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881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881A
KR20230116881A KR1020237022220A KR20237022220A KR20230116881A KR 20230116881 A KR20230116881 A KR 20230116881A KR 1020237022220 A KR1020237022220 A KR 1020237022220A KR 20237022220 A KR20237022220 A KR 20237022220A KR 20230116881 A KR20230116881 A KR 2023011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upright wall
wall portion
groun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야오 린
고헤이 노구치
히데카즈 조사코
Original Assignee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는 원통형상의 입벽부와,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갖는 그라운드 콘택트와, 입벽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시그널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와 시그널 콘택트를 절연 상태로 보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그라운드 콘택트에 고정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시그널 콘택트는 접촉부와, 당해 접촉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연장되며, 시그널 단자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지며, 연장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단자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입벽부의 외부에 있어서 기판 접속부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을 그라운드 콘택트에 대해 고정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본 개시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신호 전송 부재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신호 전송 부재와 기판의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통형상부를 갖는 외부 단자와, 통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단자와, 통형상부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홈이 형성된 절연체를 구비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 WO 2020/031760 호
여기에서, 상기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통형상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절연체를 배치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치에 의해, 내부 단자로부터의 신호가 외부로 누출되기 쉬워져(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워져), 커넥터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개시는 EMI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및 접촉부로부터 인출되도록 기판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갖는 시그널 콘택트와, 접촉부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입벽부, 및 입벽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입벽부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기판 접속부를 갖는 그라운드 콘택트와, 시그널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를 보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는,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있어서, 시그널 콘택트의 접촉부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의 입벽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기판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입벽부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의 기판 접속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시그널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 사이에는 절연성의 하우징이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그널 콘택트가 그라운드 콘택트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이기 때문에, 시그널 콘택트로부터의 신호가 그라운드 콘택트의 외부에 누출되기 어려운 구성(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이것으로, 전기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입벽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과 입벽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은 시그널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를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는,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을 그라운드 콘택트에 대해 걸림고정되는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고정부에 의해, 입벽부와 입벽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부가 맞물린다. 이에 의해, 하우징의 탈락이 방지되기 때문에,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걸림고정부는 입벽부에 있어서의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인 선단부로부터,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에는,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해,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입벽부의 내주면을 따르는 하우징의 이동(예를 들면, 회전)이 더욱 억제된다. 이것으로,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입벽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는,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있어서, 내주면을 따르는 하우징이 선단부에 접하는 것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대한 하우징의 이동이 보조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으로,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걸림고정부는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의 주위에 있어서 1쌍의 걸림고정부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이동이 균형있게 억제되기 때문에,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와 하우징운 별체로 형성되며, 하우징은 입벽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볼록형상면의 압입부를 갖는다. 그라운드 콘택트와 하우징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립 방식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제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볼록형상면인 압입부가 그라운드 콘택트의 입벽부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고정 강도가 보다 증가하기 때문에,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입벽부와 기판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로잉 가공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의 입벽부와 기판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입벽부와 기판 접속부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걸림고정부의 주위를 내포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기둥형상부와 걸림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EMI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저면도이며, 도 3의 (c)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시그널 콘택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 콘택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평면도이며, 도 5의 (b)는 저면도이며, 도 5의 (c)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저면도이며, 도 6의 (c)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압입 고정 전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평면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평면도이며, 도 9의 (b)는 저면도이며, 도 9의 (c)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2의 (b)는 저면도이며, 도 12의 (c)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시그널 콘택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3의 (b)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 콘택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4의 (b)는 저면도이며, 도 14의 (c)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5의 (b)는 저면도이며, 도 15의 (c)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압입 고정 전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는 리셉터클 커넥터(10)(전기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기판(200)(도 2 참조)에, 예를 들면, 납땜 등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동축 케이블(SC)(신호 전송 부재)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춰진다. 커넥터 장치(1)에서는, 동축 케이블(SC)의 단부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100)가, 기판(200)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SC)과 기판(200)의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판(200)은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축 케이블(SC) 대신에, 여러 가지의 전자 기기의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신호 전송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커넥터 장치(1)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방향을 "Z방향",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SC)의 축방향을 "X방향", Z방향 및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Z방향에 관하여,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X방향에 관하여, 동축 케이블(SC)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00)가 장착된 단부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 반대의 단부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을 구비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11)는 하우징(13)에 둘러싸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11)는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2)는 시그널 콘택트(11) 및 하우징(1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그널 콘택트(11)는 원통형상의 도전체이다. 시그널 콘택트(11)는 예를 들면, 박판형상의 금속 부재로 형성된다. 시그널 콘택트(11)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시그널 콘택트(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8의 (b) 참조).
