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348A -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348A
KR20230113348A KR1020237021265A KR20237021265A KR20230113348A KR 20230113348 A KR20230113348 A KR 20230113348A KR 1020237021265 A KR1020237021265 A KR 1020237021265A KR 20237021265 A KR20237021265 A KR 20237021265A KR 20230113348 A KR20230113348 A KR 2023011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ntibody
amino acid
acid sequence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후아 위
레이 니
샤오펀 메이
하이빈 왕
쥐안 첸
나 리
샤오쩌 왕
야치옹 조우
야오 첸
메이주 지앙
Original Assignee
바이오레이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하이선 바이오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레이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하이선 바이오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바이오레이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1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34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8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CD2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4Specific host cells or culture conditions, e.g. components, pH or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Abstract

본 발명은 SIRPα와 CD47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종양 세포에 대한 식세포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종양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전망이 밝은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생물학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항 SIRPα 항체에 관한 것이다.
SIRPα는 골수성 세포, 예컨대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세포, 과립구의 표면상에 발현되는 경막 단백질로서, 면역글로불린 상과(IgSF)의 일원이다. SIRPα는 N 말단 세포외 영역, 경막 영역 및 C 말단 세포내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외 영역은 3개의 IgSF 도메인을 포함하고(단 N 말단은 Ig-V 도메인임), 세포내 영역은 면역수용체 티로신 기반 억제 모티프(Immunoreceptor Tyrosine-based Inhibitory Motif; ITIM)를 포함한다. SIRPα의 주요 리간드는 정상 조직과 병변에서 널리 발현되는 경막 당단백질의 일 군인 CD47이다. 골수성 세포, 예컨대 대식세포상 SIRPα와 CD47의 결합은, SIRPα 세포내 영역중 ITIM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그에 따라 포스파타아제 SHP-1 및 SHP-2가 보충되어 활성화됨으로써 하류 신호전달을 통한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이 억제된다. 정상 조직은 CD47을 발현하고, CD47-SIRPα 신호전달을 유도하여, 자기 보호 기작으로서 "나를 먹지 말라(don't eat me)"라는 신호를 방출한다.
CD47은 대부분 모든 종양 세포에서 과발현됨이 확인된 바 있다. 종양 세포는 CD47과 SIRPα 의 결합을 통해 "나를 먹지 말라"라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면역 세포의 감시로부터 도피한다. 임상적으로 CD47 발현 수준은 환자의 좋지않은 예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험관내 및 생체내 연구는 또한, 동물 모델에서 CD47/SIRPα 차단은 종양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촉진하고, 종양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이는, CD47/SIRPα의 표적화가, 종양 면역요법을 개발하기 위해 신규 접근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CD47이 정상 세포 또는 조직, 구체적으로 적혈구 및 혈소판에서 널리 발현됨이 고려되었을 때, CD47의 표적화는 혈액학적 독성(hematologic toxicity)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외에도, CD47은 SIRPα에 더하여 TSP-1 및 인테그린과 상호작용할 수 있었다. CD47은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에 연루되어 있으며, CD47의 표적화는 안전에 관한 다수의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므로 CD47/SIRPα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항 SIRPα 항체를 개발하는 것은 암치료를 위한 더욱 유효한 전략일 수 있다.
본 발명은 SIRPα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종양 치료에 대한 잠재성이큰 신규 항 SIRPα 항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SIRPα 또는 이의 단편과 결합하는 항 SIRPα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3개의 CDR, 즉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과, 3개의 CDR, 즉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되, 단 VH CDR1은 서열 번호 3, 13, 23 또는 3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VH CDR2는 서열 번호 4, 14, 24 또는 3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VH CDR3은 서열 번호 5, 15, 25 또는 3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VL CDR1은 서열 번호 8, 18, 28 또는 3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VL CDR2는 서열 번호 9, 19, 29 또는 39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VL CDR3는 서열 번호 10, 20, 30 또는 40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와,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되, 단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8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9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0에 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와,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되, 단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3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4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5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8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9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0에 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와,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되, 단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3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4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5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8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9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0에 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는 VH CDR1, VH CDR2 및 VH CDR3와,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되, 단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3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4에 제시되어 있고;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5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8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9에 제시되어 있고;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0에 제시되어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 11, 21 또는 31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인다.
몇몇 구현예에서,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6, 16, 26 또는 36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인다.
임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중 3개의 CDR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중 3개의 CDR은 Kabat 또는 Chothia 번호매김 시스템에 따라 규정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중쇄 불변 영역, 경쇄 불변 영역 및 Fc 영역중 1개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경쇄 불변 영역은 λ 사슬 또는 κ 사슬 불변 영역이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IgG2, IgG3 또는 IgG4 유형의 것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 또는 이것들의 항원 결합 단편이다.
제2 측면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가 제공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핵산 분자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핵산 분자는 중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고, 대응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 번호 2, 12, 22 또는 32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인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핵산 분자는 경쇄 가변 영역을 암호하하고, 대응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 번호 7, 17, 27 또는 37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인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체재료, 즉
(1) 본원에 개시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숙주 세포 또는 미생물 등; 또는
(2) 상기(1)의 것의 발현 생성물, 현탁물 또는 상청액 등
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른 항체의 암호화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숙주 세포 또는 미생물을 용이하게 선택 및 제조할 수 있고, 대응 항체를 수득하기 위해서 대응 발현 생성물, 현탁물 또는 상청액 등이 수득되도록 이러한 숙주 세포 또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당 분야에서 종래 기술이다.
제4 측면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 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제5 측면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이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6 측면에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함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 종양은 CD47 양성 종양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종양은 혈액학적 종양 또는 고형 종양, 예컨대 백혈병, 림프종, 방광암, 유방암, 두경부암, 위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간암, 신장암, 폐암, 전립선암, 난소암, 갑상선암, 신경교종 및 기타 고형 종양이다.
제7 측면에서, SIRPα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형을 제조함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제8 측면에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함에 있어 1개 이상의 추가 암 치료제와 조합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로서, 본원에 개시된 것의 용도가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 종양은 CD47 양성 종양이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추가의 암 치료제로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및 생체거대분자 약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생체거대분자 약물은 종양 세포 표면 항원을 표적화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약물, 예컨대 항 CD20 항체(예컨대 주베리타맙(zuberitamab) 또는 리툭시맙), 세툭시맙 및 트라스투주맙이다.
제9 측면에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단 종양은 CD47 양성 종양이고, 바람직하게 종양은 혈액학적 종양 또는 고형 종양, 예컨대 백혈병, 림프종, 방광암, 유방암, 두경부암, 위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간암, 신장암, 폐암, 전림선암, 난소암, 갑상선암, 신경교종 및 기타 고형 종양이고, 이 방법은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을 이러한 종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0 측면에서, SIRPα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1 측면에서, 조합 치료법으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단 종양은 CD47 양성 종양이고, 이 방법은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핵산 분자, 생체재료 또는 조성물과 1개 이상의 추가 암 치료제를, 이러한 종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이 추가 암 치료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및 생체거대분자 약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생체거대분자 약물은 종양 세포 표면 항원을 표적화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약물, 예컨대 항 CD20 항체(예컨대 주베리타맙 또는 리툭시맙), 세툭시맙 및 트라스투주맙이다.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SIRPα와 CD47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종양 세포에 대한 식세포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종양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전망이 밝은 차단 항체(blocking antibody)이다.
