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97A - 신규 항균 물질 - Google Patents

신규 항균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97A
KR20230109997A KR1020220005953A KR20220005953A KR20230109997A KR 20230109997 A KR20230109997 A KR 20230109997A KR 1020220005953 A KR1020220005953 A KR 1020220005953A KR 20220005953 A KR20220005953 A KR 20220005953A KR 20230109997 A KR20230109997 A KR 20230109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andidal
candida
compound represented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116B1 (ko
Inventor
최혁재
권혁빈
문지민
김금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11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59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11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경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 항균 물질{Novel antibacterial compound}
본 발명은 길경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로 잘 알려져 있는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은 길경근으로도 불리며 초롱꽃과 도라지의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로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고 알려져 있다. 길경은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기침을 멈추고 담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을 잘 보지 못하여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양이 적을 때도 사용한다. 따라서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 등에 처방되어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거담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및 개선균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사포닌 성분이 약 3~5% 정도 함유되어 있는 oleanane 형 사포닌과 다당류의 이눌린에 대해서 보고되어 있다. 특히, platycodin A,C 및 D가 알려져 있으며, platycoside A, B, C, D 및 E가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길경에는 또한 사포닌 외에도 botulin, 이눌린 및 polyscacchr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2018-11706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길경으로부터 두 가지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들의 항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상기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본 발명의 성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성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경으로부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길경으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길경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고, 이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 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하면 족하며 분말화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경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길경을 추출하는 용매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물,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갯끈풀을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추출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물,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헥산, 에탄올을 사용하여 갯끈풀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은 상기 식물 건조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배 중량, 구체적으로는 2 내지 7배에 달하는 중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10 내지 80 ℃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 ℃의 추출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0일,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18일의 추출 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및 파쇄물을 포함하여 1회 내지 5회 연속하여 추출하여 액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여과지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은 감압여과 등의 방법으로 식물의 건조파쇄물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농축 또는 분말화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알코올,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길경을 추출하여 얻은 복합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부탄올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헥산 분획물을 사용한다.
상기 헥산 분획물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이하, Platypyran A로 명명하였다.
[화학식 1]
또한, 상기 헥산 분획물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며, 이하, Platypyran B로 명명하였다.
[화학식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항균 및/또는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식중독 균 및/또는 병원성 진균에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식중독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병원성 진균은 바람직하게 칸디다 속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크루세이(Candid. krusei),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 tropicali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 glabrata),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Candid parapsilosis), 칸디다 두블리니엔시스(Candid. dubliniensis), 및 칸디다 루시타니에(Candid lusitaniae)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 염"은 제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칼륨, 나트륨 및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주석산 및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구연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나프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균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중독은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칸디다성 피부염, 칸디다성 육아종, 칸디다성 구내염, 칸디다성 질염, 칸디다성 귀두염, 칸디다성 요도염, 칸디다성 장염, 칸디다성 수막염, 칸디다성 심내막염, 칸디다성 패혈증, 칸디다성 손발톱염 및 신생아 칸디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병원균 감염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의해 병원균 감염증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염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즈,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kg 당 0.1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 예컨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중독 균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대상체"란, 병원균 감염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 (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 (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길경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로부터 분리되어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제형으로 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적합한 제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건강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중독 균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개정판, p33-48, 1989).