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687A -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 Google Patents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87A
KR20230113687A KR1020227027886A KR20227027886A KR20230113687A KR 20230113687 A KR20230113687 A KR 20230113687A KR 1020227027886 A KR1020227027886 A KR 1020227027886A KR 20227027886 A KR20227027886 A KR 20227027886A KR 20230113687 A KR20230113687 A KR 2023011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time
charging
remain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지앙 왕
수팅 쑨
스창 장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060952.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825781B/zh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충전시간 결정 방법, BMS 및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SOC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결정된 배터리의 충전시간은 더욱 정확하고, 사용자가 제때에 정확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는 데 편리하다.

Description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1월 19일자로 출원한 명칭이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인 중국 특허출원 202210060952.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본 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배터리 충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가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많은 전기자동차 소유자들이 일상적으로 자동차를 사용할 때 충전시간이 주요 관심사 중 하나가 되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이번 충전 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소유자가 자신의 차량 사용 시간과 근무 및 생활 시간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데 정확한 시간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배터리 충전시간은 주로 잔여 용량 및 충전 파일 출력 전류값을 근거로 하며, 그 몫값으로 충전시간을 결정한다. 이런 계산 방식은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방식은 정확하지 않다. 이로 인해 사용자, 특히 차량 소유자에게 많은 불편을 가져다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배터리 완속충전 상태에서의 충전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은 충전시간 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SOC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여기서 제1 값은 특정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충전시간에 대한 결정 및 전환을 통해,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간 결정은 더욱 정확하고 오차가 더욱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현재 시점과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통해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하고, 현재 시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므로, 결정된 충전시간이 더욱 정확하며, 전기자동차 소유자는 배터리의 충전시간에 근거하여 자신의 시간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또 배터리 만충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차량 사용이 더 편리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상기 최대 셀 전압 간의 제1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1 값의 비율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의 전압 폴로어 비율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최대 셀 전압 간의 제1 차이값을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의 전압 폴로어 비율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과 상기 전압 폴로어 비율의 곱을 계산하고, 상기 곱을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시간의 계산 논리를 조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가 전압 폴로어 계산 논리에 진입할 때 전압 폴로어 비율에 따라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재결정해야 하고, 이로써 배터리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하여, 보다 정확한 배터리 충전시간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SOC와 상기 배터리의 총 용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현재의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시간에 대한 결정은,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기타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고, 전술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통해 결정한 충전시간과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이로써 결정된 배터리 충전시간이 더욱 정확하여 사용자가 충전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쉽고,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고 자신의 행동을 계획하는 데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값은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설정 전압 한계값 간의 제2 차이값이며,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전압 한계값을 설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가 결정되면, 이를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설정 전압 한계값의 차이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의 설정 전압 한계값은 배터리의 충전 특징에 따라 모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전압 한계값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 주기 도달 또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타겟 객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표시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관리 대상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한 후, 사용자가 잔여 충전시간에 기초하여 행동을 계획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를 통해 잔여 시간을 출력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획득할 수 있도록 원격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잔여 충전시간을 송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충전시간 결정 방법에 따라 충전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 셀과 상술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전기에너지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비 본체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은 상기 배터리를 사용한다.
상기 설명은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일 뿐이며, 이하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열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하고, 본 출원 실시예의 상기 내용과 기타 목적, 특징, 장점이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한다.
