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372A -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372A
KR20230116372A KR1020220013221A KR20220013221A KR20230116372A KR 20230116372 A KR20230116372 A KR 20230116372A KR 1020220013221 A KR1020220013221 A KR 1020220013221A KR 20220013221 A KR20220013221 A KR 20220013221A KR 20230116372 A KR20230116372 A KR 2023011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isk
accident
information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252B1 (ko
Inventor
박정훈
김준섭
이수근
권도희
Original Assignee
마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25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의 실시간 상황을 검지하는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과, 상기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으로부터 검지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과, 상기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을 통해 실시간 전달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과, 상기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을 통해 분석, 판단, 수치화된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전송하는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 및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을 통해 전달되는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사고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지,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이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정보로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 도로의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출력되는 도로 상황 및 그에 따른 사고 위험도를,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감속)으로 인해, 도로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생명 보호와 더불어, 차량의 원활한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integrating road traffic accident prevention}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감지,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도출하여,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주행 환경 정보 및 이를 고려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의 변화를 위해 알림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제공,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 사고율의 현저한 저하와, 도로의 원활한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교통 사고로 인해 많은 교통 사고 사망자 또는 부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많은 사회적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교통 사고는 크게 도로의 환경, 날씨, 운전자, 차량 등의 복합적 문제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교통 사고 위험이 높은 도로 구간에는 추가 안전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해당 구간의 도로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교통 사고 방지를 위하여, 기존에 많은 방안들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교통 사고가 발생된 현장에 대한 교통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교통 사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차량 운행 시의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운전자, 보행자 및 안전 관련 관계 부처를 위해 교통 사고 자료, 기상 관측 자료 및 사용자 정보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위험 지역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고 발생 이후, 데이터가 아닌 사전에 도로 상태를 판단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위험 지역임을 판단함으로써 교통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통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날씨 정보와 연계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하는 방안 역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도로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실시간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차량에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로,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업무의 불완전성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시간 도로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 수집하여,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하는 안내 서비스를 활성화시켜, 도로의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반응,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0548호의 "딥러닝 모델 기반의 도로 상태 판단을 통한 교통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공공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부, 공공 데이터를 기초로 기 설정된 각각의 날씨 유형에 대한 사고 위험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사고 위험 판단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도로 영역을 추출하고, 제1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도로 영역 내 도로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로 상태를 기반으로 위험 지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위험 지역 감지부 및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실시간 날씨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실시간 날씨에 상응하는 날씨 유형에 대한 사고 위험 정보 및 상기 위험 지역 리스트에 포함된 위험 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위험 지역 감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하는, 딥러닝 모델 기반의 도로 상태 판단을 통한 교통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43호의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으로,
공공 데이터 및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공공 데이터 및 상기 개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도로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도로 영상에 기초하여 도로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도로 상태에 기초하여 사고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사고발생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발생 가능성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자 장치로 신규 위험지역 리스트 및 상기 사고발생 가능성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사용자 장치로 상기 사고발생 가능성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 사고 발생을 예측하여, 교통 사로를 예방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과 기술분야가 동일하지만,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즉, 선행기술 1은,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날씨 유형에 따른 사고 위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기초로 판단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날씨 유형에 따른 사고 위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며,
선행기술 2는,
공공 데이터 및 개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 상태를 파악하고 사고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도로에 존재하는 블랙아이스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는,