도 1은 SIRPα와 CD47의 결합에 대한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와 SIRPα의 결합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SIRPα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는 SIRPα(V1)와 CD47의 결합에 대한 #14 항체 및 KWAR23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b는 SIRPα(V1)와 CD47의 결합에 대한 #14 항체, 18D5 및 1H9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c는 SIRPα(V2)와 CD47의 결합에 대한 #14 항체, KWAR23, 18D5 및 1H9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d는 SIRPα(V8)와 CD47의 결합에 대한 #14 항체, KWAR23, 18D5 및 1H9의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14 항체 및 KWAR23과 재조합 SIRPα 단백질의 결합 역학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a는 #14 항체에 의한 항 CD20 항체 유도성 식세포작용의 촉진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b는 #14 항체에 의한 항 HER2 항체 유도성 식세포작용의 촉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MC38 종양 모델에서 #14 항체의 항 종양 효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14 항체 및 항 CD20 항체가 종양의 생장을 상승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절차들에 사용되는 시약 및 기구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당 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이면서 시판되는 것들이고, 사용된 방법은 모두 당 업계에서 종래의 것이고, 당업자는 의심할 여지없이 방법을 구현할 수 있고,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 따라 상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의:
본 발명에서 "항체"란 용어는,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결합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으로서,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이중 특이적 항체 또는 항체 단편, 합성된 항체, 재조합 생산된 항체, 인간 항체, 비인간 항체(예컨대 마우스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세포내 항체 및 항체 단편, 예컨대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v 단편, Fd 단편, Fd' 단편, 단일 사슬 Fv(scFv), 단일 사슬 Fab(scFab), 또는 상기 항체들중 임의의 것의 항원 결합 단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항체 구조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항체는 면역글로불린의 임의의 군(예컨대 IgG, IgM, IgD, IgE, IgA 또는 IgY), 임의의 아군(예컨대 IgG1, IgG2, lgG3, IgG4, IgA1 또는 IgA2) 또는 유형(예컨대 IgG2a 또는 IgG2b)의 일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는 마우스 항체,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항체의 "항체 단편"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이란, 전장에 못 미치지만,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의 가변 영역 적어도 일부(예컨대 항체의 CDR 1개 이상 및/또는 결합 부위 1개 이상)를 포함하여, 결합 특이성을 보유하는 전장 항체의 임의의 일부뿐 아니라, 전장 항체의 특이적 결합능을 보이는 적어도 일부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항원 결합 단편이란, 항체 단편이 유래하는 항체에 대한 항원과 동일한 항원과 결합하는 항원 결합부를 포함하는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항체 단편은 전장 항체의 효소 처리에 의해 제조된 항체 유도체뿐 아니라, 합성된 유도체, 예컨대 재조합으로 제조된 유도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로서는 Fab, Fab', F(ab')2, 단일 사슬 Fv(scFv), Fv, dsFv, 다이아바디, Fd 및 Fd' 단편, 그리고 기타 단편, 예컨대 변형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예컨대 문헌(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207: Recombinant Antibodies for Cancer Therapy Methods and Protocols(2003); Chapter 1; p 3-25, Kipriyanov) 참조). 단편은, 예컨대 이황화 결합 및/또는 펩티드 링커에 의해 서로 결합된 다수의 사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 단편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50개, 즉 약 5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적어도 200개, 즉 약 20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항원 결합 단편은 (예컨대 대응 영역을 치환함으로써) 항체 틀(antibody framework)에 삽입될 때, 항원과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임의의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종래 항체"란, (H 및 H'로 지칭될 수 있는) 중쇄 2개, (L 및 L'로 지칭될 수 있는) 경쇄 2개 및 항원 결합 부위 2개를 포함하되, 각각의 중쇄는 항원 결합능을 보유하는 전장 면역글로불린 중쇄 또는 이의 임의의 기능성 영역일 수 있고(예컨대 중쇄는 VH 사슬, VH-CH1 사슬 및 VH-CH1-CH2-CH3 사슬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각각의 경쇄는 전장 경쇄 또는 이의 임의의 기능성 영역일 수 있는(예컨대 경쇄는 VL 사슬 및 VL-CL 사슬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항체를 지칭한다. 각각의 중쇄(H 또는 H')는 1개의 경쇄(각각 L 또는 L')와 쌍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장 항체는 2개의 전장 중쇄(예컨대 VH-CH1-CH2-CH3) 및 2개의 전장 경쇄(VL-CL) 및 힌지 영역을 가지는 항체로서, 예컨대 항체 분비 B 세포에 의해 자연 생산된 항체 및 동일한 도메인을 가지도록 합성으로 제조된 항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dsFv란, VH-VL 쌍을 안정화하는 조작 분자간 이황화 결합을 가지는 Fv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Fab 단편이란, 전장 면역글로불린을 파파인으로 절단하여 수득된 항체 단편 또는, 예컨대 재조합체 방법에 의해 동일 구조를 가지도록 합성으로 제조된 단편이다. Fab 단편은 (VL 및 CL을 포함하는) 경쇄와, 중쇄의 가변 도메인(VH) 및 중쇄의 불변 도메인 1개(CH1)을 포함하는 또다른 사슬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F(ab')2 단편이란, 면역글로불린을 pH 4.0 ~ 4.5에서 펩신으로 절단하여 수득된 항체 단편 또는, 예컨대 재조합체 방법에 의해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합성으로 제조된 단편이다. F(ab')2 단편은, 실질적으로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데, 단 각각의 중쇄 단은 단편 2개를 결합시키는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 소수의 추가 아미노산, 예컨대 시스테인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Fab' 단편이란, F(ab')2 단편의 절반(중쇄 1개 및 경쇄 1개)을 포함하는 단편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ScFv 단편이란, 폴리펩티드 링커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공유 결합된 경쇄 가변 영역(VL) 및 중쇄 가변 영역(VH)을 포함하는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가변 영역"이란, 항원 에피토프를 인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상이한 항체들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중쇄 또는 경쇄의 도메인을 지칭한다. 각각의 경쇄 또는 각각의 중쇄는 각각의 가변 영역 도메인 VL 또는 VH를 가진다. 가변 도메인은 항원 특이성을 제공하므로, 항원 인지에 관여한다. 각각의 가변 영역은 CDR과 틀 영역(FR)을 포함하고, CDR은 항원 결합 부위 도메인의 일부이다.
