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170A - 높이조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170A
KR20230115170A KR1020220011858A KR20220011858A KR20230115170A KR 20230115170 A KR20230115170 A KR 20230115170A KR 1020220011858 A KR1020220011858 A KR 1020220011858A KR 20220011858 A KR20220011858 A KR 20220011858A KR 20230115170 A KR20230115170 A KR 20230115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ousing
pin
cam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945B1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주)퍼니올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주)퍼니올팩토리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22001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94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2Telescopic with two telescopic part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홀이 복수 형성된 상부기둥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기둥의 위치를 고정하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기둥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절홀과 일치할 수 있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조절홀에 걸릴 수 있는 걸림핀,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인출된 상기 걸림핀이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인입 탄성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의 일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핀이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고 완충 지지하는 인출 탄성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캠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HEIGHT REGULA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급 등에서 사용되는 책걸상은 그 높이가 제조 당시부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신체 사이즈에 책걸상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최근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맞게 책걸상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도 9는 종래 높이조절 장치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구조의 상부기둥(12)과 하부기둥(13)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기둥(12)의 위치 조절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부기둥(12)에는 조절홀(12a)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홀(12a)과 일치할 수 있는 관통홀(13a)이 형성된 하부기둥(13)의 부분에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200)가 결합되어 있다.
높이조절 고정 장치(200)는 하부기둥(13)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싱(2), 케이싱(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통홀(13a)과 일치하는 선택된 어느 한 조절홀(12a)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핀(3), 걸림핀(3)이 조절홀(12a)에서 이탈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인출 탄성부재(6) 및 케이싱(2)에 힌지핀(8)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걸림핀(3)이 조절홀(12a)에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캠레버(7)를 포함한다.
캠레버(7)가 힌지핀(8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캠레버(7)의 캠부(7a)는 걸림핀(3)을 직접 가압하게 된다. 이때 캠레버(7)는 걸림핀(3)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13a)을 통해 절홀(12a)과 일치한 상태에서만 회전이 가능하였다. 이에 걸림핀(3)과 조절홀(12a)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림핀(3)이 전진하지 못하므로 캠레버(7)를 작동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걸림핀(3)과 조절홀(12a)을 정확하게 일치시킨 뒤 캠레버(7)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부기둥(12)이 하부기둥(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걸림핀(3)이 케이싱(2)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보이지 않아 걸림핀(3)과 조절홀(12a)을 감으로 일치시켜야 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080호 (2013.07.09.)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94565호 (2005.08.26.)
본 발명은 상부기둥의 조절홀과 걸림핀이 일치하지 않아도 캠레버의 작동이 가능한 높이조절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고정 장치는 조절홀이 복수 형성된 상부기둥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기둥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기둥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절홀과 일치할 수 있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조절홀에 걸릴 수 있는 걸림핀,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인출된 상기 걸림핀이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인입 탄성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의 일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핀이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고 완충 지지하는 인출 탄성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캠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둘레에 상기 인출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핀머리, 그리고 상기 핀머리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레버는 상기 케이싱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와 접하는 캠부를 가지는 캠몸체, 그리고 상기 캠몸체에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캠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레버는 상기 캠돌출부에서 돌출된 가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압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편과 상기 가압홈의 둘레는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가압편이 상기 가압홈에 삽입될 때 상기 손잡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편이 상기 가압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면 상기 인출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가하여 인출시키되, 상기 조절홀과 상기 인출홀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걸림핀은 상기 상부기둥의 외부둘레와 접하여 인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인출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걸림핀을 완충지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홀과 관통홀이 일치하지 않아도 캠레버의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탄성부재와 인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타면은 캠부와 항상 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캠레버와 하우징의 사이에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고정 장치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 장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케이싱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일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캠레버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높이조절 고정 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고정 장치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 장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케이싱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내지 도 7은 도 1의 높이조절 고정 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높이조절 고정 장치(100)는 책상(1)의 상판(11)을 지지하는 다리에 설치되어 길이가 조절된 다리를 고정한다. 여기서 다리는 상부기둥(12)과 하부기둥(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기둥(12)은 하부기둥(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부기둥(12)에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조절홀(1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하부기둥(13)에는 상부기둥(12)을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 고정 장치(100)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기둥(12)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조절홀(12a)이 높이조절 고정 장치(100)와 일치하면 상부기둥(12)은 고정된다.