시그널 콘택트(11)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111), 및 접촉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기판(200)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자부(112)를 갖는다.
접촉부(111)는 Z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11)의 외주면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시그널 콘택트(101)에 접촉한다(도 8의 (b) 참조).
단자부(112)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단자부(112)는 Z방향으로부터 보아 Y방향의 길이가 X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단자부(112)는, 접촉부(111)의 하단에 연속하는 동시에, X방향의 전방(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8의 (b) 참조))으로 연장되며, 기판(200)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3의 (a)로 복귀하여, 단자부(112)는 그라운드 콘택트(12)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수용된다. 단자부(112)는 또한, 선단 영역인 노출부(11x)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평면에서 보아, 노출부(11x)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노출부(11x)는 단자부(112)에 있어서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의 접촉 영역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콘택트(1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편면 중앙에 원통이 배치된 형상을 갖는 도전체이다. 그라운드 콘택트(12)를 평면에서 보면,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중앙 영역은 대략 원형으로 도려내어져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2)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그라운드 콘택트(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8의 (b) 참조).
그라운드 콘택트(12)는 접촉부(11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입벽부(121), 및 입벽부(1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200)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입벽부(12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기판 접속부(122)를 갖는다. 또한, 그라운드 콘택트(12)는,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13)을 그라운드 콘택트(12)에 대해 걸림고정하는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123)를 갖는다.
입벽부(121)는 Z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벽부(121)는 그 통공 내에 하우징(13)을 수용한다. 입벽부(121)는 하우징(13)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것에 의해, 시그널 콘택트(11)의 접촉부(111)를 이음매 없이 둘러싼다. 입벽부(121)의 외주면(121a)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입벽부(121)의 축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끼워맞춤 오목부(12x)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12x)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그라운드 콘택트(102)의 외주에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102x)와 끼워맞춰진다(도 8의 (b) 참조).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은 하우징(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후술하는 하우징(13)의 외주면(13a)에 접하고 있다(도 8의 (b) 참조).
입벽부(121)에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상단부)인 선단부(121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단부는, 선단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선단의 근방의 영역을 포함한다.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선단부(121c)는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21c)는 내주면(121b) 부근의 영역에 있어서, 후술하는 하우징(13)의 접촉부(132b)에 접한다. 이와 같이 접하는 것에 의해, 선단부(121c)는 상방향에 대한 하우징(13)의 이동을 보조적으로 억제한다.
기판 접속부(12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벽부(121)의 하단에 연속하는 동시에, 기판(200)을 따라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며, 입벽부(12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싼다. 기판 접속부(122)는 기판(200) 상에 배치되며(도 2 참조), 기판(200)의 그라운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콘택트(12)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입벽부(121)와 기판 접속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콘택트(12)는 금속판에 대해 드로잉 가공(예를 들면 원통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측면 부분인 입벽부(121)와, 플랜지 부분인 기판 접속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2)가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벽부(121) 및 기판 접속부(122)에는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입벽부(121)는 기판 접속부(122)로부터 입설하도록, 기판 접속부(122)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부(123)는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예를 들면, 걸림고정부(123)는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인 선단부(121c)로부터,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림고정부(123)는 선단부(121c)에 연속하여 선단부(121c)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부(123)는 하우징(13)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르는 하우징(13)의 이동(예를 들면 회전)을 억제한다. 걸림고정부(123)는 또한, 접촉부(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즉, 걸림고정부(123)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걸림고정부(123)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2쌍 이상 마련되어도 좋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은 Z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바닥면을 갖는 반원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부재이다. 하우징(13)은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하우징(13)은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시그널 콘택트(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일체화되기 전의 시그널 콘택트(11)와 하우징(13)을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13)은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를 보지한다. 하우징(13)은 시그널 콘택트(11)의 일부를 둘러싸는 동시에,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입벽부(121)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3)의 외주면(13a)은 하우징(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에 접하고 있다(도 8의 (b) 참조).