당업자는 이하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여러 가지 다른 장점과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게 된다. 도면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며,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간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실시예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며, 따라서 예로서만 사용되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출원의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에서 '포함하다' 및 '갖는다'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제2' 등 기술적 용어는 다른 객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나 지시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 특정 순서 또는 주종관계를 암시적으로 지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다수'는 별도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한 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에 이 단어가 출현되는 것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와 상호 배타적인 독립적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명시적이고 암시적으로 이해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존재하는 관계,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관계, B가 존재하는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기호 '/'는 전후의 연관객체가 '또는'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다수'는 두 개 이상(두 개를 포함함)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그룹'은 두 개 이상의 그룹(두 개의 그룹을 포함함)을 의미하고 '여러 장'은 두 장 이상(두 장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적 용어 '중심', '세로', '가로', '길이', '너비', '두께',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상단', '하단', '안', '밖', '시계방향', '역시계방향', '축방향', '방사방향', '원주방향' 등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하며, 이는 지시된 장치나 부품이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에 따라 구성되거나 조작된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돕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함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설치', '접속', '연결', '고정' 등과 같은 기술적 용어들은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제한되지 않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정 연결이거나 착탈식 연결, 또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이거나 전기적 연결일 수 있다. 또한, 직접 연결이거나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 또는 두 부품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현재 시장 추세로 볼 때 트랙션 배터리의 응용은 갈수록 광범위해지고 있다. 트랙션 배터리는 수력, 화력, 풍력, 태양광 발전소 등 에너지 저장용 전원 시스템에 응용될 뿐만 아니라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등 전동력 교통수단, 그리고 군사장비,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트랙션 배터리의 응용 분야가 끊임없이 확대됨에 따라 그 시장의 수요량도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배터리 잔여 충전시간 결정 과정에서 배터리 잔여 충전시간이 주로 배터리 잔여 용량과 충전 파일의 출력 전류값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배터리 충전 전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변화된다. 특히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SOC(예: 97%)에 도달하면 종래의 충전시간 결정 방법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 부정확한 배터리 충전시간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 특히 전기자동차 소유자가 행동을 계획하는 데 불리하다.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연구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때 완속충전 출력 전력이 일정하고 전류가 비교적 안정되고, 완속충전 충전말기일 때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은 단조증가되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완속충전 만충전 셀 충전 전압(Volt_FullChrgVolt)과 전압 폴로어 진입 전압 한계값(Volt_acfollowvoltThr)의 차이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잔여 충전시간 계산의 계산 논리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따른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시간 결정 방법을 사용하는 배터리는 차량, 선박, 비행체 등 전기 장치에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의 후속 행동을 계획하는 데 편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을 사용하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삼는 전기 장치를 제공하며, 전기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동 완구, 전동 도구, 축전지차, 전기자동차, 선박, 우주 비행체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동 완구에는 게임기, 전기자동차 완구, 전기선박 완구 및 전기비행기 완구 등와 같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 전동 완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우주 비행체에는 비행기, 로켓, 우주 왕복선, 우주 비행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며,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구조 개략도이다. 