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430A -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 Google Patents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430A
KR20230115430A KR1020220011899A KR20220011899A KR20230115430A KR 20230115430 A KR20230115430 A KR 20230115430A KR 1020220011899 A KR1020220011899 A KR 1020220011899A KR 20220011899 A KR20220011899 A KR 20220011899A KR 20230115430 A KR20230115430 A KR 20230115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ntibacterial
composition
extra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빈
윤철현
최규성
우다연
김영경
강병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430A/ko
Publication of KR2023011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아리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에 의해 피부 pH를 조절하여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ANTIBACTERIAL AND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CHICKPEA WATER AND SKIN PACK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에 관한 것으로, 병아리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에 의해 피부 pH를 조절하여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의 세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표피는 3개의 피부 구조 중에서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한다.
한편,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다양한 유해 인자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나, 연령의 증가, 자외선의 영향, 외부 오염 물질 및 스트레스에 의해 점점 손상되어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피부가 외부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의 pH 균형, 수분 균형 등이 무너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 유해균이 증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외부 오염 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pH 균형, 수분 균형 등을 유지함을 통해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로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것이 항생물질(anti- biotics)이며, 항생물질이 항균작용에 미치게 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범위를 항균 스펙트럼 또는 항균역이라고 부른다. 항균 스펙트럼이 넓은 항생물질을 광역 스펙트럼 항생물질이라고 부르며, 구체적으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계 항생물질이나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항생물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항생물질의 등장에 의해 대부분의 세균 감염증이 극복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항균작용에 저항하는 약제 내성균의 출현과 만연은 치료에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항생 물질의 항균작용의 분자기구도 대부분의 것이 분명하게 밝혀져 있다. β-락탐계(β-lactam), 항생물질(penicillin계, 세팔로스포린계)의 항균작용은 세포벽 합성 저해에 의해, 클로람페니콜, macrolide계, 테트라사이클린계와 아미노배당계 항생물질은 단백질 합성 저해에 의해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Quinolone은 DNA 합성을, 리팜피신은 RNA 합성을, 설파(sulfa)제는 엽산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항균활성을 발휘한다.
하지만 최근 화학 물질들의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특히, 피부 및 화장품 분야에서 천연 항균물질을 이용한 많은 추출물이 발명되었으나 실질적 효능을 갖기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부작용의 문제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실질적 항균 효능을 갖는 천연물의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는 외부 오염 물질 등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피부 수분 균형이 깨지게 되고, 심해질 경우 피부의 각질 세포층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각질 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 표면으로부터 비늘 조각과 같이 각질 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Scale) 현상이 나타나는 등 피부가 건성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피부의 각질 세포층의 수분 함량을 적절히 유지시키기 위해,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지와 유사한 성분이나 NMF 성분, 또는 폴리올과 같은 보습제 등이 화장료 성분에 첨가되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올로서 수산화 기(-OH 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및 솔비톨 등이 첨가되었는데, 이들은 뛰어난 보습력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는 반면,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할 때 불쾌감을 느끼게 하고 상대 습도에 따라 피부 내 수분을 빼앗아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산화 기(-OH 기)가 2개인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은 첨가 시, 피부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다른 천연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및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등의 첨가물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피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천연물인 병아리콩을 이용하여 피부의 pH 균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팩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KR 10-2013-0031144 A
본 발명의 목적은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아리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에 의해 피부 pH를 조절하여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병아리콩물(aquafab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pH를 4 내지 6의 범위로 조절하여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피부 유해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팩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질병 또는 장애의 징후 또는 증상의 예방, 감소,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 유익한 결과와 같은, 바람직한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양을 “유효량”이라 한다. 따라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각 활성 성분의 총량은 유의미한 개체의 이익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유효량은 투여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유효량은 1 이상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투여 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병아리콩물(aquafab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병아리콩(Cicer arietinum)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이집트콩 또는 칙피(Check pea)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
특히, 상기 병아리콩은 고영양 식품으로 풍부한 단백질과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 여러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병아리콩은 무게 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특히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100g당 칼슘 함량이 105mg으로 우유의 칼슘 함량과 비슷하며, 비타민 C(4mg)와 철분(6.2mg) 또한 풍부하여 빈혈과 면역력 증진에 좋다. 마그네슘(115mg), 나트륨(24mg) 등 미네랄 성분의 함량이 높고, 아연이 함유되어 콜레스테롤 저하에 도움을 준다. 칼로리가 낮고 단백질 함량(19g)이 높아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최근 들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병아리콩물(aquafaba)은 상기 병아리콩을 삶고 난 후, 나오는 콩물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병아리콩물을 거품기로 휘저으면 머랭이나 생크림처럼 크림 질감으로 변해, 디저트류 반죽을 만들 때 쓰는 달걀 흰자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최근 비건 등 채식주의자들에게 달걀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체제로 주목받고 있다.