하우징(13)은 기부(131)와, 기둥형상부(132)와, 압입부(133)를 갖는다. 기부(131)는 반원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3)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131)는 플러그 커넥터(100)에 대향하는 상면(131a)과, 기판(200)에 대향하는 바닥면(131b)을 갖는다. 기부(131)에는 상면(131a) 중앙으로부터 바닥면(131b) 중앙에 걸쳐서, 접촉부(111)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인 지지부(13y)가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2)는 반원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부(131)로부터 입설하도록 기부(131)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2)는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라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2)의 선단(상단)은 입벽부(121)의 선단부(121c)에 도달한 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며, 선단부(121c)에 도달하지 않는(선단부(121c)보다 하방까지만 연장되어 있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기둥형상부(132)의 선단은,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방향)에 있어서, 입벽부(121)의 선단부(121c)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3의 (c) 참조).
하우징(13)에는, 걸림고정부(123)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둥형상부(132)에는, 걸림고정부(123)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132a)는 기둥형상부(132)의 상단부에 있어서, 기둥형상부(13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2a)는 기둥형상부(132)의 상단부로부터 기판(200)을 향하여, 걸림고정부(123)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2a)는 또한, 하우징(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걸림고정부(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2)에는, 입벽부(121)의 선단부(121c)에 있어서의 내주면(121b) 부근의 영역에 접하는 접촉부(132b)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132b)는 상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3)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선단부(121c)의 내주면(121b)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여 단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32b)가 선단부(121c)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방향에 대한 하우징(13)의 이동이 보조적으로 억제된다.
압입부(133)는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에 대향하는 볼록형상면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은 그라운드 콘택트(12)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3)은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되며, 그라운드 콘택트(12)에 대해 압입 고정된다. 여기에서, 압입부(133)는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압압하여,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3)이 그라운드 콘택트(1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압입부(133)는 하우징(13)의 외주면(13a) 상에 복수(예를 들면, 4개)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a)로 복귀하여, 하우징(13)은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평면에서 보면, 하우징(13)은 단자부(11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 단자부(112)의 선단보다 접촉부(111) 부근의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3)은 시그널 콘택트(11)의 노출부(11x)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3)은 예를 들면, 일부가 노치된 구성으로 되는 것에 의해 노출부(11x)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서는, 시그널 콘택트(11)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12)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환언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시그널 콘택트(11)의 주위가 완전히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시그널 콘택트(11)로부터의 신호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외부로 누출되기 어려운 구성(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
다음에, 도 8의 (a) 및 도 8의 (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100)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의 커넥터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는 평면도이며, 도 8의 (b)는 (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는 시그널 콘택트(101)와, 그라운드 콘택트(102)와, 하우징(103)을 구비한다.
시그널 콘택트(101)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시그널 콘택트(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시그널 콘택트(101)는 하우징(1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101)는 또한, 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에 접속되는 동시에, 시그널 콘택트(11)의 접촉부(111)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콘택트(102)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0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그라운드 콘택트(12)에 끼워맞춰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0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은, 동축 케이블(SC)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102)에 있어서의 원통형상의 하단 부근의 영역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끼워맞춤 볼록부(102x)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101) 및 그라운드 콘택트(102)를 절연 상태로 보지한다. 하우징(103)의 외주면은 그라운드 콘택트(102)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오목부(12x)와, 플러그 커넥터(100)의 그라운드 콘택트(10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볼록부(102x)가 맞물린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100)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가 된다.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단자부(112)가 플러그 커넥터(100)의 그라운드 콘택트(102)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다.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에 접속되어 있는 시그널 콘택트(101)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접촉부(111)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부(111)는 단자부(112)를 거쳐서 기판(200)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의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SC)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그라운드 콘택트(102)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입벽부(121)에 접촉되어 있다. 