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709A -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709A
KR20230117709A KR1020230011658A KR20230011658A KR20230117709A KR 20230117709 A KR20230117709 A KR 20230117709A KR 1020230011658 A KR1020230011658 A KR 1020230011658A KR 20230011658 A KR20230011658 A KR 20230011658A KR 20230117709 A KR20230117709 A KR 2023011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ection
push
flap bod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실로 하일만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1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53Details concerning the inlet box or bowl in the vehicle car bod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을 수용하는 본체(11)를 포함하고; 제1 섹션(15a)에서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플랩 바디(15)를 포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본체(19)의 개구부(18)를 폐쇄하고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차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2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본체(19)의 개구부(18)를 개방하고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15)를 잠그고 플랩 바디(15)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을 포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과 다른, 플랩 바디(15)의 회전축(17) 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CHARGING FLAP OR TANK FLAP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충전 플랩 장치 및/또는 탱크 플랩 장치를 포함한다. 탱크 플랩은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 플랩 장치는 전기 충전 소켓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탱크 플랩 장치뿐 아니라 충전 플랩 장치도 갖는다. 순수 전기 구동 차량은 충전 플랩 장치만 갖는다.
DE 10 2014 115 907 A1호로부터 전기 차량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충전 플랩 장치는 본체에 의해 수용된 충전 소켓을 갖는다. 또한, 충전 플랩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피벗식 플랩 바디를 갖는다.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충전 소켓으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플랩 바디의 제2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충전 소켓 또는 충전 노즐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충전 플랩 장치는 플랩 바디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푸시-푸시(push-push)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태핏 및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푸시-푸시 메커니즘을 갖는다. 충전 플랩이 열리면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보이고 접근할 수 있다.
DE 10 2020 112 178 A1호 및 GB 2 412 097 B호로부터 또 다른 자동차 충전 플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플랩 바디가 열려 있을 때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보이면, 전체적인 심미성이 저하된다. 또한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충전 과정 또는 급유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게다가 플랩 바디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덮이거나 가려질 수 있도록 플랩 바디를 비교적 크게 제작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신규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는 충전 소켓 또는 탱크 노즐을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는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플랩 바디를 포함하며, 이 플랩 바디는 제1 섹션에서 다이어프램 본체를 지지하고,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서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충전 소켓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차단하며, 플랩 바디의 제2 위치에서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충전 소켓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는 또한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은 다이어프램 본체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의 제1 섹션과 다른, 플랩 바디의 회전축 측에 배치된다.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다이어프램 본체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의 제1 섹션과 다른 회전축 측에 위치함으로 인해, 플랩 바디가 열려 있을 때 푸시-푸시 메커니즘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전체적인 심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충전 과정 또는 급유 과정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손상될 위험이 없다. 또한, 더 작게 제작된 플랩 바디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랩 바디의 제2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다이어프램 본체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의 제1 섹션과 동일한, 플랩 바디의 회전축 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플랩 바디가 열려 있을 때 충전 소켓 또는 탱크 노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랩 바디의 제2 섹션이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의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상대 잠금 요소를 지지하거나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푸시-푸시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한다. 특히 플랩 바디의 제2 섹션은 바람직하게 플랩 바디의 U자형 제3 섹션의 연결 레그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서 잠금 요소는 상대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플랩 바디를 제1 위치에 잠근다. 푸시-푸시 메커니즘의 작동에 따라, 잠금 요소는 상대 잠금 요소와 플랩 바디를 잠금 해제한다.
바람직하게 푸시-푸시 메커니즘은 자동차 차체 뒤에서 본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함입부 내에 배치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한 심미성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충전 과정 또는 급유 과정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의 손상 위험을 피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청구항 제9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 청구항 및 하기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플랩 바디가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플랩 바디의 제1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 시의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랩 바디가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플랩 바디의 위치에 있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랩 바디가 충전 케이블의 충전 플러그와 함께 자동차 차체의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하는, 플랩 바디의 제2 위치에 있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자동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의 영역의 단면을 도시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은 충전 플랩 장치(10)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탱크 플랩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충전 플랩 장치(10)의 상이한한 상태들을 도시한다.
충전 플랩 장치(10)는 충전 소켓(12)을 수용하는 본체(11)를 갖는다. 충전 과정을 위해 충전 소켓(12)에 충전 케이블(14)의 충전 플러그(13)(도 4 참조)가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소켓(12)은 본체(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함입부 내에 배치된다.