도 2를 더 참고하면, 높이조절 고정 장치(100)는 하부기둥(13)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싱(20), 케이싱(20)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조절홀(12a)에 걸릴 수 있는 걸림핀(30), 인출된 걸림핀(30)이 케이싱(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인입 탄성부재(40), 케이싱(20)의 내부에 배치되어 걸림핀(30)의 일부분과 중첩된 하우징(50), 걸림핀(30)이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고 걸림핀(30)을 완충지지할 수 있는 인출 탄성부재(60) 및 하우징(50)을 가합하여 걸림핀(30)이 인출되도록 하는 캠레버(70)를 포함하며 상부기둥(12)의 조절홀(12a)과 걸림핀(30)이 일치하지 않아도 캠레버(70)의 작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기둥(13)의 외부 둘레에는 케이싱(20)이 장착되는 평면의 장착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면(13a)에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절홀(12a)과 일치할 수 있는 관통홀(1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더 참고하면, 케이싱(20)은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장착면(13a)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케이싱(20)의 내부에는 작동공간(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안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23)은 작동공간(21)과 구획되어 있다. 작동공간(21)은 케이싱(20)의 타면으로 개방되면서 안착홈(23)과 작동공간(21)은 케이싱(20)의 타면에서 연결되어 있다. 케이싱(20)의 일면에는 작동공간(21)과 관통홀(13b)을 연결하는 인출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0)의 타측에서 작동공간(21)의 개방부를 이루고 있는 부분에는 케이싱(20)의 폭 방향(X)을 따라 핀홀(24)이 형성되어 있다. 핀홀(24)은 작동공간(21)과 연결되어 있다.
도 4를 더 참고하면, 하우징(50)은 작동공간(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일면으로 개방된 핀홈(5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0)의 타면에는 제1 방향(X) 따라 가압홈(5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핀(30)은 핀머리(31), 그리고 핀부재(32)를 포함하며 케이싱(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일부분이 케이싱(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조절홀(12a)에 삽입될 수 있다.
핀머리(31)는 핀홈(51)에 위치하여 직선이동 할 수 있다. 핀머리(31)의 내부에는 일면으로 개방된 삽입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핀머리(31)의 일측 외부 둘레에는 돌출된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3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걸림턱(3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도 있다.
핀부재(3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 지름이 핀머리(31)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다. 핀부재(32)는 일측이 인출홀(21a)과 관통홀(13b)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측이 삽입홈(312)에 분리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핀머리(31)와 핀부재(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30)을 이루고 있는 핀머리(31)와 핀부재(32)는 외력에 의해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핀부재(32)의 일측은 조절홀(12a)과 관통홀(13b)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부기둥(12)의 외부 둘레와 접할 수 있고 조절홀(12a)과 관통홀(13b)이 일치하면 조절홀(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인출 탄성부재(60)는 핀홈(51)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 탄성부재(60)의 일단은 걸림턱(311)과 접하고 있으며 타단은 핀홈(51)의 내부 측면과 접하고 있다. 인출 탄성부재(60)는 하우징(50)에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턱(311)에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핀(30)이 작동공간(21)에서 인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걸림핀(30)이 상부기둥(12)의 외부 둘레와 접하면 인출 탄성부재(60)는 걸림턱(311)과 내부 측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걸림핀(30)을 탄성지지 할 수 있다.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조절홀(12a)과 걸림핀(30)이 일치하면 인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핀(30)은 조절홀(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인입 탄성부재(40)는 핀부재(32)의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 탄성부재(40)의 일단은 작동공간(21)의 일면과 접하고 있으며 타단은 핀머리(31)와 접하고 있다. 인입 탄성부재(40)는 걸림핀(30)이 케이싱(20)에서 인출될 때 압축될 수 있다. 