구체적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사고 예측, 예방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문헌 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0548호 (2021.08.10. 등록) (문헌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43호 (2021.04.19.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실시간 도로 상황 및 이를 고려한 운전자의 행동 수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서,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특정 구간에 대한 도로 상황을 직관적으로 인지, 그에 맞는 행동 수정(구체적인 운행 조건 및 사고 위험을 통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 운행을 유도함은 물론, 실시간 도로 상황에 적합한 알림 서비스의 운영 가이드 제공으로, 교통관리센터의 관제 요원과, 현장 요원의 임무를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실시간 도로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운행 조건 및 사고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직관적으로 운전자에게 경고, 운전자의 행동 수정(감속)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고, 교통관리센터의 관제 요원 및 현장 요원이 용이하게 실시간 도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대응 방안을 빠르게 판단, 행동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의 실시간 상황을 검지하는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
상기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으로부터 검지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으로 전송하는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
상기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을 통해 실시간 전달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
상기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을 통해 분석, 판단, 수치화된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으로 전송하는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사고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으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지,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이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정보로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 도로의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은,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
상기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 및 도로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구간의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는 사고위험도판단부;
상기 사고위험도판단부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수치화하는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
상기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를 통해 수치화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으로, 그에 대응하는 상황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운영 시나리오를 생성, 활성화하는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
상기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로부터 생성, 활성화된 상황 메시지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으로 송신하여, 운영 시나리오대로 상황 메시지가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운영시나리오상황메시지송신부;로 구성되어,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에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되,
사고위험도판단부는,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1특정조건 만족 시, 평상 시의 도로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저위험도판단모듈;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2특정조건 만족 시, 도로의 위험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중위험도판단모듈;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3특정조건 만족 시, 도로의 비상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고위험도판단모듈;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는,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저위험도수치화모듈;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중위험도수치화모듈;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고위험도수치화모듈;으로 구성되어,
사고위험도판단부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차량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 및 저위험도수치화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 및 중위험도수치화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 및 고위험도수치화모듈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로 구성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도에 대응하는 정보가 직관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하여,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업무 지원의 대응성, 정확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도로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구간의 도로 상태 및 상황(사고의 유무)을 실시간 검지하고, 이를 토대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 수치화하여,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지, 행동 수정을 적극 활성화시켜, 안전 운행을 도모한다.
즉, 특정 구간의 도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검지하고, 검지된 실시간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해당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서, 그에 맞는 행동 수정(운전자에게 사고 위험도에 따른 구체적인 운행 조건을 제공)을 통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운전자의 안전 운행으로, 도로 교통 사고의 발생률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3. 실시간 도로 상황에 적합한 알림 서비스의 운영 가이드 제공으로, 교통관리센터의 관제 요원과, 현장 요원의 임무를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교통관리센터의 관제 요원 및 현장 요원이 용이하게 실시간 도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대응 방안, 즉,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가 해당 도로의 상황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도로 상황을 조치할 수 있는 경우, 빠르게 조치, 도로의 안정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서, 도로의 상황에 대한 후속 조치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상태(예를 들어, 블랙 아이스, 살얼음, 결빙, 적설, 습윤 등), 도로 기상 정보, 노면 온도 등의 정보와, 해당 특정 구역에서의 사고 발생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해당 특정 구역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해당 특정 구역의 도로 상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 직관적인 알림을 통해 운전자의 행동 수정이 적극적으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서,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 운전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통행을 유도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1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2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3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알림 서비스의 운영 사례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메커니즘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도 4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도 5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1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도 6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2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도 7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에 의해 분석, 판단되는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제 3특정조건의 조건표 및 상황 메시지의 출력 예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도 8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도 9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도 10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운영시나리오활성부의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에 의해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 예를, 도 11은,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알림 서비스의 운영 사례를 실시 예로, 도 12는,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메커니즘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의 실시간 상황을 검지하는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