근본적으로 피부의 보습은 세포간 지질로 인하여, 각질세포가 잘 배열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리학적으로 필요한 물질들이 흡수되는 통로 역할을 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세포간 지질이 형성하는 라멜라 액정 구조는 외부로의 수분 손실을 막고 체내 수분을 잘 보유할 수 있어 피부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세포질 지질의 피부 장벽으로서의 기능이 손상되면 수분 손실이 높고, 수분 함유량이 부족하여 직접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situring Factors, NMF)가 존재하여 피부 수분보유를 돕는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등과 세안, 면도, 겨울철 실내난방 등과 더불어 오염된 대기에 노출되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피부는 쉽게 수분을 잃게 되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이를 막기 위해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켜 피부 보습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단순히 각질층에서의 수분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기저층의 각질 형성 세포가 각질층의 각질세포로 발달되는 분화과정이 정상적으로 행해져야 피부 수분 보유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짐에 따라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궁극적으로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상기 병아리콩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로서,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각질 및 기타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장벽 강화 및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pH를 4 내지 6의 범위로 조절하여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pH는 피부 표면을 기준으로 측정하는데, 이때 피부 표면을 덮고 있는 유분막의 상태에 따라 pH가 4 미만일 경우 산성 피부로 분류하며, 반대로 pH가 6을 초과하는 경우 알칼리성 피부로 분류한다. 이는 피지선과 땀샘에서 분비되는 저급 지방산, 아스코르브산, 젖산, 아미노산 등의 산 성질을 띄는 분비물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상기 산 성분의 분비물이 표면에 얼마나 분포되어 있는지에 따라 피부의 pH도 차이가 존재한다.
건강한 피부의 유, 수분 밸런스는 8:2 내외로, 피부에 20%의 수분과 70 내지 80 %의 유분막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이 경우, 피부의 pH는 4 내지 6 범위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pH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도 유지하여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피부에 증식할 수 있는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피부 유해균은 알칼리성 성질을 띄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기와 같은 약산성 조건의 피부 환경에서는 번식하지 못하는 바, 각종 트러블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피부의 유, 수분 밸런스가 붕괴되어 피부 pH 가 상기 약산성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부 유해균이 증식하여 각종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pH를 4 내지 6의 범위로 조절하여 최적의 피부 유, 수분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조성물은 피부의 pH를 5 내지 6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피부 유해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사람의 몸 안팎에는 정상 세균(normal flora)이 있어서 오히려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기도 한다. 우리 몸은 많은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어, 세균이 침입해도 위장과 소장에서 살균되고 핏속의 면역 세포가 감염을 막아준다. 그래서 세균이 바로 병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 정도의 세균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에이즈 환자나 암 환자처럼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세균이 치명적일 수 있다. 또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나 노약자, 항생제 과다 복용자에게 세균이 침입할 경우 바로 발병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정상인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종으로, 에나멜 손상의 초기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충치의 주요 원인균이다. 