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485B1 -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485B1
KR101187485B1 KR1020090087735A KR20090087735A KR101187485B1 KR 101187485 B1 KR101187485 B1 KR 101187485B1 KR 1020090087735 A KR1020090087735 A KR 1020090087735A KR 20090087735 A KR20090087735 A KR 20090087735A KR 101187485 B1 KR101187485 B1 KR 10118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support member
support
adjustm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882A (ko
Inventor
이창섭
김동남
윤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엘티
Priority to KR102009008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48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359 priority patent/WO2011034356A2/ko
Publication of KR2011002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독서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독서대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압착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독서대, 회전, 각도

Description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READING STAN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REOF}
본 발명은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책상 등과 같은 외부 물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는 책을 일정한 각도로 세워놓고 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편하게 책을 볼 수 있게 하여 목관절 및 허리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책을 장시간 보아야 하는 학생 또는 수험생 등에 의해 독서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독서대는 일반적으로 책상에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독서대는 책상에 고정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칸막이가 없는 책상에서 사용하는 데에는 큰 불편함이 있었다. 즉, 책상의 전면에 칸막이가 없는 경우 종래의 독서대를 지지할 수 없어서 독서대 및 책이 책상에서 떨어질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실 또는 강의실에서 사용되는 책상과 같이 크기가 작고 칸막이가 없는 책상에는, 종래의 독서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책을 장시간 읽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책상 등에 고정할 수 있는 독서대가 계발되었지만, 책상에 대해서 자유롭게 탈부착 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하는 힘이 약하다는 것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독서대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서 책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독서대는 다양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이 용이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 다양한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책상 등과 같은 외부 물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압착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 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독서대를 외부 물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낮이조절부; 및 상기 조절나사를 지지하고 상기 압착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 다양한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책상 등과 같은 외부 물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 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 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의 전면(前面)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독서대(100)의 배면(背面)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독서대(100)에서 지지부재(13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책(도시하지 않음)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120)와, 거치부재(120)를 일정한 각도로 지지하는 지지부재(130)와,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부재(180)와, 독서대(100)를 책상(도시하지 않음) 등의 모서리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거치부재(120)의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조절부재(180)의 손잡이(188)를 당긴 후 거치부재(120)를 회전시키고, 거치부재(120)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하는 경우 손잡이(188)를 놓으면 거치부재(120)의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독서대(10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절부재(180)에 구비된 삽입공(184)에 지지부재(130) 에 구비된 조절돌기(148)가 삽입됨으로써 거치부재(120)가 고정되기 때문에, 거치부재(120)를 견고하기 지지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고정부재(210)에 대해 지지부재(130)가 착탈 가능하게, 나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부재(130)에 대해 거치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자유도(Degree of Freedom) 2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고정부재(210)와 지지부재(130) 간의 각도 및 지지부재(130)와 거치부재(120) 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독서대를 다양한 각도로 변형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고정부재(210)를 이용하여 책상 등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칸막이가 없는 책상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에서, 거치부재(12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전면 하단부에는 전면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돌출부(122)는 거치부재(120)에 거치되는 책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면돌출부(122)의 하단부에는 고무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책상 면과 접하게 되는 거치부재(1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120)의 배면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24)에는 고정부재(210)의 압착부(226)에 형성된 삽입돌기(232)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거치부재(120)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책상 면에 대해서 최대의 각도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책상에 고정된 독서대(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치부재(1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거치부재(120)를 밀게 되면 삽입돌기(232)가 삽입홈(124)에 삽입되면서 거치부재(120)가 최대 각도로 세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거치부재(12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재(120)의 배면에 삽입홈(124)이 형성되어 있고 압착부(226)의 전방에 삽입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의 위치가 상호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재(120)가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재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등변 사다리꼴 등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재(130)는 거치부재(120)와 결합하여 거치부재(120)를 일정한 각도로 지지하는 것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지지부재(132) 및 제2지지부재(152)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132)는, 제2지지부재(152)와 결합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몸통부(134)와, 몸통부(134)에서 상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된 상부연장부(146) 및 하부연장부(138)를 각각 포함한다.
