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90A -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 Google Patents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90A
KR20230111490A KR1020220007414A KR20220007414A KR20230111490A KR 20230111490 A KR20230111490 A KR 20230111490A KR 1020220007414 A KR1020220007414 A KR 1020220007414A KR 20220007414 A KR20220007414 A KR 20220007414A KR 20230111490 A KR20230111490 A KR 2023011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distribution line
line
indirec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혜
김태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90A/ko
Publication of KR2023011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9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6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laterally-arranged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과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를 개시한다.
전술한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는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가공배전선로를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그립부의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가공배전선로를 구속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그립부에 대해 상기 체결볼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Live wire clamp for indirect live wire work}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과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변압기와 같은 부하설비를 향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공배전선로에 대해 분기고리를 설치한 다음, 분기고리로부터 부하설비에 이르도록 활선클램프를 이용하여 인하선을 연결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가공배전선로에 대해 분기고리를 설치한 다음, 분기고리에 대해 활선클램프를 설치하고, 이어 활선클램프에 대해 인하선을 연결하여 부하설비를 향한 일련의 전기적 연결 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직접활선 작업은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상황의 발생이 빈번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목하기 위해 간접활선 방식의 작업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간접활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분기고리의 설치 작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10)에 대해 분기고리(20)의 몸체부(20a)를 설치하는 공정(도 1), 상기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를 장악한 상태에서 제2절연스틱(12)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몸체부(20a)를 상기 가공배전선로(10)에 대해 압착하는 공정(도 2), 및 상기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를 장악한 상태에서 상기 분기고리(20)의 몸체부(20a)로부터 상기 제2절연스틱(12)을 분리하는 공정(도 3)을 각각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경우, 부하설비로의 전기적인 연결작업은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에 대해 별도의 활선클램프(미도시)를 설치한 다음, 활선클램프에 대해 인하선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인하선의 타단부를 부하설비에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간접활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분기고리의 철거 작업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3절연스틱(13)을 이용하여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장악하는 공정(도 4), 및 상기 제3절연스틱(13)을 이용하여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장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를 절단하기 위해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도 5), 및 상기 제1절연스틱(11)을 이용하여 상기 분기고리(20)의 고리부(20b)를 절단하는 공정(도 6)을 각각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구현된다. 이와 같은 분기고리의 철거 작업은 부하설비와 분기고리(20) 사이에 걸쳐 활선클램프와 인하선을 이용한 전기적 연결을 먼저 제거한 다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현되는 종래 간접활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분기고리의 설치 및 철거 작업에서는 직접활선 작업용 기자재를 간접활선 작업에 적용함에 따라, 시공에 있어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즉, 상기 가공배전선로(10)에 대해 분기고리(20)를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시, 작업자는 절연버킷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력선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여러 종류의 절연스틱과 기본 공구를 운용해야 하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변에 여러 가지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절연버킷을 이동하고 절연스틱을 조작하는 데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05-011971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과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가공배전선로를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그립부의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가공배전선로를 구속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그립부에 대해 상기 체결볼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바디부는 인하선의 설치를 위한 인하선 연결부, 및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위한 파지용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그립부는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상기 가공배전선로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나사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그립부에 체결되는 나사형 몸체부, 상기 나사형 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의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가공배전선로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나사형 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절연스틱에 의한 회전을 위해 형성되는 회전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체결볼트가 설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회전 고리부와 상기 그립부 사이에서 양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는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인 배선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그립부의 체결공간의 내부에 가공배전선로를 위치한 상태에서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체결볼트의 회전 고리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립부와 체결볼트의 가압부 사이에서 전기적인 통전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공배전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인하선을 통해 부하설비에 제공되게 하는 일련의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는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인 배선을 철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체결볼트의 회전 고리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립부와 체결볼트의 가압부 사이에서 유지되던 전기적인 통전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가공배전선로로부터 인하선을 통해 부하설비에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게 하는 일련의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간접활선 방식의 분기고리 설치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간접활선 방식의 분기고리 철거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를 가공배전선로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는 가공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과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을 각각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30)는 클램프 부재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32), 상기 바디부(32)에 구비되어 가공배전선로(10)를 파지하는 그립부(34), 상기 그립부(34)에 대해 체결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36), 및 상기 그립부(34)에 대한 상기 체결볼트(36)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탄성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32)는 부하설비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하선(40)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인하선 연결부(32a), 및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구비되는 파지용 고리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인하선 연결부(32a)는 상기 바디부(3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32)에 있어 상기 그립부(34)의 형성위치와 반대되는 부위에서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하선(40)의 일단부와 전기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용 고리부(32b)는 상기 바디부(3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32)에 있어 상기 그립부(34)의 형성위치와 반대되는 부위에서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의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부(34)는 상기 바디부(32)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그립부(34)는 상기 바디부(32)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34)는 내부에 위치한 체결공간으로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갖춘 구조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는 상기 체결볼트(36)가 체결되어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나사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36)는 상기 그립부(34)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그립부(34)의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구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나사형 몸체부(36a)와 가압부(36b) 및 회전 고리부(36c)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나사형 몸체부(36a)는 상기 그립부(3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대해 체결되어 나사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36b)는 상기 나사형 몸체부(36a)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그립부(34)의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가공배전선로(10)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특히, 상기 가압부(36b)는 표면에 나선형 돌기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 고리부(36c)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회전시 상기 가공배전선로(10)의 피복을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36b)의 표면에 구비되는 나선형 돌기부는 상기 가공배전선로(10)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하지 않고도 상기 가공배전선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 고리부(36c)는 상기 나사형 몸체부(36a)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그립부(34)의 외부에 배치되어 절연스틱(미도시)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절연스틱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나사형 몸체부(36a)와 상기 그립부(34)를 회전시켜 나사 이동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상기 그립부(34)에 대해 상기 체결볼트(3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체결볼트(36)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그립부(34)에 대해 상기 체결볼트(36)가 체결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38)는 상기 체결볼트(36)가 설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체결볼트(36)의 회전 고리부(36c)와 상기 그립부(34) 사이에서 양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탄성부재(38)는 상기 체결볼트(36)의 회전 고리부(36c)와 상기 그립부(34) 사이에서 상기 체결볼트(36)의 나사형 몸체부(36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30)는 상기 가공배전선로(10)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인 배선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향해 상기 그립부(34)를 이동시켜 상기 그립부(34)의 체결공간의 내부에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위치한 상태에서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볼트(36)의 회전 고리부(36c)를 회전(도 9 참조)시키게 되면, 상기 그립부(34)와 상기 체결볼트(36)의 가압부(36b) 사이에서 전기적인 통전상태(도 10 참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가공배전선로(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인하선(40)을 통해 부하설비에 제공되게 하는 일련의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 있어, 상기 가압부(36b)의 표면에 구비되는 나선형 돌기부는 상기 가공배전선로(10)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하지 않고도 상기 가공배전선로(10)와 상기 그립부(34)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간접활선 방식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30)는 상기 가공배전선로(10)로부터 분기되어 부하설비에 이르는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인 배선을 철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볼트(36)의 회전 고리부(36c)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그립부(34)와 상기 체결볼트(36)의 가압부(36b) 사이에서 유지되던 전기적인 통전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공배전선로(10)로부터 상기 인하선(40)을 통해 부하설비에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게 하는 일련의 간접활선 방식의 전기적 배선의 철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10-가공배전선로 11-제1절연스틱
12-제2절연스틱 13-제3절연스틱
20-분기고리
20a-몸체부 20b-고리부
30-활선클램프
32-바디부 32a-인하선 연결부
32b-파지용 고리부 34-그립부
36-체결볼트 36a-나사형 몸체부
36b-가압부 36c-회전 고리부
38-탄성부재 40-인하선