하우징(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인입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핀(30)은 조절홀(12a)에서 벗어나 케이싱(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인입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는 인출 탄성부재(60)의 탄성계수 보다 작다. 이에 인입 탄성부재(40)는 인출 탄성부재(60)가 핀머리(31)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고하면, 캠레버(70)는 캠몸체(71), 그리고 손잡이(72)를 포함하며 케이싱(20)에 결합되어 하우징(5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캠몸체(71)는 케이싱(20)의 타측에 위치하여 작동공간(21)의 개방부에 위치하고 있다. 캠몸체(71)에는 핀홀(24)과 일치하는 핀관통홀(71a)이 형성되어 있다. 캠몸체(71)는 핀홀(24)과 핀관통홀(71a)을 관통하는 힌지핀(8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핀관통홀(71a)과 힌지핀(80)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캠몸체(71)는 힌지핀(8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핀홀(24)의 중심을 기준으로 캠몸체(71)의 일측에는 곡면의 캠부(711)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711)에는 핀홀(24)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돌출된 캠돌출부(712)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711)에는 하우징(50)의 타면이 인입 탄성부재(40)와 인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핀홀(24)의 중심에서 가장 멀리 돌출된 캠돌출부(712)의 부분에는 가압편(712a)이 캠몸체(7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712a)은 캠돌출부(712)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712a)은 가압홈(5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712a)은 가압홈(5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편(712a)이 가압홈(52)에 삽입되면 캠레버(70)는 하우징(50)에 외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때 하우징(50)과 캠레버(70)는 면접촉상태를 이룬다. 면접촉으로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캠레버(70)는 하우징(50)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캠부(711)가 하우징(50)을 가압하지 않고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711)의 곡면과 하우징(50)의 타면은 선접촉을 이룬다.
손잡이(72)는 캠몸체(71)의 타측 하부에서 캠부(711)가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72)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72)의 일면에는 작동공간(21)과 안착홈(23)을 구획하는 격벽(22)과 접할 수 있는 스토퍼(721)가 돌출되어 있다.
캠부(711)가 하우징(50)과 선접촉하고 있을 때 손잡이(72)는 케이싱(20)의 타측에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가압편(712a)이 가압홈(52)에 삽입되어 하우징(50)을 가압하고 있을 때에는 안착홈(23)에 위치하며 스토퍼(721)는 격벽(22)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높이조절 고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캠부(711)와 하우징(50)이 선 접촉을 하고 있으며 가압편(712a)과 손잡이(72)는 케이싱(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캠부(711)는 하우징(50)과 선접촉하고 있으며 하우징(50)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 있다. 핀부재(32)는 인입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홀(13b)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우징(50)은 인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캠부(71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기둥(12)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책상(1)의 상판(11) 위치를 바닥면을 기준으로 높이기 위해 상판(11)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때 상부기둥(12)은 하부기둥(13)에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책상(1)의 상판(11)의 위치를 내리기 위해 상판(11)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상부기둥(12)은 하부기둥(13)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부기둥(12)의 이동으로 조절홀(12a)이 관통홀(13b)과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싱(20)에서 노출된 손잡이(72)를 누르면 캠레버(70)는 힌지핀(80)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캠부(711)는 하우징(50)을 점진적으로 가압하여 케이싱(2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손잡이(72)가 안착홈(23)에 위치하고 스토퍼(721)가 격벽(22)과 접하면 캠레버(70)는 힌지핀(80)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손잡이(72)가 안착홈(23)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편(712a)은 가압홈(52)에 삽입되어 캠레버(70)와 하우징(50)은 면접촉을 하고 있다.