몸통부(134)는, 제2지지부재(152)와 결합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삽입홈(136)을 구비한다. 삽입홈(136)에는 제2지지부재(152)의 삽입부(154)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제1지지부재(132) 및 제2지지부재(152)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독서대(100)를 분리하기 위해서, 제2지지부재(152)의 삽입부(154)를 제1지지 부재(132)의 삽입홈(136)에서 빼내게 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를 고정부재(210)의 압착부(226)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하부연장부(138)는 몸통부(134)의 일단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부연장부(138)의 일 단부에는 하부힌지(14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힌지(142)는 고정부재(210)의 압착부(226)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삽입홈(22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연장부(146)는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8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몸통부(134)의 중앙 부분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부연장부(146)에는 조절돌기(148,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연장부(146)는 고정힌지(170)와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152)는, 제1지지부재(132)의 몸통부(134)와 결합하는 삽입부(154)와, 삽입부(154)에서 하향 돌출되는 하부연장부(156)를 포함한다.
삽입부(154)는 제1지지부재(132)의 몸통부(134)에 억지 끼워 맞춤(press-fitting)에 의해 삽입된다. 그리고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54)의 이면에는 버튼(16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버튼(164)을 누르게 되면 걸쇠(도시하지 않음)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154)가 몸통부(134)에서 자동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하부연장부(156)는 제1지지부재(132)의 하부연장부(138)와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단부에 형성된 하부힌지(158)는 고정부재(210)의 압착부(2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32)의 하부연장부(138) 및 제2지지부재(152)의 하부연장부(156)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30)는 고정부재(210)의 압착부(226)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재(120)의 이면에는 고정힌지(170)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힌지(170)는 제1지지부재(132)의 상부연장부(146)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부재(120)가 회전하는 경우 지지부재(130)에 대해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부연장부(146)의 일측은 고정힌지(17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조절부재(18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거치부재(120)는 상부연장부(146)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힌지(170)의 일 측에는 지지돌출부(175)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돌출부(175)는 조절부재(180)의 덮개부(19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거치부재(120)의 배면에 대해 지지돌출부(175)와 덮개부(192)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거치부(120)가 도 9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책상면에 대해 최소 각도로 세워지는 경우, 지지돌출부(175)와 덮개부(192)는 책상면과 접하면서 좌우 양측에서 거치부재(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의 조절부재(18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180)의 삽입공(184)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지지부재(130)에 형성된 조절돌기(148)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손잡이(188)를 당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손잡이(188)를 당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은 조절돌기(148)가 삽입공(184) 및 이동홈(186)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10에서는 조절부재(18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덮개부(192)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180)는 거치부재(120)의 배면에 결합되어 거치부재(120)와 일체로 회전하고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182)와, 슬라이드부(182)를 커버하는 덮개부(192, 도 2 내지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조절부재(180)는 거치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연결하여 이들 사이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부(182)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삽입공(184)과, 삽입공(184)과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호(arc) 형상의 이동홈(186)과, 슬라이드부(182)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손잡이(188)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182)는,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120)의 배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82)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지지부재(132)에 형성된 조절돌기(148)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슬라이드부(182)는 도 8에서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조절돌기(148)로부터 분리되 고, 이때 거치부재(120)의 회전이 가능하여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부(182)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84)을 갖는다. 삽입공(184)에는 조절돌기(148)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슬라이드부(182) 및 거치부재(120)의 회전이 제한되어서 거치부재(1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 개의 삽입공(184)이 최소한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조절돌기(148)가 삽입공(148)에 위치하는 경우 조절돌기(148)는 삽입공(148)에 의해 구속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드부(182) 및 거치부재(120)는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동홈(186)은 삽입공(184)의 단부에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동홈(186)에 삽입된 조절돌기(148)는 이동홈(186)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조절돌기(148)는 이동홈(186)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홈(186)의 단부에 위치하는데, 이때는 거치부재(120)가 책상 면 등과 최소의 각도를 가지고 세워지는 경우, 즉 거의 눕혀진 상태에 해당한다.