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경으로부터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의 항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항균용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길경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길경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Platypyran A와 Platypyran B를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Platypyran A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latypyran A의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Platypyran A의 COSY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Platypyran A의 HSQ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Platypyran A의 HMB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Platypyran B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Platypyran B의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Platypyran B의 HMB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Platypyran B의 HSQ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Platypyran B의 HMB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제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제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또는 제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길경으로부터 신규 물질 분리
건조된 길경 (9.5 kg) 을 잘게 자르고 70% 에탄올 30 L로 9일간 3회 반복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은 감압건조기를 사용한 감압증발 방법으로 농축하여 조추출물 2.5 kg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추출물은 5 L의 증류수에 현탁한 후, hexanes (5 L, 2회), methylene chloride (MC, 5 L, 2회), ethyl acetate (EtOAc, 5 L, 2회) 그리고 butanol (BuOH, 5 L, 2회) 을 사용한 용매분획법을 통해 다음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도 1].
Hexanes 분획 (3.3 g), MC 분획 (25.4 g), EtOAc 분획 (31.8 g), BuOH 분획 (100.0 g) 그리고 water (2.3 kg) 분리하였다. Hexanes 분획 (3 g)을 순상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Biotage SNAP KP-Sil 100 g)를 수행하였으며, MC:MeOH (100:0 -> 0:100)의 용매를 사용하여 10개의 분획 (PG_H1 - PG_H10)을 제조하였다.
이 중 H4 분획 (MC:MeOH = 99:1), H5 분획 (MC:MeOH = 97:3), H6 분획 (MC:MeOH = 95:5)을 합친 후, 반분취 역상 HPLC (Hector C18, 5 μm, 250 x 10 mm, 210 nm) 물(solvent A)과 아세토니트릴(solvent B)을 이용한 기울기용리(유속 3 mL/min; 0-40 min, 50% B; 40-45 min, 50-100% B; 45-60 min, 100% B)를 통해 신규 천연물 A(platypyran A, 32.4 mg) 와 B(platypyran B, 5.3 mg)를 각각 34분, 31분에 분취하였다 [도 2].
실시예 1: platypyran A 구조 확인
HRFABMS 데이터로부터 분자식을 확정하고, NMR 스펙트럼 (1H, 13C NMR spectra)을 분석하여 pyran 고리와 두개의 삼중결합 및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polyacetylene 인 platypyran A의 평면 구조를 결정하였다(1H, 13C NMR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OSY 스펙트럼, HSQC 스펙트럼과 HMBC 스펙트럼 결과는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다.
Platypyran A: 갈색 오일; [α]D -3.17 (c 0.1, CH2Cl2); UV(MeOH) λmax (log ε) 212 (3.67), 239 (3.38), 254 (3.36), 267 (3.38), 284 (3.29); HRFABMS m/z 219.1391 [M+H]+ (calcd for C14H19O2, 219.1380).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platypyran A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platypyran B 구조 확인
HRFABMS 데이터로부터 분자식을 확정하고, NMR 스펙트럼 (1H, 13C NMR spectra) 을 분석하여 pyran 고리와 세개의 삼중결합을 포함하는 polyacetylene인 platypyran B의 평면 구조를 결정하였다(1H, 13C NMR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OSY 스펙트럼, HSQC 스펙트럼과 HMBC 스펙트럼 결과는 도 10~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Platypyran A: 갈색 오일; [α]D -3.71 (c 0.1, CH2Cl2); UV(MeOH) λmax (log ε) 209 (4.52); HRFABMS m/z 217.1228 [M+H]+ (calcd for C14H19O2, 217.1224).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platypyran B는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항박테리아 활성 확인
병원균으로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7에 대한 항박테리아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7균을 Mueller-Hinton broth 에 접종하고 37 ℃ 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120 rpm)하였다. S. aureus KCTC1927 균의 세포 농도를 McFarland 0.5 표준액으로 맞추었다. DMSO에 녹인 시료 또는 양성대조군 100 μL를 96 well plate에 놓고 최종시료 농도가 128 μg/mL가 되도록 맞추었다. 그리고 serial dilution 방법으로 다양한 농도의 시료 혹은 양성대조군을 준비한 다음 Mueller-Hinton broth를 채웠다. 이 후 50 μL의 희석한 S. aureus KCTC1927 inoculum을 plate의 음성대조군 well을 포함한 각 well에 가하고, 37℃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박테리아의 생장이 저해된 농도를 확인하며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을 결정하였다.
식중독 원인균 포도상구균 항박테리아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구분 MIC(㎍/mL)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7)
platypyran A 8
platypyran B 8
암피실린 0.25
반코마이신 >128
실시예 4: 항진균 활성 확인
병원성 진균으로 Candida albicans (KCTC7122), Candida glabrata (KCTC7219) 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진균 Candida albicans KCTC 7122와 Candida glabrata KCTC 7219를 Potato Dextrose broth (PDB) 에 접종하고 37℃ 조건에서 24시간 진탕배양(150 rpm)하였다. 진균 배양액을 Mueller-Hinton broth (MHB)를 이용해 0.5 McFarland standards 로 맞추었다. DMSO에 녹인 시료 또는 양성대조군 100 μL를 96 well plate에 놓고 최종시료 농도가 128 μg/mL가 되도록 맞추었다. 그리고 serial dilution 방법으로 다양한 농도의 시료 혹은 양성대조군을 준비한 다음 Mueller-Hinton broth 를 채웠다. 이 후 50 μL의 희석한 진균 inoculum을 plate의 음성대조군 well을 포함한 각 well에 가하고, 37℃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진균의 생장이 저해된 농도를 확인하며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을 결정하였다.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분 MIC(㎍/mL)
Candida albicans (KCTC7122) Candida glabrata (KCTC7219)
platypyran A 0.25 8
platypyran B 1 64
사이클로헥시미드 0.25 1