당을 분해하여, 불용성인 Dextran을 합성하며, Dextran은 Mutans를 비롯한 구강세균을 응집하여,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의 대사물질(산)에 의해 에나멜질 탈회, 충치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이며 구균으로, 병원에서 기회적 감염균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 MRSA, VRSA으로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로 지명되고 있다. 다양한 독소와 다양한 감염부위로 염증, 괴사를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페니실린에 민감한 그람양성균인데도 불구하고 내성을 갖는다. 성인의 20 내지 30%에서 코나 피부에서 확인이 되지만 대부분 경우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피부의 손상이나 부상을 통해 방어벽이 무너지게 되면서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농가진, 봉소염, 열상피부증후군, 유방염, 균혈증, 포도상구균성 패혈증, 포도상구균성 폐염, 심내막증 등과 관련이 있으며, 포도상 구균군으로 오는 식중독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탈수를 일으키는 장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구강 및 위장관에서 흔히 관찰되는 대표적인 진균으로, 정상인의 구강에서 50%, 분변에서 90% 발견된다. C. albicans는 대부분의 경우, 임상적으로 의의가 없는 비특이적 병변을 유발하나,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C. albicans는 위장관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인후, 식도에서 가장 흔히 병변을 일으키며, 대부분 무증상이다. 드물게 위, 십이지장에도 진균감염을 유발하나, 대부분 양성 혹은 악성 궤양에 이차적으로 전이 증식을 일으킨 병변으로, 임상적 의의가 적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흔히 '고초균'이라고도 하며 주로 토양 속에서 서식하고,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으로서 그람 양성(Gram positive)균이다. 호기성이며, 막대기 모양 또는 원통형 세균으로 그 크기와 길이는 다양하고 양 끝의 모양도 일정하지 않으며 편모나 포자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균체의 한끝에 1 내지 3개, 또는 균체의 주위에 다수의 편모가 있어 운동할 수 있는 것도 있고, 균체의 한 끝 또는 중앙부에 포자를 가지고 있는 간균도 있다. 세균의 포자는 세균 균체가 휴식 상태에 있는 부분으로 생활현상은 영위하지 않지만, 외부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강하다. 따라서 나쁜 생활조건 아래서도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적당한 환경에서는 발아해서 고유의 세균 균체로 된다. 즉, 세균의 포자는 세균의 종자와 같은 것이다. 또한 한국인에게는 청국장의 발효 미생물로서 관계가 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미생물 제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결막염, 홍채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는 사람이나 포유류의 창자 속에 상주하는 세균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장내세균과(腸內細菌科) 에셰리키아속(屬)에 속하는 세균을 말하며, 넓은 뜻으로는 시트로박터·클레브시엘라·엔테로박터 등을 포함한 3가지 대장균군(大腸菌群)을 말한다. 좁은 뜻의 대장균은 나비 0.5 내지 0.7μm, 길이 2 내지 3μm의 그람 음성인 간균(桿菌)으로 주모성(周毛性)이지만,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편모(鞭毛)가 없는 것도 있다. 보통의 배양기(培養基)에서 잘 발육하며, 평활형(平滑型)이고 불투명하며 백색의 군락(群落)을 형성한다. 대장균은 포도당, 젖당, 만니톨을 분해하며(때로는 설탕과 살리신도 분해한다), 산과 가스를 발생한다.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 주로 乳幼兒의 설사병의 원인이되는 일종의 균)으로서는 O-55, O-111, O-124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균은 포유동물의 장관(腸管) 내의 상재균(常在菌)으로서, 숙주(宿主)에 대해서는 의미있는 존재가치를 지니고 있다. 즉 전술한 대장균의 분해력은 장관 내에서 발휘되며, 비타민의 생성 등과도 관련된다. 또한 대장균군은 분변(糞便) 오염의 척도로서 음료수나 식품, 나아가서는 해수욕장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위생검사에 흔히 기준이 된다. 이것은 분변오염이 있으면 소화기계(消化器系)의 전염병균인 적리균(赤痢菌)이라든지 장티푸스균 외에도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과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의 존재, 또는 그러한 의심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장균군 자체는 유해균은 아니며, 장관내 이외의 자연계에서는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지표 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셔리키아 콜라이는 요도계감염, 방광염, 신장감염, 요도감염, 위장관염, 복막염, 맹장염, 폐렴, 수막염, 뼈나 관절에 감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호흡기 감염 외에도 균혈증, 골수염, 수막염 등의 감염을 일으키며, 가장 흔한 감염증은 피부 감염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여드름 