차량(100)은 내연기관 자동차, 천연가스 자동차 또는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일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차량(100)의 내부에는 배터리(10)가 설치되며, 배터리(10)는 차량(100)의 바닥 또는 앞쪽 또는 뒤쪽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10)는 차량(100)의 전력 공급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는 차량(100)의 조작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00)은 또한 제어기(110)와 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110)는 배터리(10)를 제어하여 모터(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시동, 내비게이션 및 주행 시의 전력 수요에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10)는 차량(100)의 조작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00)의 구동 전원으로서 연료 또는 천연가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차량(1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전력 사용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터리(10)는 다수의 배터리 셀(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210)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최소 유닛을 가리킨다. 다수의 배터리 셀(210)은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 있도록 전극 단자를 통해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언급한 배터리는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배터리 셀(210) 간에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직병렬은 직렬과 병렬의 혼합을 가리킨다. 배터리(10)는 배터리 팩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배터리 셀(210)은 직접 배터리 팩을 구성하거나, 먼저 배터리 모듈(20)을 구성하고 배터리 모듈(20)이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배터리(10)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20)과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 모듈(20)은 케이스(30) 내부에 수용된다. 케이스(30)는 액체 또는 기타 이물질이 배터리 셀(210)의 충전 또는 방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터리 셀(210) 또는 배터리 모듈(20)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케이스(30)는 단일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체 또는 구체와 같은 간단한 입체 구조이거나,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체 또는 구체와 같은 간단한 입체 구조가 조합된 복잡한 입체 구조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케이스(3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철합금 등 합금 재료이거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스티로폼 등 고분자 재료이거나, 유리섬유와 에폭시의 복합 재료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스(30)는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2)은 서로 덮이고,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2)은 공동으로 배터리 셀(2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제2 부분(302)은 일단이 열린 중공 구조일 수 있고, 제1 부분(301)은 판상 구조일 수 있고, 제1 부분(301)은 제2 부분(302)의 개구측에 덮여,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2)은 공동으로 배터리 셀(2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2)은 모두 일측이 열린 중공 구조일 수 있고, 제1 부분(301)의 개구측은 제2 부분(302)의 개구측에 덮인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2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배터리 모듈(20)은 다수의 배터리 셀(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 셀(210)은 먼저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20)을 구성하고, 다수의 배터리 모듈(20)은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되어 배터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배터리 셀(210)은 리튬이온 배터리, 나트륨이온 배터리 또는 마그네슘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셀(210)은 원기둥체, 편평체, 직육면체 또는 기타 상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셀(210)은 일반적으로 패키지의 방식에 따라 세 가지 종류: 원통형 배터리 셀(210), 각형 배터리 셀(210), 파우치형 배터리 셀(210)로 나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하 실시예는 모두 각형 배터리 셀(210)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210)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배터리 셀(210)은 배터리를 구성하는 최소 유닛을 가리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210)은 커버(211), 하우징(212), 셀 조립체(213)를 포함한다.
커버(211)는 배터리 셀(210)의 내부 환경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해 하우징(212)의 개구부를 덮는 부품을 가리킨다. 제한 없이, 커버(211)의 형상은 하우징(212)에 감합하도록 하우징(212)의 형상에 알맞다. 선택적으로, 커버(211)는 일정한 경도와 강도를 가진 재질(예: 알루미늄 합금)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커버(211)는 눌리우고 부딪칠 때 쉽게 변형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배터리 셀(210)은 더욱 높은 구조 강도를 가지게 되고 안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211)에는 전극 단자(211a)와 같은 기능성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 단자(211a)는 배터리 셀(210)의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도록 셀 조립체(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211)에는 배터리 셀(210)의 내부 압력 또는 온도가 한계값에 도달할 때 내부 압력을 방출하는 데 사용되는 압력방출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211)의 재질은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일시예에서, 커버(211)의 내측에는 절연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절연부재는 단락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우징(212) 내의 전기연결 부품과 커버(211)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연부재는 플라스틱, 고무 등일 수 있다.