입벽부(121)는 기판 접속부(122)를 거쳐서 기판(200)의 그라운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의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다음에,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전기 커넥터(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는, 기판(200)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111), 및 접촉부(111)로부터 인출되도록 기판(200)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자부(112)를 갖는 시그널 콘택트(11)와, 접촉부(11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입벽부(121), 및 입벽부(1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200)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입벽부(12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기판 접속부(122)를 갖는 그라운드 콘택트(12)와,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를 보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13)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서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있어서, 시그널 콘택트(11)의 접촉부(111)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입벽부(121)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기판(200)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입벽부(121)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기판 접속부(122)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 사이에는 절연성의 하우징(13)이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그널 콘택트(11)가 그라운드 콘택트(12)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이기 때문에, 시그널 콘택트(11)로부터의 신호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외부에 누출되기 어려운 구성(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이것으로, 전기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하우징(13)은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부(132)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3)과 입벽부(12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를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12)는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13)을 그라운드 콘택트(12)에 대해 걸림고정하는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123)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고정부(123)에 의해, 입벽부(121)와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부(132)가 맞물린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의 탈락이 방지되기 때문에,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걸림고정부(123)는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인 선단부(121c)로부터,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13)에는 걸림고정부(123)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2)에 형성된 오목부(132a)에 대해,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123)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르는 하우징(13)의 이동(예를 들면, 회전)이 더욱 억제된다. 이것으로,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입벽부(121)에 있어서의 선단부(121c)는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으로 향하여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벽부(121)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있어서, 내주면(121b)을 따르는 하우징(13)이 선단부(121c)에 접하는 것에 의해,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대한 하우징(13)의 이동이 보조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으로,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걸림고정부(123)는 접촉부(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111)의 주위에 있어서 1쌍의 걸림고정부(123)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우징(13)의 이동이 균형있게 억제되기 때문에,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은 별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3)은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에 대향하는 볼록형상면의 압입부를 갖는다.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립 방식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제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볼록형상면인 압입부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3)의 고정 강도가 보다 증가하기 때문에,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12)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입벽부(121)와 기판 접속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로잉 가공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입벽부(121)와 기판 접속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입벽부(121)와 기판 접속부(122)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전기 커넥터(20))의 상세에 대해, 리셉터클 커넥터(10)(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에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와, 하우징(1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부(123)는 접촉부(111)를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는(즉, 걸림고정부(123)에 있어서의 접촉부(111) 부근의 영역일수록 선단이 가늘게 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3)은 걸림고정부(123)의 주위를 내포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13)은 입벽부(121)의 내주면(121b)을 따라서 충전되며, 기둥형상부(132)가 형성된다. 하우징(13)은 또한, 테이퍼 형상인 걸림고정부(123)의 주위를 따라서 충전되며, 기둥형상부(132)와 걸림고정부(123)가 고정된다. 걸림고정부(123)의 선단은, 하우징(13)의 기둥형상부(132)의 내주면에 도달하여도 좋으며(기둥형상부(132)를 관통하여도 좋으며), 도달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20)에 있어서, 하우징(13)은 걸림고정부(123)의 주위를 내포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그라운드 콘택트(12)와 일체로 형성된다. 기둥형상부(132)와 걸림고정부(123)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3)을 보다 바람직하게 보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3)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3)는 리셉터클 커넥터(30)(전기 커넥터(3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커넥터 장치(3)의 상세에 대해, 커넥터 장치(1)(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한다.
커넥터 장치(3)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갖는 다심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300)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SC)(신호 전송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0)와 플러그 커넥터(300)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0)로부터 본 플러그 커넥터(300)의 형상, 및 플러그 커넥터(300)로부터 본 리셉터클 커넥터(30)의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에 근사하다. 이하, 이 직사각형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Y방향)을 장변방향이라 하고, 이 직사각형의 단변을 따르는 방향(X방향)을 단변방향이라 한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0)는 시그널 콘택트(31)와, 그라운드 콘택트(32)와, 하우징(33)을 구비한다.
시그널 콘택트(31)는 하우징(33)에 둘러싸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31)는 복수(예를 들면, 3개) 마련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31)는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중앙에 1개의 시그널 콘택트(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장변방향을 따라서, 중앙의 시그널 콘택트(31)를 사이에 두도록 2개의 시그널 콘택트(31)가 배치되어 있다. 모든 시그널 콘택트(31)는 플러그 커넥터(300)로부터 본 접촉방향이 동일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그널 콘택트(31)는, 1쌍의 돌기형상을 갖는 도전체이다. 시그널 콘택트(31)의 돌기는 Z방향을 따라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31)는 기판(200)과의 접속 부분과, 플러그 커넥터(300)의 시그널 콘택트(301)와의 접촉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31)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시그널 콘택트(31)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11), 및 접촉부(311)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기판(200)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자부(312)를 갖는다.