발생 시 여드름의 약화에 영향을 주는 피부 상재균으로, 대표적인 피부 염증 질환의 하나인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병아리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작용으로 인해 피부의 pH를 약산성 범위인 5 내지 6의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조성물이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균주는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풀(centella asiatica extract)은 인도양의 열대지방에서 기원한 것으로 습하고 그늘진 해발 600 미터에서 이상적으로 자생하는 식물로서 gotu kola, indian pennywork 또는 tiger grass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병풀에는 Triterpenoids(사포닌)라 불리는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코글리코사이드(madecasosside), 아시아틱산(asiatic acid) 및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성분이 존재하며 이들은 인체의 콜라겐 합성을 조절 및 촉진하는 작용을 하고, 현관을 강화하여 혈행을 촉진하며,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는 양모밀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 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 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및 종기에 사용되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에도 사용한다. 어성초의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및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나아가,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 코르다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세틴, 루틴, 레이노우트린, 히페린, 미르센, 게라니알, 염화칼슘, 황산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세혈관 강화작용, 혈관 확장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편, 어성초에서의 항바이러스능 작용연구에 의하면, 어성초 전초에서 고온의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 한 추출물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어성초는 전통약용 식물로서 수종, 매독, 방광염, 자궁염, 폐염 및 중풍 등 광범위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어성초에 관한 연구로는 어성초 뿌리의 항균활성, 항종양, 항백혈병 및 고지혈 억제효과 등이 보고되었으며, 생리활성물질인 quercitrin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병아리콩물에 상기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천연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피막이풀 추출물 및 털중나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이풀(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IM)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사철 푸른 잎을 가진다. 큰잎피막이·큰피막이·선피막이·제주피막이 등이 있으며, 완전히 옆으로 기는제주피막이와 군데군데에서 가지가 벋어서 서는 종류가 있다. 잎은 지름이 3cm 이상인 큰잎 피막이가 있고, 그 밖에는 거의 3cm 이하이다. 잎의 밑 갈래 조각이 합쳐지는 것이 큰피막이이고 서로 떨어져서 겹쳐지지 않는 것이 선피막이이다. 잎은 둥글고 얕게 5 내지 9개로 갈라진다. 꽃은 여름에 피고 모여서 둥글게 되며 연한 녹색이다. 잎은 피를 멈추게 하는 데 사용하는데 피막이풀이란 지혈초라는 뜻이다. 마디에서는 뿌리가 내리고 각 마디에 비늘 같은 잎이 2개씩 있으며 비늘잎 겨드랑이에서 잎이 돋는 것이 다르다. 이뇨, 해독, 소종 등에 효능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와 신장염, 신장결석, 간염, 황달, 인후염 등을 다스리는 약으로 쓰며 백내장이나 악성종기의 치료약으로도 이용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털중나리(Lilium amabile)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가 50 내지 100cm까지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 내지 4cm, 지름 15 내지 25mm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 내지 7cm, 나비 3 내지 8mm이다. 둔한 녹색이고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꽃은 6 내지 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 내지 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 내지 7cm, 나비 10 내지 15mm이다. 뒤쪽으로 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는 약 10 내지 13mm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 내지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쓰이는 특징을 갖는다.