CDR 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이란, 서열이 초가변적이며, 구조적으로 규정된루프를 형성하고/형성하거나, 항원 접촉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항체 가변 영역내 영역을 지칭한다. CDR은 주로 항체와 항원 에피토프의 결합에 관여하고, 항체의 특이성을 결정한다.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소정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 CDR의 특이적 아미노산 서열은, 예컨대 Kabat, Contact, AbM 및 Chothia를 비롯한 다수의 널리 공지된 번호매김 체계들 중 임의의 것 1개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사용되어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항체의 CDR은 당 분야 임의의 체계들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초가변 영역", "상보성 결정 영역" 및 "CDR"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함께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변 영역내 다수의 부분들중 1개를 지칭한다. 각각의 가변 영역 도메인은 CDR1, CDR2 및 CDR3으로 명명되는 3개의 CD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쇄 가변 영역 도메인은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이라 명명되는 3개의 CDR을 포함하고, 중쇄 가변 영역 도메인은 H CDR1(또는 VH CDR1), H CDR2(또는 VH CDR2) 및 H CDR3(또는 VH CDR3)이라 명명되는 3개의 CDR을 포함한다. 가변 영역내 3개의 CDR은 선형 아미노산 서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폴리펩티드가 폴딩될 때 가까워진다. CDR은 가변 도메인의 β-시트를 연결하는 평행 사슬의 루프내에 위치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CDR은 당 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당 업자에 의해 Kabat 또는 Chothia 번호매김을 기반으로 동정될 수 있다(예컨대 문헌(Kabat, E.A. et al.,(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IH Publication No. 91-3242, and Chothia, C. et al.(1987) J. Mol. Biol. 196:901-917) 참조).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틀 영역(FR)은, β-시트 내부에 위치하는, 항체의 가변 영역 도메인내 도메인으로서, FR 영역은 아미노산 서열의 관점에서 초가변 영역에 비해 더 많이 보존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불변 영역" 도메인은 가변 영역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비해 더 많이 보존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의 중쇄내 또는 경쇄내 도메인이다. 종래의 전장 항체 분자에 있어 각각의 경쇄는 단일 경쇄 불변 영역(CL) 도메인을 가지고, 각각의 중쇄는 1개 이상의 중쇄 불변 영역(CH) 도메인, 예컨대 CH1, CH2, CH3 및 CH4를 포함한다. 항체 불변 영역은, 예컨대 다양한 세포, 생체분자 및 조직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효과기 기능, 예컨대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병원체 및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VH 도메인의 기능성 영역은 (예컨대 비변형 VH 도메인의 CDR 1개 이상을 보유시킴으로써) 비변형 VH 도메인의 결합 특이성 적어도 일부를 보유하도록 하여, VH 도메인의 기능성 영역이 오로지 항원과 결합하거나 또 다른 항체 도메인(예컨대 VL 도메인) 또는 이의 영역과 조합되어 항원과 결합하도록 만드는, 비변형 VH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이다. VH 도메인의 예시적인 기능성 영역은 VH 도메인의 CDR1, CDR2 및/또는 CDR3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VL 도메인의 기능성 영역은 (예컨대 비변형 VL 도메인의 CDR 1개 이상을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비변형 VL 도메인의 결합 특이성 적어도 일부를 보유시켜, VL 도메인의 기능성 영역이 오로지 항원과 결합하거나 또 다른 항체 도메인(예컨대 VH 도메인) 또는 이의 영역과 조합되어 항원과 결합하도록 만드는, 비변형 VL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이다. VL 도메인의 예시적 기능성 영역은 VL 도메인의 CDR1, CDR2 및/또는 CDR3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핵산 분자"란 용어는, 통상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데옥시리보핵산(DNA) 및 리보핵산(RNA)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결합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리된 핵산 분자"는, 핵산 분자의 천연 공급원에 존재하는 다른 핵산 분자로부터 단리된 핵산 분자이다. "단리된" 핵산 분자, 예컨대 cDNA 분자는 재조합체 기술에 의해 제조될 때 다른 세포 물질 또는 배양 배지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화학 합성될 때 화학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 성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단리된 예시적 핵산 분자로서, 본원에 제공된 것으로서는, 본원에 제공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암호화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한다.
서열의 "동일성"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의미를 가지고, 2개의 핵산 분자,펩티드 분자 또는 영역 사이의 서열 동일성%는 당 분야에 개시된 기술이 사용되어 산정될 수 있다. 서열 동일성은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전장을 따라, 또는 분자의 한 영역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예컨대 문헌(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Lesk, A.M.,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8; Biocomputing: Informatics and Genome Projects, Smith, D.W.,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93; Computer Analysis of Sequence Data, Part I, Griffin, A.M., and Griffin, H. G., eds., Humana Press, New Jersey, 1994; Sequence Analysis in Molecular Biology, von Heinje, G., Academic Press, 1987; 및 Sequence Analysis Primer, Gribskov, M. and Devereux, J., eds., M Stockton Press, New York, 1991)을 참조한다). 비록 2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사이의 동일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다수 존재하긴 하지만, "동일성"이란 용어는 당 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Carrillo, H. & Lipman, D., SIAM J Applied Math 48:1073(1988)).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발현"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사 및 번역에 의해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폴리펩티드의 발현 수준은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컨대 숙주 세포에서 제조된 폴리펩티드의 양을 확정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되어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세포 용해물중 폴리펩티드를 ELISA에 의해 정량하는 것, 겔 전기영동후 쿠마시 블루(Coomassie blue) 염색, 로우리(Lowry) 단백질 검정법 및 브래드포드 단백질 검정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숙주 세포"란, 벡터를 수용하고, 유지시키며, 복제 및 증폭시키는데 사용되는 세포이다. 숙주 세포는 또한 이 벡터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숙주 세포가 분열할 때, 벡터내 핵산은 복제하므로, 증폭된다. 숙주 세포는 진핵생물 세포 또는 원핵생물 세포일 수 있다. 적합한 숙주 세포로서는 CHO 세포, HeLa 세포 및 HEK 세포, 예컨대 HEK 293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벡터"는 적당한 숙주 세포에 도입되어 형질전환을 진행할 때 1개 이상의 이종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복제가능한 핵산이다. 벡터는, 통상적으로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암호화하는 핵산이 제한 효소 분해 및 결찰에 의해 도입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벡터는 또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벡터는 핵산을 증폭시키거나 핵산에 의해 암호화된 폴리펩티드를 발현/전시시키기 위해서 숙주 세포에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도입하는데 사용된다. 벡터는 보통 유리된 상태로 존재하지만, 게놈 염색체에 유전자 또는 이의 일부를 통합시키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인공 염색체 벡터, 예컨대 효모 인공 벡터 및 포유동물 인공 염색체도 또한 고려된다. 이러한 비이클의 선택과 용도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발현 벡터"는 DNA 단편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 서열, 예컨대 프로모터 영역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러한 DNA를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추가의 단편은 프로모터 및 종결인자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복제 기원 1개 이상, 선택 마커 1개 이상, 인핸서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일반적으로 플라스미드 또는 바이러스 DNA로부터 파생된 것이거나, 또는 이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현 벡터는 적당한 숙주 세포에 도입될 때, 클로닝(cloning)된 DNA의 발현을 유도하는 재조합 DNA 또는 RNA 구조체, 예컨대 플라스미드, 파아지, 재조합체 바이러스 또는 기타 벡터를 지칭한다. 적합한 발현 벡터는 당 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진핵생물 세포 및/또는 원핵생물 세포에서 복제 가능한 발현 벡터뿐 아니라, 유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발현 벡터 또는 숙주 세포 게놈에 통합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어떤 질환 또는 병태를 앓고 있는 개체를 "치료하는 것"이란, 개체의 증상이 부분적으로나 완전히 완화되거나, 치료후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치료는 예방, 치료 및/또는 치유를 포함한다. 예방이란, 기저 질환을 예방하는 것 및/또는 증상의 악화 또는 질환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을 지칭한다. 