상기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으로부터 검지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
상기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을 통해 실시간 전달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
상기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을 통해 분석, 판단, 수치화된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전송하는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을 통해 전달되는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사고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지,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이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정보로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 도로의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특정 구간의 도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검지하고, 이를 분석, 판단하여, 도로의 사고 위험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사고 위험도 및 그 상황에 맞는 상황 메시지를 해당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감속)의 변화를 유도하여,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일측에 위치,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기상 상태, 유고 정보를 실시간 검지, 수집하여,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에 의해 해당 특정 구간의 도로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은,
도로와의 비접촉식으로, 서로 다른 광학 필터가 장착된 3개의 광학 센서 및 각각의 광학 센서를 통해 동시에 수집되는 영상을 분석하는 기술을 기반하여, 블랙 아이스(도로 살얼음), 도로의 기상, 노면의 상태(수분, 질감, 온도) 등, 구체적인 도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검지,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은,
도로 상황 즉,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유고 정보를 검지하는 실시간도로상황검지부(110);
해당 구역의 도로의 도로 기상 상태를 검지하는 실시간도로기상상태검지부(120);로 구성되어,
차량 주행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전반적인 도로의 상황을 실시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은,
상기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으로부터 실시간 검지, 수집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은,
상기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을 통해 전송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해당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이 직관적으로 도로의 사고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가공, 수치화하여, 알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노면의 상태(살얼음, 적설, 습윤, 건조), 도로 기상 정보(안개), 노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사고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에,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은,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310);
상기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 및 도로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구간의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는 사고위험도판단부(330);
상기 사고위험도판단부(330)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수치화하는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
상기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를 통해 수치화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그에 대응하는 상황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운영 시나리오를 생성, 활성화하는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50);
상기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50)로부터 생성, 활성화된 상황 메시지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송신하여, 운영 시나리오대로 상황 메시지가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운영시나리오상황메시지송신부(360);로 구성되어,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에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되,
사고위험도판단부(330)는,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1특정조건(C1) 만족 시, 평상 시의 도로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저위험도판단모듈(331);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2특정조건(C2) 만족 시, 도로의 위험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중위험도판단모듈(332);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3특정조건(C3) 만족 시, 도로의 비상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고위험도판단모듈(333);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는,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331)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저위험도수치화모듈(341);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332)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중위험도수치화모듈(342);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333)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고위험도수치화모듈(343);으로 구성되어,
사고위험도판단부(330)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차량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50)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331) 및 저위험도수치화모듈(341)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1);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332) 및 중위험도수치화모듈(342)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2);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333) 및 고위험도수치화모듈(343)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3);로 구성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도에 대응하는 정보가 직관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하여,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업무 지원의 대응성, 정확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위험도판단모듈(331)의 제 1특정조건(C1)이라 함은,
노면 상태는 정상,
기상 상태는 정상,
노면 온도는 정상,
유고(사고의 유무) 정보는 없음으로,
모든 항목에서 정상 및 없음이 만족하는 조건이다.
이는, 차량이 통행함에 있어, 도로의 상황이 용이한 평상의 상태이다.
또한, 중위험도판단모듈(332)의 제 2특정조건(C2)이라 함은,
노면 상태는 습윤 또는 건조,
기상 상태는 정상 또는 안개,
노면 온도는 정상 또는 위험,
유고(사고의 유무) 정보 없음 또는 1차 사고 발생 있음으로,
해당 항목에서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조건이다.
이는, 차량이 통행함에 있어, 위험 상황으로 주의가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고위험도판단모듈(333)의 제 3특정조건(C3)이라 함은,
노면 상태 살얼음 또는 적설, 슬러시 또는 습윤 또는 건조,
기상 상태 정상 또는 안개 또는 짙은 안개,
노면 온도 정상 또는 위험,
유고(사고의 유무) 정보 없음 또는 1차 사고 발생 있음으로,
해당 항목에서 두 개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조건이다.
이는, 차량이 통행함에 있어, 비상 상황으로 요주의가 필요한 상태이다.
단, 노면 상태의 경우, 살얼음 또는 적설, 슬러시 시에는 이벤트가 하나만 발생하여도 제 3특정조건(C3)을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사고 위험도의 판단 기준은,
노면에 살얼음 발생, 결빙의 위험, 적설 발생, 습윤(젖은 노면), 안개 발생, 1차 사고 발생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된다.
또한,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1)은,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331)의 제 1특정조건(C1)이 만족할 경우,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로서,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메시지요소(351-1);