손잡이(188)는 슬라이드부(188)에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188)는 슬라이드부(188)의 직선 이동 그리고 슬라이드부(188) 및 거치부재(1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손잡이(188)를 잡고 우측 방향으로 당겨서 삽입공(184) 또는 이동홈(186)으로부터 조절돌기(148)를 분리한 후, 슬라이드부(182) 및 거치부재(12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188)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부(188)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절돌기(148)가 다른 삽입공(184) 또는 이동홈(186)에 삽입되어 설정된 각도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절부재(180)의 덮개부(192)는 슬라이드부(182)를 커버하여 슬라이드부(182) 및 조절돌기(148)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덮개부(192)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120)가 책상 면과 최소의 각도로 세워지는 경우 지지돌출부(175)와 함께 책상 면에 대해 거치부재(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거치부재(120)가 세워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손잡이(188)를 잡고 우측으로 당겨서 조절돌기(148)를 삽입공(184) 또는 이동홈(186)에서 분리한다. 손잡이(188)를 당기게 되면 슬라이드부(18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슬라이드부(182)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탄성 저항력이 작용하게 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절돌기(148)를 삽입공(184) 또는 이동홈(186)에서 분리한 후, 사용자는 손잡이(188)를 계속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면, 거치부재(120) 및 슬라이드부(18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88)를 놓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182)가 조절돌기(14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절돌기(148)는 삽입공(184) 또는 이동홈(186)에 삽입된다.
조절돌기(148)가 다수 개의 삽입공(184)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부(182)는 회전을 할 수 없게 되어 거치부재(120)의 각도가 정해지게 된다. 또한, 조절돌기(148)가 이동홈(186)에 삽입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부(182)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어 거치부재(120)가 거의 눕는 상태로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손잡이(188)를 당겨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손잡이(188)를 다시 놓기만 하기면 되기 때문에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다수 개의 삽입공(184)을 구비하여 다양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삽입공(184)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거치부재(120)의 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의 고정부재(2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의 고정부재(21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고정부재(21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가 책상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정부재(210)는 독서대(100)를 외부의 물체(예를 들면, 책상의 가장자리 부분(A))에 고정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베이스(212)와, 베이스(21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높낮이조절부(222)와, 높낮이조절부(22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압착 기능을 수행하는 압착부(2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낮이조절부(222)는 나사형태의 조절나사로 제공될 수 있는 바, 하기에서는 높낮이조절부(222)가 조절나사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베이스(212)는 조절나사(222)가 결합되는 상면(214), 책상의 가장자리 부분(A)의 하면과 접하는 하면(218) 그리고 상면(214) 및 하면(218)을 연결하는 연결면(216)을 포함한다. 상면(214), 연결면(216) 및 하면(218)은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의 베이스(212)를 구성한다. 그리고 베이스(212)는, 책상 가장자리 부분(A)과의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틸(steel) 등과 같은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면(214)은 조절나사(222)가 나사결합 되는 부분이다. 상면(214)은 하면(218)에 비해서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베이스(212) 전체의 중량을 감소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연결면(216)은 상면(214) 및 하면(218)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책상 가장자리 부분(A)과 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226)는 상기한 연결면(216)에 밀착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압착부(226)가 조절나사(222)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경우, 압착부(226)가 연결면(216)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하면(218)은 책상 가장자리 부분(A)의 하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압착부(226)와 대향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책상 가장자리 부분(A)에 고정된 하면(218) 방향으로 압착부(226)가 하향 이동하면서 고정부재(21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면(218)은, 고정부재(210)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상면(214)에 비 해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조절나사(222)는 상면(214)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나사(222)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 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나사(222)의 타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압착부(226)는 조절나사(22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압착부(226)는 조절나사(22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부분으로,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부(226)는, 양 측면에 형성된 힌지삽입홈(228) 및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32)를 포함한다.