접촉부(311)는 제 1 부분(311a)과, 제 2 부분(311b)과, 연결부(311c)를 갖는다. 제 1 부분(311a) 및 제 2 부분(311b)은 Z방향을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00)를 향하여 각각 돌출된다. 제 1 부분(311a)과 제 2 부분(311b)은 단변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접속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분(311a) 및 제 2 부분(311b)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300)의 시그널 콘택트(301)를 사이에 두도록 접촉한다(도 17의 (b) 참조). 연결부(311c)는 제 1 부분(311a)의 하단과 제 2 부분(311b)의 하단을 연결한다.
단자부(312)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단자부(312)는 Z방향으로부터 보아 Y방향의 길이가 X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단자부(312)는 접촉부(311)의 하단에 연속하는 동시에, X방향의 전방(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7의 (b) 참조))으로 연장되며, 기판(200)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12의 (a)로 복귀하여, 단자부(312)는 그라운드 콘택트(32)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수용된다. 단자부(312)는 또한, 선단 영역인 노출부(31x)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노출부(31x)는 단자부(312)에 있어서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와의 접촉 영역이다.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콘택트(3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편면 중앙에 각통이 배치된 형상을 갖는 도전체이다. 그라운드 콘택트(3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라운드 콘택트(32)의 중앙 영역은 직사각형으로 도려내어져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32)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그라운드 콘택트(3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7의 (b) 참조). 그라운드 콘택트(32)는 장변방향으로 1쌍의 장변과, 단변방향으로 1쌍의 단변을 갖는다.
그라운드 콘택트(32)는 접촉부(31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입벽부(321), 및 입벽부(3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200)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입벽부(32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기판 접속부(322)를 갖는다. 또한, 그라운드 콘택트(32)는,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33)을 그라운드 콘택트(32)에 대해 걸림고정하는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323)를 갖는다.
입벽부(321)는 Z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벽부(321)는 그 통공 내에 하우징(33)을 수용한다. 입벽부(321)는 하우징(33)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것에 의해, 시그널 콘택트(31)의 접촉부(311)를 이음매 없이 둘러싼다. 입벽부(321)의 외주면(321a)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입벽부(321)의 축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끼워맞춤 오목부(32x)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2x)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그라운드 콘택트(302)의 외주에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302x)와 끼워맞춰진다(도 17의 (b) 참조).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은 하우징(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후술하는 하우징(33)의 외주면(33a)에 접하고 있다(도 17의 (b) 참조).
입벽부(321)에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상단부)인 선단부(321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단부는 선단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선단의 근방의 영역을 포함한다. 입벽부(321)에 있어서의 선단부(321c)는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321c)는 내주면(321b) 부근의 영역에 있어서, 후술하는 하우징(33)의 접촉부(332b)에 접한다. 이와 같이 접하는 것에 의해, 선단부(321c)는 상방향에 대한 하우징(33)의 이동을 보조적으로 억제한다.
기판 접속부(32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벽부(321)의 하단에 연속하는 동시에, 기판(200)을 따라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입벽부(321)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싼다. 기판 접속부(322)는 기판(200) 상에 배치되며(도 11 참조), 기판(200)의 그라운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콘택트(32)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입벽부(321)와 기판 접속부(3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콘택트(32)는 금속판에 대해 드로잉 가공(예를 들면, 각통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측면 부분인 입벽부(321)와, 플랜지 부분인 기판 접속부(3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32)가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벽부(321) 및 기판 접속부(322)에는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입벽부(321)는 기판 접속부(322)로부터 입설하도록, 기판 접속부(322)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부(323)는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예를 들면, 걸림고정부(323)는 입벽부(321)에 있어서의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인 선단부(321c)로부터,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림고정부(323)는 선단부(321c)에 연속하여 선단부(321c)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부(323)는, 하우징(33)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을 따르는 하우징(33)의 이동을 억제한다. 걸림고정부(323)는 또한, 접촉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즉, 걸림고정부(123)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다. 걸림고정부(323)는 2쌍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33)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부재이다. 하우징(33)은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3)과 시그널 콘택트(31)는, 조립 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33)과 시그널 콘택트(31)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하우징(33)은 시그널 콘택트(31)와 그라운드 콘택트(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31)와 그라운드 콘택트(32)를 보지한다. 하우징(33)은 시그널 콘택트(31)의 일부를 둘러싸이는 동시에, 그라운드 콘택트(32)의 입벽부(321)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하우징(33)의 외주면(33a)은 하우징(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에 접하고 있다(도 17의 (b) 참조).