치료는 또한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뿐 아니라 조성물을 임의의 약학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효능"이란, 개체를 치료함으로써 달성되는 효과, 즉 어떤 질환이나 병태의 증상을 변경하는 것, 통상적으로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 또는 어떤 질환이나 병태를 치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적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 용량"이란, 대상체에 투여된 후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에 적어도 충분한, 어떤 물질, 화합물, 재료,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따라서 이는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을 예방, 치유, 개선, 정지 또는 부분적으로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방적 유효량" 또는 "예방적 유효 용량"이란, 대상체에 투여될 때, 원하는 예방 효과(예컨대 어떤 질환 또는 병태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것, 또는 어떤 질환 또는 병태의 발생 또는 재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를 보일, 어떤 물질, 화합물, 재료,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완전한 예방적 유효 용량은 반드시 1회 용량을 투여함으로써 도달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일련의 용량을 투여한 후에 도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예방적 유효량은 1회분 이상의 용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개체"란 용어는,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
본 발명은 인간 SIRPα 단백질에 대한 친화성이 큰 항 SIRPα 항체를 제공한다. 본 항체는 SIRPα와 이의 리간드 CD47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CD47/SIRPα에 대해 하류방향인 신호전달을 차단하고, 대식세포에 의한 종양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촉진하며, 이로 말미암아 또한 종양 세포의 제거를 실현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항 SIRPα 항체가 세포 표면상 SIRPα 단백질과 결합할 때, 이 항체는 내포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세포 표면상 SIRPα 단백질의 발현 감소가 달성되고, 이로써 CD47/SIRPα 신호전달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치환, 삽입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는 경쇄 가변 영역, 중쇄 가변 영역, 경쇄 또는 중쇄에 대한 변형을 포함하고, 이의 변형된 아미노산 서열은 항체의 기원인 아미노산 서열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소정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아미노산 서열은 초기 서열과 유사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임의의 동일성%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초기 서열에 대해 60%, 65%, 70%, 75%, 80%, 85%, 90%, 95%,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은 "동일성"이란, 2개의 펩티드 또는 2개의 핵산 분자 서열이 정렬될 때, 이 2개의 비교대상 서열들내 동일한 염기(또는 아미노산)의 %를 지칭한다. 이러한 정렬 및 상동성% 또는 서열 동일성%는 당 분야에 공지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예컨대 문헌[Ausubel et al., eds.,(2007),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에 기재된 것이 사용되어 확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렬은 디폴트 매개변수가 사용되어 수행된다. 하나의 정렬 프로그램은 디폴트 매개변수가 사용되는 BLAST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BLASTN 또는 BLASTP이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1개 이상일 수 있는 아미노산 변형은 본원에 제공된 항체의 Fc 영역에 도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Fc 변이체가 생성될 수 있다. Fc 변이체는 1군데 이상의 아미노산 위치에 아미노산 변형을 포함하는 인간 Fc 영역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폴리클로날, 모노클로날, 1가, 이중 특이적, 다중 특이적, 재조합, 이종, 키메라, 인간화 또는 탈면역원성 항체, 또는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단일 사슬 항체, 나노바디, 그리고 이것들중 임의의 것의 에피토프 결합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항체는 단일 특이적, 이중 특이적 또는 다중 특이적일 수 있다. 항 SIRPα 항체는 또 다른 항체 또는 항체 단편과 결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2 결합 특이성 또는 그 이상의 결합 특이성을 가지는 이중 특이적 또는 다중 특이적 항체가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항체는 기능성 성분을 부가하기 위해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항체 유도체화에 적합한 단은 PEG, 덱스트란, 단백질, 지질, 치료제 및 독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체는 인산화, 아세틸화, 글리코실화, 페그화, 아미드화 또는 다른 단백질과의 결찰 등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종양 치료 및 항체의 용도
본원에 제공된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암 진단, 예측, 치료 또는 억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투여함으로써, 해당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치료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항체(본원에 개시된 변이체 및 유도체 포함) 및 본원에 개시된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본원에 개시된 변이체 및 유도체 포함)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와,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및 생체거대분자 약물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추가의 치료제 적어도 1개를 조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합 치료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생체거대분자 약물은, 항 CD20 항체(예컨대 주베리타맙 또는 리툭시맙), 세툭시맙 및 트라스투주맙을 포함하여, 종양 세포 표면 항원을 표적화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약물이다.
본원에 개시된 항체(그리고 임의의 추가 치료제)는 복막내, 정맥내, 피하, 비내 및 근육내 주사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항체와 이의 변이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편리한 경로, 예컨대 볼루스 주사나 주입, 또는 상피나 피부의 점막을 통한 흡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예시된 항 SIRPα 항체 서열
[표 1]
[표 2]
[표 3]
[표 4]
실시예 1: 마우스 항 SIRPα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
본 실시예에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이용하여 마우스 항 인간 SIRPα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SIRPα 단백질의 세포외 영역(Uniprot: P78324)을 면역원으로서 발현시켰다. 인간 IgG1 Fc 태그를 이 SIRPα 단백질 세포외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Glu31-Arg370) C 말단에 융합하였다. 그 다음, 유전자를 벡터 V152(Huabio 공급)에 클로닝하여, 벡터 V152-SIRPα ECD-Fc를 제조하였다. 벡터를 일시적으로 293 세포(ATCC 공급)에 도입하여 형질감염시켰다. 5일 후, 세포 배양 상청액을 수집한 다음, 단백질 A(제조사: Solarbio, Cat. No. I8090)에 의해 정제하였다. 마우스 항 인간 SIRPα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 4주령 BAL B/c 마우스(Huabio 공급)를 SIRPα 단백질 100 μg으로 면역화하였다. 1차 면역화후 14일 및 28일차에, 면역화한 마우스를 SIRPα 단백질 50 μg으로 다시 면역화하였다. 면역화한 마우스에서의 혈청중 역가를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96웰 평판을 PBS(제조사: ZSGB-BIO, Cat. No. ZLI-9062)중 SIRPα(1 μg/mL)로 밤새도록 4℃에서 코팅하였다. 평판을 37℃에서 1시간 동안 1% BSA-PBS 차단 용액으로 차단하고 나서, PBST로 세척하였다. 면역화한 마우스 유래 혈청 희석물을 평판에 첨가한 다음, 이 평판을 37℃에서 1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평판을 세척한 다음, 여기에 HRP 표지 염소 항 마우스 IgG(제조사: Abcam, Cat. No. Ab205719, 1:10000 희석)를 첨가하였다. 37℃에서 0.5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고, 여기에 TMB 용액(제조사: InnoReagents, Cat. No. TMB-S-00)을 첨가하였다. 실온의 암실에서 5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여기에 2 N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미세평판 판독기(450 nm)상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42일차에 항 SIRPα 항체의 충분한 역가를 보이는 마우스에, SIRPα 단백질 50 μg을 촉진 용량(booster dose)으로서 투여하여 이 마우스를 면역화하였다. 3일 ~ 5일 후 마우스를 죽였다. 비장 세포를 수집한 다음, IMDM 기본 배지(제조사: BasalMedia, Cat. No. L610KJ)와 함께 원심분리에 의하여 2회 ~ 3회 세척하고 나서, 마우스 골수종 세포 SP2/0(Huabio 공급)와 1:1 비로 혼합하였다. 혼합한 세포에 PEG(제조사: Roche, Cat. No. 25771700)를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가만히 교반하고 나서, 37℃에서 30초 동안 방치하여 두었다. 융합한 세포를, 15% 소태아혈청(제조사: Tianhang Biotechnology, Cat. No. 11011-8611) 및 1 x HAT(제조사: Sigma, Cat. No. H0262-1VL)를 함유하는 IMEM 선택 배지중에 희석한 다음, 96웰 세포 배양 평판에 200 μL/웰이 되도록 첨가하고 나서, 37℃의 5% CO2 항온처리기내에서 항온처리하였다. 10일 ~ 14일 이후, 하이브리도마 세포 상청액중 항 SIRPα 항체를 ELISA로 검출하였다. 11개의 상이한 하이브리도마 클론, 즉 10F11-5-6, 1B6-1-1, 27A11-1-8, 14B11-5-4, 31D4-4-5, 7C2-3-8, 30C1-6-4, 4A3-5-1, 6H1-8-6, 9A12-5 및 10F4-15가 동정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후속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마우스 항체와 SIRPα의 결합
마우스 항체와 SIRPα 단백질의 결합능을 ELISA로 검출하였다. 구체적 방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마우스 항체를 1 μg/mL로부터 PBS로 3배 연속 희석하여, 총 7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였다. 결과를 이하 표 5에 보였다.