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상기 피막이풀 추출물 및 털중나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이들 유효성분의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아리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병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피막이풀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털중나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병아리콩물에 상기 천연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적절히 혼합되어,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및 피부 장벽 보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발림성 등 기호도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한 병풀 잎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병풀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병풀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 성제,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적 물질, 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 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기능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보습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에도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또는 미용액 등이 있다.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 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 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팩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용 팩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그 제형 또는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 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바르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거할 수 있는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팩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부용 팩의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인 병아리콩물에 천연 추출물로 병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피막이풀 추출물 및 털중나리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피부용 팩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첨가제들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적인 첨가제의 종류 및 중량 범위는 통상의 기술자가 피부의 보습 또는 항균 효과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종류 및 중량 범위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시로, 상기 피부용 팩은 제조과정에서 스크럽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아리콩물 제조에 이용된 삶은 콩을 믹서기로 간 분쇄물 및 흑설탕의 혼합물을 5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이후, 피부에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알로에 젤, 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피부 항산화 효과를 위해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모링가 오일 및 꿀의 혼합물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를 진행한 후, 카올린 클레이로 팩의 점도를 조절하고, 콤부차를 첨가하여 팩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피부용 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의하면 상기 병아리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에 의해 피부 pH를 조절하여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팩의 p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팩의 피부 보습효과 실험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병아리콩물의 제조
병아리콩을 100℃의 정제수에서 20분 간 삶아 콩물을 수득하고, 이를 5분 간 휘핑하여 머랭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천연 추출물의 제조
병풀의 잎을 수득한 후, 이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쇄물로 제조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병풀 3g을 15ml 튜브(tube)에 1mg을 넣고, 70% 에탄올(ethanol)을 10ml를 다시 넣었다. 시료를 rounded mixed machine에서 18 시간 동안 넣고 혼합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3000rpm, 10분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채취하였다. 이렇게 채취된 상층액에 포함된 에탄올(ethanol)을 40 ℃에서 증발하였다. 그리고 남은 시료는 동결 건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병풀 추출물(CE)은 병풀 원재료에서의 수득률이 15.5%로 추출하였다.
한편, 상기 병풀 추출물(C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어성초 추출물(TE), 피막이풀 추출물(HE) 및 털중나리 추출물(LE)을 제조하였다.
혼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병아리콩물, 병풀 추출물(CE), 어성초 추출물(TE), 피막이풀 추출물(HE) 및 털중나리 추출물(LE)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병아리콩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E - 15 20 30 40 50 30 30 30 30 30
TE - 15 20 30 40 50 30 30 30 30 30
HE - - - - - - 3 5 7.5 10 12
LE - - - - - - 3 5 7.5 10 12
(단위: 중량부)
실험예
피부 보습 효과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피부보습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피부질환이 없는 22 내지 33세의 남녀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각 대상들은 각 조성물의 적용 전에 실험부위를 물로 세정한 후 30분 동안 외적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실험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2 내지 24℃, 실내습도 45 내지 50%로 유지시킨동일한 장소에서 시행하였다. 상기 T1 내지 T11의 조성물을 각각 20μL씩 손등에 4Х 4cm2 로 도포하고 30분 간격으로(0분, 30분, 60분) 각 도포부위의 피부표면 전도도를 베포미터(Vapometer, delfin 사)로 측정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보습 효과의 비교를 위해,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히알루론산 1% 수용액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0분 30분 60분
대조군 7.0 2.8 1.3
T1 6.8 3.3 2.4
T2 7.0 3.4 2.5
T3 7.1 4.9 3.9
T4 6.9 5.0 4.4
T5 7.0 4.8 3.9
T6 7.1 3.5 2.9
T7 7.1 3.5 2.8
T8 7.0 5.9 5.1
T9 6.9 6.1 5.5
T10 7.0 5.8 5.1
T11 7.0 3.2 2.8
(단위 : g/m2hr)
상기 표 2를 참조할 때, T1 내지 T11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히알루론산에 비해 동등 내지 그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T3 내지 T5의 조성물 및 T8 내지 T10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보습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해당 조성물의 경우 피부 장벽 강화 및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력을 극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항균 효과 실험
KS 0693-1990 시험법에 의거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을 균주로 하여 1010 마리를 면, PET에 대해 접종하고 상기 조성물 T1 내지 T11를 500μg/ml 농도로 처리함에 따른 직물의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항균력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 : 미생물의 양 103 이하, ○ : 미생물의 양 104 이하, △ : 미생물의 양 105 이하)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 조성물은 피부 유해균에 대해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T3 내지 T5의 조성물 및 T8 내지 T10의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의 관능성 실험
상기 제조예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워시-오프 타입의 피부용 팩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발림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혼합 조성물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아리콩물 제조에 이용된 삶은 콩을 믹서기로 간 분쇄물 및 흑설탕의 혼합물 10 중량부, 알로에 젤, 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린의 혼합물 10 중량부,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모링가 오일 및 꿀의 혼합물 7 중량부, 카올린 클레이 5 중량부, 콤부차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워시-오프 타입의 피부용 팩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의 혼합 조성물 T1을 포함하여 제조된 피부용 팩의 pH를 화장품 원료 기준 pH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pH 5.97이었다(도 1).
