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20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20B1
KR101735920B1 KR1020150078915A KR20150078915A KR101735920B1 KR 101735920 B1 KR101735920 B1 KR 101735920B1 KR 1020150078915 A KR1020150078915 A KR 1020150078915A KR 20150078915 A KR20150078915 A KR 20150078915A KR 101735920 B1 KR101735920 B1 KR 10173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housing
cas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974A (ko
Inventor
이우헌
Original Assignee
이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헌 filed Critical 이우헌
Priority to KR102015007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9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하우징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 회전수단; 하우징의 상측부에 하우징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하우징의 상측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용 뚜껑; 및 커버용 뚜껑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커버용 뚜껑의 커버 상태에서는 커버용 뚜껑의 하측부로 하우징의 상측부로부터 흡입되는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커버용 뚜껑의 회동 개방시에는 커버용 뚜껑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나 상기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풍용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또는 책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시가잭 또는 USB나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동작전원 공급시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필터부재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상측 뚜껑이 회동 개방되는 경우 뚜껑에 구성된 회전수단이 소형 선풍기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 및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차량의 데시보드나 컵홀더 등에 구비된 상태에서 주변 공기를 정화시키는 수단으로서, 공기의 정화 이외에, 살균, 습도조절, 악취제거 세균이나 먼지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저전압 소형의 크기를 가진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등록특허 10-1373277호 등에 안출된 바와 같이,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차량의 컵홀더 등에 스탠딩되거나 수용되는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정화용 팬과 정화용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통 등과 같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후면부와 전면부에 각각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정화용 팬이 케이스의 내부에 단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지 외부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는 것을 통해, 케이스 주변의 공기가 케이스 후면부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케이스 전면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주변 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통해 주변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의 경우,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 순환용 팬이 단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팬이 고장나거나 오동작되는 경우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공기 청정 동작이 더 이상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경우 전면부와 배면부가 흡입커버나 배출커버가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그 내부에 구성된 팬이 흡입커버로부터 배출커버를 향해서만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팬을 미니 선풍기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거치프레임이 케이스의 하측면에 연결 구성된 후 해당 위치에 고정된 후 케이스의 각도가 가변되어야만 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설계 구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책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시가잭 또는 USB나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동작전원 공급시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필터부재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상측 뚜껑이 회동 개방되는 경우 뚜껑에 구성된 회전수단이 소형 선풍기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하우징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 회전수단; 하우징의 상측부에 하우징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하우징의 상측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용 뚜껑; 및 커버용 뚜껑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커버용 뚜껑의 커버 상태에서는 커버용 뚜껑의 하측부로 하우징의 상측부로부터 흡입되는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커버용 뚜껑의 회동 개방시에는 커버용 뚜껑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나 상기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풍용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케이스; 케이스의 하측부 받침대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공; 및 케이스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천정면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용 뚜껑은, 회동부재에 의해 천정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통해 케이스의 천정면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체; 커버체의 하측부 바닥면에 천공 형성되어 커버체가 천정면의 커버시에는 케이스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입공; 및 커버체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커버판에 천공 형성되어 선풍용 회전수단의 회전에 의해 커버체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 또는 케이스 주변 공기가 커버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또는 책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시가잭 또는 USB나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동작전원 공급시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필터부재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상측 뚜껑이 회동 개방되는 경우 뚜껑에 구성된 회전수단이 소형 선풍기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상측의 뚜껑이 회동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과 도 2의 모습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상측의 뚜껑이 회동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과 도 2의 모습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다면체 또는 원통 등과 같은 통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부재(120),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하우징(110)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필터부재(12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 회전수단(130),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하우징(11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측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필터부재(120)와 정화용 회전수단(130)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커버용 뚜껑(140) 및 커버용 