하우징(33)은 기부(331)와, 기둥형상부(332)와, 압입부(333)를 갖는다. 기부(331)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33)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331)는 플러그 커넥터(300)에 대향하는 상면(331a)과, 기판(200)에 대향하는 바닥면(331b)을 갖는다. 기부(331)에는, 상면(331a)으로부터 바닥면(331b)에 걸쳐서, 장변방향을 따라서 접촉부(311)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인 지지부(33y)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3y)는 시그널 콘택트(31)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즉, 3개), 시그널 콘택트(3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그널 콘택트(31)가 3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 1개를 그라운드 콘택트(32)로 하여도 좋으며, 시그널 콘택트(31)의 수에 따라서 그라운드 콘택트(32)를 적절히 마련하여도 좋다.
기둥형상부(332)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부(33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기부(331)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332)는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을 따라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형상부(332)의 선단(상단)은 입벽부(321)의 선단부(321c)에 도달하는 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며, 선단부(321c)에 도달하지 않는(선단부(121c)보다 하방까지만 연장되어 있지 않은) 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기둥형상부(332)의 선단은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방향)에 있어서, 입벽부(321)의 선단부(321c)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2의 (c) 참조).
하우징(33)에는, 걸림고정부(323)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332a)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둥형상부(332)에는, 걸림고정부(323)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332a)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332a)는 기둥형상부(332)의 상단부에 있어서, 기둥형상부(33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32a)는 기둥형상부(332)의 상단부로부터 기판(200)을 향하여, 걸림고정부(323)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32a)는 또한, 하우징(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걸림고정부(3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기둥형상부(332)에는 입벽부(321)의 선단부(321c)에 있어서의 내주면(321b)부근의 영역에 접하는 접촉부(332b)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332b)는 상단부에 있어서, 하우징(33)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입벽부(321)에 있어서의 선단부(321c)의 내주면(321b)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여 단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32b)가 선단부(321c)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방향에 대한 하우징(33)의 이동이 보조적으로 억제된다.
압입부(333)는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에 대향하는 볼록형상면이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33)은 그라운드 콘택트(32)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3)은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되며, 그라운드 콘택트(32)에 대해 압입 고정된다. 여기에서, 압입부(333)는 입벽부(321)의 내주면(321b)을 압압하여, 그라운드 콘택트(32)와 하우징(33)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33)이 그라운드 콘택트(3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압입부(333)는 하우징(33)의 외주면(33a) 상에 복수(예를 들면, 하우징(33)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4개) 마련되어 있다.
도 12의 (a)로 복귀하여, 하우징(33)은 입벽부(321)에 둘러싸인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0)를 평면에서 보면, 하우징(33)은 단자부(31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 단자부(312)의 선단보다 접촉부(311) 부근의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33)은 시그널 콘택트(31)의 노출부(31x)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3)은 예를 들면, 일부가 노치된 구성으로 되는 것에 의해 노출부(31x)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평면에서 본 경우에 시그널 콘택트(31)의 노출부(31x)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30)를 기판(200)에 실장했을 때에, 시그널 콘택트(31)와 기판(200)의 접속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리셉터클 커넥터(30)에서는, 시그널 콘택트(31)의 주위가 그라운드 콘택트(32)에 의해 이음매 없이 둘러싸여 있다. 환언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0)는, 시그널 콘택트(31)의 주위가 완전히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30)는, 시그널 콘택트(31)로부터의 신호가 그라운드 콘택트(32)의 외부에 누출되기 어려운 구성(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
다음에, 도 17의 (a) 및 도 17의 (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0) 및 플러그 커넥터(300)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의 커넥터 장치(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7의 (b)는 (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는 시그널 콘택트(301)와, 그라운드 콘택트(302)와, 하우징(303)을 구비한다.
시그널 콘택트(301)는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시그널 콘택트(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시그널 콘택트(301)는 하우징(3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301)는 또한, 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에 접속되는 동시에, 시그널 콘택트(31)의 접촉부(311) 사이에 두어지도록 하여 접속된다.
