03 2022-02-03 공기 청정기 KR20230117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87A KR20230117969A (ko) 2022-02-03 2022-02-03 공기 청정기
PCT/KR2022/017616 WO2023149623A1 (ko) 2022-02-03 2022-11-10 공기 청정기
EP22925090.7A EP4375582A1 (en) 2022-02-03 2022-11-10 Air purifier
US18/093,626 US20230243521A1 (en) 2022-02-03 2023-01-05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87A KR20230117969A (ko) 2022-02-03 2022-02-03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969A true KR20230117969A (ko) 2023-08-10

Family

ID=8755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87A KR20230117969A (ko) 2022-02-03 2022-02-03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7969A (ko)
WO (1) WO20231496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0326A1 (en) * 2002-02-11 2003-08-14 Hp Intellectual Corp. Multi-stage air cleaner fan system
KR100977369B1 (ko) * 2003-11-13 201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154089B1 (ko) * 2010-03-25 2012-06-11 서웅원 자동차 공기정화시스템
KR102395851B1 (ko) * 2015-04-08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735920B1 (ko) * 2015-06-04 2017-05-15 이우헌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23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3506B1 (en) Air purifier with multiple filters
KR101705286B1 (ko) 공기 청정 장치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CN100368739C (zh) 空气净化器
KR20040056151A (ko) 공기청정기
EP4375582A1 (en) Air purifier
JP2000055424A (ja) 空気清浄機
KR20230117969A (ko) 공기 청정기
JP4320136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100669022B1 (ko) 공기청정기
JP2002143282A (ja) 薄箱設置型空気清浄機
KR20230117968A (ko) 공기 청정기
KR200376822Y1 (ko) 공기정화기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KR100531086B1 (ko) 공기청정기
KR100654345B1 (ko) 공기청정기
JP3666361B2 (ja) 空気清浄器
KR200376821Y1 (ko) 공기정화기
CN212870103U (zh) 空气净化器
JP2007000731A (ja) 空気調和機
JP4085710B2 (ja) 空気清浄機
KR20230040204A (ko) 공기청정기
KR20220050540A (ko) 공기청정기
JP2023150572A (ja) 空気処理装置
KR20050010411A (ko)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