뚜껑(14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커버용 뚜껑(140)의 커버 상태에서는 커버용 뚜껑(140)의 하측부로 하우징(110)의 상측부로부터 흡입되는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14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커버용 뚜껑(140)의 회동 개방시에는 커버용 뚜껑(140)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나 상기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14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풍용 회전수단(15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다면체 또는 원통 등과 같은 통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11), 케이스(111)의 하측부 받침대(112)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어 후술된 정화용 회전수단(130) 또는 선풍용 회전수단(150)의 회전시 외부 공기 또는 케이스(111) 주변 공기가 케이스(11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공(113) 및 케이스(111)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천정면(114)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어 후술된 정화용 회전수단(130) 또는 선풍용 회전수단(15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11)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 또는 케이스(111) 주변 공기가 필터부재(12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케이스(1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공(11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케이스(111)의 내부에 정화용 회전수단(130)과 필터부재(120)가 구성될 수 있도록 끼움, 거치 또는 안착 구조 등의 설치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천정면(114)의 경우 케이스(111)의 중공이 개방되도록 케이스(111)의 상측단에 탈착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수단(130)과 필터부재(120)의 유지보수를 위한 케이스(11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공기 정화용 필터부재(120)는, 케이스(111)의 내부에 끼움, 거치 또는 안착 구성되어 공기흡입공(113)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정화부재로, 필터(121)가 거치 또는 탈착용 커버(미도시)에 구성된 상태에서 케이스(11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등록특허 10-0634844호)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121)는, 케이스(111)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물질의 필터링 이외에도 각종 유해균과 전자파를 차단하거나 항균이나 살균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용 회전수단(130)은, 케이스(11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거치 또는 안착 구성되며 공기흡입공(113)을 통해 흡입된 주변 공기가 필터(121)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공기배출공(115)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 팬(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화용 팬(131)은, 외부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는데,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시가잭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탁상에 구비되는 경우는 USB 타입 또는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이나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충전되는 충전용 배터리(미도시)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용 뚜껑(140)은, 케이스(111)의 천정면(114)을 커버한 상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케이스(111)의 천정면(114)이 개방되도록 하여 필터부재(120)와 정화용 회전수단(130)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수단으로, 중공을 가지고 힌지 등과 같은 회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천정면(114)으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통해 케이스(111)의 천정면(114)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체(141), 커버체(141)의 하측부 바닥면(142)에 천공 형성되어 커버체(141)가 천정면(114)의 커버시에는 케이스(111)의 정화용 팬(131)과 필터(12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입공(143) 및 커버체(141)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커버판(144)에 천공 형성되어 후술된 선풍용 회전수단(150)의 회전에 의해 커버체(141)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 또는 케이스(111) 주변 공기가 커버체(14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공(14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용 뚜껑(140)은, 커버체(141)의 내부에 선풍용 회전수단(150)이 구성될 수 있도록 끼움, 거치 또는 안착 구조 등의 설치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판(144) 또는 바닥면(142)의 경우 커버체(141)의 중공이 개방되도록 탈착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수단(150)의 유지보수를 위한 커버체(14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체(141)는, 회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일면이 케이스(11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고 회동부재(미도시)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케이스(111)에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후크해제버튼의 가압시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선풍용 회전수단(150)은, 커버체(14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공기유입공(14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출공(145)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풍용 팬(1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풍용 팬(151)은, 커버체(141)가 케이스(111)의 커버시에는 커버체(141)의 공기유입공(143)으로 케이스(111) 내부로부터 유출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공기유출공(145)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정화 기능을 제공하고, 커버체(141)가 케이스(111)의 회동 동작을 통한 개방시에는 커버체(141)의 공기유입공(143)으로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직접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공기유출공(145)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선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풍용 팬(151)은, 외부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는데,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시가잭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탁상에 구비되는 경우는 USB 타입 또는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이나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체(141)가 선택적으로 케이스(111)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통해, 커버체(141)에 구성된 선풍용 팬(151)이 선풍기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별다른 설계 변경이나 구성부의 추가 구성없이도 선풍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141)의 선풍용 팬(151)과 케이스(111)의 정화용 팬(131)의 경우 동작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어느 하나만 동작 제어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정화용 팬(131)의 고장시에는 커버체(141)가 케이스(111)를 커버한 상태에서 선풍용 팬(151)의 구동만으로도 공기 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차량 또는 탁상 등에 구비된 상태에서, 시가잭 타입의 인터페이스 또는 USB 타입 또는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가 해당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된다.