힌지삽입홈(228)은 압착부(226)의 좌우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제1지지부재(132)의 하부연장부(138)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힌지(142) 및 제2지지부재(152)의 하부연장부(156) 단부에 형성된 하부힌지(15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힌지삽입홈(228)은 제1지지부재(132) 및 제2지지부재(15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13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지지부재(130)는 힌지삽입홈(228)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거치부재(120)는 고정힌지(170) 및 조절부재(18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100)는 2 자유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거치부재(120)는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자가 거치부재(120)를 다양한 위치에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삽입돌기(232)는 압착부(226)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거치부재(120)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2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120)가 책상 면 등에 대해 최대 각도로 세워지는 경우, 삽입돌기(232)는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거치부재(12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조절부재에 삽입되는 조절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손잡이를 당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손잡이를 당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조절돌기가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조절돌기가 이동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고정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책상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1.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가 책상 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책상 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낮이조절부 및 상기 높낮이조절부를 지지하고 상기 압착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거치부재에, 타측이 상기 압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와 나사 결합하는 상면과, 상기 압착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면서 외부 물체와 접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상기 연결면 및 상기 하면은 "ㄷ" 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연결면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거치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압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서 상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된 상부연장부 및 하부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측면에는 힌지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하부연장부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삽입홈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부연장부 단부에는 상기 힌지삽입홈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힌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삽입공이 상기 조절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 및 상기 조절돌기는 덮개부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덮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지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조절돌기가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힌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8.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독서대.
  19.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 및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독서대.
  20.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독서대를 외부 물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외부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낮이조절부; 및
    상기 높낮이조절부를 지지하고 상기 압착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착부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090087735A 2009-09-16 2009-09-16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KR10118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735A KR101187485B1 (ko) 2009-09-16 2009-09-16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PCT/KR2010/006359 WO2011034356A2 (ko) 2009-09-16 2010-09-16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735A KR101187485B1 (ko) 2009-09-16 2009-09-16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882A KR20110029882A (ko) 2011-03-23
KR101187485B1 true KR101187485B1 (ko) 2012-10-02

Family

ID=4393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735A KR101187485B1 (ko) 2009-09-16 2009-09-16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01Y1 (ko) * 2012-12-24 2014-03-11 조영희 독서대용 고정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536U (ja) 1982-04-26 1983-11-01 株式会社一ノ坪製作所 書架台
KR200316841Y1 (ko) 2003-03-13 2003-06-18 김두용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JP2007135706A (ja) 2005-11-15 2007-06-07 Okamura Corp 本類の支持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536U (ja) 1982-04-26 1983-11-01 株式会社一ノ坪製作所 書架台
KR200316841Y1 (ko) 2003-03-13 2003-06-18 김두용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JP2007135706A (ja) 2005-11-15 2007-06-07 Okamura Corp 本類の支持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882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665B2 (en) Stand of electronic device
US7667957B2 (en) Thin-type display
US6712321B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US20180167498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20100259876A1 (en) Stand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US7510215B2 (en) Book grip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120074284A1 (en) Flexible Support Structure
KR20050035840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US20070090239A1 (en) Support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187485B1 (ko)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CN215682350U (zh) 可折叠式移动终端支架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WO2011034356A2 (ko) 독서대 및 이의 고정장치
CN218095024U (zh) 一种便携式流媒体播放设备支架
KR20120001480U (ko) 독서대
KR20110011762U (ko) 독서대
US8797725B2 (en) Power adapter device provided with a mouse pad
KR20130107569A (ko) 휴대용 독서대
KR101522869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 보호캡
KR101889890B1 (ko)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