하우징(212)은 배터리 셀(210)의 내부 환경을 형성하도록 커버(211)에 감합되는 조립체이며, 여기서, 형성된 내부 환경은 셀 조립체(213), 전해액(도에 도시되지 않음) 및 다른 부품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212) 및 커버(211)는 독립적인 부품일 수 있고, 하우징(212)에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고, 배터리 셀(210)의 내부 환경을 형성하도록 커버(211)가 개구부를 덮는다. 제한 없이, 커버(211)와 하우징(212)은 일체화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11)와 하우징(212)은 다른 부품이 하우징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하나의 공통 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고, 하우징(212)의 내부를 패키징해야 할 때 커버(211)는 하우징(212)을 덮는다. 하우징(212)은 직육면체형, 원기둥체형, 육각기둥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2)의 형상은 셀 조립체(213)의 구체적인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212)의 재질은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셀 조립체(213)는 배터리 셀(210)에서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부품이다. 하우징(2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셀 조립체(213)가 포함될 수 있다. 셀 조립체(213)는 주로 양극판과 음극판을 권회 또는 적층하여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간에 격막이 설치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의 활성 물질을 갖는 부분은 셀 조립체의 주체부를 구성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의 활성 물질을 갖지 않는 부분은 각각 탭을 구성한다(도에 도시되지 않음). 양극 탭과 음극 탭은 주체부의 일단에 공동으로 위치하거나 주체부의 양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에서, 양극 활성 물질 및 음극 활성 물질은 전해액과 반응하고, 탭이 전극 단자를 연결하여 전류 회로를 형성한다.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보급됨에 따라 많은 전기자동차 소유자들이 일상적으로 자동차를 사용할 때 전기자동차의 충전시간이 주요 관심사 중 하나가 되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이번 충전 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소유자가 자신의 차량 사용 시간과 근무 및 생활 시간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데 정확한 시간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의 계산 방법은: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잔여 용량(CAP_remain)/충전 파일 출력 전류값(I_act)이고, 상기 계산 공식에 따라 이번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의 대략적인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할 수 있지만, 상기 계산 방법은 일부 특수한 작업 상황에서 충전 과정에서의 기타 요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산출된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과 실제 충전시간 사이의 오차가 크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산 공식의 큰 오차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은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 계산 공식에 사용된 잔여 용량(CAP_remain)이 큰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잔여 용량(CAP_remain)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잔여 용량(CAP_remain)=(충전 타겟 SOC(SOC_Tar)-현재 SOC)*셀 용량값인데, 실제 응용에서, 충전 과정에서 SOC 값을 계산할 때 계산 오차가 발생하며, 한 번 완속충전 과정에서, 만충전 도달 직전에 SOC에 3%의 허위 용량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즉 실제 SOC가 97%이지만 SOC 계산 알고리즘의 오차로 인해 산출된 SOC 값은 100%로 표시되며, 이 경우 SOC에 3%의 허위 용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SOC의 값 범위가 0-100%이기 때문에 SOC가 만충전인 SOC(100%)에 도달하기 직전인 경우, SOC에 3%의 허위 용량이 존재하면 99.8(또는 기타 값)에서 대기하며, 배터리 셀 전압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만충전으로 설정할 때 SOC를 100%로 수정하며, SOC가 100%로 표시될 때 잔여 충전시간 출력값은 0이다. 이 때 충전 전류(3.3kw의 충전 파일)가 0.05C의 충전 배율로 충전하는 경우, 완속충전 과정에서 SOC에 3%의 허위 용량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실제 SOC가 97%일 때 SOC가 99.8%에서 대기 중인 것으로 표시되며, 계산에 따라, 실제로 만충전되려면 적어도 36min이 더 소요되지만, 이 때 SOC가 이미 99.8%로 표시되기 때문에 산출된 잔여 충전시간은 1min이다(잔여 충전시간 분해능이 1이라고 가정하고 계산값을 올림함). 실제 응용에서, 산출된 잔여 충전시간은 1min이지만 실제로 만충전되려면 36min이 더 소요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나쁜 사용 경험을 가져다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 정확도를 높이는 충전시간 계산 방법을 제공한다. 차량이 고압을 걸어 완속충전 모드로 진입할 때, 충전 플러그 꽂아 충전이 시작되면, 충전 파일과 차량은 정보 교환이 완료되고, 차량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내부 통신이 완료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여 차량 계기판 또는 충전 파일에 표시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 APP에 송신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간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시간 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 상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한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SOC에 도달한 경우, 여기서 완속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SOC는 97%, 95%, 98% 등 일 수 있다. 배터리가 완속충전 상태에 처한 경우, SOC가 97%에 도달할 때, SOC에 허위 용량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SOC가 97%일 때 결정된 SOC는 정확하지 않다. 이 경우 현재의 오류에 따라 SOC를 표시하면, 실제 충전시간의 계산 오차는 크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잔여 시간의 결정 논리를 조정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함으로써 이 때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새로 결정된 잔여 용량에 따라 배터리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한다.