한편, 20, 30 대 여성 15 명에게 11개의 제품을 제공한 후, 피부 발림성 및 흡수성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요청하였다.
1 내지 10 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피부 발림성 및 흡수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발림성 3 2 5 6 5 2 2 8 9 7 1
흡수성 2 3 5 5 6 2 3 7 9 8 2
상기 관능 평가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은 발림성 및 피부 흡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3 내지 T5 및 T8 내지 T10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의 경우, 상기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의 피부 pH 조절 효과 실험
50 내지 70세의 여성 5명의 얼굴 부위를 각각 여덟 구역으로 나누어 상기 실험예에서 제조된 피부용 팩 및 대조군 팩을 각각 도포한 뒤, 12 시간 후 피부 pH 변화를 Skin-pH-meter PH9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 팩은 정제수(66.35 중량%), 글루코노락톤(5.0 중량%), 락토바이오닉산(5.0 중량%), 아르기닌(2.0 중량%), 세테아릴알코올/코코-글루코사이드(3.0 중량%), 미리스틸알코올/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1.0 중량%), 스쿠알란(4.0 중량 %),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3.0 중량 %), 알란토인(0.1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0.0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8.0 중량%),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0.5 중량%) 및 1, 2-헥산디올(2.0 중량%)을 포함하여 제조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초기값(pH) 대조군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피험자 1 6.6 6.3 4.9 4.7 5.9 5.8 5.9 4.9 4.1 5.6 5.5 5.5 4.8
피험자 2 6.5 6.4 5.0 4.9 5.7 5.9 5.8 4.8 4.8 5.5 5.5 5.5 4.7
피험자 3 6.7 6.5 4.9 4.8 5.7 5.8 5.7 5.0 4.3 5.4 5.6 5.5 4.5
피험자 4 6.6 6.2 4.8 5.0 5.7 5.8 5.8 4.5 4.4 5.5 5.5 5.4 4.8
피험자 5 6.5 6.1 5.0 4.7 5.8 5.7 5.8 4.4 4.5 5.4 5.5 5.5 4.7
상기 표 5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의 경우, 피부 pH를 약산성(pH 4 내지 6) 범위로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T3 내지 T5 및 T8 내지 T10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의 경우, 피부 pH를 5 내지 6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피부용 팩은 피부를 약산성 조건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알칼리 조건에서 증식할 수 있는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병아리콩물(aquafab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pH를 4 내지 6의 범위로 조절하여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해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팩.
KR1020220011899A 2022-01-27 2022-01-27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KR20230115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99A KR20230115430A (ko) 2022-01-27 2022-01-27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99A KR20230115430A (ko) 2022-01-27 2022-01-27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30A true KR20230115430A (ko) 2023-08-03

Family

ID=8756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899A KR20230115430A (ko) 2022-01-27 2022-01-27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4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144A (ko) 2011-09-20 2013-03-28 양순섭 죽순을 이용한 피부용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144A (ko) 2011-09-20 2013-03-28 양순섭 죽순을 이용한 피부용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014B1 (ko)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02678A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US10463703B2 (en) Fermented composition for relie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KR101977908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50206B1 (ko) 광합성세균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제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1924822B1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20230115430A (ko) 병아리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팩
KR102346809B1 (ko) 소금 및 아시아홀리오크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CN106726767A (zh) 一种控油祛痘洗面膏及其制备方法
KR102006661B1 (ko) 실버위드, 히더, 홉, 멀레인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44460A (zh) 一种痤疮肌肤专用保湿祛痘面霜及其制备方法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