Claims (6)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가공배전선로를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그립부의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가공배전선로를 구속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그립부에 대해 상기 체결볼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인하선의 설치를 위한 인하선 연결부; 및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위한 파지용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내부의 체결공간으로 상기 가공배전선로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어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나사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그립부에 체결되는 나사형 몸체부;
    상기 나사형 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의 내부의 체결공간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가공배전선로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나사형 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절연스틱에 의한 회전을 위해 형성되는 회전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표면에 상기 가공배전선로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나선형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체결볼트가 설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회전 고리부와 상기 그립부 사이에서 양단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KR1020220007414A 2022-01-18 2022-01-18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KR20230111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14A KR20230111490A (ko) 2022-01-18 2022-01-18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14A KR20230111490A (ko) 2022-01-18 2022-01-18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90A true KR20230111490A (ko) 2023-07-25

Family

ID=8742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14A KR20230111490A (ko) 2022-01-18 2022-01-18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17A (ko) 2004-06-17 2005-12-22 양희성 분기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17A (ko) 2004-06-17 2005-12-22 양희성 분기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80B1 (ko) 가공배전선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
US20040168816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KR20170089733A (ko)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1292644B1 (ko) 활선작업용 렌치
JP2013073767A (ja)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US20240162695A1 (en) Trap-type live wire terminal insulation cap and indirect live wire insulation method for jumper wire using same
KR101858536B1 (ko) 로봇용 용접토치
KR102354242B1 (ko) 박리용 공구
KR20230111490A (ko)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JP5797592B2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JP2008193822A (ja) 過渡電流接地用具の補助金具
KR1026475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JP5518456B2 (ja) 操作棒におけるロックナットの係止構造
JP2010028973A (ja) ケーブル分岐カバー着脱装置
KR20130058443A (ko) 케이블 연결장치
JP2006246579A (ja) 電力用ケーブルの補修方法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2008172883A (ja) ケーブル把持金具及びそれを有するケーブル接続箱
JP5655340B2 (ja) 電力ケーブル接地用治具および接地方法
JP2010178424A (ja) コネクタ保持工具およびコネクタ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