[표 5]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와, 내생적으로 SIRPα를 발현하는 인간 골수성백혈병 단핵구(THP-1, 중국과학원 세포 은행 공급)상 막 SIRPα의 결합을, 유세포분석법(FACS)에 의해 분석하였다. 4℃에서 THP-1 세포를 다양한 농도(1 μg/mL를 시작으로 3배 연속 희석하여, 총 7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함)의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와 30분 동안 공동항온처리하였다. 세포를 2회 세척한 다음, FITC 표지화 염소 항 마우스 IgG(제조사: Jackson, Cat. No. 115-095-003, 1:1000 희석)를 첨가한 후, 4℃ 암실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세포를 2회 세척한 다음, 유세포분석기 BD C6상에서 세포를 검출하였다. 결과를 이하 표 6에 보였다.
[표 6]
실시예 3: 마우스 항 SIRPα 항체의, SIRPα과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
실시예 2의 결과에 따르면, SIRPα에 대한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의 결합능,그리고 THP-1 세포에 대한 결합능을 조합한 것, 즉 mAb#4, mAb#11, mAb#13 및 mAb#14는 최고의 활성을 보이는 분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마우스 mAb가 SIRPα 및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해, mAb#4, mAb#11, mAb#13 및 mAb#14를 선택하였다. 96웰 평판을 CD47-Fc(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CD7-H5256)로 4℃에서 밤새도록 코팅하였다. 1% BSA-PBST 차단 용액으로 평판을 세척하여 차단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였으며, 이 평판에 상이한 농도의 항체(66.7 nM로부터 3배 희석, 총 7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함) 및 바이오틴 표지화 SIRPα(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CDA-H82F2)를 첨가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였으며, 여기에 HRP 표지화 스트렙타비딘(제조사: Abcam, Cat. No.: ab7403)을 첨가하였다. 37℃에서 0.5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고, 여기에 TMB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의 암실에서 0.5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후, 여기에 2 N H2SO4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미세평판 판독기상 450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IgG(제조사: GenScript)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1에 보인 바와 같은 결과는, 이러한 마우스 항체 모두는 SIRPα와 CD47의 결합을 다양한 정도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마우스 항체의 인간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화를 위해 mAb#4, mAb#11, mAb#13 및 mAb#14를 선택하였다. 이들 항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인간 IgG 유전자 서열의 가용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최적의 인간 생식계열 Ig 유전자 서열 매칭부를 동정하였다. 특히 mAb#4, mAb#11, mAb#13 및 mAb#14에 대해 선택한 인간 생식계열 IgG 중쇄는 각각 IGHV1-69-2*01, IGHV2-26*01, IGHV7-4-1*01 및 IGHV4-31*02이었으며, mAb#4, mAb#11, mAb#13 및 mAb#14에 대해 선택한 인간 생식계열 IgG 경쇄는 각각 IGKV4-1*01, IGKV1-9*01, IGKV4-1*01 및 IGKV4-1*01이었다. mAb#4, mAb#11, mAb#13 및 mAb#14의 중쇄 CDR은, 인간 생식계열 IgG 중쇄의 틀 영역에 이식하였고, mAb#4, mAb#11, mAb#13 및 mAb#14의 경쇄 CDR은, 인간 생식계열 IgG 경쇄의 틀 영역에 이식하였다. 신규의 인간화된 분자를 각각 #4, #11, #13 및 #14로 번호매겼다. 구성된 인간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경쇄 가변 영역 및 CDR 영역의 서열을 표 3에 보였다. #14 항체의 중쇄 및 경쇄 서열을 표 4에 보였다. #4, #11 및 #13 항체의 중쇄 및 경쇄 불변 영역은 #14 항체의 중쇄 및 경쇄 불변 영역과 일치하였다. #4, #11, 및 #13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당 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항체를 293 세포(ATCC 공급) 내에서 발현시켜 정제하였다. 항체의 중쇄 및 경쇄 암호화 서열을 V152 벡터(Huabio 공급)에 클로닝하였다. 형질감염 시약 PEI(제조사: Polyscience, Cat. No. 23966-2)를 사용하여 항체의 중쇄 및 경쇄 암호화 서열을 운반하는 V152 벡터를 293 세포로 옮겼다. 플라스미드 DNA 및 형질감염 시약을 생물안전작업대내에서 제조하였다. 플라스미드 DNA 및 PEI(질량비 = 0.15:1.75)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분 동안 방치하여 두었다. 혼합물을 293 세포에 가만히 첨가하여 가만히 혼합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5일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 배양 상청액을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단백질 A(제조사: Solarbio, Cat. No. I8090)로 정제하여, 항체 순도가 95%를 초과하도록 만들었다.
