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782A -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782A
KR20230117782A KR1020220013924A KR20220013924A KR20230117782A KR 20230117782 A KR20230117782 A KR 20230117782A KR 1020220013924 A KR1020220013924 A KR 1020220013924A KR 20220013924 A KR20220013924 A KR 20220013924A KR 20230117782 A KR20230117782 A KR 2023011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cover
shaft
recessed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창
Original Assignee
김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창 filed Critical 김성창
Priority to KR102022001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782A/ko
Publication of KR2023011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와 창호의 두께 방향으로 이웃하게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하는 폴딩 도어용 레일, 상기 함몰부를 따라 상기 폭 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를 포함하는 폴딩 도어 및 상기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폴딩 도어용 자동 개폐형 레일커버 구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Folding door structure easy to open and close and manage}
본 발명은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딩 도어가 건물매장이나 상가, 자동차 매장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폴딩 도어(Folding Door)란 번역 그대로 접이 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 외벽 대체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폴딩 도어는 여러 개의 개별 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접거나 펼치는 것에 의해 건물벽체의 내, 외벽 대체용으로 사용되는 도어 조립체이고, 이러한 도어 조립체의 개별 도어들의 움직임은 하부 레일에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은 하향 함몰되어 개별 도어의 휠이 지나갈 수 있는 휠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휠 수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폴딩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생활에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미관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180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도어용 자동 개폐형 레일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롤러 구조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폴딩 도어용 레일의 함몰부가 선택적으로 덮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함몰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롤러 구조체의 움직임이 이물질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폴딩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레일부로 인해 발생하는 생활의 불편함이나 미관의 손상 없이 자연스러운 개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 조립체는 폴딩 도어용 레일(1)을 포함한다. 폴딩 도어용 레일(1)은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폴딩 도어용 레일(1)은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함몰부(11)가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도어는 롤러 구조체를 이용하여 함몰부(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롤러 구조체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폴딩 도어 조립체는 커버 유닛(3)을 포함한다. 커버 유닛(3)은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유닛(3)은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시에 함몰부(11)가 덮이고 폴딩 도어의 완전 닫힘 상태 및 닫힘 진행시 폴딩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부(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폴딩 도어의 완전 열림 상태라 함은, 창호의 개방 영역이 소정 이상(일정 영역 이상)으로 확보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폴딩 도어 조립체에 의하면, 폴딩 도어용 레일(11)이 개방되는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 시에는 커버 유닛(3)에 의해 함몰부(11)가 폐쇄되어 함몰부(11)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고, 폴딩 도어의 닫힘 진행시 및 닫힘 상태시에는 커버 유닛(3)과 폴딩 도어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함몰부(11)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 도어용 레일(1)에는 함몰부(11)와 창호의 두께 방향으로 이웃하게 샤프트 수용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유닛(3)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샤프트 수용홈(12)에 장착되는 커버 샤프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유닛(3)은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되어 커버 샤프트(31)의 일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에 대해 덮힘 상태가 되거나, 커버 샤프트(31)의 타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에 대한 개방 상태가 되는 날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유닛(3)은 폴링 도어의 열림 방향 끝단인 커버 샤프트(31)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는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되는 선형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커버 샤프트(31)에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33)는 구동 샤프트(3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허용되되 회전시에는 그의 회전력을 커버 샤프트(31)에 제공하도록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되는 연결 봉부(3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샤프트(31)는 적어도 일부에 창호의 폭 방향으로 슬롯(311)이 형성되는 관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샤프트(31)는 내부에 창호의 폭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봉부(3311)는 관 부재인 커버 샤프트(31)의 내부(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33111) 및 본체(33111)로부터 돌출되어 슬롯(3111)에 삽입되는 돌출부(33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3112)는 연결 봉부(3311)(본체(33111))의 관 부재인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상대적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창호의 폭방향 이동)은 가능하되,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본체(33111)의 헛돔은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창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가능하되 그의 회전력을 커버 샤프트(31)에 전달, 다시 말해, 구동 샤프트(331)는 커버 샤프트(31)에 대한 창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은 가능하되 그의 일 방향 회전시 일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여 커버 샤프트(31) 및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된 날개부(3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의 타 방향 회전시 타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여 커버 샤프트(31) 및 커버 샤프트(31)와 연결된 날개부(32)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331)는 연결 봉부(3311)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에 나선 방향으로 슬롯(33121)이 형성되는 슬롯 형성 관부(3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3)는 일단은 위치 고정되고 슬롯 형성 관부(3312)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내측 탄성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탄성부재(332)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33)는 선형 구동력 및 내측 탄성부재의 탄성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슬롯(331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버 유닛(3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레버 유닛(333)은 슬롯 형성 관부(3312) 내에 구비되어 내측 탄성부재(332)의 타단을 지지하는 걸림부(33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탄성부재(332)는 걸림부(3331)의 열림 방향을 향하는 면 상에 구비되어 열림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레버 유닛(333)은 걸림부(3331)로부터 슬롯(33121)을 통해 슬롯 형성 관부(3312)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3333) 및 제1 포스트부(21a)의 닫힘 방향 이동시 접촉되도록 연결부(3333)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레버(3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를 함께 비교하여 살펴보면, 폴딩도어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폴딩도어가 레버(3332)에 접촉하여 접촉된 상태로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3332)에는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할 수 있고, 내측 탄성부재(332)가 압축되며 레버 유닛(333)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레버 유닛(333)은 나선 형상의 슬롯(33121)을 따라 이동되며 슬롯 형성 관부(3312)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슬롯 형성 관부(3312)의 회전에 의해 연결 봉부(3311) 및 연결 봉부(3311)와 결합한 커버 샤프트(31)가 회전될 수 있으며, 날개부(32)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폴딩 도어의 열림 상태시 날개부(32)가 일 방향 회전되어 함몰부(11)가 덮여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슬롯(33121)은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구동 샤프트(33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3332)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시 걸림부(3331)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일단(열림 방향으로의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걸림부(3331)의 열림 방향 측에 구비된 내측 탄성부재(332)는 선형 구동력(걸림부(3331)에 의해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구조체가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날개부(32)가 덮이면 날개부(32)와 롤러 구조체(212)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폴딩 도어의 구동부(33)는 외측 탄성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탄성부재(334)는 일단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구동 샤프트(331)와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334)는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소정 이상 진행되기 전에 압축 변형되도록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3332)에 대한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시, 레버 유닛(333)은 내측 탄성부재(332)를 압축시키며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레버 유닛(333)에는 내측 탄성부재(332)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저항력도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탄성부재(332)의 압축 진행과 함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레버(3332)에 대한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선형 구동력)이 작용시에는 외측 탄성부재(334)에도 선형 구동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런데, 외측 탄성부재(334)가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소정 이상 진행되기 전에 압축 변형되도록 내측 탄성부재(33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므로, 레버 유닛(333)에 작용하는 선형 구동력에 의해 내측 탄성부재(332)가 소정 이상의 압축이 일어나기 전에 외측 탄성부재(334)가 먼저 압축될 수 있고, 외측 탄성부재(334)가 압축됨에 따라, 도 3과 도 4를 비교하여 참조하면, 외측 탄성부재(334)의 닫힘 방향으로의 끝단인 타단과 연결된 구동 샤프트(334)가 레버 유닛(333)의 소정 이상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전에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진행에 따른 날개부(32)의 닫힘 전에 구동 샤프트(334)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어 레버 유닛(333)의 위치 또한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롤러 구조체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덮개부(32)에 의해 덮여지는 부분을 완전히 벗어난 후 레버 유닛(333)의 접촉 및 롤러 구조체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외력에 의한 레버 유닛(333)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및 구동 샤프트(334)의 회전 및 커버 샤프트(31)의 회전이 진행되며 날개부(32)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탄성부재(334)는 그의 최종 압축 상태(그에 작용하는 선형 구동력에 의한 압축 완료 상태)시의 길이와 그의 압축 전(탄성 복원 후) 길이의 차이, 다시 말해 탄성 변형량(압축 변형량)이 롤러 구조체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벗어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탄성부재(332)와 외측 탄성부재(334) 각각의 탄성계수 또한 롤러 구조체가 폴딩 도어용 레일(1)의 날개부(3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벗어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날개부(32)와 폴딩 도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폴딩 도어용 레일
11 : 함몰부
12 : 샤프트 수용홈
3 : 커버 유닛
31 : 커버 샤프트
311 : 커버 샤프트의 슬롯
32 : 날개부
33 : 구동부
331 : 구동 샤프트
3311 : 연결 봉부
3312 : 슬롯 형성 관부
33121 : 슬롯 형성 관부의 슬롯
332 : 내측 탄성부재
333 : 레버 유닛
3331 : 걸림부
3332 : 레버
3333 : 연결부
334 : 외측 탄성부재