Claims (2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1]

  2. 제 1 항에 있어서,
    길경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염.
  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

  4. 제 3 항에 있어서,
    길경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화학식 1]

  6. 제 5 항에 있어서,
    식중독 균 또는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항균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인 항균용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은 칸디다 속인 항균용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크루세이(Candid. krusei),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 tropicali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 glabrata),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Candid parapsilosis), 칸디다 두블리니엔시스(Candid. dubliniensis), 및 칸디다 루시타니에(Candid lusitaniae)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항균용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화학식 2]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식중독 균 또는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항균용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인 항균용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은 칸디다 속인 항균용 조성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크루세이(Candid. krusei),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 tropicali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 glabrata),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Candid parapsilosis), 칸디다 두블리니엔시스(Candid. dubliniensis), 및 칸디다 루시타니에(Candid lusitaniae)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항균용 조성물.
  1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칸디다성 피부염, 칸디다성 육아종, 칸디다성 구내염, 칸디다성 질염, 칸디다성 귀두염, 칸디다성 요도염, 칸디다성 장염, 칸디다성 수막염, 칸디다성 심내막염, 칸디다성 패혈증, 칸디다성 손발톱염 및 신생아 칸디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학적 조성물.
  17.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칸디다성 피부염, 칸디다성 육아종, 칸디다성 구내염, 칸디다성 질염, 칸디다성 귀두염, 칸디다성 요도염, 칸디다성 장염, 칸디다성 수막염, 칸디다성 심내막염, 칸디다성 패혈증, 칸디다성 손발톱염 및 신생아 칸디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학적 조성물.
  1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20.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2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1]

  2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또는 병원성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2]

  23.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헥산 분획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24.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헥산 분획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2]

KR1020220005953A 2022-01-14 신규 항균 물질 KR10267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53A KR102673116B1 (ko) 2022-01-14 신규 항균 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53A KR102673116B1 (ko) 2022-01-14 신규 항균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97A true KR20230109997A (ko) 2023-07-21
KR102673116B1 KR102673116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65A (ko) 2017-04-18 2018-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65A (ko) 2017-04-18 2018-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8782A1 (en) Maillard reaction inhibitor
KR20190133561A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7343A (ko)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2611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3116B1 (ko) 신규 항균 물질
KR20230109997A (ko) 신규 항균 물질
JP2003252876A (ja) 新規セスキテルペン系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組成物
KR20110068191A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0822781B1 (ko) 항균 효과를 갖는 목단피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구조의 6‘-오-바닐릴옥시파에오니플로린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39600B1 (ko) 지의류 유래의 추출 성분을 포함하는 항 염증 조성물
KR101925420B1 (ko) 요산 배출용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US20040198669A1 (en) Novel nitrile glycoside useful as a bioenhancer of drugs and nutrients, process of its isolation from moringa oleifera
KR101752233B1 (ko) 로즈허브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0967541B1 (ko)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45647A (ko) 페어포바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542145B2 (ja) イワヤツデ抽出物およびそれから分離した活性成分を含む抗菌性薬学組成物
KR20210086768A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69616A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CN114699459B (zh) 柳芽总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649121B1 (ko) 배초향 정유 및 케토코나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진균제