한편, 이동하는 하우징(50)은 인출 탄성부재(60)를 통해 걸림핀(30)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시킨다. 조절홀(12a)이 관통홀(13b)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핀부재(32)는 상부기둥(12)의 외부 둘레와 접한다. 걸림핀(30)은 이동하지 않게 되며 인출 탄성부재(60)는 걸림턱(311)과 핀홈(51)의 내부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걸림핀(30)을 탄성지지하고 있다. 인입 탄성부재(40)는 핀머리(31)의 작동공간(21)의 일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핀부재(32)가 상부기둥(12)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기둥(12)은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부기둥(12)의 이동으로 조절홀(12a)과 관통홀(13b)이 일치하면 걸림핀(30)은 인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조절홀(12a)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이대 인입 탄성부재(40)는 핀머리(31)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다. 핀부재(32)가 조절홀(12a)에 삽입되면서 상부기둥(12)은 하부기둥(1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상판(11)의 높이 위치는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홀(12a)과 관통홀(13b)이 일치하지 않아도 캠레버(70)의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고정 장치가 책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높이조절 고정 장치의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제1 부재에서 인출되는 제2 부재를 고정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책상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물에 적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책상 11: 상판
12: 상부기둥 12a: 조절홀
13: 하부기둥 13a: 장착면
13b: 관통홀
100: 높이조절 고정 장치
20: 케이싱 21: 작동공간
21a: 인출홀 22: 격벽
23: 안착홈 24: 핀홀
30: 걸림핀 31: 핀머리
311: 걸림턱 312: 삽입홈
32: 핀부재 40: 인입 탄성부재
50: 하우징 51: 핀홈
52: 가압홈 60: 인출 탄성부재
70: 캠레버 71: 캠몸체
71a: 핀관통홀 711: 캠부
712: 캠돌출부 712a: 가압편
72: 손잡이 721: 스토퍼
80: 힌지핀

Claims (6)

  1. 조절홀이 복수 형성된 상부기둥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기둥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기둥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절홀과 일치할 수 있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조절홀에 걸릴 수 있는 걸림핀,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인출된 상기 걸림핀이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인입 탄성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의 일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핀이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고 완충 지지하는 인출 탄성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캠레버
    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둘레에 상기 인출 탄성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핀머리, 그리고
    상기 핀머리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핀부재
    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캠레버는
    상기 케이싱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와 접하는 캠부를 가지는 캠몸체, 그리고
    상기 캠몸체에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캠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캠레버는 상기 캠돌출부에서 돌출된 가압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압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편과 상기 가압홈의 둘레는 면 접촉하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가압편이 상기 가압홈에 삽입될 때 상기 손잡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가압편이 상기 가압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면 상기 인출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가하여 인출시키되, 상기 조절홀과 상기 인출홀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걸림핀은 상기 상부기둥의 외부둘레와 접하여 인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인출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걸림핀을 완충지지하는
    높이조절 고정 장치.
KR1020220011858A 2022-01-26 2022-01-26 높이조절 고정 장치 KR10267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58A KR102673945B1 (ko) 2022-01-26 2022-01-26 높이조절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58A KR102673945B1 (ko) 2022-01-26 2022-01-26 높이조절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70A true KR20230115170A (ko) 2023-08-02
KR102673945B1 KR102673945B1 (ko) 2024-06-11

Family

ID=8756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858A KR102673945B1 (ko) 2022-01-26 2022-01-26 높이조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65Y1 (ko) 2005-05-27 2005-09-05 김영기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286080B1 (ko) 2011-05-16 2013-07-15 김두철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162864B1 (ko) * 2020-04-29 2020-10-07 영남강철 주식회사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65Y1 (ko) 2005-05-27 2005-09-05 김영기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286080B1 (ko) 2011-05-16 2013-07-15 김두철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162864B1 (ko) * 2020-04-29 2020-10-07 영남강철 주식회사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945B1 (ko) 202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862B1 (en) Mounting socket for use with upholstered furniture
US7980519B2 (en) Telescopic adjustable positioning device
US20100038950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US7011371B1 (en) Armrest assembly having a height adjustable function
US20110248542A1 (en) Chair Armrest Assembly Having Adjustable Height
US8025016B2 (en) Laptop computer desk
KR20230115170A (ko) 높이조절 고정 장치
KR10224398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20170065914A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US7025416B1 (en) Resin chair with removable desk top
KR20210001472U (ko) 휴대용 독서대
KR101913665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3816732B2 (ja) 椅子
KR200177055Y1 (ko) 가구용 높이 조절 기구
KR101187485B1 (ko)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KR200258564Y1 (ko) 학습용 가구의 지지각 길이 조절장치
CN220587775U (zh) 一种嵌入式坐姿矫正器
KR10115928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44749Y1 (ko) 책상용 사무 보조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