도로에 대한 다양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자입력메시지요소(351-2);
안전 운전을 위한 권고 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제 1안전운전안내메시지요소(351-3);
상기 제 1안전운전안내메시지요소(351-3)에 입력되는 정보 이외에, 안전 운전을 위한 또 다른 권고 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제 2안전운전안내메시지요소(351-4);로 구성되어,
특정 패턴으로 반복, 예를 들어,
상황메지시요소(351-1), 관리자입력메시지요소(351-2), 제 1안전운전안내메지시요소(351-3), 상황메시지요소(351-1), 관리자입력메시지요소(351-2), 제 2안전운전안내메지시요소(351-4)가 순차적으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반복, 출력되도록 하고,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2)은,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332)의 제 2특정조건(C2)이 만족할 경우,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로서,
도로의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1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352-1);
상기 제 1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352-1)에 대응하거나, 위험 상황에 대한 또 다른 정보 및 이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취해야 할 행동 수정 정보를 제공하는 제 2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352-2);로 구성되어,
특정 패턴으로 반복, 예를 들어,
제 1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352-1), 제 2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352-2)가 순차적으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반복, 출력되도록 하고,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3)은,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333)의 제 3특정조건(C3)이 만족할 경우, 활성화되는 운영 시나리오로서,
도로의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1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353-1);
상기 제 1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353-1)에 대응하거나, 비상 상황에 대한 또 다른 정보 및 이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취해야 할 행동 수정 정보를 제공하는 제 2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353-2);로 구성되어,
특정 패턴으로 반복, 예를 들어,
제 1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353-1), 제 2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353-2)가 순차적으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반복,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이 도로 상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로 상황에 맞게 행동 수정(감속)이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1),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2),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53)로부터 입력, 생성되는 도로에 대한 다양한 상황 메시지 및 안내 메시지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입력되거나, 실시간 입력되거나, 또는 도로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되어, 도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미끄럼 사고, 노면의 결빙 위험, 노면 습윤, 낮은 노면 온도, 적설, 살얼음의 발생과 관련하여, 실시간 구체적인 경고 메시지 및 이에 대응하는 차량의 구체적 운행 조건을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은,
상기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부터 실시간 분석, 판단되어, 사고 위험도로 가공, 수치화된 정보가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은,
도로의 일측에 위치, 설치되고, 상기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을 통해 전달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상황 메지시 및 안내, 경고, 권고 메시지가 출력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이 도로 상황 및 도로 상황에 맞는 대응 방법에 대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는,
도로의 일측에 위치, 설치되어, 도로 상황에 물리적으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면물리적후속처리장치수단(600);과,
상기 노면물리적후속처리장치수단(600)을 제어하는 노면후속처리장치제어수단(7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을 통해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의 패턴에 따라, 해당 특정 구역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면물리적후속처리장치수단(600)이 예를 들어, 자동 염수 분사 장치일 경우,
노면후속처리장치제어수단(700)을 통해, 교통관리센터에서 자동 염수 분사 장치를 제어, 염수를 분무시켜, 노면의 살얼음 및 적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기상 정보 및 실시간 획득, 수집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 상황에 맞는 상황 메시지 및 안내, 경고, 권고 메시지에 대한 운영 시나리오를 생성, 활성화하여,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사전에 도로의 컨디션을 인지하고,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분야, 도로의 상태를 회복시키는 후속 처리 장치 분야(예들 들어, 제설, 염수 분사 장비 등), 상기 센서와 후속 처리 장치의 제어와 더불어, 도로의 상태에 따라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제어 시스템 분야, 특히, 교통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관리센터에 적용, 도로의 상황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상태를 실시간 검지, 확인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도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관련 산업 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100: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
110: 실시간도로상황검지부 120: 실시간도로기상상태검지부
200: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
300: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 310: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
330: 사고위험도판단부
331: 저위험도판단모듈 332: 중위험도판단모듈
333: 고위험도판단모듈 340: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
341: 저위험도수치화모듈 342: 중위험도수치화모듈
343: 고위험도수치화모듈 350: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
351: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 351-1: 상황메시지요소
351-2: 관리자입력메시지요소
351-3: 제 1안전운전안내메시지요소
351-4: 제 2안전운전안내메시지요소
352: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
352-1: 제 1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
352-2: 제 2위험상황안내메시지요소
353: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
353-1: 제 1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
353-2: 제 2비상상황안내메시지요소
360: 운영시나리오상황메시지송신부 400: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
500: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
600: 노면물리적후속처리장치수단 700: 노면후속처리장치제어수단
C1: 제 1특정조건 C2: 제 2특정조건
C3: 제 3특정조건

Claims (2)

  1.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1)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의 실시간 상황을 검지하는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
    상기 도로상황복합검지장치수단(100)으로부터 검지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
    상기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을 통해 실시간 전달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
    상기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을 통해 분석, 판단, 수치화된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전송하는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고예방알림전달통신수단(400)을 통해 전달되는 도로의 사고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사고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지,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이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정보로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 도로의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도로교통사고판단예방시스템수단(300)은,