실시예 5: 인간화 항체와 SIRPα 단백질의 결합
인간화 항체와 SIRPα 단백질의 결합을 ELISA에 의해 검출하였다. 96웰 평판을 PBS중 SIRPα(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SIA-H5225)(1 μg/mL)로 밤새도록 코팅하였다(4℃). 그 다음, 37℃에서 평판을 1% BSA-PBS 차단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평판을 PBST로 세척하였다. 인간화한 항체를 상이한 농도로 희석하여(66.7 nM로부터 3배 연속 희석, 총 11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함) 평판에 첨가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항온처리를 수행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고 나서, 여기에 HRP 표지화 염소 항 인간 IgG(제조사: Abcam, Cat. No. Ab98595, 1:10000 희석)를 첨가하였다. 37℃에서 0.5 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평판을 세척하고, 여기에 TMB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의 암실에서 5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2 N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미세평판판독기상 450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엿다. 결과를 도 2에 보였다. #4, #11, #13 및 #14 항체와 SIRPα의 결합에 대한 EC50 값은 각각 1.833 nM, 0.4642 nM, 0.9517 nM 및 0.6831 nM이었는데, 이는 이 인간화 분자들 모두가 SIRPα에 대해 큰 결합 활성을 가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6: 인간화 항 SIRPα 항체의, SIRPα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
인간화 항 SIRPα 항체 #4, #11, #13 및 #14의, SIRPα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항체를, 66.7 nM로부터 3배 연속 희석하여, 총 11가지의 농도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보였다. #4, #11, #13 및 #14 항체의 IC50 값은 각각 6.03 nM, 0.2086 nM, 1.5 nM 및 0.1315 nM이었는데, 이는 이 인간화 항체 모두가 SIRPα와 CD47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데, 단 #11 항체 및 #14 항체는 나머지 인간화 항체 2개보다 차단 효과가 더 컸다.
KWAR23, 18D5 및 1H9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KWAR23은 US2018037652에 개시된 서열(서열 번호 1 및 서열 번호 2)에 따라 제조하였고, 18D5는 US20190127477에 개시된 서열(서열 번호 24 및 서열 번호 31)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1H9는 US20190119396에 개시된 서열(서열 번호 7 및 서열 번호 8)에 따라 제조하였다. 인간의 SIRPα 단백질은 세포외 영역에서 매우 다형성이고, 공통된 유전자형은 V1, V2 및 V8을 포함하므로, #14 항체 및 상기 대조군 항체의, 공통된 SIRPα 유전자형과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를 추가로 비교하였다(다른 실시예에서 명시된 유전자형이 없는 SIRPα 단백질은 V1 유전자형 모두의 것임).
상이한 항체의, SIRPα(V1)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항체를 83.4 nM로부터 2배 연속 희석하였으며, 총 9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였다. 결과를 도 4a에 보였다. #14 항체의 IC50 값은 3.404 nM이었으며, KWAR23의 IC50 값은 13.54 nM이었는데, 이는 #14 항체가 KWAR23보다 SIRPα(V1)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가 더욱 강력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b에 있어 #14 항체, 18D5 및 1H9의 IC50 값은 각각 4.4 nM, 4.1 nM 및 4.2 nM이었는데, 이는 #14 항체, 18D5 및 1H9의, SIRPα(V1)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활성이 유사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SIRPα(V2)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상이한 항체의 차단 효과를, 실시에 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확정하였는데, 여기서 사용된 바이오틴 표지화 SIRPα는 SIRPα(V2)(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SI2-H82W8)였다. 항체를, 200 nM로부터 3배 연속 희석하였으며, 총 9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였다. 결과를 도 4c에 보였다. #14 항체, KWAR23 및 1H9는 SIRPα(V2)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었던 반면에, 18D5는 SIRPα(V2)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없었다. #14 항체의 차단 활성은 1H9의 차단 활성보다 더 강력하였다. #14 항체의 IC50 값은 7.8 nM이었고, KWAR23의 IC50 값은 6.4 nM이었는데, 이는 #14 항체 및 KWAR23이 SIRPα(V2)에 대해 유사한 차단 활성을 가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이한 항체들의, SIRPα(V8)와 CD47의 결합에 대한 차단 효과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확정하였는데, 여기서 사용된 바이오틴 표지화 SIRPα는 SIRPα(V8)(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SI8-H82W6)였다. 항체를 200 nM로부터 3배 연속 희석하였으며, 총 9가지의 농도 구배를 형성하였다. 결과를 도 4d에 보였다. #14 항체, KWAR23 및 1H9는 SIRPα(V8)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었던 반면, 18D5는 SIRPα(V8)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없었다. #14 항체의 차단 활성은 1H9의 차단 활성보다 더 강력하였다. #14 항체의 IC50 값은 11.5 nM이었고, KWAR23의 IC50 값은 10.8 nM이었는데, 이는 #14 항체 및 KWAR23이 SIRPα(V8)에 대해 유사한 차단 활성을 보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결과들에 따르면, #14 항체는 공통된 SIRPα 유전자형(V1, V2 및 V8)과 CD47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었고, SIRPα(V1)에 대한 차단 활성이 KWAR23보다 더 강력하였으며, SIRPα(V2) 및 SIRPα(V8)에 대한 차단 활성은 18D5 및 1H9보다 더 강력하였다.
실시예 7: 항체와 SIRPα의 결합 역학
H1S1K 바이오센서(제조사: ForteBio)가 장착된 Octet Red96 시스템(제조사: ForteBio)을 사용하여 항체 대 항원간 결합 역학을 확정하였다. 바이오센서를 항원을 포획하는데 직접 사용한 직후에 피분석물 시료(항체)에 담그었다. 본 실험은 5개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1. 휴지(baseline)(100 s), 2. 로딩(항원 SIRPα 포획)(500 s), 3. 휴지(100 s), 4, 결합(항체와의 결합)(500 s), 5. 해리(항체의 해리)(1000 s). 시험을 종료한 다음, 재생 완충제(글리신, pH 1.5)중에 담그었다가 중화 완충제(PBS)중에 담그었다가를 5초 동안 교번 수행함으로써 센서를 재생하였고, 이러한 주기를 총 5회 진행시켜, 센서를 재생시켰다. 이 실험에서 작동 완충제(operating buffer)는 PBS였다.
시료 처리: 항원 SIRPα 단백질(제조사: Acrobiosystems, Cat. No. SIA-H5225)을, 작업 완충제를 사용하여 작업 농도 2.5 μg/mL로 희석하였고, 피분석물 시료(#14 항체 및 KWAR23)를 연속으로 희석하여, 5가지의 작업 농도, 즉 1 μg/mL, 0.5 μg/mL, 0.25 μg/mL, 0.125 μg/mL 및 0.0625 μg/mL로 희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반응 신호 값(블랭크 피분석물 시료 신호에 의해 공제된 피분석물 시료 신호와 결합)을, Octet 데이터분석(7.0 버전 또는 가장 최근 버전)을 사용하여 산정한 다음, 1:1 연관성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피팅(fitting)하였다.
결합 역학에 관한 피팅 도해를 도 5에 보였고, 결합, 해리 및 평형 상수를 표 7에 보였다. #14 항체는 양성 대조군 항체 KWAR23의 친화성과 거의 동일하게 매우 큰 친화성을 가짐이 확인될 수 있었다.