충전 플랩 장치(10)는 또한, 제1 섹션(15a)에서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를 갖는다. 플랩 바디(15)는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19)의 개구부(18)를 폐쇄하고, 이 경우 플랩 바디(15)는 충전 소켓(12)으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도 1 참조)에서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에 수용된 충전 플랩 장치(10)의 다이어프램 본체(16)는 자동차 차체(19)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연장되며, 도 1의 제1 위치에서는 다이어프램 본체(16)와 차체(19) 사이에 갭(20)이 형성된다.
플랩 바디(15)의 제2 위치(도 4 참조)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19)의 개구부(18)를 개방하고 충전 소켓(12)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충전 플랩 장치(10)는 또한, 도 1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15)를 잠그고 마찬가지로 도 1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15)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을 갖는다.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도 1 참조)와 관련하여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과 다른, 플랩 바디(15)의 회전축(17)의 측에 배치된다.
플랩 바디(15)의 제2 위치(도 4 참조)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21) 및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은 바람직하게, 둘 모두 플랩 바디(15)의 회전축(17)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플랩 바디(15)는,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21)과 상호 작용하는 제2 섹션(15b)을 갖는다.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상대 잠금 요소(23)와 상호 작용하는 잠금 요소(22)를 가지며,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도 1 참조)에서 플랩 바디를 잠그기 위해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의 잠금 요소(22)가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의 상대 잠금 요소(23) 내로 돌출하여 플랩 바디(15)를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잠근다. 상대 잠금 요소(23)는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의 구성요소이거나 플랩 바디에 의해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바디(15)가 수동으로 작동되면,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이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의 잠금 요소(22)에 대해 눌리고, 이 경우 잠금 요소(22)가 회전된 다음 상대 잠금 요소(23)가 그에 따라 플랩 바디(15)를 잠금 해제함으로써, 플랩 바디가 개구부(18)의 개방을 위해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중간 위치를 넘어서 도 4의 완전히 개방된 제2 위치까지 피벗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은 플랩 바디(15)의 제3 섹션, 특히 U자형 섹션(15c)을 통해 회전축(17)에 연결된다. 플랩 바디(15)의 제3 섹션(15c)의 제1 레그(24)는 회전축(17)에 작용하고, 제3 섹션(15c)의 제2 레그(25)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에 작용한다. 상기 두 레그(24 및 25) 사이에 두 레그(24, 25)를 연결하는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가 연장된다.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은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의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이때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은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를 제1 레그(24) 이상으로 연장시킨다.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은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 및 플랩 바디(15)의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에 평행하게 또는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레그(24)와 제2 레그(24)는 서로 평행하게 또는 거의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 및 제2 섹션(15b)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본체(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함입부 내에, 더 정확하게는 자동차의 차체(19) 뒤에 배치된다. 플랩 바디(15)가 열려 있을 때에도(도 4 참조)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충전 과정에서 손상될 위험도 없다.
상기 회전축(17)과 스프링 요소(27)가 상호 작용한다. 이 스프링 요소(27)는, 플랩 바디(15)를 도 1의 제1 위치에서 도 4의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전환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스프링 힘을 제공한다. 플랩 바디(15)가 도 4의 제2 위치로부터 도 1의 제1 위치 방향으로 전환될 때에는 플랩 바디(15)가 상기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피벗되어야 한다. 플랩 바디를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도 1의 폐쇄된 제1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의 잠금 요소(22)를 상대 잠금 요소(23)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플랩 바디(15)를 잠글 수 있다.