단계 502: 상기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한다.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하고,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다고 결정한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따라 배터리 충전시간을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로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여기서 제1 값은 특정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충전시간에 대한 결정 및 전환을 통해,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간 결정은 더욱 정확하고 오차가 더욱 작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현재 시점과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통해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하고, 현재 시점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므로, 결정된 충전시간이 더욱 정확하며, 전기자동차 소유자는 배터리의 충전시간에 근거하여 자신의 시간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또 배터리 만충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차량 사용이 더 편리해진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상기 최대 셀 전압 간의 제1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1 값의 비율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의 전압 폴로어 비율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최대 셀 전압 간의 제1 차이값을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의 전압 폴로어 비율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SOC가 완속충전 상태에 도달한 후의 충전시간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과 상기 전압 폴로어 비율의 곱을 계산하고, 상기 곱을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시간의 계산 논리를 조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가 전압 폴로어 계산 논리에 진입할 때 전압 폴로어 비율에 따라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재결정해야 하고, 이로써 배터리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하여, 보다 정확한 배터리 충전시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SOC와 상기 배터리의 총 용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현재의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시간에 대한 결정은,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기타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고, 전술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통해 결정한 충전시간과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이로써 결정된 배터리 충전시간이 더욱 정확하여 사용자가 충전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쉽고,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고 자신의 행동을 계획하는 데 편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값은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설정 전압 한계값 간의 제2 차이값이며, 여기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전압 한계값을 설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가 결정되면, 이를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설정 전압 한계값의 차이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의 설정 전압 한계값은 배터리의 충전 특징에 따라 모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전압 한계값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송신 주기 도달 또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타겟 객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표시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관리 대상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을 결정한 후, 사용자가 잔여 충전시간에 기초하여 행동을 계획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를 통해 잔여 충전시간을 출력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획득할 수 있도록 원격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잔여 충전시간을 송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서 더욱 명확해진다.
전기자동차가 만충전되기 직전에 잔여 충전시간에 대한 계산이 정확하지 않아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나쁜 사용 경험을 가져다주는 작업 상황에 대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계산 논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완속충전 출력 전력이 일정하고 전류가 비교적 안정되고, 완속충전 충전말기일 때 최대 셀 전압은 단조증가되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Volt_FullChrgVolt)과 전압 폴로어 진입 전압 한계값(Volt_acfollowvoltThr)의 차이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잔여 충전시간 계산의 계산 논리를, 잔여 용량(CAP_remain)/충전 파일 출력 전류값(I_act)인 원래의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에서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따라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현재의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로 변경한다.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가 전압 폴로어 단계에 진입할 때, 잔여 SOC에 따라 산출된 잔여 충전시간을 저장한다(RemainTime_Save). 구체적으로, 배터리 셀의 최대 셀 전압이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Volt_FullChrgVolt)과 전압 폴로어 진입 전압 한계값(Volt_acfollowvoltThr)의 차이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잔여 SOC에 따라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한다(RemainTime_Save). 전압 폴로어 진입 전압 한계값은 실제 측정 데이터에 따라 교정하거나, 배터리의 특성에 따라 모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2: 완속충전인 경우,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가 전압 폴로어 계산 논리에 진입할 때, 잔여 충전시간 전압 폴로어 비율을 계산해야 한다. 전압 폴로어 비율 계산 공식: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Volt_FullChrgVolt)-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값(Volt_MaxVolt))/(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Volt_FullChrgVolt)-전압 폴로어 진입 전압 한계값(Volt_acfollowvoltThr)).