[표 7]
실시예 8: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의, 대식세포에 의한 종양 세포의 식세포작용 촉진 효과
PBMC 세포(제조사: Allcells, Cat. No. PB004F-C)를, 37℃ 및 5% CO2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1640 기본 배지(제조사: Gibco, Cat. No. 22400-089)중에 배양하였다. 비부착성 세포를 피펫으로 제거한 다음, 여기에 유도를 위해 유도 배지(80 ng/mL M-CSF)를 첨가하였다. 충분한 사이토카인을 함유하는 신선 배지를 3일마다 교환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배양하여, 대식세포를 수득하였다. CFSE 시약(제조사: Abcam, Cat. No. AB113853)의 지시에 따라 Raji 세포(중국과학원 세포 은행 공급)를 형광 표지화하였다. 표지화한 Raji 표적 세포 및 상기 분화한 대식세포를 3:1의 비로 고르게 혼합한 다음, 여기에 항 CD20 항체(주베리타맙, CAS RN: 2251143-19-6, WHO Drug Information, Vol. 33, No.4, 2019, 914-915; 농도: 0.05 μg/mL, 0.5 μg/mL; 제조사: BioRay), 항 CD20 항체(농도: 0.05 μg/mL, 0.5 μg/mL) 및 #14 항체(농도: 10 μg/mL)의 조합, 또는 항 CD20 항체(농도: 0.05 μg/mL, 0.5 μg/mL) 및 KWAR23 항체(농도: 10 μg/mL)의 조합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여기에 항 CD14-APC(제조사: BD Biosciences, Cat. No. 555399)를 첨가하였다. 4℃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세포를 세척하고 나서, 유세포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이하 식에 따라 식세포작용비율(ADCP)을 산정하였다: 식세포작용비율(%) = (APC + CFSE) 양성 세포 비/APC 양성 세포 비 x 100%. 도 6a는, 항 CD20 항체에 의해 유도된 Raji 세포 식세포작용을 #14 항체가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14 항체 및 항 Her2 항체 조합의, Her2를 과발현하는 SK-BR-3 세포의 대식세포 식세포작용에 대한 촉진 효과도 또한 관찰하였다. 전술된 방법에 따라, 표지화된 SK-BR-3 세포(중국과학원 세포 은행 공급) 및 분화한 대식세포를 2:1의 비로 고르게 혼합하였으며, 여기에 항 Her2 항체(농도: 0.5 μg/mL; 제조사: BioRay), 또는 항 Her2 항체(농도: 0.5 μg/mL) 및 #14 항체(농도: 10 μg/mL)의 조합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식세포작용비율을 분석하고 나서, 유세포분석법으로 산정하였다. 도 6b는 #14 항체가, 항 Her2 항체에 의해 유도된 SK-BR-3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9: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는 세포 표면상 SIRPα의 내포작용을 유도한다
4℃에서 THP-1 세포(중국과학원 세포 은행 공급)를 10 μg/mL 항체와 함께 30분 동안 공동항온처리하였다. 세포를 2회 세척한 다음, 2개의 부분으로 나누었다. 1개의 부분은 37℃에서 4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고, 나머지 부분은 4℃에서 추가로 항온처리하였다(대조군). 세포를 2회 세척한 다음, 여기에 FITC 표지화 염소 항 인간 IgG(제조사: Abcam, Cat. No. ab97224)를 첨가하였다. 4℃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세포를 세척하고 나서, 유세포분석으로 분석하였다. 37℃에서의 세포 표면 형광도 감소 대 4℃에서의 세포 표면 형광도 감소로부터 내포작용비율을 산정하였다. 이하 식에 따라 내포작용비율을 산정하였다: 내포작용비율(%) = (4℃에서의 형광도세기 MFI - 37℃에서의 형광도세기 MFI)/4℃에서의 형광도 세기 MFI x 100%.
표 8은, #14 항체에 대한 내포작용비율은 52.9%였던 반면, KWAR23에 대한 내포작용비율은 34.7%였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14 항체가 세포 표면 SIRPα의 발현 수준 감소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8]
실시예 10: 본원에 개시된 항 SIRPα 항체에 의해 유도된, 종양 생장 억제
hCD47-MC38 마우스 결장암 모델에서 #14 항체의 항 종양 효능을 평가하였다. hCD47-MC38 세포(Shanghai Model Organisms 공급)를 hSIRPα/hCD47 이중 인간화 C57BL/6 마우스(Shanghai Model Organisms 공급)에 접종하였다. 종양 부피가 약 150 mm3에 도달하였을 때, 매주 2회씩 마우스에 #14 항체(200 μg/마우스)를 복막내 주사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동량의 PBS를 투여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보였다. #14 항체는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의 생장을 지속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림프종 모델에서 #14 항체 및 항 CD20 항체(주베리타맙, BioRay 공급)의 조합의 항종양 효능도 또한 평가하였다. Raji-Luc 세포(Biocytogen 공급)를 B-NDG-hSIRPα 마우스(Biocytogen 공급) 꼬리 정맥에 접종하였다. 평균 종양 영상화 신호 세기가 약 1 x 106 p/초에 도딜하였을 때, 마우스에 IgG 대조군(Biocytogen 공급, 200 μg/마우스), #14 항체 단독(200 μg/마우스), 항 CD20 항체 단독(2 μg/마우스) 또는 #14 항체(200 μg/마우스) + 항 CD20 항체(2 μg/마우스)를 지정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14 항체 및 항 CD20 항체는 상승적인 항 종양 효능을 보였다.

Claims (11)

  1. 3개의 CDR, 즉 VH CDR1, VH CDR2 및 VH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과, 3개의 CDR, 즉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되, 단 상기 VH CDR1은 서열 번호 3, 13, 23 또는 3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VH CDR2는 서열 번호 4, 14, 24 또는 3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VH CDR3은 서열 번호 5, 15, 25 또는 3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VL CDR1은 서열 번호 8, 18, 28 또는 3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VL CDR2는 서열 번호 9, 19, 29 또는 39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VL CDR3는 서열 번호 10, 20, 30 또는 40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항 SIRPα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VH CDR1, VH CDR2 및 VH CDR3, 및 VL CDR1, VL CDR2 및 VL CDR3을 포함하되, 단
    상기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8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9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0에 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3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4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5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8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9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0에 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3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4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5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8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9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0에 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VH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3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4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H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5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1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8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9에 제시되어 있고;
    상기 VL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0에 제시되어 있는, 항 SIRPα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 11, 21 또는 31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이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6, 16, 26 또는 36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이는, 항 SIRPα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쇄 불변 영역, 경쇄 불변 영역 및 Fc 영역중 1개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되; 바람직하게 상기 경쇄 불변 영역은 λ 사슬 또는 κ 사슬 불변 영역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IgG1, IgG2, IgG3 또는 IgG4 유형의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 또는 이것들의 항원 결합 단편인, 항 SIRPα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핵산 분자는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상기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핵산 분자는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며, 상기 대응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 번호 2, 12, 22 또는 32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이거나; 또는 상기 핵산 분자는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암호하하고, 상기 대응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 번호 7, 17, 27 또는 37에 제시되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보이는, 핵산 분자.