푸시-푸시 메커니즘(21)에는 바람직하게, 잠금 요소(22)와 상대 잠금 요소(23)의 상호 작용을 통한 플랩 바디 작동의 결과로 플랩 바디(15)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유발하는 심장형 메커니즘(cardioid mechanism)이 통합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또한, 본체(11)에 작용하며 플랩 바디(15)가 닫힌 상태에서 플랩 바디를 본체(11)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 요소(28)를 도시한다. 이 밀봉체(28)는 특히, 플랩 바디(15)를 위한 댐핑 기능도 제공하는 고무 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플랩 장치(10)는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이 상기 충전 플랩 장치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충전 과정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이 손상될 위험이 없다. 플랩 바디(15)는 비교적 작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플랩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전 소켓(12)이 탱크 노즐로 대체된 탱크 플랩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이며, 이 장치는,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을 수용하는 본체(11)를 포함하며,
    제1 섹션(15a)에서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플랩 바디(15)를 포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19)의 개구부(18)를 폐쇄하고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차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2 위치에서 플랩 바디는 자동차 차체(19)의 개구부(18)를 개방하고 충전 소켓(12) 또는 탱크 노즐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제1 위치에서 플랩 바디(15)를 잠그고 플랩 바디(15)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을 포함하며,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과 다른, 플랩 바디(15)의 회전축(17) 측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플랩 바디(15)의 제2 위치와 관련하여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과 동일한, 플랩 바디(15)의 회전축(17)의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은,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이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의 잠금 요소(22)와 상호 작용하는 상대 잠금 요소(23)를 지지하거나 형성하는 방식으로, 플랩 바디(15)의 제1 위치에서 푸시-푸시 메커니즘(21)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본체(16)를 지지하는 플랩 바디(15)의 제1 섹션(15a)이 플랩 바디(15)의 제3 섹션, 특히 U자형 섹션(15c)을 통해 회전축(17)에 연결되며, 제3 섹션의 제1 레그(24)가 회전축(17)에 작용하고, 제3 섹션의 제2 레그(25)가 제1 섹션(15a)에 작용하며, 제1 레그(24)와 제2 레그(25)는 연결 레그(26)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5. 제4항에 있어서,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이 플랩 바디(15)의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의 연장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랩 바디(15)의 제2 섹션(15b)이 제3 섹션(15c)의 연결 레그(26)를 플랩 바디의 제1 레그(24) 이상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푸시-푸시 메커니즘(21)은 자동차의 차체(19) 뒤에서, 본체(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함입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축(17)과 스프링 요소(27)가 상호 작용하고,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힘이 플랩 바디(15)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또는 탱크 플랩 장치(10)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230011658A 2022-02-02 2023-01-30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 KR20230117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02402.4A DE102022102402A1 (de) 2022-02-02 2022-02-02 Ladeklappenanordnung oder Tank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DE102022102402.4 2022-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09A true KR20230117709A (ko) 2023-08-09

Family

ID=8716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658A KR20230117709A (ko) 2022-02-02 2023-01-30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41965A1 (ko)
KR (1) KR20230117709A (ko)
CN (1) CN116534136A (ko)
DE (1) DE1020221024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232A (ja) 2004-03-08 2005-09-15 Nifco Inc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DE102014115907A1 (de) 2014-10-31 2016-05-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DE102020112178A1 (de) 2020-05-06 2021-1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klappen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02402A1 (de) 2023-08-03
CN116534136A (zh) 2023-08-04
US20230241965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7305B2 (en) Tank flap or charging flap arrangement
US10322635B2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be driven electrically
US8556327B1 (en) Fuel housing assemblies with integrated sealing retainer assemblies
US5501607A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harging connector
US10995527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20160372862A1 (en) Double locking device for charger
JPH07187215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キャップ組立体
KR20230117709A (ko) 자동차의 충전 플랩 장치 또는 탱크 플랩 장치 및 자동차
CN217124532U (zh) 汽车充电模块
CN112204216B (zh) 燃料加注口盖开启器
WO2005069686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contacts pour connecteur electrique et connecteur electrique le comprenant
KR20210023093A (ko) 테일 게이트 스위칭 유니트
US10155441B2 (en) Fuel door opener
CN112406525B (zh) 隐藏式汽车加油口总成和车辆
US11745582B2 (en) Capless filler neck structure
US11072228B2 (en)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door
KR20220138783A (ko) 회전형 암레스트 및 상기 회전형 암레스트가 구비된 콘솔 어셈블리
US20200338971A1 (en) Sliding-type sealing assembly for door of vehicle
US20230061574A1 (en) Flap unit for an opening on a vehicle, and vehicle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13123687B (zh) 两级开启式背门
CN218172137U (zh) 隐藏式车顶行李架和车辆
US20240181993A1 (en) Filling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Such a Filling Device
US20230158931A1 (en) Rotatable armrest and console assembly provided with the same
CN216805216U (zh) 一种车辆的座椅头枕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