이후,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동작스위치(미도시)의 스위칭에 따라 하우징(110)에 구성된 정화용 팬(131)과 커버용 뚜껑(140)에 구성된 선풍용 팬(1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이에, 상기 정화용 팬(131) 또는 선풍용 팬(1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게 되면, 외부 공기 즉, 하우징(110) 주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고, 하우징(110)에 구성된 필터부재(12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 정화된 공기는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커버용 뚜껑(140)이 커버된 경우 커버용 뚜껑(14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커버용 뚜껑(140)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또는 탁상 등에 구비된 상태에서 주변 공기의 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커버용 뚜껑(140)이 커버된 상태에서 공기의 정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동작스위치에 의해 정화용 팬(131)과 선풍용 팬(151)이 모두 회전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커버된 상태를 가지는 커버용 뚜껑(140)이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회동 개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정화용 팬(131)을 이용한 공기 정화 기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선풍용 팬(151)을 이용한 선풍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또는 선풍 기능만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차량 또는 책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용 시가잭 또는 USB나 어댑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동작전원 공급시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필터부재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상측 뚜껑이 회동 개방되는 경우 뚜껑에 구성된 회전수단이 소형 선풍기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전수단이 구성되어 어느 하나가 고장 또는 오동작되더라도 공기의 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뚜껑이 회동되도록 하고 이때 뚜껑 내부에 회전수단이 구성되는 간단한 설계를 통해 선풍기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종래와 같이 별도로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등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선풍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부재(120);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하우징(110)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필터부재(12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 회전수단(130);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하우징(11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측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용 뚜껑(140); 및
    커버용 뚜껑(14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동작전원 공급시 회전되어 커버용 뚜껑(140)의 커버 상태에서는 커버용 뚜껑(140)의 하측부로 하우징(110)의 상측부로부터 흡입되는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14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커버용 뚜껑(140)의 회동 개방시에는 커버용 뚜껑(140)의 하측부로 주변 공기나 상기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 커버용 뚜껑(140)의 상측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풍용 회전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케이스(111); 케이스(111)의 하측부 받침대(112)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공(113); 및 케이스(111)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천정면(114)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공(115)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용 뚜껑(140)은, 회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천정면(114)으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통해 케이스(111)의 천정면(114)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체(141); 커버체(141)의 하측부 바닥면(142)에 천공 형성되어 커버체(141)가 천정면(114)의 커버시에는 케이스(111)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입공(143); 및 커버체(141)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커버판(144)에 천공 형성되어 선풍용 회전수단(150)의 회전에 의해 커버체(141)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 또는 케이스(111) 주변 공기가 커버체(14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공(145)을 포함하며,
    상기 선풍용 회전수단(150)은, 커버체(141)가 케이스(111)의 커버시에는 커버체(141)의 공기유입공(143)으로 케이스(111) 내부로부터 유출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공기유출공(145)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정화 기능을 제공하고, 커버체(141)가 케이스(111)의 회동 동작을 통한 개방시에는 커버체(141)의 공기유입공(143)으로 하측부로 주변 공기가 직접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공기유출공(145)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선풍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정화용 회전수단(130)과 선풍용 회전수단(150)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시가잭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탁상에 구비되는 경우는 USB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어댑터를 통해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50078915A 2015-06-04 2015-06-04 공기청정기 KR10173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915A KR101735920B1 (ko) 2015-06-04 2015-06-0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915A KR101735920B1 (ko) 2015-06-04 2015-06-0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74A KR20160142974A (ko) 2016-12-14
KR101735920B1 true KR101735920B1 (ko) 2017-05-15

Family

ID=5757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915A KR101735920B1 (ko) 2015-06-04 2015-06-0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78A1 (ko) * 2018-09-04 2020-03-26 이정용 스피커를 이용한 선풍기와 추력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010B1 (ko) * 2018-09-11 2020-06-05 노하민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겸용 핸디선풍기
KR20220077065A (ko) * 2020-12-01 2022-06-08 조규호 차량용 다기능 멀티 컵 홀더
KR20230117969A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483B2 (ja) * 1994-01-11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ンプの形成方法
JP2001311529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空調装置
US20030150326A1 (en) * 2002-02-11 2003-08-14 Hp Intellectual Corp. Multi-stage air cleaner fan system
KR101242608B1 (ko) 2011-08-16 2013-03-19 도원석 휴대용 공기 여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483B2 (ja) * 1994-01-11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ンプの形成方法
JP2001311529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空調装置
US20030150326A1 (en) * 2002-02-11 2003-08-14 Hp Intellectual Corp. Multi-stage air cleaner fan system
KR101242608B1 (ko) 2011-08-16 2013-03-19 도원석 휴대용 공기 여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78A1 (ko) * 2018-09-04 2020-03-26 이정용 스피커를 이용한 선풍기와 추력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74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999B1 (ko) 선풍기, 온풍기, 공기청정기, 헤어드라이어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송풍장치
KR101735920B1 (ko) 공기청정기
JP4068122B2 (ja) 空気清浄機
ES2947523T3 (es) Conjunto de depósito de polvo y aspirador de mano provisto del mismo
CN109996593B (zh) 能够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CN101535730B (zh) 空气净化器
KR20160028292A (ko) 에어 워셔
KR102560978B1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100711351B1 (ko) 세탁기
JP5810215B2 (ja) フィルタ清浄用圧力容器を有する電動掃除機
CN114623544B (zh) 空气净化器
KR20110090266A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628187B1 (ko) 다기능 팬 모듈
KR20190000114A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KR20200000159U (ko)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CN109200806A (zh) 可变换工作状态的多功能空气净化设备
KR101408571B1 (ko) 카트리지 타입 이동식 집진기
JP2006271614A (ja) 空気清浄機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KR102102980B1 (ko) 선풍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110041692A (ko) 공기 청정기
KR102116010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겸용 핸디선풍기
KR102481848B1 (ko) 공기 청정 장치
JP2014070859A (ja) 送風機
KR20120026943A (ko) 가습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