  6. (1) 제5항에 의한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숙주 세포 또는 미생물 등; 또는
    (2) 상기 (1)의 것의 발현 생성물, 현탁물 또는 상청액인, 생체재료.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6항에 의한 숙주 세포를 배양하여 상기 항체 또는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을 발현시키는 단계와, 상기 항체 또는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을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함에 있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제5항에 의한 상기 핵산 분자, 제6항에 의한 상기 생체재료 또는 제7항에 의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종양은 SIRPα 양성 종양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종양은 혈액학적 종양 또는 고형 종양, 예컨대 백혈병, 림프종, 방광암, 유방암, 두경부암, 위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간암, 신장암, 폐암, 전립선암, 난소암, 갑상선암, 신경교종 및 기타 고형 종양인, 용도.
  10. SIRPα와 CD47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형을 제조함에 있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제5항에 의한 상기 핵산 분자, 제6항에 의한 상기 생체재료 또는 제7항에 의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11.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함에 있어 1개 이상의 추가 암 치료제와 조합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제5항에 의한 상기 핵산 분자, 제6항에 의한 상기 생체재료 또는 제7항에 의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종양은 SIRPα 양성 종양이고; 상기 추가 암 치료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치료제 및 생체거대분자 약물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생체거대분자 약물은 종양 세포 표면 항원을 표적화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분자, 예컨대 항 CD20 항체, 세툭시맙 또는 트라스투주맙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CD20 항체는 주베리타맙 또는 리툭시맙인, 용도.
KR1020237021265A 2020-12-11 2021-12-09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30113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64010.2 2020-12-11
CN202011464010.2A CN112574310B (zh) 2020-12-11 2020-12-11 抗SIRPα抗体及其用途
PCT/CN2021/136763 WO2022121980A1 (zh) 2020-12-11 2021-12-09 抗SIRPα抗体及其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348A true KR20230113348A (ko) 2023-07-28

Family

ID=7513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265A KR20230113348A (ko) 2020-12-11 2021-12-09 항 SIRPα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40034804A1 (ko)
EP (1) EP4261223A1 (ko)
JP (1) JP2023553758A (ko)
KR (1) KR20230113348A (ko)
CN (2) CN112574310B (ko)
AU (1) AU2021398150A1 (ko)
CA (1) CA3200487A1 (ko)
IL (1) IL303554A (ko)
TW (1) TWI805121B (ko)
WO (1) WO2022121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4310B (zh) * 2020-12-11 2023-05-05 浙江博锐生物制药有限公司 抗SIRPα抗体及其用途
WO2022247933A1 (zh) * 2021-05-28 2022-12-01 百奥泰生物制药股份有限公司 抗SIPRα抗体及其应用
AU2022284373A1 (en) 2021-06-04 2024-01-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nti-sirp-alpha antibodies
CN116472351A (zh) * 2021-08-17 2023-07-21 杭州九源基因工程有限公司 靶向SIRPα的单克隆抗体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29448B2 (en) * 2014-03-11 2020-09-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nti SIRP-alpha antibodies and Bi-specific Macrophage Enhancing antibodies
US11279766B2 (en) 2016-04-14 2022-03-22 Ose Immunotherapeutics Anti-SIRPa antibodies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CN106084052B (zh) * 2016-06-17 2019-12-27 长春金赛药业股份有限公司 抗cd47单克隆抗体及其应用
CN109862910A (zh) * 2016-08-03 2019-06-07 小利兰·斯坦福大学托管委员会 破坏巨噬细胞上的Fc受体接合增强抗SIRPα抗体疗法的功效
KR20190140454A (ko) * 2017-04-13 2019-12-19 아두로 바이오테크 홀딩스, 유럽 비.브이. 항-sirp 알파 항체
WO2019023347A1 (en) 2017-07-26 2019-01-31 Forty Seven, Inc. ANTI-SIRP-ALPHA ANTIBODIES AND ASSOCIATED METHODS
CN110305212A (zh) * 2018-03-27 2019-10-08 信达生物制药(苏州)有限公司 抗cd47抗体及其用途
KR20210030267A (ko) * 2018-07-10 2021-03-17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베다이가쿠 항 SIRPα 항체
CN113573728A (zh) * 2018-11-14 2021-10-29 安驰肿瘤公司 治疗性SIRPα抗体
CN111995682B (zh) * 2020-08-21 2022-05-10 博奥信生物技术(南京)有限公司 抗人SIRPα单克隆抗体及其用途
CN112574310B (zh) * 2020-12-11 2023-05-05 浙江博锐生物制药有限公司 抗SIRPα抗体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3554A (en) 2023-08-01
CA3200487A1 (en) 2022-06-16
EP4261223A1 (en) 2023-10-18
AU2021398150A1 (en) 2023-06-29
CN112574310B (zh) 2023-05-05
TWI805121B (zh) 2023-06-11
CN115052895A (zh) 2022-09-13
US20240034804A1 (en) 2024-02-01
TW202222835A (zh) 2022-06-16
JP2023553758A (ja) 2023-12-25
CN112574310A (zh) 2021-03-30
WO2022121980A1 (zh)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0122B2 (ja) Cldn18.2抗体及びその用途
JP2022515318A (ja) 抗体及びその用途
EP4261223A1 (en) Anti-sirp? antibody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10143192A (ko) 변형된 Fc 단편, 이를 포함하는 항체 및 이의 응용
KR20200119846A (ko) 항 비7 에이치4 항체,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의 약학적 용도
CN112830969B (zh) 一种特异性结合人Claudin18.2的单克隆抗体及包含其的药物和试剂盒
TWI821699B (zh) 抗b7h4抗體及其雙抗和應用
CN112243443B (zh) 抗trop-2抗体、其抗原结合片段及其医药用途
TWI797609B (zh) 抗pd-1和pd-l1的四價雙特異性抗體
EP4112647A1 (en) Anti-cd47/anti-pd-l1 antibody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23544143A (ja) 抗クローディン18.2および抗cd3二重特異性抗体およびその使用
AU2022223152A1 (en) Anti-gprc5d×bcma×cd3 trispecific antibody and use thereof
JP2022505330A (ja) Lrig-1タンパク質に特異的な結合分子及びその用途
CN113227148A (zh) 抗gpc3抗体、其抗原结合片段及其医药用途
CN113150156B (zh) 抗tigit抗体及其用途
CN112969715B (zh) 一种抗cd47抗原结合蛋白及其应用
EP4306540A1 (en) Ror1 binding protein and use thereof
CN116375873A (zh) 抗人Siglec-9单克隆抗体及其用途
JP2024519078A (ja) 抗cea抗体及びその使用方法
KR20230169942A (ko) 항-pd-l1 항체 및 이의 용도
CA3233192A1 (en) Anti-lag3 bispecific antibod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CN117715932A (zh) 一种cdc平台抗体
CN116804057A (zh) 抗Siglec-15抗体及其用途
CN116813786A (zh) 抗cd73抗体及其应用
CN116284406A (zh) 一种pd-1结合蛋白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