단계 3: 완속충전인 경우, 잔여 충전시간 계산 논리가 전압 폴로어 단계에 진입할 때, 충전 전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잔여 충전시간 계산 공식은, 완속충전 잔여 충전시간 계산 방법=잔여 충전시간(RemainTime_Save)*전압 폴로어 비율(Ratrio_StepIntoFollowVolt)로 변경되며, 충전 과정에서 충전 전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전압 폴로어 비율(Ratrio_StepIntoFollowVolt)은 점차적으로 낮아지며, 만충전될 때, 전압 폴로어 비율은 0으로 낮아지고, 산출된 잔여 충전시간도 0으로 낮아진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충전시간 결정 방법에 따라 충전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 셀과 상술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기에너지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비 본체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은 상기 배터리를 사용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장비는 상술한 임의의 배터리를 응용하는 장비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이들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은 여전히 수정될 수 있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체가 동등하게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해당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을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 및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구조적인 충돌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한 각 기술적 특징은 모두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솔루션을 포함한다.

Claims (11)

  1. 충전시간 결정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셀의 최대 셀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셀 전압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현재 시점과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상기 최대 셀 전압 간의 제1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1 값의 비율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충전시간의 전압 폴로어 비율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제2 잔여 충전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과 상기 전압 폴로어 비율의 곱을 계산하고, 상기 곱을 상기 제2 잔여 충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충전 전류에 따라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SOC와 상기 배터리의 총 용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현재의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제1 잔여 충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은 완속충전 상태에서 만충전된 셀의 충전 전압과 설정 전압 한계값 간의 제2 차이값이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전압 한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송신 주기 도달 또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타겟 객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 정보를 표시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관리 대상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간 결정 방법.
  9.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시간 결정 방법에 따라 충전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 셀과 제9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전기에너지 장비에 있어서,
    장비 본체와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은 제10항에 따른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장비.
KR1020227027886A 2022-01-19 2022-04-28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KR20230113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060952.7A CN115825781B (zh) 2022-01-19 2022-01-19 充电时间确定方法及bms、电池、电能设备
CN202210060952.7 2022-01-19
PCT/CN2022/089766 WO2023137900A1 (zh) 2022-01-19 2022-04-28 充电时间确定方法及bms、电池、电能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87A true KR20230113687A (ko) 2023-08-01

Family

ID=8716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886A KR20230113687A (ko) 2022-01-19 2022-04-28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8822A1 (ko)
EP (1) EP4246161A1 (ko)
JP (1) JP2024509006A (ko)
KR (1) KR2023011368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9006A (ja) 2024-02-29
EP4246161A1 (en) 2023-09-20
US20230228822A1 (en)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6756B (zh) 基于电压衰减的汽车电池soc估计
CN104662432B (zh) 用于估计二次电池的参数的设备和方法
EP36051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battery
Kang et al.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thermal energy, operating conditions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in large‐scale lithium‐ion batteries
CN113782811A (zh) 用电设备及电化学装置的加热方法
CN105811028A (zh) 一种锂离子电池系统的soc状态估计方法
US20230361356A1 (en) Battery unit, and battery, power consuming device and preparation apparatus associated therewith
WO2023151190A1 (zh) 充电时间确定方法及bms、电池、电能设备
KR20230113687A (ko) 충전시간 결정 방법 및 bms, 배터리, 전기에너지 장비
EP4354590A1 (en) Battery, electrical devic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module
CN115825781B (zh) 充电时间确定方法及bms、电池、电能设备
CN116014268A (zh) 一种电池梯度利用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230253816A1 (en) Charging duration determining method, bms, battery, and electrical device
CN117220389B (zh) 充电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30238816A1 (en) Battery charging method, battery, and electrical device
WO2024020745A1 (zh) 电池充电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220692112U (zh) 电池、用电装置和电池单体组的压力检测装置
CN115833292A (zh) 电池充电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6754946B (zh) 电池稳定性评估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系统
CN116914228B (zh) 电芯、电池和用电设备
CN117317416B (zh) 电池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用电装置、电池及系统
CN117293424B (zh) 电池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用电装置、电池及系统
US20230344022A1 (en) Battery and energy storage system
US20240154224A1 (en) Solid-state battery prismatic cell stack
Somasundaram Mathematical Modeling of Transport Phenomena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