    도로상황전달통신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310);
    상기 도로상황검지정보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도로 상황 및 도로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구간의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는 사고위험도판단부(330);
    상기 사고위험도판단부(330)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수치화하는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
    상기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를 통해 수치화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그에 대응하는 상황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운영 시나리오를 생성, 활성화하는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50);
    상기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50)로부터 생성, 활성화된 상황 메시지를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 송신하여, 운영 시나리오대로 상황 메시지가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운영시나리오상황메시지송신부(360);로 구성되어,
    실시간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 수치화하여,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에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되,
    사고위험도판단부(330)는,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1특정조건(C1) 만족 시, 평상 시의 도로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저위험도판단모듈(331);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2특정조건(C2) 만족 시, 도로의 위험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중위험도판단모듈(332);
    도로의 노면 상태, 노면 온도, 도로 기상 정보, 유고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상황을 분석, 제 3특정조건(C3) 만족 시, 도로의 비상 상황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고위험도판단모듈(333);로 구성되어,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 판단하고,
    사고위험도수치화정의부(340)는,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331)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저위험도수치화모듈(341);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332)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중위험도수치화모듈(342);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333)로부터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가공, 수치화하는 고위험도수치화모듈(343);으로 구성되어,
    사고위험도판단부(330)로부터 분석, 판단된 사고 위험도를 차량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운영시나리오활성화부(370)는,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저위험도판단모듈(331) 및 저위험도수치화모듈(341)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평상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71);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중위험도판단모듈(332) 및 중위험도수치화모듈(342)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위험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72);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을 통해, 상기 고위험도판단모듈(333) 및 고위험도수치화모듈(343)로부터 생성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사고 위험도 및 사고 위험도에 따라 도로 상황에 맞게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활성화, 이가 운용되도록 하는 비상상황시운영시나리오활성화모듈(373);로 구성되어,
    특정 구간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도에 대응하는 정보가 직관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도로상황정보출력전광판수단(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행동 수정을 유도하여, 도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업무 지원의 대응성, 정확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013221A 2022-01-28 2022-01-28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58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21A KR102588252B1 (ko) 2022-01-28 2022-01-28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21A KR102588252B1 (ko) 2022-01-28 2022-01-28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72A true KR20230116372A (ko) 2023-08-04
KR102588252B1 KR102588252B1 (ko) 2023-10-13

Family

ID=8756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21A KR102588252B1 (ko) 2022-01-28 2022-01-28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940A (ja) * 2010-03-10 2011-09-22 Toshiba Corp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39736B1 (ko) * 2013-07-18 2013-12-10 주식회사 에드원 교통 안전 경고 시스템
KR102244143B1 (ko) 2020-12-17 2021-04-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90548B1 (ko) 2021-03-25 2021-08-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 모델 기반의 도로 상태 판단을 통한 교통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940A (ja) * 2010-03-10 2011-09-22 Toshiba Corp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39736B1 (ko) * 2013-07-18 2013-12-10 주식회사 에드원 교통 안전 경고 시스템
KR102244143B1 (ko) 2020-12-17 2021-04-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한 엣지 서버환경에서 블랙아이스, 포트홀, 안개 등을 포함하는 도로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측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사고발생 예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90548B1 (ko) 2021-03-25 2021-08-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 모델 기반의 도로 상태 판단을 통한 교통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252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0591B (zh) 车辆驾驶员辅助系统
KR101703001B1 (ko) 지능형 도로 안전 펜스 시스템
KR101601034B1 (ko) Dtg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 시스템
US11361556B2 (en)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JP6813300B2 (ja) 逆走車情報を保証する方法及び装置
FR3044143B1 (fr) Appareil electronique et procede d'assistance d'un pilote d'aeronef, programme d'ordinateur associe
KR102150034B1 (ko) 이동형 IoT 통합 기반 안전 운행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190236477A1 (en) Fiber sensing on roadside applications
KR100993205B1 (ko) 재난발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5362483A (zh) 用于识别道路交通中的潜在危险地点的方法和装置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6329B1 (ko)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23994B1 (ko) 고위험군 운전자 운행행태 분석시스템
US200602356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disruptive object and activation module for this system
CN110386088A (zh) 用于执行车辆差异分析的系统和方法
KR102453688B1 (ko) 교통사고의 잠재적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0306A (ko)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US20150213712A1 (en) Detecting traffic and accident data at road junctions
KR20230116372A (ko) 도로 교통 사고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CN110675633A (zh) 用于求取违法行驶行为的方法,控制单元和存储介质
KR20090042497A (ko) 안전시스템 및 안전서비스 제공방법
KR102504048B1 (ko) 실시간 도로 상황 사고 위험도 판단에 따른 사고 위험도 알림 시스템
KR102602387B1 (ko) 노면 마찰 계수 산출 정보 기반의 복합검지 시스템
KR20200043650A (ko) 도로시설물
KR102551566B1 (ko) 교통사고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