그라운드 콘택트(302)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30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은, 리셉터클 커넥터(30)의 그라운드 콘택트(32)에 끼워맞춰지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302)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은, 동축 케이블(SC)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302)에 있어서의 각통형상의 하단 부근의 영역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끼워맞춤 볼록부(302x)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3)은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그널 콘택트(301) 및 그라운드 콘택트(302)를 절연 상태로 보지한다. 하우징(303)의 외주면은 그라운드 콘택트(302)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입벽부(321)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오목부(32x)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그라운드 콘택트(30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볼록부(302x)가 맞물린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30)와 플러그 커넥터(300)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가 된다.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단자부(312)가, 플러그 커넥터(300)의 그라운드 콘택트(302)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다.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SC)의 내부 도체(SC1)에 접속되어 있는 시그널 콘택트(301)가,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접촉부(311)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부(311)는 단자부(312)를 거쳐서 기판(200)의 시그널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3)의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SC)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그라운드 콘택트(302)가,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입벽부(321)에 접촉하고 있다. 입벽부(321)는 기판 접속부(322)를 거쳐서 기판(200)의 그라운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3)의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300)는, 동축 케이블(SC)에 접속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FPC)이 접속된 다른 기판이 접속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여도 좋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0: 리셉터클 커넥터(전기 커넥터) 11: 시그널 콘택트
111: 접촉부 112: 단자부
121: 입벽부 122: 기판 접속부
12: 그라운드 콘택트 13: 하우징
20: 리셉터클 커넥터(전기 커넥터) 200: 기판
30: 리셉터클 커넥터(전기 커넥터) 31: 시그널 콘택트
311: 접촉부 312: 단자부
321: 입벽부 322: 기판 접속부
32: 그라운드 콘택트 33: 하우징

Claims (9)

  1. 기판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기판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갖는 시그널 콘택트와,
    상기 접촉부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입벽부, 및 상기 입벽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입벽부의 주위를 이음매 없이 둘러싸는 기판 접속부를 갖는 그라운드 콘택트와,
    상기 시그널 콘택트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그널 콘택트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를 보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벽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는, 상기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에 대해 걸림고정하는 돌기형상의 걸림고정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입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인 선단부로부터, 상기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입벽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향하여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1쌍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은 별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벽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볼록형상면의 압입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걸림고정부의 주위를 내포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상기 입벽부와 상기 기판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KR1020237022220A 2020-12-25 2021-11-24 전기 커넥터 KR20230116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7686A JP2022102760A (ja) 2020-12-25 2020-12-25 電気コネクタ
JPJP-P-2020-217686 2020-12-25
PCT/JP2021/042993 WO2022137957A1 (ja) 2020-12-25 2021-11-24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881A true KR20230116881A (ko) 2023-08-04

Family

ID=8215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20A KR20230116881A (ko) 2020-12-25 2021-11-2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102760A (ko)
KR (1) KR20230116881A (ko)
CN (1) CN116636098A (ko)
TW (1) TW202232831A (ko)
WO (1) WO20221379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1760A1 (ja)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面実装型コネクタ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270U (ko) * 1987-12-15 1989-10-25
WO2011013747A1 (ja) * 2009-07-31 2011-02-03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WO2017212863A1 (ja) * 2016-06-10 2017-1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588403B2 (ja) * 2016-08-09 2019-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WO2020085398A1 (ja) * 2018-10-26 2020-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7344150B2 (ja) * 2020-02-10 2023-09-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1760A1 (ja)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面実装型コネクタ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2760A (ja) 2022-07-07
TW202232831A (zh) 2022-08-16
CN116636098A (zh) 2023-08-22
WO2022137957A1 (ja)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921B1 (ko) 차동 데이터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JP3114071U (ja) 同軸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101974328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US9673568B2 (en) Plug connector
CN112913090B (zh) 同轴连接器装置
KR20170036529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JP2001297830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10132213A (ko) 커넥터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28145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CN109524848B (zh) 屏蔽连接器及其连接方法
KR20140049460A (ko)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WO2020105343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20130065438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multipart shield
CN115516715A (zh) 电连接器
KR20230116881A (ko) 전기 커넥터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WO2020153347A1 (ja) 信号ケーブル
JP6915392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9244769B (zh) 基板安装型同轴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30231003A1 (en) Cable assembly with better mechanical property
JP715174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5038703A (ja) 電線用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