Claims (3)

  1. 상면에 창호의 폭 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와 창호의 두께 방향으로 이웃하게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창호 하부 프레임의 상면을 마감하는 폴딩 도어용 레일;
    상기 함몰부를 따라 상기 폭 방향 이동하는 롤러 구조체를 포함하는 폴딩 도어; 및
    상기 롤러 구조체의 이동과 연동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장착되는 커버 샤프트;
    상기 커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샤프트의 일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대한 덮힘 상태가 되거나, 상기 커버 샤프트의 타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대한 개방 상태가 되는 날개부; 및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 끝단인 상기 커버 샤프트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폴딩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되는 선형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샤프트에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KR1020220013924A 2022-02-03 2022-02-03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KR2023011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24A KR20230117782A (ko) 2022-02-03 2022-02-03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24A KR20230117782A (ko) 2022-02-03 2022-02-03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82A true KR20230117782A (ko) 2023-08-10

Family

ID=8756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24A KR20230117782A (ko) 2022-02-03 2022-02-03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7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US20090013605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US20040206002A1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a tilt-in window
KR102063732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WO2008113148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20230117782A (ko) 개폐 및 관리가 용이한 폴딩 도어 구조체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KR20230117780A (ko) 폴딩 도어용 자동 개폐형 레일커버 구조체
KR20230117781A (ko) 자동 개폐가 가능한 폴딩 도어의 레일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3126A (ja) 気密式防音窓
EP1288040A1 (en) Roto-translating door for motor vehicles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1876126B1 (ko) 여닫이 문의 문틀과 기밀유지장치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101320990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20045213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0448063B1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CN112832607A (zh) 齐平式玻璃操作设备
KR200355903Y1 (ko) 여닫이창용 키퍼
KR10060014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작동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